KR20010006253A - 정신 질환의 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정신 질환의 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6253A
KR20010006253A KR1019997009337A KR19997009337A KR20010006253A KR 20010006253 A KR20010006253 A KR 20010006253A KR 1019997009337 A KR1019997009337 A KR 1019997009337A KR 19997009337 A KR19997009337 A KR 19997009337A KR 20010006253 A KR20010006253 A KR 20010006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t rate
pattern
subject
rate pattern
dis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9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탬퍼한스조지
Original Assignee
하트링크 월드 패턴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트링크 월드 패턴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하트링크 월드 패턴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10006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625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05Determining heart rate vari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patholog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하는, 피실험자의 정신 질환을 진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 피실험자의 생물리학적 파라미터의 패턴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패턴을 정신 질환 진단에 사용하는 단계. 특정한 임상적 상태가 생물리학적 파라미터의 뚜렷이 다른 패턴과 일관되게 관련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정상 및 비정상의 프로필이 확립되면, 일정한 파라미터의 패턴을 모니터링하고 정신 질환을 나타내는 기준 패턴과 상기 패턴을 비교하여 피실험자를 시험하였다. 하나의 생물리학적 파라미터인 심박수는 쉽고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다. 정신 질환은 24 시간주기 심박수 패턴의 일부분에서 특징적 패턴을 분석하여 확인하고 진단할 수 있다. 하나의 특정한 형태에서, 심박수 패턴은 적어도 약 90 분에 걸쳐 측정하였다. 24 시간주기의 심박수 패턴의 일부는 바람직하게, 수면 부분을 나타내고 특정한 수면 부분은 피실험자의 수면 초기 및 각성 상태로의 과도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피실험자의 심박수는 피실험자가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게 한 비구속형 모니터로 측정하였다. 심박수 패턴은 여러 요소들에 의해 영향받을 수 있다. 몇몇 요소는 심박수 패턴의 해석을 방해하는 노이즈를 만들 수 있다. 피실험자의 심박수 패턴과 피실험자의 활성도 기록을 비교할때 피실험자의 심박수 패턴에서 노이즈의 효과를 무시한다.

Description

정신 질환의 진단 방법{METHOD FOR DIAGNOSING PSYCHIATRIC DISORDERS}
본 발명은 심박수와 같은 피실험자의 생물학적 파라미터의 패턴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정신 질환을 진단하는 방법, 특히 피실험자의 24 시간 주기의 심박수 패턴의 적어도 일부분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정신 질환을 진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정신 질환에 관한 치료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약 1 세기 동안의 집중적인 연구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정신병에 관한 믿을 수 있는 '실험실 시험'은 존재하지 않는다. 진단은 여전히 주관적인 경험[증상]을 토대로 '임상적으로' 이루어지고 행동[징후]을 관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표준적 경험 및 행동을 규정하는 것이 어렵고 신뢰할 수 있는 객관적 지표가 부족하기 때문에 오늘날, 정신의학에서 진단/분류의 모든 체계가 하나의 판단 또는 다른 판단에 대해서 만족스럽지 못한 것은 당연하다. 신뢰할 수 있는 실험실 시험은 일상의 임상 실습에 있어서 실제적으로 상당한 가치가 있을 것이며 이론과 실습을 보다 폭넓게 발전시키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개념적으로 잘못된 연구로 인해 지금까지 정신병의 '실험실 지표' 를 발견하기 위한 시도는 실패해왔다. 이전의 연구자들은 뇌에서, 신경학적 또는 신경병리학적 연구의 모방에서 일부 '일정한' 화학적/해부학적 손상을 찾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만일 그러한 '일정한' 손상이 존재하지 않거나, 오히려 기능적 비조절이 존재하면[자동차 및 TV 수상기에서 '동조(同調) 문제' 같은], 신경병리학적 연구는 실패하기 마련이다.
본 발명은 정신 질환의 진단 방법 또는 적어도 임상적 상태의 객관적 지시를 제공할 수 있는 진단 방법을 제공하려고 시도하고 변화하며 피실험자의 진단 평가에 기여한다.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은 피실험자의 정신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
피실험자의 생물리학적 파라미터의 패턴을 측정하는 단계 ; 및
상기 패턴을 정신 질환 진단에 사용하는 단계.
본 발명은 생물리학적 파라미터 및 정신 상태 사이에서의 정신생리학적 상관관계의 입증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특정한 임상적 상태가 생물리학적 파라미터의 뚜렷이 다른 패턴과 일관되게 관련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만약 본 발명이 정신 질환의 지표 패턴을 나타낼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방법에서 측정된 생물리학적 파라미터는 다양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생물리학적 파라미터는 EMG, EEG, 안구운동/진전, 혈압, 호흡, 호르몬과 신경전달물질의 수준을 포함한 혈액-화학 프로필, 신경조절기, 직류전기요법의 피부 저항, 심부온도 및 심박수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생물리학적 파라미터를 사용한 정신 질환의 진단 방법론은 본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에게는 명백하다. 요약하면, 파라미터는 정해진 파라미터의 정상과 비정상의 프로필을 확립하고 검증하기 위해 피실험자에서 측정하고 모니터하였다. 일단 정상 및 비정상의 프로필이 확립되면, 파라미터의 패턴을 모니터링하고 정신 질환을 나타내는 기준 패턴과 상기 패턴을 비교하여 피실험자는 정신 질환에 대한 검사를 받을 수 있다.
심박수는 쉽고 간편하게 측정될 수 있는 생물리학적 파라미터의 하나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또한 피실험자의 정신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
피실험자의 심박수 패턴 측정 ; 및
정신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 상기 패턴 사용.
심박수 패턴은 여러 시간대에 걸쳐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형태에서 심박수 패턴은 24 시간주기의 심박수 패턴이며, 그런 점에서 심박수 패턴은 24 시간에 걸쳐 측정한다. 24 시간주기의 심박수 전체 패턴이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반면에, 24 시간주기의 심박수 패턴의 특정 부분은 정신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점에서, 정신 질환은 24 시간주기의 심박수 패턴의 일부내에서 특징적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입증할 수 있고 진단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피실험자의 정신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
피실험자의 24 시간 주기 심박수 패턴의 최소 부분을 측정 ; 및
정신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 상기 패턴 또는 그것의 일부 사용.
그 방법이 24 시간주기의 심박수 패턴의 부분 측정을 포함할 때, 만일 그 부분이 정신 질환과 상호관련된 패턴을 나타낼 수 있다면 측정된 부분은 변동될 수 있다. 하나의 특정한 형태에서, 심박수 패턴은 적어도 약 90 분에 걸쳐 측정된다.
잠들기 직전에서 잠든 후와 깨기 직전에서 깬 후의 과도기에, 피실험자의 심박수 패턴은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 특별히 유용하다. 따라서, 그 방법이 24 시간주기의 심박수 패턴의 일부 측정을 포함할 때, 24 시간주기의 심박수 패턴의 일부는 바람직하게 수면 부분이며 특히 피실험자의 수면에서 각성 상태로의 과도기를 포함한 수면 부분이다.
심박수 패턴은 다양한 형태에서 측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심박수 패턴은 일정 기간 내의 분당 박동으로 측정하였다. 선택적으로, 심박수 패턴은 심박수에서 변화 또는 변동을 나타내는 판별 플롯으로 측정하였다. 심박수 패턴이 판별 플롯을 나타낼때, 그 판별 플롯은 바람직하게 [심박수(t+1) - 심박수(t)]의 플롯이며, 여기서 t 는 일정한 기간 내의 분에 해당하는 시간이다.
물론, 피실험자의 심박수 패턴은 포멧의 심박수차로 측정가능하고 포멧의 심박수차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정신 질환을 진단하는 데 함께 사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피실험자의 정신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
포멧의 심박수차로 피실험자의 심박수 패턴 측정, 이때 심박수차는 일정 기간 내의 1 분당 박동 및 [심박수(t+1) - 심박수(t)](여기서 t 는 일정 기간 내의 분에 해당하는 시간이다) ; 및
정신 질환 진단.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화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피실험자의 심박수 패턴은 정신 질환을 나타내는 기준 심박수 패턴의 데이터베이스에 비추어 조사가능한 형태에서 측정되고 기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피실험자의 정신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
피실험자의 심박수 패턴 측정 ; 및
컴퓨터화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제시한 기준 심박수 패턴에서 정신 질환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심박수 패턴과 상기 패턴과의 비교.
피실험자 심박수 패턴은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된다. 바람직하게, 피실험자 심박수 패턴은 피실험자가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게 한 비구속형 모니터로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방법이 기준 심박수 패턴을 사용할 때, 기준 심박수 패턴은 다양화되고 바람직하게는 전형적 패턴을 결정하기 위해 정신 질환을 앓고 있는 많은 수의 환자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발전하였다.
생물리학적 파라미터가 24 시간주기의 심박수 패턴을 나타낼때 기준 심박수 패턴은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도 1 내지 4 에서 설명된 특별한 패턴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정신 질환을 진단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방법은 범불안장애(GAD), 공황장애(PD), 과대-강박장애 (OCD), 비-정신병적 우울증, 신체형장애(심기증형), 망상장애(망상 및 체벽형), 주의력 결핍장애(ADD) 및 급성 정신분열형장애 중에서 선택한 정신 질환을 진단하는 데 사용된다.
심박수 패턴은 여러 요소들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몇몇 요소는 심박수 패턴의 해석을 방해할 수 있는 노이즈를 만들어 낼 수 있고, 이는 분명히 바람직하지 않다. 노이즈의 영향을 설명하고 무시하는 것을 뒷받침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방법은 피실험자에게 이 방법을 실시하는 시간 내내 피실험자의 활성 기록을 자세히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실험자의 정신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
피실험자의 심박수 패턴 측정 ;
피실험자의 심박수 패턴과 피실험자의 활성도 기록 비교 ; 및
상기 패턴과 정신 질환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심박수 패턴의 비교, 여기서, 피실험자의 심박수 패턴과 피실험자의 활성도 기록 비교시에 피실험자의 심박수 패턴의 노이즈 효과는 무시하였다.
바람직하게, 피실험자의 활성도 기록은 본 발명의 방법을 피실험자에게 실시하여 완성한 일상 일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정신 질환으로 고통받는 피실험자에게 투여하는 특별한 치료의 유효성을 모니터링하는 데 유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정신 질환에 대한 치료의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한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
상기 치료 전과 치료 중 피실험자의 심박수 패턴 측정 ; 및
치료의 유효성을 결정하기 위해 변화에 대한 상기 패턴 비교. 다른 특징적 형태에서, 피실험자의 심박수 패턴은 치료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치료 전, 치료 중 및 치료 후에 측정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치료는 피실험자에게 약물을 투여하는 약물치료이다. 예를들어, 약물치료는 벤조다이아제핀 ; 선택적 세로토닌 재섭취 저해제 (SSRI's), 삼환성항우울제(TCA's) 및 모노아민의 가역성 저해제(RIMA's)와 같은 항우울제 ; 및 세르트랄린(Sertraline) 중에서 선택한 약물 투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 관해 서술할 것이다. 어떤 방식에서든 실시예의 기술은 전술한 보편성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및 2 에 나타난 데이터는 24 시간주기의 심박수 패턴과 정신 질환 사이에 상관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실시예에서 독립 변수는 액티브 축추골 I DSM-IIIR 질환(ACTIVE axis I DSM-ⅢR disorder, "IIIR"-아메리칸 사이키아트릭 어소시에이션에 의해 발행된 진단용 책자의 3 판 개정본)이며 ; 종속 변수는 24 MAHR 이다. 심박수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경우를 통제하였다. 모든 피실험자에게 제공하는 일일 음식물은 세심하게 관리해야 한다. 일지는 물리적 노력, 차/커피/알콜/니코틴 및 사회적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영향에 일시적으로 혼동을 일으키는, 한시간마다 평가한 조항을 포함한 단일 카드로 구성되어 있다.
특정한 진단만이 연구되었다. 그 목적은 정상과 범불안장애 (GAD), 공황장애, 과대-강박장애(OCD), 비-정신병적 우울증, 신체형장애(심기증형), 망상장애(망상 및 체벽형) 및 급성 정신분열형 장애를 포함하는 정신병 사이에서 쉽게 진단한 상태를 선택하는 것이다.
임상적 피실험자는 장기간 입원에서 대형 교습 병원의 정신의학적 단위로 성인까지를 선택하였다. 정상적 대조 피실험자(정신 질환의 병력은 없음)는 학생, 간호사, 사무원 및 의료 직원에서 선택하였다. 만일 환자가 상기 기록한 축추골 1 질환 중 하나에 대한 DSM-IIIR 기준을 충족시킨다면 초기 연구에 환자를 포함시킨다. 연령은 18 - 65 세로 제한한다. 만일 신체검사 및 그것과 관련된 실험실 조사 후에, 심박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어떤 물리적 질환의 징후가 나타나면, 피실험자는 물리적으로 건강해야 하므로 제외시킨다. 만일 최근 알콜 및 불법 약물 남용의 증거가 나타날 때에도 피실험자를 제외시킨다.
입원 2 주 내에 어떠한 약물처리도 받지 않은 피실험자를 선택하는데, 만일 그때의 기록에서 그들이 본 연구에 포함된 액티브 축추골/질환의 징후를 뚜렷이 나타내면 약물처리를 받지 않은 피실험자를 제외시킨다. 약물처리 병력은 모든 경우 및 기록 당시에 약물처리했거나 약물처리해 왔던 두 약물처리 피실험자를 포함해서 기록하고 각각의 진단 범주에서 약물처리 효과를 검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상업적 ECG 모니터를 사용하여 수득한 데이터와 심장 전용 모니터의 사용으로 송환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24 시간 동안 분당 평균 심박수(24 MAHR)를 수득하였다. 획득한 데이터는 피실험자가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게 한 비구속형이었다.
피실험자 한명당 연속적 기록 총계는 2 에서 10 사이의 범위를 나타내는데, 이는 피실험자 한명당 3 회의 평균값을 나타낸다.
정신 상태의 변화에 의존하는 연속적 기록의 목적은 24 시간 주기의 활성도에서 피실험자내의 변동 범위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전형적으로, 연속적 기록은 3 일 마다 측정하였다. 진단용 재평가는 각각의 연속적 기록 전에 행하였다. 2 년 이상에 걸쳐 데이터를 수득하였을 때, 이 기간동안 재입원한 피실험자의 백분율에서 상대적으로 장기간에 걸친 연속적 기록을 수득하는 것은 가능하다.
심박수 대 하루의 시간의 플롯은 24 시간주기 활성도의 정성 해석을 한 눈에 볼 수 있게 나타낼 수 있지만, 숫자로 표시된 형식에서 이러한 일시적 양상을 정량하는 것은 어렵고 복합 함수 데이터군을 만드는 데 있어서 약간의 어려움이 있다. 진단한 평균 데이터에서는 많은 오차가 생긴다. 사람이 깨어있든지 수면중이든지(도 1 참조), 이것에 의존하는 심박수에서 명백한 변화가 나타나고 수면 초기 수면 기간에서 서로 다른 개체의 수면 습관에서 상당한 변화가 나타난다. 따라서, 만일 하나가 간단한 평균 데이터군을 나타내면, 결과적으로 생성된 평균값은 피실험자 사이에서 수면/각성 상태 활성도의 겹쳐진 부분때문에 불가피하게 혼동하게 된다. 또한 수면 및 각성 상태 기간동안 심박수에서 갑작스러운 상승 또는 감소 같은 임의적으로 관련된 과도기는 평균치를 구함으로써 감소되거나 '상실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평균치를 구하는 것은 상이한 진단 사이에서 24 시간주기의 활성도 패턴을 비교하여 데이터군을 감소시키는 것은 적절한 방법이 아니다.
정성 해석의 비교는 특정한 형태학적 특징의 견지에서 개체 기록의 패턴 분류를 필요로 한다. 이는 실시예에서 얻은 연구이다. 24 MAHR 의 개체 기록은 VDU 상에서 부가되고, 상이한 패턴 유형으로 분류되며 그들의 24 시간주기의 형태학에 근거를 둔다. 그리고나서 각각의 진단에서 나타난 패턴 유형의 빈도수를 측정하고 어떤 특정한 패턴이 우세한 지를 알아보기 위해 치-스퀘어 시험(Chi-square test)을 행하였다.
결과는 하기에 나타나 있다 : 실시예 1 은 정성(定性)분석적으로 상이한 24 시간주기의 패턴을 나타내며 어떻게 이러한 데이터가 임상적으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지 설명하고 있다. 실시예 2 는 데이터군 분석 결과를 나타내며 약물처리 효과의 분석도 나타낸다.
실시예 1
24 MAHR 의 측정은, 보완이 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24 시간주기의 활성도의 두 명백히 다른 양상의 시간 병력을 나타낸다. 원자료의 시간 플롯에서 명백한 증거인 첫번째 양상은 1 분 맥박수가 다양한 기준선 평균값 근처에서 변화에 의해 생성된 활성도의 넓은 외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번째 양상은 가변성 또는 판별 플롯,[맥박수 (t+1) - 맥박수(t), t 는 분을 나타냄]에서 나타나며, 넓은 평균값 외형의 독립 범위가 되도록 미세하게 맥박이 변동하는 변화 추세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두 상보적인 양상은 3 개의 전체적으로 상이한 24 시간주기 패턴의 전형적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1 에 설명되어 있다. 도 1 에 설명된 패턴은 범불안 장애(GAD), 비-정신병적 우울증(DEP)을 나타내는 피실험자와 정상적 피실험자(NOR)에서 흔히 발견된다.
상응하는 첫번째 비교 플롯은 우측에 표시되어 있다. 1 분당 박동(BPM)에서 각각의 24 시간 스칼라 평균값 []와 []은 각각의 플롯 끝부분에 표시되어 있었다. 왼쪽의 플롯은 넓은 24 시간주기 패턴 또는 구조에서, 특히 수면 중의 활성도 확장의 패턴에서 현저한 차이를 나타낸다. 수면 기간은 정상적 데이터에서 가장 명료하게 규정되어 있다. 경수면시 심박수에 급격한 감소가 나타나고 동일하게 각성 상태시에도 급격한 증가가 나타나며 상대적으로 둘 사이에 저비율의 평평한 패턴을 나타낸다. 대조적으로, GAD 데이터는 (각성 상태시) 심박수의 커다란 증가를 뚜렷하게 나타내지만 수면초기시 어떠한 급격한 감소도 나타나지 않는다. 대신에, 각성 상태 바로 전에, 각성 상태 비율에서 가장 낮은 비율까지 서서히 감소를 나타낸다. 우울증(DEP)을 앓고 있는 피실험자에서는 정반대로 일어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피실험자에서 수면초기는 심박수에서 상대적으로 급격한 감소로 인해 특징화된 후, 각성 상태 수준으로의 점진적 증가를 제외하고는, 수면에서 각성까지의 명백히 규정된 전이 없이 변동한다. GAD 에서, 심박수는 수면초기에 상대적으로 높이 나타나고 각성 상태 바로 전에는 가장 낮다. DEP 에서는 정반대이다.
도 1 의 오른쪽의 첫번째 특징적 플롯으로의 전환시, 정상적 데이터가 3.4 BPM 인 가장 낮은 미분 평균값과 GAD 에서 발생한 7.0 BPM 인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24 시간 평균값 ()이 분당 박동 변화의 총계 또는 패턴의 확실한 지표가 아님을 주목해야 한다. 즉, 분당 박동 변동에서의 변화는 활성도의 넓은 외형의 다소 독립적 범위이다.
더 일반적으로, 이러한 특징있는 플롯은 또한 하루 각기 다른 시간대에 활성도의 총 양에서 변동에 의해 생성된 24 시간주기의 패턴의 무언가를 나타낸다. 다시, 이런 24 시간주기의 변화에 대한 구조는 정상적 데이터에서 대부분 명백하게 규정되어 있으며 이는 수면 초기에 박동 변동에 있어 뚜렷한 감소를 나타내고 뒤이어 수면 기간과 각성 상태시 전-수면단계로의 과도기에 활성도의 수준이 뚜렷하게 감소한다. 대조적으로, 우울증은 수면 초기에 감소된 활성도의 짧은 기간만을 나타내고 뒤이어 전-수면 활성도로 급격한 전환이 일어나며, 평균값 추세 동안 조차도 여전히 전-수면 각성값 이하이다. GAD 데이터는 정상적 데이터에서 나타내는 것과 유사한 수면 활성도에서의 식별가능한 감소를 나타낸다. 그러나 그 감소는 덜 뚜렷하고 수면 기간 동안 점점 더 많은 활성도를 나타낸다.
더 일반적으로, 정상에 비해, GAD 및 우울증에 대한 데이터는 24 시간 동안 많은 스파이크를 나타낸다. 수면 기간에 걸쳐 확장된 활성도, 넓은 평균값 외형과 분당 박동 둘 다에서의 차이는 특히 중요하게 간주하며, 그런 점에서 수면 기간 동안 교락 영향의 최소한의 경우를 기대한다. 이 기간 동안에 명백한 차이는 이러한 상태 간의 순수한 생리적 차이의 특별하게 유효한 지표일 것 같다. 정성차이와 구별하여, 도 1 의 데이터는 또한 각각 플롯의 끝부분에 표시된 24 시간 평균값에서 정성 차이를 나타낸다.
도 2a 와 2b 는 불안증(도 2a)과 GAD(도 2b) 및 그것과 상응하는 24 시간 평균값과 관련된 전형적 패턴을 좀 더 나타낸다. 전형적 GAD 와 DEP 패턴이 출발 기선 범위에 걸쳐 확장될 수 있음을 볼 수 있고, 24 시간 평균값이 GAD 보다 불안증에서 더 낮게 나타나지만 도 2a 와 2b 에서는 항상 그렇지는 않다. 도 2a 에서 맨 위 플롯에 대한 94 BPM 인 24 시간 평균값이 도 2b 에서 맨 밑 플롯에 대한 76 BPM 인 24 시간 평균값보다 뚜렷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이들 두 패턴 사이에서 정성차이를 나타내며, 24 시간 평균값에서 정성 차이로 간단히 설명할 수 없다. 이는 특정한 패턴 범위내 및 그 사이에서 정성 차이가 관련없음을 의미하지 않으며 그러한 정성 변동의 중요성은 하기 실시예 2 에서 더 상세히 논의할 것이다.
GAD 및 우울증의 상태가 도 1 및 2 에 나타난 24 시간주기 활성도 각각의 특징적 패턴을 대부분 평이하게 나타낼지라도, 개인의 기록은 특정 개인에 대한 임의적으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많은 부분 변동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들어, 전형적 GAD 패턴은 다음의 변동을 나타내지만 여전히 그것의 특정한 외형을 보유하고 있다.
도 2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출발 기선이 변할 수 있다. 각성 상태시 심박수의 기울기 및 상대적 상승 뿐만 아니라 수면 기간 동안 감소하는 활성도의 기울기에서 변동이 있을 수 있다. 수면 기간 동안 각성 상태의 수준까지 스파이크 활성도의 총 양에 표시된 것처럼 불면증 패턴에서 변동이 있을 수 있다. 24 시간 또는 선택한 시간 간격 동안 분당 맥박 변동의 증가 또는 감소량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대한 GAD 의 확실한 임상적 진단으로 두 개체가 심각성 및 임상적 현상의 수에서 몇몇 변화를 보일 수 있기 때문에 24 시간 패턴은 약간의 변동을 나타내지만 여전히 그것의 특정한 GAD 외형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피실험자는 또한 임상적 도메인에서 발견한 복합형 정신 상태 현상과 유사한 것처럼 보이는 두 GAD 와 DEP 의 특징을 갖는 복합형 심박수 패턴을 나타낸다. 이러한 복합형 패턴은 명시의 동적인 연속체를 나타내고 개체의 경우에 24 시간주기 패턴이 두 개의 상이하게 다른 생리학적 경로에서 활성의 상대적 총 양에 의존할 수 있다. GAD 및 우울증에 대한 전형적 패턴은 도 1 과 2 에 나타나 있고, 상대적으로 '순수' GAD 와 '순수' 우울증을 나타내는 반면, 복합 형태는 GAD 와 우울증 생리학의 활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복합 패턴('MIX')의 실시예는 GAD 및 우울증 패턴과 함께 도 3 에 나타나 있다.
이러한 패턴은 공황장애, GAD 및 우울증으로 진단된 피실험자에서 드물게 나타나며 이 점에 대해서 강조된 이러한 피실험자는 임상적 평가에서 주어진 복합형 진단이 아니다. 그러나, 그들의 심박수는 24 시간주기 패턴을 보이는데 이는 GAD 와 불안증에 대한 좀 더 일상적이며 전형적 패턴 사이에서 감소하는 것처럼 보인다.
도 3 에서 복합 패턴은 복합형에 의해 나타나는 결과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형적 GAD 와 DEP 패턴의 상세한 실시예 사이에 위치해 있다. 복합 패턴은 그 위에 있는 GAD 패턴과 매우 유사하며, 수면 기간으로의 활성도가 점차 감소함을 볼 수 있다. 그러나, 4.00 am 부근에서 유사성은 사라진다. 그 후에 각성 상태 수준까지의 심박수에서 점진적 증가는 아랫부분에 있는 우울증 패턴과 급격히 유사해진다. 이는 GAD 와 우울증 생리학의 연합된 활성화를 암시하고 이런 해석이 수정을 필요로 할지라도, 이러한 데이터에 의해 나타난 생리적 상관관계가 임상 및 연구 응용의 다양성에서 실질적으로 유용한 부가적 정보를 줄 수 있다.
모두 합쳐서 7 개의 판이하게 다른 24 시간주기 패턴을 확인하였고, 수득한 모든 데이터는 실제적으로 이러한 패턴 중 하나 또는 다른 것으로 확실하게 분류될 것이다. 7 개의 패턴 중 4 개, 즉 정상, GAD, 우울증 및 복합형은 이미 상기에 기술하였다. 도 4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나머지 3 패턴은 공황 장애(PAN), 과대-강박 장애 또는 망상 장애(HSR) 및 급성 정신분열형 정신병(SCH)을 앓는 환자에게서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PAN 패턴은 24 시간주기 중 대부분의 활성도가 저조하며 24 시간 평균이 비교적 낮고, 스파이크 맥박 변화가 비교적 대폭적임을 특징으로 한다. 소폭의 기선 하향 변화 및 미세한 맥박 변화량의 극미한 감소에 의해 규정되는 식별가능한 평 수면(flat sleep) 주기(한밤중에서 오전 8 시 사이)가 존재한다.
HSR 패턴은 정상 패턴과 비슷하지만 각성 기간 및 수면 기간에 저조한 활성도가 시종일관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는 차이가 있다. 기술한 예에 있어서, 수면 간격은 수면 초기에 일어나는 심박수의 급감, 각성시와 동일한 정도로 급상승 및 수면 기간 내내 약 80 BPM 의 박동수로 활성도가 상대적으로 저조한 상태로 명확히 구분된다. 수면시 심박수가 이러한 값 및 그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은 급성 정신분열증(SCH)에서 나타나는 극심한 조직 파괴 패턴으로 수면 구조의 붕괴가 진행됨을 시사한다.
수득된 기록 중 2 개를 제외한 모든 것은 위에서 논의한 7 개의 패턴 중 하나 또는 다른 것으로 확실하게 분류될 것이다. 이러한 형태 중 하나 또는 다른 것으로 확인되지 않은 것은 아예 상이한 것 (OTH)으로 분류하였다. 다른 분류 패턴은 그외의 특징적인 상태를 포함시키고 미세한 맥박 변화의 차이를 포함한 보다 정밀한 패턴 차이를 인식함으로써 알아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전망이 어떻게 임상학적으로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는가를 보여주기 위해 미세한 맥박 변화를 측정하였다. 상이한 개체에서 동일한 폭의 24 시간주기 패턴을 가짐으로써 이것이 미세한 맥박 변화의 폭과 분포가 상당히 변화됨을 나타낸다는 것이 매우 분명해졌다.
모든 피실험자로부터 일련의 기록을 수득하였다. 그러나 각 피실험자로부터 수득한 첫 번째 기록은 본 연구에 포함되는 상이한 진단 간의 데이터 비교군으로 사용하였다. 후속 기록은 개체내 변화를 연구하는 데 사용하였고 데이터 분류에는 사용하지 않았다. 24 시간주기 패턴 변화를 측정하여 일련의 기록을 하는 것은 피실험자의 정신병 증상 변화, 예를들어 GAD 에서 정상이 되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고, 만약 그렇다면 그 변화가 이러한 증상에 대하여 가장 일반적인 데이터군 패턴을 재현한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증상에 대한 데이터군 패턴의 개체내 증상-의존성 발생반복이 정신병치료 상태와 심박수의 24 시간주기 패턴 사이에 규칙적인 관계가 있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
실시예 2
다른 영향인자에도 불구하고, 실시예 2 에 기술한 데이터는 심박수 패턴이 정신병이나 정신병치료 상태에 대해 상당히 의존적임을 보여준다. 예를들어, 정신병 증상이 불안에서 정상으로 변화할 경우에 24 시간 패턴의 활성도는 일련의 기록에 있어서 그에 해당하는 변화를 보인다. 이러한 증상 의존성 변화의 예는 도 5 에 나타나 있다.
치료에 의해 GAD 증상을 완화시킨 개체로부터 데이터를 수득하였다. 원래의 데이터는 왼쪽에 나타내고 그에 해당하는 가변 데이터는 오른쪽에 기재한다. 각 플롯의 끝에 각각의 24 시간 평균을 부가하여 기재하였다. 활성도 곡선이 전형적인 GAD 패턴에서 정상적인 NOR 패턴으로 변화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으며 미세한 맥박 변화를 수반한다. 특히, 수면 초기와 수면 중에는 활성도가 비교적 감소한다. 단순한 정량에 의해서, 24 시간 평균()은 98 에서 77 로, 미분 평균인는 7.3 에서 5.4 로 감소한다. 이러한 변화는 모두 직관적으로 불안증이 완화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생리학적 부가 데이터의 이점은 그것의 임상학적 변화의 객관적인 지표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단계에서는 중첩 노이즈에 관한 언급을 인용한다. 심박수가 광범위한 영향인자에 민감하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며, 본원에 나타낸 데이터는 적합성의 변화, 연령, 성별, 차/커피 섭취, 운동 활성, 외부 자극 등에 의해 야기되는 노이즈에 어느 정도는 오염되어 있을 것이다. 운동과 같은 보다 뚜렷한 영향인자를 통해 조절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는 있으나 특정량의 노이즈 오염이 남는 것은 불가피할 것이다. 이런 점에서 육체 운동과 그외의 이례적 자극/노력이 중첩 효과를 낼 수 있음은 명백하지만, 이러한 것들은 일일 정보에 의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소수로 짧게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은 활성도 곡선에 유의(有意)한 중첩 효과를 내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아마도 이것은 이러한 효과가 각성기 중에 짧고 무작위하게 분포하기 때문일 것이다. 진단에 유용한 정보는 여러 방법을 이용하여 보다 상세히 밝혀지는데, 고빈도의 노이즈가 중첩됨에도 불구하고 명확해진다. 또한, 수면기에 있을 수 있는 중첩 효과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수면 중의 활성도 패턴은 중요한 특성이 된다.
보다 개괄적으로, 운동과 같이 이례적인 효과를 제외하고는 유사한 정신병 증상(불안증 및 우울증의 증상)이 다른 개체의 정신성 증상을 지배하게 되므로 연령, 적합성 등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24 시간주기 심박수의 정신성 증상 의존 패턴이 생리학적 영역내에서 우세해진다. 따라서 예를들어 GAD 의 경우, 활동력이 왕성한 20 세의 남성과 신체적으로 그렇지 않은 60 세의 여성 둘다에게서 유사한 GAD 패턴을 보일 것이며, 일반적으로 기점이 다를 경우 조차도 유사한 패턴이 나타날 것이다.
표 1 은 상이한 진단에 있어서 발생하는 특정 패턴의 빈도수를 통해 데이터군을 요약한 것이다. 피실험자의 수(N), 24 시간 평균() 및 24 시간 미분 평균 ()을 각 진단에 부가시켰다. 정상을 포함한 모든 진단이 24 시간주기 패턴 중 하나 이상의 형태와 관계가 있었지만, 특정 진단은 특정한 한 패턴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7 개의 확인된 패턴이 각 진단 군에 동일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추정한다면, 치 스퀘어 시험으로 각 진단 군에 특정 패턴이 매우 우세한 것으로 나타난다(확률 > 0.05 및 0.01).
보다 개괄적으로, 이러한 상관 관계에는 단계적 분류의 지표가 존재한다. 따라서 정상적인 피실험자는 NOR 패턴을 우세하게 보였고, 그렇지 않은 사람 중 2 명을 제외한 모든 피실험자는 불안(GAD) 패턴을 보였다. 그러나 정상적인 피실험자 중 누구도 HSR 또는 SCH 패턴을 보이지 않았는데, 이러한 패턴은 정신병 말기의 임상 스펙트럼에서 우세하게 나타나는 패턴이다. 역으로, 망상 장애 및 급성 정신분열형 장애를 앓고 있는 피실험자 중 NOR 패턴을 보이는 사람은 없었다. 유사한 단계적 분류는 공황 장애의 불안 형태, 범불안증 및 과대-강박 장애에 대해서도 명백하다. OCD 로 판명된 피실험자 중 누구도 공황 장애에서 우세하게 나타나는 PAN 패턴을 나타내지 않았고, 공황 장애로 판명된 피실험자 중 누구도 OCD 에서 우세하게 나타나는 HSR 패턴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공황 장애 및 OCD 로 판명된 피실험자 중 상당수인 27 % 및 36 % 가 범불안장애에서 우세하게 나타나는 GAD 패턴을 보였다. 보다 많은 시료가 중복된 결과를 보였지만, 이렇게 수득한 자료는 이러한 불안 형태들이 통계학적으로 정신병 말기의 임상 스펙트럼에서 우세하게 나타나는 패턴을 보이는 OCD 패턴과는 판이하게 다른 24 시간주기 패턴과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표 1 은 또한 상이한 진단 사이에는 24 시간 평균()과 24 시간 미분 평균()에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참고로 정상인 피실험자에 대해 75 BPM 의 평균치를 취하면, GAD, OCD, 망상 장애 및 급성 정신분열형 장애에서 통계학적으로 p > 0.001 의 유의 상승이 존재한다. 이것은 일부 진단이 통계학적으로 정상과는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다른 24 시간주기 활성도를 나타낸 반면 우울증과 같은 다른 것에서는 질적으로는 다르지만 양적으로는 같은 활성도를 나타냄을 시사한다. 그러나 모든 특정 패턴에 대한 각각의 기록은 도 2 의 DEP 및 GAD 패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출발 기선'의 양적 변화를 볼 수 있다. 이러한 양적 변화의 임상학적 중요성은 전반적으로 조사되지 않았지만, 예를들어 GAD 패턴의 경우에는 출발 기선의 등급이 심각성과 관계가 있다는 가능성 있는 설명을 뒷받침한다.
표 1 은 GAD 패턴이 정상인 피실험자와 우울증 이외의 모든 진단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그러나 정상, 신체형 및 공황 장애 상태에서 복합된 GAD 패턴의 24 시간 평균은 OCD, 망상 및 급성 정신분열형 장애 상태에서 보다 훨씬 낮다. 이것은 양적 양상 또한 관계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며 GAD 패턴의 예 중에서 최고치의 평균이 정신병 말기의 임상 스펙트럼에서 나타나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상이한 패턴이 질적 변화없이 존재할 수 있는 출발 기선의 범위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모든 특정 패턴은 생리학적 활성화의 몇 축의 상대적 기여도 및 단계적 진행에 의존적이다(불안증과 우울증에만 해당됨). 따라서, 24 시간주기 심박수의 질적·양적 양상 둘다는 잠재적으로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측정한 스칼라 평균()과 미분 평균()에서 발견되는 차이는 거의 없었다. 그러나 우울증, 망상 장애 및 심기증의 신체형 장애에 있어서 정상인 피실험자의 4.8 BPM 값에 비해서는 상당히 감소된다(p > 0.05). 정상인 피실험자에 비해 현저하게 다르지는 않지만, 공황 장애가 5.1 BPM 에서 최고치의 절대 평균값을 갖는 반면에 우울증은 3.6 BPM 에서 최저치의 절대 평균값을 갖는다. 이런 점에서 공황 장애와 우울증 간의 차이는 p > 0.001 로 매우 유의하다.
피실험자가 섭취하는 약물에 대한 유리 약물의 비는 약물투여 형태에 따라 진단 간에 변화된다. 이러한 변화 때문에, 우울증, GAD 및 공황 장애에 대한 비교를 최대 N 군으로 한정하였다. 이들 세 군의 약물투여시 피실험자의 대부분은 기록 당시에 벤조다이아제핀을 섭취하였으며 일부는 항우울제를 섭취하였다. 놀랍게도, 패턴 형태 또는 24 시간 평균에서 통계학적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벤조다이아제핀을 섭취한 피실험자의 24 시간 평균은 보다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피실험자는 아마도 첫 단계에서 보다 높은 심박수를 가지며, 약물투여가 효과적이었지만 유의한 정도로 평균을 낮추지는 않았다.
이러한 조사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잠정적 결론은 비록 한 가지가, 특히 벤조다이아제핀과 주요 신경안정제인 진정제가 일시적인 효과를 보일지라도, 약물치료법이 정신적 상태 변화에 효과가 없다면 24 시간주기 패턴에 중대하게 변화를 주지않고, 24 시간 평균치가 현저하게 낮아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도 6a 와 6b 에 나타나 있는데, 일시적인 벤조다이아제핀 효과를 보여준다.
도 6a 는 GAD 로 진단된 피실험자로부터 수득된 전형적인 GAD 패턴을 보여준다. 도 6b 는 우울증으로 진단된 피실험자로부터 얻은 전형적인 DEP 패턴을 보여준다. 우연히도 이 두 피실험자는 첫번째 기록이 만들어졌을때 다이아제팜을 복용하고 있었다. 우울증이 있는 피실험자는 흥분 때문에 초기부터 다이아제팜을 처방받아 왔었다. 이것은 다이아제팜이 두 피실험자에서 비슷하게 일시적인 심박수의 감소를 유발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일시적인 효과는 어떤 유의한 범위에서 24 시간주기 패턴이 변화하지는 않고, 24 시간 평균치는 일시적인 박동의 감소로 인해 조금 낮아질 수 있다. 이것은 일시적으로 감소된 후, 심박수가 약물치료 이전 수준 혹은 대략 40 여분 후에는 심박수가 높아지기도 한다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 이것은 오직 벤조다이아제핀이 범불안 조절에 효과가 있을때, 명확한 활성의 형세가 중대하게 변화한다는 것을 보여준다(도 4 참조). 벤조다이아제핀과는 반대로, 항우울제(SSRI's, TCA's 와 RIMA's 가 포함됨)는 어떤 확실하고 뚜렷하게 일시적인 효과를 보이지는 않지만, 임상적으로 효과가 있을때 훨씬 심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이것은 세르트랄린으로 처리하고 3 주 후, DEP 패턴상에서의 중요한 변화를 보여주는 도 7a 와 7b 에 나타나 있고, 확실한 임상적 호전이 있다. 도 7a 및 7b 를 비교한 결과 수면 기간의 패턴이 정상인 피실험자의 패턴과 유사할 경우에 세르트랄린 처리로 인해 24 시간주기 패턴이 정상화되었다고 추정할 수 있으며, 24 시간내의 많은 부분에서 미세한 맥박변동의 감소가 지속되고 있다.
이 실시예는 24 시간 평균치의 양적인 변화만을 감소시키지 못하는 24 시간주기 심박수 패턴이 질적으로 달라졌다는 것을 설명한다. 질적인 양상은 주로 정신상태나 정신병 상태 및 광범위한 다른 질병에서 나타나는 고유 패턴의 우위성에 의해 좌우된다는 것이 증거로 제시되고, 24 시간주기 패턴은 이러한 정신적 상태 사이의 생리학적 지표가 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어떤 상태는 고유의 패턴과 깊이 관련된 것을 보여주는 반면에 다른 패턴에서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반대로, 고유의 패턴(예를들어 GAD), 임상적 증상을 보여주는 제시된 기록은 범불안, 공황장애, 우울증상의 신체적 장애와는 차이가 있고, 정상인 피실험자 조차도 이러한 패턴을 보여줄 수 있다는 것이다. 생리학적 행동 상태의 광범위한 다양성을 반영하는 여러가지 24 시간주기 패턴은 여러가지 다른 정신적 상태 증상과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자료들은 임상적인 판단에 대해 생리학적 특징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자료들로부터 제공된 정보는 좀 보다 효과적인 약물치료의 선택과 치료의 평가 그리고 연구에 있어서 보다 더 상동인 개체군의 선택시 유용하다.
실시예 1 과 2 는 정신적 상태의 변화는 24 시간주기 행동의 질적인 양상과 양적인 양상의 다양성과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계속되는 자료들은 실제적으로 임상적 변화의 유용한 지침으로 제공될 수 있다. 환자들은 그들 자신의 대조군으로서의 구실을 할 수 있고, 계속되는 자료들의 변화는 주관적인 척도에서 수득되는 것보다 좀더 믿을만한 임상적 변화의 지침을 제공한다.
실시예 3
24 시간 심박수는 순시주파수가 계산된 복잡하고 분석적인 신호로 전환된다. 이 실시예는 여러 장애들에서 24 시간 이내의 ‘순시주파수' 의 분포에 관한 연구를 포함하고, 수면 기간 동안 여려 장애들 사이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표시하는 것을 보여준다. 이것은 특히 이 방법으로 수득된 매우 믿을만한 측정치로 진단되어질 수 있는 우울증에 적용된다.
분석은 신호의 순시주파수의 24 시간 이내 주기(ULTRADIAN rhythm) 변조에 중점을 두어 실시하였다. 대부분의 차별적인 차이점은 약 90 분 주기에 분명히 알 수 있다. 이것은 아래의 도 8 과 9 에 나타나 있다.
도 8 은 각각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9 는 정상, 불안증 그리고 우울증간의 비교자료를 나타낸다.
도 8
· 각각의 플롯 쌍에서, 순시주파수는 위에 나타내고 심박수는 아래에 나타나 있다.
· 원을 가로지로는 가로선은 24 시간 평균 주파수를 가리킨다.
· 원은 수면 기간 동안의 활성을 강조한다.
· 화살표는 수면 시작점에 놓여있다.
맨 밑의 그래프는 정상 피실험자의 프로필을 나타낸다. 정상인 피실험자에서의 순시주파수는 수면 시작점에서 뚜렷한 경사가 보인다. 그리고 90 분 활성도가 규칙적인 위상으로 변조되고, 각성시에 그러한 규칙적인 변동이 멈춘다.
가운데 그래프는 불안증을 나타내는 피실험자의 프로필을 나타낸다. 이것 또한 수면 시작점 부근에서 경사면을 보이나 수면 기간 동안에는 위상의 변조가 덜 규칙적이다.
제일 위의 그래프는 우울증을 나타내는 피실험자의 프로필을 나타낸다. 3 - 4 pm 에서 매우 높게 나타나는 주파수가 수면 전에 최저로 떨어지는 점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인다. 화살표 앞에 있는 두번째 원은 정상인 피실험자에서는 수면 후에 나타나는 낮은 주파수 패턴이 우울증 환자에서는 수면 전에 나타난다는 점에 중점을 두기 위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9 에 포함된 데이터군은 순시주파수의 현저한 차이를 보여준다. 그리고 우울증 환자에서 새벽 3 시경의 주파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은 이 시간대의 비정상적 활성에 관한 다른 많은 연구들과도 잘 부합된다.
본 발명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에게 자명한 발명의 변형물과 변이물 범주를 포함한다.

Claims (27)

  1.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피실험자의 정신 질환 진단 방법 : 피실험자의 생물리학적 파라미터의 패턴을 측정하는 단계 ; 및 상기 패턴을 정신 질환 진단에 사용하는 단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생물리학적 파라미터는 EMG, EEG, 안구운동/진전, 혈압, 호흡, 호르몬과 신경전달물질 및 신경조절기의 양을 포함하는 혈액-화학 프로필, 직류전기요법의 피부 저항, 심부온도 및 심장 중에서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방법.
  3.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피실험자의 정신 질환 진단 방법 : 피실험자의 심박수 패턴을 측정하는 단계 ; 및 상기 패턴을 정신 질환 진단에 사용하는 단계.
  4. 제 3 항에 있어서, 심박수 패턴이 24 시간주기의 심박수 패턴임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24 시간주기의 심박수 패턴의 일부를 정신 질환 진단에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24 시간주기의 심박수 패턴의 일부를 대략 90 분에 걸쳐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방법.
  7. 제 5 항 또는 6 항에 있어서, 24 시간주기의 심박수 패턴의 일부는 피실험자가 수면하는 동안에 나타나는 심박수 패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방법.
  8. 제 5 항 내지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4 시간주기의 심박수 패턴의 일부가 피실험자의 수면 초기 또는 각성 상태로의 과도기에 나타나는 심박수 패턴의 일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방법.
  9. 제 4 항에 있어서, 전체적인 24 시간주기의 심박수 패턴을 정신 질환 진단에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방법.
  10. 제 3 항 내지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심박수 패턴은 일정 기간 내의 분당 박동으로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방법.
  11. 제 3 항 내지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심박수 패턴은 심박수의 변화 또는 변동을 나타내는 판별 플롯으로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판별 플롯이 [심박수(t+1)-심박수(t)]의 플롯임 (여기서, t 는 일정 기간 내의 분에 해당하는 시간)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방법.
  13. 제 3 항 내지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심박수 패턴은 포멧의 심박수차로 측정하며 포멧의 심박수차를 종합하여 정신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포멧의 심박수차는 일정 기간 내의 분당 박동 및 [심박수(t+1)-심박수(t)](여기서 t 는 일정 기간 내의 분에 해당하는 시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방법.
  15. 제 3 항 내지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실험자의 심박수 패턴은 정신 질환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심박수 패턴과 비교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기준 심박수 패턴은 컴퓨터화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방법.
  17. 제 15 항 또는 16 항에 있어서, 기준 심박수 패턴은 전형적 패턴을 결정하기 위해 정신 질환을 않고 있는 충분한 수의 환자로 부터 수집한 데이타에 의해 나타남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방법.
  18. 제 15 항 내지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준 심박수 패턴이 실시예 및 도 1 내지 4 에 기술한 특정 패턴 중에서 선택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방법.
  19. 제 3 항 내지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실험자의 심박수를 피실험자가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게 한 비구속형 모니터로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방법.
  20. 상기 전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신 질환은 범불안장애 (GAD), 공황장애(PD), 과대-강박장애(OCD), 비-정신병적 우울증, 신체형장애 (심기증형), 망상장애(망상 및 체벽형), 주의력결핍장애(ADD) 및 급성 정신분열형장애 중에서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 방법.
  21.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피실험자의 정신 질환 진단 방법 : 피실험자의 심박수 패턴을 측정하는 단계 ; 피실험자의 활성도 기록과 피실험자의 심박수 패턴을 비교하는 단계 ; 및 피실험자의 심박수 패턴과 피실험자의 활성도 기록 비교시에 피실험자의 심박수 패턴의 노이즈 효과는 무시하고 상기 패턴과 정신 질환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심박수 패턴을 비교하는 단계.
  22. 제 21 항에 있어서, 피실험자의 활성도 기록은 상기 방법을 피실험자에게 실시함으로써 완성한 일상 일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정신 질환에 대한 치료의 유효성 평가 방법 : 상기 치료 전과 치료 중에 피실험자의 심박수 패턴을 측정하는 단계 ; 및 치료의 유효성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패턴 변화를 비교하는 단계.
  24. 제 23 항에 있어서, 치료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피실험자의 심박수 패턴을 상기 치료 전, 치료 중 및 치료 후에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평가 방법.
  25. 제 23 항 또는 24 항에 있어서, 치료가 약물치료임을 특징으로 하는 평가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약물치료가 벤조다이아제핀 ; 선택적 세로토닌 재섭취 저해제(SSRI's), 삼환성항우울제(TCA's) 및 모노아민의 가역성 저해제(RIMA's)와 같은 항우울제 ; 및 세르트랄린 중에서 선택한 약물투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평가 방법.
  27. 실시예에 관하여 본원에서 대체적으로 기술한 바와 같은 피실험자에 대한 정신 질환의 진단 방법.
KR1019997009337A 1997-04-11 1998-04-14 정신 질환의 진단 방법 KR200100062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O6166A AUPO616697A0 (en) 1997-04-11 1997-04-11 Method for diagnosing psychiatric disorders
AU?PO6166? 1997-04-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6253A true KR20010006253A (ko) 2001-01-26

Family

ID=3800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9337A KR20010006253A (ko) 1997-04-11 1998-04-14 정신 질환의 진단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245021B1 (ko)
EP (1) EP1014851A4 (ko)
JP (1) JP2001518823A (ko)
KR (1) KR20010006253A (ko)
CN (1) CN1251974A (ko)
AU (1) AUPO616697A0 (ko)
BR (1) BR9808446A (ko)
CA (1) CA2284553C (ko)
IL (2) IL132186A0 (ko)
NO (1) NO994689L (ko)
NZ (1) NZ337833A (ko)
PL (1) PL336149A1 (ko)
WO (1) WO199804612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3649A (ko) * 2015-07-28 2017-02-07 주식회사 아이메디신 뇌 기능 평가 및 증진용 웰니스 추천 시스템과 구현 방법
KR20190089678A (ko) 2018-01-23 2019-07-3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심박 변이도와 정량 뇌파를 이용한 정신질환 진단 및 예측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20139812A (ko) 2021-04-07 2022-10-17 의료법인 성광의료재단 의료 영상의 라디오믹스 특성을 이용한 정신질환 진단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46076B2 (en) 2000-06-20 2011-10-25 Boston Scientific Neuromodulation Corporation Treatment of mood and/or anxiety disorders by electrical brain stimulation and/or drug infusion
WO2002034335A1 (en) * 2000-10-27 2002-05-02 The Mclean Hospital Corporation Enhanced diagnosis of psychiatric disorders with heartbeat data
US20050033121A1 (en) * 2001-12-28 2005-02-10 Modrovich Ivan E. Diagnostic information systems
JP4331977B2 (ja) * 2003-05-21 2009-09-1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精神状態判定装置及び精神状態判定方法
US8672843B2 (en) * 2006-11-27 2014-03-18 Qtc Management, Inc. Automated protocol for determining psychiatric disability
WO2008094125A1 (en) * 2007-02-02 2008-08-07 Nanyang Polytechnic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psychiatric disorder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US20080242718A1 (en) * 2007-03-14 2008-10-02 Sanjay Jasuja System and method for using platelet biomarkers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neuro-psychiatric conditions
EP2194847A1 (en) 2007-09-14 2010-06-16 Corventis, Inc. Adherent device with multiple physiological sensors
EP2194856B1 (en) 2007-09-14 2021-09-01 Medtronic Monitoring, Inc. Adherent cardiac monitor
EP2200499B1 (en) 2007-09-14 2019-05-01 Medtronic Monitoring, Inc. Multi-sensor patient monitor to detect impending cardiac decompensation
US8249686B2 (en) 2007-09-14 2012-08-21 Corventis, Inc. Adherent device for sleep disordered breathing
EP2194858B1 (en) 2007-09-14 2017-11-22 Corventis, Inc. Medical device automatic start-up upon contact to patient tissue
US8684925B2 (en) 2007-09-14 2014-04-01 Corventis, Inc. Injectable device for physiological monitoring
WO2009036333A1 (en) 2007-09-14 2009-03-19 Corventis, Inc. Dynamic pairing of patients to data collection gateways
JP5405500B2 (ja) 2008-03-12 2014-02-05 コーヴェンティス,インク. 心調律に基づく心代償不全予測
US8412317B2 (en) 2008-04-18 2013-04-02 Corventis, Inc. Method and apparatus to measure bioelectric impedance of patient tissue
US8790259B2 (en) 2009-10-22 2014-07-29 Corventi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detection and monitoring of functional chronotropic incompetence
US9451897B2 (en) 2009-12-14 2016-09-27 Medtronic Monitoring, Inc. Body adherent patch with electronics for physiologic monitoring
US8965498B2 (en) 2010-04-05 2015-02-24 Corventi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sonalized physiologic parameters
EP2433557A1 (de) 2010-09-27 2012-03-28 BIOTRONIK SE & Co. KG Verfahren und Anordnung zur Ermittlung von phasenspezifischen Parametern einer physiologischen Größe sowie ein entsprechendes Computerprogramm und ein entsprechendes computerlesbares Speichermedium
EP2447866A1 (en) * 2010-10-27 2012-05-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for determining a feature of the circadian rhythm of a subject
EP3307166A4 (en) * 2015-06-15 2019-01-02 Medibio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stress conditions
AU2016278356A1 (en) * 2015-06-15 2018-01-04 Medibio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mental state
JP6554422B2 (ja) * 2016-01-07 2019-07-3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506987B2 (en) 2016-07-06 2019-12-17 Cardiac Pacemakers, Inc. Readmission risk assessment based on chronobiological rhythms
CN109937009B (zh) * 2016-11-22 2024-05-14 八乐梦床业株式会社 终端装置、系统及非暂时性计算机可读介质
WO2019014717A1 (en) * 2017-07-19 2019-01-24 Medibio Limited DRUG MONITORING SYSTEM
EP3936865A4 (en) 2019-03-29 2023-03-08 Japan Tobacco Inc. ADVANCED ASSESSMENT PROCEDURES AND METHODS OF EVALUATION OF ADVANCED TREATMENT PROCEDURES, AND DATA COLLECTION PROCEDURES FOR EVALUATION OF ADJUSTMENT OR OUTCOME OF ADVANCED TREATMENT PROCEDURE
CN110767283B (zh) * 2019-09-23 2023-09-26 吕粟 精神疾病影像学自动化报告系统及其方法
CN112190269B (zh) * 2020-12-04 2024-03-12 兰州大学 基于多源脑电数据融合的抑郁症辅助识别模型构建方法
US11670410B1 (en) * 2022-04-13 2023-06-06 Green Sky Cre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to automatically administer a psychoactive substance to an airway of a user based on a detected event or condition
CN114983371A (zh) * 2022-05-25 2022-09-02 佳木斯大学 基于人工智能的心内科用心率不齐测试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01996A1 (fr) * 1981-03-19 1982-09-24 Silicone Medicale Procede et appareil de plethysmographie penienne
US4889422A (en) * 1986-01-28 1989-12-26 George Pavlidis Method and means for detecting dyslexia
US4753246A (en) * 1986-03-28 1988-06-2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EEG spatial filter and method
US4800893A (en) 1987-06-10 1989-01-31 Ross Sidney A Kinesthetic physical movement feedback display for controlling the nervous system of a living organism
US4779100A (en) * 1987-07-22 1988-10-18 Lafayette Instrument Co., Inc. Polygraph with control adjustment indicator
JPH01113026A (ja) * 1987-10-28 1989-05-01 Hitachi Ltd 問診システム
JPH0832261B2 (ja) 1988-06-10 1996-03-29 三菱電機株式会社 精神緊張度モニター
JPH069546B2 (ja) * 1990-11-30 1994-02-09 株式会社コンピュータコンビニエンス 体表面から採取した脈波及び/又は心拍を用いる診断装置
DE4138702A1 (de) 1991-03-22 1992-09-24 Madaus Medizin Elektronik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iagnose und quantitativen analyse von apnoe und zur gleichzeitigen feststellung anderer erkrankungen
JPH04314431A (ja) * 1991-04-12 1992-11-05 Mitsubishi Electric Corp 心理状態変化のリアルタイムパターン評価装置
JP2868192B2 (ja) * 1991-07-30 1999-03-10 学校法人帝京平成大学 人の心理的変化の推定方法及び装置
US5280793A (en) 1992-05-13 1994-01-25 Rosenfeld J Peter Method and system for treatment of depression with biofeedback using left-right brain wave asymmetry
JPH07231880A (ja) * 1994-02-24 1995-09-05 Sanyo Electric Co Ltd ストレス評価方法及び装置
IL110973A (en) * 1994-09-14 2001-12-23 Univ Ramot Apparatus and method for time dependent power spectrum analysis of physiological signals
JPH08280637A (ja) * 1995-04-19 1996-10-29 Nissan Motor Co Ltd 精神活動判定装置
US5577510A (en) * 1995-08-18 1996-11-26 Chittum; William R. Portable and programmable biofeedback system with switching circuit for voice-message recording and playback
US5871517A (en) * 1997-01-15 1999-02-16 Somatics, Inc. Convulsive therapy apparatus to stimulate and monitor the extent of therapeutic value of the treatm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3649A (ko) * 2015-07-28 2017-02-07 주식회사 아이메디신 뇌 기능 평가 및 증진용 웰니스 추천 시스템과 구현 방법
KR20190089678A (ko) 2018-01-23 2019-07-3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심박 변이도와 정량 뇌파를 이용한 정신질환 진단 및 예측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20139812A (ko) 2021-04-07 2022-10-17 의료법인 성광의료재단 의료 영상의 라디오믹스 특성을 이용한 정신질환 진단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PO616697A0 (en) 1997-05-08
WO1998046128A1 (en) 1998-10-22
BR9808446A (pt) 2000-05-23
US6245021B1 (en) 2001-06-12
CA2284553C (en) 2008-11-18
IL132186A (en) 2008-03-20
CN1251974A (zh) 2000-05-03
IL132186A0 (en) 2001-03-19
EP1014851A1 (en) 2000-07-05
JP2001518823A (ja) 2001-10-16
NO994689L (no) 1999-12-13
NZ337833A (en) 2001-06-29
EP1014851A4 (en) 2003-07-16
CA2284553A1 (en) 1998-10-22
NO994689D0 (no) 1999-09-24
PL336149A1 (en) 200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06253A (ko) 정신 질환의 진단 방법
Perlis et al. Which depressive symptoms are related to which sleep electroencephalographic variables?
Carskadon et al. Self-reports versus sleep laboratory findings in 122 drug-free subjects with complaints of chronic insomnia
Kanady et al. Actigraphic assessment of a polysomnographic‐recorded nap: A validation study
Barlow et al. Definitions of panic attacks and panic disorder in the DSM-IV: implications for research.
Hauri et al. Persistent psychophysiologic (learned) insomnia
Normand et al. Sleep spindles characteristics in insomnia sufferer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sleep misperception
Fang et al. Heart rate variability and daytime functioning in insomniacs and normal sleepers: preliminary results
Wilckens et al. Age‐related decline in controlled retrieval: the role of the PFC and sleep
Carskadon Evaluation of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Broomfield et al. Initial insomnia and paradoxical intention: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putative mechanisms using subjective and actigraphic measurement of sleep
Lafrance et al. Diurnal variations in the waking EEG: comparisons with sleep latencies and subjective alertness
Marquis et al. REM sleep theta changes in frequent nightmare recallers
Cantero et al. Nightcap: a reliable system for determining sleep onset latency
Feige et al. Event-related potentials in insomnia reflect altered perception of sleep
Strauss et al. Predicting the loss of responsiveness when falling asleep in humans
Vgontzas et al. Usefulness of Polysomnographic Studies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Insomniaa
Peter-Derex et al. Parasomnia versus epilepsy: An affair of the heart?
James et al. Selective attention and auditory event-related potentials in somatization disorder
Devi et al. A review on insomnia: The sleep disorder
Bonnet The perception of sleep onset in insomniacs and normal sleepers.
Bekinschtein et al. You are only coming through in waves: wakefulness variability and assessment in patients with impaired consciousness
Klosch et al. Activity monitoring in sleep research, medicine and psychopharmacology
Himanen A new visual adaptive scoring system for sleep recording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to the multiple sleep latency test
AU720226B2 (en) Method for diagnosing psychiatric disord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