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1514U - 클립 제거용 공구 - Google Patents

클립 제거용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1514U
KR19980031514U KR2019960044677U KR19960044677U KR19980031514U KR 19980031514 U KR19980031514 U KR 19980031514U KR 2019960044677 U KR2019960044677 U KR 2019960044677U KR 19960044677 U KR19960044677 U KR 19960044677U KR 19980031514 U KR19980031514 U KR 199800315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finger
removal tool
presen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46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규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446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1514U/ko
Publication of KR199800315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514U/ko

Links

Landscapes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클립 제거용 공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자동차 조립현장이나 자동차 수리점에서 도어트림 등 클립으로 고정된 패널을 분리시킬 때 클립을 제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클립 제거용 공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금속으로 되어 있으며, U자형으로 된 핑거(100)와 바디(200)로 이루어 진 클립 제거용 공구(B)에 있어서, 상기 핑거(10)를 한쪽으로 굽혀지게 형성하고, 손상방지용 고무커버(30)를 상기 핑거(10)의 일부에 씌운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클립 제거용 공구
본 고안은 클립 제거용 공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자동차 조립현장이나 자동차 수리점에서 도어트림 등 클립으로 고정된 패널을 분리시킬 때 클립을 제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클립 제거용 공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클립 제거용 공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클립 제거용 공구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며, 도 3는 종래의 클립 제거용 공구의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클립 제거용 공구(A)는 금속으로 되어 있으며, 2갈래로 된 핑거(10)와 바디(0)로 이루어 졌다.
핑거(10)는 U자 형으로써 납작한 형태로 되어 있으며, 바디(20)는 납작하거나 원통형으로 되어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공구(A)의 사용시에는 바디(20)를 한 손으로 잡고 핑거(10)를 클립(4)의 머리부에 끼운 다음 바디(20)를 들어 올려 클립(4)을 제거하였다. 예를들어 도어 인너패널(1)에 결합된 도어트림(3)을 분리시키고자 할 때 사용하기도 하며 기타 클립(4)으로 차체에 결합된 패널 형태의 내장재를 분리시킬 때 사용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공구(A)는 핑거(10)부분이 금속으로 되어있고 곧은 형태로 되어 있어 처음에 핑거(10)를 패널(1)과 클립(4)의 머리 사이에 끼워 넣을 때 흠집이 발생하기 쉽고 클립(4)의 제거시에도 핑거(10)의 끝부분이 패널(1)을 파고들어 손상을 줄뿐만 아니라 클립(4)이 끼워지는 구멍부위나 리테이너(2)를 손상시켜 패널(1)을 재조립할 때 어려움이 많았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감안한 것으로, 클립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패널에 손상을 주지 않는 구조로 된 클립 제거용 공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클립 제거용 공구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클립 제거용 공구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3는 종래의 클립 제겅용 공구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클립 제거용 공구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클립 제거용 공구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클립 제거용 공구의 사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패널2:리테이너
3:도어트림4:클립
B:공구100:핑거
200:바디300:고무커버
본 고안은 금속으로 되어 있으며, U자형으로 된 핑거(100)와 바디(200)로 이루어 진 클립 제거용 공구(B)에 있어서, 상기 핑거(10)를 한쪽으로 굽혀지게 형성하고, 손상방지용 고무커버(30)를 상기 핑거(10)의 일부에 씌운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클립 제거용 공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클립 제거용 공구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클립 제거용 공구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클립(4) 제거용 공구(B)는 핑거(100)와 바디(200)로 구성되어 있으며, 핑거(100)는 U자형이면서 납작한 형태로 되어 있으면서 상향으로 굽혀지게 형성한다. 예를들어 핑거(1000는 장도리의 목뽑기 부분과 같은 형태로써 그 끝부분은 가늘고 바디(200)쪽으로 갈수로 두꺼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상방지용 고무커버(300)는 클립(4)을 제거할 때 패널(1)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핑거(100)의 끝부분을 제외하고 씌우도록 한다.
바디(200)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길이를 확보하면서 종래와 같이 납작하거나 둥근형태로 형성하면 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공구(B)의 사용시에는 바디(200)를 한 손으로 잡고 핑거(100)를 클립(4)의 머리부에 끼운 다음 바디(200)를 누르면 클립(4)이 제거된다. 이때 지렛대 원리에 의하여 클립(4)이 쉽게 뽑혀지며 클립(4)이 패널(1)에 지지된 부위는 손상방지용 고무커버(300)가 씌워져 있으므로 패널(1)의 손상이 방지된다. 즉, 클립(4)을 제거할 때 핑거(100)의 끝부분이 패널(1)을 파고들지 않으므로 클립(4)이 끼워지는 구멍부위나 리테이너(2)를 손상을 주지 않으므로 패널(1)을 재조립하는데 어려움이 없다.
예를들어, 본 고안은 도어 인너패널(1)에 결합된 도어트림(3)을 분리시킬때 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기타 클립(4)으로 차체에 결합된 패널 형태의 내장재를 분리시킬 때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핑거(100)를 한쪽으로 굽혀지게 형성하고 손상방지용 고무커버(300)를 상기 핑거(100)의 일부에 씌운 것으로, 클립(4)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클립(4) 제거시 패널(1)에 손상을 주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클립(4)의 제거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

  1. 금속으로 되어 있으며, U자형으로 된 핑거(100)와 바디(200)로 이루어 진 클립 제거용 공구(B)에 있어서, 상기 핑거(10)를 한쪽으로 굽혀지게 형성하고, 손상방지용 고무커버(30)를 상기 핑거(10)의 일부에 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제거용 공구.
KR2019960044677U 1996-11-30 1996-11-30 클립 제거용 공구 KR1998003151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677U KR19980031514U (ko) 1996-11-30 1996-11-30 클립 제거용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677U KR19980031514U (ko) 1996-11-30 1996-11-30 클립 제거용 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514U true KR19980031514U (ko) 1998-08-17

Family

ID=53986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4677U KR19980031514U (ko) 1996-11-30 1996-11-30 클립 제거용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151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710Y1 (ko) * 2010-07-09 2012-04-12 주식회사 성음악기 기타 브릿지 핀 리무버
KR20180000996U (ko) 2016-09-30 2018-04-10 (주)대한솔루션 핸드 리무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710Y1 (ko) * 2010-07-09 2012-04-12 주식회사 성음악기 기타 브릿지 핀 리무버
KR20180000996U (ko) 2016-09-30 2018-04-10 (주)대한솔루션 핸드 리무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7867B2 (en) Clip for attaching two members
US4765036A (en) Clip for protecting coated surface
AU2020203595B2 (en) Non-marring panel remover
US5079791A (en) Tool for snap fasteners
KR0181621B1 (ko) 고정구
JP3907840B2 (ja) ホースクリップ
HU206915B (en) Clamp
US4039140A (en) Nail extractor
KR19980031514U (ko) 클립 제거용 공구
US4627141A (en) Automobile hinge pin remover
US20050017225A1 (en) Leverage hammer
US5735031A (en) Universal clip removal tool
JP3667056B2 (ja) クリップ取り外し工具
US20040074054A1 (en) Cable band
KR950009965Y1 (ko) 자동차용 선루프 오프닝 홀더
KR100204889B1 (ko) 잭핸들 고정용 클립
KR100222554B1 (ko) 자동차용 트림 고정홀더
KR100249303B1 (ko) 웨더 스트립 마운팅 클립의 탈거 공구
KR0138736Y1 (ko) 자동차용 퓨즈
KR950002950Y1 (ko) 취부용 클립 탈거장치
KR200148468Y1 (ko) 자동차 도어의 레귤레이터 핸들 결속용 클립구조
KR100238119B1 (ko) 자동차용 클립
KR0115982Y1 (ko) 핀을 뽑는 공구
JP3869068B2 (ja) 金属線条体用リ−ルの係止具
KR960003780Y1 (ko) 결합부재간의 틈새제거용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