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6422A - 광 디스크 장치 - Google Patents

광 디스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6422A
KR20000076422A KR1019997008526A KR19997008526A KR20000076422A KR 20000076422 A KR20000076422 A KR 20000076422A KR 1019997008526 A KR1019997008526 A KR 1019997008526A KR 19997008526 A KR19997008526 A KR 19997008526A KR 20000076422 A KR20000076422 A KR 20000076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signal
laser light
optical disk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8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2955B1 (ko
Inventor
아사노겐지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20000076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6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2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29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1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5Disposition or mounting of transducer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G11B11/10556Disposition or mounting of transducer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or switching or masking the transducers in or out of their operative position
    • G11B11/10563Access of indexed par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18Groove and land recording, i.e. user data recorded both in the grooves and on the lan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05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 G11B7/08517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with tracking pull-in on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05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 G11B7/08541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involving track counting to determine posi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8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r by the structure or form
    • G11B11/1058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r by the structure or form characterised by the form, e.g. comprising mechanical protection el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45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05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 G11B7/08529Methods and circuits to control the velocity of the head as it traverses the tracks

Landscapes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광학 헤드(11)는 랜드(2) 내에 규칙적인 간격으로 형성된 불연속 그루브들(4) 또는 그루브(3) 내에 규칙적인 간격으로 형성된 불연속 랜드들(2)을 검출하고, 차분 신호(DF)를 기초로 주사 중인 트랙이 랜드(2)인지 그루브(3)인지를 판정한다. 트랙 점프 후, 식별 회로(16)로부터의 식별 신호(LG)에 따라 대물 렌즈(113)의 트랙킹 서어보 제어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광 디스크 장치{OPTICAL DISC DEVICE}
광자기(MO) 디스크는, 재기록 가능하고, 기억 용량이 크고, 또한 신뢰성이 높은 기록 매체로서 주목받고 있고, 컴퓨터 메모리 등으로 실용화되기 시작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기억 용량이 6.0G 바이트의 광자기 디스크의 규격화도 진행되고 있다.
또한, 광자기 디스크로부터의 신호 재생에 있어서 교번 자계를 인가하고, 기록층으로부터 재생층에 전사된 자구를 교번 자계에 의해 확대하여 신호를 재생하는 자구 확대 재생 기술도 개발되어 있고, 이 기술을 이용함에 따라 14G 바이트의 신호를 기록 또는 재생하는 것이 가능한 광자기 디스크도 제안되고 있다.
이 광자기 디스크는, 랜드와 그루브로 이루어지는 트랙이 스파이럴형 또는 동심원형으로 배치된 구조를 구비하고, 랜드와 그루브 양측에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을 가능하게 하여 기록 밀도를 향상시킨다.
이러한 광자기 디스크의 원하는 어드레스를 신속하게 액세스하기 위해, 광학 헤드를 광자기 디스크의 반경 방향으로 고속으로 이동시켜 레이저 광이 몇개의 트랙들을 점프하도록 하는 멀티플 트랙 점프가 행해진다. 트랙 점프 시에는, 레이저 광이 트랙을 가로지를 때 생성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가로지른 트랙의 수를 카운트하고, 레이저 광이 원하는 트랙에 도달할 때 트랙킹 서어보 제어를 재개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트랙 점프 시에 레이저 광이 고속으로 다수의 트랙들을 가로지르기 때문에, 가로지른 트랙의 수를 정확히 카운트하는 것은 반드시 용이하지는 않다. 그 결과, 레이저 광이 원하는 트랙에 도달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트랙킹 서어보 제어가 재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면, 시스템으로부터「N 트랙 떨어진 랜드까지 트랙 점프하라」라는 지시가 있는 경우라도, 레이저 광이 그루브에 도달했을 때에 트랙킹 서어보 제어가 재개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일단 그루브에서 트랙킹 서어보 제어를 재개한 후에 랜드에서 트랙킹 서어보 제어를 행하게 되므로, 광학 헤드를 반송하기 위한 선형 액추에이터에 다시 가속 전압을 인가해야 한다. 그 결과, 레이저 광이 원하는 랜드를 뛰어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광 디스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특정 구조를 구비한 랜드 그루브 방식의 광 디스크에/로부터 정보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기 위한 광 디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자기 장치의 기록/재생 대상이 되는 광자기 디스크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자기 디스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도 2의 광검출기 및 연산 회로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광자기 디스크의 그루브를 레이저 광으로 주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루브를 레이저 광으로 주사했을 때 도 3의 감산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차분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
도 5A는 도 1에 도시된 광자기 디스크의 랜드를 레이저 광으로 주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드를 레이저 광으로 주사했을 때에 도 3의 감산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차분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
도 6은 도 2의 식별 회로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도 2의 연산 회로 및 식별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도 8은 도 2의 CPU에 의한 트랙 점프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9는 도 2에 도시된 광자기 디스크 장치에 의한 트랙 점프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트랙 점프 동작 중에 도 2의 식별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식별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
도 11A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다른 구조를 구비한 광자기 디스크의 랜드 또는 그루브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드를 레이저 광으로 조사했을 때에 도 3의 감산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차분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이고, 도 11C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루브를 레이저 광으로 주사했을 때 도 3의 감산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차분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
도 12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광자기 디스크의 랜드와 그루브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회로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식별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 14A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다른 구조를 구비한 또 다른 광자기 디스크의 그루브 또는 랜드를 레이저 광으로 주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4B는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루브를 레이저 광으로 주사했을 때에 도 3의 감산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차분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이고, 도 14C는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드를 레이저 광으로 주사했을 때 도 3의 감산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차분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
도 15는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광자기 디스크의 랜드와 그루브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회로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식별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도 17은 그루브의 양측벽에 미세 클럭 마크가 형성되어 있는 광자기 디스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8은 그루브의 한쪽 측벽에 미세 클럭 마크가 형성되어 있는 광자기 디스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9는 도 17과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광자기 디스크의 랜드와 그루브를 식별하기 위한 광검출기 및 연산 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이저 광이 랜드와 그루브 중 어느 것에 조사되는지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한 광 디스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랜드와 그루브를 식별함으로써, 트랙 점프를 정확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광 디스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른 광 디스크 장치는, 모터와, 광학 헤드와, 검출 회로와, 식별 회로를 구비한다. 모터는, 광 디스크를 회전시킨다. 광학 헤드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광 디스크의 트랙을 레이저 광으로 주사하여 광 디스크로부터의 반사광을 픽업한다. 검출 회로는, 광학 헤드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랜드 또는 그루브의 특정 구조를 검출한다. 식별 회로는, 검출 회로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광학 헤드가 주사하고 있는 것이 랜드와 그루브 중 어느 것인지를 식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광 디스크 장치는, 또한, 액추에이터와, 트랙킹 서어보 유닛을 구비한다. 액추에이터는, 광학 헤드를 광 디스크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트랙킹 서어보 유닛은, 레이저 광이 트랙을 트레이스하도록 광학 헤드 중의 대물 렌즈를 광 디스크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액추에이터가 광학 헤드를 이동시켜 레이저 광이 트랙을 점프하도록 한 후, 식별 회로에 의한 식별 결과에 따라 트랙킹 서어보 유닛이 그 동작을 개시한다.
상기 광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는, 랜드 또는 그루브의 특정 구조가 검출되고, 이에 따라 레이저 광이 랜드와 그루브 중 어느 것을 주행하고 있는지가 식별 가능해진다. 그 결과, 트랙 점프를 정확하고 또한 신속히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들 중 동일한 부분 또는 대응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자기 디스크 장치를 설명하기에 앞서, 우선 기록/재생 대상이 되는 광자기 디스크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자기 디스크(1)는 스파이럴형 또는 동심원형으로 형성된 그루브(3)를 구비하고, 이에 따라 이웃하는 그루브들(3 및 3) 사이에 형성된 랜드(2)를 갖는다. 랜드 그루브 방식의 광자기 디스크(1)에서는 랜드(2)와 그루브(3)의 양측에 광자기 기록을 위한 자성막이 형성된다. 따라서, 랜드(2)와 그루브(3)가 광자기 디스크(1)의 트랙을 형성한다.
여기서, 그루브(3)는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 간격마다 끊어진다. 즉, 그루브(3)에는 일정 간격마다 길이가 짧은 랜드(5)가 형성된다. 이러한 랜드(5)를 통상의 랜드(2)와 구별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불연속 랜드(5)」라고 한다. 또한, 랜드(2)도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 간격마다 끊어진다. 즉, 랜드(2)에는 일정 간격마다 길이가 짧은 그루브(4)가 형성된다. 이러한 그루브(4)를 통상 그루브(3)와 구별하기 위해, 이하 「불연속 그루브(4)」라고 한다.
랜드(2)와 그루브(3)의 폭은 거의 동일하며 약 0.6㎛이다. 그루브(3)의 깊이는 레이저 광의 파장의 약 1/6 내지 약 1/8이다. 불연속 그루브(4) 및 불연속 랜드(5)는 약100㎛ 마다 형성되어 있고, 트랙 방향(트랙의 접선 방향 : 10)의 길이는 레이저 광의 스폿 직경과 거의 같은 약 1㎛이다. 신호는, 불연속 그루브(4) 및 불연속 랜드(5)가 아니라, 통상의 그루브(3) 및 랜드(2)에 기록된다.
레이저 광이 상기와 같은 특정 구조를 구비한 랜드(2) 또는 그루브(3)에 조사되면, 불연속 그루브(4) 및 불연속 랜드(5)의 영향에 따라 반사광의 강도가 주기적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이 광자기 디스크(1)에서는, 이와 같이 강도가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반사광을 검출함으로써 동기 신호를 생성하고, 이 동기 신호에 따라 신호를 기록 또는 재생한다.
이어서, 상술한 바와 같은 광자기 디스크(1)에 신호를 기록하고 또는 상기 광자기 디스크(1)로부터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광 디스크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장치는, 광자기 디스크(1)를 소정의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15)와, 스핀들 모터(15)에 의해 회전되는 광자기 디스크(1)의 트랙(2, 3)을 레이저 광으로 주사하여 광자기 디스크(1)로부터의 반사광을 픽업하는 광학 헤드(11)와, 광학 헤드(11)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재생 신호 RF, 차분 신호 DF(나중에 설명함), 포커스 에러 신호 FE, 트랙킹 에러 신호 TE를 생성하는 연산 회로(12)와, 이들 신호 RF, DF, FE, TE를 증폭시키는 재생 신호 증폭 회로(13)와, 이들 증폭된 신호 FE, TE에 따라 스핀들 모터(15) 및 광학 헤드(11)의 서어보 제어를 행하는 서어보 회로(14)와, 재생 신호 증폭 회로(13)로부터의 증폭된 차분 신호 DF에 기초하여 광학 헤드(11)가 주사하고 있는 것이 랜드(2)와 그루브(3) 중 어느 것인지를 식별하고, 이것을 나타내는 식별 신호 LG를 생성하는 식별 회로(16)와, 식별 신호 LG에 따라 서어보 회로(14), 타이밍 설정 회로(19), 및 선형 액추에이터(20)를 제어하는 CPU (중앙 연산 처리 장치 : 18)와, 재생 신호 증폭 회로(13)로부터의 재생 신호 RF를 복조하여 재생 데이타를 출력하는 복호기(17)와, 소정의 변조 방식으로 변조된 기록 데이타에 따라 자기 헤드 구동 회로(23)를 구동하기 위한 타이밍 펄스 및 레이저 구동 회로(25)를 구동하기 위한 타이밍 펄스를 생성하는 타이밍 설정 회로(19)와, 타이밍 설정 회로(19)로부터의 타이밍 펄스에 따라 자기 헤드(24)를 구동하는 자기 헤드 구동 회로(23)와, 타이밍 설정 회로(19)로부터의 타이밍 펄스에 따라 광학 헤드(11) 내의 반도체 레이저(110)를 구동하는 레이저 구동 회로(25)와, 신호 기록시에 광자기 디스크(1)에 자계를 인가하는 자기 헤드(24)와, 광학 헤드(11)를 광자기 디스크(1)의 트랙킹 방향(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선형 액추에이터(20)를 구비한다.
광학 헤드(11)는, 레이저 광을 생성하는 반도체 레이저(110)와, 반도체 레이저(110)로부터의 레이저 광을 평행하게 만드는 콜리메이터 렌즈(111)와, 반도체 레이저(110)로부터의 레이저 광을 곧바로 투과시키고 또한 광자기 디스크(1)로부터의 반사광을 거의 90°로 반사시키는 레이저 빔 분할기(112)와, 반도체 레이저(110)로부터의 레이저 광을 광자기 디스크(1) 상에 집점시키는 대물 렌즈(113)와, 광자기 디스크(1)로 반사하고 또한 레이저 빔 분할기(112)로 반사한 레이저 광을 3개, 즉 P 편광 성분, S 편광 성분, 및 P 편광 성분과 S 편광 성분이 혼재한 것으로 분해하는 워라스톤 프리즘(117)과, 워라스톤 프리즘(117)으로부터의 3개의 레이저 광을 집광하는 집광 렌즈(114)와, 그 집광된 반사광을 검출하는 광검출기(115)와, 서어보 회로(14)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레이저 광이 광자기 디스크(1)의 트랙(2, 3)을 항상 트레이스하도록 대물 렌즈(113)를 트랙킹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트랙킹 액추에이터(116)를 포함한다. 여기서는, 서어보 회로(14) 및 트랙킹 액추에이터(116)가 트랙킹 서어보 제어를 행하는 트랙킹 서어보 유닛을 구성한다.
광검출기(1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센서(61 및 62)로 분할되어 있다. 센서(61 및 62)는 트랙 방향(10)으로 나열하여 배치된다. 또한, 연산 회로(12)는, 센서(61 및 62)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차를 연산하여 차분 신호 DF를 생성하는 감산 회로(120)를 포함한다. 센서(61)의 출력은 감산 회로(120)의 반전 증폭 단자(-)에 인가되고, 센서(62)의 출력은 비반전 증폭 단자(+)에 인가된다. 따라서, 이 감산 회로(120)는 광학 헤드(11)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불연속 그루브(4), 불연속 랜드(5)와 같은 특정 구조를 검출할 수 있다. 이하에 이것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루브(3)를 주행하고 있는 레이저 광 LB가 불연속 랜드(5)에 도달하면, 당초는 전방의 센서(62)로부터의 출력 레벨이 증대하므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분 신호 DF의 레벨이 증대한다. 그리고, 레이저 광 LB의 중심이 불연속 랜드(5)의 전선에 달했을 때 차분 신호 DF의 레벨은 최대가 된다. 그 후, 후방의 센서(61)로부터의 출력 레벨도 증대하므로, 차분 신호 DF의 레벨은 저하하고, 레이저 광 LB의 중심이 불연속 랜드(5)의 뒷모서리에 달했을 때 차분 신호 DF의 레벨은 최소가 된다. 그리고, 레이저 광 LB가 불연속 랜드(5)를 통과하면, 차분 신호 DF의 레벨은 0으로 되돌아간다. 이상과 같이, 레이저 광 LB가 그루브(3)를 주행하고 있을 때는, 최대가 된 후에 최소가 되는 차분 신호 DF를 얻을 수 있다.
반대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드(2)를 주행하고 있는 레이저 광 LB가 불연속 그루브(4)를 통과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가 된 후에 최대가 되는 차분 신호 DF를 얻을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차분 신호 DF에 기초하여 레이저 광 LB가 주행하는 것이 랜드(2)와 그루브(3) 중 어느 것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회로(16)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식별 회로(16)는, 차분 신호 DF의 레벨을 기준 레벨 RH와 비교하는 비교기(160)와, 차분 신호 DF의 레벨을 기준 레벨 RH보다도 낮은 기준 레벨 RL과 비교하는 비교기(161)와, 비교기(160)로부터의 출력 신호 CP1에 동기하여 소정 폭의 원-샷 펄스 신호 SHOT를 생성하는 원-샷 회로(162)와, 비교기(161)로부터의 출력 신호 CP2에 동기하여 원-샷 회로(162)로부터의 원-샷 펄스 신호 SHOT를 래치하여 식별 신호 LG를 생성하는 D(지연)형 래치 회로(163)를 포함한다.
우선 레이저 광 LB가 그루브(3)를 주행하고 있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분 신호 DF의 레벨이 기준 레벨 RH를 넘으면, 비교기(160)의 출력 신호 CP1은 H(논리 하이) 레벨이 된다. 그 후, 차분 신호 DF의 레벨이 기준 레벨 RH를 하회하면, 출력 신호 CP1은 L(논리 로우) 레벨로 되돌아간다. 원-샷 회로(162)에 의해 생성되는 원-샷 펄스 신호 SHOT은 출력 신호 CP1의 상승에 따라 H 레벨이 된다. 이 원-샷 펄스 신호 SHOT의 폭 T1은, 레이저 광 LB가 불연속 랜드(5)를 통과했을 때에 생성되는 차분 신호 DF의 1사이클 T1과 같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계속해서, 차분 신호 DF의 레벨이 기준 레벨 RL을 하회하면, 비교기(161)의 출력 신호 CP2는 L레벨로 된다. 그 후, 차분 신호 DF의 레벨이 기준 레벨 RL을 넘으면, 출력 신호 CP2는 H 레벨로 되돌아간다. 이 출력 신호 CP2는 래치 회로(163)에 클럭 신호로서 인가되므로, 출력 신호 CP2의 상승 시의 원-샷 펄스 신호 SHOT의 논리 레벨이 래치 회로(163)로 래치된다. 여기서는, 출력 신호 CP1의 상승으로부터 출력 신호 CP2의 상승까지의 시간 T2는 반드시 원-샷 펄스 신호 SHOT의 펄스 폭 T1보다도 짧으므로, 원-샷 펄스 신호 SHOT은 출력 신호 CP2의 상승 시에 H 레벨을 유지한다. 이 때문에, 출력 신호 CP2가 상승하면, 원-샷 펄스 신호 SHOT의 H 레벨이 래치 회로(163)에 래치된다. 그 결과, 래치 회로(163)로부터 출력되는 식별 신호 LG는 L 레벨로부터 H 레벨로 변화한다. 이상과 같이, 레이저 광 LB가 그루브(3)로 들어오면, 식별 신호 LG가 그루브를 나타내는 H 레벨이 된다. 식별 신호 LG는, 레이저 광 LB가 랜드(2)에 들어갈 때까지 H 레벨을 유지한다.
한편, 레이저 광 LB가 랜드(2)를 주행하고 있는 경우, 차분 신호 DF의 레벨은, 상술한 그루브의 경우와는 반대로, 우선 기준 레벨 RL을 하회한다. 이 때, 비교기(161)의 출력 신호 CP2는 L 레벨이 된다. 그 후, 차분 신호 DF의 레벨이 기준 레벨 RL을 넘으면, 출력 신호 CP2는 H 레벨로 돌아간다. 계속해서, 차분 신호 DF의 레벨이 기준 레벨 RH를 넘으면, 비교기(160)의 출력 신호 CP1은 H 레벨이 된다. 그 후, 차분 신호 DF의 레벨이 기준 레벨 RH를 하회하면, 출력 신호 CP1은 L 레벨로 되돌아간다. 이 출력 신호 CP1의 상승에 동기하여 소정 폭 T1의 원-샷 펄스 신호 SHOT이 생성된다. 출력 신호 CP2의 상승 시에는 아직 원-샷 펄스 신호 SHOT은 생성되지 않으므로, 출력 신호 CP2의 상승 시의 L 레벨의 신호가 래치 회로(163)로 래치된다. 그 때문에, 래치 회로(163)로부터 출력되는 식별 신호 LG는 H 레벨로부터 L 레벨로 변화한다. 이 식별 신호 LG는, 레이저 광 LB가 그루브(3)에 들어 갈때까지 L 레벨을 유지한다. 이상과 같이, 레이저 광 LB가 랜드(2)를 주행하고 있을 때는 식별 신호 LG는 L 레벨에 있다.
이상과 같이 식별 회로(16)에 따르면, 차분 신호 DF에 따라 랜드 또는 그루브를 나타내는 식별 신호 LG가 생성된다. 즉, 레이저 광 LB가 랜드(2)를 주행 중에는 식별 신호 LG는 L 레벨이 되고, 그루브(3)를 주행 중에는 H 레벨이 된다.
이어서, 이상과 같이 구성된 광자기 디스크 장치에 의한 트랙 점프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광자기 디스크(1)는 스핀들 모터(15)에 장착되어, 소정의 회전수로 회전된다. 이 때, 광학 헤드(11)는 광자기 디스크(1) 상에 있는 하나의 트랙을 레이저 광으로 주사한다.
이 현재의 트랙으로부터 N 트랙 떨어진 그루브에 레이저 광을 점프시키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단계 S1에서 CPU(18)는 서어보 회로(14)의 트랙킹 서어보를 오프시키고, 트랙 카운터(도시하지 않음)는 리셋된다.
계속해서 단계 S2에서, CPU(18)는 선형 액추에이터(20)에 소정의 가속 전압을 인가한다. 이에 따라, 광학 헤드(1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자기 디스크(1)의 트랙킹 방향(반경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광자기 디스크(1)는 소정의 회전수로 회전하기 때문에, 레이저 광은 랜드(2)와 그루브(3)를 교대로 가로지르면서 랜드(2)와 그루브(3)를 주행하게 된다.
따라서, 레이저 광이 그루브들(3)을 가로지르면서 주행하고 있을 때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차분 신호 DF가 여러개 연속하여 생성된다. 한편, 레이저 광이 랜드(2)를 가로지르면서 주행하고 있을 때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차분 신호 DF가 여러개 연속하여 생성된다. 그 결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광이 그루브(3)를 주행하고 있는 동안 식별 회로(16)로부터 출력되는 식별 신호 LG는 H 레벨이 되고, 한편 레이저 광이 랜드(2)를 가로지르면서 주행하고 있는 동안에는 L 레벨이 된다.
계속해서 단계 S3에서 트랙 카운터의 값이 N/2이상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트랙 카운터의 값이 N/2에 달하지 않은 경우는 가속 전압이 계속 인가된다. 한편, 트랙 카운터의 값이 N/2 이상인 경우에는 단계 S4에서 CPU(18)가 가속 전압 대신 감속 전압을 선형 액추에이터(20)에 인가한다. 결국, 레이저 광을 N 트랙만 점프시키는 경우에는 레이저 광이 중간 지점에 달할 때까지는 광학 헤드(11)는 가속되고, 레이저 광이 그 중간 지점을 넘으면 광학 헤드(11)는 감속된다. 여기서, 트랙 카운터는 트랙킹 에러 신호 TE를 검출함으로써 레이저 광이 가로 지른 트랙의 수를 카운트한다.
계속해서 단계 S5에서, 트랙 카운터의 값이 N 이상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트랙 카운터의 값이 N에 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감속 전압이 계속 인가된다. 한편, 트랙 카운터의 값이 N 이상인 경우에는 단계 S6에서 레이저 광이 주행하고 있는 트랙이 원하는 그루브(3)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CPU(18)는 식별 회로(16)로부터의 식별 신호 LG에 기초하여 이 판정을 행한다. 레이저 광이 주행하고 있는 트랙이 그루브(3)가 아니면, 즉 랜드(2)이면 이 판정이 계속된다. 여기서, 트랙 카운터가 트랙의 수를 정확히 카운트하고 있으면 레이저 광은 원하는 그루브(3)를 주행하게 되지만, 레이저 광이 고속으로 다수의 트랙들을 가로지르기 때문에 트랙 카운터는 반드시 가로지른 트랙의 수를 전부 카운트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 결과, 점프 후에 레이저 광이 주행하고 있는 트랙이 원하지 않는 랜드(2)인 경우가 있다. 그러나, 랜드(2)를 주행하고 있는 레이저 광도 드디어는 그루브(3)를 주행하게 된다. 그 결과, 식별 신호 LG가 H 레벨이 되고, 이에 따라 CPU(18)는 단계 S7에서 서어보 회로(14)의 트랙킹 서어보를 턴온한다. 그 결과, 이 원하는 그루브에 대해 트랙킹 서어보 제어가 시작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록 또는 재생을 위해 형성된 불연속 그루브(4) 또는 불연속 랜드(5)를 검출함으로써 레이저 광이 주행 중인 트랙이 랜드인지 그루브인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트랙 점프 후에 레이저 광이 주행 중의 트랙이 랜드인지 그루브인지를 식별하고, 레이저 광이 원하는 랜드 또는 그루브에 도달했을 때 트랙킹 서어보 제어를 개시하도록 하기 때문에, 레이저 광을 원하는 트랙에 확실하게 점프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은 트랙 점프 동작은 신호 기록 시간뿐만 아니라 신호 재생시에도 수행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1에 도시된 광자기 디스크(1)에 있어서, 기록 또는 재생의 동기를 위한 불규칙 구조(불연속 그루브(4) 또는 불연속 랜드(5))는 랜드(2)와 그루브(3)의 둘다에 형성되지만, 어느 하나에만 형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연속 그루브(4)가 랜드(2)에만 형성되어 있고, 도 1에 도시된 불연속 랜드(5)는 그루브(3)에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이러한 불연속 그루브(4)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광검출기(115) 및 감산 회로(120)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광 LB가 랜드(2)를 주행하고 있는 경우에 레이저 광 LB의 전방이 불연속 그루브(4)에 도달하면, 광검출기(115)의 전방의 센서(62)로부터의 출력 레벨이 감소하고, 그 결과 감산 회로(120)로부터 출력되는 차분 신호 DF의 레벨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소한다. 레이저 광 LB 의 중심이 불연속 그루브(4)의 앞모서리에 도달하면, 차분 신호 DF의 레벨은 최소가 된다. 그 후, 레이저 광 LB의 중심이 불연속 그루브(4)의 뒷모서리에 도달하면, 차분 신호 DF의 레벨은 최대가 된다. 그리고, 레이저 광 LB가 불연속 그루브(4)를 통과하면, 차분 신호 DF의 레벨은 다시 0으로 복귀한다.
한편, 레이저 광 LB가 그루브(3)를 주행하고 있는 경우에 인접한 랜드들(2)의 불연속 그루브들(4) 사이 영역을 통과하면,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차분 신호 DF를 얻을 수 있다. 레이저 광 LB의 직경은 그루브(3)의 폭보다 크기 때문에, 레이저 광 LB가 불연속 그루브(4)의 앞모서리 또는 뒷모서리 부근에 위치하고 있을 때 전방의 센서(62)와 후방의 센서(61) 사이에 출력 레벨의 차가 생기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출력 레벨의 차는 레이저 광 LB가 랜드(2)를 주행하고 있는 경우에 비해 작기 때문에, 레이저 광 LB가 그루브(3)를 주행하고 있을 때에 얻을 수 있는 도 11C에 도시된 차분 신호 DF의 진폭은, 레이저 광 LB가 랜드(2)를 주행하고 있을 때 얻어지는 도 11B에 도시된 차분 신호 DF의 진폭보다 작아진다. 이들 진폭의 차를 검출하면, 레이저 광 LB가 주행하고 있는 트랙이 랜드(2)인지 그루브(3)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1B 및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차분 신호 DF에 기초하여 랜드와 그루브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회로(16)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이 식별 회로(16)는, 차분 신호 DF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반전 회로(164)와, 반전 회로(164)로부터의 반전 차분 신호 DFI의 레벨을 기준 레벨 RH와 비교하는 비교기(160)와, 비교기(160)로부터의 출력 신호 CP1에 동기하여 소정 폭의 원-샷 펄스 신호를 생성하고, 이것을 식별 신호 LG로서 출력하는 원-샷 회로(162)를 포함한다.
레이저 광 LB가 랜드(2)를 주행하는 경우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최소가 되고 계속해서 최대가 되는 차분 신호 DF를 얻을 수 있다. 이 차분 신호 DF는 반전 회로(164)에 의해 반전되어, 우선 최대가 되고 계속해서 최소가 되는 반전 차분 신호 DFI를 얻을 수 있다. 반전 차분 신호 DFI의 레벨이 기준 레벨 RH를 넘으면 비교기(160)의 출력 신호 CP1은 H 레벨이 되고, 계속해서 반전 차분 신호 DFI의 레벨이 기준 레벨 RH를 하회하면, 출력 신호 CP1은 다시 L 레벨로 되돌아간다. 이러한 출력 신호 CP1의 상승에 동기하여 소정의 폭 T3을 갖는 원-샷 펄스 신호를 얻을 수 있고, 이 신호가 식별 신호 LG로서 출력된다. 폭 T3은, 레이저 광 LB가 랜드(2)를 주행하고 있는 동안 식별 신호 LG가 H 레벨을 유지하도록, 차분 신호 DF의 출현 주기보다도 길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레이저 광 LB가 그루브(3)를 주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진폭이 작은 차분 신호 DF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그 반전 차분 신호 DFI의 레벨은 결코 기준 레벨 RH를 넘는 일은 없다. 즉, 기준 레벨 RH는, 랜드 주행 중에 얻어지는 차분 신호 DF의 최대 레벨과 그루브 주행중에 얻을 수 있는 차분 신호 DF의 최대 레벨 사이에 설정된다. 따라서, 레이저 광 LB가 그루브(3)를 주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비교기(160)로부터의 출력 신호 CP1은 결코 H 레벨로 변화하지 않고 L 레벨을 유지한다. 이 때문에, 원-샷 회로(162)에 의해 원-샷 펄스 신호가 생성되지 않고, 그 결과 식별 신호 LG는 L 레벨을 유지한다.
이상과 같이 도12에 도시된 식별 회로(16)는, 레이저 광 LB가 랜드(2)를 주행하고 있을 때는 H 레벨의 식별 신호 LG를 생성하고, 레이저 광 LB가 그루브(3)를 주행하고 있을 때는 L 레벨의 식별 신호 LG를 생성할 수 있다. 그 결과, 레이저 빔 LB가 주행하고 있는 트랙이 랜드인지 그루브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식별 회로(16)는 반전 회로(164)를 구비하고 있지만, 비교기(160)의 반전 증폭 단자에 인가되는 기준 레벨을 랜드 주행 중에 얻을 수 있는 차분 신호 DF의 최소 레벨과 그루브 주행 중에 얻을 수 있는 차분 신호 DF의 최소 레벨 사이에 설정하면, 이러한 반전 회로(164)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전방의 센서(62)의 출력을 감산 회로(120)의 반전 증폭 단자(-)에 인가하고, 또한 후방의 센서(61)의 출력을 비반전 증폭 단자(+)에 인가하면, 마찬가지로 이러한 반전 회로(164)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는, 차분 신호 DF의 최소 레벨에 이어 나타나는 최대 레벨을 검출함으로써 식별 신호 LG를 생성하도록 하면, 마찬가지로 이러한 반전 회로(164)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제3 실시예
또한,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연속 랜드(5)는 그루브(3)에 형성되지만, 도 1에 도시된 불연속 그루브(4)는 랜드(2)에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이러한 광자기 디스크에 있어서, 레이저 광 LB가 그루브(3)를 주행하고 있는 경우에 불연속 랜드(5)를 통과하면,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진폭이 큰 차분 신호 DF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레이저 광 LB가 랜드(2)를 주행하고 있는 경우 인접한 그루브들(3)의 불연속 랜드들(5) 사이 영역을 통과하면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진폭이 작은 차분 신호 DF를 얻을 수 있다.
도 15는, 도 14B 및 도 14C에 도시된 차분 신호 DF를 기초로 레이저 광 LB가 주행하고 있는 트랙이 랜드인지 그루브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이 식별 회로(16)는, 차분 신호 DF의 레벨을 기준 레벨 RH와 비교하는 비교기(160)와, 비교기(160)로부터의 출력 신호 CP1에 동기하여 소정의 폭을 갖는 원-샷 펄스 신호를 생성하고, 이것을 식별 신호 LG로서 출력하는 원-샷 회로(162)를 포함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레이저 광 LB가 그루브(3)를 주행하고 있는 경우에 불연속 랜드(5)를 통과하면, 진폭이 큰 차분 신호 DF를 얻을 수 있다. 이 차분 신호 DF의 최대 레벨은 기준 레벨 RH를 넘으므로, 비교기(160)의 출력 신호 CP1은 H 레벨이 된다. 이 출력 신호 CP1의 상승에 동기하여 소정의 폭 T4를 갖는 원-샷 펄스가 생성되고, 이 신호가 식별 신호 LG로서 출력된다. 이 폭 T4도 상기 폭 T3과 마찬가지로, 차분 신호 DF의 출현 주기보다도 길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레이저 광 LB가 랜드(2)를 주행하고 있는 경우에 인접한 그루브들(3)의 불연속 랜드들(5) 사이 영역을 통과하면, 진폭이 작은 차분 신호 DF를 얻을 수 있다. 이 차분 신호 DF의 최대 레벨은 기준 레벨 RH를 넘지 않으므로, 비교기(160)의 출력 신호 CP1은 H 레벨이 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원-샷 펄스 신호도 생성되지 않고, 식별 신호 LG는 L 레벨을 유지한다.
이상과 같이, 레이저 광 LB가 그루브(3)를 주행하고 있을 때는 식별 신호 LG가 H 레벨이 되고, 레이저 광 LB가 랜드(2)를 주행하고 있을 때는 식별 신호 LG가 L 레벨이 되기 때문에, 레이저 광 LB가 주행하고 있는 트랙이 랜드인지 그루브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1, 도 11A 및 도 14A에 도시된 광자기 디스크에는 불연속 그루브(4)나 불연속 랜드(5)가 형성되어 있지만, 랜드와 그루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어떠한 불규칙 구조가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의 동기적 기록 또는 동기적 재생을 위해, 미세 클럭 마크(fine clock mark, 6, 7)가 형성되어 있는 광자기 디스크라도 좋다. 도 17에 도시된 광자기 디스크에서는, 그루브(3)의 양측벽이 그루브(3)의 중앙선에 대해 선대칭으로 비교적 크게 워블되고, 이에 따라 파인 클럭 마크(6 및 7)가 형성된다. 또한, 도 18에 도시된 광자기 디스크로서는, 그루브(3)의 한쪽 측벽만이 워블되고, 이에 따라 미세 클럭 마크(6)가 형성된다. 그루브(3)의 다른 한 측벽은 편평하게 형성된다.
도 19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인 클럭 마크(6, 7)를 검출하기 위한 광검출기(115) 및 가산 회로(121)의 구성을 도시한다. 여기서는, 도 3에 도시된 감산 회로(120) 대신 가산 회로(121)가 설치된다. 광검출기(115)의 전방의 센서(62)의 출력은 가산 회로(121)의 한쪽 입력 단자에 인가되고, 후방의 센서(61)의 출력은 다른 한쪽 입력 단자에 인가된다.
레이저 광이 그루브(3)를 주행하고 있는 경우에 미세 클럭 마크(6, 7)를 통과하면, 도 4B에 도시된 차분 신호 DF와 동일한 극성의 합 신호 SM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레이저 광이 랜드(2)를 주행하고 있는 경우에 미세 클럭 마크(6, 7)를 통과하면, 도 5B에 도시된 차분 신호 DF와 동일한 극성의 합 신호 SM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식별 회로(16)를 이용하면, 이러한 합 신호 SM을 기초로 레이저 광이 주행하고 있는 트랙이 랜드인지 그루브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미세 클럭 마크(6 및 7)는, 그루브(3)의 폭이 변화하도록 그 양측벽을 워블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지만, 그루브(3)의 폭이 항상 일정해지도록 그 양측벽을 동일한 위상으로 워블함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광자기 디스크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랜드 그루브 방식의 기록 매체이면 적용 가능하다.
개시된 본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보다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따라 한정되고,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의 모든 변경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은, 랜드 그루브 방식의 광기록 매체를 위한 광 디스크 장치로서, 특히 트랙 점프 동작이 가능한 광자기 디스크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광 디스크(1)에 정보를 기록 하고 또는 상기 광 디스크(1)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광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 디스크(1)는 랜드(2)와 그루브(3)로 형성된 트랙을 구비하고, 상기 랜드(2)와 상기 그루브(3) 중 적어도 하나는 특정 구조(4-7)를 구비하며,
    상기 광 디스크 장치는,
    상기 광 디스크(1)를 회전시키는 모터(15)와,
    상기 모터(15)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광 디스크(1)의 상기 트랙(2, 3)을 레이저 광(LB)으로 주사하여 상기 광 디스크(1)로부터의 반사광을 픽업하는 광학 헤드(11)와,
    상기 광학 헤드(11)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구조(4-7)를 검출하는 검출 회로(12), 및
    상기 검출 회로(12)로부터의 출력 신호(DF, SM)에 기초하여 상기 광학 헤드(11)가 주사하고 있는 트랙(2, 3)이 상기 랜드(2)와 상기 그루브(3) 중 어느 것인지를 식별하는 식별 회로(16)
    를 포함하는 광 디스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디스크 장치는,
    상기 광학 헤드(11)를 상기 광 디스크(l)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20), 및
    상기 레이저 광(LB)이 상기 트랙(2, 3)을 트레이스하도록 상기 광학 헤드(11) 내의 대물 렌즈(113)를 상기 광 디스크(1)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트랙킹 서어보 유닛(14, 116)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20)가 상기 광학 헤드(11)를 이동시켜 상기 레이저 광(LB)이 상기 트랙(2, 3)을 점프하도록 한 후, 상기 식별 회로(16)에 의한 식별 결과에 따라 상기 트랙킹 서어보 유닛(14, 116)이 그 동작을 개시하는 광 디스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헤드(11)는 상기 광 디스크(1)로부터의 반사광을 검출하는 광검출기(115)를 포함하고,
    상기 광검출기(115)는 상기 트랙(2, 3)의 접선 방향(10)으로 나열되는 제1 및 제2 센서(61, 62)를 포함하는 광 디스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회로(12)는, 상기 제1과 제2 센서(61, 62)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차를 연산하여 차분 신호(DF)를 생성하는 감산 회로(120)를 포함하는 광 디스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회로(16)는,
    상기 감산 회로(120)로부터의 차분 신호(DF)의 레벨을 제1 기준 레벨(RH)과 비교하는 제1 비교기(160)와,
    상기 감산 회로(120)로부터의 차분 신호(DF)의 레벨을 제2 기준 레벨(RL)과 비교하는 제2 비교기(161)와,
    상기 제1 비교기(160)로부터의 출력 신호(CP1)에 동기하여 소정 폭(T1)의 펄스 신호(SHOT)를 생성하는 원-샷 회로(162), 및
    상기 제2 비교기(161)로부터의 출력 신호(CP2)에 동기하여 상기 원-샷 회로(162)로부터의 펄스 신호(SHOT)를 래치하는 래치 회로(163)
    를 포함하는 광 디스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회로(16)는,
    상기 감산 회로(120)로부터의 차분 신호(DF)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반전 회로(164)와,
    상기 반전 회로(164)로부터의 반전 차분 신호(DFI)의 레벨을 기준 레벨(RH)과 비교하는 비교기(160), 및
    상기 비교기(160)로부터의 출력 신호(CP1)에 동기하여 소정 폭(T3)의 펄스 신호(LG)를 생성하는 원-샷 회로(162)
    를 포함하는 광 디스크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회로(16)는,
    상기 감산 회로(120)로부터의 차분 신호(DF)의 레벨을 기준 레벨(RH)과 비교하는 비교기(160), 및
    상기 비교기(160)로부터의 출력 신호(CP1)에 동기하여 소정 폭(T4)의 펄스 신호(LG)를 생성하는 원-샷 회로(162)를 포함하는 광 디스크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회로(120)는, 상기 제1과 제2 센서(61, 62)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합을 연산하여 합 신호(SM)를 생성하는 가산 회로(121)를 포함하는 광 디스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회로(16)는,
    상기 가산 회로(121)로부터의 합 신호(SM)의 레벨을 제1 기준 레벨(RH)과 비교하는 제1 비교기(l60)와,
    상기 가산 회로(121)로부터의 합 신호(SM)의 레벨을 제2 기준 레벨(RL)과 비교하는 제2 비교기(161)와,
    상기 제1 비교기(160)로부터의 출력 신호(CP1)에 동기하여 소정 폭(T1)의 펄스 신호(SHOT)를 생성하는 원-샷 회로(162), 및
    상기 제2 비교기(161)로부터의 출력 신호(CP2)에 동기하여 상기 원-샷 회로(162)로부터의 펄스 신호(SHOT)를 래치하는 래치 회로(163)를 포함하는 광 디스크 장치.
  10. 랜드(2)와 그루브(3)로 형성된 트랙을 구비한 광 디스크(1)에 정보를 기록하고 또는 상기 광 디스크(1)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광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레이저(110)와, 상기 레이저(110)로부터의 레이저 광(LB)을 상기 광 디스크(1)상에 집점시키는 대물 렌즈(113)와, 상기 광 디스크(1)로부터의 반사광을 검출하는 광검출기(115)를 포함하는 광학 헤드(11)와,
    상기 광검출기(115)에 의해 검출된 반사광에 따라 상기 레이저 광(LB)이 상기 랜드(2)와 상기 그루브(3) 중 어느 것에 조사되는지를 나타내는 식별 신호(LG)를 생성하는 식별 회로(16)와,
    상기 광학 헤드(11)를 상기 광 디스크(1)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레이저 광(LB)이 상기 트랙(2, 3)을 점프하도록 하는 액추에이터(20), 및
    상기 액추에이터(20)가 상기 레이저 광(LB)이 상기 트랙(2, 3)을 점프하도록 한 후, 상기 식별 회로(16)로부터의 식별 신호(LG)에 따라 상기 레이저 광(LB)이 상기 트랙(2, 3)을 트레이스하도록 상기 대물 렌즈(113)를 상기 광 디스크(1)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트랙킹 서어보 유닛(14, 116)
    을 포함하는 광 디스크 장치.
  11. 광 디스크(1)에 정보를 기록하고 또는 상기 광 디스크(1)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방법 - 상기 광 디스크(1)는 랜드(2)와 그루브(3)로 형성된 트랙을 구비하고, 상기 랜드(2)와 상기 그루브(3) 중 적어도 하나는 특정 구조(4-7)를 구비함 - 에 있어서,
    상기 광 디스크(1)의 상기 트랙(2, 3)을 광학 헤드(11)로부터 레이저 광(LB)으로 주사하는 단계와,
    상기 광 디스크(1)로부터의 반사광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반사광에 따라 상기 특정 구조(4-7)를 검출하여 상기 랜드(2)와 상기 그루브(3) 중 어느 것에 상기 레이저 광(LB)이 주사되는지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광학 헤드(11)를 상기 광 디스크(1)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레이저 광(LB)에 상기 트랙(2, 3)을 점프시키는 단계, 및
    상기 레이저 광(LB)에 상기 트랙(2, 3)을 점프시킨 후, 상기 식별 단계의 결과에 따라 트랙킹 서어보 제어를 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기록/재생 방법.
KR1019997008526A 1998-02-06 1999-02-03 광 디스크 장치 KR1003429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8-25800 1998-02-06
JP2580098 1998-0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422A true KR20000076422A (ko) 2000-12-26
KR100342955B1 KR100342955B1 (ko) 2002-07-05

Family

ID=12175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8526A KR100342955B1 (ko) 1998-02-06 1999-02-03 광 디스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974958A4 (ko)
KR (1) KR100342955B1 (ko)
CN (1) CN1127721C (ko)
AU (1) AU2185999A (ko)
WO (1) WO19990405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7535A (ja) * 2000-10-05 2002-04-19 Sanyo Electric Co Ltd ディスク装置
JP2002117537A (ja) * 2000-10-10 2002-04-19 Sanyo Electric Co Ltd ディスク装置
WO2002035527A1 (fr) * 2000-10-23 2002-05-02 Sanyo Electric Co., Ltd. Appareil a disque optique conçu pour generer une horloge avec precision
JPWO2002035528A1 (ja) * 2000-10-26 2004-03-04 三洋電機株式会社 再生クロックの位相を調整可能な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位相調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2284A (en) * 1992-09-14 1995-09-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medium and apparatus using land and groove encoded information signals and identification signals including position information
US5872767A (en) * 1995-02-17 1999-02-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k and an optical disk recording/reproduction device having address blocks located on boundary lines between adjoining tracks
US5896365A (en) * 1995-04-28 1999-04-20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capable of recording in lands and grooves without a track-jumping operatio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ing, and master disk exposure apparatus for producing the same
JP3092510B2 (ja) * 1996-04-15 2000-09-25 三菱電機株式会社 光ディスク媒体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H09293244A (ja) * 1996-04-25 1997-11-11 Mitsubishi Electric Corp 光ディスク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H1011760A (ja) * 1996-06-24 1998-01-16 Mitsubishi Electric Corp 光ディスクおよび光ディスクトラッキング方法
JPH1125461A (ja) * 1997-07-01 1999-01-29 Seiji Yonezawa 光ディスクおよびその記録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2955B1 (ko) 2002-07-05
AU2185999A (en) 1999-08-23
CN1256002A (zh) 2000-06-07
WO1999040576A1 (fr) 1999-08-12
CN1127721C (zh) 2003-11-12
EP0974958A1 (en) 2000-01-26
EP0974958A4 (en) 2007-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60410B2 (ja)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
JPH0512677A (ja) 光記録媒体駆動装置
JP2633417B2 (ja) 光記録媒体駆動装置
JP2598166B2 (ja) 光ディスク媒体駆動装置
US6747922B2 (en) Track-jump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343302B1 (ko) 광학 디스크 장치
JP2002150574A (ja) 光ディスク装置
KR100595161B1 (ko) 광 기록재생기의 비기록 영역 검출 방법
KR100342955B1 (ko) 광 디스크 장치
JP3696438B2 (ja) 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媒体
KR20020026679A (ko) 광 기록매체의 재생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617230B1 (ko) 고밀도 광 기록매체 및 광 기록매체 기록 재생 장치
KR100617208B1 (ko) 광 기록재생기 및 트랙 점프 제어 방법
JP4237305B2 (ja) 光ディスク装置
KR100651996B1 (ko) 광 기록 재생기 및 트랙 점프 방법
KR100617169B1 (ko) 광 기록매체의 비기록 영역 검출 장치
KR100698105B1 (ko) 광 기록매체의 랜드/그루브 트랙 판별 방법 및 장치
JP2728620B2 (ja) 光記録再生装置
US6716508B2 (en) Optical recording medium
KR100662265B1 (ko) 광 기록매체의 비기록 영역 검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록재생 방법 및 그 장치
KR100587266B1 (ko) 광 기록매체의 기록재생 방법
KR100617209B1 (ko) 광 기록재생기 및 트랙 점프 방법
JPH07220416A (ja) トラック検索装置
JP2000200417A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5174389A (ja)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光学的情報記録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