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5776A - 건물의 부양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물의 부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5776A
KR20000075776A KR1019997007848A KR19997007848A KR20000075776A KR 20000075776 A KR20000075776 A KR 20000075776A KR 1019997007848 A KR1019997007848 A KR 1019997007848A KR 19997007848 A KR19997007848 A KR 19997007848A KR 20000075776 A KR20000075776 A KR 20000075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house
flotation
foundation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7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만 카린스키
레이몬드 아클리
Original Assignee
허만 카린스키
레이몬드 아클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만 카린스키, 레이몬드 아클리 filed Critical 허만 카린스키
Publication of KR20000075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5776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04H9/145Fl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26Stationary floating buildings for human use, e.g. floating dwellings or floating restaur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건물(300)의 부양 시스템은 방수 기부(540)의 벽(615)과 바닥을 형성하는 콘크리트편을 가지는 방수 기부(540)를 포함한다. 롤러(610)는 방수 기부(540)에 부착된다. 홍수가 상승하거나 물러감에 따라, 롤러(610)는 방수 기부(540)의 모서리 가까이에 놓인 안내 포스트(310)를 따라 로울링한다. 방수 기부(540)를 안내 포스트(310)를 따라 움직이고 원하는 높이에서 유지하기 위해 톱니바퀴 시스템(620)이 안내 포스트(310)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르면 홍수가 밀려오기 전에 건물(300)을 들어올리기 위한 가압 실린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홍수가 상승하기 전에 콘크리트 슬래브(1720)에서 떨어져 토대(1725)와 건물을 들어올리기 위한 가압 실린더(17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물의 부양 시스템{FLOTATION SYSTEM FOR BUILDINGS}
해변이나 물가와 인접한 장소는 숙박 및 상업적 목적에 알맞은 곳이다. 물과 인접한 지역은 외관이 아름다워야 하고 휴양지에서 농경지까지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많은 관광 및 휴양 산업은 물가와 인접해 형성된다. 또, 물가와 인접한 곳은 수송이 편리하다는 점을 포함해 많은 장점을 부여한다. 대부분의 비옥한 경작지는 물가와 인접해 있다.
자연이 아름답고 물을 충분히 사용할 수 있어서 물가와 인접해 상업 및 주거 건물을 구조할 수 있다. 이런 경향은 인구 증가와 더불어 줄어들지 않고 있으며 모든 부동산은 개발 대상 구역이다. 그러나, 물가와 인접한 지역과 저지대는 범람되기 쉬운데 범람이 일어나면 건물이 거주 불가능하게 되고 내부 파손되므로 사람과 사업에 악영향을 미친다.
범람 지역에서, 종래의 건물(100)은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융기된 토대(105)에 만들어진다. 설치된 교각(100)은 경사도(125) 이상의 기설정된 높이(120)까지 구조물(115)을 영구 상승시키는데 사용된다. 이것은 실제로 구조물(115) 자체를 범람시키지 않으면서 홍수가 구조물(115) 아래로 통과하도록 한다. 이런 선행 기술에 따른 범람 영역의 구조물은 부두이고 교체하지 않고 쉽게 개조할 수 있으므로 지금까지 사용되어 왔다.
설치된 교각(110)은 교각(110)을 안 보이게 하기 위해서 장식 스커트(130)로 덮고 비융기 구조물과 유사하게 하기 위해서 융기 구조물(115)의 디자인을 바꾼다. 그러나, 이 건물은 경사도 이상으로 영구히 높아지기 때문에, 방문객과 거주자는 융기 구조물(115)로 접근하기 위해서 다수의 계단(135)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일반인뿐만 아니라 장애자에게 상당히 불편하다.
마른 땅에서 비탈에 건물을 건조하기 위해 다른 기술이 제안되어 왔다. 이 기술 중 하나는 아래에서 Winston으로 언급되는 콜로라도 엔젤우드의 폴 케이. 윈스턴의 미국 특허 제 5,347,949에서 발표된다. 윈스턴은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범람이 일어나기 쉬운 영역에서 사용하기 위해 예비 건조된 모듈 하우징 유닛(200)에 대해 기술한다.
도 2는 홍수(205) 위로 부양하는 윈스턴 하우징 유닛(200)을 나타낸다. 이 하우징 유닛(200)은 플라스틱 라이너(220)에 포함된 거품(215)으로 만들어진 부양 성분(210)을 사용한다. 이 부양 성분(210)은 토대(225) 아래에 부착되는데 이 토대는 종래의 바닥 장선 시스템에 고정된 주변 목재 빔으로 만들어진다.
하우징 유닛(200)은 일련의 목재 말뚝(240)과 함께, 다수의 팽창 가능한 교각(230)을 통해 건물 부지에 고정된다. 목재 말뚝(240)은 건조 영역 토대로서 사용된다.
윈스턴 하우징 유닛(200)은 부양함과 같은 장치인데 상기 하우징 유닛(200)은 부양 성분(210) 위에 뜬다. 윈스턴 하우징 유닛(200)은 여러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다. 팽창 가능한 텔레스코픽 교각(230)은 안으로 끌어넣은 위치에서도 노출된다. 시간을 경과했을 때, 팽창 가능한 텔레스코픽 교각(230)의 노출부분은 부식된다. 이것은 텔레스코픽 교각(230)의 신장을 막는다. 홍수가 불어나고 텔레스코픽 교각(230)이 확장됨에 따라 침식은 더 많이 일어난다. 물은 팽창된 텔레스코픽 교각(230)을 채워서 유압 잠금 효과를 일으킨다. 이것은 모든 그리스(grease)를 제거하고 부식을 촉진시킨다. 또 윈스턴 하우징 유닛(200)의 부양함은 시간을 경과함에 따라 질이 나빠지고 사이드 부하를 제공하지 못한다.
그리고 윈스턴 하우징 유닛(200)은 부양해 있을 때 불안정하고 하중의 균형을 맞추는데 상당한 주의가 필요하다. 하우징 유닛(200)의 중량부에서, 더 큰 거품 부양 성분(210)이 요구된다. 하우스가 제공될 때 하우징 유닛(200)에서 하중 분배는 이동한다. 하중 이동을 보상하기 위해서, 하우징 유닛(200)의 각 모서리에 공기 블래더(250)가 필요하다. 이 공기 블래더(250)는 안정되고 수평 부양하도록 적량의 공기로 채워진다. 이것은 복잡하고, 비효율적이며 압축기를 필요로 할 때 장시간이 걸리고, 수평 부양을 달성하기 위해서 여러 번 각각의 블래더를 정밀 조정한다(반복해서 팽창 및 수축시킨다). 예를 들어, 제 1 공기 블래더를 팽창시키면 제 1 공기 블래더를 다시 재조정할 필요가 있는, 나머지 세 개의 공기 블래더(250) 내 공기를 재조정해야 한다.
또, 홍수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 때문에, 부양함과 같은 윈스턴 하우징 유닛(200)은 결코 부양할 수 없다. 범람 및 다른 문제점 때문에, 범람이 일어나기 쉬운 영역과 인접한 윈스턴 하우징 유닛(200)과 건물은 경사도 이하로 형성된 지하실을 포함하지 않는다. 기부를 가지는 것은, 범람이 일어나기 쉬운 영역과 이웃한 종래의 건물에 부족한 건물의 바람직한 특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팽창 가능한 포스트 없이 부양할 수 있는 하우스를 제공하여서 포스트를 팽창시키고 그리스를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부양 성분과 이를 균형 맞출 필요성을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부양하는 방수 기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홍수가 상승하기 전에 건조물을 들어올리는데 사용될 수 있는 다수의 가압 실린더를 제공한다. 홍수가 상승하기 전에 건조물을 들어올리면 처음에 홍수가 밀려오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원은 1995년 1월 19일에 제출된 08/374,867의 연속 출원의 하나인, 현재 출원중인, 1996년 11월 20일에 제출된 제 08/749,361의 연속 출원이다.
본 발명은 들어올릴 수 있는 건물 구조물에 관련된다. 특히, 본 발명은 범람하는 경우에 안내 포스트를 따라 부양할 수 있지만, 범람하기 전에 가압 실린더에 의해 들어올려질 수 있는 건물에 관련된다.
도 1 은 홍수 범람 지역에 형성된 선행 기술에 따른 융기 건물의 측면도.
도 2 는 선행 기술에 따른 부양함과 유사한 부양 하우스의 횡단면도.
도 3 은 정면 부동 수문과 안내 포스트를 나타내는 본 발명에 따른 부양 가능한 하우스의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부양 하우스의 부동 수문과 안내 포스트의 정밀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부양 하우스의 측단면도.
도 6 은 본원에 따른 부양 하우스의 부동수문, 안내 포스트, 롤러 및 톱니바퀴의 측단면도.
도 7a-7c 은 롤러와 톱니바퀴의 정밀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부양할 수 있는 하우스의 지붕 위로 뻗어있는 상판과 상승 막대를 나타낸 도면.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부양 가능한 하우스의 상승 막대의 측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파괴 시스템과 방수 기부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11 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 파괴 시스템의 횡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 기부의 횡단면도.
도 13a-13b 는 결합 홈을 가지는 방수 기부의 벽과 바닥을 나타낸 횡단면도.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후비 유틸리티 시스템을 나타내는 방수 기부의 상측면도.
도 15 는 건물을 상승된 위치로 들어올리기 위한 가압 실린더 시스템을 포함하는 방수 기부의 횡단면도.
도 15a 는 도 15에 나타낸 가압 실린더 시스템의 정밀도.
도 16 은 아래로 낮추었을 때 가압 실린더 시스템의 확대된 횡단면도.
도 17 은 건조물을 아래로 내린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8 은 상승된 위치에서 도 17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홍수 상승으로 인해 부양하는 방수 기부를 포함하는 건물에 부양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목적 및 그 밖의 다른 목적을 달성한다. 건조물은 방수 기부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안내 포스트는 방수 기부의 모서리와 인접해 위치한 부동 수문에 설치된 강철 H-빔이다. 유리하게도, 필요할 때 또는 홍수가 상승하기 전에 건물을 들어올리기 위해서 다수의 가압 실린더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부양 시스템은 방수 기부에 부착된 롤러를 가진다. 이 롤러는 방수 기부가 수직 운동하는 동안 안내 포스트를 따라 로울링한다. 각 안내 포스트의 한쪽 단부는 방수 기부 아래로 뻗어있는 부동 수문에 포함된다. 안내 포스트의 제 2 단부는 건물 벽 안쪽에 포함된다.
방수 기부의 바닥과 벽을 형성하는 시멘트를 한 번만 부어줌으로써 방수 기부는 콘크리트로 만들어진다. 또는, 시멘트를 2회 부어줄 수도 있다. 처음에 부은 시멘트는 바닥을 형성한다. 바닥 시멘트가 굳은 후에, 두 번째 시멘트를 부어서 벽을 형성한다. 이 경우에, 바닥과 벽은 들어맞는 홈을 가지는데 이 홈은 벽과 바닥 사이에 방수 연결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다수의 가압 실린더는 콘크리트 앵커 구조물의 내벽에 고정된다. 상승판은 콘크리트 앵커 구조물을 향해 바깥쪽으로 뻗어있는 토대의 콘크리트 벽으로 통합된다. 이 상승판은 가압 실린더의 방재 부분에 놓인다. 가압 실린더가 작동할 때 상향 압력이 상승판과 토대에 적용된다. 건물의 수직 운동이 일어난다. 가압 실린더는 상승된 후에 건물을 낮추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승된 위치에서, 예를 들면 홍수가 물러간 후에 또는 가압 실린더를 낮추었을 때 방수 기부를 유지하도록 각각의 안내 포스트를 따라 톱니바퀴가 제공된다. 이 톱니바퀴는 자유롭게 고정된 톱니 위로 통과하지만 아래로 내려왔을 때 고정된 톱니와 맞물리는 가동성 톱니를 가진다. 이것은, 방수 기부가 홍수로 상승하도록 하지만, 홍수가 물러간 후에 내려가는 것을 막는다.
방수 기부가 내려가도록, 이동 톱니에 부착된 한쪽 단부와 기부 벽의 구멍을 통과하고 손잡이까지 뻗어있는 다른 단부를 가지는 꼬여있는 로프에 의해 이동 톱니는 뒤로 당겨진다. 이동 톱니는 기부 벽의 내면에 부착된 돌출부로 손잡이를 당겨서 걸어줌으로써 오목한 위치에 잠겨질 수 있다.
부양 건물은 들어올리기 위해 상승 막대를 포함한다. 홍수가 물러가고 톱니바퀴의 톱니와 이동 톱니의 맞물림으로 인해 부양 건물이 상승된 채로 유지된 후에, 부양할 수 있는 건물은 상승 막대로부터 들어올려진다. 이것은 뒤로 당기고 톱니바퀴의 이동 톱니를 고정된 톱니로부터 분리하여서 부양 건물을 낮출 수 있다.
상승 막대는 기부 벽에 포함된 하부를 가지고 기부 바닥으로 뻗어있는 기부판까지 뻗어있다. 상승 막대의 상부는 건물 벽 안에 놓이고, 건물의 지붕을 통과하고 상판까지 뻗어있다. 이 상판은 예를 들어 부양 건물을 상승시키는데 사용되는, 크레인의 후크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을 가진다. 이 상승 막대는 강철이고 상판과 함께, 지붕을 통과하여 뻗어있는 상부는 아연으로 도금된다. 상기 상승 막대는 부양 가능한 건물을 들어올리기 위해 가압 실린더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부양 시스템은 상승하는 홍수에 의해 방수 기부의 바닥 아래에 생성된 진공 상태를 파괴하기 위한 진공 파괴 시스템을 포함한다. 방수 기부의 바닥에 위치한, 진공 파괴 시스템은 압축된 CO2용기를 포함하는 CO2진공 파괴 시스템이다. 이 용기는 파이프에 연결된 밸브와 결합된다. 이 파이프는 기부 바닥 아래로 뻗어있으므로, 밸브가 열려있을 때, 압축된 CO2는 기부 바닥 아래로 방출되고 진공을 파괴한다.
그리고, 부양 시스템은 펌프, 신선수 탱크, 하수 호울딩 탱크 및 제너레이터로 이루어진, 방수 기부에 위치한 후비 유틸리티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 후비 유틸리티 시스템은, 부양 건물 바깥쪽에서 뻗어있는 주요 유틸리티 시스템을 분리한 후에 기존의 부양 건물 유틸리티 연결부에 결합된다.
요약해서, 건물용 부양 시스템은 롤러와 톱니바퀴를 가지는 방수 기부를 포함한다. 방수 기부는 모서리와 이웃해 위치한 안내 포스트를 따라 수직으로 움직인다. 각 안내 포스트의 한 쪽 단부는 방수 기부 아래로 뻗어있는 부동 수문에 포함된다. 안내 포스트의 제 2 단부는 건물의 벽 안쪽에 포함된다.
상기 부양 시스템은 단순하고, 신뢰성이 높으며 안정성이 있다. 그리스를 필요로 하는 팽창할 수 있는 포스트를 제거함으로써 정비 회수를 상당히 줄일 수 있다. 설치된 안내 포스트는 부양 시스템을 단순화시킬 뿐만 아니라 안정된 부양 상태를 부여하므로, 특별한 하중 균형 조정 성분이나 부양 안정 성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고정된 안내 포스트의 부가된 안정성은 폭풍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방수 기부는 폭풍 방지 콘크리트 부분을 제공한다.
또 방수 기부는 아르키메데스의 원리를 기초로, 부선처럼 부유해 있으므로, 부양 성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부양할 수 있는 건물의 중량보다 높은 중량을 가지는 물을 옮기기 때문에 부양 가능한 건물은 떠 있다.
선행 기술에 따른 부양 시스템과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부양 시스템은 방수 부양 기부를 제공하는데 이것은 범람할 위험에 대해 범람이 일어나기 쉬운 영역에 위치한 종래 기술에 따른 건물에 없는 바람직한 특징이다. 그리고, 지지되는 구조물과 함께 방수 기부는 교각이 없는 종래의 구조물과 유사하다. 본원에 따른 부양할 수 있는 건물은 영구 융기되지 않는다. 따라서, 계단과 경사부분은 특히 장애인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최소화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굳은 콘크리트 토대가 방수 기부를 대체할 수 있다. 콘크리트 토대는 콘크리트 널빤지에 바로 놓이는데 이 널빤지는 콘크리트 토대에 부착된 유압 상승 시스템에 의해 콘크리트 토대로부터 들어올려져 분리된다. 이 실시예는 건조물 부양에 의존하지 않지만 홍수가 밀려오기 전에 사람이 건조물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한다. 홍수가 밀려오기 전에 건조물을 상승시킴으로써, 홍수가 밀려오는 것과 관련된 잠재적 피해를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하우스 형태를 가지는 부양 하우스(300)는 도 3에 나타나 있다. 부양 하우스(300)는 하우스 구조물(305)을 지탱하는 방수 기부를 포함한다. 하우스 구조물(305)은 소요 위치에 건조되거나 부지에 조립된 예비 가공된 모듈 형태이다. 부양 하우스(300)는 범람 빈번 지역에 만들어지고 범람하는 동안 물 높이가 상승할 때 떠있다. 부양 하우스(300)는 부양할 수 있는 상업 건물처럼, 거주 부양 하우스 이외에 부양 빌딩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예시로서 사용된다.
안내 포스트(310)는 부양 하우스(300)의 각 모서리와 인접해 위치한 부동 수문(315)에 삽입된다. 이 안내 포스트(310)는 내벽과 사이드(320) 사이에서 부양 하우스(300) 위로 뻗어있다. 예로, 사이드(320)는 6" 목재 랩 사이드이다.
부양 하우스(300)가 수직 운동하는 동안, 예를 들어 부양 하우스(300)가 홍수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할 때 안내 포스트(310)를 따라 로울링하는 롤러(도 6의 610)를 부양 하우스(300)는 포함한다. 도 3은 부양 하우스(300)의 정면 모서리와 인접해 위치한 두 개의 안내 포스트(310)를 나타낸다. 이 안내 포스트(310)는 부동 수문(315)에 고정된다. 예로, 부동 수문(315)은 몰드로서 사용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붕괴하는 방수 판지로 만들어진 실린더형 소우나 관 안으로 시멘트를 주입함으로써 만들어진 콘크리트 부동 수문이다.
이 부동수문(315)은 기존의 경사도(325)에서 시작하고 지면 아래에서 부양 하우스(300)의 크기/중량 및 토양 밀도에 의해 정해진 거리(330)만큼 뻗어있다. 유리하게도, 이 거리(330)는 기존의 경사도(325) 아래로 약 8 피이트이다. 토양과 하우스 크기는 부동수문(315)과 안내 포스트(310)의 크기를 정한다. 도 4에서, 부동수문(315)의 직경(335)은 안내 포스트(310)의 더 넓은 섹션(345)의 크기(340)의 두 배이다. 더 넓은 섹션(345)은 더 짧은 두 섹션(330) 사이에 놓인다. 예를 들어, 안내 포스트(310)는 4"*8" 강철 빔이고 부동수문(315)의 직경(335)은 16"인데 안내 포스트(310)의 8" 크기의 두 배가 된다.
도 3에서, 부양 하우스(300)의 정면 부분은 뒤채움(back fill)(355)과 함께 기울어져서 부양 하우스(300)로부터 떨어져 경사를 이루고 있는 경사도(360)를 제공한다. 이것은 부양 하우스(300)의 전방부로부터 떨어져 물, 예를 들어 강수량을 유지한다. 뒤채움(355)은 모래, 토양, 자갈이나 그 밖의 알맞은 물질이다.
안내 포스트(310)는 부동수문(315)으로부터 위로 돌출해 있다. 부양 하우스(300)의 전방부에 위치한 안내 포스트(310)는 뒤채움(355)에 의해 둘러싸인 노출부분(365)을 가진다. 전방 두 부동수문(315)과 경사부분(360) 사이에 있는, 노출부분(365)은 부식을 막기 위해서 아연 도금된다. 유리하게도 도 5에 나타난 것처럼 부양 하우스(300)의 뒤쪽 모서리(510)와 인접해 위치한 안내 포스트(310)는 어떠한 노출 부분도 가지지 않는다.
부양 하우스(300)는 종래의 하우스와 비슷하다. 이 부양 하우스(300)는 종래의 하우스에 존재하는 많은 부대 오락시설을 가진다. 예로, 도 5에 나타낸 부양 하우스(300)의 단면도는 하우스(300)에서 이격되어 기울어져 있는 부양 하우스(300)의 전방(515)에서 경사부분(512)을 나타낸다. 경사부분(512)의 한쪽 단부(517)는 차고 바닥(520)과 높이가 같다. 하우스(300)는 철 또는 목재 난간으로 만들어진 난간(526,528)에 의해 둘러싸인 전후방 베란다(522,524)를 가진다. 목재 기둥(530)은 앞 베란다(522)의 캔틸레버식으로 접힌 플랫폼(532)으로부터 베란다 지붕(534)까지 뻗어있다.
도 5는 부선과 유사한 방식으로 부양하는 방수 기부(54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부양할 때, 부양 하우스(300)는 부양 가능한 하우스(300) 자체의 중량보다 무거운 중량을 가지는 수역을 옮긴다. 따라서, 아르키메데스의 원리에 따라 부양 가능한 하우스(300)는 부유해 있다. 부양 가능한 하우스(300)의 전방부(515)는 도 6에서 자세히 나타나 있다.
도 6은 방수 기부(540)의 콘크리트 벽(615)에 고정된 실린더형 롤러(610)를 나타낸다. 이 롤러(610)는 안내 포스트(310)를 따라 로울링한다. 이 롤러(610)는 안내 포스트(310)의 넓은 섹션(425)(도 4)을 따라 로울링한다.
롤러(610) 아래에서, 대략적으로 도시한 톱니바퀴(620)는 방수 기부(540)의 벽(615)과 안내 포스트(310) 사이에 놓인다. 상기 톱니바퀴(620)는, 홍수가 상승함에 따라 방수 기부(540)가 안내 포스트(310)를 따라 자유롭게 상승하도록 허용한다. 그러나, 톱니바퀴(620)는 홍수가 물러갔을 때 방수 기부(540)가 낮추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방수 기부(540) 아래의 부지에 쌓인 모든 쓰레기를 세척하고 방수 기부(540)를 아래로 낮추기 전에 알맞게 준비하도록 홍수가 물러간 후에 방수 기부(540)를 상승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양 가능한 하우스(300)의 각 모서리와 인접해, 안내 포스트(310)는 위에서 지지되는 하우스 구조물(305)과 방수 기부(540)를 따라 뻗어있다. 상기 안내 포스트(310)는 기존의 경사부분(325) 아래에 있는 부동수문(315)으로부터 뻗어있다. 토사 충전부(355)는 완성된 경사부분(360)을 만들기 위해서 부양 가능한 하우스(300)의 전방부에서 사용된다.
부동수문(315)으로부터 부양 가능한 하우스(300)의 바닥 장선(625)까지, 안내 포스트(310)는 부양 가능한 하우스(300)의 모서리 가까이의 방수 기부(540)의 벽(615) 바깥쪽으로 뻗어있다. 완성된 경사부분(360) 위에서, 안내 포스트(310)는 하우스 구조물(305)로 뻗어있다. 완성된 경사부분(360)과 바닥 장선(625) 사이에서, 안내 포스트(310)는 방수 기부(540)의 콘크리트 벽(615)과 부양 하우스(300)의 외벽(630) 사이에 놓인다. 부양 하우스(300)의 바닥 장선(625)은 방수 기부(540)의 콘크리트 벽(615)에 놓인다.
부양 하우스(300)의 바닥 장선(625) 위에서, 안내 포스트(310)는 부양 하우스(300)의 외벽(630)과 내벽(635) 사이에 있다. 안내 포스트(310)는 방수 기부(540)의 벽(615)과 부양 하우스(300)의 내벽(635)에서 약 3" 이격되어 있다.
도 7a-7c는 롤러(610)와 톱니바퀴(620)의 정밀도이다. 롤러(610)는 방수 기부(540) 벽(615)의 바깥쪽 면에 부착된다. 톱니바퀴(620)는 두 부분(715,720)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부분(715)은 안내 포스트(310)에 부착되고 제 2 부분(720)은 벽(615)의 바깥쪽 면(710)에 부착된다. 방수 기부(540)의 각 모서리와 인접한 각각의 안내 포스트(310)와 대응하는 방수 기부 벽(615)은 톱니바퀴(620)와 롤러(610)를 포함한다.
롤러(610)는 안내 포스트(310)의 더 넓은 섹션(345)을 따라 로울링한다. 이 롤러(640)는 볼트, 두 개의 J-후크 또는 단일 U 모양의 J-후크(725)를 사용해 방수 기부(540)의 벽(615)에 볼트로 체결되거나 고정된다. 롤러(610)는 고무, 테프론, 경성 플라스틱이나 고무 처리된 금속이다. 롤러(610)는 도 7a-7c에 나타낸 것처럼 톱니바퀴(620) 위에 놓인다. 또는, 롤러(610)는 톱니바퀴(620)와 인접해 배치될 수 있다. 이것은 톱니바퀴(620)의 제 1 부분(715)이 안내 포스트(310) 위로 연장되도록 허용하여서 방수 기부(540)를 더 높은 위치에서 제자리에 고정 유지시킨다. 상기 톱니바퀴(620)는 홍수가 물러간 후에 또는 방수 기부(540)가 가압 실린더나 크레인에 의해 상승된 후에 높은 위치에서 방수 기부(540)를 유지한다.
톱니바퀴(620)의 제 1 부분(715)은 도 7b에 나타낸 볼트(730)로 안내 포스트(310)에 고정되거나 볼트로 체결된다. 제 1 부분(715)은 세그먼트(740)에 의해 분리된 톱니(735)를 포함한다. 톱니바퀴(620)의 제 2 부분(720)은 볼트(750)로 벽(615)의 바깥쪽 면(710)에 고정되거나 체결된 몸체(745)를 가진다. 또, 제 2 부분(720)은 이동 톱니(755)의 상단에 위치한 힌지(757)를 통하여 몸체(745)에 부착된 이동 톱니(755)를 가진다. 고정된 톱니(735)는 제 2 부분(720)의 이동 톱니(755)와 맞물려서 방수 기부(540)가 아래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한다.
제 2 부분(720)의 이동 톱니(755)는 이동 톱니(755)의 배면(762)에 부착된 스프링이 달린 막대(760)에 의해 앞쪽으로 밀린다. 제 1 부분(715)의 고정된 톱니(735) 표면(768,770)과 이동 톱니(755)의 표면(764,766)은, 방수 기부(540)가 위로 상승하지만 아래로 내려가지 않도록 상호 보완한다. 선호적으로, 이동 톱니(755)의 표면(764)은 하향 경사부를 가지고 고정된 톱니(735)의 표면(768)은 상향 경사부를 가진다. 이것은, 이동 톱니(755)의 표면이 고정된 톱니(735)와 맞물릴 때 방수 기부(540)가 아래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보다 단단히 고정한다.
부양 하우스(300)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홍수의 물이 상승할 때, 방수 기부(540)는 상승하므로 롤러(610)는 안내 포스트(310)를 따라 로울링한다. 방수 기부(540)가 상승하였을 때, 고정된 톱니(735) 위로 미끄럼 운동하므로 이동 톱니(755)는 벽(615)을 향해 뒤로 밀린다. 이동 톱니(755)가 고정된 톱니(735) 중 하나 위에 도달하였을 때, 스프링이 달린 막대(760)는 안내 포스트(310)를 향해 이동 톱니(755)를 앞쪽으로 밀어준다. 이것은 고정된 톱니(735) 위로 이동 톱니(755)를 연장시키고 방수 기부(540)가 아래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한다.
방수 기부(540)가 아래로 내려가도록, 이동 톱니(755)는 도 7c에 나타낸 것처럼 수동으로 뒤로 당겨서 오목한 곳에 고정한다.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 꼬인 로프(775)는 스프링이 달린 막대(760)에 부착된 한쪽 단부를 가진다.
꼬인 로프(775)의 다른 쪽 단부는 벽(615)에서 구멍(777)을 통과하고, 방수 기부(540)로 들어가며 손잡이(780)까지 뻗어있다. 스프링이 달린 막대(760)는 반드시 필요하지 않으며 꼬인 로프(775)는 이동 톱니(755)에 직접 부착된다. 이 경우에, 스프링이 막대(760) 둘레에 감기는 대신에 이것은 벽(615)의 바깥쪽 면(710)과 이동 톱니(755) 사이에 있는 꼬인 로프(775)의 일부분 둘레에 감긴다. 꼬인 로프(775) 둘레에 감기는지 또는 막대(760) 둘레에 감기는지 관계없이, 스프링은 꼬인 로프(775)와 막대(760)가 통과하는 구멍(777)의 직경보다 긴 직경을 가진다. 이것은 벽(615)의 바깥쪽 면과 이동 톱니(755) 사이에 스프링을 유지한다. 스프링 과 더불어, 이동 톱니(755)의 힌지(757)는 안내 포스트(310)를 향해 앞쪽으로 이동 톱니(755)를 기울이도록 스프링이 달려있다.
이동 톱니(755)는 손잡이(780)에서 당겨줌으로써 오목한 곳에 삽입된다. 이동 톱니(755)를 오목부에 고정하기 위해서, 손잡이(780)는 도 7c에 나타낸 것처럼 벽(615)의 내면(790)에 부착된 돌출부(785)에 걸린다.
또, 안전 핀(792)은 이동 톱니(755)가 있는 면에서 구멍(794)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구멍을 가지는 고정판은 이동 톱니(755)의 다른 쪽에 놓인다. 삽입된 안전 핀(792)은 고정된 판의 구멍으로 통과하여서 이동 톱니(755)를 오목부에 고정한다. 이동 톱니(755)가 맞물린 오목한 곳에서, 방수 기부(540)는 안내 포스트(310) 아래로 자유롭게 미끄럼 운동할 수 있다.
이동 톱니(755)는 두 개의 고정된 톱니(735) 사이의 세그먼트(764)를 따라 배치될 때 쉽게 뒤로 당길 수 있다. 그러나 고정된 톱니(735)에 놓이고, 방수 기부(540)의 중량을 지탱하며 아래로 낮추는 것이 금지할 때 이동 톱니(755)를 뒤로 당기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부양 하우스(300)의 중량을 지탱하는 동안 이동 톱니(755)를 뒤로 당길 수 있도록, 부양 하우스(300)를 들어올릴 필요가 있다. 이것은 도 7c에 나타낸 오목한 곳으로 당기기 위해서 부양 하우스(300)의 중량을 이동 톱니(755)로부터 제거한다. 부양 하우스(300)는 가압 실린더를 사용해 위로 상승시킬 수 있다. 이것은 간단하고 비용면에서 효율적이기 때문에 부양 하우스(300)를 들어올리기 위한 주요 방법이다. 부양 하우스(300)는 고정된 톱니(735)와 이동 톱니(755)의 맞물림을 해제하기 위해서 약 1/4" 들어올릴 필요가 잇다. 부양 하우스(300)를 들어올리기 위해 제 2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부양 하우스는 도 8-9에 나타낸 것처럼 리프팅 막대(815)에 연결된 상판(810)에 걸려있는 크레인을 사용해 위로 들어올릴 수 있다.
도 8은 지붕(820) 바로 위에서 리프팅 막대(815)에 용접, 고정된 상판(810)을 나타낸다. 이 상판(810)은, 크레인의 후크가 부양 하우스(300)를 상승시키기 위해서 부착될 수 있도록 구멍(835)을 가진다. 구멍(825)은 3" 직경을 가지고 상판(810)은 6인치의 너비, 11인치의 길이 및 3/4인치의 두께를 가지는 강철판이다(6"*11"*3/4"). 이 상판(810)은 지붕(820)의 기울기와 일치하도록 하부 경사 가장자리(830)를 가진다. 상판(810)의 상단(835)은 예각 가장자리를 없애기 위해서 곡선으로 형성된다.
리프팅 막대(815)는 1과 3/4"인치의 직경을 가지는 강철이다. 상판(810)과, 지붕(820) 위의 리프팅 막대(815)의 노출된 단부(840)는 부식을 막기 위해서 아연도금된다. 이 리프팅 막대(815)는 부양 하우스(300)의 모서리와 인접해 배치된다. 또다른 리프팅 막대(815)는 부양 하우스(300)의 크기 및 모양에 따라 하우스의 모서리 사이에 첨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8개의 리프팅 막대(815)는 30'*60' 하우스에 사용된다.
도 9는, 리프팅 막대(815)와 상판(810)이 지붕(820) 위로 뻗어있는 부양 하우스(300)의 횡단면도이다. 리프팅 막대(815)는 두 섹션(905,910)으로 만들어진다. 제 1 섹션(905)은 방수 기부(540)의 벽(615) 안쪽에 배치된다. 제 1 섹션(905)의 한쪽 단부(920)는 밑판(930)에 용접, 부착된다. 밑판(930)은 강철이고 상판(810)과 유사한 6"*11"*3/4"의 크기를 가진다. 밑판(930)은 제 1 리프팅 막대(905)의 단부(920)와 직각으로 고정되고 방수 기판(540)의 바닥(935)으로 뻗어있다. 제 1 리프팅 막대 섹션(905)과 부착된 밑판(930)은 방수 기판(540)의 바닥(935)과 콘크리트 벽(615)으로 통합된다.이것은 제 1 리프팅 막대(905)와 부착된 밑판(930)을 방수 기판(540)의 몰드에 둔 후에 방수 기판(540)을 형성하도록 몰드 안에 시멘트를 부어줌으로써 달성된다.
제 1 리프팅 막대(905)의 제 2 단부(940)는 바닥 장선(625) 사이에서 방수 기판(540)의 벽(615)으로부터 튀어나와 있다. 커플링(950)은 제 1 리프팅 막대 섹션(905)을 제 2 리프팅 막대 섹션(910)의 나사산이 있는 단부(955)에 연결한다. 제 2 섹션(910)은 벽 스터드(960), 예를 들어 2"*6" 스터드 사이에서, 부양 하우스(300)의 벽을 통하여 뻗어있고, 지붕(820)을 가로지르며 상판(810)까지 뻗어있다. 따라서, 밑판(930), 상판(810)과 리프팅 막대(815)는 부양 하우스(300)를 상승시키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도 5에서, 방수 기부(540)를 구조하기 전에 부지는 다음과 같이 준비된다. 방수 기부(540)가 만들어지는 영역(970)에서, 2-3인치의 토양이 처음에 제거된다. 그 후에, 영역(970)의 나머지 토양(975)이 충분히 압착되고 3" 내지 4"의 쇼울더 스톤(980)으로 압축하는 다공성 자갈 필(fill)로 덮여있다. 이 쇼울더 스톤(980)은 방수 기부(540)의 바닥(935) 아래에 물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고 스톤(980) 사이에 공기를 전달한다. 이것은 바닥(935) 아래에 진흙 및 진공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쇼울더 스톤(980)은 공기를 전달할 수 있으므로, 이것은 방수 기판(540)의 부양을 방해하는 홍수의 흡입 효과를 막는다. 홍수에 의해 방수 기판(540)의 바닥(935) 아래에 진공 또는 흡입 상태가 형성되는 경우에, 진공 파괴 장치(985)가 제공된다. 이 진공 파괴 장치(985)는 상승하는 홍수에 의해 바닥(935) 아래에 만들어진 진공 상태를 파괴하고 방수 기부를 상승시킨다.
도 10은 진공 파괴 시스템(985)의 정밀도이다. 이 진공 파괴 시스템(985)은 방수 기부(540)의 바닥(935)에 위치한 용기(101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용기(1010)는 압축된 CO2를 포함한다. 부양 하우스(300)의 크기와 토양 특성에 따라 하나 이상의 용기(1010)가 사용될 수 있다. 두 개의 용기(1010)는 도 10에 나타나 있다. 각각의 용기(1010)는 일련의 파이프(1020)에 연결된 밸브(1015)를 가진다. 이 파이프(1020)는 커플링(1025)으로 상호연결된다.
파이프(1020)는 용기(1010) 아래로, 바닥(935)을 따라 벽(615)의 안쪽면(710) 위로, 벽(615) 위와 벽(615)의 바깥쪽 면(790) 아래로 통과한다. 또, 용기(1010)는 벽(615) 가까이에 배치된다. 이것은 벽(615)에 도달하도록 바닥(935)을 따라 파이프(1020)를 움직일 필요성을 감소시킨다.
벽(615)의 바닥 바깥쪽 면(1030)에서, 파이프(1020)는 리테이너 스커트(1040) 내 구멍(1035)을 통과한다. 이 리테이너 스커트(1040)는 바닥(935) 아래에 위치한 벽(615) 부분이다. 따라서, 파이프(1020)는 바닥(935)과 토양(975) 사이에 위치한 쇼울더 스톤(980)으로 바닥(935) 아래에 뻗어있다. 쇼울더 스톤(980)에 위치한 파이프(1020)는 노즐(1050)까지 뻗어있다.
상승한 홍수가 그 상승을 막는 방수 기부(540)에 흡입 효과를 일으킬 때, 용기(1010)의 밸브(1015)는 열려서 압축된 CO2가 배출되도록 허용한다. 방출되는 압축 CO2는 홍수의 흡입을 상쇄시키고 방수 기부(540)를 상승시킨다. 따라서, 방수 기부(540)는 부양하기 시작하고 홍수 물과 함께 상승한다.
도 11은, 파이프(1010)가 부양 기부(540)의 바닥(935)에서 구멍(1110)을 통과하는 진공 파괴 시스템(985)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구멍(1110)은 밀폐되고 기부(540)가 부유할 때 홍수의 누출을 막기 위해서 물이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한다. 이 구멍(1110)은 바닥(935)에서 누수점이 될 수 있으므로, 도 10에 나타낸 실시예에 따른 진공 파괴 시스템(985)이 선호된다.
도 12에 나타낸 방수 기부(540)는 시멘트 부선을 구조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구조될 수 있다. 마른 구조 부지에서, 부양 기부(540)는 3500psi 시멘트와 같은 표준 시멘트로 만들어진다. 습지에서 제작하기 위해, 수경 시멘트가 사용되는데 이것은 공기에 의해 건조되는 대신에 화학 건조된다.
방수 기부(540)는 시멘트를 한번 붓거나 두 번 부어줌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일회 부어서 만들어진 방수 기부(540)인 경우에, 예비 제작부는 방수 기부(540)의 벽(615)에 대해 몰드를 형성하도록 함께 조립될 수 있다. 플라스틱 시이팅은 바닥 몰드를 형성하도록 쇼울더 스톤(980) 위로 6"만큼 뻗어있다. 이 플라스틱 시이팅은 방수 기부(540)의 바닥(935)에 평활한 상부면(1210)을 제공한다.
그 후, 시멘트는 플라스틱 시이팅과 압축 쇼울더 스톤(980) 사이에 위치한 바닥 몰드와 벽 몰드로 주입된다. 이것은 한 번만 부어줌으로써 벽(615)을 따라 6" 바닥(935)을 형성한다. 6" 두께의 바닥(935)과 비슷하게, 벽(615)은 6" 두께를 가진다. 그러나 방수 기부(540)에 건조된 하우스 구조물(305)의 크기와 토양 특성에 따라 다른 두께의 벽(615)과 바닥(935)이 만들어질 수 있다. 이처럼 토양 및 하중에 따라, 철사망을 몰드 내에 배치한 후에 시멘트를 부을 수 있다. 이것은 보강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바닥(935)과 벽(615)을 가지는 방수 기부(540)를 형성한다. 일회 주입 공정에 따라 단일 콘크리트 조각인 방수 기부(540)를 생산할 수 있다.
또, 도 13a-13b는 2회 시멘트 주입으로 형성된 방수 기부(540)를 도시한다. 첫째, 방수 기부(540)의 바닥(935)은 바닥(935)의 둘레를 따라 홈(1310)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 홈(1310)은 벽(615)과 바닥(935) 사이에 방수 연결부를 제공하도록 벽(615)에서 대응하는 홈과 맞물린다. 이 바닥 부지는 바닥 몰드를 만들도록 전체적인 틀이 짜여진다. V형태 또는 직사각형(도 13b의 1320)을 가지는 홈(1310)은 바닥 몰드의 프레임과 인접한 바닥 부지 주변부 둘레에 2"*4" 스터드나 V형 스트립을 배치함으로써 형성된다.
V형 스트립의 상단(또는 2"*4" 스터드의 상단은 바닥(935)의 상부면(1210)과 높이가 같다. 이것은 바닥(935)의 상반부에 홈(1310)을 배치한다. 그 후에, 시멘트를 주입한다. 시멘트가 마른 후에, 프레임과 v형 스트립(2"*4" 스터드)은 도 13a-13b에 나타낸 것과 같은 주변부 둘레에 홈(1010)을 가지는 바닥(935)은 그대로 두고 제거된다.
다음에, 벽 프레임은 방수 기부(540)의 벽(615)을 형성하도록 주입된 시멘트와 벽 몰드를 만들도록 구조된다. 이 주입된 벽 시멘트는 바닥(935)의 홈(1310)을 채운다. 이것은 바닥(935)의 홈(1310)과 맞물리는 홈을 가지는 벽(615)을 형성하고 벽(615)과 바닥(935) 사이에 방수 연결부를 제공한다. 벽(615)의 안쪽 면(710)은 홈(1310)을 덮는 바닥(935) 위로 뻗어있다. 벽(615)의 바깥쪽(790)은 리테이너 스커트(1040)를 형성하도록 바닥(935)의 하부면(1330) 아래로 4" 이상 뻗어있다. 이 리테이너 스커트(1040)는 바닥(935) 아래에 위치한 3"*4" 두께의 쇼울더 스톤(980)을 둘러싸고 유지한다.
도 14에 나타낸 후비 유틸리티 시스템은 오랫동안 홍수가 일어날 때 홍수 물(1405) 위로 부유하면서 부양 하우스(300)를 충분히 독립 유지한다. 도 14는 홍수 물(1405)에 떠 있는 부양 하우스(300)의 상측면도이다. 이 수위(1410)는 방수 기부(540) 벽(615)의 아래 부분을 둘러싸는 리테이너 스커트(1040)와 차고 바닥(1420) 사이에서 유지된다.
후비 유틸리티 시스템은 방수 기부(540)에 위치하는 것이 선호되고 펌프(1430), 1000 갤론의 신선수 탱크(1435), 1000 갤론의 화학 처리 하수 호울딩 탱크(1440) 및 200 lbs 프로판 탱크에 연결된 프로판 제너레이터(1445)를 포함한다. 비상 공급품과 식량은 저장실(1450)에 저장된다. 홍수 물(1405)이 방수 기부(540) 위로 상승할 때, 전기, 가스 및 수도관과 같은 주요 공익설비는 수동으로 분리되고 알맞게 끝손질된다.
예를 들어, 주요 공익 설비는 간단히 분리하고 다시 연결하기 위한 안전 신속 커플링을 포함한다. 방수 기부(540)의 상승으로 인해 분리 장력이 적용되기만 하면 자동으로 분리하고 밀폐하도록 신속 커플링은 자동화될 수 있다. 주요 공익설비 라인과 하수도 라인의 신속 커플링은 분리되기 전에 방수 기부(540)에서 적량의 운동을 허용하고 보다 용이하게 조작하기 위해 일정한 가요성을 가진다. 이 하수 라인 신속 커플링은 화재 소화전에 접속하기 위해 소방차에 사용되는 신속 연결/분리 커플링과 유사하다.
도 15와 16은, 유압 시스템이 부양 하우스를 상승시키는데 사용되는 건물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5는 토대(1510)에 끼워진 리프팅 판(1540)을 가지는 부양 하우스의 토대(1510)를 나타낸다. 이 리프팅 판(1540)은 힘을 지속적으로 가할 수 있는 강철(1" 두께)이나 다른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리프팅 판은 한쪽 단부가 리프팅 판(1540)에 연결되고 다른 쪽 단부가 토대(1510)에 연결된 지지부(1535)에 의해 보강될 수 있다. 가압 실린더(1550)는 베이스(1505), 부움(boom)(1575)과 상단(1555)을 포함한다. 이 베이스(1505)는 고정 막대(1565)를 포함하는 고정 판(1560)에 용접함으로써 콘크리트 앵커 구조물(1520)에 고정된다. 가압 실린더(1550)는 공기나 유체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부움(1575)은 세 단계를 가지고 10피이트 이상 뻗어있다. 가압 실린더(1550)의 상부(1555)는 리프팅 판(1540)의 하면에 대해 동일 높이로 배치된다. 이 리프팅 판(1540)은 가압 실린더(1550)의 상단(1555)에 놓이지만 부착되지 않는다. 부양 하우스는 고정 구조물로부터 안내 포스트를 따라 자유롭게 부양할 수 있어야 하므로 중요하다. 리프팅 판(1540)은, 가압 실린더(1550)의 상단(1555)이 끼워 맞추어지는 함몰부(1545)(도 15a)를 포함한다. 리프팅 판(1540)의 함몰부(1545)는 리프팅 판으로 가압 실린더를 실제로 연결하지 않고서 가압 실린더(1550)의 미끄럼 운동을 방지할 수 있다.
가압 유압 라인(1570)은 펌프(1580)로부터 토대(1510)를 통하여 가압 실린더(1550)의 베이스(1505)에 위치한 유입구(1530)까지 뻗어있다. 비록 4개의 가압 실린더가 선호될지라도, 안내 포스트에 부양 하우스를 일정하게 상승 및 하강시키는데 대칭으로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가압 실린더가 필요하다.
펌프(1580)가 작동할 때, 유체나 공기는 가압 실린더(1550)의 유입구(1530) 안으로 펌프작용을 받아 주입되고 가압 실린더(1550)의 부움은 상승하기 시작할 것이다. 부움(1575)은 보강판(1540)에 상향 수직력을 제공하여서, 토대 및 부양 하우스를 들어올린다. 펌프(1550)는 동력에 이상이 발견되는 경우에 후비 12볼트 배터리(1595)에 연결되는 전기 제너레이터(1590)에 의해 동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15는, 하우스가 상승된 완전 연장된 위치에서 가압 실린더(1550)를 나타낸 반면에, 도 16은 아래로 내린 위치에서 가압 실린더를 나타낸다. 가압 실린더가 아래에 배치될 때 방수 기부는 지면의 높이와 일정해지고 리프팅 판(1540)은 가압 실린더(1550)의 상단(1555)에 놓인다.
요약해서, 건물의 부양 시스템은 서로 이웃해 위치한 톱니바퀴와 벽 롤러를 가지는 방수 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되었다. 방수 기부는 홍수 물이 상승함으로써 들어올려지거나 가압 실린더 시스템에 의해 들어올려질 수 있다. 방수 기부가 상승되는 방법과 관계없이, 롤러를 가지는 방수 기부는 부동 수문에 끼워진 안내 포스트 위로 로울링한다.
가압 실린더 시스템은 부유 파편뿐만 아니라 해일의 힘으로부터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홍수물이 밀려오기 전에 하우스를 들어올리는데 사용될 수 있다. 가압 실린더 시스템은 잠금 톱니바퀴와 떨어져 부양 건물을 상승시키고 지면 높이로 복귀하기 위해서 홍수물이 물러간 후에 톱니바퀴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톱니바퀴는 가압 실린더 시스템이나 홍수물로 방수 기부를 상승시키지만, 가압 실린더가 작동하지 않거나 홍수물이 물러갔을 때 아래로 낮추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한 대로 가압 실린더 시스템은 하우스를 위로 올려서 톱니바퀴를 분리하고 방수 기부를 아래로 낮출 수 있다.
방수 기부는 시멘트를 한 번만 주입함으로써 형성되는 단일 콘크리트 조각이다. 또, 시멘트를 두 번 주입할 수 있는데 한 번은 방수 기부의 바닥을 형성하고 두 번째 주입은 벽을 형성한다. 이 경우에, 바닥과 벽은 우수한 결합 및 밀폐를 제공하는 결합 홈을 가진다. 부양 하우스는 주요 설비를 안전하고 쉽게 분리하도록 가요성 신속 연결 커플링을 포함한다. 충분한 독립성을 위해, 부양 하우스는 후비 설비를 가진다.
부양 하우스는 구조하는데 신뢰성있고, 안전성이 있으며 간단하다. 부양 하우스는 고정된 안내 포스트 사이에 한정되어 있고 안내 포스트를 따라 미끄럼 운동하기 때문에 태풍도 견딘다. 방수 기부는 태풍에 내성을 가지는 콘크리트 방공호를 제공한다. 고정된 안내 포스트 사이에 수용되는 부양 하우스는, 특히 하우스가 상승하거나 떠 있을 때 텔레스코픽으로 연장할 수 있는 포스트에서 하우스보다 큰 안정성을 가진다. 안내 포스트 사이에 수용된 부선 형태의 부양 하우스는 일정하게 떠 있다. 이것은 시스템의 높이를 일정하게 맞추고 하중 분배를 옮길 필요성을 제거한다. 고정된 안내 포스트가 감추어져 있을 때 텔레스코픽 연장 포스트에 필요한 주기적 기름 공급 과정을 없애고 정비를 줄일 수 있다.
강철 안내 포스트와 리프팅 막대의 부식은 노출부분을 줄이고 이 노출 부분을 아연 도금함으로써 최소화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양 하우스는 어떤 특별한 안정 성분, 보강 강철 막대 또는 복잡한 건조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 방수 기부 벽 때문에 하우스 구조물과 지면 사이의 스커트 또는 커버링은 필요하지 않다.
그리고, 부양 하우스는 종래의 하우스와 비슷하다. 이 부양 하우스는 범람이 일어나기 쉬운 영역에서 상승된 토대에 하우스를 지을 필요성을 없애고 기부나 하우스가 범람할 두려움 없이 알맞은 기부를 제공한다. 또, 방수 기부는 기존의 하우스와 이웃해 만들어지고, 기존의 하우스는 방수 기부 위로 움직여 배치된다. 이것은 기존의 하우스를 부양 하우스로 변형한다.
도 17과 18은, 건물이 방수 기부 대신에 콘크리트 슬래브에 배치된 들어올릴 수 있는 건축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들어올릴 수 있는 건조물은 상승하는 홍수물에 의존하지 않지만, 유압 리프팅 시스템이 작동할 때 콘크리트 슬래브에서 분리하여 상승시킬 수 있다.
도 17은 벽(1710)과 바닥(1715)을 가지는 콘크리트 토대(1725)를 포함하는, 하부 위치에서 상승 가능한 건조물(1700)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토대 바닥(1715)은 콘크리트로 만들어진다. 건조물이 장착된 콘크리트 토대(1725)는 콘크리트 슬래브(1720)에 직접 배치된다. 이 콘크리트 슬래브(1720)는 건조물 바로 아래에서 지면의 상단에 배치되거나 지면 안에 삽입될 수 있다. 해수면 이하의 장소에서, 콘크리트 슬래브는 지면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해수면 이상의 장소에서, 콘크리트 슬래브는 지면에 끼워질 수 있다. 각각의 방법, 콘크리트 슬래브(1720)는 상승할 수 있는 건물을 지지한다.
콘크리트 벽기둥(1730)은 콘크리트 슬래브(1720) 바로 아래에서 가압 실린더(1795)의 바닥과 일렬로 정렬된다. 이 콘크리트 벽기둥(1730)은, 유압 장치가 작동할 때 최대량의 힘의 작용을 받는 토대 바닥(1715) 부분에 추가 지지부를 제공한다. 콘크리트 벽기둥(1730)은 지상으로 수 피이트 뻗어있다.
가압 실린더(1740)는 콘크리트 토대(1715)의 바닥을 통하여 뻗어있는데, 여기에서 비연장 유압 단계(1790)가 포함된다. 단계(1790)의 베이스(1795)는 콘크리트 토대 바닥(1715)의 상부면에 위치한 보강판(1750)에 용접된다. 보강판(1750)은 래그 볼트(1780)를 통하여 토대(1715)의 바닥에 부착된다. 토대 바닥(1715)의 상부면과 보강판(1750)의 하부면 사이에 압축 고무 씨일(1760)이 배치된다.
이 압축 고무 씨일(1760)은 가압 실린더(1740)를 보강판(1750)에 부착하는 용접부 둘레에 방수 씨일을 제공한다. 상기 압축 고무 씨일(1760)은 충격 흡수 장치로서 작동하는데 이 충격 흡수 장치는 유압 시스템이 작동할 때 콘크리트 토대 바닥에 가해지는 응력을 감소시킨다.
유압 시스템이 작동될 때, 유압 라인(1735)을 통하여 가압 실린더(1740)에 부착되는 펌프(1745)는 가압 유체를 유압 실린더(1740) 안으로 주입한다. 펌프(1745)는 연결 라인(1755)에 의해 흐름 분할기에 부착된다. 흐름 분할기는 펌프(1745)에 의해 주입되는 유체를 가압 실린더(1740)와 다른 가압 실린더로 균일하게 분배한다. 가압 실린더(1740)가 유체로 채워지기 시작할 때, 단계(1790)는 가압 실린더(1740) 밖으로 연장되기 시작하고 콘크리트 슬래브(1720)에 하향력을 적용한다. 하향력으로 인한 응력을 받는 콘크리트 슬래브(1720) 부분은 콘크리트 기둥(1730)에 의해 지지된다. 이 하향력으로 인해, 토대(1725)는 콘크리트 슬래브(1720)에서 분리되어 상승한다.
콘크리트 토대(1720)는 도 18에서 상승된 위치에 나타나 있다. 상승된 위치에서, 단계(1790)는 가압 실린더(1740) 밖으로 뻗어있다. 이 단계(1790)는 적어도 10 피이트 이상 연장 가능한 3 단계 부움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압 실린더(1740)와 다른 가압 실린더(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펌프(1745)(도 17)는 펌프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해 전기 제너레이터(1757)(도 17)에 연결된다.
토대(1825)는 유압 실린더로부터 유체를 줄여줌으로써 콘크리트 슬래브(1820)로 다시 낮추어질 수 있다.
이 실시예는, 홍수로 인해 물이 상승하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이 상황에서, 건조물은 유압 리프팅 시스템을 작동함으로써 콘크리트 슬래브에서 떨어져 상승될 수 있다. 밀려오는 홍수물의 경로 밖으로 건물을 상승시킴으로써, 구조물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지만, 이것은 예로 들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 된다. 청구항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당해 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실시예가 고안될 수 있다.

Claims (10)

  1. 건물;
    건물이 장착된 토대;
    토대가 놓이고, 토대와 건물을 지지하는 슬래브; 및
    토대와 슬래브에 부착되고, 이 슬래브에 대해 미는 부재를 연장하도록 작동할 수 있어서, 슬래브로부터 떨어져 토대와 건물을 상승시키는 유압 리프팅 시스템으로 구성된 들어올릴 수 있는 건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슬래브 아래에 위치하고 지면으로 뻗어있는 벽기둥으로 이루어지고, 이 벽기둥은 슬래브를 지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어올릴 수 있는 건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유압 리프팅 시스템은 다수의 가압 실린더로 구성되고, 각각의 가압 실린더는 연장 부재로서 작동하도록 다단계 부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어올릴 수 있는 건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움은 3단계 부움이고 10 피이트 이상 연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어올릴 수 있는 건물.
  5. 제 3 항에 있어서, 다수의 래그 볼트를 통하여 토대에 부착된 다수의 보강판을 포함하고, 이 보강판은 가압 실린더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어올릴 수 있는 건물.
  6. 제 5 항에 있어서, 가압 실린더 둘레에 방수 씨일을 제공하기 위해, 가압 실린더 둘레와, 보강판과 토대 사이에 위치한 압축 고무 씨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어올릴 수 있는 건물.
  7. 제 3 항에 있어서, 슬래브로부터 토대를 들어올리기 위해서 가압 실린더를 작동하기 위해 가압 라인을 통하여 가압 실린더에 연결된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어올릴 수 있는 건물.
  8. 제 7 항에 있어서, 펌프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펌프에 연결된 전기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어올릴 수 있는 건물.
  9. 제 7 항에 있어서, 펌프로부터 가압 실린더까지 유체를 분배하는 흐름 분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어올릴 수 있는 건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토대와 슬래브는 콘크리트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어올릴 수 있는 건물.
KR1019997007848A 1997-02-27 1997-05-07 건물의 부양 시스템 KR200000757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807,650 US5775847A (en) 1995-01-19 1997-02-27 Flotation system for buildings
US8/807,650 1997-0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776A true KR20000075776A (ko) 2000-12-26

Family

ID=25196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7848A KR20000075776A (ko) 1997-02-27 1997-05-07 건물의 부양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775847A (ko)
EP (1) EP0966573A1 (ko)
JP (1) JP2002504198A (ko)
KR (1) KR20000075776A (ko)
AU (2) AU732198B2 (ko)
CA (1) CA2282652A1 (ko)
WO (1) WO19980383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669B1 (ko) 2006-05-23 2006-09-07 주식회사고려이엔시 압입체를 이용한 구조물 인상 및 기초보강 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63357B1 (en) 2001-10-02 2007-01-16 Peterson James L Method and apparatus for lifting and stabilizing subsided slabs, flatwork and foundations of buildings
US6814524B1 (en) 2001-10-02 2004-11-09 James L. Peterson Method and apparatus for lifting and stabilizing subsided slabs, flatwork and foundations of buildings
FR2830834B1 (fr) 2001-10-11 2004-01-30 Frederic Cherance Construction a geometrie variable pour habitation et locaux d'activites en zones inondables
JP2007126862A (ja) * 2005-11-02 2007-05-24 Fuji Shoji Kk 建築物用の水害・雪害および土砂災害対策構造
US7607864B2 (en) * 2006-01-17 2009-10-27 Stephen Michael Kenady Buoyant building foundation
ITBO20060414A1 (it) * 2006-05-26 2007-11-27 Soles Societa Lavori Edili E Serbatoi Spa Metodo per sollevare un manufatto edilizio.
US7926787B2 (en) * 2006-11-21 2011-04-19 Blue Sky Decks, Llc Elevated platform and method of elevating the same
US8702059B2 (en) * 2006-11-21 2014-04-22 Craig Wieland Elevated platform and method of elevating the same
US20110132250A1 (en) * 2008-05-09 2011-06-09 Nelson Carl R Floating Buildings
GB0808459D0 (en) * 2008-05-09 2008-06-18 Ngm Sustainable Developments L Floating buildings
US8066451B2 (en) * 2009-01-22 2011-11-29 Ewers James J Flood/wind resistant building
US7941979B2 (en) * 2009-03-03 2011-05-17 Marlen International, Inc. Thermal processing cabinet with monolithic floor
US20110011324A1 (en) * 2009-07-20 2011-01-20 Johnny Jones Floatable vessel
GB2499011B (en) * 2012-02-02 2014-01-01 Lizzano Ltd Floatable constructions
JP5936869B2 (ja) * 2012-02-03 2016-06-22 中国電力株式会社 設備機器浸水対策システム
US8714881B2 (en) * 2012-04-17 2014-05-06 Richard J. Gagliano Multiple pile foundation locking systems
US9051708B2 (en) * 2013-02-01 2015-06-09 Franklin Brown Tower foundation
US8777519B1 (en) 2013-03-15 2014-07-15 Arx Pax, LLC Methods and apparatus of building construction resisting earthquake and flood damage
US9238920B1 (en) 2013-03-15 2016-01-19 Flood Lift System Corporation Liftable structure system
ITRM20130252A1 (it) * 2013-04-29 2014-10-30 Maurizio Minnucci Assieme di opera edile galleggiante
US20150121778A1 (en) * 2013-09-06 2015-05-07 F. Jeffrey Rawding Method and system of raising an existing house in a flood or storm surge
US8926223B1 (en) * 2013-10-16 2015-01-06 Philip DeStefano Floatable building foundation
GB2542393A (en) * 2015-09-18 2017-03-22 Walwin Kent Floatable Building
FR3051010B1 (fr) * 2016-05-04 2019-09-27 Athis Dispositif equipant les pavillons situes en zone inondable soumis aux variations du niveau des eaux
ES2845001T3 (es) * 2016-06-13 2021-07-23 Rsa Protective Tech Llc Método y sistema para un sistema de muro de contención retráctil
US10975538B2 (en) 2016-06-13 2021-04-13 Rsa Protective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a retractable floodwall system
US10704279B2 (en) * 2018-01-23 2020-07-07 Doka Gmbh Support post
US10683659B2 (en) * 2018-03-08 2020-06-16 Raul S. Nieves Method for raising a framed structure
US11313117B2 (en) 2018-03-08 2022-04-26 Raul S. Nieves Method for raising a framed structure
US20220120108A1 (en) * 2020-10-19 2022-04-21 Kevin Harris Flood Hinge
US11746495B2 (en) * 2020-11-20 2023-09-05 Kevin R. NEPRUD Floating foundat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89486A (en) * 1938-05-07 1940-02-06 D Amico Andre Building structure with self-contained raising and lowering mechanism
US2429381A (en) * 1945-03-20 1947-10-21 Carlisle V Watson Floating house structure
US2715756A (en) * 1952-11-05 1955-08-23 Carver Richard William Floatable, flood resistant building
US3166037A (en) * 1962-06-20 1965-01-19 Roger H Otis Flotation and structural units and building structures
SE354630B (ko) * 1968-05-17 1973-03-19 Hydro Betong Ab
US3779192A (en) * 1971-08-09 1973-12-18 P Gonzalez Modular concrete floatation unit
US4070979A (en) * 1977-03-22 1978-01-31 Otis Roger W Floating dry storage facility for small boats
DE8436853U1 (de) * 1984-12-17 1985-05-09 M.A.N. Maschinenfabrik Augsburg-Nürnberg AG, 4200 Oberhausen Schwimmdock mit Auftriebskästen
SE461046B (sv) * 1988-04-22 1989-12-18 Bertil Grip Brygga
US5083404A (en) * 1990-10-19 1992-01-28 Schulte Henry E Earthquake support for structure having bottom beams
US5125769A (en) * 1991-01-16 1992-06-30 Kyu Lee Floatable structure
US5347949A (en) * 1993-11-08 1994-09-20 Winston Paul K Landlocked floating hous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669B1 (ko) 2006-05-23 2006-09-07 주식회사고려이엔시 압입체를 이용한 구조물 인상 및 기초보강 공법
WO2007136152A1 (en) * 2006-05-23 2007-11-29 Korea Engineering & Consultant Co., Ltd Structure lifting and foundation reinforcing method using steel pi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8038390A1 (en) 1998-09-03
JP2002504198A (ja) 2002-02-05
AU2828597A (en) 1998-09-18
EP0966573A1 (en) 1999-12-29
CA2282652A1 (en) 1998-09-03
US5775847A (en) 1998-07-07
AU6544798A (en) 1998-09-18
AU732198B2 (en) 2001-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75776A (ko) 건물의 부양 시스템
US5904446A (en) Flotation system for buildings
AU697706B2 (en) Flotation system for buildings
US5347949A (en) Landlocked floating house
US7607864B2 (en) Buoyant building foundation
US6347487B1 (en) Flood resistant building structure
EP2274198B1 (en) Floating buildings
JP2964640B2 (ja) 重力式海洋構造物の施工方法およびその構造物
JP2007192007A (ja) 耐高潮建築物とその施工方法
CN112591024A (zh) 分体组合式水上平台
US3958426A (en) Offshore harbor tank and installation
US4442651A (en) Procedure and arrangement for laying the foundation of prefabricated plants ashore
GB2357094A (en) Buoyant building for flood protection
US20080163567A1 (en) S&T Jordan PowerStructure System
WO2011011386A1 (en) Floatable vessel
JP2737393B2 (ja) 重力着底式海洋構造物
CN1037709Y (zh) 水下建筑物及其施工方法
AU5189400A (en) A flood resistant building structure
JPH0742711B2 (ja) 埋立地盤における建築物支持構造および建築物構築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