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1882U - 머리카락 집게 - Google Patents

머리카락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1882U
KR20010001882U KR2019990012390U KR19990012390U KR20010001882U KR 20010001882 U KR20010001882 U KR 20010001882U KR 2019990012390 U KR2019990012390 U KR 2019990012390U KR 19990012390 U KR19990012390 U KR 19990012390U KR 20010001882 U KR20010001882 U KR 2001000188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arc
holder
nurum
to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23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범
Original Assignee
이대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범 filed Critical 이대범
Priority to KR20199900123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1882U/ko
Publication of KR200100018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882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20Hair clamps, i.e. elastic multi-part clamps, the parts of which are pivotally connected between their ends

Landscapes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용실이나 가정에서 사용되는 머리카락 집게를 이루는 상,하부홀더의 중간에 머리카락이 끼워지는 공간부를 형성 함으로서, 머리를 손질하거나 세발 또는 세면시 머리카락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머리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머리카락 집게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하부홀더로 이루어진 머리카락 집게 있어서, 상기 하부홀더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의 중간에는 원호상면을 갖는 수평부가, 상기 상부홀더에 형성되어 있는 누룸부에는 원호하면을 갖는 원호부가 형성되어 그 사이에는 머리카락이 끼워지는 공간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머리카락 집게{Hair pin}
본 고안은 머리카락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미용실이나 가정에서 사용되는 머리카락 집게를 이루는 상,하부홀더의 중간에 머리카락이 끼워지는 공간부를 형성 함으로서, 머리를 손질하거나 세발 또는 세면시 머리카락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머리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머리카락 집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머리카락 집게는 미용실 또는 가정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머리를 손질할 경우와 세발 또는 세면시 머리카락을 고정하는 도구를 말하는 것이다.
이에, 도 5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머리카락 집게를 나타낸 것으로서,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측에는 원호부를 갖는 평판형상의 고정부(101)가 구비되며, 타측의 양쪽에는 힌지축(300)이 관통될수 있도록 상부로 돌출된 하부 브라켓(102)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홀더(100)와; 이 하부홀더(100)의 상측에 위치되며, 일측에는 상기 고정부(101)와 동일한 원호를 갖는 평판형상의 누름부(201)가, 타측의 하부 양쪽에는 상기 하부 브라켓(102)의 외측에 삽입되어 힌지축(300)이 관통되는 상부 브라켓(202)이, 타단에는 누름손잡이(203)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홀더(200)와; 상기 상,하부 브라켓(202,102)에 관통되고 스프링(도시않됨)이 장착되어 있는 힌지(3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머리카락 집게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부 홀더(200)의 타단에 형성되어 있는 누름손잡이(203)을 눌러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누름부(201)를 개방한후, 머리카락을 집은 다음, 상기 누름손잡이(203)를 놓게되면 누름부(201)가 상기 하부홀더(100)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101)의 상면으로 원위치 되어 밀착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머리카락 집게에 있어서, 상기 하부홀더(100)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101)의 상면으로 상기 상부홀더(200)에 형성되어 있는 누름부(201)의 하면이 밀착되게 됨으로서, 파마머리 등을 집을 경우에는 머리카락에 밀착자국이 생기게 됨은 물론, 머리카락이 손상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상,하부홀더를 이루는 누룸부와 고정부 사이에 머리카락이 끼워지는 공간부를 형성 함으로서, 머리를 손질하거나 세발 또는 세면시 머리카락이 짖눌려져 자국이 생기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파마등의 머리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머리카락 집게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하부홀더로 이루어진 머리카락 집게 있어서, 상기 하부홀더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의 중간에는 원호상면을 갖는 수평부가, 상기 상부홀더에 형성되어 있는 누룸부에는 원호하면을 갖는 원호부가 형성되어 그 사이에는 머리카락이 끼워지는 공간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머리카락 집게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머리카락 집게를 나타낸 정면도.
도 3는 도 2의 A-A선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머리카락 집게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종래의 머리카락 집게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홀더
11 : 하부브라켓
2 : 상부홀더
21 : 상부브라켓
22 ; 누룸손잡이
3 : 힌지축
31 : 스프링
4 : 고정부
41 : 수평부
411 : 원호상면
42 : 경사부
421 : 원호상면
5 : 누룸부
51 : 원호부
511 : 원호하면, 512 : 보강리브
6 : 공간부
7 : 고정부
71 ; 원호부
711 : 원호상면
8 : 공간부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머리카락 집게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머리카락 집게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측에는 고정부(4)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의 양쪽에는 힌지축(3)이 관통될 수 있도록 상부로 돌출된 하부 브라켓(11)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홀더(1)와, 이 하부홀더(1)의 상측에 위치되며, 일측에는 누름부(5)가, 타측의 하부 양쪽에는 상기 하부 브라켓(11)의 외측에 삽입되어 힌지축(3)이 관통되는 상부 브라켓(21)이, 타단에는 누룸손잡이(22)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홀더(2)와, 상기 상,하부 브라켓(21,11)에 관통되고 스프링(31)이 장착되어 있는 힌지축(3)으로 구성되어 있는 머리카락 집게 있어서;
상기 하부홀더(1)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4)의 중간에는 원호상면(411)을 갖는 수평부(41)가 형성되며, 이 수평부(41)의 끝단에는 상부홀더(2)의 끝단이 밀착될 수 있도록 원호상면(421)을 갖는 경사부(42)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홀더(2)에 형성되어 있는 누룸부(5)에는 원호하면(511)을 갖는 원호부(5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4)에 형성된 수평부(41)의 원호상면(411)과 누룸부(5)의 원호하면(51)의 사이에는 머리카락이 끼워지는 공간부(6)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상기 하부홀더(1)에 형성된 수평부(41)는 원호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상부홀더(2)의 원호부(51)도 원호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있는데, 이 원호부(51)의 상면에는 누름부(5)가 사용중에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강리브(512)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머리카락 집게를 사용할 경우에는, 도 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 홀더(2)의 타단에 형성되어 있는 누룸손잡이(22)을 눌러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누름부(5)를 개방한후, 머리카락을 집은 다음, 상기 누룸손잡이(22)를 놓게되면 누름부(5)에 형성된 원호부(51)의 하면과 상기 고정부(11)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6)에 머리카락이 삽입되는 것이다.
즉, 상기 공간부(6)로 머리카락이 삽입됨에 따라, 머리카락이 짖눌려져 자국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머리형상(파마머리)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머리카락 집게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상부홀더(1)에 형성되어 있는 누룸부(5)의 형상은 동일하며, 하부홀더(2)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7)의 중간에 원호상면(711)을 갖는 원호부(71)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7)에 형성되어 있는 원호부(71)는 상기 누룸부(5)에 형성되어 있는 원호부(51)보다 완만하게 형성되어 상기 누룸부(5)의 하면과 고정부(7)의 상면 사이에는 머리카락이 끼워지는 공간부(8)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하부홀더를 이루는 누룸부와 고정부 사이에 머리카락이 끼워지는 공간부를 형성 함으로서, 머리카락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머리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2)

  1. 일측에는 고정부(4)가, 타측에는 힌지축(3)이 관통될수 있도록 상부로 돌출된 하부 브라켓(11)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홀더(1)와, 이 하부홀더(1)의 상측에 위치되며, 일측에는 누름부(5)가, 타측에는 상기 하부 브라켓(11)의 외측에 삽입되어 힌지축(3)이 관통되는 상부 브라켓(21)이, 타단에는 누룸손잡이(22)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홀더(2)와, 상기 상,하부 브라켓(21,11)에 관통되고 스프링(31)이 장착되어 있는 힌지축(3)으로 구성되어 있는 머리카락 집게 있어서;
    상기 하부홀더(1)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4)의 중간에는 원호상면(411)을 갖는 수평부(41)가, 이 수평부(41)의 끝단에는 원호상면(421)을 갖는 경사부(42)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홀더(2)에 형성되어 있는 누룸부(5)에는 원호하면(51)을 갖는 원호부(5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4)에 형성된 수평부(41)의 원호상면(411)과 누룸부(5)의 원호하면(51)의 사이에는 머리카락이 끼워지는 공간부(6)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카락 집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홀더(2)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7)의 중간에는 원호상면(711)을 가지며 상기 누룸부(5)에 형성되어 있는 원호부(51)보다 완만하게 형성되어 있는 원호부(71)가 형성되고, 상기 누룸부(5)의 하면과 고정부(7)의 상면 사이에는 공간부(8)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카락 집게.
KR2019990012390U 1999-06-30 1999-06-30 머리카락 집게 KR2001000188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390U KR20010001882U (ko) 1999-06-30 1999-06-30 머리카락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390U KR20010001882U (ko) 1999-06-30 1999-06-30 머리카락 집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882U true KR20010001882U (ko) 2001-01-26

Family

ID=54765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2390U KR20010001882U (ko) 1999-06-30 1999-06-30 머리카락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188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70068A (ko) * 2021-06-22 2022-12-29 박철우 모발 고정력을 향상시킨 헤어핀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70068A (ko) * 2021-06-22 2022-12-29 박철우 모발 고정력을 향상시킨 헤어핀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6810A (en) Abrasive pad holder
KR20010001882U (ko) 머리카락 집게
JP3606361B2 (ja) バッテリ端子の保護カバー
USD428791S (en) Portion of a tool handle with an opening therein
JP4375872B2 (ja) 水栓用ハンドル
JP3691445B2 (ja) 電線補修用カバ−
KR100430963B1 (ko) 머리핀
KR100426538B1 (ko) 스프링력을 이용한 원터치식 자동 따개장치를 갖는 캔용기
JP3091403U (ja) 植物育成用ピンチ
KR200236155Y1 (ko) 금속제집게용머리핀
KR200277793Y1 (ko) 머리핀
KR200279107Y1 (ko) 배전반용 자물쇠의 고정구조
KR200183887Y1 (ko) 메모리케이스의 로킹장치
KR19980031514U (ko) 클립 제거용 공구
JP3055665U (ja) 背中掻き具
KR200190416Y1 (ko) 커팅 플라이어
KR100572635B1 (ko) 셀프클립
JPH11138463A (ja) スプリットリングプライヤー
KR860002773Y1 (ko) 전화기 핸드세트의 송수화갑 고정 장치
KR200206608Y1 (ko) 플라이어
JPS6033540Y2 (ja) マイクロスイツチ
KR100573434B1 (ko) 클립용 커버 및 장식커버와 플라스틱제 클립과 조합한클립 세트 및 손톱커버
JPH0219269Y2 (ko)
KR100307955B1 (ko) 차량의사이드도어록버튼
KR200274800Y1 (ko)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는 부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