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1584B1 - 덱트방식 무선통신시스템의 데이터 전송장치 - Google Patents

덱트방식 무선통신시스템의 데이터 전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1584B1
KR100251584B1 KR1019970076036A KR19970076036A KR100251584B1 KR 100251584 B1 KR100251584 B1 KR 100251584B1 KR 1019970076036 A KR1019970076036 A KR 1019970076036A KR 19970076036 A KR19970076036 A KR 19970076036A KR 100251584 B1 KR100251584 B1 KR 100251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dpcm
pcm
dect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6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6060A (ko
Inventor
이종웅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6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1584B1/ko
Publication of KR19990056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6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1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1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3/00Conversion of analogue values to or from differential modulation
    • H03M3/04Differential modulation with several bits, e.g.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DPCM]
    • H03M3/042Differential modulation with several bits, e.g.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DPCM] with adaptable step size, e.g. 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ADPC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6WPBX [Wireless Private Branch Exch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덱트방식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교환시스템과 덱트기지국간의 데이터 전송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장치는, 소정 하이웨이를 가지고 있으며 이 하이웨이상의 피씨엠(PCM)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교환시스템과, 덱트기지국과, 상기 교환시스템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하이웨이상의 피씨엠데이터를 에이디피씨엠(ADPCM)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인가되는 에이디피씨엠데이터를 피씨엠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하이웨이상으로 출력하는 데이터변환기와, 상기 데이터변환기와 상기 덱트기지국의 사이에 접속되며 이들 사이에 송수신되는 피씨엠데이터를 전송하는 경로로서의 하나의 데이터 전송라인과, 상기 데이터변환기와 상기 데이터 전송라인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데이터변환기와 상기 덱트기지국의 사이에 송수신되는 에이디피씨엠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전송칩을 적어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은 DECT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교환시스템과 DECT기지국을 연결하는 데이터 전송라인의 사용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교환시스템과 DECT기지국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소모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덱트방식 무선통신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장치
본 발명은 덱트방식 무선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환시스템과 덱트기지국간의 데이터 전송시 전송라인의 사용효율을 극대화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키폰시스템(key phone system) 및 사설교환기와 같은 교환시스템은 일반전화기 가입자 및 키폰전화기 가입자를 수용하는 형태이었다. 그러나 덱트(DECT: Digital European Cordless Telephone)방식과 같은 무선전화기의 개념이 도입되면서, 상기 교환시스템은 무선가입자를 수용하는 형태로도 발전되고 있다.
DECT방식의 무선가입자를 수용하는 교환시스템은 내부에 DECT 기지국(Base Station)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BSI(Base Station Interface)가 구비되며, 이 BSI에는 다수의 DECT기지국(DBS: DECT Base Station)이 유선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DECT기지국에는 무선으로 다수의 DECT단말기가 연결되어 착호서비스, 발호서비스 및 핸드오버서비스 등을 제공받게 된다. 일예로, 무선가입자를 수용하는 교환시스템으로는 본원 출원인에 의해 1996년 10월 8일자로 선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6-44574호 제목 "키텔레폰 시스템의 가입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하에 개시된 교환시스템을 들 수 있다. 상기 BSI의 내부에는 상기 교환시스템의 BSI와 DBS간의 송수신 신호 및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전송수단이 구비되는데, 이 전송수단은 소위 DASL(Digital Adaptor for Subscriber Loop)이라고 불리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DECT방식 무선통신시스템의 연결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교환시스템 10과 DECT기지국 20은 PCM(Pulse Code Modulation)데이터 전송라인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교환시스템 10으로부터의 펄스부호변조된(PCM)데이터는 전송칩인 DASL 11,12를 통해 DECT기지국 20으로 전송된다. 상기 교환시스템 10으로부터의 PCM데이터를 수신한 DECT기지국 20의 ADPCM변환기 21은 이를 다시 ADPCM(Adaptive Differential PCM)데이터로 변환한 후 덱트코어(Dect Core) 22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교환시스템 10과 DECT기지국 20 사이의 통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DECT기지국 20은 일반적으로 4개의 통신채널을 지원하도록 설계되는데, 이 경우에 교환시스템 10의 내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B+D채널을 지원하는 2개의 전송칩인 DASL 11,12가 구비된다. 즉 각각의 DASL 11,12는 2개의 통신채널을 지원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교환시스템 10의 내부에 2개의 DASL 11,12가 구비되므로, 이들과 DECT기지국 20의 ADPCM변환기를 연결하는 PCM데이터 전송라인 또한 2쌍의 라인(2 Pair Line)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DECT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교환시스템 10과 DECT기지국 20과의 데이터전송을 위해서는 교환시스템 10의 내부에 2개의 전송수단이 구비되어야 하며, 또한 2개의 PCM전송라인이 구비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통신채널당 소모되는 비용을 높게 하며, 이에 따라 데이터 전송라인의 사용효율 또한 극대화시키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교환시스템 10의 내부에는 2개의 전송수단이 구비되어야 하고 각 DECT기지국마다 ADPCM변환기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DECT 무선통신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 많은 경비가 소모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DECT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교환시스템과 DECT기지국을 연결하는 데이터 전송라인의 사용효율을 극대화시키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DECT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교환시스템과 DECT기지국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소모되는 비용을 절감시키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DECT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교환시스템과 DECT기지국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요구되는 구성요소들의 수를 줄이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장치는, 소정 하이웨이를 가지고 있으며 이 하이웨이상의 피씨엠(PCM)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교환시스템과, 덱트기지국과, 상기 교환시스템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하이웨이상의 피씨엠데이터를 에이디피씨엠(ADPCM)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인가되는 에이디피씨엠데이터를 피씨엠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하이웨이상으로 출력하는 데이터변환기와, 상기 데이터변환기와 상기 덱트기지국의 사이에 접속되며 이들 사이에 송수신되는 피씨엠데이터를 전송하는 경로로서의 하나의 데이터 전송라인과, 상기 데이터변환기와 상기 데이터 전송라인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데이터변환기와 상기 덱트기지국의 사이에 송수신되는 에이디피씨엠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전송칩을 적어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은 DECT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교환시스템과 DECT기지국을 연결하는 데이터 전송라인의 사용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교환시스템과 DECT기지국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소모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덱트방식 무선통신시스템의 연결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덱트방식 무선통신시스템의 연결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DPCM변환기의 입출력단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ADPCM변환기의 동작타이밍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칩설계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DECT방식 무선통신시스템의 연결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교환시스템 10의 내부에는 ADPCM변환기 13과, 하나의 DASL 14가 구비되어 있으며, DECT기지국 20에는 덱트코어 22만이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따르면, 교환시스템 10의 내부에는 2개의 DASL 11,12가 구비되고, DECT기지국 20의 내부에는 ADPCM변환기 21과, 덱트코어 22가 구비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하나의 DASL와 이에 따른 데이터 전송라인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종래에는 ADPCM변환기가 DECT기지국의 수만큼 요구되었으나 이 수를 하나로 줄일 수 잇다.
도 2에서 ADPCM변환기 13은 교환시스템 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이웨이상의 PCM데이터를 ADPCM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또한 DASL 14를 통해 인가되는 ADPCM데이터를 PCM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하이웨이상으로 출력한다. DASL 14는 교환시스템 10의 종단에 구비되며, ADPCM변환기 13과 데이터 전송라인을 통해 DECT기지국 20의 덱트코어 22 사이에 접속된다. 상기 DASL 14는 ADPCM변환기 13과 덱트코어 22의 사이에 송수신되는 ADPCM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DASL 14와 덱트코어 22는 하나의 PCM데이터 전송라인을 통해 연결되는데, 이 전송라인을 통해서는 4B+D채널의 ADPCM데이터가 송수신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DPCM변환기 13의 입출력단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ADPCM변환기 13에 의해 PCM하이웨이상의 PCM데이터가 ADPCM데이터로 변환되어 DECT기지국 20으로 전송되는 동작타이밍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서 BCLKP(BIT CLOCK INPUT FOR PCM DATA)는 PCM데이터에 대한 비트클럭입력이고, BCLKA(BIT CLOCK INPUT FOR ADPCM DATA)는 ADPCM데이터에 대한 비트클럭입력이다. SIP(PCM SERIAL INPUT DATA)는 PCM 시리얼 입력데이터이고, SOP(PCM SERIAL OUTPUT DATA)는 PCM 시리얼 출력데이터이고, SYNP(SYNCHRONOUS SIGNAL INPUT FOR PCM DATA)는 PCM데이터를 위한 동기신호의 입력이다. SIA(ADPCM SERIAL INPUT DATA)는 ADPCM 시리얼 입력데이터이고, SOA(ADPCM SERIAL OUTPUT DATA)는 ADPCM 시리얼 출력데이터이고, SYNA(SYNCHRONOUS SIGNAL OUTPUT FOR PCM DATA)는 PCM데이터에 대한 동기신호의 입력이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데이터 및 신호들을 입력받는 ADPCM변환기 13은 PCM하이웨이상의 두 개의 8비트 PCM데이터를 SIP1 및 SIP2로 억세스하여 이들을 각각 4비트의 ADPCM데이터로 변환한 후 SOA1 및 SOA2로 출력한다. 이때 ADPCM변환기 13은 PCM입력데이터 SIP1,SIP2를 PCM동기신호 SYNP1,SYNP2에 따라 각 슬롯별로 입력하게 되며, ADPCM출력데이터 SOA1,SOA2를 ADPCM동기신호 SYNA1,SYNA2에 따라 각 슬롯별로 출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ADPCM변환기 13은 DASL 14로부터 인가되는 두 개의 4비트 ADPCM데이터를 SIA1 및 SIA2로 입력하여 이들을 각각 8비트의 PCM데이터로 변환한 후 SOP1 및 SOP2로서 PCM하이웨이상으로 출력한다. 이때 ADPCM변환기 13은 ADPCM출력데이터 SOA1,SOA2를 ADPCM동기신호 SYNA1,SYNA2에 따라 각 슬롯별로 입력하게 되며, PCM출력데이터 SOP1,SOP2를 PCM동기신호 SYNP1,SYNP2에 따라 각 슬롯별로 출력하게 된다.
이하 PCM하이웨이상의 8비트 PCM데이터가 4비트 ADPCM데이터로 변환된 후 PCM 데이터 전송라인을 통해 4B+D채널신호로서 DECT기지국 20의 덱트코어 22로 전송되는 동작을 설명한다.
지금, PCM하이웨이로부터 두 개의 8비트 PCM데이터가 BCLKP에 동기된 SIP1,SIP2신호로서 ADPCM변환기 13으로 인가되면, ADPCM변환기 13은 이 입력된 SIP1,SIP2신호를 4비트의 ADPCM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때 변환된 4비트의 ADPCM데이터가 도 4의 SIP1',SIP2'신호에 대응한다. 그리고 상기 ADPCM변환기 13은 상기 SIP1',SIP2'신호를 SYNA1,SYNA2신호에 따라 일련의 SOA1,SOA2신호로서 출력한다. 이렇게 출력되는 일련의 SOA1,SOA2신호는 두 개의 ADPCM데이터로 현재 사용중인 PCM데이터 하나와 같은 듀레이션(duration)을 가지고 BCLKA에 동기되어 출력되는 신호이다. 이렇게 출력된 신호는 DASL 14를 거친 후 PCM 전송라인을 통해 DECT기지국 20의 덱트코어 22로 전송되게 된다. 이때 전송되는 신호는 4B+D채널의 신호이다.
즉, 종래에는 2채널의 PCM데이터(16비트)가 각각 두 개의 DASL을 거친 후 2개의 PCM 전송라인을 통해 덱트코어 22로 전송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4채널의 ADPCM데이터(16비트)가 하나의 DASL을 거친 후 1개의 PCM 전송라인을 통해 덱트코어 22로 전송되게 된다. 다시말하면, 종래에는 8비트 1B당 하나의 채널이 할당되게 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8비트 1B당 두 개의 채널이 할당되게 되므로, 하나의 DASL과 하나의 PCM 전송라인만이 구비되어도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ADPCM변환기를 교환시스템의 내부에 구비시키고, 또한 하나의 DECT기지국에 대해 하나의 DASL과 하나의 PCM전송라인만을 구비시켰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DECT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교환시스템과 DECT기지국을 연결하는 데이터 전송라인의 사용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교환시스템과 DECT기지국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소모되는 비용을 절감시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

  1. 덱트방식 무선통신시스템의 데이터 전송장치에 있어서,
    소정 하이웨이를 가지고 있으며 이 하이웨이상의 피씨엠(PCM)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교환시스템과,
    덱트기지국과,
    상기 교환시스템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하이웨이상의 피씨엠데이터를 에이디피씨엠(ADPCM)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인가되는 에이디피씨엠데이터를 피씨엠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하이웨이상으로 출력하는 데이터변환기와,
    상기 데이터변환기와 상기 덱트기지국의 사이에 접속되며 이들 사이에 송수신되는 피씨엠데이터를 전송하는 경로로서의 하나의 데이터 전송라인과,
    상기 데이터변환기와 상기 데이터 전송라인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데이터변환기와 상기 덱트기지국의 사이에 송수신되는 에이디피씨엠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전송칩을 적어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70076036A 1997-12-29 1997-12-29 덱트방식 무선통신시스템의 데이터 전송장치 KR100251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036A KR100251584B1 (ko) 1997-12-29 1997-12-29 덱트방식 무선통신시스템의 데이터 전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036A KR100251584B1 (ko) 1997-12-29 1997-12-29 덱트방식 무선통신시스템의 데이터 전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060A KR19990056060A (ko) 1999-07-15
KR100251584B1 true KR100251584B1 (ko) 2000-04-15

Family

ID=19529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6036A KR100251584B1 (ko) 1997-12-29 1997-12-29 덱트방식 무선통신시스템의 데이터 전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158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060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3322A (en) Voice signal converting device
US4432089A (en) Digital loop transceiver for interfacing a digital PABX to a digital subscriber set via a subscriber line
AU648003B2 (en) Prioritized data transfer method and apparatus for a radiotelephone peripheral
EP0245077A2 (en) TDM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common local path medium and local time slot for intraoffice calls
CA2325401A1 (en) Cellular simultaneous voice and data transmission including digital simultaneous voice and data (dsvd) modem
US5612990A (en) Digital wireless interface for a base station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between a plurality of digital radio channels and a plurality of digital wireline circuits
HU208204B (en) Master and slave data transmission device, system and portable radiox telephone
TW347617B (en) Connection method of digital cordless telephone apparatus
KR20010014245A (ko) 데이터 통신 장치를 무선 단말을 거쳐 통신망에 연결하기위한 시스템
KR100251584B1 (ko) 덱트방식 무선통신시스템의 데이터 전송장치
EP0741950B1 (en) Ct2 telephone system
US5058156A (en) Network interface and communication terminal
US5850394A (en) CDMA communications system using multiplexed signaling data lines
KR100407335B1 (ko) 키텔레폰 시스템의 가입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EP0103324A2 (en) Simultaneous voice and data transmission circuit having a digital loop transceiver
KR0128170B1 (ko) 디지탈 키폰시스템에서 디지털 키폰전화기 접속장치 및 방법
KR19980051651A (ko) 모뎀과 공중용 전화선간의 연결장치
KR100266816B1 (ko) 덱트방식무선통신시스템의동기화장치및방법
KR100284319B1 (ko) 위성통신시스템에서공중망정합장치의타임스위치안정화회로
KR100535272B1 (ko) 사설 교환기의 톤 및 디지트 제공 장치
KR200257091Y1 (ko) 데이터신호선을 이용한 더불유엘엘의 기지국 제어장치
KR100336511B1 (ko) 아이에스디엔 데이터 단말 장치
JP2814514B2 (ja) リングバックトーン送出回路
KR19990075443A (ko) 무선가입자망용 트래픽 데이터 먹스/디먹스 어셈블리의 역방향채널정렬 역스위칭장치
KR20000013892A (ko) 무선비동기 전송모드방식을 이용한 시분할 방식무선가입자망의 가입자 접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