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2527A - 디지털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표시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표시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2527A
KR20010002527A KR1019990022356A KR19990022356A KR20010002527A KR 20010002527 A KR20010002527 A KR 20010002527A KR 1019990022356 A KR1019990022356 A KR 1019990022356A KR 19990022356 A KR19990022356 A KR 19990022356A KR 20010002527 A KR20010002527 A KR 20010002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ransmission
bit
baud rate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2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웅빈
임두루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90022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2527A/ko
Publication of KR20010002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252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4Crockery baskets; Draining-rac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LCD를 직렬 통신으로 제어함으로써 LCD 제어 회로의 구성을 단순화하고 휴대용 단말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간략화하여 단말기의 소형화를 도모토록 한 디지털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표시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보 레이트 결정, 동기 마스터, 직렬 포트 결정, 인터럽트 온/오프 제어, 8비트 또는 9비트 전송 결정을 수행하는 초기화 단계, 초기화후 송신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여 송신 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토록 제어하는 단계, 단계후 송신 데이터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여, 송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직렬 쉬프트 레지스터의 데이터를 직렬로 LCD모듈에 출력해주는 단계, 직렬 쉬프트 레지스터의 출력을 LCD모듈로 출력한 후 직렬 쉬프트 레지스터의 상태를 검색하여, 데이터가 존재하면 송신 데이터를 LCD모듈로 출력하는 단계로 리턴하는 단계를 순차 실행시킴으로써, LCD를 직렬 통신으로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표시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LCD controlling of portable terminal in digital trunked radio system}
본 발명은 디지털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D-TRS)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표시기(LCD)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LCD를 직렬 통신으로 제어함으로써 LCD 제어 회로의 구성을 단순화하고 휴대용 단말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간략화하여 단말기의 소형화를 도모토록 한 디지털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표시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채널을 다수의 이용자가 공용하므로써 이용자가 자동적으로 다수의 채널중 빈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주파수의 이용 효율이 높으며 통화 품질이 향상되고 데이터 통신과 팩스(FAX) 통신이 가능하며 주파수는 800MHz대를 사용한다.
이러한 D-TRS 시스템은 이동국(이동 전화 또는 휴대용 단말기)에 개별 번호(Unique ID)를 부여하여 개별 통신(individual call)을 할 수 있으며, 지령국(center)에서 그룹 전체와 일제통화(all call)를 할 수 있는 그룹 통신 기능과 비상시에 일제통보 서비스를 할 수 있으므로 치안, 운수, 건설, 항만 분야에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첨부한 도면 도1은 일반적인 디지털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망교환기(20)는 공중전화망(PSTN)(10)과 연결되고 라인 콘트롤러와 메인 콘트롤러로 이루어져, 단말기와 중계 기지국을 제어 및 관리한다.
중계 기지국(30)은 사이트 콘트롤러(31), 리피터(32), 망운용 관리 시스템(33)으로 이루어지고, 지령국(40)과 단말기(50) 또는 단말기 상호간에 통화를 중계해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단말기(50)는 한 개 또는 다수의 가입자 그룹에 속하여 운용되는데, 상기 지령국(40)과 교신하며 그리고 단말기 상호간에 통화를 할 수 있고 상기 망교환기(20)를 통해 공중전화망(10)과 접속이 가능하다.
한편, 현재의 디지털 TRS 단말기에서 음성 통화 기능은 지령통화와 전화통화가 있다. 지령 통화는 같은 그룹에 속한 가입자간에 통화를 할 수 있는 기능으로써 그룹의 한 가입자가 PTT(Press To Talk)키를 누르고 통화를 하면 그룹의 나머지 가입자가 동시에 들을 수 있는 Half-Duplex 방식이다. 현재는 스피커를 통해서 지령을 들을 수 있다. 그리고 전화 통화는 PSTN망을 이용하여 TRS 가입자가 아닌 일반 전화 사용자와 통화를 할 수 있는 방식으로, Full-Duplex이며, 현재는 수화기를 통해서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종래의 LCD(액정표시기) 제어는, 8비트 또는 4비트 병렬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LCD를 컨트롤한다.
즉, 병렬 통신을 위해서는 8개의 데이터 포트(8비트 병렬일 경우, 4비트 병렬일 경우에는 4개의 데이터 포트)와 3개의 컨트롤 포트(인에이블, 리드/라이트(R/W*), RS)를 사용한다.
따라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LCD 제어를 위해서는 많은 포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의 소형화가 어렵고, 또한 많은 포트의 제어를 위해서는 회로 구성도 상대적으로 복잡해져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LCD 제어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의 LCD를 직렬 통신으로 제어함으로써 LCD 제어 회로의 구성을 단순화하고 휴대용 단말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간략화하여 단말기의 소형화를 도모토록 한 디지털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표시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장치)은,
송신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며 송신 데이터가 존재하면 송신 인터럽트 플래그를 세팅하는 송신 데이터 버퍼와;
상기 송신 데이터 버퍼에서 얻어지는 송신 인터럽트 플래그와 송신 인터럽트 인에이블 신호를 논리곱하고 그 결과치를 인터럽트 신호로 출력하는 제1앤드게이트와;
보 레이트 결정을 위한 보 레이트 클럭을 발생하는 보 레이트 발생기와;
상기 보 레이트 발생기에서 얻어지는 보 레이트 클럭과 송신 인에이블 신호를 논리곱하여 그 결과치를 레지스터 제어신호로 출력하는 제2앤드게이트와;
상기 8비트 또는 9비트 전송을 결정하기 위한 신호와 9비트 전송시 추가 1비트를 위한 신호를 논리곱하여 출력하는 제3앤드게이트와;
상기 제2앤드게이트에서 출력되는 클럭으로 전송 레이트를 결정하고 상기 송신 데이터 버퍼에서 출력되는 8비트 데이터와 상기 제3앤드게이트에서 출력되는 1비트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출력하는 직렬 쉬프트 레지스터와;
상기 직렬 쉬프트 레지스터의 출력 데이터를 LCD로 출력하고 상기 직렬 쉬프트 레지스터의 데이터 상태에 따라 상기 송신 데이터 버퍼를 제어하는 버퍼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방법)은,
보 레이트 결정, 동기 마스터, 직렬 포트 결정, 인터럽트 온/오프 제어, 8비트 또는 9비트 전송 결정을 수행하는 초기화 단계와;
상기 초기화후 송신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여 송신 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토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후 송신 데이터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여, 송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직렬 쉬프트 레지스터의 데이터를 직렬로 LCD모듈에 출력해주는 단계와;
상기 직렬 쉬프트 레지스터의 출력을 LCD모듈로 출력한 후 상기 직렬 쉬프트 레지스터의 상태를 검색하여, 데이터가 존재하면 상기 송신 데이터를 LCD모듈로 출력하는 단계로 리턴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표시기 제어장치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표시기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송신 데이터 버퍼
102, 104, 105 : 제1 내지 제3 앤드게이트
103 : 보 레이트 발생기
106 : 직렬 쉬프트 레지스터
107 : 버퍼 제어부
이하,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표시기 제어장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버스를 통해 전달되는 송신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며 송신 데이터가 존재하면 송신 인터럽트 플래그(TXIF)를 세팅하는 송신 데이터 버퍼(101)와, 상기 송신 데이터 버퍼(101)에서 얻어지는 송신 인터럽트 플래그와 송신 인터럽트 인에이블 신호(TXIE)를 논리곱하고 그 결과치를 인터럽트 신호로 출력하는 제1앤드게이트(102)와, 보 레이트(BAUD RATE) 결정을 위한 보 레이트 클럭(BAUD RATE CLK)을 발생하는 보 레이트 발생기(103)와, 상기 보 레이트 발생기(103)에서 얻어지는 보 레이트 클럭과 송신 인에이블 신호(TXEN)를 논리곱하여 그 결과치를 레지스터 제어신호로 출력하는 제2앤드게이트(104)와, 상기 8비트 또는 9비트 전송을 결정하기 위한 신호(TX8/TX9)와 9비트 전송시 추가 1비트를 위한 신호(TXD8)를 논리곱하여 출력하는 제3앤드게이트(105)와, 상기 제2앤드게이트(104)에서 출력되는 클럭으로 전송 레이트를 결정하고 상기 송신 데이터 버퍼(101)에서 출력되는 8비트 데이터와 상기 제3앤드게이트(105)에서 출력되는 1비트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출력하는 직렬 쉬프트 레지스터(106)와, 상기 직렬 쉬프트 레지스터(106)의 출력 데이터를 LCD로 출력하고 상기 직렬 쉬프트 레지스터(106)의 데이터 상태에 따라 상기 송신 데이터 버퍼(101)를 제어하는 버퍼 제어부(107)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기 제어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SCI : Serial Communication Interface)는, 비동기 모드(Full Duplex), 동기 마스터 모드(Half Duplex), 동기 슬레이브 모드(Half Duplex)라는 세가지 모드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액정표시기 제어는 하프 듀플렉스 방식으로도 충분히 제어가 가능하고 LCD 모듈이 슬레이브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동기 마스터 모드를 선택한다.
그리고 관련 레지스터는 TXSTA(Transmit Status And Control Register), RCSTA(Receive Status And Control Register), SPBRG(Baud Rate Register), TSR(Transmit Shift Register), TXREG(Read/Write Transmit Buffer)가 있다. 이중 TXSTA와 RCSTA는 동기 마스터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레지스터이고, SPBRG는 원하는 보 레이트를 얻기위한 레지스터이다, 따라서 SPBRG 값에 따라 LCD 제어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레지스터를 사용한 본 발명은, 데이터 버스를 통해 송신할 데이터가 입력되면, 송신 데이터 버퍼(101)는 이를 일시 저장하고, 동시에 송신 인터럽트 플래그(TXIF)를 "1"로 세팅한다. 이때 송신 인터럽트 발생을 원할 경우에는 송신 인터럽트 인에이블 신호(TXIE)를 초기에 "1"로 세팅하게 되고, 따라서 제1앤드게이트(102)는 이 두 신호(TXIF, TXIE)를 논리곱하여 그 결과치, 즉 "하이신호"로 인터럽트를 발생한다. 이 경우에는 송신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인터럽트를 발생하는 방식이며, 만약 송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인터럽트를 사용하지 않겠다면 상기 송신 인터럽트 인에이블 신호를 초기에 "0"으로 세팅하면 된다.
아울러 보 레이트 발생기(103)는 초기에 결정되는 전송 비트, 예를 들어 8비트 전송인지 아니면 9비트 전송인지를 결정하는 전송 비트 결정신호에 따라 보 레이트 클럭을 발생하게 된다.
제2앤드게이트(104)는 상기 보 레이트 발생기(103)에서 발생되는 보 레이트 클럭과 초기에 송신시 세팅되는 송신 인에이블 신호(TXEN)를 논리곱하여 그 결과치를 보 레이트 클럭으로 직렬 쉬프트 레지스터(106)에 전달한다.
그리고 제3앤드게이트(105)는 상기 전송 비트를 결정하기 위한 신호(TX8 또는 TX9)와 전송 비트가 9비트로 결정된 경우 1비트 추가를 위한 데이터(TXD8)를 논리곱하여 그 결과치를 상기 직렬 쉬프트 레지스터(106)에 전달한다.
여기서 전송 비트가 8비트로 결정된 경우에는 상기 전송 비트를 결정하는 신호(TX8/TX9)가 "0"으로 세팅되어 제3앤드게이트(105)의 출력 신호는 로우신호가 되며, 이와는 달리 상기 전송 비트가 9비트로 결정된 경우에는 상기 전송 비트를 결정하는 신호(TX8/TX9)가 "1"로 세팅되며, 이 경우 제3앤드게이트(105)의 출력은 TXD8 신호와 동일하다.
한편, 직렬 쉬프 레지스터(106)는 상기 제2앤드게이트(104)에서 출력되는 클럭에 따라 데이터 전송 타이밍을 설정한다. 즉, 입력되는 보 레이트 클럭의 상승 에지에 입력 데이터를 쉬프트하고, 하강 에지에 쉬프트한 데이터를 출력한다. 아울러 전송 비트가 8비트일 경우에는 상기 송신 데이터 버퍼(101)에서 출력되는 8비트 데이터를 순차 쉬프트시켜 직렬 데이터로 버퍼 제어부(107)에 전달한다. 여기서 버퍼 제어부(107)에 전달되는 직렬 데이터는 상기 송신 데이터 버퍼(101)에서 얻어지는 8비트 병렬 데이터중 최하위 비트(LSB)가 제일 먼저 버퍼 제어부(107)에 전달되고, 최상위 비트(MSB)가 제일 나중에 버퍼 제어부(107)에 전달되는 방식으로 직렬 데이터의 출력이 결정된다. 아울러 전송 비트가 9비트일 경우, 직렬 쉬프트 레지스터(106)는 상기 송신 데이터 버퍼(101)에서 출력되는 8비트의 데이터의 맨 마지막 비트에 상기 제3앤드게이트(105)의 출력 신호를 부가하여 상기 버퍼 제어부(107)에 전달한다.
그러면 버퍼 제어부(107)는 전달되는 직렬 데이터를 LCD모듈에 전달하게 되며, LCD모듈에 데이터를 전달한 후에는 상기 직렬 쉬프트 레지스터(106)의 상태 신호(TRMT)를 상기 송신 데이터 버퍼(101)에 전달해주어 데이터 전송 타이밍이 제어되도록 한다. 여기서 버퍼 제어부(107)는 초기에 인가되는 직렬 포트 인에이블 신호(SPEN)에 따라 그 출력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즉, 상기 직렬 포트 인에이블 신호가 "로우신호"일 경우에는 LCD모듈로 데이터를 출력하지 않게되며, 이와는 달리 직렬 포트 인에이블 신호가 "하이신호"일 경우에만 상기 LCD모듈로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
첨부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표시기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 레이트 결정, 동기 마스터, 직렬 포트 결정, 인터럽트 온/오프 제어, 8비트 또는 9비트 전송 결정을 수행하는 초기화 단계(S10)와, 상기 초기화후 송신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여 송신 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토록 제어하는 단계(S20)와, 상기 단계후 송신 데이터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여, 송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직렬 쉬프트 레지스터의 데이터를 직렬로 LCD모듈에 출력해주는 단계(S30 ~ S50)와, 상기 직렬 쉬프트 레지스터의 출력을 LCD모듈로 출력한 후 상기 직렬 쉬프트 레지스터의 상태를 검색하여, 데이터가 존재하면 상기 송신 데이터를 LCD모듈로 출력하는 단계로 리턴하는 단계(S60 ~ S8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LCD 제어방법은, 먼저 초기화 과정으로 보 레이트를 결정하고, 동기 마스터 방식을 결정하며, 직렬 포트를 초기화시키고, 인터럽트 온/오프 여부를 결정하며, 전송 비트를 결정한다(S10).
그런 다음 송신 인에이블 신호를 "1"로 발생하며(S20), 상기 송신 인에이블 신호가 "1"로 세팅된 상태에서 송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30).
이 판단 결과 송신 데이터가 없으면 송신 데이터 버퍼에 새로운 데이터가 로드될때까지 대기를 하고(S40), 이와는 달리 상기 송신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에는 이를 직렬 쉬프트 레지스터를 이용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LCD모듈로 전달한다(S50).
그리고 직렬 쉬프트 레지스터의 상태를 체크하여(S60), 직렬 쉬프트 레지스터에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에는 상기 직렬 쉬프트 레지스터가 공핍(empty)상태가 될때까지 대기하며(S70), 이와는 달리 상기 직렬 쉬프트 레지스터가 공핍 상태가 되면, LCD 제어 데이터가 더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여(S80), 없으면 LCD 제어과정을 종료하고, LCD제어 데이터가 더 있을 경우에는 상기 단계(S50)로 리턴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LCD를 직렬 통신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통신을 위한 클럭 라인과 데이터 라인만이 필요하게 되어 회로 구성이 용이하고 LCD제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디지털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LCD 제어장치에 있어서,
    송신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며 송신 데이터가 존재하면 송신 인터럽트 플래그를 세팅하는 송신 데이터 버퍼;
    상기 송신 데이터 버퍼에서 얻어지는 송신 인터럽트 플래그와 송신 인터럽트 인에이블 신호를 논리곱하고 그 결과치를 인터럽트 신호로 출력하는 제1앤드게이트;
    보 레이트 결정을 위한 보 레이트 클럭을 발생하는 보 레이트 발생기;
    상기 보 레이트 발생기에서 얻어지는 보 레이트 클럭과 송신 인에이블 신호를 논리곱하여 그 결과치를 레지스터 제어신호로 출력하는 제2앤드게이트;
    상기 8비트 또는 9비트 전송을 결정하기 위한 신호와 9비트 전송시 추가 1비트를 위한 신호를 논리곱하여 출력하는 제3앤드게이트;
    상기 제2앤드게이트에서 출력되는 클럭으로 전송 레이트를 결정하고 상기 송신 데이터 버퍼에서 출력되는 8비트 데이터와 상기 제3앤드게이트에서 출력되는 1비트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출력하는 직렬 쉬프트 레지스터;
    상기 직렬 쉬프트 레지스터의 출력 데이터를 LCD로 출력하고 상기 직렬 쉬프트 레지스터의 데이터 상태에 따라 상기 송신 데이터 버퍼를 제어하는 버퍼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표시기 제어장치.
  2. 디지털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LCD 제어방법에 있어서,
    보 레이트 결정, 동기 마스터, 직렬 포트 결정, 인터럽트 온/오프 제어, 8비트 또는 9비트 전송 결정을 수행하는 초기화 단계와;
    상기 초기화후 송신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여 송신 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토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후 송신 데이터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여, 송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직렬 쉬프트 레지스터의 데이터를 직렬로 LCD모듈에 출력해주는 단계와;
    상기 직렬 쉬프트 레지스터의 출력을 LCD모듈로 출력한 후 상기 직렬 쉬프트 레지스터의 상태를 검색하여, 데이터가 존재하면 상기 송신 데이터를 LCD모듈로 출력하는 단계로 리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표시기 제어방법.
KR1019990022356A 1999-06-15 1999-06-15 디지털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표시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025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356A KR20010002527A (ko) 1999-06-15 1999-06-15 디지털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표시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356A KR20010002527A (ko) 1999-06-15 1999-06-15 디지털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표시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527A true KR20010002527A (ko) 2001-01-15

Family

ID=19592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2356A KR20010002527A (ko) 1999-06-15 1999-06-15 디지털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표시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2527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29934A2 (en) * 1991-08-23 1993-03-03 Motorola, Inc. LCD driver and control unit
JPH0695067A (ja) * 1992-09-16 1994-04-08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KR20000025280A (ko) * 1998-10-09 2000-05-06 윤종용 액정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액정 디스플레이 구동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29934A2 (en) * 1991-08-23 1993-03-03 Motorola, Inc. LCD driver and control unit
JPH0695067A (ja) * 1992-09-16 1994-04-08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KR20000025280A (ko) * 1998-10-09 2000-05-06 윤종용 액정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액정 디스플레이 구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0941A (en) Digital radio telephone system
HU208204B (en) Master and slave data transmission device, system and portable radiox telephone
KR920702132A (ko) 표준 전화기를 갖는 셀률러 전화
JP3166796B2 (ja) コードレス電話
KR20010002527A (ko) 디지털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표시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H06152512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4080646B2 (ja) 構内交換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電話機
KR100238323B1 (ko) 스마트폰의 음성 자동응답 방법
KR19990010671A (ko) 문자를 송/수신하는 디지털 키폰전화기 및 그 운용방법
JPH05183619A (ja) 無線電話装置
KR100233134B1 (ko) 유선과 무선으로 동시에 팩스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스마트폰과 팩스데이터 송,수신방법
KR100251584B1 (ko) 덱트방식 무선통신시스템의 데이터 전송장치
KR100255214B1 (ko) 통신시스템에서 송수신 대역폭 결정방법
KR100765544B1 (ko) 복수개의 시스템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304454B1 (ko) 키폰 시스템의 피씨엠 하이웨이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KR950022664A (ko) Isdn망에 접속 가능한 디지탈 키폰시스템
KR100233132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팩스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방법
KR100529280B1 (ko) 분산 스위칭 방식의 회선제어기 및 이를 채택한 디지털지령 시스템
JP2819230B2 (ja) ボタン電話装置
KR100562386B1 (ko) 무선 전화 시스템, 데이터 송신 방법 및 베이스 유닛
JP2000217146A (ja) 無線通信装置
JPH0514459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JPH06276147A (ja) 無線電話装置
JPH06197075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2002252678A (ja) 携帯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