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5572A - 뇨 실금, 동요병 및 어지러움을 치료하는 약물을 제조하는데있어서 데스카르보에톡시로라타딘을 이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뇨 실금, 동요병 및 어지러움을 치료하는 약물을 제조하는데있어서 데스카르보에톡시로라타딘을 이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5572A
KR20000075572A KR1019997007632A KR19997007632A KR20000075572A KR 20000075572 A KR20000075572 A KR 20000075572A KR 1019997007632 A KR1019997007632 A KR 1019997007632A KR 19997007632 A KR19997007632 A KR 19997007632A KR 20000075572 A KR20000075572 A KR 20000075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cl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cceptable salt
therapeutically effective
effective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7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죤알. 맥큘로
Original Assignee
더글라스이.리디치
세프라코 아이엔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글라스이.리디치, 세프라코 아이엔시. filed Critical 더글라스이.리디치
Publication of KR20000075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557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61K31/4523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5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pipamperone, anabas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8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nausea, cinetosis or vertigo; Antiem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bladd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뇨 실금, 어지러움 및 동요병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치료를 요하는 사람에게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의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Description

뇨 실금, 동요병 및 어지러움을 치료하는 약물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데스카르보에톡시로라타딘을 이용하는 방법{USE OF DESCARBOETHOXYLORATADINE FOR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THE TREATMENT OF URINARY INCONTINENCE, MOTION SICKNESS AND VERTIGO}
방광 압박근이 불안정한 원인으로 실금과 같은 뇨 실금은 전체 연령대에 사람에게 영향을 주는 흔한 문제이다. 현재, 가정에서 노인들의 15-30%가 뇨 실금을 앓고 있으며, 응급 치료실에 머무는 사람의 ⅓, 장기 요양원의 ½이 뇨 실금을 앓고 있다(Resnick, R.M., Lancet 346:94 (1995)). 의학적으로 요도관 감염, 압력성 궤양, 회음 발진, 요성폐혈증인 사람을 말한다. 정신적으로, 뇨 실금은 당황함, 사회적인 비난, 우울, 사회화의 위험등과 관련이 있다(Herzo et al., Annu. Rev. Gerontol. Geriatr. 9:74 (1989)). 경제적으로는 미국에서만 매년 뇨 실금을 치료하는데 $15억 이상이 소요된다.
뇨 실금을 치료하는데에는 방광 압박근의 과도활성을 조절하는데 도움이 되는 방광 완화성질을 가지는 약물 치료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약물은 방광 수축을 억제할 수 없는 환자의 80-85%에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치료에는 항-콜린성 약물이 이용된다. 물리적으로 방광을 수축하게 하는 신경액 자극의 대부분은 방광 평활근에 있는 후부 신경절 무스카린 수용체 부위의 아세틸콜린에 의해 유도되는 자극이 된다. 예를 들면, 브롬화 프로판테린 및 글리코피롤레이트와 같은 항-콜린성 약물은 라셈체 옥시부티닌 및 디사이클로민과 같은 완화제/항콜린성 약물과 복합하여, 뇨 실금을 치료하였다(See, e.g., Wein, A.J., Urol. Clin. N. Am. 22:557-577 (1995); Levin et al., J. Urol. 128:396-398 (1982); Cooke et al., S. Afr. Med. J. 63:3 (1983); R.K. Mirakhur et al., Anaesthesia 38:1195-1204 (1983))
그러나, 기존에 시판되는 뇨 실금 치료용 약물은 모든 종류의 뇨 실금 환자에서 완전하게 성공을 거두지 못하였고, 상당한 부작용을 가지고 있다. 항콜린성 활성과 관련된 예를 들면, 졸림, 구강 건조, 변비, 시야가 흔들림, 두통, 빈박, 심장 부정맥과 같은 부작용이 빈번하여, 약량에 따라 환자의 최고 25%정도가 치료를 중단해야 하였다. 많은 환자에서 원하지 않는 항콜린성 효과가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약물이 방광 압박근 과민성 환자에게 처방되고 있다(Cf. Yarllur et al., Drugs Aging 6:243 (1995)).
무스카린 수용체 길항물질이 뇨 방광에서 특정 신경효과물질 부위에서 이의 결합을 차단하는 경우에, 아세틸콜린의 효과를 방해를 받는다.(Goodman &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9th Ed. p. 148 (1996)).
여성 환자에서 압박근 불안정을 치료하기 위해, 무스카린의 길항물질인 스코폴아민은 경피로 투여하였을 경우에,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Muskat et al., The Journal of Urology 156:1989-1990 (1996)). Muskat et al.는 약물을 경구 또는 전신 경로로 투여하였을 경우에, 심각한 부작용이 있으며, 스코폴아민을 경피로 투여하는 것에 대한 부정적인 측면에 대해서도 논의한 바 있다. Muskat et al.는 스코폴아민이 안근 마비, 구강 건조등을 일으킨다는 보고가 있으나, 이 연구에서 이와 같은 부작용이 투약을 중단할 정도로 심각한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Id. at 1990). 또한 스코폴아민은 동요병 및 어지러움에도 효과가 있어, 광범위하게 이용되었다. 그러나, 스코폴아민은 원치않은 진정 효과가 있다는 것으로 알려졌다(Lathers et al., TiPS 10:243-250 (1989)).
디페닐피랄린 및 프로메타진과 같은 특정 제 1 세대 H1수용체 항히스타민는 무스카린 수용체에 상당한 친화력을 가진다고 한다(Kubo et al., Japan J. Pharmacol. 43:277-282 (1987)). 디??하이드리네이트, 사이클라진, 메클라진과 같은 일부 제 1 세대 H1수용체 항히스타민는 또한 동요병 및 어지러움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한다(Id; Wood, C., Drugs 17:471-479 (1979); Cohen et al., Archives of Neurology 27:129-135 (1972); see also Goodman &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9th Ed. p. 588, 592 (1996)).
Pegg et al., (American Family Physician 52(2):593-600 (1995))은 혈액-뇌 장벽을 교차할 수 있는 성질을 가지는 고유 항히스타민은 이와 같은 질환에 더 나을 것이하고 하였다. 그러나, 제1 세대 H1수용체 항히스타민은 진정과 같은 원하지 않은 부작용이 있다(Goodman's &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9th Ed. p. 590 (1996)).
테르페나딘, 아스테미졸, 로라타딘과 같은 제 2 세대 H1수용체 항히스타민는 진정 효과가 적지만, 무스카린 수용체에는 거의 효과가 없었다(Goodman &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9th Ed. p. 588 (1996); Simons, F.E., Drugs Safety 10(5):350-380 (1994)). 이는 이와 같은 화합물이 상당항 항-콜린성 효과를 가지지 않는다는 것과 일치한다(Simons, F.E., Drug Safety 10(5):350-380 (1994); Roman et al., Clinical Reviews in Allergy 11:89-110 (1993)). Quercia et al. (Hosp. Formul. 28:137-153 (1993))는 로라타딘은 실제 항콜린성 또는 알파-아드레날린성 효과를 가지지 않는데, 그 이유는 알파-아드레노수용체 및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친화력이 약하기 때문이다.
아스테미졸은 콜린성 동요병을 경감시키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Mitchelson F., Drugs 43(4):443-463 (1992)). 그러나, 아스테미졸 및 테르페나딘은 또한 동요병을 예방하는데는 효과가 없다고 한다(Cheung et al., J. Clin. Pharmacol. 32:163-175 (1992)). Kohl et al(J. Clin. Pharmacol. 31:934-946 (1991))은 동요병에는 테르페나닌 300㎎(이는 추천되는 단일 약량의 5배가 되는 양임)이 효과가 있고, 개인별로 반응이 다른다고 한다.
Kubo et al. (Japan J. Pharmacol. 43:277-282 (1987))는 H1수용체 길항물질의 항-동요병은 이들의 항-무스카린 능력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Kubo et al.,은 또한 히스타민 H1수용체 방해는 진정 활성과 관련이 있기 EOans에, 항무스카린 및 항히스타민 효과를 모두 가지는 약물이 동요병을 치료하는데 좀더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임상적인 효과 실험에서는 로라타딘이 효과적인 H1길항물질이라는 것이다(Clissold et al., Drugs 37:42-57 (1989)). 로라타민은 중앙 H1수용체보다는 주변부에 더 잘결합한다(Quercia et al., Hosp. Formul. 28:137-153 (1993)).
로라타딘은 잘 흡수되어 왕성하게 대사 처리된다. (Hilbert, et al., J. Clin. Pharmacol. 27: 694-98 (1987)). 이미 확인된 주요 대사물질인 DCL은 약리학적으로 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Clissold, Drugs 37: 42-57 (1989)). 그리고 미국특허 4,659,716 에서 항히스타민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특허에서는 5-100㎎/day 적절하게는 10 내지 20㎎/day 경구약량을 권장하고 있다.
설명한 것과 같이, 제 2 세대 H1길항물질인 로라타딘은 약한 항콜린성 활성을 가지거나 가지지 않는다. 또한, 아세트메졸 및 테르페나닌은 심각한 심장
다른 심각한 전기생리학적 부작용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부작용에는 연장된 QT 간격과 연결되고, 심방 빈박 또는 토르세이드 데 포인테스와 같은 심장 부정백과 심장 세동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Knowles, Canadian Journal Hosp. Pharm., 45: 33,37 (1992); Craft, British Medical Journal, 292: 660 (1986); Simons et al., Lancet, 2: 624 (1988); and Unknown, Side Effects of Drugs Annual, 12: 142 and 14: 135).
Quercia, et al. Hosp. Formul. 28: 137, 142 (1993)는 토르세이드 데 포인테스와 다른 심방 부정맥을 포함한 심각한 심장 심방 부작용등이 케토코나졸 또는 에리트로마이신과 함께 테르페나딘을 투여 받은 "건강한" 환자에게서 나타났다고 보고하고 있다. Quercia, et al. 는 또한 부정맥은 아스테미졸과 에리트로마이신 또는 에리트로마이신과 케토코나졸의 동시 투여에 대해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그는 케토코나졸, 이트라코나졸과 에리트로마이신과 같은 마크로리드를 로라타딘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에 주의를 해야한다고 경고하고 있다. McCue, J.(Arch. Fam. Med. 5:464-468 (1996))는 로라타딘과 케토코나졸, 에리트로마이신, 시메티딘과 같이 투여하면, 심장 재극성화 또는 다른 심정도 효과에서 임상적으로 관련이 있는 변화가 없었다고 보고하고 있다.
또한, 케토코나졸, 아스타코나졸, 에리트로마이신은 사이토크롬 P450을 간섭하여, 테르페나닌, 아스테미졸, 로라타딘과 같은 비-진정성 항히스타민의 대사를 방해한다(Andersen et al., Arch. Dermatol. 131:468-473 (1995)). 따라서, 로라타딘 및 이와 같은 약물사이에 불리한 상호작용이 존재한다.
Brandes et al., (Cancer Res. (52):3796-3800 (1992))는 in vivo에서 종양 생장을 촉진시키는 약물의 성질은 임파세포 유사분열의 콘카나빌린 A를 저해시키는 성질과 관련된다. Brandes et al., J. Nat'l Cancer Inst., 86:(10) 771-775 (1994)에서는 종양의 생체 생장의 강화를 예상하는 시험관 내 시험에 대해서 예견한다. 또한 로라타딘과 아스테미졸은 흑색종과 섬유육종의 생장에 연관이 있음을 나타내었다. 이 연구에서 로라타딘의 약량은 10㎎/day이다.
상기에서 논의된 바에 기초하여, 기존의 약물의 부작용을 가지지 않고, 뇨 실금, 동요병, 어지러움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약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제 2 세대 항히스타민과는 대조적으로, 이와 같은 질환을 치료할 약물이 필요한데, 이와 같은 약물은 항콜린성 활성을 가지고, 제 1 또는 제 2 세대 항히스타민을 투여하는 경우에 연합되는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로라타딘의 대사물질인 데스카르보에톡시로라타딘("DCL")이 뇨 실금, 동요병, 어지러움증등을 치료하는데 기존의 약물보다 우수한 효과가 있다는 발견에 기초하여, 이와 같은 질환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의 DCL을 투여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화학적으로, DCL은 8-클로로-6,11-디하이드로-11-(4-피페리딜리덴)-5H-벤조[5,6]사이클로헵타[1,2-b]피리딘으로 다음과 같은 화학식을 가진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은 뇨 실금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와 같은 치료를 요하는 사람에게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의 DCL 또는 제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이의 염을 투여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또 다른 한 측면에서는 본 발명은 어지러움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와 같은 치료를 요하는 사람에게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의 DCL 또는 제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이의 염을 투여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또 다른 한 측면에서는 본 발명은 동요병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와 같은 치료를 요하는 사람에게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의 DCL 또는 제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이의 염을 투여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는, DCL은 뇨 실금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는데 이용하면서, 실제 스코폴아민 및 라셈체 옥시부티닌과 같은 기존의 뇨 실금 치료 약물에 관련된 부작용을 줄이거나 피할 수 있다는 것이다. DCL은 어지러움, 동요병(공간 운동 질병 또는 적응 증후군), 멀미등을 포함))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면서, 실제 스코폴아민, 메킬리진과 같은 어지러움, 동요병을 치료하는 기존의 약물에 연관된 부작용을 줄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부작용에는 구내건조증, 산동증, 졸음, 메스꺼움, 변비, 동계, 빈박등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시키지 않는다. DCL는 또한 아스테미졸, 테르페나딘과 연합된 특정 제 2 세대 항히스타민과 연합된 부작용이 없고, 또는 로라타딘과 연합된 종양을 촉진시킬 가능성도 없다.
본 발명은 또한, 동요병을 치료하는 방법에 이용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데, 이는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의 에페드린 및 제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동요병을 치료하는 방법에 이용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데, 이는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 암페타민, 암페타민 염, 암페타민 유사체에서 선택된 약물의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 및 제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동요병을 치료하는 방법에 이용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데, 이는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의 암페타민 및 제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동요병을 치료하는 방법에 이용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데, 이는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의 신경자극제 및 제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동요병을 치료하는 방법에 이용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데, 이는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 치료요법적으로 소염제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요병을 치료하는 방법에 이용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데, 이는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 치료요법적으로 에페드린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요병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계하는데, 이 방법은 이와 같은 치료를 요하는 사람에게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의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가능한 염, 암페타민, 암페타민 염, 암페타민 유사체에서 선택된 약물의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을 투여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동요병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계하는데, 이 방법은 이와 같은 치료를 요하는 사람에게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의 암페타민 및 제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를 투여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동요병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계하는데, 이 방법은 이와 같은 치료를 요하는 사람에게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의 신경자극제 및 제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를 투여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DCL은 장관외, 직장, 방광내로, 경피, 경구, 혈관내로, 흡입에 의해, 또는 에어로졸에 의해 하루에 약 0.1㎎ 내지 약 100㎎을 투여한다. 경구 및 경피 경로가 어지러움 및 동요병을 치료하는데 적합하다. 경구, 정맥, 방광은 동일한 약량 범위에서 뇨 실금을 치료하는데 적합한 경로가 된다.
본 발명은 뇨 실금, 어지러움, 동요병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계한다.
도 1은 토끼 심실 근세포에서 지연된 정류 K+전류(IKr)에서 로라타딘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2는 토끼 심실 근세포에서 지연된 정류 K+전류(IKr)에서 DCL의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뇨 실금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계하는데, 이 방법은 이와 같은 치료를 요하는 사람에게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을 투여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어지러움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계하는데, 이 방법은 이와 같은 치료를 요하는 사람에게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을 투여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동요병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계하는데, 이 방법은 이와 같은 치료를 요하는 사람에게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을 투여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동요병을 치료하는데 DCL을 이용하는 경우에 한 가지 장점은 진정 효과가 없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뇨 실금, 동요병, 어지러움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들 질병을 치료하는데 기존의 약물과 관련된 부작용을 피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심장 부정맥 및 종양 촉진을 피하면서, 상기에서 설명한 질병을 치료하는데 관한 것으로 DCL을 이용하거나 또는 DCL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암 발생경향이 보통 사람들보다 높은 사람에서 이와 같은 질환을 치료하는데 DCL을 이용하는 것과 관계한다.
본 발명은 또한, 사이토크롬 p450을 저해하는 약물 예를 들면, 케토코나졸, 이트라코나졸, 에리트로마이신 및 당분야에 공지된 다른 약물을 포함하는 약물과 함께 투여하는 경우에 부작용을 피하면서, 뇨 실금, 동요병, 어지러움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계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유전적 또는 환경적 요인으로 인하여 Long QT 증후에 대해 보통 사람들보다 높은 환자에서 뇨 실금, 어지러움, 동요병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계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와 같은 방법에 이용할 수 있는 항콜린성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에 관계하는데, 이 조성물은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의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가능한 염 및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담체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동요병을 치료하는데 이용되는 조성물에 관계하는데, 이 조성물은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의 DCL 및 이의 제약학적 수용가능한 염,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의 에페드린 및 제약학적 수용가능한 담체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요병을 치료하는 방법에 이용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데, 이 조성물은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의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가능한 염, 암페타민, 암페타민 염, 암페타민 유사체에서 선택된 약물의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 및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담체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동요병을 치료하는 이용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데, 이 조성물은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의 암페타민 및 제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를 투여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동요병을 치료하는 방법에 이용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 조성물에는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 페몰린, 메틸페니데이트를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의 신경자극제 및 제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를 투여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요병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치료를 요하는 사람에게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의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 및 슈도에페드린, 페닐프로파놀아민등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은 소염제를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을 투여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동요병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에 DCL 및 소염제를 동시에 또는 연속하여 투여할 수 있는데, 가령, DCL, 소염제는 복합하여 동시에 투여하나, 별개로 투여할 수도 있고, DCL 및 소염제를 차례로 투여하거나, 소염제 및 DCL을 차례로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요병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치료를 요하는 사람에게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의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 및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의 에페드린을 투여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동요병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에 DCL 및 에페드린을 동시에 또는 연속하여 투여할 수 있는데, 가령, DCL, 에페드린은 복합하여 동시에 투여하나, 별개로 투여할 수도 있고, DCL 및 에페드린를 차례로 투여하거나, 에페드린 및 DCL을 차례로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요병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치료를 요하는 사람에게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의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 및 암페타민, 암페타민염, 암페타민 유사체에서 선택된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의 약물을 투여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동요병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에 DCL 및 약물을 동시에 또는 연속하여 투여할 수 있는데, 가령, DCL, 약물은 복합하여 동시에 투여하나, 별개로 투여할 수도 있고, DCL 및 약물을 차례로 투여하거나, 약물 및 DCL을 차례로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요병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치료를 요하는 사람에게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의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 및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의 암페타민제를 투여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동요병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에 DCL 및 암페타민제를 동시에 또는 연속하여 투여할 수 있는데, 가령, DCL, 암페타민제는 복합하여 동시에 투여하나, 별개로 투여할 수도 있고, DCL 및 암페타민제를 차례로 투여하거나, 암페타민제 및 DCL을 차례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동요병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치료를 요하는 사람에게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의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 및 페몰린 및 메틸페니데이트를 포함하나 이에 국한시키지 않는 신경자극제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을 투여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동요병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에 DCL 및 신경자극제를 동시에 또는 연속하여 투여할 수 있는데, 가령, DCL, 신경자극제는 복합하여 동시에 투여하나, 별개로 투여할 수도 있고, DCL 및 신경자극제를 차례로 투여하거나, 신경자극제 및 DCL을 차례로 투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언급하는 "부작용"은 뇨 실금, 동요병, 어지러움을 치료하는데 이용되는 약물을 투여하는 것과 관련된 부작용을 말하는 것으로, 이는 약물의 원하는 치료요법적 효과가 아닌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부작용에는 졸림, 울체, 구내건조증, 산동증, 모양근 마비, 빈박 및 심장 부정맥과 같은 불안정한 심장맥관 상태, 안압증가, 메스꺼움, 변비, 발한 감소, 성교불능, 두드러기와 같은 피부 징후등을 포함한다.
"심장 부정맥"은 Long QT 증후, 심실 빈박, torsades de pointes, 심장 세동등이 포함되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울체(epistaxis)"는 비강출혈을 말한다. 울체는 어린이에게서 항콜린제의 부작용이다.
"구내건조증(xerostomia)"은 정상적인 분비가 부족하기 때문에 생기는 구강 건조증을 말한다.
"산동증(mydriasis)"은 동공 팽창으로 인하여 시야가 흐린 것을 말한다.
"모양근마비(cycloplegia)"는 모양체 근육이 마비되어, 원근조절이 마비되는 것을 말한다.
"뇨실금(urinary incontinence)"은 방뇨를 막는 능력이 없다는 것으로, 여기에는 방광 압박근 불안정성 실금, 스트레스성 실금, 압박에 의한 실금, 과잉 실금, 유뇨, 전립선 절제후 실금등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하지는 않는다.
"유뇨(enuresis)"는 소변이 부지불식간에 방출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야뇨"는 잠자는 동안에 자기도 모르게 소변을 보는 것을 말한다.
"어지러움"은 걷거나 환경상에서 균형을 잡기 힘든 회전 운동상의 비정상적인 감각을 말한다. 여기에는 공간에서 움직이고 있다는 느낌 또는 균형감각을 상실하여, 개인주변이 물체가 움직인다는 혼란을 말하는 것이다. 이는 평형 장치; 전정; 반규관, 제8신경; 뇌간의 전정 핵 및 관자놀이 연결; 눈에 혼란이 발생되어 일어나는 것이다. 여기에는 Meniere 증후군으로 인한 어지러움도 포함된다.
"Meniere's 질환"은 엎드릴 경우에 어지러움, 듣기 감각 상실, 이명, 막미로의 팽창등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동요병"은 움직임으로 인하여 전정 장치의 과도한 자극, 반복적인 각 및 선형 가속, 감속에 의한 질병이다. 이 질환은 메스꺼움 및 구토가 주로 나타나는 특징이 된다. 여기에는 공간 적응 증후라고 불리는 공간 동요병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라, DCL은 적절한 투여 경로를 통하여 환자에게 DCL을 투여하여 뇨 실금, 동요병, 어지러움을 치료한다(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Nineteenth Edition, Chapters 83-95 (1995)). 적절한 투여 경로는 경구로 투여하는 것이다. 또 다른 적절한 투여 경로는 정맥으로 투여하는 것이다. 어지러움 및 동요병을 치료하기 위한 특히 적절한 경로는 경피로 투여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DCL은 제약학적 조성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이란 과도한 독성, 자극, 알레르기 반응 또는 다른 문제 또는 복합증없이 이익/위험 비율이 적절한 사람 및 동물의 조직에 접촉하여 이용하였을 경우에, 건전한 의학적 판단 범위내에 있는 화합물, 물질, 조성물 또는 이의 약향을 포함하는 것이다.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은 상대적으로 독성이 없는 DCL의 무기 또는 유기 염을 말한다. 대표적인 염에는 브롬화염, 염화염, 하이드로브롬화염, 염화수소화염, 황산염, 이황산화염, 질산염, 아세트산염, 발레이트염, 올레이트염, 팔미테이트염, 스테아레이트염, 라우레이트, 벤조에이트, 락테이트, 포스페이트, 토실레이트, 시트레이트, 말레이트, 퓨마레이트, 숙시네이트, 타르타레이트, 나프틸레이트, 메실레이트, 글루코헵토네이트, 락토비오네이트, 라우릴설포네이드 염등을 포함한다(Berge et al., "Pharmaceutical Salts", J. Pharm. Sci. 66:1-19 (1977)).
본 발명의 조제물에는 경구, 비강, 국소(볼, 혀), 직장, 질, 장관외(피하, 근육, 정맥, 혈관내, 방광내, 에어로졸, 경피투여에 적합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약물은 요도관을 통하여, 또는 방광을 통하여 직접 투여할 수 있다(Massad et al., J. Urol. 148:595-597 (1992)). 조제물은 단위 약형으로 제공될 수 있고, 이는 제약 분야에 공지된 방법으로 만들 수 있다. 단일 약형을 만들기 위해 적절한 담체와 복합되는 활성 성분의 양은 치료할 개체, 특정 투여 경로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된다. 단일 약형을 만들기 위해 담체와 복합되는 활성 성분의 양은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를 생성시키는 DCL의 양이 된다. 일반적으로, 활성성분의 양은 총 제조물의 약 1% 내지 99%가 되는데, 적절하게는 약 5% 내지 약 70%가 되고, 가장 적절하게는 약 10% 내지 약 30%가 된다.
이와 같은 조성물을 만드는 방법에는 DCL과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담체, 선택적으로 한 가지 이상의 보조 성분을 연합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조성물은 균질하게 준비하여, DCL 및 액체 담체(또는 미세하게 분할된 고체 담체 또는 둘다) 및 임의 선택한 보조 성분을 연합시키고, 필요한 경우에 생성물의 모양을 만든다.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담체"는 신체의 한 기관으로부터 다른 기관으로 또는 신체의 또 다른 부분으로 DCL을 운반하는 것에 관련된 액체 또는 고체 충진제, mgltjr제, 부형제, 용매 또는 포집화 물질등과 같은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물질, 조성물 또는 담체를 의미한다. 각 담체는 조제물의 다른 성분과 필적할 수 있고, 환자에게 해가 되지 않는 것을 "수용 가능한"이라고 한다.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담체로 기능을 할 수 있는 물질을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1) 락토즈, 글루코즈, 슈크로즈와 같은 당; (2)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과 같은 전분; (3)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즈 나트륨, 에틸 셀룰로오즈,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와 같은 셀룰로오즈 및 이의 유도체; (4) 분말형 트라가탄; (5) 몰트; (6) 젤라틴; (7) 활석; (8) 코코아 버터, 좌약 왁스와 같은 부형제; (9) 땅콩 기름, 목화씨 기름, 홍화씨 기름, 참깨 기름, 올리브 기름, 옥수수 기름, 콩 기름; (10) 프로필렌 글리콜와 같은 글리콜; (11) 글리세린, 소르비톨, 만니톨, 플로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폴리올; (12) 에틸 올레이트, 에틸 라우레이트와 같은 에스테르; (13) 한천; (14) 수산화 마그네슘, 수산화 알루미늄과 같은 완충액; (15) 알긴산; (16) 발열물질이 없는 물; (17) 등장성 염용액; (18) 링거액; (19) 에틸 알코올; (20) 인산 완충액; (21) 제약학적 조성물에 이용되는 다른 비-독성 물질(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Nineteenth Edition, Chapter 80 (1995))등이 포함된다.
경구로 투여하기에 적합한 본 발명의 제제물은 캡슐, 교갑, 알약, 정제, 마름모꼴 정제(향을 가진 기초물질을 이용하여, 통상, 슈크로즈, 아카시아 또는 크라가탄을 이용), 분말, 과립 또는 용액, 수용성 또는 비-수용성 액체에 현탁액, 유중 수적 또는 수중 유적형 에멸젼 또는 연금약액 또는 시럽 또는 정제(통상적으로 비활성 기초물질을 이용하는데, 예를 들면, 젤라틴, 글리세린 또는 슈크로즈 및 아카시아를 이용), 또는 연성 탄성 젤라틴 캡슐 및 구강 세척액등의 형태가 될 수 있는데, 각각에는 활성 성분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예정된 양을 포함한다. DCL은 또한 큰 환약, 연약 또는 고약으로 투여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본 발명의 고체 약형(캡슈르 정제, 알약, 당의정, 분말, 과립)에서, 활성 성분은 한 가지 이상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담체 예를 들면, 시트레이트 나트륨 또는 이인산칼슘등과 혼합하거나 다음중 한 가지와 혼합한다; (1) 전분, 락토즈, 슈크로즈, 글루코즈, 만니톨, 실리친산등과 같은 충진제 또는 희석제; (2)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알지네이트, 젤라틴, 폴리비닐 피롤리돈, 슈크로즈, 아카시아와 같은 결합제; (3) 글리세롤과 같은 가습제; (4) 한천, 탄산 칼슘, 감자 또는 타피오카 전분, 알긴산, 특정 실리케이트, 탄산 나트륨과 같은 분해제; (5) 파라핀과 같은 용액 지체제; (6) 4가 암모니움 화합물과 같은 흡수 가속제; (7) 세틸 알코올,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습윤제; (8) 카올린, 벤토나이트 클레이와 같은 흡수제; (9) 활석, 스테아레이트 칼슘,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고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라우릴 설페이트 나트륨, 이의 혼합물과 같은 윤활제; (10) 발색제등과 혼합한다. 캡슐, 정제, 알약의 경우에, 제약학적 조성물은 완충제가 추가로 구성된다. 유사한 형태의 고체 조성물은 락토즈 또는 유당 및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글리콜등과 같은 부형제를 이용하여,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캡슐에서 충진제로 이용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락토즈가 없는 DCL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방출제, 피복제, 감미제, 향료, 발향제, 보존제, 항산화제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항산화제의 예로는 다음을 포함한다; (1) 아스코르브산, 시스테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이황화 나트륨, 메타비설페이트 나트륨, 아황산 나트륨등과 같은 수용성 항산화제; (2)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부틸화된 하이드록시아니졸(BHA), 부틸화된 하이드록시톨루엔(BHT), 레시틴, 프로필 갈레이트, 알파-토코페롤등과 같은 오일에 용해가능한 항산화제; (3) 스트린산,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EDTA), 소르비톨, 타르타르산, 포스포린산등과 같은 금속 킬레이트 제.
정제는 한 가지 이상의 보조 성분으로 압착 또는 몰딩하여 만들어 진다. 압착된 정제는 결합제(예를 들면, 젤라틴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즈), 윤활제, 비활성 희석제, 보존제, 분해제(가령, 전분 콜레이트 나트륨 또는 교차 결합된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즈 나트륨) 또는 표면 활성 또는 분산제를 이용하여 만들 수 있다. 몰딩된 정제는 비활성, 액체 희석제로 가습된 분말 DCL 혼합물을 적절한 기계에서 볼딩하여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적인 공지 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약학적 조성물을 연질 탄성 젤라틴 캡슐로 조제할 수 있다(see, e.g., Ebert, Pharm. Tech. 1(5):44-50 (1977)). 연질 탄성 젤라틴 캡슐은 경질 젤라틴 캡슐과 비교하였을 때, 연질, 구형, 젤라틴 캡슐을 가지는데, 이때 젤라틴은 글리세린, 소르비톨 또는 유사한 폴리올을 첨가하여, 가소화한다. 캡슐 껍질의 경도는 젤라틴 타입, 가소제 양 및 물의 양을 다양하게 하여 변화시킬 수 있다. 연질 젤라틴 껍질에는 곰팡이의 생장을 방지하기 위해 메틸- 및 프로필파라벤 및 소르빈산과 같은 보존제를 포함한다. 활성 성분은 식물성 또는 미네랄 오일과 같은 액체 담체 또는 비이클,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트리글리세리드와 같은 글리콜, 폴리소르베이트와 같은 계면활성제등에 용해시키거나 현탁시킬 수 있다.
당의정, 캡슐, 알약, 과립과 같은 본 발명의 제약학적 조성물의 다른 약향 및 정제는 장용피 및 다른 제약 분야에 공지된 피복으로 피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약학적 조성물은 활성 성분을 서서히 방출하거나 지연 방출되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비율로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롤로오즈를 이용하여, 원하는 방출 프로파일을 가지도록 하는데, 다른 고분자 매트릭스, 리포좀 또는 미소구를 이용할 수도 있다. 미국 특허 3,845,770; 3,916,899; 3,536,809; 3,598,123; and 4,008,796; PCT 출원 WO 92/20377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지연된 방출 및 운반 장치를 이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약학적 조성물은 불투명제를 포함하거나 위장관의 특정 부분에서 지연된 방식으로 활성 물질을 방출하도록 제조할 수 있다. 이용될 수 있는 조성물을 끼워넣을 수 있는 물질에는 고분자 물질 및 왁스를 포함한다. 활성 성분은 상기에서 설명하는 한 가지 이상의 부형제로 미소-포집된 형으로 만들 수 있다.
DCL을 경구로 투여하기 위한 액체 약형에는 제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에멸젼, 마이크로에멸젼, 용액, 현탁액, 시럽, 부형제를 포함한다. 활성 성분에 추가하여, 액체 약량형에는 당 분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비활성 희석제를 포함하는데, 예를 들면 물 또는 다른 용매, 가용성 물질, 에멸젼화제등이 포함되는데, 에틸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에킬 카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오일(특히 목화씨, 땅콩, 옥수수, 배, 올리브, 비버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테트라하이드로퓨릴 알코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이의 혼합물등이 있다.
비활성 희석제이외에도, 본 발명의 경구 조성물에는 가습제, 에멸젼화제, 현탁제, 감미제, 향료, 발색제, 향미제, 보존제등과 같은 어쥬번트를 포함한다.
활성 DCL에 추가하여, 현탁액에는 에톡실화된 이소스테아일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소르비탄 에스테르, 미소결정 셀룰로오즈,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시드, 벤토나이트, 한천-한천, 트라가탄 및 이의 혼합물등의 현탁제가 포함된다.
직장 또는 질에 투여하는 본 발명의 제약학적 조성물은 좌약으로 제공되는데, 이는 본 발명의 한 가지 이상의 화합물과 한가지 이상의 다른 적절한 비-자극 부형제 또는 담체를 혼합하여 만드는데, 이때 적절한 담체로는 코코아 버터, 폴리에틸렌 글리콜, 좌약 왁스 EH는 살이실레이트 등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조성물은 실온에서 고체이나 체온에서는 액체가 되기 때문에, 직장 및 질 강에서는 용융되어 활성 DCL을 방출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질 투여에 적합한 형태로써, 당분야에 공지된 적절한 담체를 이용하여 페서리, 탐폰, 크림, 겔, 연고, 거품 또는 스프레이 조성물로 구성된다.
DCL을 투여하기 위한 국소 또는 경피 투여를 위한 약형에는 분말, 스프레이, 연고, 고약, 크림, 로션, 겔, 용액, 패취 및 흡입제를 포함한다. 활성 화합물은 적절한 조건하에서,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담체와 혼합되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임의 보존제, 완충액 또는 추진제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조제물은 연고, 고약, 크림, 겔의 형태로 DCL에 추가하여, 동물성 및 식물성 지방, 오일,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탄, 셀룰로오즈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신산, 활석, 산화 아연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분말 및 스프레이에는 DCL에 추가하여 락토즈, 활석, 실리신산, 수산화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칼슘, 폴리아미드 분말 또는 이들 물질 혼합물과 같은 부형제가 포함된다. 스프레이에는 또한 관례적인 추진제 예를 들면 클로로플로로 탄화수소, 휘발성 치환안된 탄화수소, 탄화수소 에테르 및 압착 기체등을 포함한다.
경피 패취는 본 발명의 활성 DCL을 체내로 제어된 방식으로 수송하는 추가 장점을 가진다. 이와 같은 약형은 적절한 배지에 DCL을 용해하거나 또는 분산하여 제공한다. 흡수 증강제를 이용하여 피부로 DCL이 투과하는 유동을 증가시킨다. 이와 같은 유동 속도는 고분자 매트릭스 또는 겔에 DCL을 분산시키거나 또는 속도 조절 막을 제공하여 조절한다.
선택된 투여 경로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제약학적 조성물은 당분야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약형으로 제조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환자에게 투여하기 전에 멸균시키거나 살균한다.
적절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DCL 조성물은 정제 또는 캡슐 형으로 제공된다. 캡슐 또는 정제는 적절하게는 약 0.1㎎ 내지 약 100㎎ DCL, 더욱 적절하게는 약 0.5㎎ 내지 약 50㎎ DCL, 가장 적절하게는 약 1㎎ 내지 약 25㎎ DCL로 조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본 발명의 DCL 조제물은 연질 젤라틴 캡슐 형으로 제공된다. 연질 젤라틴 캡슐에는 약 0.1㎎ 내지 약 100㎎ DCL, 더욱 적절하게는 약 0.5㎎ 내지 약 50㎎ DCL, 가장 적절하게는 약 1㎎ 내지 약 25㎎ DCL로 조제한다.
본 발명의 제약학적 조성물에서 활성 DCL의 실제 약형 수준을 매우 다양하게 하여, 환자에게 독성을 가지지 않으면서, 특정 환자, 투여 경로 및 조성물에서 원하는 치료요법적 반응을 얻기 위한 효과적인 활성 성분의 양을 얻을 수 있다.
선택된 약량 수준 및 투여 빈도는 투여 경로, 투여 시간, 이용된 특정 화합물의 분비 속도, 치료 기간, DCL에 복합하여 이용되는 다른 약물, 화합물, 또는 물질, 치료를 받는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 상태, 일반적인 건강 상태, 병력등 당분야에 공지된 인자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면, 약량 섭생은 건강한 성인과 비교하였을 경우에 임산부, 수유부 및 어린이에게 다양하게 적용된다.
당분야에 통상의 기술을 가지는 의사는 필요한 제약학적 조성물의 효과량을 결정하고 처방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제약학적 조성물에 이용되는 화합물의 약량은 원하는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를 얻는데 필요한 양보다 낮은 약량에서 시작하여, 원하는 효과를 얻을 때까지 약량을 증가시킨다.
적절한 DCL의 매일 약량은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를 얻는데 효과적인 최저 약량이 된다. 이와 같은 효과량은 상기에서 설명한 인자에 따라 일반적으로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조건에서 DCL의 총 매일 제공되는 약량은 약 0.1㎎ 내지 약 100㎎ DCL, 더욱 적절하게는 약 0.5㎎ 내지 약 50㎎ DCL, 가장 적절하게는 약 1㎎ 내지 약 25㎎ DCL이 된다. 소염제, 에페드린, 암페타민, 암페타민 염, 암페타민 유사체, 암페타민 물질 또는 신경 자극제 등을 경구로 제공하는 적절한 약량은 약 1㎎ 내지 약 300㎎이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물질을 매일 경구로 제공하는 약량은 당분야에 숙지된 자가 결정할 수 있다.
원하는 경우에, 활성 DCL의 효과적인 매일 약량은 적절한 간격을 두고 두 개 또는 세가지 약량 이하 단위 약형을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는데, 이는 설명을 위한 것이고, 이에 국한시키지는 않는다.
실시예 1
로라타딘 및 이의 대사물질을 준비
미국 특허 4,282,233에서 설명하는 방법에 따라 로라타딘을 합성할 수 있다. 또한 미국 특허 4,659,716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당분야에 통상의 반응 단계를 이용하여 유사하게 로라타딘 대사물질을 합성할 수 있다. DCL을 준비하는 한 가지 통상적인 방법은 하기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수산화나트륨 및 에탄올 존재하에 로라타딘을 역류시키는 것이다.
시판되는 클라리틴 정제(600×10㎎)의 추출
로라타딘 정제를 물과 클로로포름으로 희석한다. 혼합물은 교반하고, 셀라이트를 통하여 여과시키고, 여과물에 로라타딘이 포함되지 않을 때까지 클로로포름으로 헹군다. 분리된 수용성 층은 클로로포름으로 2회 추출한다. 복합된 유기층은 물, 염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에서 건조시킨다. 용매를 기화시키면, 흰색 고체의 순수한 로라타딘을 얻는다.
로라타딘의 사포닌화 반응
로라타딘(4.0g)을 280㎖ 순수 에탄올에 포함된 수산화나트륨(5.9g)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은 4일간 역류상태에서 효반한다. 그 다음 혼합물은 냉각시키고, 농축시켜 에탄올을 제거한다. 잔유물은 물로 희석하고, 수용층은 염화메틸렌으로 5회 추출한다. 복합된 유기층은 물, 염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에서 건조시킨다. 용매를 기화시키면, 옅은 갈색 고체의 순수한 로라타딘 유도체 2.82g(87%)를 얻는다.
실시예 2
무스카린 수용체 결합 연구
이 연구의 목적은 방사능 리간드 결합 검사에서 사람의 m1, m2, m3에 대한 6개 화합물의 친화력을 평가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이용된 방법은 Dorje et al. The Journal of Pharmacology and Experimental Therapeutics 256:2 727-733 (1991)의 것과 유사하다.
방법;
샘플을 준비하고, 포유류 CHO 세포에서 발현되는 사람 재조합 m1-m3에 수용체에서 농도(0.1-3000nM, ½로그 희석)에서 평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데이터는 방사능라벨된 리간드의 결합을 저해하는 것으로 발생되는데, 이때 [3H] 피렌제핀이 m1에 이용되고, m2에는 [3H]AF-DX 384가 이용되고, m3에는 [3H]4-DMP(4-디페닐아세톡시-N-메틸피페리딘)이 이용된다.
배양 후에, 검사물은 GF/B 유리 섬유 필터(Packard)를 통하여 진공에서 신속하게 여과하고, Packard 세포 수득기를 이용하여 냉각 완충액으로 세척한다. 결합된 방사능활성은 액체 신틸레이션 카운터(Topcount, Packard)에서 액체 신틸레이션 칵테일(Microscint 0, Packard)을 이용하여 결정한다.
화합물은 경쟁 곡선을 얻기 위해 이중으로 반복하여 10농도에서 각 수용체에 대해 테스트한다. 각 실험에서, 수용체에 대한 기준 화합물은 8농도에서 테스트하여(반복), 경쟁 곡선을 얻어, 이 실험을 유효하게 한다. 이 실험의 변수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수용체 방사능리간드 농도 비특이성 배양 시간/온도 기준 화합물
m1 [3H]피렌제핀 2nM 아트로핀(1μM) 60 min/25℃ 피렌제핀
m2 [3H]AF-DX 384 3nM 아트로핀(1μM) 60 min/25℃ 메톡트라민
m3 [3H]4-DAMP 0.15nM 아트로핀(1μM) 60 min/25℃ 4-DAMP
방사능리간드는 DuPont NEN에서 구하였다; 냉각 리간드는 Sigma 또는 RBI에서 구하였다. 이 실험에서 테스트한 약물은 아스테미졸; 노르아스테미졸; 로라타딘; DCL, (S)(-)테르페나딘 카르복실레이트; (S)(-) 테르페나딘이 된다.
결과;
수용체에 특이적인 방사능리간드 결합은 과량의 라벨안된 리간드 존재하에 결정된 총 결합 및 비-특이적인 결합간에 차이로 정의한다. 결과는 화합물 존재하에 수득되는 기준 특이적인 결합 비율로 나타낸다.
IC50값(특정 결합의 50%를 저해하는데 요구되는 농도) 및 힐 상수[Hill coefficients](nH)는 경쟁 곡선의 비-선형 회귀 분석에 의해 결정한다. 이와 같은 변수는 SigmaplotTMsoftware(Jandel)를 이용하여 Hill 방정식을 적용하여 얻는다.
사람 m1, m2, m3무스카린 수용체 서브타입에서 테스트한 화합물 및 기준 화합물에 대한 평가된 IC50값(nM)을 표 2에 나타내었다.
각 화합물 및 기준 화합물에 대한 IC50값(nM)
m1수용체 m2수용체 m3수용체
아스테미졸 900 1480 1210
노르아스테미졸 110 2380 1350
(-) 테르페나딘 >3000 3000 >3000
(S)(-) 테르페나딘 카르복실레이트 >3000 >3000 >3000
로라타딘 >3000 >3000 >3000
데스카르보에톡시 로라타딘 85.0 50.4 755
피렌제핀 10.6 테스트 안함 테스트 안함
메톡트라민 테스트 안함 16.5 테스트 안함
4-DAMP 테스트 안함 테스트 안함 3.2
이 결과에서 놀라운 것은 DCL은 m1, m2, m3수용체에서 로라타딘(모 약물) 또는 다른 제 2 약물 또는 제 3 세태 항히스트만보다 친화력이 더 크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inter alia DCL의 놀라운 항무스카린 활성에 기초한 것이다. 이론에 구애받지 않고, DCL의 항무스카린 친화력은 여기에서 설명하는 치료 방법 및 조성물에 유용하다.
실시예 3
종양 촉진 활성
종양 촉진 물질로써 로라타딘 및 DCL의 효과를 스크린하기 위해 임파세포 유사분열의 저해를 이용한다.
유사분열 연구
5주된 BALB/c(Charles River, ST. Constant, PQ)에서 얻은 새로운 비장 세포(5×105)를 2% 태아 송아지 혈청(Grand Island Biological Co., Grand Island, NY)을 포함하는 RPMI 1640에 현탁시키고, 콘카나발린(Conc A, 2㎍/㎖; Sigma Chemical Co., St. Louis, MO)가 첨가된 복제 마이크로웰 플레이트(Nunc)에 접종한 다음, 염 또는 다른 담체에 용해된 테스트 물질의 농도를 증가시키면서 배양한다(37℃, 95% air, 5% CO2). Con A 첨가후 43시간 후에, 0.25 nmol3H-티미딘(6.7 Ci/nmol; ICN Radiopharmaceuticals, Montreal, PQ)를 각 웰에 첨가한다. 추가 5시간 배양 후에, 웰에서 세포를 씻어내고, 자동화된 세포 분류기를 이용하는 필터 페이퍼에 둔다. 필터는 5㎖ 신틸레이션 유체(Readysafe; Beckman)를 포함하는 바이알에 두고, 48시간에 DNA에 결합된 방사능활성을 결정한다(n=3). 다양한 농도 범위(0.1 내지 10μM)에서 유사분열을 저해하는데 있어서, IC50을 결정한다.
콘카나발린 A에 의해 유도된 자극의 저해(IC50)
로라타딘 1.0μM
DCL 5.6μM
이 결과는 종양 생장을 촉진하는데 있어서, DCL이 로라타딘보다 5-7배 활성이 적다는 것을 말한다.
실시예 4
심장맥관 효과
심장의 칼슘 전류에 DCL의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방법
효소 분산법(Carmeliet, J. Pharmacol. Exper. Ther., 1992, 262, 809-817)을 이용하여 기니아-피그 및 토끼의 단일 심실 근세포를 분리한다. 볼테이지 클램프(Axoclamp 200A)에는 2 내지 5㏁ 범위의 단일 석션 패취 전극을 이용한다. P-clamp 소프트웨어(Axon Instruments)를 이용하여 볼테이지 클램프 과정을 생성시키고, 데이터를 기록 및 분석한다. 표준 용액에는 Nacl 137.6mM, KCl 5.4mM, CaCl21.8mM, MgCl20.5mM, HEPES 11.6mM, 포도당 5mM을 포함하고, NaOH를 첨가하여 pH를 7.4로 조정한다. 세포내 용액에는 KCl 120mM, MgCl26mM, CaCl20.154mM, Na2ATP 5mM, EGTA 5mM, HEPES 10mM을 포함하고, KOH를 첨가하여 pH를 7.2로 한다.
토끼 심실 근세포에서 지연된 정류 K+전류(Ikr)에 효과
볼테이지 클램프 프로토콜은 4초간 -50mV 내지 +10mV의 전위를 보유하는 클램프로 구성된다. 꼬리 전류에 변화는 약물 농도에 대한 함수로써 측정할 수 있다. 이 농도는 5단계로 10-7내지 10-5으로 변화된다. 각 농도에 노출시키는 것은 15분간 지속한다. 끝날 때, 30분 동안 세척한다.
이들 연구 결과에 따르면, DCL은 심장 지연 정류를 방해하는데 있어서, 테르페나딘보다 활성이 적고 따라서, 심장 부작용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다른 진정 항히스타민를 이용하는 것보다 독성이 적다는 것을 말한다.
실시예 5
사이코트롬 P450의 저해
본 연구는 로라타딘 및 DCL이 사람 사이토크롬 P4503A4(CYP3A4)을 저해하는 정도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CYP3A4는 많은 약물-약물 상호작용에 관계하고, 로라타딘 또는 DCL에 의한 CYP3A4의 정량적인 저해는 약물-약물 상호작용의 능력을 나타낸다. h3A4v3로 정한 사람 임파아구종 세포주에서 준비한 마이크로좀에서 모델 기질 테스토스테론 및 cDNA-유도된 CYP3A4를 이용하여 저해를 측정하였다.
연구 방법
저해 연구는 테스트 물질에 대해 50% 저해 농도(IC50)를 결정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한 개의 테스트스테론 농도(120μM, 실제 Km의 약 2배)와 10가지 테스트 물질 농도(약 ½log로 분리)를 2회 테스트하였다. 6(β)-하이드록시테스토스테론 대사물질의 생산으로 테스토스테론 대사를 검사하였다. 이 대사물질은 흡수 감지로 HPLC 분리를 통하여 정량화한다.
테스트 물질의 저장/준비 및 배양
테스트 물질은 실온에서 저장할 수 있다. 테스트 물질은 추가 배양을 위해 에탄올에 용해시킨다. 용매 농도는 테스트 물질의 모든 농도에서 일정하다.
IC50결정
최종 테스트 물질의 농도는 100, 30, 10, 3, 1, 0.3, 0.1, 0.03, 0.01, 0.003, 0μM이다. 각 테스트 농도는 하기 방법에 따라 2중 배양하여 테스트한다.
방법
0.7㎎/㎖ 단백질, 1.3mM NADP+, 3.3mM 포도당-6-인산, 0.4U/㎖ 포도당-6-인산 탈수소화효소, 3.3mM 염화마그네슘, 120μM 테스토스테론/100mM 인산 칼슘(pH7.4)를 포함하는 0.5㎖ 반응 혼합물을 30분간 37℃에서 배양한다. 추출하는 동안에 회수를 보정하기 위해 내부 표준으로 공지의 양의 11(β)-하이드록시테스토스테론을 첨가한다. 반응 혼합물은 1㎖ 염화 메틸렌으로 추출한다. 추출물은 무수 활산마그네슘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기화시킨다. 샘플은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4.6×250㎜ 5u C18 HPLC 컬럼에 주사하고, 1㎖/min 유속으로, 이동상을 메탄올/물로 하여, 50℃에서 분리한다. 보유 시간은 6(β)-하이드록시의 경우에는 약 6분이고, 11(-)-하이드록시의 경우에는 약 8분이고, 테스토스테론의 경우에는 약 12분이다. 254㎚에서 이들의 흡수도를 측정하여 생성물 및 내부 표준을 감지하고, 11(β)-하이드록시 흡수 피크를 이용하여 추출 효과를 보정하고, 6(β)-하이드록시테스토스테론의 표준 흡수 곡선과 비교하여, 정량화한다.
데이터 보고
각 테스트 물질의 경우에, 각 반복된 배양에서 6(β)-하이드록시테스토스테론 대사물질의 농도를 결정하고, 기준 용매에 대한 저해 비율을 계산한다. 직선 내삽법으로 IC50을 계산할 수 있다.
로라타딘
농도(μM) 배양당 Pmole 저해 비율
0 2692, 2108 --
0.003 1975, 2148 18, 11
0.01 2192, 1939 9, 19
0.03 1992, 2658 17, -11
0.1 2279, 2023 5, 16
0.3 2476, 2010 -3, 16
1 2093, 1912 13, 20
3 2109, 1850 12, 23
10 1547, 1584 36, 34
30 1110, 1304 54, 46
100 643, 643 73, 73
로라타딘의 IC50은 30μM이다.
데카르보에톡시로라타딘(DCL)
농도(μM) 배양당 Pmole 저해 비율
0 1882, 2005 --
0.003 2010, 2053 -3, -6
0.01 2100, 2151 -8, -11
0.03 1950, 2261 0, -16
0.1 2111, 1966 -9, -1
0.3 2055, 1959 -6, -1
1 2029, 1982 -4, -2
3 1748, 1948 10, 0
10 1478, 1557 24, 20
30 759, 671 61, 66
100 319, 225 84, 88
DCL의 IC50은 23μM이다.
이 연구에서 볼 수 있는 것은 사이토크롬 P4503A4를 저해하는데 있어서, 로라타딘 및 DCL의 활성에 큰 차이가 없다는 것과 이들은 약물-약물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부작용 발생가능성이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이용할 수 있는 화합물을 투여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유용한 제약학적 약형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실시예 6
연질 젤라틴 캡슐
콩 기름, 레시틴, 목화씨 기름 또는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용 오일에 활성 성분을 혼합하여 준비하고, 이를 포지티브 배치 펌프를 이용하여 0.1 내지 25㎎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연질 젤라틴 캡슐를 만든다. 캡슐은 세척하고 건조시킨다.
실시예 7
정제
상당수의 정제는 통상적인 과정에 의해 준비하는데, 단위 약량은 DCL이 0.1 내지 25㎎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정제는 10㎎ DCL, 미소결정 셀룰로오즈 80㎎, 스테아린산 5㎎, 콜로이드성 실리카 1㎎으로 구성된다. 모든 성분은 적절한 혼합기에서 혼합한다. 생성된 혼합물은 9/32-인치(7㎜) 펀치를 이용하여 정제로 압착한다.
다른 강도를 가지는 정제 및 캡슐은 최종 정제 중량에 대해 활성 성분에 대한 부형제의 비율을 달리하여 준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나타내는 것에 추가하여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인지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변화 또한 다음의 청구범위에 속함을 인지할 것이다.
전술한 설명은 본 발명을 실행함에 있어서 당업자에게 필수적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언급한 특허 및 기차 문헌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첨부한다.

Claims (34)

  1. 뇨 실금을 치료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와 같은 치료를 요하는 사람에게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의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을 투여하는 것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의 양은 하루에 약 0.1㎎ 내지 약 100㎎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의 양은 하루에 약 0.5㎎ 내지 약 50㎎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은 흡입 또는 방광, 장관외, 경피, 직장 또는 경구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은 경구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은 경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은 방광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방법.
  8. 어지러움을 치료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와 같은 치료를 요하는 사람에게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의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을 투여하는 것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의 양은 하루에 약 0.1㎎ 내지 약 100㎎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의 양은 하루에 약 0.5㎎ 내지 약 50㎎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은 흡입 또는 방광, 장관외, 경피, 직장 또는 경구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은 경구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은 경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어지러움증은 Meniere 질환으로 인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동요병을 치료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와 같은 치료를 요하는 사람에게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의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을 투여하는 것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의 양은 하루에 약 0.1㎎ 내지 약 100㎎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의 양은 하루에 약 0.5㎎ 내지 약 50㎎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은 흡입 또는 방광, 장관외, 경피, 직장 또는 경구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은 경구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은 경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방법.
  21. 제 15 항에 있어서, 동요병은 공간 운동 질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15 항에 있어서, 동요병은 뱃멀미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뇨실금, 어지러움, 동요병을 치료하는 데 유용한 항콜린성 활성을 가지는 제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의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 및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담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학적 조성물.
  24. 동요병을 치료하는 데 유용한 제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의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 및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담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학적 조성물.
  25. 동요병을 치료하는 데 유용한 제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의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 암페타민, 암페타민 염, 암페타민 유사체에서 선택된 약물의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 및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담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학적 조성물.
  26. 동요병을 치료하는 데 유용한 제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의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 암페타민 물질이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 및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담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학적 조성물.
  27. 동요병을 치료하는 데 유용한 제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의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 신경자극제가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 및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담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학적 조성물.
  28. 동요병을 치료하는 방법에 있어서, 치료를 요하는 사람에게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의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의 소염제를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소염제는 슈도에페드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 28 항에 있어서, 소염제는 슈도에페드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동요병을 치료하는 방법에 있어서, 치료를 요하는 사람에게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의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의 에페드린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동요병을 치료하는 방법에 있어서, 치료를 요하는 사람에게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의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 암페타민, 암페타민 염, 암페타민 유사체에서 선택된 약물의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동요병을 치료하는 방법에 있어서, 치료를 요하는 사람에게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의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의 암페타민 제제를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동요병을 치료하는 방법에 있어서, 치료를 요하는 사람에게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의 DCL 또는 이의 제약학적 수용 가능한 염, 치료요법적으로 효과량의 신경자극제를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97007632A 1997-02-28 1998-02-24 뇨 실금, 동요병 및 어지러움을 치료하는 약물을 제조하는데있어서 데스카르보에톡시로라타딘을 이용하는 방법 KR200000755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808,116 US5939426A (en) 1997-02-28 1997-02-28 Methods for treating urinary incontinence using descarboethoxyloratadine
US8/808,116 1997-0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572A true KR20000075572A (ko) 2000-12-15

Family

ID=25197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7632A KR20000075572A (ko) 1997-02-28 1998-02-24 뇨 실금, 동요병 및 어지러움을 치료하는 약물을 제조하는데있어서 데스카르보에톡시로라타딘을 이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5939426A (ko)
EP (1) EP0975344A1 (ko)
JP (1) JP2001515475A (ko)
KR (1) KR20000075572A (ko)
CN (1) CN1252722A (ko)
AU (1) AU740504B2 (ko)
BR (1) BR9807796A (ko)
CA (1) CA2282396A1 (ko)
NO (1) NO994165L (ko)
NZ (2) NZ513650A (ko)
WO (1) WO19980378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E71699A1 (es) * 1997-02-07 1999-08-03 Sepracor Inc Composicion farmaceutica de descarboetoxiloratadina sin lactosa, no higroscopica y anhidra
WO1999033454A2 (en) * 1997-12-31 1999-07-08 Sepracor Inc. S-procyclidine for treating urinary incontinence
US6132758A (en) 1998-06-01 2000-10-17 Schering Corporation Stabilized antihistamine syrup
US6100274A (en) * 1999-07-07 2000-08-08 Schering Corporation 8-chloro-6,11-dihydro-11- ](4-piperidylidine)-5H-benzo[5,6]cyclohepta[1,2-bpyridine oral compositions
ATE359784T1 (de) * 1999-10-08 2007-05-15 Schering Corp Topische nasenbehandlung mit desloratadin und mometason furoat
US6114346A (en) 1999-10-22 2000-09-05 Schering Corporation Treating sleep disorders using desloratadine
WO2001045676A2 (en) 1999-12-20 2001-06-28 Schering Corporation Extended release oral dosage composition
SK287684B6 (sk) * 1999-12-20 2011-06-06 Schering Corporation Pevná orálna farmaceutická dávková forma s predĺženým uvoľňovaním
US7405223B2 (en) 2000-02-03 2008-07-29 Schering Corporation Treating allergic and inflammatory conditions
US6773421B2 (en) * 2001-12-14 2004-08-10 Kimberly-Clark Worlwide, Inc. Combination for managing the involuntary loss of bladder control
WO2004064789A2 (en) * 2003-01-16 2004-08-05 University Of Rochester Quaternary antimuscarinic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bladder diseases
KR20070026396A (ko) * 2004-01-30 2007-03-08 베이징 투올린 메디슨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컴파니 리미티드 마라스미우스 안드로사세우스 L.es Fr 추출물,피페리돈 유도체 및 항고혈압제로서의 그 용도
KR20070053221A (ko) * 2004-07-16 2007-05-23 씨아이피엘에이 엘티디. 항-히스타민성 조성물
EP1817034A1 (en) * 2004-10-25 2007-08-15 Schering Corporation M1 and/or m3 receptor antagonists in combination with other actives for treating respiratory disorders
WO2007107828A2 (en) * 2006-03-20 2007-09-27 Pfizer Limited Amine derivatives
US20090082385A1 (en) * 2007-09-26 2009-03-26 Protia, Llc Deuterium-enriched desloratidine
US8741930B2 (en) * 2008-10-24 2014-06-03 Bridge Pharma, Inc. Treating xerophthalmia with norketotifen
WO2010059894A1 (en) * 2008-11-21 2010-05-27 Bridge Pharma, Inc. Ocular formulations of norketotifen
IT201900012645A1 (it) * 2019-07-23 2021-01-23 Eros Zanotti Una composizione farmaceutica per l'uso nel trattamento delle chinetosi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6809A (en) * 1969-02-17 1970-10-27 Alza Corp Medication method
US3598123A (en) * 1969-04-01 1971-08-10 Alza Corp Bandage for administering drugs
US3845770A (en) * 1972-06-05 1974-11-05 Alza Corp Osmatic dispensing device for releasing beneficial agent
US3916899A (en) * 1973-04-25 1975-11-04 Alza Corp Osmotic dispensing device with maximum and minimum sizes for the passageway
US3940485A (en) * 1973-12-12 1976-02-24 Levinson Harold N Treatment and pre-treatment of dysmetric dyslexia by improving sequential scanning and ocular fixation abilities and therapeutic compounds
US4008796A (en) * 1974-03-26 1977-02-22 General Concrete Of Canada Limited Control method for feeding items on a conveyor
US4282233B1 (en) * 1980-06-19 2000-09-05 Schering Corp Antihistaminic 11-(4-piperidylidene)-5h-benzoÄ5,6Ü-cyclohepta-Ä1,2Ü-pyridines
AU570306B2 (en) * 1984-02-15 1988-03-10 Schering Corporation 8-chloro-6, 11-dihydro-11-(4-piperidylidene)-5h-benzo (5,6) cyclohepta (1,2-b) pyridine and its salts.
US4777170A (en) * 1987-02-03 1988-10-11 Heinrich William A Method to prevent and treat the signs and symptoms of motion sickness
PT100502A (pt) * 1991-05-20 1993-08-31 Alza Corp Composicoes farmaceuticas para aumentar a capacidade de permeacao na pele utilizando monolinoleato de glicerol
US5595997A (en) * 1994-12-30 1997-01-21 Sepracor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allergic rhinitis and other disorders using descarboethoxyloratad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Z513650A (en) 2001-09-28
BR9807796A (pt) 2000-02-15
EP0975344A1 (en) 2000-02-02
US20020183241A1 (en) 2002-12-05
AU740504B2 (en) 2001-11-08
CN1252722A (zh) 2000-05-10
US5939426A (en) 1999-08-17
JP2001515475A (ja) 2001-09-18
AU6182898A (en) 1998-09-18
WO1998037889A1 (en) 1998-09-03
NO994165L (no) 1999-10-25
NZ337400A (en) 2001-09-28
NO994165D0 (no) 1999-08-27
CA2282396A1 (en) 1998-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75572A (ko) 뇨 실금, 동요병 및 어지러움을 치료하는 약물을 제조하는데있어서 데스카르보에톡시로라타딘을 이용하는 방법
DE69535234T2 (de) Mittel zur behandlung der allergischen rhinitis und anderer erkrankungen enthaltend descarboethoxyloratadin
AU711212B2 (en) Methods for treating allergic disorders using (-) cetirizine
EP0920313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urinary incontinence using enantiomerically enriched (s,s)-glycopyrrolate
KR20000070965A (ko) 데스카르보에톡시로라타딘을 이용하여 알레르기성 천식을 치료하는 방법 및 그 조성물
KR20010080053A (ko) 말초 작용 항소양 아편제
JP5385402B2 (ja) 肥満細胞媒介疾患を治療するための1−アミノ−アルキルシクロヘキサン誘導体
US6063792A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urinary incontinence using enantiomerically enriched (S)-trihexyphenidyl
AU762059B2 (en) Use of descarboethoxyloratadine for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the treatment of motion sickness
AU2007341274B2 (en) Use of 10-[(3R)-1-azabicyclo[2.2.2]oct-3-ylmethyl]-10H-phenothiazine for the preparation of a drug having a selective inhibition of muscarinic M1, M2 and M3 receptors
US6110972A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urinary incontinence using enantiomerically enriched (S)-tridihexethyl
US6207681B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urinary incontinence using enantiomerically enriched (R)-trihexyphenidyl
MXPA99007802A (es) Uso de descarboetociloratadina para la preparacion de un farmaco para el tratamiento de la incontinencia urinaria, malestar causado por el movimiento y vertigo
US4904673A (en) Agent for treating bradycardia and bradyarrhythmia
US6130242A (en) S-procyclidine for treating urinary incontinence
Fedoskova What is the best drug for allergies. Antihistamines: myths and reality
JP2000515865A (ja) 過剰攻撃を処置する方法
KR20100112293A (ko) 데스로라타딘을 포함하는 안과용 조성물
WO1998000139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urinary incontinence using enantiomerically enriched (s)-clidinium
EP0957916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urinary incontinence using enantiomerically enriched (r)-clidinium
AU2017999A (en) (r)-procyclidine for treating urinary incontinence
EP0933992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urinary incontinence using enantiomerically enriched (r)-tridihexethyl
MXPA00009454A (es) Metodos y composiciones para tratar rinitis alergica y otros trastornos usando descarboetoxiloratadi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