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9269A - 일체성형된 제 2공기 플레넘을 갖춘 순환유동상 반응로 - Google Patents

일체성형된 제 2공기 플레넘을 갖춘 순환유동상 반응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9269A
KR20000069269A KR1019997004885A KR19997004885A KR20000069269A KR 20000069269 A KR20000069269 A KR 20000069269A KR 1019997004885 A KR1019997004885 A KR 1019997004885A KR 19997004885 A KR19997004885 A KR 19997004885A KR 20000069269 A KR20000069269 A KR 20000069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urnace
fluidized bed
reacto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4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3865B1 (ko
Inventor
펠릭스 베린
데이비드 제이. 워커
Original Assignee
로버트이.스텀프
맥더모트테크놀로지,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버트이.스텀프, 맥더모트테크놀로지,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로버트이.스텀프
Publication of KR20000069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9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3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38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1/00Modifications of boiler construction, or of tube systems, dependent on installation of combustion apparatus; Arrangements of dispositions of combustion apparatus
    • F22B31/0007Modifications of boiler construction, or of tube systems, dependent on installation of combustion apparatus; Arrangements of dispositions of combustion apparatus with combustion in a fluidized bed
    • F22B31/0084Modifications of boiler construction, or of tube systems, dependent on installation of combustion apparatus; Arrangements of dispositions of combustion apparatus with combustion in a fluidized bed with recirculation of separated solids or with cooling of the bed particles outside the combustion b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10/00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 F23C10/02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chieving or promoting a circulating movement of particles within the bed or for a recirculation of particles entrained from the bed
    • F23C10/04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chieving or promoting a circulating movement of particles within the bed or for a recirculation of particles entrained from the bed the particles being circulated to a section, e.g. a heat-exchange section or a return duct, at least partially shielded from the combustion zone, before being re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zone
    • F23C10/08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chieving or promoting a circulating movement of particles within the bed or for a recirculation of particles entrained from the bed the particles being circulated to a section, e.g. a heat-exchange section or a return duct, at least partially shielded from the combustion zone, before being re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zone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separation apparatus, e.g. cyclon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the flue gases
    • F23C10/10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chieving or promoting a circulating movement of particles within the bed or for a recirculation of particles entrained from the bed the particles being circulated to a section, e.g. a heat-exchange section or a return duct, at least partially shielded from the combustion zone, before being re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zone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separation apparatus, e.g. cyclon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the flue gases the separation apparatus being located outside the 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9/00Passages or apertures for delivering secondary air for completing combustion of fuel 
    • F23L9/02Passages or apertures for delivering secondary air for completing combustion of fuel  by discharging the air above the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ized-Bed Combustion And Resonant Combustion (AREA)
  • Devices And Processes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REA)
  • Dairy Products (AREA)

Abstract

순환유동상 반응로(10)는 앞벽(12)과 이 앞벽으로부터 멀리 이격된 뒷벽(14)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획된 반응로 구역(11)을 갖추는 바, 바닥벽(16)이 상기 앞벽(12)과 뒷벽(14) 사이에 연결되어 있고, 기구(18)가 상기 구획(11)의 순환상을 유동시키기 위해 바닥벽(16)을 통해 제 1공기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한편, 다른 기구(22)가 순환상을 구획(11)의 상부로부터 구획으로 되돌려 재순환시키도록 구비되며, 하나 이상의 제 2공기 플레넘(31)이 바닥벽(16) 위의 유동화된 상으로 제 2공기를 공급하도록 앞벽과 뒷벽 사이의 구획내에 구비되어 제 2공기가 구획내에 깊게 도달하게 하고, 이 플레넘은 다수의 개구부를 갖춘 수관벽(38)으로 형성되는데, 이를 통해 한쪽 수관벽(38)에서 다른쪽 수관벽으로 기체와 고체를 연통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일체성형된 제 2공기 플레넘을 갖춘 순환유동상 반응로 {Circulating Fluidized Bed Furnace/Reactor with an Integral Secondary Air Plenum}
순환유동상 보일러나 반응로 또는 연소실(이하 순환유동상 반응로)이 점차로 커지면서, 노나 반응로 구역의 물리적인 크기를 비례하여 증대시키는 것에 관련된 여러 문제가 일어났다.
순환유동상 반응로에서는 통상 NOx의 방출을 감소시키기 위해 연소공정 단계별로 행하게 된다. 이는 소위 제 1공기라 불리우는 연소용 공기의 일부를 연소가 시작되는 노의 반응로 구역의 바닥으로 분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 후, 소위 제 2공기 또는 과연소 공기라 불리우는 연소용 공기의 잔여량이 보다 높은 높이에서 노의 반응로 구역으로 분사되어 완전 연소에 필요한 공기의 균형을 잡게 한다. 물리적으로 보다 큰 순환유동상 반응로에서, 보다 중요한 비례증대의 문제 중 하나는 제 2공기 또는 과연소 공기를 하부 또는 제 1연소(반응)영역의 위로 분사하는 능력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 문제는 노의 깊이가 증가하면서 제 2공기가 노의 반응로 구역의 중심으로 통과하는 능력이, 이 공기가 유동상내로 노의 중심까지 내내 통과할 수 있는 데에 필요한 속도와 분출크기에 의해 15 내지 20피트(feet) 정도의 실제 최대크기로 제한되기 때문에 일어난다.
종래에는 하부 노를 두 부분으로 나눔으로써, 즉 소위 바지가랑이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이 문제를 다루었다. 이러한 배치는 각각 감소된 노의 깊이를 갖는 두 부분을 구비하는데, 이는 전체의 실제 노의 깊이가 대략 절반까지 감소되기 때문에 제 2공기를 충분히 통과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해결방법의 단점은 노의 한쪽(한쪽 바지가랑이)의 유동화된 고체를 노의 다른 쪽(다른 바지가랑이)의 고체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하게 되어 일정한 연소와 온도제어를 더 어렵게 한다.
더 뱁콕 앤드 윌콕스 컴퍼니(The Babcock & Wilcox Company)에 양도된 알렉산더(Alexander) 등의 미국 특허 제 5,343,830호에는 연소구역내에 복합의 제 2공기 또는 과연소 공기용 입구를 갖춘 순환유동상 반응로가 게재되어 있다. 이 특허는 완전히 여기에 서술되듯이 참조로 병합되는데, 순환유동상 노 또는 반응로의 여러 공지된 부재를 게재하고 있다.
미첼(Mitchell) 등의 미국 특허 제 3,921,590호에는 유동상의 두 부분 사이에 연결통로를 갖춘 분리된 유동상 연소기가 게재되어 있다.
모스(Moss)의 미국 특허 제 4,517,162호에는 관통부가 없는 견고한 벽을 사용하여 여러 영역으로 유동상이 나뉘어진 유동상 반응로가 게재되어 있다. 또한, 갠스터(Ganster) 등의 미국 특허 제 4,917,028호를 참조한다. 분리된 유동상 구역을 갖춘 순환유동상의 예는 오시타(Oshita) 등의 미국 특허 제 4,938,170호와 동 제 5,138,982호에서도 볼 수 있다. 배플(baffle)장치를 사용하는 유동상 반응로는 압둘랄라이(Abdulally)의 미국 특허 제 5,218,932호에 게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순환유동상(CFB:Circulating Fluidized Bed) 보일러나 반응로 또는 연소실용 노(爐)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 2연소용 공기를 순환유동상 반응로의 정중심부로 안내하는 향상된 기능을 제공하는 새로운 순환유동상 반응로용 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는 유동상의 중심 근처의 노로 연장하여 제 2공기가 유동상의 모든 부분으로 깊이 통과하는 것을 확실히 하는 하나 이상의 일체성형된 제 2공기 플레넘(plenum)을 구비함으로써 성취되며, 바람직하기로 이 제 2공기 플레넘은 굽어진 노의 수관벽에 설치되어 하나 이상의 플레넘 구조물을 형성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순환유동상 반응로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과 유사한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과 유사한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4-4선을 따라 제 2공기 플레넘을 공급하는 중간의 공기공급덕트의 일부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5는 복수의 제 2공기 플레넘이 사용된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도 1과 유사한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6은 도 5의 6-6선을 따라 제 2공기 플레넘을 공급하는 중간의 공기공급덕트의 일부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7은 도 5의 7-7라인을 따라 도 5에 도시된 복수의 제 2공기 플레넘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과 유사한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9는 복수의 제 2공기 플레넘이 나란히 사용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와 유사한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0은 복수의 쌍으로 된 제 2공기 플레넘이 나란히 사용된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도 5와 유사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특징은 하나 이상의 일체성형된 제 2공기 플레넘이 구비되되, 유동상의 중심 근처의 노로 연장하여 제 2공기가 유동상의 모든 부분으로 깊이 통과하는 것을 확실히 하는 순환유동상 반응로용 노 구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일체성형된 제 2공기 플레넘은 굽어진 노의 수관벽에 설치되어 하나 이상의 플레넘구조물을 형성한다. 상기 수관벽은 개별적인 관들로 이루어지거나, 노의 반응로 구역의 좌우로 연장하는 개방된 플레넘 또는 채널을 형성하는 수관벽막의 관패널로 미리 조립될 수 있다. 이 패널은 필요에 따라 다이아몬드형이나, 타원형, 직사각형, 원형, 또는 다른 형상을 갖는 플레넘을 형성하여 제 2공기의 흐름이 노의 반응로 구역의 폭을 가로질러 위치되거나, 바람직하기로는 양쪽 반대방향으로 위치되는 제 2공기용 노즐로 분배되어서, 단일노의 반응로 구역의 앞벽과 뒷벽 양쪽으로 통과시키는 충분한 개방역역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플레넘의 벽막 자체는 노의 반응로 구역의 앞과 뒷부분 사이에서 기체와 고체의 우수한 연통을 위한 개구부를 갖춘 단일한 벽막의 관패널이나 간헐적인 벽막(패널) 또는 개별적인 관들로 이루어진다. 이는 노의 반응로 구역이 단일한 노영역으로 작용하도록 유지하되, 향상된 제 2공기 안내성능을 갖추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충분한 수관벽 배선이 구비되어 순환유동상에서 물 및 증기 배선의 균형이 잡힌 제 2공기 플레넘을 형성하는 관들을 유체공학적으로 상호연결시키고, 하나 이상의 주관(主管)이 필요에 따라 각각의 일체성형된 제 2플래넘의 상부와 바닥 한쪽 또는 양쪽에 구비되어 이러한 유체공학적 상호연결을 제공하게 된다. 개구부는 하나 이상의 제 2공기 플레넘의 아래와 위 양쪽에 구비되어 노의 반응로 구역의 전체에 걸쳐 고체가 우수하게 연통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특징은 반응로의 외부벽들 사이에 제 2공기 플레넘이 배치되어 유동상의 중심부에 도달하기 위한 특별한 수단이나 높은 속도 또는 지나치게 큰 노즐이 필요없이 노 및 반응로 구역의 폭을 가로질러 제 2공기를 효과적으로 분배하는 순환유동상 반응로로 초래하게 된다. 이 명세서의 목적을 위해서, 순환유동상 반응로라는 용어는 간결하게 사용되는데, 이 용어는 순환유동상 반응로나 연소기 또는 보일러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열이 생성되는 수단으로 작용하는 순환유동상 연소기를 사용하는 증기발전기나 보일러에 적합하게 된다. 이 용어는 순환유동상 반응로 구역이 연소공정과는 다른 화학반응에 사용되거나, 그 밖에 일어나는 연소공정으로부터의 기체 및 고체 혼합물이 추가적인 처리를 위해 반응로 구역에 공급되거나, 상기 반응로가 입자나 고체들이 반드시 연소공정의 부산물이 아닌 기체내에서 비말동반되는 구획을 단지 구비하는 장치들도 포함한다. 따라서, 순환유동상 반응로라는 용어는 화학 및 물리적 공정을 포함하는 다양한 공정을 위한 순환유동상 연소기와 순환유동상 반응로 모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앞벽과 이 앞벽으로부터 멀리 이격된 뒷벽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획되는 반응로 구역과, 앞벽과 뒷벽 사이에 연결된 바닥벽, 상기 구획의 순환상을 유동화시키는 바닥벽을 통해 제 1공기를 공급하는 수단 및, 상기 구획의 상부로부터 반응로 구역의 하부까지 상재료(bed material)를 재순환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순환유동상 반응로를 제공한다. 제 2공기 플레넘 수단은 앞벽과 뒷벽 사이의 구획에 구비되어, 바닥벽 위의 유동상으로 제 2공기를 공급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앞벽과 뒷벽 모두를 통해서 구획의 앞벽이나 뒷벽으로부터, 또는 반응로 구간의 바닥부로부터 플레넘으로 제 2공기를 공급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기체와 유동화된 상재료가 수관벽을 통해 한쪽 구획으로부터 다른쪽 구획으로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를 구비한 수관벽의 관밖으로 플레넘을 형성하는 수단을 이룬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대체로 중심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 2공기 플레넘을 구비하면서, 설계상 간단하고 구조적으로 단단하며 제조하기에 경제적인 순환유동상 반응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특징짓는 새롭고 다양한 특징들이 이 명세서의 일부를 이루면서 부가된 청구항들에 상세히 나타나 있다. 본 발명과 그 작동의 장점 및 이를 사용함으로써 얻는 특정한 이득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과 명세서를 참조로 한다.
일반적으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는 바, 여러 도면들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부재들을 나타낸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은 참조번호 10으로 표시된 순환유동상 반응로를 구비하는데, 이는 수관벽으로 이루어진 앞벽(12)과 역시 수관벽으로 된 뒷벽(14)을 갖춘 노의 반응로 구역(11)을 갖추고 있다. 수관벽이나 벽막은 구역을 둘러싸면서 이 구역으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열교환기구로 작용하는 연소기나 보일러용 관이나 필러(filler)부분의 공지된 구조이다. 노의 반응로 구역벽은 전형적으로 수관벽면 구조물인 한편, 유체역학적으로 냉각되지 않는 설비인 내화물과 같은 다른 구조물은 외부의 앞벽 및 뒷벽과 측벽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노의 반응로 구역(11)은 다수의 노즐(18)을 수용하는 바닥벽(16)도 구비하는데, 상기 노즐(18)은 연소 및 유동하는 제 1공기를 상기 바닥벽(16) 아래에 구획된 바람통(20)으로부터 노의 반응로 구역(11)의 바닥으로 분사한다. 재순환용 도관(22)과 참조번호 24로 표시되고 개략적으로 도시된 분리기나 이와 유사한 추가적인 기구의 형태로 된 입자 재순환수단이 노의 반응로 구역(11)의 상부와 복귀라인(26)에 연결되어 노의 반응로 구역(11)의 상부로부터 적어도 약간의 고체재료를 되돌려 보내는데, 순환유동상을 이루는 기체와 고체를 노의 반응로 구역(11)의 하부위치로 되돌려 보내어서 순환유동상 배치를 형성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8 내지 도 10에서, 각 도면의 왼쪽은 앞벽으로 간주되고, 오른쪽은 뒷벽으로 간주되며, 측벽은 도면의 평면에 놓여 있다.
본 발명은 대체로 노의 반응로 구역(11)의 중심을 따르면서 두개의 분리된 부분으로 노의 반응로 구역(11)을 물리적으로 분리하지 않고 일체로 성형된 하나 이상의 제 2공기용 플레넘(30)을 제공한다. 이 플레넘(30)은 바람직하기로 노의 반응로 구역(11)의 좌우로 개방된 채널(channel)이나 플레넘을 형성하는 관막패널 (32)로 이루어진다. 이 패널은 필요에 따라 단면이 다이아몬드형이나, 정사각형, 직사각형, 타원형, 원형, 또는 다른 형상을 갖춘 플레넘(30)을 형성할 수 있는 바, 제 2공기가 이를 통해 흐르면서, 각 플레넘(30)에 유체공학적으로 연결되며 노의 반응로 구역(11)의 폭을 가로질러 구비되는 제 2공기용 노즐(31)을 따라 양쪽 반대방향으로 분배되어 단일노의 반응로 구역(11)의 앞벽(12)과 뒷벽(14) 양쪽으로 통과하기에 충분한 개방영역을 갖추고 있다. 모든 도면에서, 제 2공기는 플레넘(30)에 의해 화살표(B)에서 공급되며, 주관에 의해 앞벽(12)과 뒷벽(14)의 화살표(C)에서 공급된다.
플레넘의 벽막(32)을 형성하는 관은 노의 반응로 구역(11)의 앞과 뒷부분 사이에서 기체와 고체의 우수한 연통을 위한 다수의 개구부를 갖춘 단일한 막패널이나 간헐적인 벽막(패널) 또는 개별적인 관들로 이루어진다. 이 수관벽의 배선은 플레넘(30)의 바닥 또는 하부(36)를 갖춘 노의 밑바닥(17) 아래에 위치된 입구주관 또는 공급주관(34)을 연결시킨다.
상기 플레넘을 형성한 후 출구의 얇은 관(38)은 노의 반응로 구역(11)의 앞과 뒷부분 사이에서 기체와 고체의 우수한 연통을 위한 다수의 개구부를 갖춘 단일한 벽막의 관패널이나 간헐적인 벽막(패널) 또는 개별적인 관들로 다시 이루어진다. 화살표(A)는 이들 벽막관의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의 상기 기체와 고체의 유체공학적인 연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벽막의 배선은 출구주관 또는 노의 지붕 위의 주관(도시되지 않음)을 갖춘 플레넘(30)의 상부를 연결시킨다. 이에 의해서, 제 2공기 플레넘은 노의 반응로 구역(11)내의 고온의 환경을 견딜 수 있는 유체냉각 구조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들 사이의) 벽을 통하는 다수의 개구부는 상부와 하부 사이에서 노의 반응로 구역(11)의 앞부분과 뒷부분 사이에서 고체의 우수한 연통과 이동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 2공기의 통과는 노의 반응로 구역(11)의 하부 노(또는 상부 노)를 물리적으로 두개의 부분으로 분리하지 않고서, 공기가 전체 노깊이의 약 절반으로 되는 노깊이를 가로질러 통과하는 데에 필요한 거리를 분할함으로써 향상된다. 사실상, 본 발명은 노깊이가 공기노즐 크기와 공기분출속도에 관련된 음향공학적 실시의 방해없이 효과적인 제 2공기통과와 더불어 두배로 되는 한편, 연소와 다른 작동요소의 우수한 제어를 위한 단일한 유동상을 효과적으로 유지한다.
도 2는 번갈아 하는 플레넘(30)의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여기서 이 플레넘 (30)은 길게 늘어난 다이아몬드 형상이며, 입구주관(42)과 출구주관(43)을 구비할 수 있다. 입구주관(42)이 출구주관(43) 없이, 또는 그 반대로 구비될 수 있으며, 어떤 장치에서 양쪽 주관(42,43)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플레넘(30)의 위나 아래에 관들이 다른 간격으로 용이하게 이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기본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공기는 플레넘(30)의 끝에서부터 일체성형된 플레넘(30)으로 공급된다. 보다 넓은 노에서, 이러한 플레넘(30)의 길이는 필요한 크기 이상으로 증가되어 필요에 따라 플레넘(30)을 통해 공기속도를 유지하여서, 순환유동상 반응로의 폭을 가로질러 위치된 노즐(31)로 우수한 공기분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아래에 설명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별한 벽막배선에 의해서, 유체냉각되는 관으로 이루어진 중간의 공기공급덕트(44)는 노의 반응로 구역(11)의 폭을 가로질러 간격을 두고 위치될 수 있다. 이 추가적인 실시예는 플레넘(30)의 제 2공기 속도가 상기 플레넘(30)의 공기가 단지 끝에서부터 공급되면 보다 작은 단면적의 공기흐름을 갖는 플레넘(30)으로 우수한 공기분배에 대해 알맞은 값으로 유지되게 할 수 있다. 즉, 필요할 때 중간의 공기공급덕트(44)를 추가함으로써, 플레넘(30)의 공기흐름의 단면적과 형상은 우수한 제 2공기의 분배가 유지되는 동안 노의 전체 폭에 대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플레넘(30) 설계의 표준화에 이르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은 복수의 제 2공기 플레넘(30)이 구비되는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을 도시하는데, 이전과 같은 참조번호가 사용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의 공기공급덕트(44)는 노의 반응로 구역(11)을 통해 위쪽으로 연장하여 각 플레넘(30)에 제 2공기를 공급한다. 주관들(42,43)은 경우에 따라서 각 플레넘(30)의 하부끝과 상부끝에 구비되거나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제 2공기는 도시된 것처럼 입구플레넘(50)을 매개로 중간의 공기공급덕트(44)에 바람직하게 공급될 수 있으며, 하부플레넘(30)으로부터의 중간의 공기공급덕트(44)의 짧은 연장부는 상기 제 2공기를 상부플레넘(30)으로 공급한다. 도 7도 중간의 공기공급덕트(44)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어떻게 배치되는지를 도시하고 있는 바, 상부플레넘(30)과 중간의 공기공급덕트(44)의 짧은 연장부를 보이도록 하기 위해서는 무시해도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노의 반응로 구역(11)의 앞벽(12)과 뒷벽(14)은 안쪽으로 경사져 있어서 노의 반응로 구역(11)의 하부가 상부보다 작게 되어 있다. 순환유동상의 역학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으면 이러한 변형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추가적인 벽의 형태가 점선(13)으로 표시되어 있다.
끝으로, 도 9와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일체성형된 제 2공기 플레넘의 개념이 더 크고 더 깊은 순환유동상 반응로 구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 9는 도 3과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이면서 조합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일체성형된 제 2공기 플레넘(30)은 도 5처럼 하나 위에 다른 것이 위치되는 것 대신에, 나란히 구비될 수 있다. 각 일체성형된 제 2공기 플레넘(30)은 그 고유한 일련의 독립적인 중간의 공기공급덕트(44)를 매개로 제 2공기가 공급된다. 유사하게 도 10은 도 5의 변형이면서, 복수의 쌍으로 된 일체성형된 제 2공기 플레넘(30)이 나란히 구비될 수도 있음을 도시하는 바, 각 쌍은 하부와 상부의 일체성형된 제 2공기 플레넘(30)으로 이루어진다. 다시, 도 5의 경우에서와 같이, 각 쌍의 하부의 일체성형된 제 2공기 플레넘(30)은 중간의 공기공급덕트(44)를 매개로 공기가 공급되고, 도 7과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바와 같이, 각 쌍의 상부의 일체성형된 제 2공기 플레넘(30)은 상기 하부의 일체성형된 제 2공기 플레넘에 연결된 전술한 중간의 공기공급덕트의 짧은 연장부(44)를 매개로 공기가 공급된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들이 상세히 설명되고 도시되어 본 발명의 원리가 적용됨을 도시하고 있는 한편, 본 발명은 이러한 원리로부터 벗어남 없이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반응로의 외부벽들 사이에 제 2공기 플레넘이 배치되어 유동상의 중심부에 도달하기 위한 특별한 수단이나 높은 속도 또는 지나치게 큰 노즐이 필요없이 노 및 반응로 구역의 폭을 가로질러 제 2공기를 효과적으로 분배하도록 하여서, 설계상 간단하고 구조적으로 단단하며 제조하기에 경제적인 순환유동상 반응로를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0)

  1. 앞벽과, 이 앞벽으로부터 멀리 이격된 뒷벽 및, 상기 앞벽과 뒷벽 사이에 연결된 바닥벽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획되는 노의 반응로 구역과; 이 노의 반응로 구역에서 순환상을 유동시키도록 바닥벽을 통해 제 1공기를 공급하는 수단; 상기 순환상을 노의 반응로 구역의 상부로부터 그 하부로 되돌려 재순환시키는 수단 및; 바닥벽 위의 유동화된 순환상으로 제 2공기를 공급하도록 노의 반응로 구역에 적어도 하나의 일체성형된 제 2공기 플레넘을 구획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순환유동상 반응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의 반응로 구역은 측벽을 구비하는데, 적어도 하나의 일체성형된 제 2공기 플레넘이 이들 측벽 사이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유동상 반응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의 바닥에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면서 적어도 하나의 일체성형된 제 2공기 플레넘과 연통하는 중간의 공기공급덕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유동상 반응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일체성형된 제 2공기 플레넘의 단면과 중간의 공기공급덕트의 단면은 정사각형과, 직사각형, 타원형, 원형 및,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선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유동상 반응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일체성형된 제 2공기 플레넘을 구획하는 수단은 노의 반응로 구역에 대체로 수직하게 연장하는 수관벽을 구비하는데, 이 수관벽은 다수의 개구부를 갖추어 한쪽의 수관벽에서부터 다른쪽으로 이를 통해 기체와 고체를 연통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유동상 반응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벽 위의 유동화된 순환상으로 제 2공기를 공급하는 노의 반응로 구역의 적어도 하나의 일체성형된 제 2공기 플레넘을 구획하는 수단은 복수의 일체성형된 제 2공기 플레넘과, 이 일체성형된 제 2공기 플레넘과 연통하는 중간의 공기공급덕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유동상 반응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일체성형된 제 2공기 플레넘은 하나의 제 2공기 플레넘 위에 다른 제 2공기 플레넘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유동상 반응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일체성형된 제 2공기 플레넘은 나란히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유동상 반응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벽 위의 유동화된 순환상으로 제 2공기를 공급하는 노의 반응로 구역의 적어도 하나의 일체성형된 제 2공기 플레넘을 구획하는 수단은 복수의 쌍으로 된 일체성형된 제 2공기 플레넘과, 각 쌍의 적어도 하나의 일체성형된 제 2공기 플레넘과 연통하는 중간의 공기공급덕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유동상 반응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쌍에서 각 쌍의 일체성형된 제 2공기 플레넘은 하나의 제 2공기 플레넘 위에 다른 제 2공기 플레넘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유동상 반응로.
KR10-1999-7004885A 1996-12-03 1997-12-02 일체성형된 제 2공기 플레넘을 갖춘 순환유동상 반응로 KR1004638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759,885 US5836257A (en) 1996-12-03 1996-12-03 Circulating fluidized bed furnace/reactor with an integral secondary air plenum
US08/759,885 1996-12-03
US8/759,885 1996-1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9269A true KR20000069269A (ko) 2000-11-25
KR100463865B1 KR100463865B1 (ko) 2004-12-29

Family

ID=25057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4885A KR100463865B1 (ko) 1996-12-03 1997-12-02 일체성형된 제 2공기 플레넘을 갖춘 순환유동상 반응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5836257A (ko)
KR (1) KR100463865B1 (ko)
CN (1) CN1166890C (ko)
AU (1) AU6432498A (ko)
BG (1) BG63703B1 (ko)
CA (1) CA2272888C (ko)
CZ (1) CZ293409B6 (ko)
ES (1) ES2189574B2 (ko)
ID (1) ID17712A (ko)
PL (1) PL334085A1 (ko)
RU (1) RU2217660C2 (ko)
TW (1) TW418311B (ko)
UA (1) UA55430C2 (ko)
WO (1) WO199802507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7635B (fi) * 1997-02-25 2006-12-29 Kvaerner Power Oy Soodakattila
US6029612A (en) 1997-07-07 2000-02-29 Foster Wheeler Energia Oy Fluidized bed reactor
JP3595435B2 (ja) * 1997-08-04 2004-12-0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粒子移動量制御装置
FI105499B (fi) 1998-11-20 2000-08-31 Foster Wheeler Energia Oy Menetelmä ja laite leijupetireaktorissa
DE10051465A1 (de) 2000-10-17 2002-05-02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Halbleiterbauelements auf GaN-Basis
TWI289944B (en) 2000-05-26 2007-11-11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Light-emitting-diode-element with a light-emitting-diode-chip
FR2837561B1 (fr) 2002-03-25 2004-05-21 Alstom Switzerland Ltd Foyer de chaudiere a lit fluidise comprenant deux soles separees par un entrejambe
BRPI0517791B1 (pt) * 2004-11-12 2015-08-11 Babcock & Wilcox Co Grade de distribuição de sncr
FR2884900B1 (fr) 2005-04-26 2007-11-30 Alstom Technology Ltd Reacteur a lit fluidise avec double extension de paroi
CN101225954B (zh) * 2008-01-07 2010-06-23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内凹式循环流化床锅炉二次风供风方法及其装置
US8622029B2 (en) 2009-09-30 2014-01-07 Babcock & Wilcox Power Generation Group, Inc. Circulating fluidized bed (CFB) with in-furnace secondary air nozzles
CN102466223B (zh) * 2010-10-29 2014-08-20 中国科学院工程热物理研究所 一种循环流化床锅炉
CN102605171B (zh) * 2012-03-13 2013-10-09 彭武星 一种用于提炼五氧化二钒的脱碳及焙烧装置
CN102997231B (zh) 2012-12-31 2015-06-24 中国科学院工程热物理研究所 大型循环流化床锅炉、布风装置和布风装置组件
EA029071B1 (ru) * 2013-04-10 2018-02-28 Оутотек (Финлэнд) Ой Теплообменник с псевдоожиженным слоем
CN104344401B (zh) * 2013-08-09 2016-09-14 中国科学院工程热物理研究所 带变截面水冷柱的循环流化床锅炉炉膛
CN104728856B (zh) * 2013-12-20 2017-03-01 中国科学院工程热物理研究所 梳齿型水冷柱及具有该水冷柱的炉膛
CN105417871A (zh) * 2015-12-11 2016-03-23 广西南宁绿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设有中心回流管的旋流式一体化污水处理装置
CN105485671A (zh) * 2016-01-20 2016-04-13 枣庄矿业(集团)有限责任公司蒋庄煤矿 一种循环流化床风帽增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15881A (en) * 1954-02-03 1955-08-23 Robert J O Hare Incinerator
US4330502A (en) * 1980-06-16 1982-05-18 A. Ahlstrom Osakeyhtio Fluidized bed reactor
FI84855C (fi) * 1986-04-30 1992-01-27 Ahlstroem Oy Virvelbaeddsreaktor.
US4947803A (en) * 1989-05-08 1990-08-14 Hri, Inc. Fludized bed reactor using capped dual-sided contact units and methods for use
DE4005305A1 (de) * 1990-02-20 1991-08-22 Metallgesellschaft Ag Wirbelschichtreak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432498A (en) 1998-06-29
CA2272888A1 (en) 1998-06-11
CZ293409B6 (cs) 2004-04-14
BG63703B1 (bg) 2002-09-30
RU2217660C2 (ru) 2003-11-27
PL334085A1 (en) 2000-01-31
WO1998025074A3 (en) 1998-10-22
CN1166890C (zh) 2004-09-15
WO1998025074A2 (en) 1998-06-11
CA2272888C (en) 2004-04-27
CZ195299A3 (cs) 2000-01-12
ES2189574B2 (es) 2004-03-16
ID17712A (id) 1998-01-22
US5836257A (en) 1998-11-17
TW418311B (en) 2001-01-11
UA55430C2 (uk) 2003-04-15
KR100463865B1 (ko) 2004-12-29
ES2189574A1 (es) 2003-07-01
CN1239541A (zh) 1999-12-22
BG103463A (en) 199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3865B1 (ko) 일체성형된 제 2공기 플레넘을 갖춘 순환유동상 반응로
KR100828108B1 (ko) 내부에 제어가능한 열교환기를 갖춘 순환유동상 보일러
CA2041983C (en) Fluidized bed combustion system and method having an integral recycle heat exchanger with a transverse outlet chamber
CA2154439C (en) Fluidized bed combustion system and method having a multicompartment variable duty recycle heat exchanger
US7194983B2 (en)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EP0518482B1 (en) Fluidized bed combustion system
JP3091245B2 (ja) 流動床反応装置
JPH05231614A (ja) 出入口チャンバ付き一体式再循環熱交換器を備える流動床燃焼装置および方法
EP0289281B1 (en) Fluidized bed reactor
JP2657863B2 (ja) 非機械的固形物制御装置付きの再循環熱交換器を有する流動床燃焼装置および方法
EP0246503B1 (en) Fluidized bed steam generator including a separate recycle bed
EP2361148B1 (en) A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KR100334686B1 (ko) 다중 로구간과 재순환구간을 가지는 유동층 연소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JPH0515923B2 (ko)
US6029612A (en) Fluidized bed reactor
US5678497A (en) Apparatus for distributing secondary air into a large scale circulating fluidized bed
BRPI1003902A2 (pt) leito de circulaÇço fluidificado (cfb) com bocais para escoamento de ar secundÁrio em fornalhas
US6782848B2 (en) Method in connection with a pipe grate for fluidized bed boiler and a pipe grate
US6279513B1 (en) Conversion fluid bed chambe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