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1328A - 미부 정렬기를 구비한 접지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미부 정렬기를 구비한 접지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1328A
KR20000071328A KR1020000005336A KR20000005336A KR20000071328A KR 20000071328 A KR20000071328 A KR 20000071328A KR 1020000005336 A KR1020000005336 A KR 1020000005336A KR 20000005336 A KR20000005336 A KR 20000005336A KR 20000071328 A KR20000071328 A KR 20000071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ground
tail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5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4049B1 (ko
Inventor
에이버리헤이즐톤피.
바나키스엠마뉴엘지.
던햄데이비드이.
레게진네트에이치.
미드데이비드지.
Original Assignee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루이스 에이. 헥트
Publication of KR20000071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1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4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40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17Snap means
    • H01R12/7029Snap means not integral with the coupling devic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20)는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커넥터는 전방 정합 단부(80) 및 후방 접속 단부(82)를 갖는 유전성 하우징(76)을 포함하며, 전방 정합 단부와 후방 접속 단부 사이에서 복수개의 단자 수용 통로(84)가 연장된다. 복수개의 단자(86)는 단자 수용 통로 내에 수용되고,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미부(86c, 86d)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접지 부재(88)는 하우징 상에 장착되고, 상호 보완형 결합 커넥터와 결합되도록 전방으로 돌출되는 접지 접촉 아암(88c)을 포함한다. ESD 클립(88d)은 인쇄 회로 기판 내의 적절한 장착 구멍 내로 삽입되도록 접지 부재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된다. 미부 정렬기(90)는 하우징의 후방 단부에 장착되고, 단자의 직각 단부가 관통 연장되는 복수개의 구멍(90c)을 갖는다.

Description

미부 정렬기를 구비한 접지 전기 커넥터{GROUNDED ELECTRICAL CONNECTOR WITH TAIL ALIGNE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기 커넥터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자 미부 정렬기와 관련하여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되고 접지 시스템을 포함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는 단단한 도체 배선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간단히 연결시키는 것으로부터 인쇄 회로 기판, 평평한 가요성 케이블, 광섬유 등의 요소들이 관련된 보다 복잡한 장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의 장비에 사용된다. 기본적으로, 전기 커넥터는 하나의 전기 장치를 다른 전기 장치에 접속시키는 임의의 형태의 접촉자, 단자 또는 다른 도체를 포함한다. 전기 커넥터는, 부가적으로 고속 신호를 고체(구리) 케이블 또는 광섬유 케이블로부터 시스템이 인쇄된 회로 기판 상의 고속 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는 송수신 시스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전기" 또는 "전기 커넥터"는 광학 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통신 산업에서, 절환 시스템 또는 회로는 비교적 알맞은 크기의 마더 보드(mother board) 상의 특정 위치에 마련된다. 복수개의 고속 전기 변환기 모듈은 마더 보드 상의 적당한 프레임 구조에 의해 장착된다. 정합하는 "플러그인(plug-in)" 커넥터 모듈은 절환 시스템의 외부로부터 변환기 모듈 내로 삽입된다. 플러그인 모듈에 부착된 케이블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는 기가비트 범위의 고속 신호이며, 변환기 모듈은 신호를 전달하고 신호를 고속으로 유지하여 이를 마더 보드 상의 회로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시스템의 구조 및 제조 가능성에 있어서 지속적인 문제점에 봉착했었다. 대부분의 문제점은 전자기 간섭(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으로부터 접속 인터페이스를 적절히 보호하고 정전 방전(electrostatic discharge; ESD)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에 중점된다. 본 발명은 제조, 조립 및 사용에 있어서 비용 효과적이며 광범위한 EMI 및 ESD 보호를 제공하는 간단한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되고 단자 미부 정렬기를 포함하는 신규하고 개선된 접지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개념을 구현하는 어댑터 프레임 조립체의 상부 전방 사시도.
도2는 기판 장착식 커넥터를 도시하는, 조립체의 상부 후방 사시도,
도3은 어댑터 프레임 조립체 및 기판 장착식 커넥터의 저부 사시도.
도4는 도1과 유사하지만 플러그인 커넥터를 포함하는 사시도.
도5는 도3과 유사하지만 플러그인 커넥터를 포함하는 사시도.
도6은 기판 장착식 커넥터와 관련한 어댑터 프레임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7은 기판 장착식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8은 도6과는 반대 각도에서 취한 기판 장착식 커넥터의 사시도.
도9는 기판 장착식 커넥터의 측면도.
도10은 도6 내지 도9의 기판 장착식 커넥터 상에 개장될 수 있는 차폐체의 사시도.
도11은 기판 장착식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12는 조립 상태의 도11의 기판 장착식 커넥터의 사시도.
도13은 도12의 기판 장착식 커넥터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 금속 어댑터 프레임 조립체
18 : 상호 보완형 정합 커넥터
20a : 차폐 전기 커넥터
24 : 차폐 덮개
28 : 셔터 부재
76 : 유전성 하우징
80 : 전방 정합 단부
82 : 후방 접속 단부
84 : 단자 수용 통로
86 : 복수개의 단자
102 : 금속 차폐체
104 : ESD 클립
106 : 접지 접촉 아암
108, 109 : 접지 탭
110 : 접지 다리부
본 발명의 예시 실시예에서, 이러한 커넥터는 전방 정합 단부 및 후방 접속 단부를 갖는 유전성 하우징을 포함하며, 전방 정합 단부와 후방 접속 단부 사이에서 복수개의 단자 수용 통로가 연장된다. 복수개의 단자는 단자 수용 통로 내에 수용된다. 각각의 단자는 하우징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미부를 포함한다. 미부는 인쇄 회로 기판에 접속되도록 직각 단부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접지 부재는 하우징 상에 장착되고, 상호 보완형 결합 커넥터와 결합되도록 전방으로 돌출되는 접지 접촉 아암을 포함한다. ESD 클립은 인쇄 회로 기판 내의 적절한 장착 구멍 내로 삽입되도록 접지 부재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된다. 미부 정렬기는 하우징의 후방 단부에 장착되고, 단자의 직각 단부가 관통 연장되는 복수개의 구멍을 갖는다.
여기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접지 부재는 전도성 판금 재료로 스탬핑 가공되어 성형된 일편 구조물이다.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접지 부재는 하우징의 측방향으로 이격되며, 접지 부재의 각각의 접지 접촉 아암은 하우징의 정합 단부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된다.
미부 정렬기는 접지 부재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슬롯을 포함한다. 차폐체는 접지 부재와 결합된 적어도 하우징의 후방 접속 단부 주위에서 장착된다. 상호 보완형 상호 결합 수단은 차폐체와 미부 정렬기 사이에서 제공된다. 차폐체는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적절한 접지 회로에 접속되도록 하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지 다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신규한 본 발명의 특징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과 함께, 도면을 통해 동일한 참조 번호가 동일한 요소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을 보다 상세히 참조하면, 먼저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면, 금속 어댑터 프레임 조립체(16)는 제1 전기 커넥터(18, 도4와 도5)를 패널 내의 구멍 내에 그리고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장착 가능한 제1 전기 커넥터(20, 도1, 도2 및 도5)를 장착하도록 설계된다. 패널 및 그 구멍과 인쇄 회로 기판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기존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패널 내의 구멍은 다음에 설명된 바와 같이 어댑터의 전방 직사각형 단부를 수용하도록 대체로 직사각형이라고 말해 두기로 한다.
도1 내지 도5와 함께 도6을 참조하면, 어댑터 프레임 조립체(16)는 4개의 구성 요소, 즉 다이캐스트 금속 본체(22)와, 스탬핑 가공되어 성형되는 차폐 덮개(24)와, 스탬핑 가공되어 성형되는 판금 개스킷(26)과, 다이캐스트 금속 셔터 부재(28)를 포함한다. 본체(22)와 셔터 부재(28)는 니켈 도금된 아연 재료로 다이캐스트된 것일 수 있다. 차폐 덮개(24)는 광택 주석(bright tin) 재료로 도금된 스프링 강 재료로부터 스탬핑 가공되어 성형될 수 있다. 개스킷(26)은 광택 주석 재료로 도금된 베릴륨 구리 재료로부터 스탬핑 가공되어 성형될 수 있다.
다이캐스트 금속 본체(22)는 직사각형 전방 리셉터클(32)을 형성하는 전방벽(30, 도6)과, 한 쌍의 후방 연장 측벽(34)과, 개방된 저부 후방 리셉터클(38)을 형성하도록 측벽들을 잇는 상부 후방 브리지(36)를 포함한다. 플러그인 커넥터(18)는 전방 리셉터클(32) 내에 삽입되고, 기판 커넥터(20)는 후방 리셉터클(38) 내에 수용된다. 안내 레일(40)은 플러그인 커넥터를 안내하도록 측벽(22)의 내부에 형성된다. 래치 개구(42)는 다음에 설명된 바와 같이 플러그인 커넥터의 래치를 수용하도록 측벽(34) 내에 형성된다. 래치 견부(44)와 래치 홈(46)은 다음에 설명된 바와 같이 차폐 덮개(24)의 구성 요소들과 협동하도록 각 측벽(34)의 외부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스탬핑 가공되어 성형되는 판금 차폐 덮개(24)는 상부벽(48)과 한 쌍의 측벽(50)을 포함한다. 도6에서 다이캐스트 금속 본체(22)는 상부에서 개방되고 측부에서 오목하며, 차폐 덮개의 상부벽과 측벽은 본체의 상부와 측부를 완전히 폐쇄시킴을 알 수 있다. 복수개의 환기 구멍(52)이 차폐 덮개의 상부벽 및 측벽으로부터 스탬핑 제거된다. 스프링 래치 탭(54)은 덮개를 본체 상에 유지하기 위해 본체의 각 측벽의 래치 견부(44) 아래에서 스냅 체결되도록 차폐 덮개의 각 측벽(50)으로부터 현수된다. 래치 아암(56)은 덮개의 각 측벽으로부터 현수되고 본체의 각 측벽 내의 홈(46)을 통해 본체의 저부를 통과하여 연장되어 어댑터 프레임 조립체를 기판에 보유하도록 인쇄 회로 기판 내의 소정 장착 구멍 내로 삽입된다. 제3 래치 아암(58)은 덮개의 상부벽(48)의 후방으로 연장된다. 그러므로, 어댑터 프레임 조립체는 래치 아암(56)을 이용함으로써 수평 위치로 또는 제3 래치 아암(58)을 이용함으로써 수직 위치로 회로 기판에 장착될 수 있다. 끝으로, 한 쌍의 결합 탭(60)은 다음에 기재된 목적으로 래치 아암(58)의 대향한 측면에서 덮개의 상부벽(48)으로부터 그 후방에서 현수된다.
스탬핑 가공 및 성형되는 판금 개스킷(26)은 일반적으로 본체(22)의 직사각형 전방 리셉터클(32)과 일치하는 직사각형이다. 개스킷은 이 개스킷을 전방 리셉터클(32)을 둘러싸는 본체에 보유시키기 위해 본체(20)의 전방벽(30) 후방에서 스냅 체결되도록 그 상부 및 저부에 스탬핑 가공되어 성형된 복수개의 가요성 래치 아암(62)을 포함한다. 개스킷은 패널을 직사각형 구멍 주위에 결합시키도록 개스킷의 4개의 측면 모두에 복수개의 외측으로 변형된 가요성 핑거(finger, 64)를 포함한다. 개스킷은 플러그인 커넥터(18)의 외부 차폐체와 결합되기 위해 그 상부 및 저부 상에 복수개의 내측으로 변형된 가요성 핑거(66)를 포함한다.
셔터 부재(28)는 셔터 부재의 상부에서 각 대향 단부로부터 돌출한 피벗 보스(pivot boss, 70)에 의해 본체(22)의 전방 리셉터클(32)의 후방에 장착되어, 본체의 측벽(34) 내의 접지 리세스(72) 내에 위치된다. 코일 스프링(74)은, 스프링이 셔터 부재를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폐쇄 위치, 즉 전방 리셉터클(32)을 폐쇄시키는 위치로 편의시키도록 코일의 대향한 단부들이 셔터 부재와 본체에 고정된 상태로 각 피벗 보스(70) 주위에 감긴다. 커넥터(18)가 전방 리셉터클 내로 삽입되면 셔터 부재는 플러그인 커넥터(18)와의 결합에 의한 스프링의 편의력에 대항하여 자동적으로 개방된다.
도4와 도5를 구체적으로 참조하면, 플러그인 커넥터(18)는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러그인 커넥터는 기가비트 범위 내의 고속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변환기 모듈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환기 모듈은 기판 장착식 커넥터(20)와 같은 기판 장착식 커넥터에 전송하기 위해 고속 신호를 수신하여 송신하며 신호를 고속으로 유지한다. 본 발명의 일부는 아니지만, 플러그인 변환기 모듈은 그 전방 단부에 한 쌍의 리셉터클(18a)을 포함하고 그 후방 단부에 정합 단부(18b, 도5)를 포함한다. 플러그인 커넥터의 대향한 측면 상의 한 쌍의 가요성 래치 아암(18c)은 어댑터 프레임 조립체의 본체(22)의 측벽 내의 래치 개구(42) 내로 스냅 체결되는 래치 후크(18d)를 포함한다.
도2, 도3, 도5 및 도6과 함께 도7 내지 도9를 참조하면, 기판 장착식 커넥터(20)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절연 재료로 일체 성형된 일편 하우징(76)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차폐 덮개(24)의 본체(22)의 후방 리셉터클(38, 도6) 내에 하우징을 위치시키는 전방으로 향한 한 쌍의 측면 아암(78)을 갖는다. 하우징은 플러그인 커넥터(18)의 전방 정합 단부(18b, 도5)와 정합하는 전방 정합 단부(80)를 갖는다. 하우징은 후방 접속 단부(82)를 가지며, 정합 단부(80)와 접속 단부(82) 사이에서 연장되는 하우징 내에 복수개의 단자 수용 통로(84)가 구비된다.
복수개의 단자(86, 도7)는 화살표(A) 방향으로 단자 수용 통로(84) 내에 삽입되기 위해 전방으로 향한 접촉부(86a)를 포함한다. 단자의 접촉부는 플러그 수용 커넥터(18) 내의 소정 접촉자와 결합한다. 각 단자(86)는 단자가 하우징(76) 내에 고정되도록 그 측부에 돌기가 스탬핑 가공된 확대된 본체부(86b)를 포함한다. 각 단자(86)는 하우징(76)의 후방 접속 단부(82)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미부(86c)를 포함한다. 미부는 기판 상 및/또는 구멍 내의 회로선에 납땜 등에 의해 연결되기 위해 인쇄 회로 기판 내의 소정 구멍 내에 삽입되는 직각 단부(86d)를 포함한다.
기판 장착식 커넥터(20)는 한 쌍의 접지 부재(88)를 포함한다. 각 접지 부재는 전도성 판금 재료로 스탬핑 가공되어 성형되고 화살표(B) 방향으로 하우징(76) 내의 한 쌍의 통로(89) 중 하나 내로 삽입되는 고정 본체부(88a)를 포함한다. 접지 부재가 통로 내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접지 부재의 맞닿음 본체부(88b)는 하우징(76)의 후방 접속 단부(82)와 맞닿는다. 접지 접촉 아암(88c)은 플러그인 커넥터(18)의 접지 차폐체와 결합되도록 고정 본체부(88a)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다. 분기된 ESD 클립(88d)은 인쇄 회로 기판 내의 소정 장착 구멍 내로 삽입되기 위해 그리고 구멍의 도금된 내경부와 결합되기 위해 맞닿음 본체부(88b)로부터 하향 돌출하는데, 도금은 접지 회로로 된다.
기판 장착식 커넥터(20)는 또한 하우징(76)의 후방 접속 단부(82)에 장착되는 미부 정렬기(90)를 포함한다. 단자(86)들이 화살표(A) 방향으로 하우징 내에 삽입되고 접지 부재(88)들이 화살표(B) 방향으로 하우징 내에 삽입된 후에, 미부 정렬기(90)는 화살표(C) 방향으로 하우징에 장착된다. 미부 정렬기는 단자의 단부(86d)가 관통 연장되는 복수개의 구멍(90c)을 갖는 저벽부(90b)로부터 직립하는 한 쌍의 측벽(90a)을 포함함으로써, 미부 정렬기는 단자 단부들이 인쇄 회로 기판 내의 정확한 구멍 배열 내에 삽입되도록 단자의 단부들을 적당한 위치 및 간격으로 정렬 및 유지한다. 접지 부재와 특히 ESD 클립(88d)을 안정시키기 위해 접지 부재(88)의 모서리(92)를 수납하는 슬롯 또는 홈(90d)이 측벽(90a)의 외측에 형성된다. 홈은 안내 부재의 모서리를 홈 내로 안내하는 것을 돕는 발산형 입구(90e)를 갖는다. 한 쌍의 천공된 장착 보스(90f)는 안내를 목적으로 하우징(76)으로부터 현수되는 한 쌍의 장착 지주(94)를 수용하기 위해 미부 정렬기의 저벽부(90b)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측벽(90a) 외측 상의 한 쌍의 래치 견부(90g)는 하우징의 후방으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래치 보스(95) 상에 스냅 체결되어 미부 정렬기를 하우징에 고정시킨다. 마지막으로, 모따기 가공된 래치 보스(90h)는 미부 정렬기의 각 측벽(90a)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고 3개의 모따기 가공된 래치 보스(95)는 이하에 설명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상부에 차폐체를 장착하기 위해 하우징(76)으로부터 상향 돌출한다.
도10은 미부 정렬기가 기판 장착식 커넥터(20)의 하우징(76)에 장착된 후에 미부 정렬기(90) 상에 장착되는, 스탬핑 가공되어 성형되는 금속 차폐체(96)를 도시한다. 차폐체는 미부 정렬기의 래치 보스(90h) 상에 스냅 체결되는 차폐체의 측벽 내의 한 쌍의 구멍(97)과 차폐체를 하우징 상에 보유하기 위해 하우징의 래치 보스(95)들 상에 스냅 체결되는 차폐체의 상부 내의 3개의 구멍(97a)에 의해 미부 정렬기(90) 상에 스냅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차폐체(96)는 차폐 덮개(24)의 한 쌍의 외측 결합 탭(60, 도6)을 플러그인 커넥터의 차폐체가 구비된 어댑터 프레임 조립체의 공통 차폐 덮개에 결합시키기 위해 한 쌍의 외부 탭(101) 사이에 한 쌍의 일체형 내부 접지 탭(100)을 갖는 상자형 구조이다. 덮개 상의 탭(60)은 차폐체의 탭(100)과 탭(101) 사이로 미끄럼 이동한다. 차폐체(96)는 커넥터(20)에 EMI 보호를 제공하기 위한 개장 요소로서 채용될 수 있다. 차폐체의 전방 모서리(96a)는 접지 부재(88)와 결합한다.
도11 내지 도13은 기판 장착식 커넥터(20a)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기판 장착식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는, 도7 내지 도9에 도시된 기판 장착식 커넥터(20)와 관련하여 이상 설명한 하우징, 단자 및 미부 정렬기와 동일한 하우징(76), 복수개의 단자(86) 및 미부 정렬기(90)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도7 내지 도9에 대한 이상의 설명과 일치하는 도11 내지 도13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되었다. 커넥터(20a)에 있어서, 일체형 차폐체(102)는 커넥터(20)에 접지 접촉 아암과 접지 부재(88)의 ESD 클립을 합체한다.
구체적으로, 차폐체(102)는 상부벽(102a)과, 후방벽(102b)과, 한 쌍의 측벽(102c)에 의해 한정되는 상자형 구조를 갖는, 스탬핑 가공되어 성형되는 일편 판금 요소이다. 일체형으로 분기된 ESD 클립(104)은 인쇄 회로 기판 내의 소정 장착 구멍 내로 삽입되도록 각 측벽(102c)으로부터 외측으로 하향 돌출한다. 일체형 접지 접촉 아암(106)은 플러그인 커넥터(18)와 결합하도록 각 측벽(102c)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다. 한 쌍의 일체형 내부 접지 탭(108)은 어댑터(16)의 차폐 덮개(24)의 결합 탭(60, 도6)과 결합하도록 한 쌍의 외부 접지 탭(109) 사이에서 상부벽(102a)의 전방부로부터 상향 돌출한다. 한 쌍의 일체형 접지 다리부(110)는 회로 기판 내의 소정 구멍 내로 삽입되도록 그리고 납땜 등에 의해 기판 상 및/또는 구멍 내의 접지 회로와 연결되도록 후방벽(102b)으로부터 하향 돌출된다.
차폐체(102)는 차폐체의 측벽(102c) 내의 래치 구멍(112)이 미부 정렬기(90)의 측벽(90a)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모따기 가공된 래치 보스(90h) 후방에서 스냅 체결되고 차폐체의 상부에 있는 래치 구멍(113)이 하우징의 상부에 있는 래치 보스(95)의 후방에서 스냅 체결될 때까지 기판 장착식 커넥터(20a)에 화살표(D, 도11) 방향으로 조립된다. 부가적으로, 접지 접촉 아암(106)은 하우징(76) 내의 통로(89) 내로 삽입되는 확대된 장착부(106a)를 갖는다. 장착부는 통로 내에서 플라스틱 재료로 된 하우징 내로 파고들어 가도록 그 대향 단부에 스탬핑 가공된 돌기를 갖는다. 그러므로, 차폐체(102)는 하우징과 미부 정렬기에 모두 고정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또는 중심 특성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예들과 실시예들은 설명을 위한 것으로서 제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이 본 예와 실시예로서 제시된 세부로서 한정되어서도 안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 조립 및 사용에 있어서 비용 효과적이며 광범위한 EMI 및 ESD 보호를 제공할 수 있고,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되고 단자 미부 정렬 장치를 포함하는 접지 전기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0)

  1.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전방 정합 단부 및 후방 접속 단부를 갖고, 전방 정합 단부와 후방 접속 단부 사이에서 복수개의 단자 수용 통로가 연장되는 유전성 하우징과,
    인쇄 회로 기판에 접속되도록 직각 단부를 구비하고 하우징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미부를 각각 갖고, 단자 수용 통로 내에 수용되는 복수개의 단자와,
    상호 보완형 결합 커넥터와 결합되도록 전방으로 돌출되는 접지 접촉 아암과 인쇄 회로 기판 내의 적절한 장착 구멍 내로 삽입되도록 하향으로 돌출되는 ESD 클립을 갖고, 하우징 상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지 부재와,
    단자의 직각 단부가 관통 연장되는 복수개의 구멍을 갖고, 하우징의 후방 단부에 장착되는 미부 정렬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접지 부재는 전도성 판금 재료로 스탬핑 가공되어 성형된 일편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는 하우징의 측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접지 부재를 포함하며, 접지 부재의 각각의 접지 접촉 아암은 하우징의 정합 단부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미부 정렬기는 접지 부재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접지 부재와 결합된 적어도 하우징의 후방 접속 단부 주위에서 차폐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차폐체와 미부 정렬기 사이에서 상호 보완형 결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5항에 있어서, 차폐체는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적절한 접지 회로에 접속되도록 하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지 다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전방 정합 단부 및 후방 접속 단부를 갖고, 전방 정합 단부와 후방 접속 단부 사이에서 복수개의 단자 수용 통로가 연장되는 유전성 하우징과,
    하우징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미부를 각각 갖고, 단자 수용 통로 내에 수용되는 복수개의 단자와,
    상호 보완형 결합 커넥터와 결합되도록 전방으로 돌출되는 접지 접촉 아암을 갖고, 하우징 상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지 부재와,
    단자의 미부가 관통 연장되는 복수개의 구멍을 갖고, 접지 부재와 결합된 하우징의 후방 단부에 장착되는 미부 정렬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접지 부재는 전도성 판금 재료로 스탬핑 가공되어 성형된 일편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는 하우징의 측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접지 부재를 포함하며, 접지 부재의 각각의 접지 접촉 아암은 하우징의 정합 단부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1. 제8항에 있어서, 미부 정렬기는 접지 부재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2. 제8항에 있어서, 접지 부재와 결합된 적어도 하우징의 후방 접속 단부 주위에서 차폐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차폐체와 미부 정렬기 사이에서 상호 보완형 결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4. 제12항에 있어서, 차폐체는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적절한 접지 회로에 접속되도록 하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지 다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5.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전방 정합 단부 및 후방 접속 단부를 갖고, 전방 정합 단부와 후방 접속 단부 사이에서 복수개의 단자 수용 통로가 연장되는 유전성 하우징과,
    하우징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미부를 각각 갖고, 단자 수용 통로 내에 수용되는 복수개의 단자와,
    인쇄 회로 기판 내의 적절한 장착 구멍 내로 삽입되도록 하향으로 돌출되는 ESD 클립을 갖고, 하우징 상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지 부재와,
    단자의 단부가 관통 연장되는 복수개의 구멍을 갖고, 접지 부재와 상호 결합된 하우징의 후방 단부에 장착되는 미부 정렬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접지 부재는 전도성 판금 재료로 스탬핑 가공되어 성형된 일편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7. 제15항에 있어서, 미부 정렬기는 접지 부재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8. 제15항에 있어서, 접지 부재와 결합된 적어도 하우징의 후방 접속 단부 주위에서 차폐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9. 제18항에 있어서, 차폐체와 미부 정렬기 사이에서 상호 보완형 결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0. 제18항에 있어서, 차폐체는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적절한 접지 회로에 접속되도록 하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지 다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000005336A 1999-02-04 2000-02-03 미부 정렬기를 구비한 접지 전기 커넥터 KR1003440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244,949 US6287146B1 (en) 1999-02-04 1999-02-04 Grounded electrical connector with tail aligner
US09/244,949 1999-02-04
US9/244,949 1999-0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1328A true KR20000071328A (ko) 2000-11-25
KR100344049B1 KR100344049B1 (ko) 2002-07-20

Family

ID=22924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5336A KR100344049B1 (ko) 1999-02-04 2000-02-03 미부 정렬기를 구비한 접지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287146B1 (ko)
EP (1) EP1026786B1 (ko)
JP (1) JP3194229B2 (ko)
KR (1) KR100344049B1 (ko)
CN (1) CN1258837C (ko)
DE (1) DE60005719T2 (ko)
SG (1) SG97835A1 (ko)
TW (1) TW45046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96388B2 (en) 2011-04-25 2014-04-15 Apple Inc. Edge connector for shielded adap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3501A (ja) * 2000-09-13 2002-03-29 Fci Japan Kk コネクタ構造、雌コネクタおよび雄コネクタ
JP2002110295A (ja) * 2000-10-02 2002-04-12 Tyco Electronics Amp Kk 電気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雄コネクタ
US6468108B1 (en) * 2001-07-24 2002-10-2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board locks
US6494724B1 (en) * 2001-10-02 2002-12-17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tail aligning device
TW532627U (en) * 2001-12-26 2003-05-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6447311B1 (en) * 2001-12-28 2002-09-1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ing means
US6468109B1 (en) * 2002-03-29 2002-10-2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Board lock device for electrical connector
JP3896049B2 (ja) * 2002-07-31 2007-03-2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ガイドポスト付静電気放電型コネクタおよびガイド穴付静電気放電型コネクタ
US6743053B2 (en) 2002-08-09 2004-06-0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spacer
US6702616B1 (en) * 2003-06-17 2004-03-09 North Star Systems Corp. Retaining terminal structure of connector
US20040266251A1 (en) * 2003-06-26 2004-12-30 Muchlinski Michael J.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grated strain relief attachment clip
US6767225B1 (en) * 2003-07-24 2004-07-27 Chin-Hwa Hwang Structure of connector
US7160141B2 (en) * 2004-10-26 2007-01-09 Fci Americas Technology, Inc. Low-profile, high speed, board-to-board connector system
US7413446B1 (en) * 2007-05-14 2008-08-19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module
US7708566B2 (en) * 2007-10-30 2010-05-04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grated circuit bonded thereon
US7727018B2 (en) * 2008-04-22 2010-06-0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MI gaske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101604798B (zh) * 2008-06-11 2013-01-1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1252259Y (zh) * 2008-07-24 2009-06-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KR101606371B1 (ko) * 2009-10-13 2016-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커넥터 접지 구조
CN201576789U (zh) * 2009-10-13 2010-09-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卡缘连接器
US7963803B1 (en) * 2010-02-12 2011-06-21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Battery connector with board lock
SG177017A1 (en) 2010-06-09 2012-01-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 Emi gasket
CN102208271A (zh) * 2011-02-22 2011-10-05 王立平 端子矫正器
JP2013138110A (ja) * 2011-12-28 2013-07-11 Honda Tsushin Kogyo Co Ltd 電気コネクタ用ケージ
WO2016068892A1 (en) * 2014-10-29 2016-05-06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Optical connector assembly apparatus
JP6406705B2 (ja) * 2015-02-03 2018-10-1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ンタクト、リセプタクル及びコネクタ
US10468839B2 (en) * 2017-06-29 2019-11-05 Lotes Co., Ltd Assembly having thermal conduction members
DE102017127482A1 (de) * 2017-11-21 2019-05-23 Phoenix Contact Gmbh & Co. Kg Steckverbinder
TW202026798A (zh) * 2019-01-11 2020-07-16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連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1062A (en) * 1983-07-26 1985-06-04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optional grounding element
JPH02108277U (ko) * 1989-02-15 1990-08-28
US5096436A (en) * 1989-12-20 1992-03-17 Burndy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 cable connector assembly
US5161999A (en) * 1992-03-18 1992-11-10 Amp Incorporated Surface mount electrical cohnnector and shield therefor
DE69309761T2 (de) 1992-03-18 1997-11-13 Whitaker Corp Elektrischer Verbinder und Abschirmung für Oberflächenmontage
US5540598A (en) * 1994-06-16 1996-07-30 The Whitaker Corporation Pin spacer for an electrical connector
WO1996021256A1 (en) * 1994-12-30 1996-07-11 Berg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dislocation of contacts
US5820393A (en) 1996-12-30 1998-10-13 Molex Incorporation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multi-function board lock
US5947769A (en) * 1997-06-03 1999-09-07 Molex Incorporated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5863222A (en) * 1997-06-03 1999-01-26 The Whitaker Corporatio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6012949A (en) * 1998-12-09 2000-01-1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boardlocks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96388B2 (en) 2011-04-25 2014-04-15 Apple Inc. Edge connector for shielded adapter
KR101498847B1 (ko) * 2011-04-25 2015-03-04 애플 인크. 차폐된 어댑터를 위한 에지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05719D1 (de) 2003-11-13
US6287146B1 (en) 2001-09-11
DE60005719T2 (de) 2004-07-15
JP3194229B2 (ja) 2001-07-30
KR100344049B1 (ko) 2002-07-20
CN1264192A (zh) 2000-08-23
EP1026786A1 (en) 2000-08-09
EP1026786B1 (en) 2003-10-08
TW450460U (en) 2001-08-11
JP2000228259A (ja) 2000-08-15
SG97835A1 (en) 2003-08-20
CN1258837C (zh) 200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0186B1 (ko) 차폐 전기 커넥터
KR100344049B1 (ko) 미부 정렬기를 구비한 접지 전기 커넥터
KR100325039B1 (ko) 전기 커넥터용 어댑터 프레임 조립체
US6980437B2 (en) Pluggable electronic receptacle with heat sink assembly
US5312273A (en) Shielded modular jack
EP0117022A2 (en)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y
KR100371659B1 (ko) 전기 커넥터를 위한 어댑터 프레임 조립체
CN2540049Y (zh) 小型可插拔收发模组壳体
WO2005004569A2 (en) Improvements in adapter module retention latches
US6296518B1 (en) Stack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970001618B1 (ko) 원격 통신 아웃렛
JPH09180836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アウトレット
US6010367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modular components
US6190210B1 (en) Low profile modular jack
CN214336972U (zh) 一种端子模块及电连接器组件
CN211605558U (zh) 一种rj45插座连接器
US20230275374A1 (en) Receptacle connector, plug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with easy installation features
CN220553615U (zh) 一种板上母座及高速线缆连接器
CN111129877A (zh) 一种rj45插座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