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9993A - 직류 램프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 장치 - Google Patents

직류 램프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9993A
KR20000069993A KR1019997006208A KR19997006208A KR20000069993A KR 20000069993 A KR20000069993 A KR 20000069993A KR 1019997006208 A KR1019997006208 A KR 1019997006208A KR 19997006208 A KR19997006208 A KR 19997006208A KR 20000069993 A KR20000069993 A KR 20000069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circuit arrangement
terminal
rectifying means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6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그라드즈키파벨
뵈케울리흐
라에츠후베르트
비즌첸스요하네스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20000069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999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56One or more circuit el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lamp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1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dc or by low-frequency ac, e.g. by 50 cycles/sec ac, or with network frequenci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1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dc or by low-frequency ac, e.g. by 50 cycles/sec ac, or with network frequencies
    • H05B41/1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dc or by low-frequency ac, e.g. by 50 cycles/sec ac, or with network frequencies having a starting switch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 구성요소만을 포함하는, 램프에 DC 램프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 장치에 관한 것인데, 상기 회로 장치는, 공급 전압원의 극에 연결하기 위한 주 입력 단자와, 상기 공급 전압원에 의해 제공된 낮은 주파수의 AC 전압으로부터 DC 전압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주 입력 단자에 연결된 두 개의 입력 단자와, 두 개의 출력 단자를 구비한 정류 수단과, 정류 수단의 주 입력 단자와 주 출력 단자 사이에 접속된 용량성 수단과, 정류 수단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램프에 연결을 위한 단자를 포함하는 부하 회로와, 유도성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부하 회로는 상기 정류 수단의 출력 단자를 접속시키기 위한 직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유도성 수단과 상기 램프에 연결하기 위한 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회로 장치는 단순하고 값싸며,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고, 콤팩트한 램프에 병합되기에 매우 적합하다.

Description

직류 램프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 장치{CIRCUIT ARRANGEMENT}
개시 절에서 언급한 회로 장치는 미국 특허(제4,929,871호)로부터 공지되었다. 공지된 회로 장치에 있어서, 유도성 수단과 용량성 수단은, 주 입력 단자 중 한 단자와 다이오드 브리지에 의해 형성된 정류 수단의 입력 단자 중 한 단자 사이에서 직렬로 배열된다. 부하 회로는 램프 연결을 위한 단자만을 포함한다. 동작 중에 공지된 회로 장치는 부하에 DC 전류를 제공한다. 공지된 회로 장치는 상대적으로 단순하고 따라서 상당히 값싸다. 그러나, 공지된 회로 장치의 중요한 단점은, 정상 동작 도중에 램프 전류가 낮은 주파수의 AC 전압의 매 절반 주기마다 0이 된다는 점이다. 결과적으로, 램프는 낮은 주파수 공급 전압의 매 절반 주기마다 꺼지게 된다. 램프가 방전 램프인 경우, 따라서 낮은 주파수 공급 전압의 매 절반 주기에서 재 점등되어야 할 것이다. 이것은 램프 전극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또한 재-점등 손실을 야기한다.
본 발명은, 수동 구성요소만을 포함하는, 램프에 DC 램프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 장치에 관한 것인데, 상기 회로 장치는,
- 공급 전압원의 극에 연결하기 위한 주 입력 단자와,
- 상기 공급 전압원에 의해 제공된 낮은 주파수의 AC 전압으로부터 DC 전압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주 입력 단자에 연결된 두 개의 입력 단자와, 두 개의 출력 단자를 구비한 정류 수단과,
- 정류 수단의 주 입력 단자와 주 출력 단자 사이에 접속된 용량성 수단과,
- 정류 수단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램프에 연결을 위한 단자를 포함하는 부하 회로와,
- 유도성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콤팩트한 램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방전 램프가 연결된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는 방전 램프가 연결된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장치의 제 2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3은 방전 램프가 연결된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장치의 제 3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집적 회로 장치를 갖는 콤팩트한 형광 램프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로 장치의 수단에 의해 동작되는 방전 램프에 대해 시간 함수로서 램프 전류를 도시하는 그래프.
본 발명의 목적은, 상대적으로 값싸고 단순하며 상술한 단점을 갖지 않는,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개시 절에서 언급한 회로 장치는, 부하 회로에 정류 수단의 출력 단자를 연결시키고, 램프에 대한 연결을 위한 유도성 수단과 단자를 포함하는 직렬 장치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도성 수단은 램프 동작 도중에 램프와 직렬 상태이므로, 정류 수단의 입력 단자 사이의 전압이 0 V로 될 때, "유지 전류"("keep-alive current")를 램프에 제공한다. 이러한 유지 전류는 유도성 수단의 제 1 단자로부터 정류 수단과 램프를 통해 유도성 수단의 제 2 단자로 흐른다. 램프 전류가 결코 0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회로 장치가 정해진다면, 상기 동작은 연속 동작으로 불린다. 그러므로, 연속 동작의 경우와 램프가 방전 램프인 경우, 램프는 꺼지지 않고, 공급 전압의 매 절반의 주기마다 재 점등될 필요가 없다. 정류 수단의 입력 단자 사이의 전압이 0이 되는 시간의 기간에서 유지 전류가 0이 되도록, 회로의 규격이 정해질 수 있음을 언급했다. 이러한 것은 비연속 동작으로 불린다. 램프가 방전 램프라면, 램프는 꺼질 것이고, 공급 전압의 매 절반의 주기마다 재 점등되어야 할 것이다. 연속 동작과 비 연속 동작 모두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장치에서 유도성 수단의 인덕턴스와 용량성 수단의 정전용량은 미국 특허(제4,929,871호)에 개시된 회로 장치에서 보다 훨씬 적게 선택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장치는 공지된 회로 장치보다 크기와 무게에서 상당히 적을 수 있다. 연속 동작에 대해서만 유효한 종래 기술에 대한 다른 중요한 장점은, "핑킹"("pinking")이 없이, 전극으로부터 에미터 재질의 상대적으로 적은 스퍼터링으로 방전 램프의 신속한 점등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유도성 수단은 DC 전류만을 받기 때문에, 유도성 수단에서 플럭스의 진동과 코어 손실은 상대적으로 적어, 회로 장치의 효율적인 동작을 초래한다.
용량성 수단의 임피던스는 유도성 수단의 임피던스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용량성 수단은 전류 제한기로서 기능하는 반면, 유도성 수단은, 공급 전압원에 의해 램프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시간의 기간 중 적어도 일부에서 램프에 전류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도성 수단의 인덕턴스는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기 때문에, 유도성 수단은 압축 철분으로 이루어진 코어를 갖는 초크(choke)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도성 수단은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값싸고 단순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고, 코어는 많은 다른 형태로 쉽게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후자의 특성은 회로 장치가 콤팩트한 램프에 집적되는 경우에 매우 중요한데, 그 이유는 예컨대 콤팩트한 램프에 쉽게 끼워맞춰질 수 있고, 회로 장치로부터 주위로 양호한 열전도성을 제공할 수 있는 환상체와 같은 코어의 형태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류 수단은 다이오드 브리지를 포함할 수 있지만, 대안으로 정류 수단이 배전압기(voltage doubl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낮은 주파수의 공급 전압의 진폭이 상대적으로 낮을 때 특히 유용하다. 용량성 수단이 배전압기 내에 포함된 두 개의 커패시터로 구성되는 경우, 이들 두 커패시터는 전류 제한기로서 또한 배전압기의 부분으로서 기능하여, 회로 장치 내에서 다른 기능이 상대적으로 적은 요소를 사용하여 구현되게 된다. 정류 수단은 다이오드 브리지와 배전압기 모두를 포함할 수 있고, 배전압기는 다이오드 브리지의 두 개의 다이오드와 두 개의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정류 수단은 실질적으로 낮은 부하에서 배전압기로서, 즉 회로 장치 수단에 의해 동작되는 램프가 점등되기 전에 기능한다. 공급 전압원에 의해 공급되는 낮은 주파수의 AC 전압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에서조차, 상기 방법을 통해 충분히 높은 점등 전압이 실현된다. 램프의 점등 이후, 부하가 증가할 때, 정류 수단은 실질적으로 다이오드 브리지로서 기능한다.
회로 장치가 용량성 수단, 유도성 수단 및 정류 수단을 구성하는 요소를 배타적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장치의 상대적으로 단순한 실시예를 통해 양호한 결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장치는, 저압 수은 방전 램프와 같은 저압 방전 램프와 필립스의 CDM 램프와 같은 고압 방전 램프 모두를 동작시키기에 매우 적합함이 밝혀졌다. 상대적으로 적은 요소를 포함하고 따라서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장치와, 회로 장치에 접속된 저압 방전 램프나 고압 방전 램프를 모두 포함하는 콤팩한 조명 유니트에 사용되기에 매우 적합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장치는 콤팩트한 램프의 안정기 수단에서 사용되기에 매우 적합한데, 상기 콤팩트한 램프는,
- 가스 밀봉되고 가시 발광에 대해 투명한 용기가 장착된 광원과,
- 상기 광원에 연결되고 램프 캡(cap)이 제공된 하우징과,
- 상기 광원을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광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적어도 상기 하우징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의 일부에 위치한 안정기 수단을 포함한다.
콤팩트한 램프의 동작 도중에 상기 광원을 통해 흐르는 DC 전류가 연속적이 되도록, 회로 장치의 규격이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콤팩트한 램프의 광원은 예컨대 저압 방전 램프 또는 고압 방전 램프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콤팩트한 램프가 예컨대 콤팩트한 형광 램프이고 광원이 수은을 포함하는 경우, 광원이 아말감을 포함하는 것이 매우 유리하다. 아말감은 큰 정도로 전자 이동의 효과를 보상하는 것으로 밝혀졌고, 이는 램프에 DC 전류가 제공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아말감은 납, 비스무스 및 주석 또는 비스무스와 인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을 이용하여 기술된다.
도 1에서, K1 및 K2는 공급 전압원의 극에 접속하기 위한 주 입력 단자이다. 주 입력 단자(K1)는 커패시터(C)의 수단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 다이오드 브리지(D1-D4)에 의해 형성된 정류 수단의 제 1 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커패시터(C)는 본 실시예에서 용량성 수단을 형성한다. 정류 수단의 제 2 입력 단자는 주 입력 단자(K2)에 연결된다. 정류 수단의 출력 단자는 램프 연결을 위한 초크(L)와 단자(T1 및 T2)의 직렬 장치를 통해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초크(L)는 유도성 수단을 형성한다. 방전 램프(La)는 단자(T1 및 T2)에 연결된다. 방전 램프는 점등관(S)과 병렬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회로 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낮은 주파수의 AC 전압을 공급하는 공급 전압원의 극이 주 입력 단자(K1 및 K2)에 연결될 때, 낮은 주파수의 AC 전압은 다이오드 브리지에 의해 정류되고, 방전 램프가 아직 점등되지 않았을 경우 DC 전류가 방전관을 통해 흐르도록 하는 DC 전압은 단자(T1 및 T2) 사이에 걸린다. 이러한 DC 전류는 램프의 음극을 예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예열은 항상 필요하지는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방전관이 방전관을 흐르는 DC 전류를 차단할 때, 초크는 램프 내의 절연 파괴를 야기하는 단자(T1 및 T2) 사이의 상대적으로 높은 DC 전압을 생성한다. 연속 동작을 위하여 회로 장치의 크기가 정해지는 경우, 절연 파괴 이후 상대적으로 큰 전류를 곧바로 공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안정적인 열점(hot spot)이 음극 상에 형성되는데 충분하도록 길게 유지될 수 있는 증기 아크가 생성된다. 그 결과, 방전 램프의 점등 도중에 글로우 방전이 일어나지 않고, 후속적으로 램프 전극 재질의 스퍼터링이 거의 회피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전극의 수명과 따라서 램프의 수명은 AC 전압을 사용하여 점등되는 램프에 비해 상당히 증가한다. 방전 램프가 일단 점등되면, DC 전류는 램프와 초크(L)를 모두를 통해 흐른다. 이러한 DC 전류는, 공급 전압원에 의해 제공된 낮은 주파수의 AC 전압의 주파수의 두 배인 주파수를 갖는 AC 전류와 일정한 DC 전류의 합으로 기술될 수 있다. 커패시터(C)가 DC 전류를 제한하는 임피던스로서 기능하도록 크기가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초크(L)는 압축 철분의 환상체를 포함한다. 다이오드 브리지의 입력 단자 사이의 전압 진폭이, 정류 수단이 공급 전압원으로부터의 공급 전류를 램프로 도통시키기에 필요한 값 이하로 떨어질 때, 초크는 "유지 전류"를 램프에 제공한다. 이러한 "유지 전류"는 초크(L)의 한 단부로부터 램프와 4개 다이오드 모두를 통해 초크(L)의 다른 단부로 되돌아 흐른다. 정류 수단이 공급 전류를 도통시키지 않는 시간 기간에 "유지 전류"가 0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초크(L)의 크기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유지 전류"가 정류 수단이 공급 전류를 도통시키지 않는 시간 기간에서 매우 짧은 시간에 대해서만 0이 되도록 , 초크(L)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후자의 경우, 일단 정류 수단이 공급 전류를 다시 도통시키면, 램프는 쉽게 재 점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실제 구현에 있어서, 커패시터(C)의 용량은 2.2 μF로 선택되었고, 초크(L)의 인덕턴스는 1.6 H로 선택되었다. 공급 전압원은 50 Hz의 주파수와 220 V(rms)의 진폭을 갖는 사인파 AC 전압을 공급하였다. 상기 회로 장치는 18 W의 공칭 출력과 대략 80 V의 연소 전압을 갖는 저압 수은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기에 매우 적합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도 1에 도시된 회로 장치에 의해 동작되는 저압 수은 방전 램프의 램프 전류 형태는 도 5에 도시되었다. 수직 축은 전류를 mA로 도시하고, 수평축은 시간을 msec로 도시한다. 전류는 공급 전압원에 의해 제공된 낮은 주파수의 AC 전압의 주파수의 두 배인 주파수를 갖는 AC 전류와 일정한 DC 전류의 합인 것을 알 수 있다. 일정한 DC 전류(= 유지 전류)는 전체 램프 전류의 진폭 중 가장 낮은 값과 동일한 진폭을 갖는다. 도 5에서 진폭은 수평선으로 도시되었다. 사용된 공급 전압의 주파수가 50 Hz이므로, 램프 전류의 AC 전류 부분의 주파수는 100 Hz이다.
도 2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회로 부분과 유사한 회로 부분은 동일한 기호를 사용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정류 수단은 커패시터(C1 및 C2)와 다이오드(D1 및 D2)로 구성된 배전압기에 의해 구성된다. 커패시터(C1 및 C2)는 또한 본 실시예에서 용량성 수단이 될 수 있다. 배전압기는 커패시터(C1 및 C2)의 제 1 직렬 장치를 포함한다. 제 1의 직렬 장치는 다이오드(D1 및 D2)의 제 2의 직렬 장치 및 초크(L)와 램프 연결 단자(T1 및 T2)의 제 3의 직렬 장치와 병렬 연결된다. 방전관(S)와 병렬 연결되는 방전 램프(La)는 단자(T1 및 T2)에 연결된다. 주 입력 단자(K1)는 다이오드(D1 및 D2)의 공통 단자에 연결된다. 주 입력 단자(K2)는 커패시터(C1 및 C2)의 공통 단자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정류 수단의 최대 출력 전압(커패시터(C1 및 C2)의 직렬 장치 상의 전압인)은 낮은 주파수의 공급 전압의 최대 진폭의 두 배와 동일하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정류 수단의 최대 출력 전압은 낮은 주파수의 공급 전압의 최대 진폭과 동일할 뿐이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낮은 주파수의 공급 전압의 최대 진폭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에 장점을 나타낼 수 있다. 그렇지 않을 경우,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능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능과 유사하고, 여기에서는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실제 구현에 있어서, 커패시터(C1 및 C2)의 용량은 3.9 μF로 선택되었고, 초크(L)의 인덕턴스는 850 mH로 선택되었다. 회로 장치에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 낮은 주파수의 사인파 공급 전압의 진폭은 120 V(rms)이고, 그 주파수는 60 Hz이다. 상기 회로 장치는 18 W의 공칭 출력과 대략 80 V의 연소 전압을 갖는 저압 수은 방전 램프를 동작시키는데 매우 적합하다.
도 3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회로 부분과 유사한 회로 부분은 동일한 기호를 사용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정류 수단은 다이오드(D1 및 D4) 및 커패시터(C3 및 C4)와 다이오드(D2 및 D4)로 구성된 배전압기에 의해 구성된다. 커패시터(C3과 C4)는 다이오드(D1과 D2)와 각각 병렬 연결된다. 커패시터(C3 및 C4)를 제외하면,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다. 커패시터(C3 및 C4)의 용량은 거의 동일하고, 커패시터(C)의 용량보다 상당히 작게 선택된다. 점등 전에, 회로 장치의 부하가 매우 작을 때, 정류 수단은 램프(La)에 대한 전압이 램프(La)를 점등시키기에 충분히 높도록 거의 배전압기로서 기능한다. 점등 후, 정류 수단은 거의 다이오드 브리지로서 기능하고,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능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능과 동일하다.
도 4에 있어서, 광원(8)에는 가스가 밀봉되고 발광에 대해 투명하고 양극과 음극(미도시) 두 개의 전극을 포함하는 (방전) 용기가 제공된다. 양극은 전자를 방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특정 단순 구성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광원은 불활성 기체의 혼합물로 구성된 충진재를 포함한다. 아말감(A)은 양극 근처의 광원 내에 존재한다. 하우징의 일 부분이 점선(A) 아래에 놓이는 실시예에서. 하우징(6)은 광원에 연결되고, 하우징에는 램프 캡(3)이 제공된다. 이러한 하우징은 예컨대 합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B는 도 1에 도시된 회로 장치이다. 회로 장치(B)는 광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은 도 3에서 점선(9)으로 도시되었다. 회로 장치(B)는 하우징(6)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7) 내에 위치한다. E는 램프 캡 상에 위치한 금속 접점(1 및 2)과 회로 장치(B) 사이에서 전류를 도통시키는 연결부를 구성한다. 공급 전압은 램프 동작 도중에 상기 접점 사이에 제공된다.
램프 동작 도중에 DC 전류는 광원을 통해 흐르는데, 이러한 흐름은 수은 이온이 광원의 음극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이러한 공정은 이온 이동으로 알려져 있고, 방전 용기의 많은 부분에서 수은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광원의 광출력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콤팩트한 램프에 있어서, 이온 이동을 통한 수은 이온의 음극을 향한 이동은 양극 근처의 아말감에 의해 야기된 수은 원자의 전달에 의해 보상된다. 광원의 광 출력은 램프가 동작한 시간에 관계없이 일정한 레벨로 유지됨이 밝혀졌다.

Claims (14)

  1. 수동 구성요소만을 포함하는, 램프에 DC 램프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 장치로서,
    - 공급 전압원의 극에 연결하기 위한 주 입력 단자와,
    - 상기 공급 전압원에 의해 제공된 낮은 주파수의 AC 전압으로부터 DC 전압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주 입력 단자에 연결된 두 개의 입력 단자와, 두 개의 출력 단자를 구비한 정류 수단과,
    - 상기 정류 수단의 상기 주 입력 단자와 상기 주 출력 단자 사이에 접속된 용량성 수단과,
    - 상기 정류 수단의 상기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램프에 연결을 위한 단자를 포함하는 부하 회로와,
    - 유도성 수단을 구비하는, DC 램프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하 회로는, 상기 정류 수단의 상기 출력 단자를 접속시키고, 상기 유도성 수단과 상기 램프에 연결하기 위한 단자를 포함하는 직렬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 램프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성 수단의 임피던스는 상기 유도성 수단의 임피던스보다 더 높은 DC 램프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성 수단은 압축된 철분으로 구성된 코어를 갖는 초크를 포함하는 DC 램프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초크의 코어는 환상체인 DC 램프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수단은 다이오드 브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용량성 수단은 주 입력 단자와 상기 다이오드 브리지의 입력 단자 사이에 접속되는 DC 램프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수단은 배전압기를 포함하는 DC 램프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수단은 다이오드 브리지의 두 개의 다이오드와 두 개의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DC 램프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제 1의 용량성 수단은 상기 배전압기에 포함된 두 개의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DC 램프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 장치.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성 수단, 상기 유도성 수단 및 상기 정류 수단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배타적으로 더 포함하는 DC 램프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 장치.
  10. - 가스 밀봉되고 가시 발광에 대해 투명한 용기가 장착된 광원과,
    - 상기 광원에 연결되고 램프 캡(cap)이 제공된 하우징과,
    - 상기 광원을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광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우징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 위치한 안정기 수단을 포함하는 콤팩트한 램프에 있어서,
    상기 안정기 수단은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회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한 램프.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의 동작 도중에 DC 램프 전류가 연속적이 되도록, 상기 유도성 수단의 크기가 정해지는, 콤팩트한 램프.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수은과 아말감을 포함하는 콤팩트한 램프.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아말감은 납, 비스무스 및 주석을 포함하는 콤팩트한 램프.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아말감은 비스무스와 인듐을 포함하는 콤팩트한 램프.
KR1019997006208A 1997-11-10 1998-10-21 직류 램프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 장치 KR200000699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967,680 US6504314B1 (en) 1997-11-10 1997-11-10 Discharge lamp DC ballast employing only passive components
US8/967,680 1997-11-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9993A true KR20000069993A (ko) 2000-11-25

Family

ID=25513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6208A KR20000069993A (ko) 1997-11-10 1998-10-21 직류 램프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504314B1 (ko)
EP (1) EP0951806A1 (ko)
JP (1) JP2001509951A (ko)
KR (1) KR20000069993A (ko)
CN (1) CN1249895A (ko)
CA (1) CA2277187A1 (ko)
TW (1) TW451602B (ko)
WO (1) WO199902515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9668A (ko) * 2002-10-02 2004-04-08 윤영일 전구형 형광등기구
US8716899B2 (en) 2010-03-29 2014-05-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transceiv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5755B1 (en) * 1999-11-01 2001-05-01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High power factor electronic ballast with simplified circuit topology
KR20110108596A (ko) * 2010-03-29 2011-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수신장치 및 무선전력 송수신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1637A (en) * 1975-06-12 1977-01-04 Lutron Electronics Co., Inc. Lamp ballast
US4045710A (en) 1976-07-26 1977-08-30 General Electric Company Discharge lamp operating circuit
US5744915A (en) * 1978-03-20 1998-04-28 Nilssen; Ole K. Electronic ballast for instant-start lamps
CH631575A5 (de) 1978-04-28 1982-08-13 Bbc Brown Boveri & Cie Verfahren zur lebensdauererhoehung eines gasentladungsgefaesses.
US4187449A (en) 1978-05-08 1980-02-05 General Electric Company Discharge lamp operating circuit
US4260932A (en) * 1978-10-12 1981-04-07 Vance Johnson Method and circuit for facilitating the starting and steady state flickerless operation of a discharge lamp
US4929871A (en) 1986-06-16 1990-05-29 Gerfast Sten R Transformerless current-limiting circuit
EP0480503B1 (en) * 1990-10-09 1995-07-1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ic lamp
CA2112091A1 (en) 1992-12-22 1994-06-23 Andre C. Bouchard Apparatus for shortening stabilization time in high output compact fluorescent lamps
DE19515510A1 (de) * 1995-04-27 1997-02-20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Schaltungsanordnung zum Impulsbetrieb von Entladungslamp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9668A (ko) * 2002-10-02 2004-04-08 윤영일 전구형 형광등기구
US8716899B2 (en) 2010-03-29 2014-05-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transceiv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49895A (zh) 2000-04-05
CA2277187A1 (en) 1999-05-20
US6504314B1 (en) 2003-01-07
WO1999025158A1 (en) 1999-05-20
JP2001509951A (ja) 2001-07-24
EP0951806A1 (en) 1999-10-27
TW451602B (en) 2001-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99391A (en) Circuit for starting and operating fluorescent lamps
RU2123217C1 (ru) Газоразрядный прибор излучения
US6459204B1 (en) Dual-element 3-way compact fluorescent lamp
US6118227A (en) High frequency electronic drive circuits for fluorescent lamps
KR20000069993A (ko) 직류 램프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 장치
US5021714A (en) Circuit for starting and operating fluorescent lamps
US6411044B2 (en) Switching device
JP4259008B2 (ja) 電球形蛍光ランプ
EP0152264A2 (en) Fluorescent lamp device
US6384543B2 (en) Switching device
US4900986A (en) Ballast circuit for starting fluorescent lamps
JPH07263153A (ja) 蛍光灯付勢回路
JP2001319797A (ja) 電球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CN1291417A (zh) 电路装置
RU1249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итания газоразрядной лампы
JP2001244097A (ja) 電球形蛍光ランプ、放電ランプ点灯装置および照明装置
MXPA99006424A (en) Circuit arrangement
RU1249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жигания газоразрядной лампы
CN2266855Y (zh) 四阴极日光灯及其工频电子镇流器
KR200216978Y1 (ko) 예열 구조를 지니는 수은램프
JPH0527220B2 (ko)
JPS60154450A (ja) コンパクト形螢光ランプ装置
JP2003157991A (ja) 放電ランプ点灯装置および照明装置
JPS6362149A (ja) 片口金形蛍光ランプ装置
JPS60189191A (ja) 放電ランプ点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