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5445A - 회전 압축기 - Google Patents

회전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5445A
KR20010005445A KR1019990040236A KR19990040236A KR20010005445A KR 20010005445 A KR20010005445 A KR 20010005445A KR 1019990040236 A KR1019990040236 A KR 1019990040236A KR 19990040236 A KR19990040236 A KR 19990040236A KR 20010005445 A KR20010005445 A KR 20010005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small space
compression chamber
communication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1994B1 (ko
Inventor
오시마겐이찌
오오끼미노루
가와미나미시게야
와까나다쯔야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토무,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토무
Publication of KR20010005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5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1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19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both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2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both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hinged to the outer member and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5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04C18/356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the inner and outer member being in contact along one line or continuous surface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6Silencing
    • F04C29/065Noise dampening volumes, e.g. muffler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6Silencing
    • F04C29/068Silencing the silencing means being arranged inside the pump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압축기에 있어서, 압축실 내의 압력 맥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면서 소공간에 잔류된 냉매가 재팽창함에 따른 손실 및 흡입실로 복귀함에 따른 손실을 방지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실린더실(11)을 형성하는 실린더(5)와 실린더실(11)에 배치되는 피스톤(7)을 구비한 회전 압축기에 있어서, 피스톤(7)은 실린더실(11) 내에서 공전 운동하는 롤러(7a)와 이 롤러(7a)와 함께 실린더실(11) 내를 흡입실(11a)과 압축실(11b)로 구획하는 베인(7b)으로 구성되고, 흡입실(11a)에 연통하지 않고 압축실(11b)에 소정 구간에서 연통하는 소공간(16)을 마련한다.

Description

회전 압축기 {Rotary Compressor}
본 발명은 회전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 조화기, 냉장고, 냉동기 등에 이용하는 회전 압축기에 적합한 것이다.
종래의 회전 압축기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고 소62-1120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실린더와 이 실린더 내에 배치된 피스톤과 이 피스톤을 구동하는 구동축을 구비한 회전 압축기에 있어서, 실린더 내에서 발생하는 압력 맥동에 의한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토출구 근방에 압력 도입로를 거쳐서 소용적의 공간을 연통시키는 것이 있다(종래 기술 1).
또한, 종래의 회전 압축기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소63-23098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실린더와 이 실린더 내에 배치된 롤러와 이 롤러를 구동하는 샤프트를 구비한 회전 압축기에 있어서, 실린더실 내 또는 압축실 내의 압력 맥동에 의한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실린더 단부면의 토출구 근방에 작은 구멍을 마련하고, 이 작은 구멍의 일부가 토출 절결홈에 개구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있다(종래 기술 2).
또한, 종래의 회전 압축기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60-3258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실린더와 이 실린더 내에 배치된 롤러와 이 롤러를 구동하는 회전축을 구비한 회전 압축기에 있어서, 실린더 내의 압력 맥동에 의한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실린더 내에 연통하는 공간을 마련하고, 또한 압축 공정 초기시에 있어서의 공간 내의 압축 냉매의 역류에 의한 입력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공간과 실린더 내를 연통하는 도입로가 중간 압력부의 실린더 내로 개구하는 것이 있다(종래 기술 3).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 1 및 종래 기술 2에서는 소용적의 공간 또는 작은 구멍은 항상 실린더 내의 압축되는 실과 연통하고 있으므로, 소용적의 공간 또는 작은 구멍 내에 잔류한 토출 행정 종료시의 고압 냉매가 압축 행정 초기시에 실린더 내로 역류하여 재팽창함에 따른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종래 기술 3에서는 압력 맥동을 저감하기 위한 공간이 흡입 행정 도중의 실린더 내로 개구하게 되므로, 상기 공간 내에 잔류하는 냉매가 흡입 행정 도중의 실린더 내로 복귀하게 되고, 이에 의해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본 발명은 압축실 내의 압력 맥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면서, 소공간에 잔류된 냉매가 재팽창함에 따른 손실 및 흡입실로 복귀함에 따른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 압축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회전 압축기에 관한 제1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2는 도1의 회전 압축기의 압축 기구부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3a는 본 발명의 회전 압축기에 관한 크랭크각에 대한 요동각에 있어서의 소공간과 압축실의 연통 구간의 설명도.
도3b는 본 발명의 회전 압축기에 관한 크랭크각에 대한 베인 돌출량에 있어서의 소공간과 압축실의 연통 구간의 설명도.
도4a는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사용 상태의 회전 압축기에 관한 크랭크각과 압축실 압력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4b는 본 발명의 냉장고에 있어서의 사용 상태의 회전 압축기에 관한 크랭크각과 압축실 압력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5는 도1의 회전 압축기에 관한 압축 기구부의 동작 설명도.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압축 기구부의 동작 설명도.
도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압축 기구부의 동작 설명도.
도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관한 압축 기구부의 동작 설명도.
도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관한 압축 기구부의 동작 설명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관한 압축 기구부의 단면 개략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관한 압축 기구부의 동작 설명도.
도12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관한 압축 기구부의 동작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밀폐 용기
2 : 전동기부
2a : 고정자
2b : 회전자
3 : 압축 기구
61, 162 : 소공간
17, 171, 172a, 172b, 172c : 연통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실린더실을 형성하는 실린더와, 이 실린더실에 배치된 피스톤과, 이 피스톤을 구동하는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실린더실 내에서 공전 운동하는 롤러와, 이 롤러와 함께 상기 실린더실 내를 흡입실과 압축실로 구획하는 베인을 갖고, 상기 흡입실에 연통하지 않고 상기 압축실에 소정 구간에서 연통하는 소공간을 마련한 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실린더실을 형성하는 실린더와, 이 실린더실에 배치된 피스톤과, 이 피스톤을 구동하는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은 실린더실 내에서 공전 운동하는 롤러와, 이 롤러와 함께 상기 실린더실 내를 흡입실과 압축실로 구획하는 베인을 갖고, 상기 베인의 상기 실린더실로의 돌출량이 가장 적은 상기 롤러의 회전 각도를 제외한 소정 구간에서 상기 압축실에 연통하는 소공간을 마련한 데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러와 상기 베인을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베인을 요동 부시에 요동 가능하게 또한 진퇴 가능하게 지지한 데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공간을 상기 압축실에 연통하는 연통로를 상기 요동 부시에 형성한 데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러와 상기 베인을 별개의 부재로 형성한 데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공간과 상기 압축실을 연통하는 연통로는 상기 베인에 형성한 구성으로 한 데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공간과 상기 압축실을 연통하는 연통로는 상기 베인에 형성된 연통로와 상기 요동 부시에 형성된 연통로를 조합함으로써 구성한 데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공간을 상기 압축실에 연통하는 소정 구간은 주로 토출 행정인 구성으로 한 데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공간을 상기 압축실에 연통하는 소정 구간은 주로 압축 행정의 전반(前半)인 구성으로 한 데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공간을 복수개 마련하고, 이 소공간이 상기 압축실에 연통하는 소정 구간을 복수의 소정 구간이 되도록 구성한 데 있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실린더실을 형성하는 실린더와, 이 실린더실에 배치된 피스톤과, 이 피스톤을 구동하는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실린더실 내에서 공전 운동하는 롤러와, 이 롤러와 함께 상기 실린더실 내를 흡입실과 압축실로 구획하는 베인을 갖고, 상기 롤러와 상기 베인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인의 진퇴 운동 및 요동 운동을 흡수하도록 지지하는 요동 부시를 상기 실린더에 설치하고, 상기 압축실에 연통하는 소공간을 복수개 마련하고, 이 소공간이 상기 압축실에 연통하는 구간을 복수의 소정 구간이 되도록 구성한 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제2 실시예 이후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실시예와 공통되는 구성을 일부 생략한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있어서의 동일 부호는 동일물 또는 상당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1 내지 도5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폐 용기(1)는 가로로 긴 원통형의 본체부(1a) 및 그 양측의 덮개부(1b, 1c)로 구성되어 있다. 이 밀폐 용기(1) 내에는 전동기부(2), 압축 기구부(3) 및 크랭크축(4) 등이 수납되어 있다.
전동기부(2)는 고정자(2a) 및 회전자(2b)를 구비하고, 고정자(2a)가 밀폐 용기(1) 내의 일측에 고정 부착되고, 회전자(2b)가 고정자(2a)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압축 기구부(3)는 2개의 실린더(5), 양측의 단부판(61, 62) 및 중간의 단부판(63), 2개의 피스톤(7), 그리고 2개의 요동 부시(8)를 구비하고 있다. 피스톤(7)을 구성하는 롤러(7a)와 베인(7b)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실린더(5)는 그 중간에 단부판(63)을 협지하고, 그 양측에 단부판(61, 62)을 배치함으로써, 이들에 의해 둘러싸여진 2개의 공간을 실린더실(11)로 하여 형성하고 있다.
실린더(5)는 실린더실(11)에 연통하는 흡입 절결홈(10) 및 토출 절결홈(12)을 인접하여 형성하고 있다. 이 토출 절결홈(12)은 단부판(61, 62)에 형성된 토출구(13)에 연통하고 있다.
압축 기구부(3)는 단부판(61)을 거쳐서 밀폐 용기(1) 내의 다른 측에 고정되어 있다.
크랭크축(4)은 일측이 전동기부(2)의 회전자(2b)에 고정되고, 다른 측이 압축기구부(3)에 연결되어 단부판(61, 62)에 설치된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크랭크축(4)은 피스톤(7)의 2개의 롤러(7a) 내에 위치하는 2개의 편심부(4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크랭크축(4)은 그 중심부에 급유 구멍(4b)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전동기부(2)의 고정자(2a)에 연통함으로써 회전자(2b)가 회전한다. 이로써, 크랭크축(4)이 회전하고, 이 크랭크축(4)의 2개의 편심부(4a)가 2개의 롤러(7) 내에서 편심되어 회전한다. 이로써 롤러(7a)가 실린더(5) 내에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전 운동을 행한다.
롤러(7a)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베인(7b)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롤러(7a)의 공전 운동에 수반하여 중심선에 대해 요동각 α로 요동하면서, 실린더실(11) 내에 돌출량 L로 진퇴할 수 있도록 요동 부시(8)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베인(7b)은 실린더실(11)을 흡입실(11a)과 압축실(11b)로 구획하도록 흡입 절결홈(10)과 토출 절결홈(1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요동 부시(8)는 실린더(5)의 오목부 내로 요동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흡입 파이프(9) 및 토출 파이프(15)는 밀폐 용기(1)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일측이 외부의 냉동 사이클과 연결되어 있다. 흡입 파이프(9)는 다른 측이 흡입 절결홈(10)에 연통되고, 토출 파이프(15)는 다른 측이 밀폐 용기 내의 고압 공간에 연통되어 있다.
흡입 파이프(9)로부터 흡입된 냉매 가스는 단부판(61, 62)의 흡입구로부터 실린더(5)의 흡입 절결홈(10)을 통해 실린더실(11)로 흡입된다. 이 흡입된 냉매는 실린더실(11)의 용적 변화에 의해 압축되고, 실린더(5)의 토출 절결홈(12)을 통해 단부판(61, 62)의 토출구(13)로부터 토출 밸브(14)를 밀어올려서 제1 토출 소음기(71) 내로 토출된다. 이 토출된 고압의 냉매는 제2 소음기(72)를 통해 밀폐 용기(1) 내의 공간으로 토출된다. 밀폐 용기(1) 내의 냉매 가스는 토출 파이프(15)로부터 외부의 냉동 사이클로 토출된다.
소공간(16)은 단부판(61, 62)에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단부판(61, 62)과 실린더(5)와 요동 부시(8)에 의해 둘러싸여진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소공간(16)은 토출 절결홈(12)에 근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연통로(17)는 요동 부시(8)의 일부를 절결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소공간(16a)은 흡입실(11a)과는 연통하지 않고, 크랭크각의 소정 구간에 있어서 압축실(11b)과 연통로(17)를 거쳐서 연통한다. 환언하면, 소공간(16a)은 흡입실(11a)과는 연통하지 않고, 간헐적으로 압축실(11b)과 연통로(17)를 거쳐서 연통한다.
다음에, 소공간(16)과 압축실(11b)의 연통 관계의 기본적인 개념에 대해서 도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 피스톤(7) 및 요동 부시(8)의 요동각 α는 크랭크각에 대해 정현파형(正弦波狀)으로 변화한다. 또한, 도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인(7b)의 실린더실(11)로의 돌출량 L은 크랭크각에 대해 여현파형(余弦波狀)으로 변화한다. 또, 크랭크각은 돌출량 L이 최소가 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변화하는 요동 피스톤(7) 및 요동 부시(8)의 요동 운동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요동각 α1 이상에서 소공간(16)이 압축실(11b)과 연통하도록 연통로(17), 예를 들어 절결홈을 마련함으로써, 크랭크각의 소정 구간 A[도3a에 도시한 연통 구간 A]에서 소공간(16)이 압축실(11b)과 연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요동각 α2 이하에서 소공간(16)이 압축실(11b)과 연통하도록 연통로(17), 예를 들어 절결홈을 마련함으로써, 크랭크각의 다른 소정 구간 B[도3a에 도시한 연통 구간 B]에서 소공간(16)이 압축실(11B)과 연통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베인(7)의 진퇴 운동에 의한 압축실(11b) 내로의 돌출량 L의 변화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돌출량 L1 이하에서 소공간(16)이 압축실(11b)과 연통하도록 연통로(17), 예를 들어 절결홈을 마련함으로써, 크랭크각의 다른 소정 구간 C[도3b에 도시한 연통 구간 C]에서 소공간(16)이 압축실(11b)과 연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돌출량 L2 이상에서 소공간(16)이 압축실(11b)과 연통하도록 연통로(17), 예를 들어 절결홈을 마련함으로써, 크랭크각의 다른 소정 구간 D[도3b에 도시한 연통 구간 D]에서 소공간(16)이 압축실(11b)과 연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통 구간 A, B, C, D를 조합함으로써, 겹치는 연통 구간으로 한정하여 소공간(16)이 압축실(11b)과 연통하도록 할 수 있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통 구간 C는 연통 구간 A, B와의 조합으로 사용하고, 단독으로는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소공간(16)과 압축실(11b)의 연통은 요동각 α, 베인 돌출량 L 및 연통 구간 A, B, C, D의 조합을 설정함으로써, 임의의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다음에, 압축실 압력에 대응하는 소공간(16)과 압축실(11b)의 연통 관계에 대해서 도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4a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 상태의 예로서, 예를 들어 연통 구간 B에서 소공간(14)이 압축실(11b)과 연통하도록 연통로(17)를 설치함으로써, 토출 행정의 압력 맥동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소공간(16)에 잔류하는 압축된 냉매 가스의 재팽창 손실을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소공간(16)에 잔류하는 압축된 냉매 가스의 흡입실(11a)로의 복귀에 따른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연통 구간 A와 연통 구간 C의 조합에 의해 연통 구간 A와 C가 겹치는 연통 구간 AC에서 소공간(16)이 압축실(11b)과 연통하도록 연통로(17)를 설치함으로써, 압축 행정의 압력 맥동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소공간(16)에 잔류하는 압축된 냉매 가스의 재팽창 손실을 적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소공간(16)에 잔류하는 압축된 냉매 가스의 흡입실(11a)로의 복귀에 따른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토출 행정 혹은 압축 행정의 압력 맥동을 저감할 수 있는 이유는 소공간(16)이 압축실(11b)에 연통하여 존재함으로써, 토출구(13)로부터 냉매 가스가 토출될 때, 혹은 토출구(13)에 잔류하는 압축된 냉매 가스가 재팽창할 때의 급격한 압력 변화에 기인하는 압축실 내의 압력 맥동이 완화되기 때문이다.
소공간(16)에 잔류하는 압축된 냉매 가스의 재팽창 손실을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소공간(16)에 잔류하는 압축된 냉매 가스의 흡입실(11a)로의 복귀에 따른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유는 흡입실(11a)에 연통하지 않고 압축실(11b)에 소정 구간에서 연통하는 소공간(16)을 마련함으로써, 소공간(16)이 압축실(11b)에 연통을 개시하는 압력과 종료하는 압력의 압력차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연통 종료시에 소공간(16)에 잔류하는 압축된 냉매 가스가 연통 개시시에 재팽창하는 일 이 적고, 또한 흡입실(11a)로 복귀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도4b는 냉장고의 운전 상태의 예로서, 예를 들어 연통 구간 A에서 소공간(16)이 압축실(11b)과 연통하도록 연통로(17)를 마련함으로써, 압축 행정의 압력 맥동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소공간(16)에 잔류하는 압축된 냉매 가스의 재팽창 손실을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소공간(16)에 잔류하는 압축된 냉매 가스의 흡입실(11a)로의 복귀에 따른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연통 구간 D에서 소공간(16)이 압축실(11b)과 연통하도록 연통로(17)를 설치함으로써, 압축 행정의 압력 맥동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소공간(16)에 잔류하는 압축된 냉매 가스의 재팽창 손실을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소공간(16)에 잔류하는 압축된 냉매 가스의 흡입실(11a)로의 복귀에 따른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연통 구간 B와 연통 구간 C를 조합함으로써, 연통 구간 B와 C가 겹치는 연통 구간 BC에서 소공간(16)이 압축실(11b)과 연통하도록 연통로(17)를 마련함으로써, 토출 행정의 압력 맥동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소공간(16)에 잔류하는 압축된 냉매 가스의 재팽창 손실을 적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소공간(16)에 잔류하는 압축된 냉매 가스의 흡입실(11a)로의 복귀에 따른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베인(7b)의 실린더실(11)로의 돌출량이 가장 적은 롤러(7a)의 회전 각도를 제외한, 환언하면 크랭크각 0을 제외한 소정 구간에서 압축실(11a)에 연통하도록 소공간(16)을 마련함으로써, 토출 행정 종료로부터 압축 행정 개시에 이르는 압축실 압력의 급격한 저하에 의거한 재팽창 손실에 따른 성능 저하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토출구(13)로부터 냉매 가스가 토출될 때의 급격한 압력 변화에 기인하는 압축실(11b) 내의 압력 맥동을 저감하고, 또한 재팽창 손실을 적게 하기 위해서는 주로 토출 행정에서 연통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하면 효과가 크다.
그리고, 토출구(13)에 잔류하여 압축된 냉매 가스가 흡입측으로 재팽창할 때의 급격한 압력 변화에 기인하는 압축실(11b) 내의 압력 맥동을 저감하고, 또한 재팽창 손실을 적게 하기 위해서는 주로 압축 행정 전반에서 연통하는 구성으로 하면 효과가 크다. 압축 행정 전반에서 압력 맥동을 저감하면, 압축 행정 후반의 압력 맥동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압축 행정 도중에서 연통하는 구성이라도 압축 행정 도중에서 압력 맥동을 저감하면 압축 행정 후반의 압력 맥동도 저감할 수 있다.
다음에, 소공간(16)과 압축실(11)의 구체적인 연통 관계에 대해서 도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7a)의 공전 운동에 수반하여 롤러(7a), 베인(7b) 및 요동 부시(8)는 상태 (a)로부터 상태 (d)와 같이 변위한다. 이로써, 소공간(16)과 압축실(11b)의 연통 관계는 상태 (a)의 비연통으로부터 상태 (b)에서 연통을 개시하고, 상태 (c)의 연통 중을 경유하여, 상태 (d)에서 연통을 종료하도록 변화된다.
본 실시예는 상기 도3a의 연통 구간 B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연통로(17)는 압축실(11b)과 항상 개구하면서, 요동 부시(8)의 요동 운동에 수반하여 소공간(16)과 상태 (b)로부터 상태 (d)의 구간에서 연통한다. 이로써, 소공간(16)은 연통로(17)를 거쳐서 압축실(11b)과 크랭크각의 소정 구간 B에 있어서 연통한다.
이를 각 상태마다 설명하면, 크랭크각 및 요동각이 0인 때의 상태 (a)에서는 소공간(16)은 연통로(17)와 연통되지 않으며 압축실(11b)과 연통되지 않는다. 롤러(7a)가 회전하여 요동각이 α2보다 작아진 상태 (b)에서는 소공간(16)은 연통로(17)와 연통되어 압축실(11b)과의 연통이 개시된다. 롤러(7a)가 더욱 회전한 상태 (c)에서는 소공간(16)은 연통로(17)와의 연통이 계속되고 압축실(11b)과의 연통도 계속된다. 롤러(7a)가 더욱 회전하여 요동각이 α2보다 커진 상태 (d)에서는 소공간(16)은 연통로(17)와의 연통이 종료하여 압축실(11b)과의 연통도 종료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4a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공기 조화기의 운전 상태에 있어서, 연통 구간 B에서 나타낸 토출 행정의 압력 맥동(가는 실선으로 나타냄)을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재팽창 손실 및 흡입실 복귀 손실에 따른 성능 저하를 적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실 내의 토출 행정에 있어서의 압력 맥동에 의해 구조 부품이 가진(加振)되어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재팽창 손실 및 흡입실 복귀 손실에 따른 성능 저하를 적게 할 수 있으므로, 소음 저감과 성능 향상의 양립을 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요동 부시(8)에 설치된 연통로(17)의 위치가 제1 실시예와 다르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7a)의 공전 운동에 수반하여 롤러(7a), 베인(7b) 및 요동 부시(8)는 상태 (a)로부터 상태 (d)와 같이 변위한다. 이로써, 소공간(16)과 압축실(11b)의 연통 관계는 상태 (a)의 비연통으로부터, 상태 (b)에서 연통을 개시하고, 상태 (c)의 연통 중을 경유하여, 상태 (d)에서 연통을 종료하도록 변화된다.
본 실시예는 상기 도3a의 연통 구간 A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연통로(17)는 소공간(16b)과 항상 연통하면서, 요동 부시(8)의 요동 운동에 수반하여 압축실(11b)과 상태 (b)로부터 상태 (d)의 구간에서 연통한다. 이로써, 소공간(16)은 연통로(17)를 거쳐서 압축실(11b)과 크랭크각의 소정 구간 A에 있어서 연통한다.
이를 각 상태마다 설명하면, 크랭크각 및 요동각이 0인 때의 상태 (a)에서는 연통로(17)와 압축실(11b)이 연통되지 않으므로, 소공간(16)은 연통로(17)와 연통되고 있으나 압축실(11b)과는 연통되지 않는다. 롤러(7a)가 회전하여 요동각이 α1보다 커진 상태 (b)에서는 연통로(17)와 압축실(11b)이 연통되므로, 소공간(16)과 압축실(11b)의 연통이 개시된다. 롤러(7a)가 더욱 회전한 상태 (c)에서는 소공간(16)과 압축실(11b)의 연통도 계속된다. 롤러(7a)가 더욱 회전하여 요동각이 α1보다 작아진 상태 (d)에서는 연통로(17)와 압축실(11b)의 연통이 종료되므로, 소공간(16)과 압축실(11b)의 연통도 종료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냉장고의 운전 상태에 있어서, 연통 구간 A에서 도시한 압축 행정의 압력 맥동(가는 실선으로 나타냄)을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재팽창 손실 및 흡입실 복귀 손실에 따른 성능 저하를 적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제3 실시예에 있어서는 베인(7b)에 설치된 제1 연통로(7a)와 요동 부시(8)에 설치된 제2 연통로(17b)를 거쳐서 소공간(16)을 압축실(11b)에 연통하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다르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7a)의 공전 운동에 수반하여 롤러(7a), 베인(7b) 및 요동 부시(8)는 상태 (a)로부터 상태 (d)와 같이 변위한다. 이로써, 소공간(16)과 압축실(11b)의 연통 관계는 상태 (a)의 비연통으로부터 상태 (b)에서 연통을 개시하고, 상태 (c)의 연통 중을 경유하여, 상태 (d)에서 연통을 종료하도록 변화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도3a의 연통 구간 B와 상기 도3b의 연통 구간 C를 조합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베인(7b)의 진퇴 운동 및 요동 부시(8)의 요동 운동에 수반하여 소공간(16)은 제1 연통로(17a) 및 제2 연통로(17b)를 거쳐서 압축실(11b)과 상태 (b)로부터 상태 (d)의 구간에서 연통한다. 이로써, 소공간(16)은 압축실(11b)과 크랭크각의 소정 구간 BC에 있어서 연통한다.
이를 각 상태마다 설명하면, 크랭크각 및 요동각이 0인 상태 (a)에서는 소공간(16)과 제2 연통로(17b)가 연통되지 않으므로, 소공간(16)은 압축실(11b)과 연통되지 않는다. 롤러(7a)가 회전하여 요동각이 α2보다 작아지면, 소공간(16)과 제2 연통로(17b)가 연통되는데, 베인(7b)의 돌출량이 L1보다 큰 구간에서는 제1 연통로(17a)와 제2 연통로(17b)가 연통되지 않으므로, 소공간(16)은 압축실(11b)에 연통되지 않는다. 롤러(17a)가 더욱 회전한 상태 (b)에서는 베인(7b)의 돌출량이 L1보다 작아져 제1 연통로(17a)와 제2 연통로(17b)가 연통되므로, 소공간(16)과 압축실(11b)의 연통이 개시된다. 롤러(7a)가 더욱 회전한 상태 (c)에서는 소공간(16)과 압축실(11b)의 연통도 계속된다. 롤러(7a)가 더욱 회전하여 요동각이 α2보다 커진 상태 (d)에서는 소공간(16)과 제2 연통로(17b)의 연통이 종료되므로, 소공간(16)과 압축실(11b)의 연통도 종료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냉장고의 운전 상태에 있어서, 연통 구간 BC에서 도시하는 토출 행정의 출력 맥동(가는 실선으로 나타냄)을 굵은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재팽창 손실 및 흡입실 복귀 손실에 따른 성능 저하를 적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제4 실시예에 있어서는 단부판(61)에 설치된 소공간(16)과 베인(7b)에 설치된 제1 연통로(17a)와 요동 부시(8)에 설치된 제2 연통로(17b)와 연통하는 위치가 제3 실시예와 다르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7a)의 공전 운동에 수반하여 롤러(7a), 베인(7b) 및 요동 부시(8)는 상태 (a)로부터 상태 (d)와 같이 변위한다. 이로써, 소공간(16)과 압축실(11b)의 연통 관계는 상태 (a)의 비연통으로부터 상태 (b)에서 연통을 개시하고, 상태 (c)의 연통 중을 경유하여, 상태 (d)에서 연통을 종료하도록 변화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도3a의 연통 구간 A와 상기 도3b의 연통 구간 C를 조합한 연통 구간 AC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베인(7b)의 진퇴 운동 및 요동 부시(8)의 요동 운동에 수반하여 소공간(16)은 제1 연통로(17a) 및 제2 연통로(17b)를 거쳐서 압축실(11b)과 상태 (b)로부터 상태 (d)의 구간에서 연통한다. 이로써, 소공간(16)은 압축실(11b)과 크랭크각의 소정 구간 AC에 있어서 연통한다.
이를 각 상태마다 설명하면, 크랭크각 및 요동각이 0인 상태 (a)에서는 소공간(16)과 제2 연통로(17b)가 연통되지 않으므로, 소공간(16)은 압축실(11b)과 연통되지 않는다. 롤러(7a)가 회전하여 베인(7b)의 돌출량이 L1보다 작고, 요동각이 α1보다 커진 상태 (b)에서는 소공간(16)과 제2 연통로(17b)가 연통되므로, 소공간(16)과 압축실(11b)의 연통이 개시된다. 롤러(7a)가 더욱 회전한 상태 (c)에서는 소공간(16)과 압축실(11b)의 연통도 계속된다. 롤러(7a)가 더욱 회전하여 베인(7b)의 돌출량이 L1보다 커진 상태 (d)에서는 제1 연통로(17a)와 제2 연통로(17b)의 연통이 종료되므로, 소공간(16)과 압축실(11b)의 연통도 종료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4a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공기 조화기의 운전 상태에 있어서, 연통 구간 AC에서 나타낸 압축 행정의 압력 맥동(가는 실선으로 나타냄)을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재팽창 손실 및 흡입실 복귀에 따른 성능 저하를 적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도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제5 실시예에 있어서는 소공간(16)과 연통로(17)를 베인(7b)에 설치한 점과, 소공간(16)과 압축실(11b)의 연통하는 구간의 점에서 상기한 각 실시예와 다르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7a)의 공전 운동에 수반하여 롤러(7a), 베인(7b) 및 요동 부시(8)는 상태 (a)로부터 상태 (d)와 같이 변위한다. 이로써, 소공간(16)과 압축실(11b)의 연통 관계는 상태 (a)의 비연통으로부터 상태 (b)에서 연통을 개시하고, 상태 (c)의 연통 중을 경유하여, 상태 (d)에서 연통을 종료하도록 변화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도3b의 연통 구간 D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베인(7b)의 진퇴 운동에 수반하여 소공간(16)은 연통로(17)를 거쳐서 압축실(11b)과 상태 (b)로부터 상태 (d)의 구간에서 연통한다. 이로써, 소공간(16)은 압축실(11b)과 크랭크각의 소정 구간 D에 있어서 연통한다.
이를 각 상태마다 설명하면, 크랭크각 및 요동각이 0인 상태 (a)에서는 연통로(17)와 압축실(11b)이 연통되지 않으므로, 소공간(16)은 압축실(11b)과 연통되지 않는다. 롤러(7a)가 회전하여 베인(7b)의 돌출량이 L2보다 커진 상태 (b)에서는 연통로(17)와 압축실(11b)이 연통되므로, 소공간(16)과 압축실(11b)의 연통이 개시된다. 롤러(7a)가 더욱 회전한 상태 (c)에서는 소공간(16)과 압축실(11b)의 연통도 계속된다. 롤러(7a)가 더욱 회전하여 베인(7b)의 돌출량이 L2보다 작아진 상태 (d)에서는 연통로(17)와 압축실(11b)의 연통이 종료되므로, 소공간(16)과 압축실(11b)의 연통도 종료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냉장고의 운전 상태에 있어서, 연통 구간 D에서 나타낸 압축 행정의 압력 맥동(가는 실선으로 나타냄)을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재팽창 손실 및 흡입실 복귀 손실에 따른 성능 저하를 적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도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제6 실시예에 있어서는 롤러(7a)와 베인(7b)을 별개의 부재로 한 점과, 베인(7b)을 실린더(5)의 홈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수납한 점, 및 베인(7b)을 항상 롤러(7a)에 접촉하도록 한 점에서 제5 실시예와 다르다. 또, 본 실시예의 동작은 기본적으로는 제5 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를 도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제7 실시예에 있어서는 복수의 소공간(161, 162) 및 복수의 연통로를 마련한 점과, 이 복수의 소공간(161, 162)과 복수의 연통로를 조합하여 복수의 연통 구간을 마련한 점에서 상기 각 실시예와 다르다.
소공간(161)은 단부판(61)에 형성된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소공간(161)을 압축실(11b)에 연통하기 위한 연통로는 요동 부시(8)의 단부판(61) 측에 설치된 연통로(17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소공간(162)은 실린더(5)에 형성된 구멍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소공간(162)을 압축실(11b)에 연통하기 위한 연통로는 베인(7b)의 단부판(63) 측에 설치된 제1 연통로(172a), 요동 부시(8)의 단부판(63) 측에 설치된 제2 연통로(172b), 및 실린더(5)의 단부판(63) 측에 설치된 제3 연통로(172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7a)의 공전 운동에 수반하여 롤러(7a), 베인(7b) 및 요동 부시(8)는 상태 (a)로부터 상태 (d)와 같이 변위한다. 이로써, 소공간(161, 162)과 압축실(11b)의 연통 관계는 상태 (a)의 비연통으로부터 상태 (b)의 연통 중을 경유하여 상태 (c)의 비연통에 이르고, 상태 (d)의 연통 중을 경유하여 상태 (a)의 비연통에 이르도록 변화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도3a의 연통 구간 A와 상기 도3b의 연통 구간 C를 조합한 연통 구간 AC와, 상기 도3a의 연통 구간 B의 복수의 연통 구간을 지니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베인(7b)의 진퇴 운동 및 요동 부시(8)의 요동 운동에 수반하여 소공간(162)은 제4 실시예와 같은 동작에 의해 연통 구간 AC에서, 연통로(172a, 172b, 172c)를 거쳐서 압축실(11b)과 연통된다. 또한, 소공간(161)은 제1 실시예와 같은 동작에 의해 연통 구간 B에서 연통로(171)를 거쳐서 압축실(11b)과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도4a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공기 조화기의 운전 상태에 있어서, 연통 구간 AC에서 나타낸 압축 행정 및 연통 구간 B에서 나타낸 토출 행정의 압력 맥동(가는 실선으로 나타냄)을 굵은 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재팽창 손실 및 흡입실 복귀 손실에 따른 성능 저하를 적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8 실시예를 도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제8 실시예에 있어서는 소공간(161)과 압축실(11b)의 연통 구간 및 소공간(162)과 압축실(11b)의 연통 구간이 상기 제7 실시예와 다르다.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7a)의 공전 운동에 수반하여 롤러(7a), 베인(7b) 및 요동 부시(8)는 상태 (a)로부터 상태 (d)와 같이 변위한다. 이로써, 소공간(161, 162)과 압축실(11b)의 연통 관계는 상태 (a)의 비연통으로부터 상태 (b)의 연통 중을 경유하여 상태 (c)의 비연통에 이르고, 상태 (d)의 연통 중을 경유하여 상태 (a)의 비연통에 이르도록 변화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도3a의 연통 구간 A와, 상기 도3a의 연통 구간 B와 상기 도3b의 연통 구간 C를 조합한 복수의 연통 구간을 갖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베인(7b)의 진퇴 운동 및 요동 부시(8)의 요동 운동에 수반하여 소공간(162)은 제2 실시예와 같은 동작에 의해 연통 구간 A에서 연통로(171, 172c)를 거쳐서 압축실(11b)과 연통된다. 또한, 소공간(161)은 제3 실시예와 같은 동작에 의해 연통 구간 BC에서 연통로(172a, 172b)를 거쳐서 압축실(11b)과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냉장고의 운전 상태에 있어서 연통 구간 A에서 나타낸 압축 행정 및 연통 구간 BC에서 나타낸 토출 행정의 압력 맥동(가는 실선으로 나타냄)을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재팽창 손실 및 흡입실 복귀 손실에 따른 성능 저하를 적게 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한 쪽 실린더측에 대해서만 설명하였는데, 다른 쪽의 실린더 측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되고 있다. 또한, 2개의 실린더뿐만 아니라 1개의 실린더나 그 밖의 복수개의 실린더라도 좋다. 또한 다단 압축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소공간은 단부판과 베인 및 실린더에 설치한 예로 설명하였지만 요동 부시 등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단부판이나 실린더에 연통로를 마련하고 다른 부품으로 소공간을 형성해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공간(16)이 압축실(11b)에 연통하도록 존재함으로써, 토출구(13)로부터 냉매 가스가 토출될 때, 혹은 토출구(13)에 잔류하는 압축된 냉매 가스가 재팽창할 때의 급격한 압력 변화에 기인하는 압축실(11b) 내의 압력 맥동이 완화되어 압력 맥동에 의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흡입실(11a)에 연통하지 않고 압축실(11b)에 소정 구간에서 연통하는 소공간(16)을 마련함으로써, 소공간(16)이 압축실(11b)과의 연통을 종료할 때의 압력과 개시할 때의 압력과의 압력차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연통 종료시에 소공간(16)에 잔류하는 압축된 냉매 가스가 연통 개시시에 재팽창하는 일이 적고, 또한 흡입실(11a)로 복귀하는 일이 없으며, 이로써 소공간(16)에 잔류하는 압축된 냉매 가스의 재팽창 손실을 적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소공간(16)에 잔류하는 압축된 냉매 가스의 흡입실(11a)로의 복귀에 따른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베인(7b)의 실린더실(11)로의 돌출량 L이 가장 적은 롤러(7a)의 회전 각도를 제외한 소정 구간에서 압축실(11b)에 연통하는 소공간(16)을 마련하고 있으므로, 토출 행정 종료로부터 압축 행정 개시에 이르는 압축실 압력의 급격한 저하에 의거한 재팽창 손실에 따른 성능 저하를 적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소공간(16)을 압축실(11b)에 연통하는 연통로(17)를 요동 부시(8)에 형성하고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요동 부시(8)의 요동 운동을 이용하여 연통로(17)가 소정 구간만큼 소공간(16)과 압축실(11b)을 연통시킬 수 있다.
또, 소공간(16)을 압축실(11b)에 연통하는 연통로(17)를 베인(7b)에 형성하고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베인(7b)의 실린더실로의 돌출 운동을 이용하여 연통로(17)가 소정 구간만큼 소공간(16)과 압축실(11b)을 연통시킬 수 있다.
그리고, 소공간(16)을 복수개 마련하고, 소공간(16)이 압축실(11b)에 연통하는 소정 구간을 복수의 소정 구간이 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각 소정 구간에 있어서 소공간(16)이 압축실(11b)과의 연통을 종료할 때의 압력과 개시할 때의 압력과의 압력차를 작게 할 수 있어 재팽창 손실을 보다 한 층 적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본 발명에 기재된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내고 있으며, 그 특허 청구 범위의 의미 안에 포함되는 모든 변형예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실 내의 압력 맥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면서, 소공간에 잔류된 냉매가 재팽창함에 따른 손실 및 흡입실로 복귀함에 따른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 압축기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1)

  1. 실린더실을 형성하는 실린더와, 이 실린더실에 배치된 피스톤과, 이 피스톤을 구동하는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은 실린더실 내에서 공전 운동하는 롤러와, 이 롤러와 함께 상기 실린더실 내를 흡입실과 압축실로 구획하는 베인을 갖고, 상기 흡입실에 연통하지 않고 상기 압축실에 소정 구간에서 연통하는 소공간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압축기.
  2. 실린더실을 형성하는 실린더와, 이 실린더실에 배치된 피스톤과, 이 피스톤을 구동하는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은 실린더실 내에서 공전 운동하는 롤러와, 이 롤러와 함께 상기 실린더실 내를 흡입실과 압축실로 구획하는 베인을 갖고, 이 베인의 상기 실린더실로의 돌출량이 가장 작은 상기 롤러의 회전 각도를 제외한 소정 구간에서 상기 압축실에 연통하는 소공간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압축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와 상기 베인을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베인을 요동 부시에 요동 가능하게 또한 진퇴 가능하게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압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공간을 상기 압축실에 연통하는 연통로를 상기 요동 부시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압축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와 상기 베인을 별개의 부재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압축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공간과 상기 압축실을 연통하는 연통로는 상기 베인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압축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공간과 상기 압축실을 연통하는 연통로는 상기 베인에 형성된 연통로와 상기 요동 부시에 형성된 연통로를 조합함으로써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압축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공간을 상기 압축실에 연통하는 소정 구간은 주로 토출 행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압축기.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공간을 상기 압축실에 연통하는 소정 구간은 주로 압축 행정의 전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압축기.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공간을 복수개 마련하고, 이 소공간이 상기 압축실에 연통하는 소정 구간을 복수의 소정 구간이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압축기.
  11. 실린더실을 형성하는 실린더와, 이 실린더실에 배치된 피스톤과, 이 피스톤을 구동하는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은 실린더실 내에서 공전 운동하는 롤러와, 이 롤러와 함께 상기 실린더실 내를 흡입실과 압축실로 구획하는 베인을 갖고, 상기 롤러와 상기 베인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인의 진퇴 운동 및 요동 운동을 흡수하도록 지지하는 요동 부시를 상기 실린더에 설치하고, 상기 압축실에 연통하는 소공간을 복수개 마련하여 이 소공간이 상기 압축실에 연통하는 구간을 복수의 소정 구간이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압축기.
KR1019990040236A 1999-06-11 1999-09-18 회전 압축기 KR1003119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164757 1999-06-11
JP16475799 1999-06-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5445A true KR20010005445A (ko) 2001-01-15
KR100311994B1 KR100311994B1 (ko) 2001-11-03

Family

ID=15799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236A KR100311994B1 (ko) 1999-06-11 1999-09-18 회전 압축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270329B1 (ko)
KR (1) KR100311994B1 (ko)
CN (1) CN12773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464B1 (ko) * 2001-11-30 2009-04-17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다단 압축식 로터리 컴프레서의 제조 방법
CN114017327A (zh) * 2017-07-27 2022-02-08 富士通将军股份有限公司 旋转式压缩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29455B2 (en) 2002-10-15 2005-08-16 Tecumseh Products Company Horizontal two stage rotary compressor
US7189068B2 (en) * 2003-09-19 2007-03-13 Gast Manufacturing, Inc. Sound reduced rotary vane compressor
JP3731127B2 (ja) * 2004-01-22 2006-01-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スイング圧縮機
JP2006207532A (ja) * 2005-01-31 2006-08-10 Sanyo Electric Co Ltd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4660244B2 (ja) * 2005-03-28 2011-03-30 三洋電機株式会社 上カップマフラーの取付け方法
CA2809945C (en) 2010-08-30 2018-10-16 Oscomp Systems Inc. Compressor with liquid injection cooling
US9267504B2 (en) 2010-08-30 2016-02-23 Hicor Technologies, Inc. Compressor with liquid injection cooling
JP5413493B1 (ja) * 2012-08-20 2014-02-1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回転式圧縮機
CN104179687A (zh) * 2014-07-30 2014-12-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旋转式压缩机消音结构及具有该消音结构的旋转式压缩机
CN106014988A (zh) * 2016-08-01 2016-10-12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压缩机的共振腔消声结构、压缩机及电器产品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12311A (en) * 1949-01-26 1952-09-30 Borg Warner Compressor-motor assembly
JPS6032585A (ja) 1983-07-28 1985-02-19 Sharp Corp 電子レンジのヒ−タ移動停止装置
US4737088A (en) * 1985-03-01 1988-04-12 Daikin Kogyo Co., Ltd. Rotary compressor with oil relief passage
JPS6211200A (ja) 1985-07-09 1987-01-20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放射線防護服
US4629403A (en) * 1985-10-25 1986-12-16 Tecumseh Products Company Rotary compressor with vane slot pressure groove
JPS63230980A (ja) * 1987-03-20 1988-09-27 Hitachi Ltd ロ−タリ圧縮機
JPH0794832B2 (ja) * 1988-08-12 1995-10-1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回転式圧縮機
JPH02153288A (ja) * 1988-12-05 1990-06-12 Hitachi Ltd ロータリ圧縮機
US4975031A (en) * 1989-01-09 1990-12-04 General Electric Company Rotary compressor with compliant impact surfaces
JPH0726633B2 (ja) * 1989-05-25 1995-03-29 三洋電機株式会社 回転圧縮機の消音装置
CA2063888C (en) * 1991-04-26 2001-08-07 Hubert Richardson Jr. Orbiting rotary compressor
JPH07229654A (ja) 1993-12-20 1995-08-29 Hitachi Ltd 冷凍サイクル装置
JPH07269483A (ja) 1994-03-31 1995-10-17 Hitachi Ltd ロータリ圧縮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464B1 (ko) * 2001-11-30 2009-04-17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다단 압축식 로터리 컴프레서의 제조 방법
CN114017327A (zh) * 2017-07-27 2022-02-08 富士通将军股份有限公司 旋转式压缩机
CN114017327B (zh) * 2017-07-27 2023-12-22 富士通将军股份有限公司 旋转式压缩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77327A (zh) 2000-12-20
US6270329B1 (en) 2001-08-07
KR100311994B1 (ko) 200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40929B2 (en) Rotary compressor
KR100311994B1 (ko) 회전 압축기
JP2005330962A (ja) 回転式流体機械
US7029252B2 (en) Rotary compressor
EP3406906B1 (en) Rotary compressor
KR19980025090A (ko) 양두 피스톤식 압축기
KR20100017009A (ko) 로터리 압축기
US6336800B1 (en) Rotary compressor
JP2001323881A (ja) 圧縮機
KR19980063888A (ko) 토출 챔버 압력 해제 홈을 갖는 회전식 압축기
KR20010035687A (ko) 압축기
JP2003227485A (ja) 複数シリンダ圧縮機
JP3993348B2 (ja) ロータリ圧縮機
JP2003343467A (ja) ロータリ圧縮機
JP4887790B2 (ja) 回転式流体機械
JP2010065650A (ja) 回転式圧縮機
JPH07217569A (ja) ロータリ圧縮機
JP2937895B2 (ja) ロータリ圧縮機
JPH11107948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2012088040A (ja) 冷凍装置
JP2006170213A5 (ko)
KR200171578Y1 (ko) 로터리 압축기의 토출 유로 구조
KR100351148B1 (ko) 압축기
KR100187278B1 (ko) 모터펌프형 로터리 압축기
JPH03182693A (ja) 多段ロータリ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