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0375A - 맨홀보수공법과 그 공법에 사용되는 장치 - Google Patents

맨홀보수공법과 그 공법에 사용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0375A
KR20010000375A KR1020000056097A KR20000056097A KR20010000375A KR 20010000375 A KR20010000375 A KR 20010000375A KR 1020000056097 A KR1020000056097 A KR 1020000056097A KR 20000056097 A KR20000056097 A KR 20000056097A KR 20010000375 A KR20010000375 A KR 20010000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mortar
lifter
repair
roa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6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4540B1 (ko
Inventor
남정린
Original Assignee
남정린
주식회사 평강산업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정린, 주식회사 평강산업개발 filed Critical 남정린
Priority to KR10-2000-0056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4540B1/ko
Publication of KR20010000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4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45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9/00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9/005Lifting devices for manhol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5Hydraulic j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1Morta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면보다 침하되거나 파손된 맨홀을 교체하는 맨홀보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도로상에 구비된 맨홀을 보수하기 위해서 맨홀뚜껑을 열고 맨홀구의 내주연에 지지되도록 하는 낙석방지용 받침대를 설치하는 준비단계와;
상기 맨홀의 주변 상부 외주연에 철거용 리프터를 설치하고 조절로드를 조절하여 맨홀과 맨홀구 사이에 후크를 안착시키고, 리프터를 작동시켜 맨홀을 분리시키는 분리단계와;
삼각 수평조절대를 장착하여 노면과 맨홀의 레벨을 일치시킨 후, 상기 맨홀의 내주연에 거푸집을 설치하여 타설되는 모르타르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하는 맨홀설치단계와;
상기 설치된 맨홀과 노면의 사이에 적정레벨로 초속경 몰탈을 투입하도록 하는 1차 타설단계와;
상기 1차로 타설된 몰탈이 경화된 후 상기 삼각 수평조절대와 거푸집을 제거하고, 노면보다는 다소 낮은 레벨로 초속경 모르타르를 투입하는 2차 타설단계와;
상기 초속경 모르타르의 타설이 완료된 후 맨홀뚜껑을 덮고, 상기 초속경 모르타르의 상부에 마감재를 포설함으로써 완료되는 마감단계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맨홀보수공법과 그 공법에 사용되는 장치{Method of Manhole Repair and Used the Method of Equipment}
본 발명은 도로상에 구비되어 차량의 중량 또는 반복적으로 아스팔트를 포장하여 노면보다 침하된 맨홀을 보수하기 위해 시행하는 맨홀보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더 상세하게는 인력에 의해 맨홀의 보수공사를 시행하던 종래의 방식을 맨홀보수용 리프터에 의해 굴착작업을 시행하여 비산먼지가 발생하지 않고, 삼각대의 용이한 레벨조절에 의해 보수작업이 단 시간내에 처리가 가능하여 시공비를 절감하고, 교통체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맨홀보수공법과 그 공법에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것이 상술한 바와 같은 노면보다 침하된 상태의 맨홀을 도시한 단면도로써, 도시한 바와 같은 맨홀은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써, 도시한 바와 같은 맨홀을 교체하기 위하여 시행하는 맨홀보수 작업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방법이 사용되어 오고 있었다.
예를 들면, 맨홀 주변을 아스팔트 컷팅기로 절단한 후, 상기 절단선의 내측을 브레이커(Breaker) 즉, 착암기라는 공구로 맨홀주변의 아스팔트를 깨내고, 상기 맨홀을 인력 또는 체인블럭(Chain Block)이 구비된 간이 리프터로 빼내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 작업은 2인 이상의 작업자가 상기 브레이커로 아스팔트를 깨내는 과정에서 엄청난 소음과 비산 먼지가 발생하여 일반적인 주택가 도로상에 구비되는 맨홀을 보수할 때 소음과 먼지공해에 의해 주민들의 민원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시내 도로상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체인블럭에 의해 맨홀를 철거하는 작업등이 전반적으로 시공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므로 보수공사 시간이 길게 소요되므로, 한 쪽 도로를 차단한 상태에서는 극심한 교통체증을 야기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일히 인력에 의존하는 작업의 성격상,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맨홀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소음과 비산 먼지의 발생을 없도록 하고, 유압실린더의 상승작용으로 부드럽게 굴착작업을 시행하므로써, 일반적인 주택가의 주민에게 피해를 입히지 않고, 도로상에서도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보수작업을 시행하여 교통체증을 최소화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력에 의존하지 않으므로 시공비용을 최소화하고, 소수의 인원으로 시공이 가능하되 생산성은 향상 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노면보다 낮게 함몰되어 보수공사를 하기전의 맨홀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맨홀보수공법의 개략적인 공정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맨홀보수용 리프터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와 도 5는 도 3 "A"-"A"선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써, 본 발명 맨홀보수용 리프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리프터에 의해 굴착이 완료된 노면을 도시한 참고도이고,
도 7의 가)와 나)는 본 발명 삼각 수평조절대와 거푸집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와 평면도이고,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삼각 수평조절대에 의해 노면과 동일한 레벨로 설치가 완료된 맨홀의 주변에 1, 2차 모르타르 타설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의 가)는 보수작업이 완료된 맨홀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고, 나)는 가) "B"-"B"선의 단면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맨홀보수공법 1a;맨홀
1b;맨홀구 10;준비단계
20;분리단계 30;맨홀설치단계
40,50;1, 2차 맨홀설치단계 60;마감단계
100;맨홀보수용 리프터 110;리프터 베이스
111;힌지 112;힌지 볼트
120;상부 프레임 121;크로스 빔
122;보강판 123;아이 볼트
130;제 1유압 실린더 140;후크
141;조절 로드 142;조절 너트
143;와셔 150;제 2유압실린더
200;삼각 수평조절대 210;링
220;레그 230;보강플랜지
300;거푸집 310;보조거푸집
320;턴 버클 400;초속경 모르타르
500;마감재
본 발명은 노면보다 침하되거나 파손된 맨홀을 교체하도록 하는 맨홀보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도로상에 구비된 맨홀을 보수하기 위해서 맨홀뚜껑을 열고 맨홀구의 내주연에 지지되도록 하는 낙석방지용 받침대를 설치하는 준비단계와;
상기 맨홀의 주변 상부 외주연에 철거용 리프터를 설치하고 조절로드를 조절하여 맨홀과 콘크리트 사이에 후크를 안착시키고, 리프터를 작동시켜 맨홀을 분리시키는 분리단계와;
삼각 수평조절대를 장착하여 노면과 맨홀의 레벨을 일치시킨 후, 상기 맨홀의 내주연에 거푸집을 설치하여 타설되는 모르타르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하는 맨홀설치단계와;
상기 설치된 맨홀과 노면의 사이에 적정레벨로 초속경 몰탈을 투입하도록 하는 1차 타설단계와;
상기 1차로 타설된 몰탈이 경화된 후 상기 삼각대와 거푸집을 제거하고, 노면보다는 다소 낮은 레벨로 초속경 모르타르를 투입하는 2차 타설단계와;
상기 초속경 모르타르의 타설이 완료된 후 맨홀뚜껑을 덮고, 상기 초속경 모르타르의 상부에 마감재를 포설함으로써 완료되는 마감단계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맨홀을 보수하는데 사용되는 맨홀보수용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리프터는 상기 맨홀 주변 아스팔트에 구비되는 원형의 리프터 베이스와; 도로상에 구비된 맨홀을 보수하도록 상기 맨홀의 상부 바닥면에 구비되는 원형의 리프터 베이스와; 상기 리프터 베이스와 대향하는 위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리프터 베이스 상부면에 소정의 등간격으로 하단이 장착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면에 상단이 장착된 제 1실린더와; 상기 상부프레임의 내측에 병렬로 장착된 크로스 빔의 사이에 구비되어 내, 외측으로 이동이 자유롭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조절로드의 하단에 장착된 후크와; 상기 후크의 후단에 장착되어 후크의 선단이 맨홀과 맨홀구 사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밀어줌으로써, 상기 제 1실린더의 동작에 의해 상부프레임이 상승할 때 후크에 걸린 맨홀이 리프터 베이스의 형태에 따라 원형으로 굴착되도록 하는 제 2유압실린더로 구성된다.
또한, 맨홀보수용 리프터에 의해 맨홀이 철거된 노면상부에 구비되도록 중심으로 모아지는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맨홀의 하중을 견디도록 장착된 링과; 상기 링의 내주연에 소정 등간격의 세방향으로 형성되어 맨홀상측과 노면과의 레벨을 맞추도록 하는 레그와; 상기 레그의 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레그의 하측과 일치하는 레벨을 갖는 맨홀의 측면에 지지되도록 조임볼트가 장착된 보강플랜지를 포함한 맨홀보수용 삼각 수평조절대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한 예시도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맨홀보수공법의 개략적인 공정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맨홀보수용 리프터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와 도 5는 도 3 "A"-"A"선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써, 본 발명 맨홀보수용 리프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리프터에 의해 굴착이 완료된 노면을 도시한 참고도이고, 도 7의 가)와 나)는 본 발명 삼각대와 거푸집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와 평면도이고,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삼각대에 의해 노면과 동일한 레벨로 설치가 완료된 맨홀의 주변에 1, 2차 모르타르 타설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의 가)는 은 보수작업의 마감이 완료된 맨홀의 외관을 도시한것이고, 나)는 가) "B"-"B"선의 단면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블럭도에 의해 본 발명 맨홀보수공법(1)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본 발명 맨홀보수공법(1)은 일차적으로 맨홀뚜껑을 분리한 후, 맨홀(1a)의 내부에 낙석방지용 받침대(11)를 설치함으로써 완료되는 준비단계(10)와, 상기 준비단계(10)에서 뚜껑이 제거된 맨홀(1a) 상부에 맨홀보수용 리프터(100)(이하, "리프터"라 칭한다.)를 설치한 후, 맨홀(1a)을 철거하는 분리단계(20)와, 상기 분리단계(20)에서 철거된 맨홀(1a)부위를 청소하여 청결한 분위기에서 신규 설치될 맨홀(1a)에 레벨셋팅용 삼각 수평조절대(200)(이하, "삼각대"라 칭한다.)와 모르타르 누출방지용 거푸집(300)을 설치한 후 노면과의 레벨 및 맨홀(1a)의 위치를 맞추는 맨홀설치단계(30)가 이어진다.
또한 상기 공정에서 셋팅이 완료된 맨홀(1a)의 주위로 본 발명의 초속경 모르타르(400)를 타설함으로써 상기 분리단계(20)에서 파헤쳐진 노면에 견고한 타설이 이루어지도록 1차 타설단계(40)를 완료한 후, 상기 1차타설이 완료된 상부에 노면과 동일한 레벨로 상기 모르타르를 타설함으로써, 2차타설단계(50)도 완료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맨홀뚜껑을 닫고, 본 발명의 마감단계(60)에서는 2차타설이 완료된 초속경 모르타르(400)의 상부에 마감재(500)를 도포하고, 그 마감재(500)를 도포하여 노면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본 발명의 보수공사는 완료된다.
이하, 상술한 각 공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차적으로 맨홀뚜껑을 개방한 뒤 맨홀(1a)의 내측으로 낙석방지용 받침대(11)(이하, "받침대"라 칭한다.)를 설치하여 후술할 분리단계(20)에서의 아스팔트(Asphalt)와 잡석등의 파편이 맨홀 하측으로 떨어져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준비단계(10)의 작업을 마무리하는데, 상기 받침대(11)는 상기 맨홀(1a)보다는 외경이 다소 크게 형성된 받침대 링(Ring)의 내측으로 일반적인 포대자루재질의 주머니를 갖추고, 콘크리트로 형성된 맨홀구(1b)의 내주연에 구비된다. 즉, 상기 링의 탄성력에 의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려는 성질에 의해 맨홀이 구비된 맨홀구(1b)에 지지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1차적인 준비가 완료된 맨홀(1a)의 주변에 맨홀보수용 리프터(100)(이하, "리프터"라고 칭한다.)를 설치하여 노면보다 침하된 맨홀(1a)을 철거하도록 하는 분리단계(20)가 시작되는데, 그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에 의해, 본 발명 리프터(100)의 구성을 살펴 보면, 상기 리프터(100)는 기본적으로 하부에 구비되어 지면에 지지되도록 원형 링(Ring)의 형상을 구비한 리프터 베이스(110)와 상기 리프터 베이스(110)의 상부 외주연에 소정의 등간격으로 제 1유압실린더(130)(이하, "제 1실린더"라 칭한다.)의 하단이 장착되어 있다.(상기 제 1실린더(130)와 제 2실린더(150)을 작동하도록 하는 통상의 유압유니트(Unit)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제 1실린더(130)의 상단은 상부 프레임(120)의 하부 외주연에 소정의 등간격으로 각 3개가 장착되어 상기 리프터 베이스(110)와 상기 상부 프레임(120)이 제 1실린더(130)를 사이에 두고 상, 하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이다.
상기 상부프레임(120)의 전체적인 외형은 상술한 리프터 베이스(110)와 유사하지만 외경은 작게 형성되고, 원형 링 형태의 내측으로 등간격으로 나뉘어져 병렬(竝列)로 크로스 빔(121)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크로스 빔(121)은 일측에 상세 도시한 단면도와 같이 "ㄷ"자 형강을 대칭으로 장착되도록 하여 그 사이에 조절로드(141)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조절로드(141)의 상부에는 내측으로 나사가 형성된 조절너트(142)가 구비되고 상기 조절너트(142)의 하부에는 크로스 빔(121)의 사이로 조절너트(142)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와셔(143)가 구비되어 조절너트(142)의 회동은 자유롭도록 하되 이탈은 방지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크로스 빔(121)의 사이로 조절로드(141)가 자유롭게 내, 외측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맨홀(1a)의 내경에 따라 조절로드(141)를 움직여 규격을 맞추도록 하는 것이다. 즉, 통상적인 맨홀(1a)의 규격인 φ648 또는 φ766의 규격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내, 외측으로 이동하여 구비시킬 수 있으므로 호환성(互換性)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부 프레임(120)의 중심으로 모아진 크로스 빔(121)은 상, 하 양측으로 보강판(122)을 장착하여 그 강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강판(122)의 중심에는 나사로 결합이 가능하도록 아이볼트(123)가 구비되어 지게차나 크레인으로 하역이 용이하도록 하였고, 상기 아이볼트(123)는 나사결합하여 착탈식으로 결합하거나 용접으로 장착하여도 되는데 그것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의 어떠한 방법을 선택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조절로드(141)의 각 하단에는 본 발명 후크(Hook)(140)가 구비되는데, 외측으로는 맨홀(1a)과 콘크리트로 형성된 맨홀구(口)(1b) 사이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날카롭게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후크(140)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제 2유압실린더(150)(이하, "제 2실린더"라 칭한다.)의 압력으로 상기 후크(140)의 날카로운 선단이 맨홀(1a)과 맨홀구(1b) 사이를 파고들도록 하여 맨홀(1a)의 하측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철거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 2실린더(150)는 특수하게 제작한 것으로써,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등간격으로 구비된 조절로드(141)의 하단에 장착된 후크(140)의 후단에 결합될 수 있도록 세갈래로 나뉘어진 형태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상부 프레임(120)은 상기 리프터 베이스(110)의 외경보다는 다소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 하단이 힌지볼트(112)에 의해 고정된 제 1실린더(130)가 각 힌지점에 의해 좌, 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로 올라갈수록 내측으로 몰리는 삼각대형태를 구비하여 상기 맨홀(1a)을 철거하기 위해 상부프레임(120)이 상승할 때 안정적으로 리프팅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도 4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조절너트(142)로 조절하여 상기 후크(140)의 날카로운 선단이 맨홀(1a)과 맨홀구(1b) 사이에 구비되도록 레벨을 셋팅한 후, 제 2실린더(150)를 전진시키면 도시한 바와 같이 맨홀(1a)의 하단을 파고들어 조절로드(141)의 하단에 구비된 후크(140)는 안정적으로 맨홀(1a)의 하측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실린더(130)를 작동하면, 상기 조절로드(141)와 후크(140), 제 2실린더(150)가 일체화 된 상부프레임(120)은 상승하게 되며 상기 후크(140)에 걸려 있는 맨홀(1a)은 상부로 끌어 올려지며 철거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굴착이 완료된 부위에 떨어진 잡석등의 이물질은 청소하여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뒤 상술한 준비단계(10)에서 설치되었던 받침대(11)를 제거함으로써, 분리단계(20)는 완료된다.
도 6에 도시한 것이 상술한 바와 같은 분리단계(20)가 완료된 후의 노면상태를 도시한 참고도로써, 노면이 상술한 리프터 베이스(110)의 형상과 동일한 깔끔한 절단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도 7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삼각대(200)와 거푸집(300)은 상기 신규로 설치될 맨홀(1a)의 상측과 내측으로 구비되어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으로, 그 구성을 살펴 보면, 가)에 도시한 삼각대(200)는 중심에 "ㄱ"자 앵글을 원형으로 형성한 링(210)이 구비되고, 상기 링(210)의 내주연에 소정의 등간격으로 레그(220)(Leg)가 장착되어 있다.
도시한 바에 의하면, 상기 레그(220)의 수량은 소정의 등간격으로 세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는데, 그 이유로는 지지점이 세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가장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레그(220)의 측면으로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맨홀(1a)의 일측에 구비되게 되는 보강플랜지(230)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보강플랜지(230)의 하측에는 소정 등간격으로 조임볼트(231)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삼각대(200)의 각 레그(220)가 노면에 지지되고, 상기 노면의 레벨과 일치하는 레그(220)의 하측에 밀착된 맨홀(1a)의 측면에 구비된 보강플랜지(230)의 하측에 구비된 조임볼트(231)에 의해 상기 맨홀(1a)은 매달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7의 나)에 도시한 것은 신규로 설치될 맨홀(1a)의 내측으로 설치될 거푸집(300)의 평면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거푸집(300)은 통상의 금속판을 원형으로 형성하여 외측으로 스폰지 또는 탄력성을 구비한 보조거푸집(310)으로 외주연을 감싸 맨홀(1a)의 내주연에 구비시킨 후 도시한 바와 같은 턴 버클(320)을 회동하여 거푸집(300)을 벌리게 되면 상기 탄력성을 구비한 보조거푸집(310)이 셋팅이 완료된 맨홀(1a)과 맨홀구(1b) 사이의 공간(ES)을 막아줌으로써 후속공정인 1, 2차 타설단계(40)(50)에서 타설되는 본 발명의 초속경 모르타르(400)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8과 도 9에 도시한 바에 의하면, 상기 삼각대(200)에 의해 매달린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맨홀(1a)의 내주연으로 상기 거푸집(300)의 외경을 맨홀(1a)의 내경보다는 작게 형성하여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고, 내주연으로 삽입이 완료되면 거푸집(300)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턴 버클(320)을 회동하여 거푸집(300)을 벌리게 되면 도시한 바와 같이 맨홀(1a)과 맨홀구(1b) 사이의 공간(ES)을 막도록 하여 맨홀설치단계(30)는 완료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맨홀설치단계(30)가 완료되면 본 발명의 초속경 모르타르(400)(이하, "모르타르"라 칭한다.)를 맨홀(1a)의 주변으로 적정한 레벨을 투입한다.
이때, 도시한 바와 같이 1차 타설을 완료한 후, 각 구석에 골고루 상기 모르타르(400)가 타설이 되도록 바이브레이터(Viblator)의 진동으로 골고루 다짐하여 타설이 견고하게 되도록 한다.
이때, 주의할 것은 상술한 모르타르(400)가 타설 완료 후, 굳기 시작하는 초결시간이 불과 10 ~ 12분 정도이므로 상술한 다짐작업은 신속하게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차로 타설된 모르타르(400)가 경화되면, 상술한 삼각대(200)와 거푸집(300)을 해체함으로써, 1차 타설단계(40)가 완료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초속경 모르타르(400) 타설을 1, 2차로 나누어서 작업을 하는 이유는, 첫번째로 모르타르를 타설할 때 도시한 바와 같이 불균일하게 파헤쳐진 면에 1차적으로 본 발명의 초속경 모르타르(400)를 타설하고 균일한 타설이 되도록 다진 뒤 1차적으로 조기 경화시킴으로써 다음 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두번째로는 상술한 삼각대(200)의 철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삼각대(200)의 하측까지 타설된 본 발명의 무수축 모르타르는 타설 후, 상술한 바와 같이 빨리 경화되는 성질에 의해 상기 삼각대(200)와 거푸집(300)의 해체가 가능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삼각대(200)와 거푸집(300)이 해체되면 상기 1차 타설이 완료된 모르타르의 상부에 2차로 타설을 시행하여 기존의 굴착되지 않은 아스팔트 노면보다 5 ~ 10 mm정도의 낮은 레벨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로는 후술할 본 발명 마감재(500)가 포설되는 높이의 여유를 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마감재(500)가 포설되는 두께는 맨홀주변의 분위기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이고, 현장조건에 따라 포설되는 두께가 달라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끝으로 상기 1, 2차 타설단계(40)(50)는 완료 되는 것이다.
이어서, 도 10의 가)와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맨홀뚜껑을 닫고, 본 발명의 마감재(500)를 상기 모르타르(400)의 상부에 도포하는 것을 끝으로, 본 발명의 맨홀보수공사(1)는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마감재(500)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기 마감재(500)는 주재(主材)인 에폭시(Epoxy)에 경화제를 1 : 1의 비율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된 재료에 건조된 고순도 규사가루를 1 : 5의 비율로 혼합하여 상기 1, 2차 모르타르 타설이 완료된 상부와 기존 아스팔트의 경계선에 폭 넓게 도포하여 상기 경계선으로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효과를 가진다. 즉, 주재인 에폭시와 경화제와 규사가루가 1:1:10의 비율이 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에폭시 수지는 재료특유의 내약품성, 내염수성, 수밀성을 구비하여 방수 및 맨홀주변의 부식을 방지하는 특성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초속경 모르타르(400)와 기존 아스팔트는 상호 물리적으로 성질이 다르므로 상호 분리되려는 성질이 있으므로 본 발명의 마감재(500)의 접착력에 의해 상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인장강도, 압축강도, 압축탄성강도, 인장전단강도등의 물리적강도 및 특성이 우수한 에폭시 수지와 마찰특성이 우수한 규사분을 이용하여 강력한 접착성과 마찰력을 구비함으로 상술한 맨홀(1a)의 주변을 하루에도 무수히 많은 차량의 통행에 의한 하중에도 상호 분리되거나 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청구항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맨홀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소음과 비산 먼지의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하고, 유압실린더의 상승작용으로 부드럽게 굴착작업을 시행하므로써, 일반적인 주택가의 주민에게 피해를 입히지 않고, 도로상에서도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보수작업을 시행하여 교통체증을 최소화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보수공사 전반적으로 인력에 의존하지 않으므로 시공비용을 최소화하고, 소수의 인원으로 시공이 가능하되 생산성은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

Claims (7)

  1. 노면보다 침하된 맨홀을 보수하기 위해서 맨홀뚜껑을 열고 맨홀구의 내주연에 지지되도록 하는 낙석방지용 받침대를 설치하는 준비단계와;
    상기 맨홀의 주변 상부 외주연에 철거용 리프터를 설치하고 조절로드를 조절하여 맨홀과 콘크리트 사이에 후크를 안착시키고, 리프터를 작동시켜 맨홀을 분리시키는 분리단계와;
    삼각대를 장착하여 노면과 맨홀의 레벨을 일치시키 후 상기 맨홀의 내주연에 거푸집을 설치하여 타설되는 모르타르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하는 맨홀설치단계와;
    상기 설치된 맨홀과 노면의 사이에 적정레벨로 초속경 몰탈을 투입하도록 하는 1차 타설단계와;
    상기 1차로 타설된 몰탈이 경화된 후 상기 삼각대와 거푸집을 제거하고, 노면과 일치하는 레벨로 초속경 모르타르를 투입하는 2차 타설단계와;
    상기 초속경 모르타르의 타설이 완료된 후 맨홀뚜껑을 덮고, 상기 초속경 모르타르의 상부에 마감재와 규사가루를 뿌림으로써 완료되는 마감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보수공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르타르 타설단계는 초속경 모르타르를 1, 2차로 나눠 타설함으로써 맨홀주변의 압축강도를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보수공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단계는 주재인 에폭시와 경화제와 건조된 규사가루를 1 : 1 : 10으로 혼합하여 물리적강도가 각기 다른 아스팔트와 모르타르의 접착성과 압축강도를 향상시키도록 마감재를 포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보수공법.
  4. 도로상에 구비된 맨홀을 보수하도록 상기 맨홀의 상부 바닥면에 구비되는 원형의 리프터 베이스와;
    상기 리프터 베이스와 대향하는 위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리프터 베이스 상부면에 소정의 등간격으로 하단이 장착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면에 상단이 장착된 제 1실린더와;
    상기 상부프레임의 내측에 병렬로 장착된 크로스 빔의 사이에 구비되어 내, 외측으로 이동이 자유롭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조절로드의 하단에 장착된 후크와;
    상기 후크의 후단에 장착되어 후크의 선단이 맨홀과 맨홀구 사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밀어줌으로써, 상기 제 1실린더의 동작에 의해 상부프레임이 상승할 때 후크에 걸린 맨홀이 리프터 베이스의 형태에 따라 원형으로 굴착되도록 하는 제 2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보수용 리프터.
  5. 맨홀보수용 리프터에 의해 맨홀이 철거된 노면상부에 구비되도록 중심으로 모아지는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맨홀의 하중을 견디도록 장착된 링과;
    상기 링의 내주연에 소정 등간격의 세방향으로 형성되어 맨홀상측과 노면과의 레벨을 맞추도록 하는 레그와;
    상기 레그의 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레그의 하측과 일치하는 레벨을 갖는 맨홀의 측면에 지지되도록 조임볼트가 장착된 보강플랜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보수용 삼각대.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로드는 맨홀의 규격에 관계없이 내, 외측으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여 호환성 있는 작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보수용 리프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의 선단은 날카롭게 형성되어 후단에 구비된 제 2실린더의 전진동작에 의해 맨홀과 맨홀구 사이에 박혀 맨홀의 하측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제 1실린더의 상승동작으로 리프터 베이스의 형상대로 맨홀주변을 원형으로 철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보수용 리프터.
KR10-2000-0056097A 2000-09-25 2000-09-25 맨홀보수공법과 그 공법에 사용되는 장치 KR100374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6097A KR100374540B1 (ko) 2000-09-25 2000-09-25 맨홀보수공법과 그 공법에 사용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6097A KR100374540B1 (ko) 2000-09-25 2000-09-25 맨홀보수공법과 그 공법에 사용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375A true KR20010000375A (ko) 2001-01-05
KR100374540B1 KR100374540B1 (ko) 2003-03-03

Family

ID=19690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6097A KR100374540B1 (ko) 2000-09-25 2000-09-25 맨홀보수공법과 그 공법에 사용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454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811B1 (ko) * 2000-12-20 2003-03-15 미래피앤씨(주) 맨홀보수장치 및 방법
KR100488401B1 (ko) * 2002-10-15 2005-05-11 황의철 맨홀의 보수 시공법 및 그 시공법에 의해 보수 시공된맨홀구조
KR100885659B1 (ko) * 2007-02-06 2009-02-25 이윤영 맨홀 보수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지그
KR20160001742A (ko) * 2014-06-26 2016-01-07 주식회사 평강산업개발 맨홀보수장치
EP3008412B1 (en) 2013-06-11 2018-01-03 Arçelik Anonim Sirketi A refrigerator comprising an imaging unit
CN113830717A (zh) * 2021-10-19 2021-12-24 湖南瑞龙重工科技有限公司 一种井盖维修用提升装置
KR20220052156A (ko) 2020-10-20 2022-04-2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스팸 메시지 차단 장치 및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811B1 (ko) * 2000-12-20 2003-03-15 미래피앤씨(주) 맨홀보수장치 및 방법
KR100488401B1 (ko) * 2002-10-15 2005-05-11 황의철 맨홀의 보수 시공법 및 그 시공법에 의해 보수 시공된맨홀구조
KR100885659B1 (ko) * 2007-02-06 2009-02-25 이윤영 맨홀 보수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지그
EP3008412B1 (en) 2013-06-11 2018-01-03 Arçelik Anonim Sirketi A refrigerator comprising an imaging unit
KR20160001742A (ko) * 2014-06-26 2016-01-07 주식회사 평강산업개발 맨홀보수장치
KR101598061B1 (ko) * 2014-06-26 2016-02-29 주식회사 평강산업개발 맨홀보수장치
KR20220052156A (ko) 2020-10-20 2022-04-2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스팸 메시지 차단 장치 및 방법
CN113830717A (zh) * 2021-10-19 2021-12-24 湖南瑞龙重工科技有限公司 一种井盖维修用提升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4540B1 (ko) 200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9969B1 (ko) 맨홀인상보수공법
KR100773122B1 (ko) 맨홀보수공법
CN105804089B (zh) 一种原深基坑施工后局部增深支护体系及其施工方法
KR100661049B1 (ko) 맨홀 높이조절장치 및 높이조절방법을 사용한 맨홀보수공법
CN103726503B (zh) 用于加固变形桥桩的锚杆桩加固承台结构及施工方法
JP4758639B2 (ja) マンホール補修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充填材流出防止部材固定具
KR100374540B1 (ko) 맨홀보수공법과 그 공법에 사용되는 장치
KR101067003B1 (ko) 맨홀의 보수장치
KR20100114436A (ko) 맨홀철개 높이조절장치 및 맨홀 보수공법
CN105908752B (zh) 一种用于侧墙混泥土浇筑的支模拆模系统及其工作过程
CN218322863U (zh) 检查井井身加固体系
CA3008642C (en) Adapter frame for installing or renovating a basin
CN110565962A (zh) 工具式溜管及施工方法
KR100966639B1 (ko) 맨홀보수공법
JPH08105054A (ja) 縦坑の構築工法
CN114635712A (zh) 用于地铁暗挖区间双线大断面分体式衬砌台车的施工工艺
KR100578554B1 (ko) 사각 및 횡단 맨홀 보수방법 및 그를 위한 지지구
KR20100127062A (ko) 맨홀 보수공사용 거푸집 및 맨홀의 보수 시공방법
KR101705310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패널과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합성한 도로포장공법
JP6904542B2 (ja) 円形水路の改修工法
JP3644949B2 (ja) オーバーレイ工法、切削オーバーレイ工法及び舗装工法
CN206694046U (zh) 隧道二衬复合橡胶挡板及隧道二衬复合橡胶升降堵头模板
JP3171675U (ja) 浮上防止機能付マンホール周辺沈下防止床版
CN205712185U (zh) 一种梯齿螺旋式可调井盖
US20190032300A1 (en) Cover or trapdoor which is height-adjustable and relevant install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