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1260A -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1260A
KR20000071260A KR1020000002143A KR20000002143A KR20000071260A KR 20000071260 A KR20000071260 A KR 20000071260A KR 1020000002143 A KR1020000002143 A KR 1020000002143A KR 20000002143 A KR20000002143 A KR 20000002143A KR 20000071260 A KR20000071260 A KR 20000071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formation
recording
header informat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2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5656B1 (ko
Inventor
아베타카후미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00071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1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5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56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8Table of contents on a tape [T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0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 G11B20/120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with longitudinal tracks on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7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62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5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or meta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 테이프 상의 모든 데이터를 쉽게 얻게 하며 계측 데이터를 기록할 때 각각의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된 계측 데이터 및 헤더 정보를 결합하게 하는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부가 정보 영역은 자기 테이프의 선두에 형성된다. 부가 정보 영역 다음엔 데이터 영역이 온다. 정보 데이터는 데이터 접속기를 통해 버퍼 메모리에 저장된다. 헤더 정보는 제어 명령 외에 헤더 정보 제어 접속기를 통해 국부 메모리에 저장된다. 계측 데이터는 버퍼 메모리로부터 소출되어 자기 테이프의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다. 계측 데이터가 기록된 후에, 헤더 정보는 국부 메모리로부터 읽혀져 버퍼 메모리에 저장된다. 헤더 정보는 버퍼 메모리로부터 소출되어 자기 테이프의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다. 계측 데이터가 기록된 후에, 헤더 정보는 국부 메모리로부터 읽혀져 버퍼 메모리에 저장된다. 헤더 정보는 버퍼 메모리로부터 소출되어 자기 테이프의 부가 정보 영역에 기록된다. 데이터가 부가 정보 영역으로부터 읽혀질 때, 자기 테이프 상의 모든 내용이 얻어진다. 헤더 정보는 임시로 국부 메모리에 저장된 후 기록되기 때문에, 헤더 정보 및 계측 데이터를 결합하는 처리부를 생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측정된 데이터인, 일련의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계측을 기록하는데 적합한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의 설명
디지털 데이터가 기록되는 착탈 가능한 카세트 테이프를 갖는 구동 장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되며 자기 테이프 기록/재생기(이하, 데이터 레코더라 함)의 외부 저장 장치로서 사용된다. 데이터 레코더의 예로서, 디지털 데이터를 회전 헤드로 카세트 테이프에 기록하는 나선형 주사형 레코더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데이터 레코더는 예를 들면 SCI(소형 컴퓨터 시스템 인터페이스 규격)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된다.
컴퓨터와 교환되는 통상의 데이터 외에, 이러한 데이터 레코더는 관찰 및 계측 장치에 의해 얻어지는 계측 데이터를 처리한다. 계측 데이터의 예는 위성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및 초음파로 터널에서 측정된 왜곡 데이터이다. 각각의 데이터 레코더에 접속되는 장치는 몇몇 위치에 배치된다. 특정 위치에서 폭발에 의해 측정된 진동은 계측 장치에 의해 측정된다. 따라서, 복수의 데이터 시퀀스들이 얻어진다. 이러한 데이터를 계측 데이터라 한다. 데이터에는 대량의 잡음이 내포되어 있다. 더욱이, 데이터는 각각의 데이터 레코더에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도 1은 계측 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데이터 레코더를 사용하는 기록/재생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 예에서, 데이터는 위성으로부터 수신되어 데이터 레코더에 기록된다. 위성으로부터 전송된 라디오파는 안테나(100)에 의해 수신된다. 수신된 신호는 수신 시스템(101)에 공급되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다. 계측 데이터인 수신된 데이터는 수신 시스템(101)에서 기록 시스템(102)으로 공급된다. 기록 시스템(102)은 특정 부가 정보를 수신된 데이터에 부가한다. 결과적인 데이터는 데이터 레코더(103)에 공급되어 기록 테이프(104)에 기록된다.
데이터를 재생할 때는 기록 테이프(104)를 데이터 레코더(103)에 부착한다. 데이터 레코더(103')에 의해 재생된 계측 데이터는 처리 시스템(105)에 공급된다. 데이터 레코더(103')는 데이터를 기록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 레코더(103)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처리 시스템(105)은 재생된 계측 데이터를 소정의 포맷으로 변환한다. 포맷된 데이터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에 저장된다. 저장된 데이터는 예를 들면 컴퓨터에 의해 분석된다.
도 2는 관련 기술 문헌에 따라 기록 시스템(102) 및 데이터 레코더(103)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수신 시스템(101)에서 기록 시스템(102)으로 공급된 수신된 데이터는 임시로 데이터 버퍼(110)에 저장된다. CPU(111)는 계측 데이터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를 발생하며 데이터 버퍼(110)를 제어하며, 기록 시스템(102)을 제어하며, 데이터 레코더(103)에 대한 제어 명령(후술함)을 발생한다.
소정량의 데이터가 데이터 버퍼(110)에 저장된 후, 데이터는 소출되어 가산 장치(112)에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부가 정보는 CPU(111)에서 가산 장치(112)에 공급된다. 가산 장치(112)는 데이터 버퍼(110)로부터 수신된 계측 데이터 혹은 CPU(111)로부터 수신된 부가 정보를 선택하는 스위칭 메커니즘으로 작용하며 계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를 한 라인에 출력한다. 가산 장치(112)는 계측 데이터 및 헤더 정보를 기록 데이터로 출력한다. 기록 데이터는 기록 시스템(102)의 데이터 접속기(113)로부터 출력되어 이 기록 데이터는 데이터 수신기(103)의 데이터 접속기에 공급된다.
한편, CPU(111)는 데이터 레코더(103)를 제어하는 명령을 발생하여 이 명령을 명령 접속기(114)로부터 출력한다. 이 명령은 데이터 레코더(103)의 관련된 접속기(명령 접속기)에 공급된다. 데이터 레코더(103)는 계측 데이터 및 부가 정보가 결합된 기록 데이터를 기록 테이프(104)에 기록한다.
도 3은 계측 데이터가 기록 테이프(104)에 기록되는 기록 포맷의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테이프(104)의 선두에는 소정 길이의 도입 영역이 형성된다. 계측 데이터는 도입 영역의 말미인 점 A부터 시작한다. 계측 데이터는 데이터 레코더(103)가 정지 명령을 받을 때까지 기록 테이프(104)에 연속적으로 기록된다. 계측 데이터의 말미 이후의 기록 테이프(104)의 나머지(이 영역은 점 B로서 참조된다)는 비사용 영역이다.
도 4는 관련 종래 문헌에 따라 계측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레코더(103)의 처리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기록 테이프(104)를 데이터 레코더(103)에 부착하였을 때(단계 S100), 테이프(104)를 기입점(도 3에 도시한 점 A)으로 이동시킨다(단계 S101). 데이터가 기입된 테이프(104)에 데이터를 기입할 때, 테이프(104)를 도 3에 도시한 점 B로 이동시킨다.
데이터 레코더(103)가 데이터를 수신할 때, 데이터 레코더(103)는 기입점부터 데이터를 기입한다(단계 S102). 레코더(103)가 데이터를 테이프(104)에 기록한 후에(단계 S103), 테이프(104)를 헤더 정보 기입점으로 이동시킨다. 테이프(104)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동된다. 예를 들면, 헤더 정보 기입점은 데이터 기입 종료점에 인접하게 설정된다. 단계 S105에서, 헤더 정보는 헤더 정보 기입점 다음에 기입된다.
헤더 정보가 테이프(104)에 기입된 후에, 다음 데이터가 있다면(단계 S107), 흐름은 단계 S101로 되돌아간다. 단계 S101에서, 테이프(104)는 수동으로 이동된다. 그 후에, 다음 데이터 및 이의 헤더 정보는 테이프(104)에 기입된다. 이러한 식으로, 계측 데이터 및 헤더 정보가 쌍으로 된다. 데이터가 측정되고 모든 데이터가 기입된 후에, 테이프(104)를 이의 선두까지 되감는다(단계 S108). 그 후, 테이프(104)를 분리한다(단계 S109).
도 5는 계측 데이터 및 부가 정보가 상술한 방식으로 기록된 테이프(104)의 포맷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통상, 부가 정보(헤더 정보) 및 계측 데이터 쌍은 테이프(104)에 연속적으로 기록된다.
헤더 정보는 예를 들면 측정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이다. 따라서, 헤더 정보는 시간마다 변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를 위성으로부터 수신할 때, 데이터는 위성이 수신할 수 있는 범위에 왔을 때 측정된다. 소정의 시간동안(예를 들면, 10분) 데이터가 기록된 후에, 위성은 수신가능한 범위를 떠난다. 따라서, 측정 동작 및 기록 동작이 정지된다. 그 후에, 측정된 데이터 및 시간의 헤더 정보가 기록된다. 위성이 다음 날 수신가능 범위에 왔을 때, 데이터가 측정되어 기록된다. 데이터에 대응하는 헤더 정보는 동일한 방식으로 기록된다. 매회 데이터 기입점 및 헤더 정보 기입점(예를 들면, 테이프 위치 정보)이 메모리와 같은 적합한 수단에 기록될 것이다.
도 6은 기록 테이프(104)로부터 상술한 데이터를 재생하는 데이터 레코더(103')(혹은 103)의 처리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기록 테이프(104)를 데이터 레코더((103')에 부착하였을 때(단계 S200), 테이프(104)는 헤더 정보 판독점(단계 S201)으로 이동된다. 데이터 레코더(103')는 테이프(104)의 헤더 정보 판독점으로부터 헤더 정보를 읽는다(단계 S202). 테이프(104)는 기록되어 있는 헤더 기입점의 테이프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동된다.
데이터 레코더(103')가 헤더 정보를 읽은 후에(단계 S203), 테이프(104)는 데이터 판독점으로 이동된다(단계 S204). 데이터 레코더(103')는 테이프(104)의 데이터 판독점으로부터 헤더 정보를 판독한다(단계 S205). 헤더 정보가 데이터 판독점의 테이프 위치 정보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테이프(104)는 기록된 데이터 기록점의 테이프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동된다.
데이터가 판독된 후에(단계 S206), 다음 데이터를 읽을 때(단계 S207), 흐름은 단계 S201로 되돌아간다. 단계 S201에서, 테이프는 수동으로 이동된다. 데이터 레코더(103)는 다음 헤더 정보 및 다음 데이터를 테이프(104)로부터 읽는다. 원하는 데이터를 읽은 후에, 테이프(104)를 이의 선두까지 되감고(단계 S208) 테이프를 분리한다(단계 S209).
통상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 테이프(104)에 기록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헤더 정보 및 색인 정보를 포맷하기 위해서 기입 시스템과 동일한 시스템을 사용하여, 기록 테이프(104)에 기록된 데이터를 테이프 선두부터 말미까지 읽어야 한다. 즉, 통상의 기록 방법에서, 계측 데이터 및 헤더 정보의 쌍들은 측정 순서로 반복된다. 따라서, 테이프(104)의 선두부터 말미까지 데이터를 읽지 않으면, 테이프(104) 상의 모든 데이터는 얻어질 수 없다.
더욱이, 관련 기술 문헌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레코더(103)에 의해 계측 데이터가 기록될 때, 기록 시스템(102)으로부터 출력되는 수신된 데이터는 데이터 접속기에 의해 입력된다. 한편, 데이터 레코더(103)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은 명령 접속기에 의해 입력된다. 데이터를 데이터 버퍼로부터 읽어도, CPU(111)에 의해 헤더 정보 및 제어 명령이 발생되어 출력된다.
테이프(104)의 내용을 나타내는 계측 데이터 및 헤더 정보를 기입하기 위해, 기록 시스템(102)은 헤더 정보 및 데이터를 데이터 레코더(103)의 데이터 접속기에 공급하기 위해서(한 라인으로) 데이터 버퍼의 출력 데이터 혹은 CPU(111)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선택하는 스위칭 메커니즘(도 10에 도시한 가산 장치(112))을 구비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프 상에서 획득되어질 기록된 계측 데이터의 모든 데이터를 허용하는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위칭 메커니즘을 사용하지 않고도 테이프에 기록될 데이터 버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와 CPU로부터 출력되는 헤더 정보 둘 다의 데이터를 허용하는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은 테이프 형상 기록 매체에 디지털 신호로 구성된 사용자 데이터의 시퀀스를 기록하는 정보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형상 기록 매체에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 1 영역 및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선두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헤더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 2 영역의 경계를 설정하는 경계 설정 수단, 상기 사용자 데이터가 수신되는 순서로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저장하는 제 1 메모리 수단, 상기 사용자 데이터에 대응하여 형성된 상기 헤더 정보를 저장하는 제 2 메모리 수단,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읽고, 상기 제 1 영역에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며, 상기 제 2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상기 헤더 정보를 읽고, 상기 사용자 데이터가 상기 제 1 영역에 기록되는 순서로 상기 제 2 영역에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 및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기록 장치이다.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 2 영역의 선두부분에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의 경계의 위치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상기 기록 수단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 2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상기 헤더 정보를 읽고, 상기 제 1 메모리 수단에 상기 헤더 정보를 임시로 기입하며, 상기 제 1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상기 헤더 정보를 읽고, 상기 제 2 영역에 상기 헤더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상기 기록 수단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영역에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한 후 상기 제 2 영역에 헤더 정보를 기록한다.
상기 헤더 정보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한다.
상기 헤더 정보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테이프 형상 기록 매체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정보이다.
상기 사용자 데이터는 시간 시퀀스로 측정 또는 관측된 계측 데이터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은 테이프 형상 기록 매체에 디지털 신호로 구성된 사용자 데이터의 시퀀스를 기록하는 정보 기록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는데 사용되는 제 1 영역과,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선두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헤더 정보를 기록하는데 사용되는 제 2 영역의 경계를 상기 데이터 형상 기록 매체에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데이터가 수신되는 순서로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데이터에 대응하여 형성된 상기 헤더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d)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단계 (b)에서 얻어진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읽고, 상기 제 1 영역에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며, 단계 (c)에서 얻어진 상기 헤더 정보를 읽고, 상기 사용자 데이터가 상기 제 1 영역에 기록되는 순서로 상기 제 2 영역에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기록 방법이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상 형태의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관련 기술 문헌에 따라 계측 데이터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데이터 레코더를 사용하는 기록/재생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관련 기술 문헌에 따라 기록 시스템 및 데이터 레코더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관련 기술 문헌에 따라 계측 데이터가 기록 테이프에 기록되는 기록포맷의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관련 기술 문헌에 따라 계측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레코더의 처리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관련 기술 문헌에 따라 데이터가 기록된 테이프의 포맷을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관련 기술 문헌에 따라 계측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레코더의 처리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자기 테이프(1)의 포맷의 포맷을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록 시스템 및 데이터 레코더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레코더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계측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레코더의 처리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헤더 정보를 기록하는 데이터 레코더의 처리예의 상세를 도시한 흐름도.
도 12는 데이터가 기록된 자기 테이프의 포맷의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13은 계측 데이터를 재생하는 데이터 레코더의 처리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14는 헤더 정보를 재생하는 데이터 레코더의 처리예의 상세를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기 테이프 2 : 경계
3 : 부가 정보 영역 4 : 계측 데이터 영역
10 : 기록 시스템 11 : 데이터 버퍼
12, 24 : CPU 13 : 데이터 접속기
14 : 헤더 정보 제어 접속기 20 : 데이터 레코더
21 : 국부 메모리 23 : 헤더 정보 제어 접속기
25 : 버퍼 메모리 26 : 버스
30 : 테이프 카세트
다음에,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술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데이터가 기록되는 자기 테이프의 소정의 위치에 경계가 설정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 테이프(1)의 포맷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입 영역은 소정의 길이로 자기 테이프(1)의 선두에 형성된다. 다음 설명에서, 다른 것이 없는 한, 도입 영역은 고려되지 않는다. 경계(2)는 자기 테이프(1)의 위치(A)에 설정된다. 자기 테이프(1)의 경계(2)부터 말미까지의 영역은 계측 데이터에 대한 기록 영역이다(이 기록 영역을 계측 데이터 영역(4)이라 함). 자기 테이프(1)의 선두부터 경계(2)까지의 영역은 부가 정보 영역(3)이다. 계측 데이터 영역(4) 다음의 영역은 비사용 영역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경계(2)를 나타내는 위치(A)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경계(2)의 위치(A)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는 부가 정보 영역(3)의 선두의 영역(B)에 기록된다. 부가 정보 영역(3)에는 계측 데이터가 기입되는 것이 금지된다. 사용자는 계측 데이터 영역(4) 내의 계측 데이터와는 다른 데이터를 부가 정보 영역(3)에 기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계측 데이터의 헤더 정보 및 자기 테이프(1)에 기록된 데이터의 색인 정보를 부가 정보 영역(3)에 기입할 수 있다.
데이터는 자기 테이프(1)에 나선형 트랙으로 기록된다. 테이프(1) 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데이터는 이의 길이 방향으로 기록된다. 어드레스 데이터는 예를 들면 테이프(1) 주행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인 시간 부호이다. 대안으로, 어드레스 데이터는 소정 간격으로 길이 방향으로 기록된 순서 번호일 수도 있다. 어드레스 정보로서는 테이프(1)의 절대 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어드레스 정보로서는 각각의 나선형 트랙에 대한 트랙 ID 혹은 복수의 나선형 트랙 세트에 대한 트랙 세트 ID가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 시스템 및 데이터 레코더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기록 시스템(10)은 데이터 버퍼(11) 및 CPU(12)를 갖는다. CPU(12)는 데이터 버퍼(11)를 제어하며, 헤더 정보를 발생하며, 데이터 레코더(2)에 대한 제어 명령을 발생한다(후술함). 수신된 데이터(계측 데이터)는 CPU(12)의 제어 하에 데이터 버퍼(11)에 임시로 저장된다.
기록 시스템(10)은 수신기 혹은 계측 장치 및 컴퓨터를 포함한다. 계측 장치는 특정 타깃을 측정한다. 컴퓨터는 수신기 또는 계측 장치를 제어한다. 데이터는 컴퓨터 내에 설치된 소정의 프로그램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혹은 수동으로 수신되거나 측정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록 시스템(10)에 접속된 데이터 레코더(20)는 기록 시스템의 컴퓨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데이터 레코더(20)는 수동으로 혹은 특정한 프로그램에 대응하여 제어될 수 있다.
기록 시스템(10)은 데이터 접속기(13) 및 헤더 정보 제어 접속기(14)를 갖는다. 데이터 접속기(13)는 데이터 버퍼(11)로부터 읽은 데이터를 출력한다. 헤더 정보 제어 접속기(14)는 CPU(12)에 의해 발생된 명령 및 헤더 정보를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접속기(13, 14)에 대응하여, 데이터 레코더(20)는 데이터 접속기(22) 및 헤더 정보 제어 접속기(23)를 갖는다. 데이터 접속기(22)는 기록 데이터를 수신한다. 헤더 정보 제어 접속기(23)는 데이터 레코더(20)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 및 접속기(22)에 공급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헤더 정보를 수신한다. 접속기(13, 22)는 서로 접속된다. 접속기(14, 23)는 서로 접속된다.
자기 테이프(1)를 수용하는 테이프 카세트(30)는 데이터 레코더(20)에 부착된다. 다음 설명에서,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자기 테이프(1)를 담는 테이프 카세트(30)를 자기 테이프(1)라고 칭한다. 데이터를 기록할 때, 기록 시스템(10)은 CPU(12)의 제어 하에 소정 타이밍에서 데이터 버퍼로부터 데이터를 읽는다. 데이터 버퍼(11)로부터 읽은 데이터는 접속기(13, 22)를 통해 데이터 레코더(20)로 공급된다. 한편, 데이터에 대응하는 헤더 정보는 CPU(12)에 의해 발생된다. 데이터 레코더(20)의 헤더 정보 및 제어 명령은 접속기(14, 23)를 통해 데이터 레코더(20)에 공급된다. 헤더 정보는 레코더(20)의 내부 메모리(21)에 임시로 저장된다. 데이터 레코더(20)는 공급된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제어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레코더(20)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데이터 레코더(20)는 상술한 헤더 정보를 자기 테이프(1)의 부가 정보 영역(30)에 기입한다. 도 9에서,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도 8의 것들과 동일한 것을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하였으며 이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데이터 레코더(20)에서, CPU(24), 국부 메모리(21), 및 버퍼 메모리(25)는 버스(26)에 접속된다.
데이터 레코더(20)의 모든 동작은 CPU(24)에 의해 제어된다. 데이터 레코더(20)의 동작은 ROM(판독 전용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대응하여 발생되는 명령에 의해 제어된다. CPU(24)는 자기 테이프(1)를 구동하도록 구동 메커니즘(도시하지 않음)을 제어하며, 데이터를 액세스하도록 국부 메모리(21)를 제어하며, 데이터를 액세스하도록 버퍼 메모리(25)를 제어한다. 더욱이, CPU(24)는 접속기(23)를 통해 기록 시스템(10)과의 통신을 제어한다.
제어 명령은 접속기(23)로부터 CPU(24)로 공급된다. 한편, 접속기(23)로부터 공급된 헤더 정보는 국부 메모리(21)에 임시로 저장된다.
데이터 접속기(22)로부터 공급된 계측 데이터는 임시로 버퍼 메모리(25)에 저장된다. 버퍼 메모리(25)에 저장된 데이터량이 소정 레벨을 초과할 때, 데이터는 버퍼 메모리(25)로부터 소출된다. 데이터는 테이프 구동 및 기록 메커니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자기 테이프(1) 상의 계측 데이터 영역에 기록된다.
계측 데이터가 자기 테이프(1)에 기록된 후에, 자기 테이프(1)는 부가 정보 영역(3)으로 이동된다. 국부 메모리(21)에 저장된 헤더 정보는 부가 정보 영역(3)에 기록된다.
본 발명에 따라 데이터 레코더(20)는 기록 시스템(10)의 CPU(12)에 의해 발생되는 제어 명령과 함께 공급되는 헤더 정보를 저장하는 국부 메모리(21)를 갖는다. 계측 데이터가 기록된 후에, 헤더 정보는 국부 메모리(21)로부터 읽혀져 자기 테이프(1)의 부가 정보 영역(3)에 기록된다. 따라서, 기록 시스템(10)은 데이터 버퍼(11)로부터 출력되는 계측 데이터나 CPU(12)로부터 출력되는 헤더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칭 메커니즘을 설치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10은 계측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레코더(20)의 처리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흐름도의 처리를 실행하기 전에, 경계(2)의 위치(A)가 자기 테이프(1)에 설정된다. 예를 들면, 명령 "포맷"이 데이터 레코더(20)에 내려졌을 때, 경계(2)의 위치(A)는 CPU(24)의 제어 하에 자기 테이프(1)의 소정 위치에 설정된다. 사용자는 자기 테이프(1)의 기록가능 영역 내에 위치(A)를 설정할 수 있다.
명령 "포맷"과 같은 여러 가지 명령이 기록 시스템(10)에서 접속기(23)를 통해 데이터 레코더(20)에 내려진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특정 조작을 기록 시스템(10)의 컴퓨터에 수행할 때, 컴퓨터는 조작에 대응하는 명령을 발생하여 접속기(14)를 통해 데이터 레코더(20)에 명령을 출력한다. 대안으로, 명령은 특정 프로그램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발생되어 출력될 수도 있다. 물론, 사용자는 조작 패널을 사용하여 데이터 레코더(20)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다.
자기 테이프(1)는 데이터 레코더(20)에 부착된다(단계 S10). 데이터는 자기 테이프(1)의 부가 정보 영역(3)으로부터 읽혀져 국부 메모리(21)에 저장된다. 데이터를 자기 테이프(1)에 기록하기 위한 명령이 데이터 레코더(20)에 보내졌을 때, 테이프(1)는 기입점으로 이동된다(단계 S11). 자기 테이프(1)를 처음 사용할 때, 기입점은 예를 들면 위치(A)가 된다. 데이터가 자기 테이프(1)에 기록되었을 때, 기입점은 계측 데이터 영역(4) 내의 데이터의 말미의 다음 어드레스에 있다.
기록될 계측 데이터는 접속기(22)로부터 입력된다. 더욱이, 데이터를 기입하기 위한 명령 "REC"는 접속기(23)로부터 입력된다. 계측 데이터는 버퍼 메모리(25)에 임시로 저장된다. 버퍼 메모리(25)는 기록 속도를 조절한다. 버퍼 메모리(25)에 저장된 데이터량이 소정의 레벨을 초과할 때, 데이터는 버퍼(25)로부터 읽혀지고 데이터는 자기 테이프(1)의 기입점부터 기입된다(단계 S12).
접속기(22)로부터 입력되는 기록 데이터 외에, 헤더 정보가 기록 시스템(10)으로부터 접속기(23)를 통해 데이터 레코더(20)로 입력된다. 헤더 정보는 데이터 레코더(20)의 제어 명령과 함께 입력된다. 예를 들면, 헤더 정보는 헤더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명령에 파라미터로서 부가된다. 결과적인 명령은 기록 시스템(10)에서 데이터 레코더(20)로 보내진다. 데이터 레코더(20)가 명령을 수신할 때, 명령에 부가된 헤더 정보는 국부 메모리(21)에 저장된다.
데이터가 기입된 후에(단계 S13), 자기 테이프(1)를 헤더 정보의 기입점으로 이동시킨다(단계 S14). 그 후, 국부 메모리(21)에 저장된 헤더 정보가 읽혀져 자기 테이프(1)에 기입된다(단계 S15). 자기 테이프(1)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이동시킨다. 대안으로, 데이터 레코더(20)는 기록 시스템(10)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헤더 정보의 기입점으로 자기 테이프(1)를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헤더 정보가 기입된 후에(단계 S16), 자기 테이프(1)를 되감고(단계 S17) 데이터 레코더에서 분리한다(단계 S18).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흐름도의 헤더 정보에 대한 처리부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처리는 도 15에 도시한 처리와 병행하여 부분적으로 수행된다. 이 예에서, 자기 테이프(1)를 부착하였으며, 부가 정보 영역(3)의 데이터를 읽었으며, 자기 테이프(1)를 계측 데이터의 기입점으로 이동시킨 것으로 가정한다.
접속기(22)로부터 공급되어 버퍼 메모리(25)에 저장된 계측 데이터량이 소정 레벨을 초과할 때, 데이터를 버퍼 메모리(25)로부터 소출되어 자기 테이프(1)에 기록된다(단계 S20). 상술한 바와 같이, 계측 데이터는 자기 테이프(1)에 나선형 트랙으로서 기록된다. 계측 데이터는 예를 들면 한번에 4개의 트랙의 트랙 세트로 기록된다. 접속기(22)로부터 공급된 데이터가 정지되어 기록 과정이 완료된 때(단계 S21)(이 예에서, 트랙 세트마다 할당된 트랙 ID), 테이프(1) 상의 기록 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정보는 접속기(23)를 통해 기록 시스템(10)에 공급된다.
기록 시스템(10)에서, CPU(12)는 접속기(14)로부터 공급된 어드레스 정보에 대응하여 헤더 정보를 발생한다. 헤더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제어 명령 외에, 기록 시스템(14)으로부터 헤더 정보가 접속기(14, 23)를 통해 데이터 레코더(20)에 공급되어 국부 메모리(21)에 기입된다(단계 S22). 헤더 정보가 국부 메모리(21)에 기입된 후에(단계 S23), 자기 테이프(1)는 구동 메커니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헤더 정보 기입위치(즉, 부가 정보 영역(3)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된다(단계 S24).
헤더 정보는 적어도, 자기 테이프(1)에 기록된 계측 데이터의 기록 시작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로 구성된다. 이 정보는 예를 들면 테이프(1) 상의 어드레스 정보이다. 대안으로, 헤더 정보는 데이터 기록 말미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도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방법으로서, 헤더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또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위성으로부터의 라디오파를 수신하여 데이터를 측정하는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위성 명칭, 수신된 라디오파의 일자 및 시간 등을 정할 수 있다. 정해진 정보는 헤더 정보에 부가될 수 있다. 대안으로, 데이터를 측정하여 기록하는 시스템의 정보인 시스템 데이터는 헤더 정보로서 부가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 방법으로서, 자기 테이프(1)에 기록된 계측 데이터의 색인 정보를 부가 정보 영역(3)에 기록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경계(2)의 위치(A)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는 부가 정보 영역(3)의 영역(B)에 기록된다. 더욱이, 부가 정보 영역(3) 내의 헤더 정보수가 영역(B)에 기록된다. 자기 테이프(1)를 데이터 레코더(20)에 부착하였을 때, 자기 테이프(1)는 소정의 도입 영역을 향해 고속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영역(B)의 데이터가 읽혀지고 경계(2)의 위치(A)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정보 및 헤더 정보수가 얻어진다. 대안으로, 개개의 헤더 정보의 시작 어드레스 정보가 기입될 수도 있다. 단계 S24에서, 헤더 정보 기입 위치는 영역(B)의 정보에 대응하여 얻어질 수 있다.
테이프(1)가 헤더 정보 기입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흐름은 단계 S25로 진행한다. 헤더 정보는 국부 메모리(21)로부터 읽혀지고 버퍼 메모리(25)에 기입된다. 그후, 흐름은 단계 S26으로 진행한다. 단계 S26에서, 헤더 정보는 버퍼 메모리(25)로부터 소출되어 자기 테이프(1)의 부가 정보 영역(3)의 소정의 위치에 기입된다.
모든 데이터가 기입된 후에, 처리가 완료된다(단계 S27). 기록될 계측 데이터가 있을 때, 흐름은 단계 S20으로 되돌아간다.
도 12는 상술한 방식으로 데이터가 기록된 자기 테이프(1)의 포맷의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 예에서, 3개의 계측 데이터(E, F, G)가 자기 테이프(1)에 기록되어 있으며, 계측 데이터(E, F, G)에 대응하는 헤더 정보(E, F, G)가 각각 부가 정보 영역(3)에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헤더 정보(E)는 계측 데이터(E)의 시작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헤더 정보(F, G)는 계측 데이터(F, G)의 시작 위치를 각각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부가 정보 영역(3)의 데이터가 읽혀질 때, 계측 데이터(E, F, G)의 시작위치가 연속하여 얻어진다.
도 13은 계측 데이터를 재생하는 데이터 레코더(20)의 처리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자기 테이프(1)가 데이터 레코더(20)에 부착되었을 때(단계 S30), 자기 테이프(1)는 부가 정보 영역(3)으로 이동된다(단계 S31). 그후, 경계(2)의 위치(A)를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 정보 영역(3)의 선두의 영역(B)으로부터 읽혀진다. 위치(A)를 나타내는 정보에 대응하여, 부가 정보 영역(B)의 데이터가 읽혀진다(단계 S32). 즉, 부가 정보 영역(3)에 기입된 모든 헤더 정보가 얻어진다.
헤더 정보가 읽혀진 후에(단계 S33), 헤더 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진 어드레스 정보에 대응하여, 자기 테이프(1)는 원하는 계측 데이터의 판독위치로 이동된다(단계 S34). 단계 S35에서, 원하는 계측 데이터가 판독점으로부터 읽혀진다. 원하는 계측 데이터가 읽혀진 후에, 테이프(1)를 되감고(단계S37) 데이터 레코더(20)로부터 분리한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흐름도에서 헤더 정보에 대한 처리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 예에서, 자기 테이프(1)는 데이터 레코더(20)에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테이프(1)로부터 헤더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명령은 기록 시스템(10)에서 데이터 레코더(20)로 내려진다. 명령에 대응하여, 테이프(1)는 부가 정보 영역(3)의 선두로 이동된다(단계 S40).
단계 S41에서, 데이터는 데이터 레코더(20)에 의해 테이프(1)의 부가 정보 영역(3)으로부터 읽혀진다. 읽혀진 데이터는 버퍼 메모리(25)에 기입된다. 예를 들면, 부가 정보 영역(3)에 기록된 헤더 정보의 개수 및 헤더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는 테이프(1)의 부가 정보 영역(3)으로부터 읽혀져 버퍼 메모리(25)에 기입된다. 단계 S42에서, 이들 데이터는 버퍼 메모리(25)로부터 읽혀져 국부 메모리(21)에 기입된다.
이러한 식으로, 테이프(1) 상의 부가 정보 영역(3)의 모든 데이터는 국부 메모리(21)에 기입된다. 헤더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명령이 기록 시스템(10)에서 데이터 레코더(20)로 내려질 때, 헤더 정보는 CPU(24)의 제어 하에 국부 메모리(21)로부터 읽혀지고 접속기(23, 14)를 통해 기록 시스템(10)에 공급된다(단계 S43). 헤더 정보는 기록 시스템(10)의 CPU(12)에 공급된다.
헤더 정보가 국부 메모리(21)로부터 읽혀진 후에(단계 S44), 기록 시스템은 공급된 헤더 정보에 대응하여 원하는 계측 데이터의 판독점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 레코더(20)가 테이프(1)에 계측 데이터를 기록할 때, 기록 시스템(10)은 계측 데이터를 관계된 헤더 정보와 상관시킨다. 사용자는 원하는 계측 데이터의 기입점의 헤더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45에서, 기록 시스템(10)은 계측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명령을 데이터 레코더(20)에 내린다. 이 명령은 접속기(14, 23)를 통해 데이터 레코더(20)에 공급된다. 데이터 레코더(20)는 테이프(1)를 명령에 대응하는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킨다(단계 S45). 데이터 레코더(20)는 명령에 대응하여 이동되는 테이프 위치로부터 계측 데이터를 읽는다(단계 S46). 데이터 레코더(20)가 원하는 데이터를 읽은 후에, 데이터 레코더(20)는 처리를 완료한다(단계 S47).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자기 테이프(1)는 데이터 레코더(20)에 부착된다. 먼저, 데이터는 부가 정보 영역(3)으로부터 읽혀진다. 따라서, 자기 테이프(1)에 기록된 계측 데이터에 대응하는 헤더 정보가 얻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기 테이프(1)의 모든 내용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데이터가 재생될 때 원하는 데이터를 신속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특정 양호한 실시예를 기술하였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한 청구항들에 규정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정신에서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에 의해 여러 가지 변경 및 수정이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테이프 상에서 획득되어질 기록된 계측 데이터의 모든 데이터를 허용하는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칭 메커니즘을 사용하지 않고도 테이프에 기록될 데이터 버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와 CPU로부터 출력되는 헤더 정보 둘 다의 데이터를 허용하는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Claims (9)

  1. 테이프 형상 기록 매체에 디지털 신호로 구성된 사용자 데이터의 시퀀스를 기록하는 정보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형상 기록 매체에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 1 영역 및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선두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헤더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 2 영역의 경계를 설정하는 경계 설정 수단,
    상기 사용자 데이터가 수신되는 순서로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저장하는 제 1 메모리 수단,
    상기 사용자 데이터에 대응하여 형성된 상기 헤더 정보를 저장하는 제 2 메모리 수단,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읽고, 상기 제 1 영역에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며, 상기 제 2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상기 헤더 정보를 읽고, 상기 사용자 데이터가 상기 제 1 영역에 기록되는 순서로 상기 제 2 영역에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 및,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기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 2 영역의 선두 부분에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의 경계의 위치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상기 기록 수단을 제어하는 정보 기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 2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상기 헤더 정보를 읽고, 상기 제 1 메모리 수단에 상기 헤더 정보를 임시로 기입하며, 상기 제 1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상기 헤더 정보를 읽고, 상기 제 2 영역에 상기 헤더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상기 기록 수단을 제어하는 정보 기록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영역에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한 후 상기 제 2 영역에 상기 헤더 정보를 기록하는 정보 기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 정보가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정보 기록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 정보가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정보 기록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가 상기 테이프 형상 기록 매체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정보인 정보 기록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가 시간 시퀀스로 측정 또는 관측된 계측 데이터로 구성된 정보 기록 장치.
  9. 테이프 형상 기록 매체에 디지털 신호로 구성된 사용자 데이터의 시퀀스를 기록하는 정보 기록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테이프 형상 기록 매체에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 1 영역 및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선두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헤더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 2 영역의 경계를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데이터가 수신되는 순서로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데이터에 대응하여 형성된 상기 헤더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d)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단계 (b)에서 얻어진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읽고, 상기 제 1 영역에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며, 단계 (c)에서 얻어진 상기 헤더 정보를 읽고, 상기 사용자 데이터가 상기 제 1 영역에 기록되는 순서로 상기 제 2 영역에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기록 방법.
KR1020000002143A 1999-01-18 2000-01-18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 KR1006956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009027 1999-01-18
JP11009027A JP2000215645A (ja) 1999-01-18 1999-01-18 情報記録装置および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1260A true KR20000071260A (ko) 2000-11-25
KR100695656B1 KR100695656B1 (ko) 2007-03-16

Family

ID=11709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2143A KR100695656B1 (ko) 1999-01-18 2000-01-18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532124B1 (ko)
JP (1) JP2000215645A (ko)
KR (1) KR1006956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52294B1 (en) 2003-08-07 2009-06-23 Crossroads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multiple concurrent extended copy commands to a single destination device
US7251708B1 (en) * 2003-08-07 2007-07-31 Crossroads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and reporting a log of multi-threaded backups
US7447852B1 (en) 2003-08-07 2008-11-04 Crossroads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message and error reporting for multiple concurrent extended copy commands to a single destination device
JP2008041178A (ja) * 2006-08-07 2008-02-21 Fujitsu Ltd 磁気テープ装置の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6032A (en) * 1991-11-12 1996-10-15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for utilizing a longitudinal track on a helical scan tape data storage system to provide a fast search capability
EP0559975B1 (en) * 1992-03-10 1999-06-16 Hewlett-Packard Limited Data storag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215645A (ja) 2000-08-04
US6532124B1 (en) 2003-03-11
KR100695656B1 (ko) 200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30969A (en) Apparatus having defective sector compensation coupled with analog information mode and digital information mode recording/reproducing capability
US497411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ally processing and rerecording recorded video signals
EP0536792B1 (en) Audio sound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ing semiconductor memory
JPH0713702A (ja) 記憶媒体内に記憶された複数のデータブロックを読取り且つ処理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695656B1 (ko) 정보 기록 장치 및 방법
US7110200B2 (en) Magnetic disk control apparatus, magnetic disk control method, magnetic disk control program, and magnetic disk
EP0402071A2 (en) Signal processing circuit for magnetooptical record/reproducing apparatus
US6775466B1 (en) Disk control apparatus dividing a recording area into recorded and unrecorded areas
JPH1188831A (ja) デジタルビデオレコーダ
JP2537903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EP0545416B1 (e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of a semiconductor memory that can carry out recording and reproduction simultaneously
EP1079388A1 (en) Image/voice data conversion device and disk unit using it
KR100585094B1 (ko)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데이터 저장/재생 방법및 장치
US5915125A (en) Device driver, control method for device driver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storing control program for device drivers
US5923810A (en) Index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 recording medium
JP3568347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US20090040886A1 (en) Disk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JP2765283B2 (ja) 磁気記録方法
JP3246436B2 (ja) 磁気ディスク装置のフォーマット効率化方式
JPH06309861A (ja) 情報記録再生方法又は装置
KR0167892B1 (ko) 영상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의 간편녹화/재생방법 및 그에 따른 회로
JPH10133867A (ja) データ再生装置及びデータ記録媒体
JPH11238366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620345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2000113646A (ja) ディジタル情報記録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