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4928A - 보이드를 이용한 전도층간 기생 커패시턴스 감소 방법 - Google Patents

보이드를 이용한 전도층간 기생 커패시턴스 감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4928A
KR20010004928A KR1019990025696A KR19990025696A KR20010004928A KR 20010004928 A KR20010004928 A KR 20010004928A KR 1019990025696 A KR1019990025696 A KR 1019990025696A KR 19990025696 A KR19990025696 A KR 19990025696A KR 20010004928 A KR20010004928 A KR 20010004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layer
layer
parasitic capacitance
conductive layers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5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치선
이정훈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90025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4928A/ko
Publication of KR20010004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492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31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having a storage electrode stacked over the transis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01L21/027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photoresist layers
    • H01L21/0274Photolithographic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604Chemical e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055Deposition of semiconductive layers, e.g. poly - or amorphous silicon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60Electrodes
    • H01L28/75Electrode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comprising a barrier layer and a metal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60Electrodes
    • H01L28/82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 H01L28/90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having vertical extensions
    • H01L28/91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having vertical extensions made by depositing layers, e.g. by depositing alternating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B12/02Manufacture or treatment for one transistor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03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이드를 이용한 전도층간 기생 커패시턴스 감소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면 식각을 이용하여 콘택 플러그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콘택 플러그의 높이를 보이드를 형성한 절연층까지 낮게 한 후에 대상 절연층을 습식 식각등을 이용하여 모두 제거하여 보이드를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보이드를 이용하여 저유전률 절연막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기생 커패시턴스를 줄여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이드를 이용한 전도층간 기생 커패시턴스 감소 방법{Method of decrease parasitic capacitance to conduction layer}
본 발명은 보이드(Void)를 이용한 전도층간 기생 커패시턴스 감소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도층 사이에 보이드를 이용한 저유전막을 형성하여 기생 커패시턴스를 줄임으로서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개선시킨 보이드를 이용한 전도층간 기생 커패시턴스 감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가 고집적화됨에 따라 전도층 사이의 거리가 점점 좁아지면서 전도층간의 기생 커패시턴스값이 점점 증가하였다. 더구나 자기 정렬 방식의 콘택 형성이 일반화 되면서 사용되는 식각 방지막이 대부분 유전률이 낮은 것들어어서 더욱 문제가 커지고 있다. 종래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저유전률막에 대한 실험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반도체 소자에서는 소자가 고집화됨에 따라 전도층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전도층간의 기생 커패시턴스값이 점점 증가되어 소자의 전기적 특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면 식각을 이용하여 콘택 플러그(contact plug)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콘택 플러그의 높이를 보이드(void)를 형성한 절연층까지 낮게 한 후에 대상 절연층을 습식 식각등을 이용하여 모두 제거하여 보이드를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보이드를 이용하여 저유전률 절연막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기생 커패시턴스를 줄인 보이드를 이용한 전도층간 기생 커패시턴스 감소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공정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제 1 전도층 2 : 제 1 절연층
3 : 제 2 전도층 4 : 제 3 절연층
5 : 제 4 절연층 6 : 제 5 절연층
7 : 제 2 전도층 8 : 보이드
9 : 제 6 절연층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보이드를 이용한 전도층간 기생 커패시턴스 감소 방법은,
적어도, 제 1 전도층(1) 위에 제 1 절연층(2)을 증착하고 감광막을 이용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결과물 위에 제 2 절연층(3)을 증착하고 전면식각하여 스패이서 형태로 만드는 제 2 단계와,
상기 결과물 위에 식각 방지막으로 쓰이는 제 3 절연층(4)을 증착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결과물 위에 층간 절연을 목적으로 하는 제 4 절연층(5)을 증착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결과물 위에 식각 방지막 역할을 하는 제 5 절연층(6)을 증착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결과물 위에 감광막을 이용하여 콘택 플러그가 형성될 부분을 패턴하고 상기 제 4 및 제 5 절연층을 식각하는 제 6 단계와,
상기 결과물 위에 제 2 전도층(7)을 증착한후 전면 식각을 행하되 상기 제 4 절연층(5)이 드러나게 하는 제 7 단계와,
상기 결과물 위에 전면 식각을 이용하여 상기 제 4 절연층(5)을 제거하는 제 8 단계와,
상기 결과물 위에 제 6 절연층(9)을 증착하는 제 9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에 더하여, 상기 제 4 절연층(5)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습식 식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4 절연층(5)은 도핑된 실리콘 산화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4 절연층(5)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등방성 건식 식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4 절연층(5)은 SOG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6 절연층(9)은 스텝 커버리지가 나쁜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6 절연층(9)은 PE-CVD 방법으로 증착하는 실리콘 산화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4 절연층(5)은 일부만을 제거하거나 전부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6 절연층(9)으로 보이드를 채우되, 상기 제 6 절연층(9)을 저유전막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3 절연층(4)은 실리콘 질화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전도층(1)은 디램 소자의 게이트나 비트 라인, 또는 소자의 내부 접속층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그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공정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a의 공정은, 셀프 어라인 콘택(Self-Align-Contact)을 사용하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도층 및 절연층의 구성 방법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전도층(1) 위에 제 1 절연층(2)을 증착하고 감광막을 이용하여 식각하여 패턴을 형성한 후에 식각 방지막 역할을 하는 제 2 절연층(3)을 증착하고 전면식각하여 스패이서(Spacer)형태로 만든다. 다음에 다시 식각 방지막으로 쓰이는 제 3 절연층(4)을 증착한다. 그리고, 층간 절연막 혹은 평탄화 목적의 제 4 절연층(5)을 증착하고 평탄화 작업을 한다. 그위에 식각 방지막 역할을 하게될 제 5 절연층(6)을 증착한다.
도 1b의 공정은, 감광막을 이용하여 콘택이 열릴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제 5 절연층(6) 및 제 4 절연층(5)을 식각하고 그위에 제 2 전도층(7)을 증착한 것이다.
도 1c의 공정은, 상기 제 2 전도층(7)에 대해 전면 식각을 하되 제 5 절연층(6)밑으로까지 식각하여 제 4 절연층(5)이 드러나도록 한 것이다.
도 1d의 공정은, 습식 식각을 이용하여 제 4 절연층(5)을 제거한 것이다. 이때 제 5 절연층(6) 및 제 3 절연층(4)이 식각 방지막의 역할을 한다.
도 1e의 공정은, 제 6 절연층(9)을 증착하여 제 5 절연층(6)의 틈새를 막아 후속공정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되도록 스텝 커버리지(Step Coverage)가 좋지 않은 물질을 증착하여 보이드(8)의 내부는 채우지 않도록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단계별 공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방법대로 전도층과 절연층을 형성시키고, 그 위에 층간 절연을 목적으로 하는 절연층을 형성하고 평탄화 공정등을 진행한다. 그리고 그 위에 식각 방지막을 증착한다. 이때, 대개의 경우 식각 방지막 위에 콘택 플러그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콘택 플러그를 이용하여 보이드를 형성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 식각을 이용하여 콘택 플러그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콘택 플러그의 높이를 보이드를 형성한 절연층까지 낮게 한 후에 대상 절연층을 습식 식각등을 이용하여 모두 제거한다. 이때 전에 증착했던 절연층들이 식각 방지막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부에 틈이 생기게 되는데, 이 틈이 후속 공정에 영향을 주는 것을 막기 위해 다시 절연층을 증착한다. 이때 증착하는 절연층은 되도록 이면 스텝 커버리지가 좋지 않은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내부에 형성된 보이드를 채우는 일이 없도록 하고 틈만 매울 수 있도록 한다. 그 이후에는 일반적인 후속 공정을 진행하여 소자를 완성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보이드를 이용한 전도층간 기생 커패시턴스 감소 방법에 의하면, 전면 식각을 이용하여 콘택 플러그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콘택 플러그의 높이를 보이드(void)를 형성한 절연층까지 낮게 한 후에 대상 절연층을 습식 식각등을 이용하여 모두 제거하여 보이드를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보이드를 이용하여 저유전률 절연막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기생 커패시턴스를 줄여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제 1 전도층(1) 위에 제 1 절연층(2)을 증착하고 감광막을 이용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결과물 위에 제 2 절연층(3)을 증착하고 전면식각하여 스패이서 형태로 만드는 제 2 단계와,
    상기 결과물 위에 식각 방지막으로 쓰이는 제 3 절연층(4)을 증착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결과물 위에 층간 절연을 목적으로 하는 제 4 절연층(5)을 증착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결과물 위에 식각 방지막 역할을 하는 제 5 절연층(6)을 증착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결과물 위에 감광막을 이용하여 콘택 플러그가 형성될 부분을 패턴하고 상기 제 4 및 제 5 절연층을 식각하는 제 6 단계와,
    상기 결과물 위에 제 2 전도층(7)을 증착한후 전면 식각을 행하되 상기 제 4 절연층(5)이 드러나게 하는 제 7 단계와,
    상기 결과물 위에 전면 식각을 이용하여 상기 제 4 절연층(5)을 제거하는 제 8 단계와,
    상기 결과물 위에 제 6 절연층(9)을 증착하는 제 9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이드를 이용한 전도층간 기생 커패시턴스 감소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절연층(5)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습식 식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이드를 이용한 전도층간 기생 커패시턴스 감소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절연층(5)은 도핑된 실리콘 산화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층간 기생 커패시턴스 감소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절연층(5)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등방성 건식 식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층간 기생 커패시턴스 감소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절연층(5)은 SOG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층간 기생 커패시턴스 감소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절연층(9)은 스텝 커버리지가 나쁜 물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층간 기생 커패시턴스 감소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절연층(9)은 PE-CVD 방법으로 증착하는 실리콘 산화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층간 기생 커패시턴스 감소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8 단계에서, 상기 제 4 절연층(5)의 일부만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층간 기생 커패시턴스 감소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8 단계에서, 상기 제 4 절연층(5)의 전부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층간 기생 커패시턴스 감소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절연층(9)으로 보이드를 채우되, 상기 제 6 절연층(9)을 저유전막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층간 기생 커패시턴스 감소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절연층(4)은 실리콘 질화막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층간 기생 커패시턴스 감소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도층(1)은 디램 소자의 게이트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층간 기생 커패시터스 감소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도층(1)은 디램 소자의 비트 라인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층간 기생 커패시터스 감소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도층(1)은 소자의 내부 접속층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층간 기생 커패시터스 감소 방법.
KR1019990025696A 1999-06-30 1999-06-30 보이드를 이용한 전도층간 기생 커패시턴스 감소 방법 KR200100049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696A KR20010004928A (ko) 1999-06-30 1999-06-30 보이드를 이용한 전도층간 기생 커패시턴스 감소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696A KR20010004928A (ko) 1999-06-30 1999-06-30 보이드를 이용한 전도층간 기생 커패시턴스 감소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4928A true KR20010004928A (ko) 2001-01-15

Family

ID=19597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5696A KR20010004928A (ko) 1999-06-30 1999-06-30 보이드를 이용한 전도층간 기생 커패시턴스 감소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49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8164A (zh) * 2017-10-20 2019-04-30 三星电子株式会社 集成电路器件及制造其的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8164A (zh) * 2017-10-20 2019-04-30 三星电子株式会社 集成电路器件及制造其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88287A (ko) 다마신 게이트 공정에서 자기정렬콘택패드 형성 방법
KR20020045028A (ko) 셀프 얼라인 콘택 식각 공정을 채용할 경우 보이드 없이패드를 형성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549576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370131B1 (ko) Mim 캐패시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03329B1 (ko) 반도체소자의 비트라인 형성방법
KR20010004928A (ko) 보이드를 이용한 전도층간 기생 커패시턴스 감소 방법
KR100345069B1 (ko) 반도체 소자의 폴리실리콘 플러그 형성방법
KR100505399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 형성방법
KR101204919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10011640A (ko) 반도체 장치의 플러그폴리 형성방법
KR100195212B1 (ko)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KR100351909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300076B1 (ko) 반도체 메모리의 셀 커패시터 제조방법
KR0131738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213203B1 (ko) 콘택홀을 가지는 반도체 장치 및 그의 형성방법
KR100525108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00027911A (ko) 반도체 장치의 콘택 형성 방법
KR100728968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445408B1 (ko) 반도체소자의콘택방법
KR20020024555A (ko) 고도전성 게이트, 로컬 인터커넥트 또는 커패시터 노드를가진 집적 장치
KR20030003306A (ko) 반도체 장치의 랜딩 플러그 제조 방법
KR19990021592A (ko) 반도체 장치의 콘택홀 형성 방법
KR20010061598A (ko) 반도체소자의 자기정렬적인 콘택 형성방법
KR20020056360A (ko) 커패시터의 저장 전극 형성 방법
KR20050062915A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