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2411A - 안정화된 비타민 c 함유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안정화된 비타민 c 함유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02411A KR20010002411A KR1019990022209A KR19990022209A KR20010002411A KR 20010002411 A KR20010002411 A KR 20010002411A KR 1019990022209 A KR1019990022209 A KR 1019990022209A KR 19990022209 A KR19990022209 A KR 19990022209A KR 20010002411 A KR20010002411 A KR 2001000241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vitamin
- cream
- coffee bean
- cosmetic composi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8—Cupping glasses, i.e. for enhancing blood circul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44—Measuring or controlling pressure at the body treatment si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타민 C를 포함하고, 커피콩 추출물, 차잎 추출물 및 카카오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비타민 C를 효과적으로 안정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정화된 비타민 C(L-아스코르브산) 함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나이가 들면서 피부는 주름이 생기고 탄력이 떨어지는 것 이외에도, 거칠어지고, 건조해지며, 기미, 주근깨 등이 생기는등 자연노화가 일어난다. 특별히 환경오염으로 인한 오존층의 파괴로 자외선 양이 증가되면서 일광이 축적되어 야기되는 광노화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화장료 조성물이 연구되고 있다.
현재 피부의 주름개선 효과는 일부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다. 특히, 피부과 영역에서 피부주름 및 기미, 색소 침착 개선을 위해 사용되었던 레티노이드류, 그중에서도 레티놀(retinol)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주름제거 임상 결과들이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고, 상업화하여 주름개선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콜라겐 합성 과정에 필수적인 비타민 C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주름개선, 자외선차단, 기미/주근깨/검버섯 등의 색소 침착 등에 효과적이라는 보고가 있다(USP4,938,969/USP4,772,591/EP0533667 참조).
본 발명은 콜라겐 합성 과정에 필수적인 비타민 C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주름개선, 항산화, 자외선차단, 기미/주근깨/검버섯 등의 색소 침착 개선 등에 효과를 갖고 있지만 열, 빛, 산소등에 매우 불안정하여 대기중에 노출되거나 수용액중에서 쉽게 산화되어 변색, 변취가 일어나는 등 안정성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비타민 C는 콜라겐 합성과정에 관여하여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는데, 콜라겐 섬유의 폴리펩티드 사슬은 양끝에 연장 펩티드(Extension peptide, telopeptide)를 가지고 있는 사슬로서 과립형질내세망(rER)에서 합성된 뒤 3중나선(triple helix)으로 조합되어 프로콜라겐(procollagen) 분자를 형성하고 이들 분자는 골지복합체(golgi apparatus)로 옮겨져 분비소포(secretory vesicles)로 꾸려져 엑소시토시스(exocytosis)에 의해 분비된다. 세포의 효소에 의한 텔로펩티드 (telopeptide)의 분할로 트로포콜라겐(tropocollagen) 분자가 생기고 분할된 이들 분자는 세포외기질에서 조합되어 콜라겐 섬유로 된다. 여기서 트로포콜라겐은 폴리펩티드 α-사슬을 구성하는 주 아미노산은 글리신, 프롤린(prolin), 히드록시프롤린이며 히드록시프롤린에 의해 콜라겐의 삼중나선 구조가 형성된다. 이처럼 콜라겐 합성에 있어 중요한 히드록시프롤린은 콜라겐 폴리펩티드의 10%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동물에만 존재한다. 이 히드록시프롤린은 프롤린과 α-케토글루타레이트(α-Ketoglutarate)가 산소(O2) 존재 조건에서 프롤릴 히드록시화제(hydroxylase)에 의한 히드록시화에 의해 생합성 되는데, 이 히드록시화 과정에 비타민 C는 보조 인자(co-factor)로 작용하며 반드시 있어야만 히드록시프롤린이 생합성 된다. 즉 비타민 C는 프롤릴 히드록시화제의 활성을 촉진하여 히드록시프롤린 생합성을 촉진함으로써 삼중나선 구조인 콜라겐 생합성을 촉진하여 피부주름 개선효과를 주는 것이다. 이 프롤릴 히드록시화제는 UVA에 의해 그 활성이 저해를 받는데 비타민 C에는 자외선차단 기능도 있어 UVA에 의한 프롤릴 히드록시화제의 활성저해를 차단하는 효과도 갖고 있다.
비타민 C에 의한 자외선 차단효과는 기존의 자외선 차단제와는 다른 차단작용을 하는데 이는 UVA와 UVB의 스펙트럼 선상에서의 L-아스코르브산이 흡수할 수 있는 영역이 전혀 없기 때문이다. 비타민 C는 UVB 보다는 UVA에 대한 차단기능이 강하고 UVB로 인해 발생한 홍반 및 부종을 감소시킨다. 이런 다양한 생물학적인 기능을 갖고 있는 비타민 C는 일단 피부에 들어오면 저장되는 효능이 있어서 사용을 중단해도 장시간동안 그 효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비타민 C는 피부, 혈액 및 기타 조직에서 강력한 생체 항산화제로 작용하는데, 두 개의 전자를 받아 탈수소-L-아스코르브산(Dehydro-L-ascorbic acid) 형태로 쉽게 산화되는 당유사 구조(Sugarlike structure)로 생체내에서 반응성이 높은 활성산소, 자유 라디칼(free radical) 및 과산화물에 의한 생체성분(단백질, 핵산, 세포막지질등)이 산화되거나 변성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피부노화의 원인을 차단하는 항산화 효과를 갖고 있다.
아울러, 비타민 C는 색소 침착 억제효과를 갖고 있는데, 이는 색소 침착과 깊은 관련이 있는 멜라닌 생성억제효과를 갖고 있다. 비타민 C는 멜라닌 형성에 중요한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억제하고, 산화과정에 의해 형성된 산화형 멜라닌을 다시 환원시켜 환원형 멜라닌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멜라닌에 의한 색소 침착증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갖고 있다.
이외에도 비타민 C의 생리적 활성은 다양하여, 생체내 엽산대사 및 아미노산의 대사과정에 관여하며, 면역시스템계에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여 백혈구의 식균작용을 도와주고, 감염이 전개되는 동안 백혈구의 이동을 촉진하여 감염을 억제하고 백혈구의 세포막을 자유 라디칼로부터 보호함은 물론 바이러스 증식 억제물질인 인터페론의 생합성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여, 다양한 감염성 질환에 대한 생체의 저항력을 상승시켜준다. 이런 비타민 C는 대부분의 동물들에서는 포도당(글루코스)으로부터 비타민 C를 생합성하는데 사람은 포도당(글루코스)으로부터 비타민 C로 전환하는데 필요한 효소가 부족하여 생합성을 할 수 없으므로 외부로부터 공급받아야 한다. 뿐만아니라 열, 빛, 수분, 산소등에 매우 민감하여 불안정하고 수용성으로 지용성 비타민에 비해 체내 저장능력도 아주 낮다. 따라서 음식 및 기타 방법으로 계속 공급해 주어야하며 결핍시 임상적인 증세는 콜라겐 생합성의 저하로 주름이 형성되고, 피로하며, 피부가 거칠어지며,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지고, 모세관 출혈이 나타나는 등 다양한 피부보호 차원에서 기능이 저하되어 피부병변이 발생하고, 장기적인 결핍인 경우 괴혈병과 같은 심각한 질병을 유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적정 1일 권장량을 섭취하고 피부보호를 위한 적절한 비타민 C 함유 경피흡수제로서의 화장료와 같은 물질을 사용해야만 한다.
비타민 C를 수용성 상태로 피부에 도포했을 때 비타민 C는 이온화되지 않은 조건에서 피부장벽을 쉽게 통과하여 흡수되며, 비이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비타민 C 용액의 조건은 산도(pH)가 반드시 4.2 이하이어야 한다. 이런 조건하에서 피부에 비타민 C를 발랐을 때 약 15% 정도가 48시간 이내에 피부에 흡수될 수 있다. 일단 피부내로 들어온 비타민 C는 안정화되어져 물이나 기타 문지름등에 의해 제거되지 않고 피부에 축적되며, 비타민 C의 피부 축적양은 피부에 도포했을 때가 입을 통한 경구투여보다 20에서 40배 정도 높아 외용제에 의한 비타민 C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비타민 C는 열, 빛, 산소등에 매우 불안정하여 대기중에 노출되거나 수용액중에서 쉽게 산화되어 역가가 떨어지고, 변색, 변취가 일어나는등 안정성 및 안전성에 큰 문제점을 갖고 있어 그동안 다양한 비타민 C 유도체들이 연구되어 사용되어져왔으나 이또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예를들면 비타민 C를 안정화시킨 마그네슘 아스코르빌포스페이트(Magnesium ascorbyl phosphate)는 다른 유도체에 비해 인체가 이용할 수 있는 형태인 L-아스코르브산 형태로 전환은 쉬우나 피부 흡수가 어렵고,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Ascorbyl palmitate)는 쉽게 피부에 흡수는 되지만 L-아스코르브산 형태로 전환이 어렵다. 따라서 안정하면서도 피부에 흡수가 용이한 비타민 C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화장료의 다양한 생리적인 효능효과 중에 피부의 노화 억제와 관련하여 생체성분(단백질, 핵산, 세포막지질등)의 산화에 의한 생체성분의 화학적 변화는 피부노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체기관 및 조직의 기능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생체에는 글루타치온, 카탈라아제, SOD(Superoxide dismutase), 비타민 C 및 비타민 E등과 같은 다양한 항산화 성분이 존재하고 이들에 의해 생체성분의 산화 및 자유 라디칼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보호 받을 수 있다. 그러나 나이가 들면서 이런 생체내 항산화 성분 및 자유 라디칼 소거제의 생합성 능력이 저하되고 외부환경, 특히 자외선, 대기환경의 오염, 불건전한 식생활, 스트레스, 질병등과 같은 자유 라디칼(Free radical) 생성원의 증가로 인해 인체는 점점 손상을 받아 다양한 노화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자유 라디칼은 하나 이상의 짝을 이루지 못한 전자를 가지고 있는 원소 또는 분자로서 다른 분자로부터 전자를 뺏어 안정화하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자유 라디칼은 매우 불안정하며, 자신은 안정화하려는 경향이 강해 다른 생체성분(단백질, 핵산, 세포막지질등)으로부터 쉽게 전자를 뺏어 자신은 안정화 되고 생체성분을 산화시킨다. 피부의 노화에 관여하는 라디칼로는 히드록시 라디칼, 슈퍼옥사이드 라디칼(Superoxide radical), 활성산소(Singlet Oxygen), 과산화수소(H2O2) 등이 있다. 히드록시 라디칼은 강력한 산화력을 가지고 있으며, 반응시간이 매우 짧고, 생체의 모든 물질과 반응할 수 있으며, 지질(Lipid)을 공격하여 지질과산화물(Lipid peroxide)을 생성시키며, 단백질간의 비정상적인 교차결합을 생성시키고, 핵산(DNA)을 공격한다. 슈퍼옥사이드 라디칼(Superoxide radical)은 효소와 세포막을 공격하는데, 세포막(Cell membrane)의 주요성분 중 하나인 불포화 지방산(Unsaturated fatty acid)을 공격하여 분해시켜 세포막의 성질을 변화시킨다. 세포막 성질의 변화는 세포막을 통한 물질들의 전달체계의 변화로 이어져 노화를 촉진시킨다. 슈퍼옥사이드에 의한 지방산의 라디칼 반응은 연쇄적으로 진행된다. 활성산소는 히드록시 라디칼과 같이 매우 공격적인 라디칼로서 피부세포의 모든 성분들을 변화시킨다.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는 다른 라디칼에 비해 산화력은 약하지만 매우 강력한 반응성을 지니고 있다. 과산화수소는 확산력이 강하여 세포막을 쉽게 투과하며, 철 성분과 접촉하면 쉽게 히드록시 라디칼로 변한다. 과산화수소는 세포핵의 DNA를 공격하며, 단백질과 반응하여 변성시키거나,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도록 한다. 따라서 나이가 들면서 현격하게 감소하는 자유 라디칼의 소거 능력을 강화함으로써 피부에 대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제거하여 피부의 노화를 방지 또는 지연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비타민 C가 가지고 있는 안정성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커피콩 추출물, 차잎 추출물, 또는 카카오 추출물을 배합하여 얻은 조성물이 비타민 C를 효과적으로 안정화시킴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생약 추출물이 비타민 C의 안정화에도 매우 효과적일 뿐 아니라 우수한 항산화 및 자유 라디칼 소거능을 갖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아울러 이들 생약 추출물은 생체성분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제거하여 피부노화를 방지할 수 있으리라 본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화된 비타민 C 함유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비타민 C를 포함하고, 커피콩 추출물, 차잎 추출물, 및 카카오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생약추출물 즉, 커피콩(Coffee Bean: Coffea arabica(Rubiaceae)) 추출물, 차잎(Thea sinensis(Theaceae)) 추출물, 및 카카오(Theobroma cacao(Sterculiaceae)) 추출물 등은 클로로로겐산(chlorogenic acid), 탄닌 등을 함유한 추출물이다. 여기서 클로로겐산은 카페오일퀸산(3-Caffeoylquinic acid)으로 분자량은 354(C16H18O9)이며, 항균효과, 항돌연변이효과, 항암효과, 항바이러스효과 및 강력한 항산화효과를 갖고 있으며, 커피콩 내에 다량(5∼10%)으로 함유되어 있다. 또한 커피콩 내에는 클로로겐산과 탄닌(3.5%)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높은 항산화 효과를 갖고 있고 이외에도 탈색방지 및 소취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상기 생약 추출물중 커피콩 추출물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중 비타민 C의 양은 화장료의 중량에 대해 0.01∼20.0중량%, 바람직하게는 0.1∼10.0중량%로 함유되고, 생약 추출물의 양은 화장료의 중량에 대해 0.0001∼5.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1.0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생약 추출물은 커피콩, 차잎, 또는 카카오 등을 깨끗한 물로 세척한 다음 건조하여 분말화하고, 물, 메탄올, 메탄올 수용액, 에탄올, 에탄올 수용액,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글리콜, 헥산, 디에틸에테르,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노말-부탄올 등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이렇게 추출한 추출용액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 장치를 이용하여 감압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추출용매는 분말화된 생약의 건조 중량에 대하여 1∼15배의 양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약 추출물은 상기 용매하에서 상온에서 1∼15일간 침적시키거나, 50∼90℃의 온도에서 5∼300분간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상온에서 1∼14일간 저온숙성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비타민 C 및 상기 생약 추출물과 함께 화장료 조성물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배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크림,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파우더, 팩 또는 엣센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실시예, 처방예, 실험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 거피한 커피콩 1㎏을 분쇄하고, 이 분쇄물에 정제수 2ℓ를 부가한 다음 냉각콘덴서가 부착된 추출기에서 80℃ 온도에서 3시간동안 가열하여 추출하였다. 이 추출물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다음, 15℃온도에서 7일간 방치하여 저온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고,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로 60℃온도에서 감압농축하여 건조중량 93.5g의 생커피콩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추출용매로서 정제수 대신에 70% 에탄올을 사용하는 점만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건조중량 94.1g의 커피콩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3
추출용매로서 정제수 대신에 70% 메탄올을 사용하는 점만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건조중량 55.3g의 커피콩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4
추출용매로서 정제수 대신에 70% 아세톤을 사용하는 점만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건조중량 46.7g의 커피콩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5
추출용매로서 정제수 대신에 70%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는 점만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건조중량 52.1g의 커피콩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6
추출용매로서 정제수 대신에 70% 1,3-부틸렌글리콜을 사용하는 점만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건조중량 45.1g의 커피콩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7
추출용매로서 정제수 대신에 70% 헥산을 사용하는 점만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건조중량 39.0g의 커피콩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8
추출용매로서 정제수 대신에 70% 디에틸에테르를 사용하는 점만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건조중량 31.3g의 커피콩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9
추출용매로서 정제수 대신에 70% 노말-프로판올을 사용하는 점만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건조중량 52.3g의 커피콩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10
추출용매로서 정제수 대신에 70% 이소-프로판올을 사용하는 점만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건조중량 56.6g의 커피콩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11
추출용매로서 정제수 대신에 70% 노말-부탄올을 사용하는 점만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건조중량 49.4g의 커피콩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12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 거피한 커피콩 1㎏을 분쇄하고, 이 분쇄물에 정제수 5ℓ를 부가한 다음, 30℃온도에서 3일간 침적시켜 추출하였다. 이 추출물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다음, 15℃온도에서 7일간 방치하여 저온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하고,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로 60℃온도에서 감압농축하여 건조중량 83.2g의 생커피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13
추출용매로서 정제수 대신에 70% 에탄올을 사용하는 점만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건조중량 98.6g의 커피콩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14
추출용매로서 정제수 대신에 70% 메탄올을 사용하는 점만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건조중량 85.3g의 커피콩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15
추출용매로서 정제수 대신에 70% 아세톤을 사용하는 점만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건조중량 43.4g의 커피콩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16
추출용매로서 정제수 대신에 70%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는 점만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건조중량 40.9g의 커피콩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17
추출용매로서 정제수 대신에 70% 1,3-부틸렌글리콜을 사용하는 점만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건조중량 37.0g의 커피콩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18
추출용매로서 정제수 대신에 70% 헥산을 사용하는 점만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건조중량 21.1g의 커피콩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19
추출용매로서 정제수 대신에 70% 디에틸에테르를 사용하는 점만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건조중량 23.7g의 커피콩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0
추출용매로서 정제수 대신에 70% 노말-프로판올을 사용하는 점만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건조중량 39.6g의 커피콩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1
추출용매로서 정제수 대신에 70% 이소-프로판올을 사용하는 점만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건조중량 42.6g의 커피콩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2
추출용매로서 정제수 대신에 70% 노말-부탄올을 사용하는 점만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건조중량 40.0g의 커피콩 추출물을 얻었다.
처방예 1
비타민 C와 커피콩 추출물(실시예 13)을 함유한 화장료 중 유연 화장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 함량(중량%) |
비타민 C | 2.0 |
1,3-부틸렌글리콜 | 6.0 |
글리세린 | 4.0 |
피이지 1500 | 1.0 |
소듐히알루로네이트 | 1.0 |
폴리소베이트 20 | 0.5 |
에탄올 | 8.0 |
커피콩 추출물 | 0.001 |
방부제, 색소 | 적량 |
벤조페논-9 | 0.05 |
향 | 미량 |
정제수 | 잔량 |
합계 | 100 |
처방예 2
비타민 C와 커피콩 추출물(실시예 13)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화장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 함량(중량%) |
비타민 C | 5.0 |
1,3-부틸렌글리콜 | 4.0 |
글리세린 | 4.0 |
세테아릴알콜 | 0.8 |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 1.0 |
트리에탄올아민 | 0.13 |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 0.3 |
유동 파라핀 | 5.0 |
스쿠알란 | 3.0 |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 | 2.0 |
폴리솔베이트 60 | 1.5 |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 0.5 |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 1.0 |
커피콩 추출물 | 0.1 |
방부제, 색소 | 적량 |
향 | 적량 |
정제수 | 잔량 |
합계 | 100 |
처방예 3
비타민 C와 커피콩 추출물(실시예 13)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 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 함량(중량%) |
비타민 C | 10.0 |
메도우폼오일 | 3.0 |
세테아릴알콜 | 1.5 |
스테아르산 | 1.5 |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 1.5 |
유동 파라핀 | 10.0 |
밀 납 | 2.0 |
폴리솔베이트 60 | 2.5 |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 0.6 |
스쿠알란 | 3.0 |
1,3-부틸렌글리콜 | 3.0 |
글리세린 | 5.0 |
트리에탄올아민 | 0.5 |
커피콩 추출물 | 0.5 |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 0.5 |
방부제, 색소 | 적량 |
향 | 적량 |
정제수 | 잔량 |
합계 | 100 |
처방예 4
비타민 C와 커피콩 추출물(실시예 13)을 함유한 화장료 중 맛사지 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 함량(중량%) |
비타민 C | 2.0 |
1,3-부틸렌글리콜 | 6.0 |
소듐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 0.3 |
글리세린 | 4.0 |
트리에탄올아민 | 0.15 |
밀 납 | 2.0 |
바셀린 | 5.0 |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 1.5 |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 0.1 |
폴리솔베이트 60 | 2.0 |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 0.8 |
세테아릴 알코올 | 2.0 |
유동 파라핀 | 40.0 |
커피콩 추출물 | 0.01 |
방부제 | 적량 |
향 | 적량 |
정제수 | 잔량 |
합계 | 100 |
처방예 5
비타민 C와 커피콩 추출물(실시예 13)을 함유한 화장료 중 팩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 함량(중량%) |
비타민 C | 2.0 |
1,3-부틸렌글리콜 | 1.0 |
글리세린 | 2.0 |
피이지 4000 | 1.5 |
폴리비닐알콜 | 12.5 |
에 탄 올 | 7.0 |
경화피마자유 | 0.8 |
셀룰로오스검 | 0.3 |
커피콩 추출물 | 0.01 |
방부제, 색소 | 적량 |
향 | 적량 |
정제수 | 잔량 |
합계 | 100 |
처방예 6
비타민 C와 커피콩 추출물(실시예 13)을 함유한 화장료 중 에센스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 함량(중량%) |
비타민 C | 10.0 |
글리세린 | 10.0 |
1,3-부틸렌글리콜 | 5.0 |
피이지 1500 | 2.0 |
알란토인 | 0.1 |
DL-판테놀 | 0.3 |
EDTA-2Na | 0.02 |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우스 | 0.1 |
소듐히알루로네이트 | 8.0 |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 0.2 |
트리에탄올아민 | 0.18 |
옥틸도데세스-16 | 0.4 |
에탄올 | 6.0 |
커피콩 추출물 | 0.5 |
향, 방부제, 색소 | 적량 |
정제수 | 잔량 |
합계 | 100 |
실험예 1
상기 커피콩 추출물들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항산화작용시험을 실시하였다.
1) 실험방법
항산화작용의 측정은 펜톤반응(Fenton reaction)에 의한 지질과산화반응계 (lipid peroxidation system)을 이용한 티오바르비츄릭산법(TBA assay)로 측정하였다. 즉, 에틸리놀레이트 10㎕, 0.2% 소듐도데실설폭시드(SDS), 염화제일철 10μmol, 과산화수소 2μmol을 함유하는 25mM 트리즈마(Trizma)염산/0.75mM 염화칼륨 완충액 5ml에 커피콩 추출물의 디메틸설폭시드(DMSO) 시험용액을 가한 후 55℃에서 16시간 배양한후 4%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BHT) 50㎕를 가한후 반응을 정지시켰다. 다음 이 용액 0.3ml를 시험관에 넣고 0.05N 염산 3.0ml, 0.67% 티오바르비츄릭산(TBA)용액을 가하고 30분간 끓였다. 다음, 이 반응액을 냉각시킨 후 85% 부탄올 4.0ml을 가하고 원심분리후 부탄올층의 흡광도를 535nm에서 측정하여 항산화효과(%)를 구하였다. 항산화작용을 다음의 공식으로 산출하였다.
항산화작용(%) = 100 - [(추출물처리시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x 100]
2) 실험결과
커피콩 추출물의 항산화작용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커피콩 추출물들은 대부분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비극성용매 및 극성용매의 추출물 모두에서 효과가 컸다.
항산화작용(100%)실험농도(μg/ml)*추출물 10 50 100 |
실시예 1 49 55 87실시예 2 58 73 92실시예 3 34 45 53실시예 4 21 33 43실시예 5 14 18 15실시예 6 31 53 65실시예 7 20 42 63실시예 8 11 28 32실시예 9 22 39 41실시예 10 9 13 14실시예 11 17 25 36실시예 12 45 69 82실시예 13 49 83 96실시예 14 34 45 64실시예 15 26 39 52실시예 16 21 37 42실시예 17 38 49 61실시예 18 20 32 36실시예 19 7 11 23실시예 20 26 38 44실시예 21 10 20 27실시예 22 15 28 35 |
* 3회 평균치
실험예 2
커피콩 추출물과 기존 항산화제들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항산화작용시험을 실시하였다. 커피콩 추출물은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커피추출물과 기존 항산화제들과의 항산화작용을 실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IC50값으로 비교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IC50(㎍/ml) |
커피콩 추출물(실시예 13) 11.17아스코르브산 (ascorbic acid) 219.0디엘-알파토코페롤 (dl- alpha -tocopherol) 33.6베타카로틴 ( beta -carotene) >200.0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BHT) 1.5갈산(Gallic acid) 15.4 |
커피콩 추출물의 항산화작용을 기존의 항산화제들과 비교한 결과, 강력한 합성항산화제인 BHT보다는 약했으나 본 시험에 사용한 커피콩 추출물이 조추출물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항산화제들에 비하여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3: 온도 변화에 따른 안정성 시험
1) 실험방법
본 발명의 화장료 제형의 안정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하기 표 3에서 제형한 비타민 C만을 함유한 크림(대조군:A), 비타민 C와 갈산을 함유한 크림(대조군:B) 및 비타민 C와 커피콩 추출물(실시예 13)을 함유한 크림(본 발명품: C)을 4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1주동안 보관하고, 또한 4℃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완전히 차광된 냉장고내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1주 동안 보관한 후 변색 정도를 비교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제품 변색 정도는 다음의 6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제품 변색 평가 기준 :
0: 변화 없음 1: 극히 조금 변함 2: 조금 변함
3: 조금 심하게 변함 4: 심하게 변함 5: 극히 심하게 변함
성분 | 함량(중량%) | ||
A | B | C | |
L-아스코르브산 | 3.0 | 3.0 | 3.0 |
메도우폼오일 | 3.0 | 3.0 | 3.0 |
세테아릴알콜 | 1.5 | 1.5 | 1.5 |
스테아르산 | 1.5 | 1.5 | 1.5 |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 1.5 | 1.5 | 1.5 |
유동 파라핀 | 10.0 | 10.0 | 10.0 |
밀 납 | 2.0 | 2.0 | 2.0 |
폴리솔베이트 60 | 0.6 | 0.6 | 0.6 |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 2.5 | 2.5 | 2.5 |
스쿠알란 | 3.0 | 3.0 | 3.0 |
1,3-부틸렌글리콜 | 3.0 | 3.0 | 3.0 |
커피콩 추출물 | - | - | 0.5 |
갈산 | - | 0.5 | - |
글리세린 | 5.0 | 5.0 | 5.0 |
트리에탄올아민 | 0.5 | 0.5 | 0.5 |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 0.5 | 0.5 | 0.5 |
방부제, 색소 | 적량 | 적량 | 적량 |
향 | 적량 | 적량 | 적량 |
정제수 | 잔량 | 잔량 | 잔량 |
합계 | 100 | 100 | 100 |
2) 실험결과
온도 | 실험물질 변색 정도 | ||
대조군(A) | 대조군(B) | 본 발명품(C) | |
45℃ | 5.0 | 2.0 | 0.5 |
4℃ | 3.5 | 0.8 | 0 |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타민 C와 커피콩 추출물(실시예 13)을 함유한 크림(본 발명품: C)은 변색이 거의 되지 않아 커피콩 추출물이 비타민 C의 안정화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반면, L-아스코르브산만을 함유한 크림(대조군:A)에서는 심한 변색을 보여 매우 불안정함을 알 수 있고, 강력한 항산화제로 알려진 폴리페놀(Polyphenol)계 물질인 갈산을 함유한 제형도 비타민 C를 안정화시키나 효과적이지는 못하다.
실험예 4: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 시험
1) 실험방법
본 발명의 화장료 제형의 안정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상기 표 3에서 제형한 비타민 C만을 함유한 크림(대조군:A), 비타민 C와 갈산을 함유한 크림(대조군:B) 및 비타민 C와 커피콩 추출물(실시예 13)을 함유한 크림(본 발명품: C)을 20℃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12주동안 보관한 후 L-아스코르브산의 양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2) 실험결과
0주 | 4주 | 8주 | 12주 | |
대조군 (A)대조군 (B)본 발명품 (C) | 30,050㎍/g30,100㎍/g30,080㎍/g | 540㎍/g22,380㎍/g28,766㎍/g | 32㎍/g9,015㎍/g25,810㎍/g | 25㎍/g5,991㎍/g18,570㎍/g |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타민 C와 커피콩 추출물(실시예 13)을 함유한 크림(본 발명품: C)은 4주 정도까지는 L-아스코르브산의 함량이 거의 변화하지 않고 12주 경과 후에도 약 60% 정도의 L-아스코르브산이 검출되어 클로로겐산을 함유한 커피콩 추출물이 비타민 C의 산화 안정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반면, L-아스코르브산만을 함유한 크림(대조군:A)은 4주 경과 후 비타민 C가 거의 검출되지 않았고, 비타민 C와 갈산을 함유한 크림(대조군 B)은 불안정하지만 4주 정도까지는 어느정도 안정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피부 자극시험
1)실험방법
본 발명의 피부자극 정도를 시험하기 위하여, 상기 표 3에서 제형한 순수한 비타민 C만을 함유한 크림(대조군:A), 비타민 C와 갈산을 함유한 크림(대조군:B) 및 비타민 C와 커피콩 추출물(실시예 13)을 함유한 크림(본 발명품: C)을 피검자 30명(평균연령 20세 , 연령분포 18세-30세)을 대상으로 헤이즈 테스트 체임버(Haye's Test Chamber)를 이용하여 상박에 피부 첩포시험(Patch Test)을 실시하였다. 단 건선(Psoriasis), 습진(Eczema), 기타 피부병변 보유자나 임신, 수유부 또는 피임제, 항히스타민제 등을 복용하고 있는 사람은 본 실험에서 제외 하였다. 시험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낸 뒤 건조시킨 다음 준비된 시험물질을 15㎍ 또는 15㎕를 체임버에 적하시킨 후 시험 부위인 상박 부위에 얹어 고정시킨다. 첩포는 24시간 동안 도포하여 첩포를 제거한 후에는 마킹펜으로 시험부위를 표시하여 각각 30분, 24시간, 48시간 후에 시험부위를 관찰한다.
판정은 첩포 제거 30분, 24시간, 48시간 후에 행하며 피부반응은 하기 표6의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ICDRG)의 규정에 따라 판정하여 시험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기호 | 판 정 기 준 | 평 가 | Mean Score |
±++++++- | Doubtful or slight reaction and erythemaErythema + IndurationErythema + Induration + VesicleErythema + Induration + BullaeNegative | 미소자극경자극중자극강자극무자극 | 0∼0.91.0∼2.93.0∼4.95.0이상0 |
2) 시험결과
시간 | 실험물질의 피부자극 정도 | ||
A | B | C | |
30분 | 2.8 | 0.9 | 0.5 |
24시간 | 1.5 | 0.3 | 0.5 |
48시간 | 0.5 | 0 | 0 |
상기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비타민 C만을 함유한 크림(대조군:A)에 비해 비타민 C와 커피콩 추출물(실시예 13)을 함유한 크림(본 발명품: C) 및 비타민 C와 갈산을 함유한 크림(대조군:B)은 매우 미약한 자극 정도를 보이고 있으나 일반적인 크림제형이 갖고 있는 자극보다 낮거나 비슷한 정도의 자극으로 비타민 C 제형이 매우 자극적임을 감안하면 피부에 매우 안전한 기제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타민 C를 함유한 조성물에 커피콩, 차잎, 또는 카카오 추출물을 사용함으로써, 비타민 C의 산화안정화에 효과적이고, 항산화 작용에 있어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며, 피부 자극도 매우 미약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었다.
Claims (5)
- 비타민 C를 포함하고, 커피콩 추출물, 차잎 추출물, 및 카카오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생약추출물이 커피콩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비타민 C의 함량이 화장료의 중량에 대해 0.01∼20.0중량%이고, 생약추출물의 함량이 화장료의 중량에 대해 0.0001∼5.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생약추출물이 물, 메탄올, 메탄올 수용액, 에탄올, 에탄올 수용액,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글리콜, 헥산, 디에틸에테르,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노말-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용매로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크림,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파우더, 팩 또는 엣센스등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22209A KR20010002411A (ko) | 1999-06-15 | 1999-06-15 | 안정화된 비타민 c 함유 화장료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22209A KR20010002411A (ko) | 1999-06-15 | 1999-06-15 | 안정화된 비타민 c 함유 화장료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02411A true KR20010002411A (ko) | 2001-01-15 |
Family
ID=19592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22209A KR20010002411A (ko) | 1999-06-15 | 1999-06-15 | 안정화된 비타민 c 함유 화장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0002411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383168B2 (en) | 2008-10-30 | 2013-02-26 | Natura Cosmeticos S.A. | Antioxidant complex, cosmetic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said complex and use of said complex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9603A (ja) * | 1991-07-17 | 1994-01-18 | T Hasegawa Co Ltd | ビタミンcの安定化法 |
JPH0672849A (ja) * | 1992-07-10 | 1994-03-15 | Kao Corp | 美白化粧料 |
JPH0881325A (ja) * | 1994-09-09 | 1996-03-26 | Kose Corp | 化粧料 |
-
1999
- 1999-06-15 KR KR1019990022209A patent/KR2001000241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9603A (ja) * | 1991-07-17 | 1994-01-18 | T Hasegawa Co Ltd | ビタミンcの安定化法 |
JPH0672849A (ja) * | 1992-07-10 | 1994-03-15 | Kao Corp | 美白化粧料 |
JPH0881325A (ja) * | 1994-09-09 | 1996-03-26 | Kose Corp | 化粧料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383168B2 (en) | 2008-10-30 | 2013-02-26 | Natura Cosmeticos S.A. | Antioxidant complex, cosmetic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said complex and use of said complex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858961B2 (ja) | 純粋な形態又は植物抽出物としてのマンジフェリン又はその誘導体を活性成分として含有する化粧用又は医薬用組成物 | |
JPH0892057A (ja) | コーヒーノキ種子抽出物配合化粧料 | |
KR20170141991A (ko) | 베르게닌 및 플러린을 포함하여 비타민 c를 안정화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 |
EP1406585A2 (de) | Verwendung von hopfen- bzw. hopfen-malz-extrakten in kosmetischen oder dermatologischen zubereitungen | |
JPH0826967A (ja) | クロロゲン酸又はその誘導体含有化粧料 | |
KR100926073B1 (ko) | 비타민 c와 백년초 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각질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0468434B1 (ko) | 비타민 c 또는 그 유도체 및 빈랑자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479095B1 (ko) | 때죽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
JP2002370962A (ja) | 美白用化粧料および皮膚老化防止・改善用化粧料 | |
KR20070111025A (ko) | 녹두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 |
KR20040087644A (ko) | 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 |
KR20010002411A (ko) | 안정화된 비타민 c 함유 화장료 조성물 | |
KR100424728B1 (ko) | 빈랑자 추출물과 알부틴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
KR20110087363A (ko) | 멸가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JPH03200708A (ja) | 皮膚外用剤 | |
KR20210150047A (ko) | 천심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220026746A (ko) | 모과, 감나무잎, 육계나무껍질, 쑥잎, 크리산텔룸인디쿰 및 녹차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0355892B1 (ko) | 레티놀과 테트라디부틸 펜타에리스리틸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0472122B1 (ko) | 페놀성 물질를 함유하는 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 | |
KR20060104008A (ko) | 감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타민 c 또는 그의유도체의 안정화용 조성물 | |
KR100685647B1 (ko) | 베르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타민 c 또는 그의유도체의 안정화용 조성물 | |
KR100654060B1 (ko) | 레티놀과 카로티노이드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0415430B1 (ko) | 안정화시킨 l-아스코르브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0519191B1 (ko) | 파우다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20000050304A (ko) | 안정화시킨 비타민 c와 알파-히드록시 액시드(aha)를 함유하는 피부보호 화장료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