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1764U - 두부 포장기 - Google Patents

두부 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1764U
KR20010001764U KR2019990012270U KR19990012270U KR20010001764U KR 20010001764 U KR20010001764 U KR 20010001764U KR 2019990012270 U KR2019990012270 U KR 2019990012270U KR 19990012270 U KR19990012270 U KR 19990012270U KR 20010001764 U KR20010001764 U KR 2001000176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xing plate
pneumatic cylinder
elevating
tof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22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58399Y1 (ko
Inventor
공점구
Original Assignee
공점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점구 filed Critical 공점구
Priority to KR20199900122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399Y1/ko
Publication of KR200100017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7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3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3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7/00Other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for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Landscapes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두부가 담긴 합성수지제 포장상자의 상면을 비닐 포장지로 밀봉하는 두부 포장기에 관한 것으로, 두부식품이 담긴 포장상자의 운반틀을 수평상으로 슬라이딩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는 기대와; 상기 기대의 상면에 설치된 기둥 위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 콘트롤회로장치와 승강용 공압실린더가 설치된 콘트롤박스와; 상기 콘트롤박스의 일측으로 고정 부착된 지지대 위에 설치되어 포장지 공급롤에서 공급되는 비닐 포장지에 유통기한을 인쇄하는 유통기한 표시기와; 상기 지지대의 수곳에 부착된 수개의 브라켓에 횡설되어 비닐 포장지의 공급을 안내하는 수개의 가이드 봉과; 상기 기대의 일측에 수평상으로 설치되어 운반틀을 이송시키는 이송용 공압실린더와; 상기 콘트롤박스 내부에 설치된 승강용 공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고정 부착되는 상부 승강판과; 상기 상부 승강판의 네모서리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승강판의 상면에서 너트가 나사체결된 안내볼트에 고정 부착되며, 상기 안내볼트 각각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스프링으로 탄력지지되는 중간 고정판과; 상기 중간 고정판의 하방에 설치되는 하부 고정판을 고정시키면서 상기 중간 고정판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는 상기 상부 승강판의 하강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볼트와; 상기 하부 고정판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전열선이 내장되어 비닐 포장지를 포장상자에 열접착시키는 가열판과; 및 상기 상부 승강판에 고정 부착된 승강브라켓의 하단에 용접되며, 비닐 포장지를 절단하는 절단날이 일측으로 경사진 절단칼을 구성하여 두부식품을 밀봉 포장하여 유통기한을 연장시키는 특징과 위생적으로 운반 및 판매할 수 있게 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두부 포장기{Packing apparatus of bean curd}
본 고안은 두부가 담긴 합성수지제 포장상자의 상면을 비닐 포장지로 밀봉하는 두부 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부식품은 12모를 한판으로 하여 제조되는 두부와 1모씩 낱개로 제조되는 두부가 있는 바, 1모씩 낱개로 제조되는 두부의 경우는 제조과정에서 밀봉포장하여 위생적으로 유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밀봉포장시 유통기한을 표시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두부의 유통기한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신선한 두부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지만 12모가 한판으로 제조되는 두부의 경우는 비포장상태의 플라스틱 상자에 담아서 운반되므로 유통기한의 표시가 불가능하여 소비자가 유통되고 있는 두부의 유통기한을 확인할 수 없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또한 플라스틱 상자에 담겨 운반되는 두부는 비포장상태로서 대기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상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상기 플라스틱기 상자 자체는 반복적으로 재사용되기 때문에 두부를 보다 위생적으로 운반할 수 없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12모가 한판으로 제조되는 두부식품을 비포장상태의 플라스틱 상자에 담겨 운반하게 될 때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12모를 한판으로 하여 제조된 두부식품을 일단 절반으로 나눈 다음 6모씩 반분된 두부식품이 담긴 포장상자의 상면을 비닐 포장지로 밀봉할 수 있게 하는 포장기를 제공하여 두부식품의 유통기한의 표시와 함께 위생적으로 유통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두부식품이 담긴 포장상자의 운반틀을 수평상으로 슬라이딩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는 기대와;
상기 기대의 상면에 설치된 기둥 위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 콘트롤회로장치와 승강용 공압실린더가 설치된 콘트롤박스와;
상기 콘트롤박스의 일측으로 고정 부착된 지지대 위에 설치되어 포장지 공급롤에서 공급되는 비닐 포장지에 유통기한을 인쇄하는 유통기한 표시기와;
상기 지지대의 수곳에 부착된 수개의 브라켓에 횡설되어 비닐 포장지의 공급을 안내하는 수개의 가이드 봉과;
상기 기대의 일측에 수평상으로 설치되어 운반틀을 이송시키는 이송용 공압실린더와;
상기 콘트롤박스 내부에 설치된 승강용 공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고정 부착되는 상부 승강판과;
상기 상부 승강판의 네모서리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승강판의 상면에서 너트가 나사체결된 안내볼트에 고정 부착되며, 상기 안내볼트 각각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스프링으로 탄력지지되는 중간 고정판과;
상기 중간 고정판의 하방에 설치되는 하부 고정판을 고정시키면서 상기 중간 고정판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는 상기 상부 승강판의 하강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볼트와;
상기 하부 고정판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전열선이 내장되어 비닐 포장지를 포장상자에 열접착시키는 가열판과; 및
상기 상부 승강판에 고정 부착된 승강브라켓의 하단에 용접되며, 비닐 포장지를 절단하는 절단날이 일측으로 경사진 절단칼과;
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유통기한 표시기의 작동상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인 포장기의 작동상태 단면도로서,
도 4는 가열판이 비닐 포장지를 포장상자에 열접착시키는 상태이며,
도 5는 절단칼이 비닐 포장지를 절단하는 상태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운반틀의 이송경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비닐 포장지의 공급을 안내하는 가이드봉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대 2 : 콘트롤박스
3 : 지지대 4 : 유통기한 표시기
5 : 상부 승강판 6 : 승강용 공압실린더
7 : 절단칼 8 : 이송용 공압실린더
9 : 운반틀 11 : 기둥
13 : 수직고정대 21 : 공압조정기
31 : 수직대 32 : 포장지 공급릴
33 : 날인받침판 34 : 받침구
39 : 가이드 봉 41 : 기판
42 : 고정구 43 : 작동봉
44 : 인자금형 46 : 이동간
47 : 소형 공압실린더 48 : 공급릴
49 : 회수릴 51 : 중간 고정판
52 : 하부 고정판 53 : 가열판
55 : 스프링 56 : 제어볼트
82 : 수납안내대 91 : 포장상자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유통기한 표시기의 작동상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인 포장기의 작동상태 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운반틀의 이송경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비닐 포장지의 공급을 안내하는 가이드 봉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기대를 나타내며, 도면부호 2는 콘트롤박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콘트롤박스(2)는 기대(1)의 상면 중간부분에 설치된 네개의 기둥(11) 위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콘트롤박스(2) 내부에는 전기 또는 전자신호에 의하여 동작하는 콘트롤회로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외부에는 콤푸레샤(도시 없음)로부터 이송되는 공압을 정해진 압력으로 조정하여 각 공압실린더에 공급하는 공압조정기(2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콘트롤박스(2)의 일측(도면상 우측)에 수평상으로 고정 설치된 지지대(3) 위에는 유통기한 표시기(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대(3)의 끝단에서 수직상으로 설치된 수직대(31) 상단에는 비닐 포장지(P)를 공급하는 포장지 공급릴(3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통기한 표시기(4)는 기판(41)의 중간부분에 돌출된 고정구(42)를 관통하여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작동봉(43)의 일단에는 인자금형(44)이 착탈가능하게 부착된 인자뭉치(45)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봉(43)의 타단에는 이동간(46)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42)의 하측에는 소형 공압실린더(47)가 상기 기판(41)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소형 공압실린더(47)의 피스톤로드 선단은 상기한 이동간(46)에 고정 부착되어 작동봉(43)을 왕복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통기한 표시기(4)의 기판(41) 상단 양측에는 인쇄테이프(T)를 공급하는 공급릴(48)과 회수하는 회수릴(49)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기판(41)에는 상기한 인쇄테이프(T)의 이송을 안내하는 안내봉들이 수곳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통기한 표시기(4)의 인자금형(44)의 대향측에는 내열성 합성수지의 재질로 된 날인받침판(33)이 설치되는데, 상기한 날인받침판(33)은 수직대(31)에 걸리조정이 가능하게 설치된 받침구(34)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3)의 일측에는 경사상으로 부착된 경사 브라켓(35)과 타측에 나란히 부착된 짧은 브라켓(36) 및 긴 브라켓(37) 각각에는 한쌍의 폭조절링(38)이 축설된 가이드 봉(39)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콘트롤박스(2)의 하방에는 상부 승강판(5)과 중간 고정판(51)과 하부 고정판(52) 및 가열판(53)이 차례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 승강판(5)은 콘트롤박스(2) 내부에 설치된 승강용 공압실린더(6)의 피스톤로드(61)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중간 고정판(51)은 네모서리부분에 고정된 채 상부 승강판(5)을 관통하는 안내볼트(54)에 의하여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는데, 상기 안내볼트(54)는 중간 고정판(51)이 하강이 정지된 상태에서도 상부 승강판(5)의 하강작동을 허용하도록 부착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안내볼트(54) 각각을 감싸고 있는 스프링(55)들은 상기 상부 승강판(5)을 탄력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중간 고정판(51)과 하부 고정판(52)은 네곳에 설치된 제어볼트(56)에 의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되며, 상기 제어볼트(56)의 단부는 상기 중간 고정판(51)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상부 승강판(5)의 하강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열판(53)은 하부 고정판(52)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는 절열선이 매설되어 있고 저부에는 가열테두리(531)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상부 승강판(5)의 전면 중간에 용접된 승강브라켓(57)의 하단에는 절단칼(7)이 부착되어 있는데, 상기 승강브라켓(57)에는 절단칼(7) 설치시 설치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조절장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단칼(7)의 절단날(71)은 톱날형으로 형성되고 일측으로 5∼10도 정도 경사지게 형성하여 비닐 포장지의 절단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기대(1)의 일측(도면상 우측)에 연장 설치된 고정함체(12) 내부에는 이송용 공압실린더(8)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용 공압실린더(8)의 피스톤로드(81)는 기대(1)의 상면 일측에 돌출된 수직고정판(13)를 관통된 상태에서 출몰작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한 피스톤로드(81)의 선단에는 운반틀(9)을 정확하게 안착시킬 수 있게 하는 수납안내대(82)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기대(1)의 상면에는 포장상자(91)가 수납된 운반틀(9)이 수납안내대(82)에 안착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도시 없음)와 이송용 공압실린더(8)의 작동으로 운반틀(9)이 이송되는 것을 카운트함과 동시 정확 위치 즉, 상기의 가열판(53) 밑에 정확하게 이송되었을 때 이송용 공압실린더(8)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리미트 스위치(도시 없음)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센서 및 리미트 스위치는 현재의 작동상태에 따른 신호를 콘트롤박스(2)에 설치된 콘트롤회로장치에 보내어 유통기한 표시기(4)와 승강용 공압실린더(6) 및 이송용 공압실린더(8)의 작동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콘트롤박스(2)의 콘트롤회로장치를 동작시키는 스위치를 온조작한 상태에서 상기 포장상자(91)가 수납된 운반틀(9)을 기대(1) 일측의 수납안내대(82)에 안착시키게 되면 도시하지 않은 센서가 운반틀(9)의 수납상태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콘트롤박스(2)의 콘트롤회로장치가 그 감지신호를 받아 동작을 개시하게 되는데, 먼저 이송용 공압실린더(8)가 작동된다.
상기 이송용 공압실린더(8)의 피스톤로드(81)가 출현작동하여 수납안내대(82)를 전진시키게 되면(도면상 좌측으로 이동) 상기 수납안내대(82)의 안쪽으로 안착되어 있는 운반틀(9)이 기대(1)의 상면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이동하여 콘트롤박스(2)를 받쳐주고 있는 기둥(11)들 사이로 진입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가열판(53) 밑에는 포장상자(91)의 테두리에 비닐 포장지(P)가 열접착된 운반틀(9)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이송용 공압실린더(8)의 피스톤로드(81) 출현작동으로 이송되는 운반틀(9)은 비닐 포장지(P)가 열접착된 포장상자(91)를 수납하고 있는 앞의 운반틀(9)을 밀어내고 그 자신이 가열판(53) 밑에 정확하게 위치하게 되며, 이어서상기 이송용 공압실린더(8)의 피스톤로드(91)의 출현작동으로 운반틀(9)을 정확한 위치에 이송시킨 후에는 상기 이송용 공압실린더(8)각 역으로 작동하여 이송되는 운반틀(9)이 앞의 운반틀을 밀어내고 가열판(53) 밑의 열접착 작동으로 피스톤로드(81)를 몰입작동시키게 되면 수납안내대(82)는 원위치로 복귀하여 다음 이송작동을 대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송용 공압실린더(8)의 피스톤로드(81) 출현작동에 의하여 이송되는 운반틀(9)에 밀려서 반대쪽으로 이동되는 앞의 운반틀에 수납된 포장상자(91)의 테두리에는 비닐 포장지(P)가 열접착된 상태이므로 상기한 앞의 운반틀이 이동될 때 비닐 포장지(P)를 잡아 당기는 상태이므로 공급릴(32)에 감겨있는 비닐 포장지(P)는 풀리면서 공급되는데, 상기한 비닐 포장지(P)는 공급릴(32) 밑에 위치한 가이드 봉(부호 생략)을 거쳐 날인받침판(33) 앞을 통과하여 경사 브라켓(35)의 가이드 봉(39)→짧은 브라켓(36)의 가이드 봉(39)→긴 브라켓(37)의 가이드 봉(39)을 차례로 거치면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운반틀(9)의 이송에 따라 공급되는 비닐 포장지(P)는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로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송용 공압실린더(8)의 출현작동에 의해 새로운 운반틀(9)의 공급작동과 포장상자(91)의 테두리에 비닐포장지(P)가 열접착된 운반틀(9)의 배출작동이 완료되면 상기 유통기한 표시기(4)의 유통기한 표시작동과 가열판(53)의 열접착 작동이 개시되는데, 먼저 상기 유통기한 표시기(4)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유통기한 표시기(4)의 기판(41) 하부에 설치된 소형 공압실린더(47)의 피스톤로드가 몰입작동을 개시하여 이동간(46)을 고정구(42)쪽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작동봉(43)도 같이 이동작동하여 인자뭉치(45)를 날인받침판(33)을 향해 이동시키게 되므로 인자금형(44)이 인쇄테이프(T)를 비닐 포장지(P)에 밀착시키면서 날인작동을 하게 되어 상기의 비닐 포장지(P)에는 유통기한이 인쇄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인자금형(44)이 날인작동을 완료하게 되면 상기한 소형 공압실린더(47)가 원위치로 복귀작동하여 이동간(46)을 원위치로 후퇴작동(도면상 좌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므로서 인자금형(44)은 다음 날인작동을 대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유통기한 표시기(4)의 인쇄테이프(T)는 인자금형(44)이 날인작동을 개시할 때마다 공급릴(48)에서 일정길이씩 풀려 회수릴(49)에 감기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유통기한이 선명하게 인쇄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가열판(53)의 열접착작동을 설명한다. 상기 콘트롤박스(2) 내부에 설치된 승강용 공압실린더(6)의 피스톤로드(61)가 출현작동하게 되면 상부 승강판(5)이 하강작동을 개시하게 되며, 이에 따라 중간 고정판(51), 하부 고정판(52), 가열판(53) 및 절단칼(7) 모두가 하강작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가열판(53)의 저부에 돌출된 가열테두리(531)가 비닐 포장지(P)를 포장상자(91)의 테두리에 밀착시키면서 압착하는 상태가 되면 상기한 가열판(53)은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고 정지된 상태에서 비닐 포장지(P)를 가열하게 되며, 상기 가열판(53) 상방에 설치된 하부 고정판(52)과 중간 고정판(51)도 하강이 정지된 상태가 되는 한편, 상기 승강용 공압실린더(6)는 계속적으로 작동하여 피스톤로드(61)를 출현작동시키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상부 승강판(5)은 스프링(55)을 탄력적으로 압축시키면서 하강작동을 하다가 제어볼트(56)에 닿게 되면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고 정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프링(55)을 탄력적으로 압축하면서 하강하는 상부 승강판(5)에 고정된 승강브라켓(57)과 그 하단에 부착된 절단칼(7)은 상기 상부 승강판(5)과 같이 하강작동을 진행하게 되므로 상기 절단칼(7)의 절단날(71)은 가열판(53)의 저부를 지나 운반틀(9) 사이로 진입하면서 비닐 포장지(P)를 절단하게 되는데, 상기 절단칼(7)의 절단날(71)은 일측으로 경사진 상태이며, 또한 비닐 포장지(P)는 가열판(53)을 벗어나 배출위치로 이동된 앞의 운반틀(9)에 수납된 포장상자(91)의 테두리에 열접착되어 있고 또 상기한 가열판(53) 밑에 위치한 운반틀(9)에 수납된 포장상자(91)의 테두리에는 가열판(53)에 의하여 밀착된 상태에서 열접착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절단칼(7)이 절단하고자 하는 부분의 비닐 포장지(P)는 팽팽한 상태이므로 절단칼(7)의 절단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승강용 공압실린더(6)의 피스톤로드(61) 출현작동으로 하강하는 상기 가열판(53)이 비닐 포장지(P)를 압착, 가열하여 포장상자(91)의 테두리에 열접착시키는 작동과 상기 절단칼(7)이 비닐 포장지(P)를 절단하는 작동이 완료되면 상기 승강용 공압실린더(6)의 피스톤로드(61)가 몰입작동하여 상부 승강판(5)과 중간 고정판(51), 하부 고정판(52), 가열판(53) 및 절단칼(7)을 상승시켜 다음 작동을 대기하도록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되며, 작업자는 절단칼(7)에 의하여 비닐 포장지(P)가 절단되어 분리되고 열접착된 비닐 포장지(P)에 의하여 밀봉 포장된 포장상가(91)가 수납된 운반틀(9)을 기대(1)에서 들어내 운반하여 두부식품(92)이 담긴 채 포장된 포장상자(92)는 저장탱크에 저장하고 빈 운반틀은 다시 포장상자를 밀봉하는 작업에 재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두부식품(92)이 담긴 포장상자(91)가 수납된 운반틀(9)을 수납안내대(82)에 투입하여 안착시키는 작업과, 비닐 포장지(P)가 열접착으로 밀봉 포장된 채 절단되어 상기 기대(1)의 배출위치에 있는 운반틀(9)을 운반하는 작업만 작업자의 인위적인 작업으로 진행되며, 상기 수납안내대(82)에 운반틀(9)이 투입 안착된 다음 가열판(53)쪽으로 이송되는 작동과 비닐 포장지(P)의 열접착작동 및 절단작동 그리거 비닐 포장지(P)에 유통기한이 인쇄되는 작동은 자동으로 이루지며, 또한 작업자가 다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수납안내대(82)쪽에 운반틀(9)을 투입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는 모든 작동이 일시적으로 정지된 상태가 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비닐 포장지의 포장작업이 정확하게 진행되게 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두부식품이 담긴 포장상자를 운반틀에 수납시킨 상태에서 기대의 일측에 형성된 수납안내대에 상기 운반틀을 투입, 안착시키는 간편한 작업으로 유통기한이 인쇄 표시된 비닐 포장지를 포장상자의 상면 테두리에 가열 접착시키는 수단으로 두부식품을 위생적으로 운빈 및 판매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져다주며, 또한 운반틀을 수납안내대에 투입, 안착시키는 작업과 비닐 포장지가 열접착되어 포장된 상태에서 배출위치로 배출된 운반틀을 운반하는 작업 이외의 작동으로서 비닐 포장지에 유통기한을 인쇄 표시하는 작동과 운반틀을 포장위치로 이송시키는 작동과 비닐 포장지를 열접착시키는 작동 및 비닐 포장지의 열접착이 완료된 운반틀을 배출위치로 배출시키는 작동이 자동으로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운반틀을 수납안내대에 투입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는 포장작업이 일시적으로 정지되므로 작업자가 포장작업을 진행하다가 잠시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등 기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12모의 두부식품을 절반으로 나누어 밀봉 포장이 가능하게 하므로서 두부식품의 유통기한을 연장시키고 나아가 위생적으로 운반 및 판매할 수 있게 하는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두부식품이 담긴 포장상자의 운반틀을 수평상으로 슬라이딩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면이 평탄면으로 형성되는 기대와;
    상기 기대의 상면에 설치된 기둥 위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 콘트롤회로장치와 승강용 공압실린더가 설치된 콘트롤박스와;
    상기 콘트롤박스의 일측으로 고정 부착된 지지대 위에 설치되어 포장지 공급롤에서 공급되는 비닐 포장지에 유통기한을 인쇄하는 유통기한 표시기와;
    상기 지지대의 수곳에 부착된 수개의 브라켓에 횡설되어 비닐 포장지의 공급을 안내하는 수개의 가이드 봉과;
    상기 기대의 일측에 수평상으로 설치되어 운반틀을 이송시키는 이송용 공압실린더와;
    상기 콘트롤박스 내부에 설치된 승강용 공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고정 부착되는 상부 승강판과;
    상기 상부 승강판의 네모서리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승강판의 상면에서 너트가 나사체결된 안내볼트에 고정 부착되며, 상기 안내볼트 각각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스프링으로 탄력지지되는 중간 고정판과;
    상기 중간 고정판의 하방에 설치되는 하부 고정판을 고정시키면서 상기 중간 고정판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는 상기 상부 승강판의 하강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볼트와;
    상기 하부 고정판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전열선이 내장되어 비닐 포장지를 포장상자에 열접착시키는 가열판과; 및
    상기 상부 승강판에 고정 부착된 승강브라켓의 하단에 용접되며, 비닐 포장지를 절단하는 절단날이 일측으로 경사진 절단칼과;
    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포장기.
KR2019990012270U 1999-06-30 1999-06-30 두부 포장기 KR2002583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270U KR200258399Y1 (ko) 1999-06-30 1999-06-30 두부 포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270U KR200258399Y1 (ko) 1999-06-30 1999-06-30 두부 포장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764U true KR20010001764U (ko) 2001-01-26
KR200258399Y1 KR200258399Y1 (ko) 2001-12-28

Family

ID=54765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2270U KR200258399Y1 (ko) 1999-06-30 1999-06-30 두부 포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39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8399Y1 (ko) 200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0772B2 (ja) ヒートシール包装装置及びヒートシール包装方法
US8424271B2 (en) Process for wrapping loads, in particular palletised loads, and relative system
US8024912B2 (en) Methods for preserving pallet units of fresh perishables in modified atmosphere containing bags
US8381497B2 (en) Method and packaging machine for packaging products
US11383872B2 (en) Packaging machine
US20050223683A1 (en) Apparatus for banding groups of palletised products
KR101577784B1 (ko) 무게 계량형 자동포장기
JP2009541170A (ja) 発泡ポリマー製の容器を成形、充填及び密封する装置
KR200491764Y1 (ko) 일회용 포장용기 실링 장치
JP2003312604A (ja) フィルム包装方法及びその包装装置
KR101744755B1 (ko) 스킨포장 기능을 겸용하는 진공포장기
KR100647549B1 (ko) 일회용 용기의 포장장치
KR200258399Y1 (ko) 두부 포장기
US20180312282A1 (en) Horizontal form-fill-seal packaging system
US3083513A (en) Combined bagging and packing machine
JP6323937B2 (ja) 帯掛け包装装置
KR101425417B1 (ko) 다분할 포장팩의 연속 포장장치 및 포장방법
KR100574388B1 (ko) 과일포장용 오픈박스의 투명커버 부착장치
KR200178707Y1 (ko) 식품가공물 포장장치
AU7057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aging food
JP6300297B2 (ja) 帯掛け包装装置
CN213893096U (zh) 外带物品打包机及其打包袋制作模块
JP2542353B2 (ja) 計量包装値付装置
JPH0518251Y2 (ko)
JP5446463B2 (ja) 包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