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3798A -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정보 시스템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정보 시스템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3798A
KR20010003798A KR1019990024234A KR19990024234A KR20010003798A KR 20010003798 A KR20010003798 A KR 20010003798A KR 1019990024234 A KR1019990024234 A KR 1019990024234A KR 19990024234 A KR19990024234 A KR 19990024234A KR 20010003798 A KR20010003798 A KR 20010003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emergency rescue
short message
mobile terminal
voice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4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3291B1 (ko
Inventor
이상국
김낙구
천경준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24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3291B1/ko
Publication of KR20010003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3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3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32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82Text-based messaging services in telephone networks such as PSTN/ISDN, e.g. User-to-User Signalling or Short Message Service for fixe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긴급구조 서비스 요청시 이동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자동으로 긴급구조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위치정보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 정보 시스템에 있어서, 긴급구조 서비스 요청이 있을 경우 긴급 구조 서비스 번호로 음성호를 연결한 후 자신의 위치정보를 단문메시지로 전송하는 이동단말기와, 상기 이동단말기에서 전송한 단문메시지를 분석하여 그에 포함되어 있는 이동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긴급구조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정보 시스템 및 제어방법{LOCATION INFORMATION SYSTEM FOR EMERGENCY CALL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위치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긴급구조 서비스 요청시 이동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자동으로 긴급구조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위치정보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유선고정 전화단말장치 가입자가 긴급구조 서비스를 요청할 경우, 예를 들어 긴급구조 서비스 전화번호인 119로 통화를 수행할 경우 상기 긴급구조 서비스를 수행하는 긴급구조 시스템에서는 상기 긴급구조 서비스를 요청한 가입자와 오퍼레이터를 연결하여 음성호를 연결하면 상기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획득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긴급구조 시스템에서는 내부에 구비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획득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그 획득한 위치정보를 상기 긴급구조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는 오퍼레이터 단말로 전송하여 오퍼레이터가 그 위치정보를 인식하게 되었었다.
그러나,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유선고정 전화단말 장치에서만 이런 위치정보 시스템에 제공되었기 때문에 모든 유선고정 전화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일일이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별도로 저장하고 있어야만 했고, 또한 유선고정 사용자만이 이런 위치정보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근래에 다수로 보급된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긴급구조 서비스를 요청할 경우 그 위치정보를 자동으로 획득하는 것은 불가능하였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단말기의 단문메시지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자동으로 전송하는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정보 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 정보 시스템은, 긴급구조 서비스 요청이 있을 경우 긴급 구조 서비스 번호로 음성호를 연결한 후 자신의 위치정보를 단문메시지로 전송하는 이동단말기와, 상기 이동단말기에서 전송한 단문메시지를 분석하여 그에 포함되어 있는 이동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긴급구조 시스템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정보 시스템 제어 방법은, 상기 이동단말로부터 긴급구조 서비스 요청에 따라 음성호를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호를 연결한 후 상기 이동단말로부터 위치정보를 단문메시지로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단문메시지의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음성호가 연결된 오퍼레이터 단말로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 정보 시스템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 정보 시스템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단문메시지 수신부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 정보 시스템 제어과정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위치 정보 전송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위치 정보 전송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구조 시스템의 위치정보 획득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칩설계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 정보 시스템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먼저, 이동단말기(MS: Mobile Station)(100)가 긴급구조 서비스, 예를 들어 119를 요청하면 기지국 서브 시스템(BSS: Base Station Subsystem)(110)을 통해 이동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enter)(120)로 연결되고, 상기 이동교환기(120)는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최소 거리를 가지는 위치에 이격되어 위치하고 있는 긴급구조 시스템(150)을 찾아 공중교환망(PSTN: Public Switching Telephone Network)(140)을 통해 음성호를 연결한다.
이렇게, 상기 이동단말기(100)아 상기 긴급구조 시스템(150)이 음성호가 연결되면 상기 이동단말기(150)는 현재 자신의 위치정보를 단문메시지(Short Message)로 전송하고, 이렇게 전송된 단문메시지는 단문메시지 센터(SMC: Short Message Center)(130)로 전달되어 무선으로 상기 긴급구조 시스템(150)으로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전세계 위치정보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에서 제공하는 위치좌표를 수신하는 전세계 위치정보 시스템 수신기(GPSR: 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를 구비하여 자기 자신의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저장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긴급구조 시스템(150)은 상기 긴급구조 시스템(150)의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153)와, 상기 공중교환망(140)과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는 긴급구조 시스템 접속부(151)와, 상기 단문메시지 센터(130)에서 전송한 단문메시지를 수신하는 단문메시지 수신부(157)와, 상기 단문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이동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분석하는 지리정보부(155)와, 상기 제어부(153)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음성호가 연결되어 긴급구조 서비스를 수행하는 오퍼레이터와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는 오퍼레이터 단말 1(159), ... , 오퍼레이터 단말 N(161)으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 정보 시스템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구성부와 각각의 구성부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며, 단지 이동단말기(100)에서 전송한 단문메지시가 단문메시지 센터(130)를 통해서 전송될 때 무선으로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전용패킷망(180)을 통해서 전송된다는 점에 있어서만 상이하다,
여기서, 상기 단문메시지 센터(130)는 상기 전용패킷망의 아이피(IP) 주소를 저장하고 있는 긴급구조 시스템 데이터 베이스(170)를 검색하여 상기 단문메시지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음성호가 연결되어 있는 긴급구조 시스템(150)의 아이피 주소를 결정하여 상기 단문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3은 단문메시지 수신부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먼저, 무선처리부(310)는 단문메시지 센터(130)에서 전송한 무선 단문메시지를 수신하여 단문메시지 처리부(320)로 전송한다. 상기 단문메시지 처리부(320)는 상기 단문메시지를 분석하여 그에 포함되어 있는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긴급구조 시스템 응용 레벨 처리부(330)로 출력한다. 상기 긴급구조 시스템 응용 레벨 처리부(330)는 상기 단문메시지 처리부(320)에서 출력한 위치정보를 입력하여 TCP/IP 패킷(Packet)에 실어서 TCP/IP 스택(Stack)(340)을 통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NIC: Network Interface Card)(350)를 통해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지리정보부(155)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50)를 통해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이유는 상기 단문메시지 수신부(157)가 상기 지리정보부(155)와 LAN(Local Area Network)을 통해 결합하기 때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 정보 시스템 제어과정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먼저, 이동단말기(100)에서 긴급구조 서비스 요청이 감지되면(411단계)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상기 긴급구조 서비스를 수행하는 긴급구조 시스템으로 다이얼링하여 음성호를 연결한다.(413단계) 그리고 나서, 상기 이동단말기(100) 자신의 현재위치를 단문메시지로 단문메시지 센터(130)로 전송한다. 상기 단문메시지 센터(130)는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전송한 단문메시지를 상기 긴급구조 시스템(150)으로 전송한다.
상기 긴급구조 시스템(150)은 상기 단문메시지 센터(130)에서 전송한 단문메시지를 수신하고(417단계) 상기 단문메시지를 수신하였음을 나타내는 응답(ACK)메시지를 상기 단문메시지 센터(130)로 전송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수신한 단문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현재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획득한다.(421단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위치 정보 전송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특히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이동단말기(100)의 현재 자기 자신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411단계-413단계까지)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511단계에서 이동단말기(100)는 전세계 위치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위치정보에 대한 위치좌표값을 수신하여 그 위치좌표값에 대한 현재위치정보를 검출하여 저장한 후 51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13단계에서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긴급구조 서비스 요청이 있는지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긴급구조 서비스 요청이 있는지를 검사하는 방법은, 첫 번째로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구비되어 있는 긴급구조 서비스키가 입력되는지 검사하는 것이고, 두 번째로 긴급구조 서비스를 수행하는 긴급구조 시스템의 전화번호, 예를 들어 "119" 와 같은 전화번호가 입력되는지 검사하는 것이다.
검사 결과 긴급구조 서비스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51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15단계에서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상기 긴급구조 시스템 전화번호로 다이얼링하여 상기 긴급구조 시스템과 음성호를 연결하고 51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17단계에서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저장되어 있는 이동단말기(100)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단문메시지를 통해 전송하고 51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19단계에서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미리 설정한 설정주기, 예를 들어 30초가 경과되었는지를 검사한다. 검사 결과 설정주기가 경과되었다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52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21단계에서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상기 긴급구조 시스템과 호가 연결중인가를 검사한다. 검사 결과 호가 연결중이 아니라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리턴한다.
만약 검사 결과 호가 연결중이라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52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23단계에서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저장되어 있는 현재 위치 정보를 단문메시지를 통해 전송하고 리턴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상기 517단계에서 최초전송한 현재위치정보와 상기 523단계에서 전송한 현재위치정보는 서로 동일할 수도, 다를 수도 있는데, 그 이유는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상기 전세계 위치 정보 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위치좌표를 받아 자신의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설정주기 이내에 위치 이동이 없었다면 전송한 위치정보 각각이 서로 동일하며, 상기 설정 주기 이내에 위치 이동이 있었다면 전송한 위치정보 각각이 서로 다르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위치 정보 전송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611단계에서 617단계까지의 과정은 상기 도 5에서 설명한 511단계에서 517단계까지의 과정과 동일하며, 이에 619단계부터 설명하기로 하면;
619단계에서 이동단말기(100)는 자신의 현재 위치정보가 미리 설정한 설정값을 초과하여 변경되는지를 검사한다. 여기서, 위치정보가 설정값을 초과하여 변경된다 함은 617단계에서 최초전송한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 좌표값과 미리 설정한 변동좌표값 이상으로 변경됨을 의미하며, 이는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위치이동을 하였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검사 결과 위치정보가 설정값을 초과하여 변경되었을 경우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62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21단계에서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상기 음성호가 연결중인지를 검사한다. 검사 결과 호가 연결중이 아니라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리턴한다.
만약 검사 결과 호가 연결중이라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62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23단계에서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단문메시지로 현재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리턴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구조 시스템의 위치정보 획득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특히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긴급구조 시스템(150)의 이동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417단계-421단계까지)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711단계에서 긴급구조 시스템의 제어부(153)가 긴급구조 시스템 접속부(151)를 통해 이동단말기(100)로부터 긴급구조 서비스 요청신호가 수신됨을 감지할 경우 상기 제어부(153)는 71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71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53)는 상기 긴급구조 서비스 요청이 있는 이동단말기(100)로 음성호를 연결하고 715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53)는 다수의 오퍼레이터 단말 1(159)-오퍼레이터단말 N(161) 중에서 유휴(idle)중인 오퍼레이터단말, 예를 들어 상기 오퍼레이터 단말 N(161)으로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음성호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71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53)는 단문메시지 수신부(157)를 통해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단문메시지로 전송한 자기 자신의 현재 위치정보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 검사 결과 위치정보가 수신된다면 상기 제어부(153)는 71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717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53)는 상기 수신한 이동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지리정보부(155)를 통해 분석하고 719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지리정보부(155)는 상기 단문메시지 수신부(157)에서 수신·분석한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위치정보에 따른 위치좌표를 가지고서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현재위치를 분석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단문메시지에는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위치정보 뿐만 아니라 자신의 발신번호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719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53)는 상기 분석된 위치정보를 상기 음성호가 연결되어 있는 오퍼레이터 단말 N(161)으로 송신하여 상기 오퍼레이터 단말 N(161)에 상기 위치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고 리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를 통해 긴급구조 서비스를 요청할 경우 상기 이동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를 통해 자신의 현재 위치정보를 긴급구조 서비스를 수행하는 긴급구조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그 전송한 위치정보를 긴급구조 시스템에서 획득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하여 이동단말기의 위치정보를 별도의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하지 않아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여 자원의 효율성을 증가시킨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긴급구조 서비스를 요청한 이동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함으로써 긴급구조 시스템에서 이동단말기의 정확한 위치정보를 신속하게 획득하도록 하여 향상된 긴급구조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19)

  1.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 정보 시스템에 있어서,
    긴급구조 서비스 요청이 있을 경우 긴급 구조 서비스 번호로 음성호를 연결한 후 자신의 위치정보를 단문메시지로 전송하는 이동단말기와,
    상기 이동단말기에서 전송한 단문메시지를 분석하여 그에 포함되어 있는 이동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긴급구조 시스템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 정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구조 시스템은;
    긴급구조 서비스를 진행하는 오퍼레이터 단말과,
    상기 이동단말기에서 전송한 단문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위치정보를 분석하는 지리정보부와,
    상기 분석한 위치정보를 상기 음성호가 연결된 오퍼레이터 단말로 연결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 정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는 전세계 위치정보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위치좌표를 위치정보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 정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구조 시스템은 상기 이동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전세계 위치정보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위치좌표를 근거로 하여 분석함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정보 시스템.
  5. 이동단말기와 다수의 오퍼레이터 단말을 구비한 긴급구조 시스템으로 구현된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 정보 시스템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로부터 긴급구조 서비스 요청에 따라 음성호를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호를 연결한 후 상기 이동단말로부터 위치정보를 단문메시지로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단문메시지의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음성호가 연결된 오퍼레이터 단말로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 정보 시스템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는 전세계 위치정보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위치좌표를 위치정보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 정보 시스템 제어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구조 시스템은 상기 이동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전세계 위치정보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위치좌표를 근거로 하여 분석함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정보 시스템 제어방법.
  8.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정보 시스템에 있어서,
    긴급구조 서비스를 요청이 감지되면 상기 긴급구조 서비스를 수행하는 긴급구조 시스템으로 음성호를 연결하며, 상기 음성호를 연결한 후 현재 위치정보를 단문메시지로 전송하는 이동단말기와,
    상기 이동단말기에서 전송한 단문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긴급구조 시스템으로 무선 전송하는 단문메시지 센터와,
    상기 단문메시지 센터에서 무선 전송한 단문메시지를 수신하여 그에 포함되어 있는 현재 위치정보를 분석하는 긴급구조 시스템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정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는 구비되어 있는 긴급구조 서비스키 혹은 긴급구조 서비스를 수행하는 전화번호의 입력을 감지함으로써 긴급구조 서비스 요청을 감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정보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구조 시스템은;
    상기 단문메시지 센터에서 전송한 단문메시지를 수신하는 단문메시지 수신부와,
    상기 긴급구조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기와 음성호를 연결하는 긴급구조 시스템 접속부와,
    상기 단문메시지 수신부에서 수신한 단문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위치정보를 분석하는 지리정보부와,
    상기 긴급구조 시스템 접속부를 통해 연결된 음성호를 유휴 오퍼레이터 단말로 연결하며, 상기 음성호가 연결된 오퍼레이터 단말로 상기 분석된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정보 시스템.
  11.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정보 시스템에 있어서,
    긴급구조 서비스를 요청이 감지되면 상기 긴급구조 서비스를 수행하는 긴급구조 시스템으로 음성호를 연결하며, 상기 음성호를 연결한 후 현재 위치정보를 단문메시지로 전송하는 이동단말기와,
    상기 이동단말기에서 전송한 단문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긴급구조 시스템의 아이피 어드레스를 검색하여 해당 아이피 어드레스의 전용패킷망으로 상기 수신한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단문메시지 센터와,
    상기 단문메시지 센터와 전용패킷망으로 정합하며, 상기 단문메시지 센터에서 전송한 단문메시지를 수신하여 그에 포함되어 있는 현재 위치정보를 분석하는 긴급구조 시스템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정보 시스템.
  12. 이동단말기와 다수의 오퍼레이터 단말을 구비된 긴급구조 시스템으로 구현된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정보 시스템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에서 사용자로부터 긴급구조 서비스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긴급구조 서비스를 수행하는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긴급구조 시스템으로 음성호를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호를 연결한 후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단문메시지로 상기 긴급구조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긴급구조 시스템에서 상기 단문메시지를 수신·분석하여 위치정보를 상기 음성호가 연결된 오퍼레이터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정보 시스템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가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긴급구조 시스템으로 전송한 후 미리 설정한 설정주기가 경과되면 다시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긴급구조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정보 시스템 제어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가 자신의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긴급 구조 시스템으로 전송한 후 미리 설정한 설정값을 초과하여 위치정보가 변경될 경우 다시 자신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긴급 구조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정보 시스템 제어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는 단문 메시지 센터를 통해 무선으로 단문메시지를 상기 긴급구조 시스템으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정보 시스템 제어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는 단문메시지 센터를 통해 전용패킷망으로 정합되어 단문메시지를 상기 긴급구조 시스템으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정보 시스템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메시지 센터는 상기 긴급구조 시스템의 전용패킷망의 아이피 어드레스를 검색하여 해당하는 전용패킷망으로 상기 단문메시지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정보 시스템 제어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는 전세계 위치정보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위치좌표를 위치정보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 정보 시스템 제어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구조 시스템은 상기 이동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전세계 위치정보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위치좌표를 근거로 하여 분석함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정보 시스템 제어방법.
KR1019990024234A 1999-06-25 1999-06-25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정보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0303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4234A KR100303291B1 (ko) 1999-06-25 1999-06-25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정보 시스템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4234A KR100303291B1 (ko) 1999-06-25 1999-06-25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정보 시스템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798A true KR20010003798A (ko) 2001-01-15
KR100303291B1 KR100303291B1 (ko) 2001-11-01

Family

ID=19595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4234A KR100303291B1 (ko) 1999-06-25 1999-06-25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정보 시스템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32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629B1 (ko) * 2002-12-05 2010-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Gps 탑재폰을 이용한 긴급 상황 시의 도움 요청방법
KR101020365B1 (ko) * 2003-09-26 2011-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요청 방법
KR101493071B1 (ko) * 2012-05-14 2015-02-17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선택적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175A (ko) * 2001-11-02 2003-05-12 주식회사 휴림인터랙티브 위치 기반의 긴급구조 서비스 방법
KR101519662B1 (ko) 2008-12-26 2015-05-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 및 위치정보 전송 방법
KR102141045B1 (ko) 2020-02-26 2020-08-04 정영일 긴급신고전화 현장대응 지원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629B1 (ko) * 2002-12-05 2010-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Gps 탑재폰을 이용한 긴급 상황 시의 도움 요청방법
KR101020365B1 (ko) * 2003-09-26 2011-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요청 방법
KR101493071B1 (ko) * 2012-05-14 2015-02-17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선택적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3291B1 (ko) 200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9819B2 (en) Control and messaging during emergency calls
US848373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updated mobile station location estimates to emergency services providers
KR100997059B1 (ko) 무선 네트워크용 국제 다이얼링
US6684068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message to a mobile station
US7486947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position search method
JP2004536493A (ja) 位置に基づいてダイヤル呼出しシーケンスを調整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02159068A (ja) 携帯電話機および携帯電話機の動作制御システム
US20070140216A1 (en) GPS-assisted architecture for VoIP 9-1-1
CN101023696B (zh) 移动电话中的自动位置注册方法
KR100303291B1 (ko)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정보 시스템 및 제어방법
JP2004015336A (ja) 緊急情報通知機能を備えたサーバ装置
CN1930864B (zh) 用于向呼叫中心发送呼叫通信终端定位数据的方法
JP2002077974A (ja) 位置表示システム
KR20030093038A (ko) 수신자 상황 모드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단말기
KR100547873B1 (ko) 무선호출망을 이용한 agps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단말 위치 측정 방법
JP2002209245A (ja) 移動体の位置監視システムおよび移動体の位置監視方法
JP2004265191A (ja) 緊急通報管理装置、移動体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の緊急通報発信方法、緊急通報システムおよび緊急通報方法
JPH1123292A (ja) 簡易型車両管理システム
JP2001136564A (ja) 移動局の利用規制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CN112770253A (zh) 紧急呼叫的定位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JP2003319437A (ja) 緊急情報通知機能を備えたサーバ装置及び移動通信端末
KR100488177B1 (ko)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7263715B2 (en) Communications terminal operable with high security protocol
KR2007002331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긴급 통화 서비스 장치 및 방법
JP2002171571A (ja) 移動体無線通信装置を用いた緊急通報システム及び緊急通報管理セ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