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2063A - 영상 신호의 주사 방식 판별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신호의 주사 방식 판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2063A
KR20010002063A KR1019990021658A KR19990021658A KR20010002063A KR 20010002063 A KR20010002063 A KR 20010002063A KR 1019990021658 A KR1019990021658 A KR 1019990021658A KR 19990021658 A KR19990021658 A KR 19990021658A KR 20010002063 A KR20010002063 A KR 20010002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canning method
vertical
horizontal
falling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1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진호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90021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2063A/ko
Publication of KR20010002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206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17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centrifugal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를 포함한 성분 영상 신호의 주사 방식을 판별하는 주사 방식 판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직 동기 신호의 폴링 에지를 검출하는 수직 펄스 에지 검출부(210); 수평 동기 신호의 폴링 에지를 검출하는 수평 펄스 에지 검출부(220); 소정의 클럭 펄스를 발생하는 클럭 펄스 발생부(230);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폴링 에지가 검출되면 상기 클럭 펄스를 카운트하고, 상기 수평 동기 신호의 폴링 에지를 검출하면, 상기 카운트값을 출력한후, 상기 카운트를 중단하는 카운터(240); 상기 카운터(240)로부터 제공되는 카운트값들에 의거하여 상기 성분 영상 신호가 프로그래시브 주사 방식인지 또는 인터레이스 주사 방식인지를 판별하는 판단부(2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 신호의 주사 방식 판별 장치 {APPARATUS FOR DETECTING SCANNING METHOD OF IMAGE SIGNAL}
본 발명은 영상 신호의 주사 방식 판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성분(component) 영상 신호의 주사 방식을 판별하는 주사 방식 판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 신호는 신호 성분의 전송 형태에 따라, 크게 성분 신호(component signal)와 복합 신호(composite signal)로 나눌수 있다. 성분 신호는 색채 영상에서 휘도 신호와 두 개의 색차 신호가 시분할 다중화되어 전송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휘도 혼입 등의 신호간의 간섭을 해결할수 있으며, 유럽의 위성 방송 방식인 MAC 시스템등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다. 복합 신호는 색채 영상에서 휘도 신호와 두 개의 색차 신호가 주파수 대역의 일부를 공유하여 전송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NTSC방식에서 이용되고 있다.
한편, 영상 신호는 화면상에 한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하여 영상 신호를 주사하는 방식에 따라, 인터레이스 방식 및 프로그래시브 방식으로 나뉘어 진다. 잘알려져 있다시피, 인터레이스 방식은 TV 등에 적용되는 것으로, CRT 화면상에 홀수 필드(odd field)의 주사선을 1/60초 동안 주사하고, 짝수 필드(even field)의 주사선을 1/60초동안 주사하여 한 프레임을 형성하며, 수평 동기 신호는 15.73KHz, 수직 동기 신호는 60Hz이다.
프로그래시브 방식은 컴퓨터등에서 이용되는 것으로, 인터레이스 방식과는 달리 CRT화면상에 라인 단위로 순차적으로 주사하여 프레임을 형성하며, 수평 동기 신호는 31.47KHz, 수직 동기 신호는 60Hz이다.
이와 같이 영상은 신호 성분의 전송 방식 및 주사 방식에 따라 다양한 방식을 이룬다. 대체적으로, 성분 신호의 경우에는 프로그래시브 주사 방식에 많이 이용되는 편이며, 복합 신호의 경우에는 인터레이스 주사 방식에 많이 이용되는 편이다.
그러나, 최근 멀티미디어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성분 신호가 반드시 프로그래시브 주사 방식에 한정되어 이용되지 않으며, 또한 복합 신호가 반드시 인터레이스 주사 방식에 한정되어 이용되지 않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소정의 영상 신호가 제공되면, 해당 영상 신호가 인터레이스 주사 방식인지, 또는 프로그래시브 주사 방식인지를 판별해야만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성분 신호가 입력되면, 성분 신호가 인터레이스 주사 방식인지, 또는 프로그래시브 주사 방식인지를 판별할수 있는 주사 방식 판별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를 포함한 성분 영상 신호의 주사 방식을 판별하는 주사 방식 판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폴링 에지를 검출하는 수직 펄스 에지 검출부; 상기 수평 동기 신호의 폴링 에지를 검출하는 수평 펄스 에지 검출부; 소정의 클럭 펄스를 발생하는 클럭 펄스 발생부;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폴링 에지가 검출되면 상기 클럭 펄스를 카운트하고, 상기 수평 동기 신호의 폴링 에지를 검출하면, 상기 카운트값을 출력한후, 상기 카운트를 중단하는 카운터; 상기 카운터로부터 제공되는 카운트값들에 의거하여 상기 성분 영상 신호가 프로그래시브 주사 방식인지 또는 인터레이스 주사 방식인지를 판별하는 판단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인터레이스 주사 방식 및 프로그래시브 주사 방식에 따른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 방식 판별 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 수직 펄스 에지 검출부 220 : 수평 펄스 에지 검출부
230 : 클럭 펄스 발생부 240 : 카운터
250 : 판단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성분 방식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는 R(Red),G(Green),B(Blue) 색신호와, 수평/수직 동기 신호가 서로 다른 경로로 제공된다. 또한 영상 신호가 인터레이스 주사 방식으로 전송될때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짝수 필드의 수직 동기 신호(도 1a)의 폴링 에지(falling edge)와 수평 동기 신호(도 1b)의 폴링 에지가 일치되지만, 홀수 필드의 수직 동기 신호(도 1c)의 폴링 에지와 수평 동기 신호(도 1d)의 폴링 에지간에는 0.5H간격만큼 차이가 나는 특징이 있다. 반면, 성분 영상 신호가 프로그래시브 주사 방식으로 전송될때에는 각 프레임에 대한 수직 동기 신호의 폴링 에지와 수평 동기 신호의 폴링 에지가 일치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수직 동기 신호의 폴링 에지와 수평 동기 신호의 폴링 에지가 이격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콤퍼넌트 영상 신호가 인터레이스 주사 방식인지 또는 프로그래시브 주사 방식인지를 판단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 방식 판별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가 도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주사 방식 판별 장치는 수직 펄스 에지 검출부(210), 수평 펄스 에지 검출부(220), 클럭 펄스 발생부(230), 카운터(240), 판단부(250)를 포함한다.
도 2에서, 수직 펄스 에지 검출부(210)에는 소정 성분 영상 신호에 대한 수직 동기 신호가 제공된다. 수직 펄스 에지 검출부(210)는 입력되는 수직 동기 신호의 폴링 에지를 검출하는 것으로, 수직 동기 신호의 폴링 에지가 검출되면, 라인L1상에 카운트 스타트(count start) 신호를 제공하고, 라인L2상에 인에이블 신호를 제공한다.
수평 펄스 에지 검출부(210)의 입력단에는 소정 성분 영상 신호에 대한 수평 동기 신호가 제공된다. 수평 펄스 에지 검출부(210)는 라인L2을 통하여 인에이블(enable) 신호가 입력되면, 수평 동기 신호의 폴링 에지를 검출하는 것으로, 수평 동기 신호의 폴링 에지가 검출되면 카운트 스톱(stop) 신호를 라인L3상에 제공한후 디스에이블(disable)된다.
한편, 클럭 펄스 발생부(230)는 소정 주기의 클럭 펄스를 발생하여 라인L4상에 제공한다. 카운터(240)는 라인L1를 통하여 카운트 스타트 신호가 입력되면, 라인L4상의 클록 펄스수를 계수한다. 카운터(240)는 라인L4상의 클록 펄스수를 계수하는 도중에 라인L3을 통하여 카운트 스톱 신호가 입력되면, 계수된 카운트값을 라인L5상에 출력한후 카운트 동작을 중지한다.
라인L5상의 카운트값은 판단부(250)에 제공된다. 판단부(250)는 라인L5상의 카운트값으로부터 수직 동기 펄스 에지 검출부(210)에 입력되는 수직 동기 신호의 폴링 에지와, 수평 동기 펄스 에지 검출부(220)에 입력되는 수평 동기 신호의 폴링 에지가 일치되는지 또는 0.5H만큼 시간차가 발생되는지를 판단한다.
예를들어, 수직 동기 펄스 에지 검출부(210)에 입력되는 수직 동기 신호의 폴링 에지와 수평 동기 펄스 에지 검출부(220)에 입력되는 수평 동기 신호의 폴링 에지가 일치할 경우, 수직 펄스 에지 검출부(210)에서 출력되는 라인L1상의 카운트 스타트 신호와 수평 펄스 에지 검출부(210)에서 출력되는 라인L3상의 카운트 스톱 신호는 거의 동시에 카운터(230)에 입력될 것이다. 이 경우, 카운터(230)는 카운트 동작을 시작하자마자 곧바로 카운트 동작을 중지하기 때문에, 카운터(230)에서 라인L5상에 출력하는 카운트값은 0가 된다.
한편, 수직 동기 펄스 에지 검출부(210)에 입력되는 수직 동기 신호의 폴링 에지와 수평 동기 펄스 에지 검출부(220)에 입력되는 수평 동기 신호의 폴링 에지가 0.5H간격만큼 차이가 날 경우, 수직 펄스 에지 검출부(210)에서 라인L1상에 카운트 스타트 신호를 출력하고 난후, 0.5H 시간이 경과하면 수평 펄스 에지 검출부(210)에서 라인L3상에 카운트 스톱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카운터(230)는 라인L1상의 카운트 스타트 신호가 입력된 시점에서부터 0.5H 시간까지 라인L4상의 클럭 펄스를 계수한다. 0.5H 시간이 경과하여 라인L3상의 카운트 스톱 신호가 카운터(230)에 입력되면, 카운터(230)는 계수된 펄스수를 라인L5상에 제공한다.
판단부(240)는 라인L5을 통하여 입력되는 카운트값들을 순차적으로 수신하여 각 카운트값이 0인지 또는 N(N : 양의 정수)인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라인L5를 통하여 입력되는 카운트값들이 0,0,0,…이면, 판단부(240)는 성분 영상 신호가 프로그래시브 주사 방식으로 구성되었음으로 판단하고, 라인L5를 통하여 입력되는 카운트값들이 0,N,0,N,…이거나, 또는 N,0,N,0…이면 성분 영상 신호가 인터레이스 주사 방식으로 구성되었음으로 판단한다.
이후, 판단부(250)의 판단 결과는 시스템 내부의 인터레이스-프로그래시브 변환 장치, 또는 프로그래시브-인터레이스 변환 장치 등에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성분 영상 신호의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에 의거하여, 성분 신호가 인터레이스 주사 방식인지, 또는 프로그래시브 주사 방식인지를 판별함으로서, 보다 성분 신호의 주사 방식을 보다 정확히 판별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수직 동기 신호와 수평 동기 신호를 포함한 성분 영상 신호의 주사 방식을 판별하는 주사 방식 판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폴링 에지를 검출하는 수직 펄스 에지 검출부(210);
    상기 수평 동기 신호의 폴링 에지를 검출하는 수평 펄스 에지 검출부(220);
    소정의 클럭 펄스를 발생하는 클럭 펄스 발생부(230);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폴링 에지가 검출되면 상기 클럭 펄스를 카운트하고, 상기 수평 동기 신호의 폴링 에지를 검출하면, 상기 카운트값을 출력한후, 상기 카운트를 중단하는 카운터(240);
    상기 카운터(240)로부터 제공되는 카운트값들에 의거하여 상기 성분 영상 신호가 프로그래시브 주사 방식인지 또는 인터레이스 주사 방식인지를 판별하는 판단부(250)를 포함한 주사 방식 판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250)는 상기 카운터(240)로부터의 카운트값들이 연속적으로 0으로 제공되면 상기 성분 영상 신호를 프로그래시브 주사 방식으로 판별하고, 상기 카운터(240)로 부터의 카운트값들이 0 및 N(N : 양의 정수)으로 교번적으로 제공되면 상기 성분 영상 신호를 인터레이스 주사 방식으로 판별하는 주사 방식 판별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수평 펄스 에지 검출부(220)는 상기 수직 동기 펄스 에지 검출부(220)에서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폴링 에지를 검출하고 나면, 인에이블 되는 주사 포맷 판별 장치.
KR1019990021658A 1999-06-11 1999-06-11 영상 신호의 주사 방식 판별 장치 KR200100020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658A KR20010002063A (ko) 1999-06-11 1999-06-11 영상 신호의 주사 방식 판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658A KR20010002063A (ko) 1999-06-11 1999-06-11 영상 신호의 주사 방식 판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063A true KR20010002063A (ko) 2001-01-05

Family

ID=19591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1658A KR20010002063A (ko) 1999-06-11 1999-06-11 영상 신호의 주사 방식 판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206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22302B2 (ja) フィルムモード検出方法および装置
JP2533710B2 (ja) フィルム−テレビジョン変換後に得られたテレビジョン画像に対する動検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3179777A (ja) ビデオ信号検出回路
KR100356138B1 (ko) 배속영상신호표시방법,디스플레이장치및텔레비젼수상기
KR20010002063A (ko) 영상 신호의 주사 방식 판별 장치
JP2621534B2 (ja) 同期信号発生装置
JP3997914B2 (ja) 水平同期信号分離回路及び水平同期信号分離装置
KR100220697B1 (ko) 영상모드 판별방법
KR200246560Y1 (ko) 영상신호의 라인 더블러 장치
KR100196871B1 (ko) 피디피 티브이의 영상신호 판별장치
KR0126776B1 (ko) 영상장치의 동기신호 발생기
KR0153669B1 (ko) 동기 신호 판별 장치
KR0164161B1 (ko) 필드 분리 장치
KR960002555Y1 (ko) 복합 동기신호 발생 안정화 회로
KR100266430B1 (ko) 멀티싱크 모니터에서 입력동기신호의 극성판별에 따른 출력장치
JP3304896B2 (ja) Pal方式カラーフレーム検出回路
JP3253451B2 (ja) コンポジット同期信号の遅延回路
KR950011527B1 (ko) 동기신호의 홀/짝수필드검출회로 및 그 방법
JPS63221792A (ja) 複合映像信号処理回路
JP2002218278A (ja) 同期分離回路および方法、表示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S6097780A (ja) 水平同期抽出回路
KR19980043397A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화면비 자동변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JPH0217770A (ja) テレビジョン信号同期伝送方式
JPS62128669A (ja) 画像出力装置
JPH07177438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