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1151A - 하이브리드 다-디스크 제동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다-디스크 제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1151A
KR20000071151A KR1019997007441A KR19997007441A KR20000071151A KR 20000071151 A KR20000071151 A KR 20000071151A KR 1019997007441 A KR1019997007441 A KR 1019997007441A KR 19997007441 A KR19997007441 A KR 19997007441A KR 20000071151 A KR20000071151 A KR 20000071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pad
upstream
cylind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7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6664B1 (ko
Inventor
메리쟝끌로드
브와쏘쟝삐에르
로랑쟈끄
Original Assignee
우쁠랭 쟈끄
보쉬 시스떼메 드 프레이나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쁠랭 쟈끄, 보쉬 시스떼메 드 프레이나쥬 filed Critical 우쁠랭 쟈끄
Publication of KR20000071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1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6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66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02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with two or more rotating discs at least one of them being located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02Fluid pressure
    • F16D2121/04Fluid pressure acting on a piston-type actuator, e.g. for liquid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아암에 의해서 자동차에 고정되는 스테이터 (10); 제 1 디스크가 고정아암(5)에 가장 가깝게 있고 휠과 함께 회전하고 이격되고 다른하나에 대해 하나에 고정되는 제1 디스크(13) 및 제2 디스크(16)를 포함하는 로터(6); 및 제2 디스크(16)의 제동에 공용으로 제공되는 고정 캘리퍼(40)를 포함하는 제동작용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1 디스크의 제동에 공용으로 제공되는 제동작용수단은 미끄럼이동 캘리퍼(50)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다-디스크 제동시스템{HYBRID MULTIPLE DISC BRAKE}
이러한 타입의 제동장치는 종래의 기술에서 잘 알려져 있고 예컨대 특허공보 FR-2,314,399에 개시되어 있다.
통상, 복수의 디스크를 구비한 브레이크는 대형차 또는 다용도차에 적용된다.
대비되는 경승용차 또는 승합차에 복수의 디스크를 적용하는 것은 소형화하는 데 심각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에 대해 본 발명은 신규의 해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다른 사항에 있어서 상기 서두에서 정해진 정의에 따른 본 발명의 제동장치에 있어서 제동작용수단은 로터에 접하는 방향으로 이격되고 정회전방향으로 번갈이 이러한 순서에 따르는 상류 및 하류를 가지고 있고 2개의 끝사이의 제1 실린더를 지지하고 있고 제1 디스크에 걸터타고 2개의 디스크사이에 배열된 첨단(Tip)을 가지고 있고 제1 외부패드, 제1 디스크 및 제1 내부패드가 제1 피스톤과 미끄럼이동 캘리퍼의 첨단 사이에서 클램프되는 미끄럼이동 캘리퍼; 스테이터에 고정된 고정상류 및 하류안내수단, 미끄럼이동 캘리퍼의 상류 및 하류에 각각 고정되며 이동 상류 및 하류안내수단이 고정 상류 및 하류수단에 대해 미끄럼이동되어 미끄럼이동 캘리퍼가 스테이터에 대해 미끄럼이동하도록 각각 장착되는 이동 상류 및 하류안내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본질적으로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방이동에 대응하는 정회전방향으로 횡단축선둘레에서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휠을 장착한 자동차용 다-디스크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 장치는
- 적어도 하나의 고정아암에 의해서 자동차에 고정되는 스테이터;
- 제1 디스크가 제2 디스크보다 더 고정아암에 가깝게 있고 제1 및 제2 디스크가 서로를 향한 각각의 내부면과 각각의 외부면을 가지고 있으며 휠과 함께 회전하고 이격되어있고 이 횡단축선을 따라 고정된 제1 및 제2 디스크를 포함하는 로터;
- 각 한쌍의 제1 및 제2 마찰패드가 이들 쌍의 마찰패드를 상호작용시키는 디스크의 내부 및 외부면쪽으로 각각 향한 내부패드 및 외부패드를 포함하고 있고 제1 디스크와 제2 디스크에 각각 상호작용하는 한쌍의 제1 및 제2 마찰패드;
- 제1 외부패드를 제1 디스크에 적용시키기 위하여 제1 유압의 작용하에서 제1 실린더내에서 미끄럼이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피스톤; 로터에 접하는 방향으로 이격되고 정회전방향으로 번갈아 이러한 순서에 따르는 상류끝 및 하류끝을 가지고 있으며 제2 디스크에 걸터타고 있고 제2 내부패드와 제2 외부패드를 제2 디스크에 각각 적용할 수 있는 제2 내부피스톤 및 제2 외부피스톤이 제2 유압작용하에서 각각 미끄럼이동되는 제2 내부실린더와 제2 외부실린더를 지지하는 그 끝사이에 있는 고정캘리퍼를 포함하는 브레이크작용수단; 및
- 고정캘리퍼의 2개의 끝을 스테이터에 고정시키는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도 1은 화살표 A의 방향이 통상 전방으로 이동하는 "정회전방향"으로 칭하는 휠의 회전방향에 대응하고 자동차의 외부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본 발명의 교시에 따라 제조된 제동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자동차의 내부측으로부터 보았을때에 도 1의 제동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선 Ⅲ-Ⅲ의 본 발명의 장치의 단면도, 및
도 4는 도 1의 Ⅳ-Ⅳ상의 국부부위를 구비한 본 발명의 장치를 위에서 본 도면.
이러한 장치의 소형화는 미끄럼이동 캘리퍼의 첨단이 빈공간에 의해서 분리되는 2개의 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제2 내부실린더가 이 빈공간에 배열되는 것을 제공함으로써 더 개량될 수 있다.
로터가 적어도 2개의 부분으로 제조되고 이 부분중의 하나가 제1 디스크를 포함하고 있고 다른하나가 제2 디스크를 포함하며 특히 2개의 디스크가 상이한 재료로 제조되는 것은 더 많은 이점을 가진다.
이러한 장치의 작동을 힘든운행조건에서 최적화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디스크사이에서 허브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는 로터가 디스크의 내면과 통기하는 구멍으로 천공되는 것은 바람직 할 수 있다.
제1 실린더와 제2 실린더의 대칭축선이 일치될 수 있지만, 제1 실린더의 대칭축선이 제2 실린더의 대칭축선보다 정회전방향으로 더 전방에 있는 것은 바람직 할 수 있다.
이러한 제동장치가 응력에 의해서 최대로 변형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하여, 제1 내부패드 및 제2 외부패드는 각각의 상류끝 즉 정회전방향으로 되돌리는 각각의 상류끝에 의해서 스테이터에 부착되는 한편 이 패드는 각각의 하류패드끝을 경유하여 스테이터에 놓여진다.
이러한 장치를 제조하는 데 필요한 구성요소의 전체개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연결수단은 안내핀을 형성하는 나사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안내핀은 적어도 하나의 상류 및 하류안내수단을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여기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표시에 의해서 이후에 주어진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나타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스텁액슬과 같은 도시안된 자동차의 고정부분의 일체적인 부분을 형성하고 이 고정부분에 고정되고 예컨대 고정부분에 나사결합되는 고정아암 (5)에 의해서 자동차에 고정되는 스테이터(10)를 포함하고 있다.
고정아암(5)은 자동차의 휠과 회전하는 로터(6)의 부분을 형성하는 제1 디스크(13)의 외부면(14)을 향하고 있다. 로터(6)는 제2 디스크(16)를 포함하고 있으며 2개의 디스크(13,16)는 이격되어 있고 휠의 횡단축선(X)을 따라 고정되고 서로를 향한 2개의 내부면(15,17)을 각각 가지고 있으며, 그러므로 제2 디스크(16)의 외부면 (18)은 자동차의 외부측을 향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제1 (140,150) 및 한쌍의 제2 (170,180)마찰패드는 제1 디스크와 제2 디스크에 각각 접촉하는 상태로 되어 있으며, 각쌍의 패드는 접촉하게 되는 디스크의 내부면과 외부면을 각각 향한 내부패드(150 또는 170) 및 외부패드(140,180)를 포함하고 있다.
브레이크작용수단은 이들 패드를 디스크에 적용시키기 위하여 제공되며 이 브레이크작용수단은 제1 외부패드(140)를 제1 디스크(13)의 외부면(14)에 작용시키기 위하여 제1 유압의 작용하에서 제1 실린더(34)내로 미끄럼이동되는 제1 피스톤(24)과 제2 내부패드(170) 및 제2 외부패드(180)를 제2 디스크(16)의 내부표면(17)과 내부표면(18)에 작용시키기 위하여 제2 유압의 작용하에서 제2 내부실린더(37)와 제2 외부실린더(38)내에서 미끄럼이동하는 제2 내부피스톤(27) 및 제2 외부피스톤(28)을 포함하고 있다.
제2 내부실린더(37)과 제2 외부실린더(38)는 스테이터(10)에 고정되고 제2 디스크(16)에 걸터타는 고정 캘리퍼(40)에 의해서 지지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캘리퍼(40)는 로터(6)에 접하는 방향으로 이격되고 화살표 A로 표시되고 자동차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휠의 회전방향으로 번갈아 이러한 순서에 따르고 예컨대 고정나사(141,142)로 이루어진 연결수단에 의해서 스테이터(10)에 각각 고정되는 상류끝(41) 및 하류끝(42)을 더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동작용수단은 또한 제1 디스크(13)에 걸터타고 제1 실린더(34)를 포함하는 상류끝(51)과 하류끝(52) 사이에 있는 미끄럼이동 캘리퍼(50)와 제1 실린더(34)와 2개의 디스크(13,16) 사이에 배열된 첨단(53)을 포함하고 있으며 미끄럼이동 캘리퍼의 상류끝(51)과 하류끝(52)은 로터(6)에 접하는 방향으로 이격되고 전방으로 이동하는 중에 휠의 회전방향으로 번갈아 이러한 순서에 따른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외부패드(140), 제1 내부패드(150) 및 제1 디스크(13)는 캘리퍼의 제1 피스톤(24)과 첨단(53)사이에서 클램프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스테이터(10)는 예컨대 원통형 안내핀으로 이루어진 고정 상류안내수단(11)을 가지고 있는 한편 미끄럼이동 캘리퍼(50)의 상류끝(51)은 예컨대 안내핀을 수용하는 원통형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이동상류안내수단(131)을 가지고 있고 따라서 이동수단은 고정수단에 대해 미끄럼이동될 수 있고 미끄럼이동 캘리퍼(50)가 스테이터(10)에 대해 미끄럼이동되도록 각각 장착한다.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이 기술자라면 유사한 수단이 예컨대 축선(Y)에 하류안내수단을 명백하게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은 이해할 것이다.
더욱이, 이러한 장치의 소형화는 미끄럼이동 캘리퍼(50)의 첨단(53)이 빈공간(54)에 의해서 분리되는 2개의 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제2 내부실린더(37)가 이 빈공간(도 4 참조)에 배열되는 것을 제공함으로써 더 개량될 수 있다.
로터(6)가 적어도 2개의 부분으로 제조되고 이 부분중의 하나가 제1 디스크 (13)를 포함하고 있고 다른하나가 제2 디스크를 포함하며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진 디스크를 사용하는 것은 가능하며 예컨대 디스크중의 하나가 주철로 제조되고 다른하나가 카본으로 제조되는 것은 더 많은 이점을 가진다.
더욱이, 이러한 장치의 작동을 힘든 운행조건에서 최적화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디스크(13,16)사이에서 허브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는 로터(6)가 디스크의 내면(15,17)과 통기하는 구멍(8)으로 천공되는 것은 바람직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실린더와 제2 실린더(34.37,38)의 대칭축선이 일치될 수 있지만, 제1 실린더(34)의 대칭축선(S)이 화살표(A)로 표시된 정회전방향으로 제2 실린더(37,38)의 대칭축선(T,U)보다 정회전방향으로 더 전방에 있는 것은 바람직 할 수 있다.
제1 내부패드(150) 및 제2 외부패드(140)가 각각의 상류끝(131) 즉 화살표(A)의 회전방향으로 되돌리는 각각의 상류끝에 의해서 스테이터(10)에 부착되는 한편 이 패드는 각각의 하류패드끝(132)을 경유하여 스테이터(10)에 놓여지며 따라서 이러한 제동장치가 응력에 의해서 최대로 변형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은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연결수단이 안내핀을 형성하는 나사(60)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안내핀이 미끄럼이동 캘리퍼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상류(11) 및 하류안내수단으로 구성함으로써 이러한 장치를 제조하는 데 필요한 구성요소의 전체개수를 감소시키는 것은 유리하다.
미끄럼이동 캘리퍼(50)를 구비한 장치내측에 놓여지는 고정캘리퍼(40)를 구비한 장치로 인해 완전한 소형화가 될 수 있고 응력으로 인한 변형이 최소값으로 감소되는 다-디스크장치는 실제로 달성되며 고정 캘리퍼(40)는 미끄럼이동 캘리퍼를 지지하는 스테이터(10)를 단단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물론, 본 발명은 설명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당해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명백하게 이해될 수 있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내에 해당되는 다수의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스테이터(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37)를 지지하는 고정 캘리퍼를 구비한 한 피스로서 생산될 수 있다.

Claims (8)

  1. - 적어도 하나의 고정아암(5)에 의해서 자동차에 고정되는 스테이터(10);
    - 제1 디스크가 제2 디스크보다 더 고정아암에 가깝게 있고 제1 및 제2 디스크가 서로를 향한 각각의 내부면(15,17)과 각각의 외부면(14,18)을 가지고 있으며 휠과 함께 회전하고 이격되어 있고 이 횡단축선(X)을 따라 고정된 제1 (13) 및 제2 (16)디스크를 포함하는 로터(6);
    - 각 한쌍의 제1 및 제2 마찰패드가 이들 쌍의 마찰패드를 상호작용시키는 디스크의 내부 및 외부면쪽으로 각각 향한 내부패드(150 또는 170) 및 외부패드(140 또는 180)를 포함하고 있고 제1 디스크와 제2 디스크에 각각 상호작용하는 한쌍의 제1(140,150) 및 제2 (170,180)마찰패드;
    - 제1 외부패드(140)를 제1 디스크(13)에 적용시키기 위하여 제1 유압의 작용하에서 제1 실린더(34)내에서 미끄럼이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피스톤(24); 스테이터 (10)에 고정되며 로터에 접하는 방향으로 이격되고 정회전방향으로 번갈아 이러한 순서에 따르는 상류끝(41) 및 하류끝(42)을 가지고 있으며 제2 디스크(16)에 걸터타고 있고 제2 내부패드(170)와 제2 외부패드(180)를 제2 디스크(16)에 각각 적용할 수 있는 제2 내부피스톤(27) 및 제2 외부피스톤(28)이 제2 유압작용하에서 각각 미끄럼이동되는 제2 내부실린더(37) 와 제2 외부실린더(38)를 지지하는 그 끝사이에 있는 고정캘리퍼(40)를 포함하는 브레이크작용수단; 및
    - 고정캘리퍼의 2개의 끝(41,42)을 스테이터에 고정시키는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자동차의 전방이동에 대응하는 정회전방향으로 횡단축선(X)둘레에서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휠을 장착한 자동차용 다-디스크 제동장치에 있어서,
    제동작용수단은 로터에 접하는 방향으로 이격되고 정회전방향으로 번갈아 이러한 순서에 따르는 상류끝(51) 및 하류끝(52)를 가지고 있고 미끄럼 이동 캘리퍼의 2개의 끝(51, 52) 사이의 제1 실린더(34)를 지지하고 있고 제1 디스크에 걸터타고 2개의 디스크사이에 배열된 첨단(53)을 가지고 있고 제1 외부패드(140), 제1 디스크(13) 및 제1 내부패드(150)가 제1 피스톤과 미끄럼이동 캘리퍼의 첨단사이에서 클램프되는 미끄럼이동 캘리퍼(50); 스테이터에 고정되는 고정 상류 및 하류안내수단 및 미끄럼이동 캘리퍼의 상류 및 하류끝에 각각 고정되는 이동 상류(151) 및 하류안내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이 이동 상류 및 하류안내수단은 고정 상류 및 하류수단에 대해 미끄럼이동되어 미끄럼이동 캘리퍼가 스테이터에 대해 미끄럼이동하도록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다-디스크 제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미끄럼이동 캘리퍼의 첨단(53)은 빈공간(54)에 의해서 분리되는 2개의 부분(51,52)을 포함하고 있고 제2 내부실린더(37)는 이 빈공간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다-디스크 제동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로터(6)는 적어도 2개의 부분으로 제조되고 이 부분중의 하나는 제1 디스크(13)를 포함하고 있고 다른하나는 제2 디스크(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다-디스크 제동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디스크사이에는 로터가 허브(7)와 같이 형성 되어있으며 이 허브는 디스크의 내면(15,17)과 통기하는 구멍(18)으로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다-디스크 제동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실린더는 대응하는 대칭축선을 가지고 있으며, 제1 실린더의 대칭축선(S)은 제2 실린더의 대칭축선 (T,U)보다 정회전방향으로 더 전방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다-디스크 제동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내부패드(150)와 제1 외부패드(140) 각각은 미끄럼이동 캘리퍼의 상류끝과 하류끝을 각각 향하는 상류끝 (131)과 하류끝(132)을 가지고 있으며, 이 제1 내부패드 및 이 제1 외부패드는 각각의 상류끝(131)에 의해서 스테이터(10)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다-디스크 제동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제1 내부패드(150) 및 제2 외부패드(140)는 각각의 하류패드끝(132)을 경유하여 스테이터(10)에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다-디스크 제동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연결수단은 안내핀을 형성하는 나사(60)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안내핀은 적어도 하나의 상류 (11) 및 하류안내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다-디스크 제동장치.
KR10-1999-7007441A 1997-03-14 1998-02-12 하이브리드 다-디스크 제동시스템 KR1004866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703063 1997-03-14
FR9703063A FR2760809B1 (fr) 1997-03-14 1997-03-14 Systeme de freinage multidisque hybride
PCT/FR1998/000267 WO1998041778A1 (fr) 1997-03-14 1998-02-12 Systeme de freinage multidisque hybri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1151A true KR20000071151A (ko) 2000-11-25
KR100486664B1 KR100486664B1 (ko) 2005-05-03

Family

ID=9504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7441A KR100486664B1 (ko) 1997-03-14 1998-02-12 하이브리드 다-디스크 제동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44935A (ko)
EP (1) EP0966620B1 (ko)
JP (1) JP4294098B2 (ko)
KR (1) KR100486664B1 (ko)
DE (1) DE69805614T2 (ko)
FR (1) FR2760809B1 (ko)
WO (1) WO19980417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625862D0 (en) * 1996-12-12 1997-01-29 T & N Technology Ltd Disc brake
JP4067689B2 (ja) * 1999-04-09 2008-03-26 曙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対向ピストン型ディスクブレーキ
AUPR739301A0 (en) * 2001-08-31 2001-09-20 Safe Effect Pty Ltd Brake actuator
JP2006515919A (ja) 2002-08-16 2006-06-08 コンチネンタル・テベス・アーゲー・ウント・コンパニー・オーハーゲー 少なくとも2つの摩擦リングを有するディスクブレーキ
DE602005014020D1 (de) * 2005-10-05 2009-05-28 Freni Brembo Spa Scheibenbremssystem für ein fahrzeug welches betriebs- und feststellbremse kombiniert
US20090084639A1 (en) * 2007-10-01 2009-04-02 James Colegrove Bicycle brake system
DE102012112823A1 (de) * 2012-12-20 2014-06-26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Drückgewalzte Bremsscheib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14399A1 (fr) * 1975-06-13 1977-01-07 Ferodo Sa Frein a disque
JPS5918578B2 (ja) * 1977-12-02 1984-04-27 ガ−リング・リミテツド デイスクブレ−キ
JPS5712134A (en) * 1980-06-24 1982-01-22 Nissin Kogyo Kk Multiple-disk brake
FR2548303B1 (fr) * 1983-06-30 1985-10-25 Dba Perfectionnements apportes aux freins multidisques
FR2548302B1 (fr) * 1983-06-30 1985-10-25 Dba Frein multidisque perfectionne
US4529067A (en) * 1983-08-31 1985-07-16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Multiple disc brake
JPS6073134A (ja) * 1983-09-28 1985-04-25 Nissin Kogyo Kk 車両用多板デイスクブレ−キ
FR2555686B1 (fr) * 1983-11-30 1989-03-31 Dba Frein multidisque, comportant un premier disque et un second disque coulissant muni d'un systeme de guidage
US4844206A (en) * 1987-12-18 1989-07-04 Allied-Signal Inc. Dual disk brake
US4823920A (en) * 1988-05-02 1989-04-25 Kelsey-Hayes Company Sliding caliper disc brake and brake shoe assembly therefor
FR2655107B1 (fr) * 1989-11-30 1992-02-21 Bendix France Frein a deux disques coaxiaux fix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66620A1 (fr) 1999-12-29
JP2001516431A (ja) 2001-09-25
KR100486664B1 (ko) 2005-05-03
FR2760809B1 (fr) 1999-04-23
EP0966620B1 (fr) 2002-05-29
DE69805614D1 (de) 2002-07-04
FR2760809A1 (fr) 1998-09-18
JP4294098B2 (ja) 2009-07-08
WO1998041778A1 (fr) 1998-09-24
DE69805614T2 (de) 2004-02-19
US6044935A (en) 2000-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19896C (en) Electrically operated drum brake
US4881623A (en) Disk brake assembly
EP1903242A2 (en) A brake carrier
US4022297A (en) Disc brake for two-wheeled vehicle
JP4210333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KR100471910B1 (ko) 일체형 주차브레이크를 갖는 다중 디스크 브레이크장치
KR100471913B1 (ko) 허브지지체
US4865163A (en) Disk brake assembly
GB2132144A (en) Vehicle wheel axle and brake mounting assembly
CN1312895A (zh) 轮盘制动装置
US9835212B2 (en) Anti-rattle clip for disc brake assembly and disc brake assembly including such an anti-rattle clip
KR100486664B1 (ko) 하이브리드 다-디스크 제동시스템
KR20110060243A (ko) 디스크 브레이크
US6955247B2 (en) Disc brake,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pad for such a brake and anti-noise shim for such a pad
EP1681488A1 (en) Wheel assembly with a disc brake for vehicles
US6382368B2 (en) Drum-in disc brake
US20090145702A1 (en) Brake pad for a vehicle disc brake assembly
US6695099B1 (en) Twin piston single bore brake caliper apparatus
US6681902B1 (en) Brake shoe mounting system for a vehicle brake assembly
JPS5854292B2 (ja) デイスクブレ−キ
US4019610A (en) Floating caliper disc brake
JPH08189538A (ja) ピンスライド型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のキャリパボディ支持構造
KR100379933B1 (ko) 차량용 디스크브레이크
KR940007067Y1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KR100200125B1 (ko)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파킹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