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5334A - 피타아제 효소 발현용 재조합 효모 및 이로부터얻은 재조합 피타아제 효소 - Google Patents

피타아제 효소 발현용 재조합 효모 및 이로부터얻은 재조합 피타아제 효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5334A
KR20000075334A KR1019990019860A KR19990019860A KR20000075334A KR 20000075334 A KR20000075334 A KR 20000075334A KR 1019990019860 A KR1019990019860 A KR 1019990019860A KR 19990019860 A KR19990019860 A KR 19990019860A KR 20000075334 A KR20000075334 A KR 20000075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ytase
recombinant
gene
recombinant yeast
ye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9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3244B1 (ko
Inventor
윤세왕
곽병오
최진남
장효상
정상원
김대혁
Original Assignee
한동혁
대한제당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동혁, 대한제당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동혁
Priority to KR1019990019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3244B1/ko
Publication of KR20000075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5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3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32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6Foldable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타아제 효소를 대량 발현시키는 재조합 효모 및 이 효모를 배양하여 얻은 피타아제 효소에 관한 것으로 아스퍼질러스 피쿰으로부터 분리한 피타아제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에 의해 형질전환된 본 발명 재조합 효모는 사료첨가제로 유용한 피타아제 효소를 대량 발현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발현된 피타아제 효소는 열안정성과 내산성이 우수한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피타아제 효소 발현용 재조합 효모 및 이로부터 얻은 재조합 피타아제 효소{Recombinant yeast for expressing phytase and the phytase obtained therefrom}
본 발명은 피타아제 효소 발현용 재조합 효모 및 이로부터 얻어진 피타아제 효소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피타아제 효소를 대량 발현시키는 재조합 효모 및 이 효모를 배양하여 얻은 내산성 및 열안정성이 우수한 피타아제 효소에 관한 것이다.
피타아제(Phytase; myo-inositol hexakisphosphate phosphohydrolase, EC 3.1.3.8)는 식물, 미생물, 진균 등에 존재하며 식물의 중요한 유기인산 저장 화합물인 파이트산(phytic acid)(myo-inositol hexaphosphoric acid)을 가수분해하여 미요-이노시톨(myo-inositol)과 자유 오르토-포스포르산(free ortho-phosphoric acid)를 생산하는 효소이다(Reddy et al,1982). 이와 같은 피타아제는 사료첨가제로 사용시 사료내 유기태인의 이용성을 60% 이상 증가시키고, 무기질의 체내흡수를 증가시킬 뿐 아니라 단백질 이용률 및 소화흡수율 증진효과를 나타내어 사료의 영양가치 증진에 필수적이다(Denbow, 1995). 또한, 사육가축의 골성장(bone mineralization)을 건실화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타 칼슘과 아연 등 필수 무기염류의 흡수율을 향상시키는 부가적 기능도 가지고 있다(Harper et al., 1997). 이에 따라 최근에는 미생물에서 분리하여 상업적으로 대량생산한 피타아제(예; NatuphosR)를 첨가함으로써 사료에 첨가하는 무기인의 함량을 줄이고, 또한 이를 섭취한 가축의 배설물에서의 분비되는 유기인의 양을 감소시키고 있다(Yi et al, 1996). 그러나, 현재 세계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피타아제는 pH에 불안정하여 실제 단위동물에 투여하여도 위(stomach)를 통과할 때 낮은 pH 때문에 대부분 활성을 잃어버린다(Ullah et al, 1988). 더우기 열안정성이 낮아(최대 70℃) 사료 제조공정 중, 특히 전체사료의 절반을 차지하는 펠렛(pellet) 제조시 실활되어 현재로서는 펠렛 사료에는 첨가되지 못하고 가루사료에만 첨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캡슐레이션(capsulation) 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으나 제조원가 부담 등으로 인하여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열안정성 및 내산성이 뛰어난 신규한 피타아제를 대량 발현시키는 미생물을 개발하고 이로부터 피타아제를 대량 생산하여 기능성 사료첨가제로 사용함으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였으며 상기와 같이 사료에 첨가한 피타아제는 미생물에 의해 지속적으로 피타아제의 발현효과를 동물의 생체내에서 나타내어 그 효과면에서도 우수하며, 공정상의 원가감소요인을 고려할 때 현재 4,000원/Kg 정도의 고가의 피타아제를 2,000원/Kg 이하의 가격으로 축산농가에 공급할 수 있어 우리 축산농가의 부담도 덜어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타아제 유전자가 삽입된 피타아제 발현벡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피타아제 발현벡터로 형질전환된 재조합 효모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형질전환된 재조합 효모를 배양하여 얻은 내산성 및 열안정성이 우수한 피타아제 효소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아스퍼질러스 피쿰으로 피타아제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분리하여 프로모터가 다른 3종류의 발현벡터에 상기 분리한 유전자를 각각 삽입하여 피타아제 발현벡터를 제조하고 숙주 효모에 상기 3종의 발현벡터를 각각 도입하여 형질전환시킨 후 이 재조합 효모를 배양하여 피타아제 단백질을 발현시키고 발현된 피타아제 단백질의 효소활성, 단백질 성질, 최적 pH 및 pH 내성을 분석하므로써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은 아스퍼질러스 피쿰(Aspergillus ficuum) 유래의 피타아제 유전자를 PCR로 증폭한 후 아가로스겔에서 전기영동한 사진도이다.
도 2는 아스퍼질러스 피쿰(Aspergillus ficuum)에서 분리된 피타아제 유전자를 3종류의 효모용 단백질 발현벡터에 재조합한 벡터모식도이다.
도 3은 재조합 효모에서 프로모터(GAL과 GPD)별로 배양시간에 따른 피타아제 발현단백질의 발현양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GPD 프로모터를 사용한 재조합 효모에서 발현된 피타아제 단백질의 반응 최적온도 및 열에 대한 내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GPD 프로모터를 사용한 재조합 효모에서 발현된 피타아제 단백질의 반응 최적 pH 및 pH 내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아스퍼질러스 피쿰으로 피타아제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PCR을 실시하여 분리하고 분리한 유전자 DNA의 부분적 염기서열을 결정하여 피타아제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임을 확인하는 단계; 프로모터가 다른 3종의 발현벡터에 상기 아스퍼질러스 피쿰으로부터 분리한 피타아제 유전자를 삽입하여 피타아제 발현벡터를 제조하는 단계; 숙주효모에 상기 발현벡터를 도입하여 형질전환된 재조합 효모를 선발하는 단계; 선발한 재조합 효모를 배양하여 배양액에 존재하는 피타아제 활성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재조합 효모에서 발현되는 피타아제 단백질의 성질 및 최적 온도와 pH 및 온도와 pH 내성을 분석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아스퍼질러스 피쿰(Aspergillus ficuum)으로부터 피타아제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이용하여 분리하였고 분리한 DNA는 5' 과 3'의 염기서열을 부분적으로 결정한 뒤 기존의 유전자의 염기서열과 유사성을 비교하여 실제로 피타아제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임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분리, 확인을 거친 피타아제 유전자를 프로모터만 다른 세종류의 효모용 단백질 발현벡터 YEpAG-TER, YEpGAL-TER, YEpGPD-TER에 삽입하여 피타아제 발현벡터 3종 YEpAG-GSP1351, YEpGAL-GSP1351, YEpGPD-GSP1351을 각각 제조하였다. 각 벡터에는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에서 분리된 글루코스 옥시다아제(glucose oxidase)(포도당 산화효소)의 분비신호(signal peptide)가 포함되어 있어서 발현되는 재조합 단백질이 효모의 세포 밖으로 분비될 것이다. 상기 제조한 발현벡터를 전기충격(electroporation)방법으로 ura- 인 숙주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Y2805)에 형질전환하여 재조합 효모를 선발하였고 선발한 재조합 효모들은 일단 YPD 배지에서 배양하여 배양액에 존재하는 피타아제의 활성을 분석하였다. 피타아제의 활성은 pH5.4인 0.1 M 아세테이트 버퍼(acetate buffer) 350 ㎕에 배양액 50 ㎕와 100 mM Na-phytate 4 ㎕를 섞고 37℃에서 30분간 반응한 뒤 800 ㎕의 AAM 용액 및 80 ㎕의 1 M 시트르산(citric acid)과 차례로 섞어 405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서 결정하였다. 이 때 표준으로는 KH2PO4를 사용하여 피타아제의 활성을 정량하였다. 결과적으로 GAL 프로모터의 경우 배양후 1일에 피타아제의 역가가 관찰되기 시작하여 4일까지 역가가 지속됨을 알 수 있었고, GPD 프로모터의 경우도 유사하였다. 또 발현된 피타아제 단백질의 최적 반응온도는 60℃, 최적 반응 pH는 5.5 이었고, 80℃에서 15분 처리 후에도 20℃ 역가의 50% 이상을 유지하였으며, pH의 경우 pH2.5 에서도 pH5.5 역가의 85%를 유지하는 등 높은 열안정성과 내산성을 나타내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재조합 효모 제작
제1단계: PCR을 이용한 아스퍼질러스 피쿰(Aspergillus ficuum)의 피타아제
유전자 분리
공시균주인 아스퍼질러스 피쿰(Aspergillus ficuum)에서 피타아제 유전자를 분리하기 위하여, 먼저 전체(total) RNA를 분리한 후 첫 번째-가닥 cDNA(first-strand cDNA)를 합성하기 위하여 앞서 분리한 전체 RNA 5 ㎍을 65℃에서 10분간 두었다가 얼음물에 식혔다. 여기에 벌크 첫 번째-가닥 cDNA 반응 혼합물 (bulk first-strand cDNA reaction mixture) 11 ㎕, 1 M DTT 1 ㎕, 그리고 5 ㎍/㎕ Not I-d(T)181 ㎕를 넣고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렇게 합성한 첫 번째-가닥 cDNA(first-strand cDNA) 5 ㎕에 10X PCR 버퍼 10 ㎕, 2.5 mM dNTP 8 ㎕, 5'-, 3'-primer 각 150 ng, dH2O 77 ㎕, rTaq (Takara) 2.5 U를 넣고, 94℃, 5분, (94℃, 1분-45℃, 1분-72℃, 3분)??30 cycles, 72℃, 7분의 PCR을 수행하였다. 이를 1% 아가로스젤에서 전기영동시킨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 1.4 kbp 에 해당하는 DNA 밴드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 밴드는 예상한 PCR 산물의 크기와 일치하며, 이를 다시 pGEM-T Easy (Promega Co.) 벡터(vector)에 라이게이션(ligation)하여 5' 과 3' 쪽의 염기서열을 결정하여 기존의 염기서열과 유사성을 비교한 결과, 아스퍼질러스 피쿰(Aspergillus ficuum)의 피타아제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임을 알 수 있었다.
제2단계: 아스퍼질러스 피쿰 피타아제 단백질의 효모에서의 발현을 위한
피타아제 발현벡터 제조
상기 제 1단계에서 분리한 아스퍼질러스 피쿰 피타아제 유전자를 생균제로 이용 가능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발현시키기 위하여 3 종류의 효모 형질전환용 유전자 운반체(YEpAG-TER, YEpGAL-TER, YEpGPD-TER)에 삽입하였다.
또 효모의 세포 내에서 발현된 피타아제 단백질이 세포 외로 분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의 글루코스 옥시다아제(glucose oxidase)(포도당 산화효소)의 분비신호에 대한 유전자를 PCR을 통해 분리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밝혀진 글루코스 옥시다아제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조사하고, 분비신호에 해당하는 66 bp에 대한 primer set를 제조하였다. 아스퍼질러스 나이거의 first-strand cDNA를 주형(template)로 하고 앞서 제조한 primer set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한 결과 예상대로 66 bp에 해당하는 DNA를 얻을 수 있었다. 이 66 bp DNA를 pGEM-T Easy 벡터(Promega Co.)에 클로닝하고 이를 pTGOS라고 명명하였다.
한편 피타아제에 대한 유전자로부터 피타아제 자신의 분비신호를 제거하기 위하여 실시예 1의 제 1단계에서 제조한 피타아제-포함 벡터를 주형으로 하고 피타아제 분비신호 직후부터 종결코돈까지에 해당하는 1351 bp에 대한 primer set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이렇게 자체 분비신호가 제거된 피타아제 유전자 1351 bp를 pTGOS에 삽입함으로써 글루코스 옥시다아제 분비신호-피타아제 유전자 카셋트를 포함하는 벡터를 제조하였고 이를 pTGSP1351로 명명하였다.
pTGSP1351을 제한효소 Spe I으로 잘라서 나오는 글루코스 옥시다아제 분비신호-피타아제 유전자 카셋트를, T4 DNA 라이게이즈를 이용하여 역시 제한효소 Spe I으로 절단된 벡터에 접합시켜서 3종류의 피타아제 발현벡터 YEpAG-GSP1351, YEpGAL-GSP1351, YEpGPD-GSP1351를 만들었다. 이를 도 2에 나타냈다.
제3단계: 피타아제 발현 재조합 벡터의 효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로의 도입
아가플레이트의 단일 효모 콜로니를 5 mL YPD 배지「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10 g/L, 펩톤(peptone) 20 g/L, 덱스트로스(dextrose) 20 g/L]에 접종하고 30℃에서 24시간 진탕배양하였다. 이 배양액 5 ㎕를 50 mL YPD 배지에 접종하고 30℃에서 20시간 진탕배양하였다. 이를 6,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균체만 회수한 뒤 50 mL 멸균수로 1회, 25 mL 멸균수로 1회, 2 mL 멸균 1 M 소르비톨(sorbitol)로 1 회 세척하고 멸균 1 M 소르비톨(sorbitol) 100 ㎕에 재분산하였다. 이를 90 ㎕ 취하여 상기 제 2단계에서 제작한 발현벡터 YEpAG-GSP1351, YEpGAL-GSP1351, YEpGPD-GSP1351를 각각 10 ㎕씩 잘 섞어준 다음 간극이 0.2 cm인 큐벳(cuvette;BioRad)에 넣고 200Ω, 25㎌에서 5.0 kV/cm 의 전기펄스를 주었다. 펄스 직후 멸균 1 M 소르비톨(sorbitol) 1 mL을 섞어주고 URA 플레이트「YNB w/o aa 6.7 g/L, 카사미노산(casamino acid) 5 g/L, 덱스트로스(dextrose) 20 g/L, 아데닌(adenine) 0.03 g/L, 트립톤(tryptone) 0.03 g/L, 아가(agar) 20 g/L]에 도말하여 30℃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본 발명에서 세 종류의 발현벡터에 의해 형질전환된 3종류의 재조합 효모 중 YEpGPD-GSP1351로 형질전환된 재조합 효모 TSA01을 한국종균협회에 1999년 5월 15일에 기탁번호 KFCC-11091로 기탁하였다.
실시예 2: 피타아제 효소 활성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세 종류의 발현벡터로 형질전환시킨 효모중 두 종류의 피타아제 발현벡터로 형질전환된 재조합 효모에서 발현되는 피타아제의 배양시간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YEpGAL-GSP1351 발현벡터로 형질전환된 재조합 효모의 단일 콜로니는 3 mL GYB 배지「갈락토오스(Galactose) 10 g/L, 효모 추출액(yeast extract) 10 g/L, 펩톤(peptone) 20 g/L)에, YEpGPD-GSP1351 발현벡터로 형질전환된 재조합 효모의 단일 콜로니는 3 mL YPD에 접종하고 30℃에서 진탕배양하였다. 그리고 접종 1일 후부터 24시간 간격으로 200 ㎕씩 취하여 6,000 rpm에서 1분간 원심분리하고 상징액의 피타아제 역가를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타아제의 역가는 두종류의 발현벡터에서 모두 1 unit (=μmol Pi/mL/min) 정도 관찰되었고, 배양 1일 후에도 최대 역가의 80~90% 이상이 발현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배양 후 3일까지는 역가가 조금씩 증가하였으나 4일째는 약간 감소하였다.
실시예 3: 재조합 효모에서 발현되는 피타아제 단백질의 최적 온도 및 온도내성 분석
피타아제 발현벡터 3종 중 하나인 YEpGPD-GSP1351로 형질전환된 재조합 효모에서 발현된 피타아제 단백질의 최적온도 및 열에 대한 내성을 분석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YEpGPD-GSP1351로 형질전환된 재조합 효모의 단일 콜로니를 5 mL YPD에 접종하고 30℃에서 24시간 진탕배양하였다. 이 배양액 5 mL을 50 mL YPD 배지에 접종하고 30℃에서 24시간 진탕배양하였다. 이 배양액 20 mL을 200 mL YPD 배지에 접종하여 30℃에서 30시간 진탕배양하였다. 이 배양액을 6,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고 상징액을 취하였다. 이를 50㎕를 취하여 0.1 M 아세테이트 버퍼(acetate buffer)/pH 5.4 350 ㎕와 100 mM Na-피테이트(Na-phytate) 4 ㎕를 섞고 20, 30, 40, 50, 60, 70, 80℃에서 각각 30분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 100 ㎕에 AAM(10 mM ammonium molybdate : 5 N 황산 : 아세톤 = 1 : 1 : 2) 800 ㎕를 잘 섞고, 다시 1 M 시트르산(citric acid) 80 ㎕를 잘 섞어준 뒤 405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조합 효모에서 발현된 피타아제의 최적 온도는 60℃임을 알 수 있었다. 열안정성의 경우, 상기한 최적온도와 동일하게 재조합 효모를 배양한 후, 배양액을 6,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고 상징액을 취하였다. 이를 20, 30, 40, 50, 60, 70, 80℃에서 15분간 방치후, 50 ㎕를 취하여 0.1 M 아세테이트 버퍼(acetate buffer)/pH 5.4 350 ㎕와 100 mM Na-피테이트 4 ㎕를 섞고 37℃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 100 ㎕에 AAM 800 ㎕를 잘 섞고, 다시 1 M 시트르산(citric acid) 80 ㎕를 잘 섞어준 뒤 405 nm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역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20℃에서 효소 안정성이 가장 높았고, 온도가 올라갈수록 활성이 낮아져 80℃에서의 활성은 20℃의 57% 수준이었다. 이로서 재조합 효모에서 발현되는 피타아제는 80℃에서도 50% 이상의 역가를 안정하게 유지하는 것으로 보아 사료 펠렛 제조시 열로 인한 실활은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4: 재조합 효모에서 발현되는 피타아제 단백질의 최적 pH 및 pH 내성 분석
피타아제 발현벡터 3종 중 하나인 YEpGPD-GSP1351로 형질전환된 재조합 효모에서 발현된 피타아제 단백질의 최적 pH 및 pH에 대한 내성을 분석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YEpGPD-GSP1351로 형질전환된 재조합 효모의 단일 콜로니를 5 mL YPD에 접종하고 30℃에서 24시간 진탕배양하였다. 이 배양액 5 mL을 50 mL YPD 배지에 접종하고 30℃에서 24시간 진탕배양하였다. 이 배양액 20 mL을 200 mL YPD 배지에 접종하여 30℃에서 30시간 진탕배양하였다. 이 배양액을 6,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고 상징액을 취하였다. 이 상징액 50 ㎕를 pH 1.5, 2.5, 3.5, 4.5, 5.5, 6.5, 7.5, 8.5의 버퍼(buffer) 각각 350 ㎕, 100 mM Na-피테이트(Na-phytate) 4 ㎕와 잘 섞은 다음 37℃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 100 ㎕에 AAM 800 ㎕를 잘 섞고, 다시 1 M 시트르산(citric acid) 80 ㎕를 잘 섞어준 뒤 405 nm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pH5.5에서 가장 활성이 높았고, pH 2.5 에서도 활성이 높아 최적 pH가 2.5와 5.5 임을 알 수 있었다. pH 내성의 경우, 상기한 최적 pH와 동일하게 재조합 효모를 배양한 후, 배양액을 6,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고 상징액을 취하였다. 이를 50㎕를 취하여 pH 1.5, 2.5, 3.5, 4.5, 5.5, 6.5, 7.5, 8.5의 버퍼 각각 350 ㎕와 잘 섞어 37℃에서 20시간 방치 후 100 mM Na-피테이트 4 ㎕를 섞고 37℃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 100 ㎕에 AAM 800 ㎕를 잘 섞고, 다시 1 M 시트르산(citric acid) 80 ㎕를 잘 섞어준 뒤 405 nm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역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역가가 가장 높았던 pH 5.5의 경우 45% 정도 감소했으나 다른 pH에 비해서 역가가 가장 안정되게 보존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pH 2.5에서도 pH 5.5에 비해 85%의 역가를 유지하는 등 중성-알칼리성보다는 산성에서 효소가 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아스퍼질러스 피쿰으로부터 분리한 피타아제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에 의해 형질전환된 본 발명 재조합 효모는 사료첨가제로 유용한 피타아제 효소를 대량 발현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발현된 피타아제 효소는 열안정성과 내산성이 우수하여 사료 제조공정 중 뜨거운 열에도 활성을 유지하며 이 사료를 가축에 섭취시켰을 경우에 위내의 낮은 산도하에서도 활성을 최대로 유지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가축사료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아스퍼질러스 피쿰으로부터 분리한 피타아제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효모 형질전환용 벡터인 YEpAG-TER에 도입하여 얻음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벡터 YEpAG-GSP1351.
  2. 아스퍼질러스 피쿰으로부터 분리한 피타아제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효모 형질전환용 벡터인 YEpGAL-TER에 도입하여 얻음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벡터 YEpGAL-GSP1351.
  3. 아스퍼질러스 피쿰으로부터 분리한 피타아제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효모 형질전환용 벡터인 YEpGPD-TER에 도입하여 얻음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벡터 YEpGPD-GSP1351.
  4. 제 3항 기재의 재조합 벡터 YEpGPD-GSP1351를 사카로마아세스 세레비지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에 도입하여 형질전환시킨 재조합 효모 TSA01(KFCC 11091).
  5. 제 4항 기재의 재조합 효모 TSA01을 배양하여 얻은 재조합 피타아제 단백질.
KR1019990019860A 1999-05-06 1999-05-31 피타아제 효소 발현용 재조합 효모 및 이로부터얻은 재조합 피타아제 효소 KR100333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860A KR100333244B1 (ko) 1999-05-06 1999-05-31 피타아제 효소 발현용 재조합 효모 및 이로부터얻은 재조합 피타아제 효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90016202 1999-05-06
KR1019990016202 1999-05-06
KR1019990019860A KR100333244B1 (ko) 1999-05-06 1999-05-31 피타아제 효소 발현용 재조합 효모 및 이로부터얻은 재조합 피타아제 효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334A true KR20000075334A (ko) 2000-12-15
KR100333244B1 KR100333244B1 (ko) 2002-04-24

Family

ID=26635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9860A KR100333244B1 (ko) 1999-05-06 1999-05-31 피타아제 효소 발현용 재조합 효모 및 이로부터얻은 재조합 피타아제 효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32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7380B1 (ko) * 2000-07-28 2003-03-26 대한제당 주식회사 파이테이즈 생산 재조합 효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A27702C2 (uk) * 1989-09-27 2000-10-16 Гіст-Брокейдс Н.В. Фрагмент геномної днк, що кодує фітазу aspergillus niger,фрагмент кднк, що кодує фітазу aspergillus niger, рекомбінантна плазмідна днк для експресії фітази в aspergillus (варіанти), штам aspergillus-продуцент фітази aspergillus (варіанти), спосіб одержання фітази, рекомбінанта фітаза aspergillus ni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3244B1 (ko) 2002-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16576A (ko) 반추동물 미생물의 피타아제를 발현하는 디엔에이 서열
PT948606E (pt) Fitasse de peniophora
JP6105590B2 (ja) Dna含有量を減少させる内因性dnアーゼ活性
KR20010042138A (ko) 피타제 변이체
Crepin et al.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Talaromyces stipitatus feruloyl esterase FAEC in Pichia pastoris: identification of the nucleophilic serine
AU2021201026B2 (en) Glucanase production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apusoni et al. Screening for yeast Phytase leads to the identification of a new cell-bound and secreted activity in Cyberlindnera jadinii CJ2
CN112920280B (zh) 一种酸性蛋白酶高效表达的方法及其应用
de los Santos et al. Improvement of catalytical properties of two invertases highly tolerant to sucrose after expression in Pichia pastoris. Effect of glycosylation on enzyme properties
KR100333244B1 (ko) 피타아제 효소 발현용 재조합 효모 및 이로부터얻은 재조합 피타아제 효소
CN114736881B (zh) 酸稳定性提高的葡萄糖氧化酶GoxM10突变体A4D及其衍生突变体和应用
EP2062967A1 (en) Genetically engineered aspergillus
CN112662700B (zh) 用于谷胱甘肽生物合成的重组质粒的构建方法
KR100346639B1 (ko) 피타아제 b 유전자 발현용 재조합 효모 및 이로부터얻은 재조합 피타아제 b 효소
US20070184521A1 (en) Novel phytase and gene
US20060141557A1 (en) Production of canthaxanthin by phaffia
KR100578539B1 (ko) 사이트로박터 브라키 유래의 파이타제
KR100377380B1 (ko) 파이테이즈 생산 재조합 효모
Dung et al. HETEROLOGOUS PHYTASE EXPRESSION IN THE FOOD FILAMENTOUS FUNGUS Aspergillus oryzae USING THE ADDED RICE HUSK CULTIVATION MODEL.
EP2116136A1 (en) Novel phytases
Guo et al. Inducible expression of a β-glucuronidase from Penicillium purpurogenum in Pichia pastoris and characterization of the recombinant enzyme
EP1291417A1 (en) Novel (r)-2-hydroxy-3-phenylpropionate (d-phenyllactate) dehydrogenase and gene encoding the same
KR100754952B1 (ko) 에바리스트라 리니아타 cm602(kctc 10945bp) 및그로부터 생산되는 파이타아제
Huang et al. Cloning and identification of methionine synthase gene from Pichia pastoris
BR102013028943A2 (pt) linhagem geneticamente modificada de penicillium griseoroseum produtora de fitase, cassete e vetor de expressão para a construção da linhagem, preparação enzimática e us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