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3839A - 액상 천연고무를 이용한 고경도 고무조성물 - Google Patents

액상 천연고무를 이용한 고경도 고무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3839A
KR20000073839A KR1019990017394A KR19990017394A KR20000073839A KR 20000073839 A KR20000073839 A KR 20000073839A KR 1019990017394 A KR1019990017394 A KR 1019990017394A KR 19990017394 A KR19990017394 A KR 19990017394A KR 20000073839 A KR20000073839 A KR 20000073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ubber
natural rubber
liquid na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7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8879B1 (ko
Inventor
조선이
Original Assignee
신형인
금호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형인, 금호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형인
Priority to KR1019990017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8879B1/ko
Publication of KR20000073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3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8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88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00Compositions of natural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9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organic liquids
    • C08J3/11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organic liquids from solid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6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천연고무를 이용한 고경도 고무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가인 합성 이소프렌 고무 대신에 합성 이소프렌 고무와 분자구조가 동일한 천연고무를 열분해하여 제조한 액상 천연고무를 사용하여 타이어 제조시 공정성을 개선하고 경제적인 고경도 고무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천연고무 70∼95 중량부에 액상 천연고무 5∼30 중량부를 첨가한 원료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펩타이저 0∼1 중량부, 카본블랙 40∼80 중량부, 스테아린산 1∼5 중량부, 보강성 레진으로 듀레즈(Durez 31802)를 10∼20 중량부 및 통상적으로 타이어 제조시에 사용하는 노화방지제 1∼5 중량부, 점착제 1∼5 중량부, 오일 1∼10 중량부, 접착제 1∼5 중량부, 가류촉진제 1∼2 중량부, 유황 1∼5 중량부, 가류지연제 0.1∼1 중량부 사용하여 고경도 고무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고경도 고무조성물은 고경도를 요하는 타이어와 림의 장착부위인 에이팩스(Apex)에 사용함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상 천연고무를 이용한 고경도 고무조성물{Highly Hardness Rubber Composition Using Liquid Natural Rubber}
본 발명은 액상 천연고무를 이용한 고경도 고무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가인 합성 이소프렌 고무 대신에 합성 이소프렌 고무와 분자구조가 동일한 천연고무를 열분해하여 제조한 액상 천연고무를 이용하는 고경도 고무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 부위중에서 림의 장착부위인 에이팩스(Apex)는 고경도를 요하고 있는데 이러한 고경도 고무조성물은 높은 점도 때문에 타이어 제조시 공정성이 좋지 않으며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타이어 공정상 점도를 낮추고 가류후 타이어 물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첨가물을 이용하고 있다.
현재 에이팩스에 사용되는 고무조성물로서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류후 타이어 물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첨가물로 합성 이소프렌 고무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아주 고가의 재료에 해당한다.
본 발명은 고경도 고무조성물에 있어서, 고가인 합성 이소프렌 고무 대신에 합성 이소프렌 고무와 분자구조는 같으나 곁사슬이 발달하여 분자량이 큰 천연고무를 열분해하여 제조한 액상 천연고무를 적용하여 보다 경제적이고 생산적인 고경도 고무를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경도 고무조성물에 있어서 천연고무 70∼95 중량부에 액상 천연고무 5∼30 중량부를 첨가한 원료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펩타이저(peptizer) 0∼1 중량부, 카본블랙 40∼80 중량부, 스테아린산 1∼5 중량부, 보강성 레진으로 듀레즈(Durez 31802, 코오롱제품) 10∼20 중량부 및 통상적으로 타이어 제조시에 사용하는 노화방지제 1∼5 중량부, 점착제 1∼5 중량부, 오일 1∼10 중량부, 접착제 1∼5 중량부, 가류촉진제 1∼2 중량부, 유황 1∼5 중량부, 가류지연제 0.1∼1 중량부를 사용하여 타이어와 림의 장착부위인 에이팩스에 적합한 고경도 고무를 밴부리 혼합기(banbury mixer)에서 배합한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에 의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
천연고무 80 중량부, 합성 이소프렌 고무 20 중량부, 펩타이저(Renacit-Ⅳ, Bayer) 0.1 중량부, 카본블랙 65 중량부, 스테아린산 2.5 중량부, 산화아연(ZnO) 7 중량부, 레진으로 듀레즈(Durez 31802, 코오롱제품)를 15 중량부 및 타이어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노화방지제 2 중량부, 점착제 4 중량부, 공정오일 5 중량부, 접착제 3.6 중량부, 가류촉진제 1.5 중량부, 유황 3.75 중량부, 가류지연제 0.4 중량부을 사용하여 타이어 림의 장착부위인 에이팩스에 적합한 고경도 고무를 밴부리 믹서에서 배합한다. 아래의 표 1에 고무조성물의 사용량을 다시 정리하였다.
< 실시예 2 >
실시예 1의 합성 이소프렌 고무 대신 액상 천연고무 20 중량부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고경도 고무를 배합한다.
< 실시예 3 >
실시예 1의 고무 조성물에서 합성 이소프렌 고무를 제외하고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조성물 및 방법으로 고경도 고무를 배합한다.
표 1. 본 발명의 고무조성물 및 사용량 (단위: 중량부)
종 류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천연고무 80 80 80
합성 이소프렌 20 - -
액상 천연고무 - 20 -
펩타이져 0.1 0.1 0.1
카본블랙 65 65 65
스테아린산 2.5 2.5 2.5
아연화 7 7 7
레진 15 15 15
노방제 2 2 2
점착제 4 4 4
공정오일 5 5 5
접착제 3.6 3.6 3.6
가류촉진제 1.5 1.5 1.5
유황 3.75 3.75 3.75
가류지연제 0.4 0.4 0.4
< 시험예 >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고무의 가황특성 및 점도, 스코치(Scorch) 타임, 인장시험, 노화후 인장시험, 내크랙특성, 내피로특성 및 발열과 같은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표 2. 가황특성 및 물성시험 결과
시 험 항 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무니(Mooney)점도(100℃) 80 80 90
무니(Mooney)점도(125℃) 75 72 80
스코치타임(분) 11.3 11.8 10.8
가황특성(160℃)최대토크(lbf.in)90% 가황시간(분) 54.76 52.85.6 59.35.7
인장시험경도(Shore A)모듈러스(200%신장)인장강도(kg/cm2)절단시의 신장율(%)인열저항(kg/cm) 8213919428661 8114319528465 8317319423061
노화후 인장시험경도(Shore A)모듈러스(200%신장)인장강도(kg/cm2)절단시의 신장율(%)인열저항(kg/cm) 8911513712142 8811714212330 9013613810242
내크랙특성(30,000 굴신)가로+세로(mm) 2+5.7 2.1+4.9 9.5+7.6
내피로특성(kilocycle) 83 76 41
발열(℃) 50 49 47
* 노화조건은 105℃ 열 챔버(chamber)에서 24시간 동안 방치
상기의 표 2의 결과와 같이 합성 이소프렌 고무를 대신하여 액상 천연고무를 사용한 고무는 합성 이소프렌 고무나 액상 천연고무를 사용하지 않은 고무에 비하여 점도가 낮아 타이어 공정상에 잇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내크랙특성 및 내피로특성도 향상되었으며, 가류후의 물성 또한 합성 이소프렌을 사용한 고무와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

  1. 천연고무 70∼95 중량부에 액상천연고무 5∼30 중량부를 첨가하여 100 중량부를 맞춘 고무비율에 대하여 펩타이저 0∼1 중량부, 카본블랙 40∼80 중량부, 스테아린산 1∼5 중량부, 아연화3∼10 중량부, 보강성레진으로 듀레즈 10∼20 중량부, 노방제 1∼5 중량부, 점착제 1∼5 중량부, 오일 1∼10 중량부, 접착제 1∼5 중량부, 가류촉진제 1∼2 중량부, 유황 1∼5 중량부, 가류지연제 0.1∼1 중량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천연고무를 이용한 타이어용 고경도 고무조성물.
KR1019990017394A 1999-05-14 1999-05-14 액상 천연고무를 이용한 고경도 고무조성물 KR100308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7394A KR100308879B1 (ko) 1999-05-14 1999-05-14 액상 천연고무를 이용한 고경도 고무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7394A KR100308879B1 (ko) 1999-05-14 1999-05-14 액상 천연고무를 이용한 고경도 고무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3839A true KR20000073839A (ko) 2000-12-05
KR100308879B1 KR100308879B1 (ko) 2001-09-28

Family

ID=19585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7394A KR100308879B1 (ko) 1999-05-14 1999-05-14 액상 천연고무를 이용한 고경도 고무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88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4991A (ko) * 2001-05-03 2002-11-16 금호산업 주식회사 레디알 타이어용 에이펙스용 고무조성물
KR20030062174A (ko) * 2002-01-16 2003-07-23 엘지전선 주식회사 고내구성 고무조성물
KR20180033022A (ko) * 2016-09-23 2018-04-02 주식회사 삼오테크 재제조 타이어의 접착고무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761B1 (ko) * 2000-06-22 2003-04-18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비드 인슐레이션용 고무 조성물
KR101240692B1 (ko) * 2011-01-10 2013-03-07 김종수 라텍스 소재의 폐고무 재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896A (ko) * 1997-08-12 1999-03-05 홍건희 혼합가공성이 개선된 초고경도 고무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4991A (ko) * 2001-05-03 2002-11-16 금호산업 주식회사 레디알 타이어용 에이펙스용 고무조성물
KR20030062174A (ko) * 2002-01-16 2003-07-23 엘지전선 주식회사 고내구성 고무조성물
KR20180033022A (ko) * 2016-09-23 2018-04-02 주식회사 삼오테크 재제조 타이어의 접착고무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8879B1 (ko) 200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148543A (ja) エラストマ−組成物
MXPA04002022A (es) Compuestos de epdm para aplicaciones dinamicas.
KR100308879B1 (ko) 액상 천연고무를 이용한 고경도 고무조성물
KR100888134B1 (ko) 공정성이 향상된 비드 필러 고무조성물
JP2017141326A (ja) タイヤ用ゴム組成物およびタイヤ
KR100738655B1 (ko) 점착성이 우수한 타이어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KR101061560B1 (ko) 벨트 고무 조성물
KR100911613B1 (ko) 폴리부텐을 함유한 타이어 고무조성물
KR100760591B1 (ko) 타이어용 인너라이너 고무 조성물
KR100314756B1 (ko) 브래더용 고무화합물
KR100437321B1 (ko) 모듈러스가 향상된 스틸코드 코팅용 고무조성물
KR100395888B1 (ko) 내오존 성능이 향상된 트레드 고무조성물
JPH10182881A (ja) ゴム組成物
KR100812472B1 (ko) 공정성이 향상된 타이어 에이펙스용 고무 조성물
JPH11106567A (ja) トレッドゴム組成物
KR100314754B1 (ko) 천연고무의 리버젼 현상이 개선된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
KR100393929B1 (ko) 공기압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JP2005220188A (ja) ラジアルタイヤ
KR100303888B1 (ko) 가황속도 및 내스코치성이 개선된 고무조성물
KR100227568B1 (ko) 타이어 인너라이너용 고무 조성물
KR20040001728A (ko) 타이어 사이드월 고무조성물
JP2002069242A (ja) ゴム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5339430A (ja) ゴム組成物
KR100558959B1 (ko) 타이어용 고무조성물
KR20030019980A (ko) 벨트층 접착용 고무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