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7808A - 제지기의 프레스부용 프레스 패브릭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제지기의 프레스부용 프레스 패브릭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7808A
KR20000067808A KR1019990051233A KR19990051233A KR20000067808A KR 20000067808 A KR20000067808 A KR 20000067808A KR 1019990051233 A KR1019990051233 A KR 1019990051233A KR 19990051233 A KR19990051233 A KR 19990051233A KR 20000067808 A KR20000067808 A KR 20000067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base fabric
press
layer
nonwoven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1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5084B1 (ko
Inventor
페이퀸모리스알.
도노반제임스지.
Original Assignee
실버 챨스 제이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실버 챨스 제이,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실버 챨스 제이
Publication of KR20000067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7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5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50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3/00Press section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7/00Other details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7/08Felts
    • D21F7/083Multi-layer fel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7/00Other details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7/08Fe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2/00Paper making and fiber liberation
    • Y10S162/90Papermaking press fe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08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Landscapes

  • Paper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Bedding Items (AREA)
  • Manufacturing Of Multi-Layer Textile Fabrics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제지기의 프레스부용 프레스 패브릭은 부직포 메쉬 패브릭을 갖는 베이스 패브릭을 구비하며, 이 베이스 패브릭 또는 그 베이스 패브릭 층은 부직포 메쉬 패브릭으로된 스트립을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이 형성과정은 다수의 비중첩 권회 형태로 부직포 메쉬 패브릭을 나선형으로 감고, 부직포 메쉬 패브릭의 각 권회부를 앞서 감긴 다른 인근 권회부와 접촉시켜 결합함으로써 무단루프를 형성한다. 이와는 달리 부직포 메쉬 패브릭으로 되면서 개별적으로 분리된 스트립으로부터 다수의 무단루프를 형성하고 상호 나란하게 접촉시켜 결합함으로써 무단루프 형태로 베이스 패브릭 또는 그 부품을 형성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제지기의 프레스부용 프레스 패브릭 및 그 제조방법{A PRESS FABRIC FOR THE PRESS SECTION OF A PAPER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제지기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제지기의 프레스부용으로 사용되는 프레스 패브릭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지공정 중에, 섬유 슬러리, 즉 셀룰로오스 섬유의 수성 분산질을 제지기의 형성부에서 그 이동하는 형성용 패브릭에 퇴적시켜 셀룰로오스 섬유 웹(web)을 형성한다. 이때 슬러리에서는 다량의 물이 형성용 패브릭을 통해 배수되고 형성용 패브릭의 표면에는 셀룰로오스 섬유 웹이 남게 된다.
새롭게 형성된 이 셀룰로오스 섬유 웹은 형성부에서 프레스부로 진행하며, 이 프레스부에는 일련의 프레스 닙(nip)이 배치되어 있다. 셀룰로오스 섬유 웹은 1개의 프레스 패브릭으로 지지되어 프레스 닙을 통과하거나 또는 종종 2개의 프레스 패브릭 사이에서 지지되어 프레스 닙을 통과하게 된다. 프레스 닙에서는 압착력이 가해지므로 셀룰로오스 섬유 웹에서 수분이 배출되고, 그 결과 웹 형태의 셀룰로오스 섬유가 상호간 부착되어 페이퍼 시트로 된다. 수분은 프레스 패브릭에서 수용되며, 이상적으로는 제조된 페이퍼 시트로 이 수분이 다시 복귀하지 않아야 한다.
페이퍼 시트는 최종적으로 건조부로 진행하며, 이 건조부는 스팀에 의해 내부적으로 가열되는 최소한 일련의 회전가능 건조드럼 즉 원통을 가지고 있다. 새로 제조된 페이퍼시트는 건조부 패브릭에 의해 일련의 드럼에 의해 형성된 구불거리는 통로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건조부 패브릭은 드럼표면에 대해 페이퍼 시트를 밀접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가열된 드럼은 증발을 통해 페이퍼 시트의 수분함량을 목표 레벨 까지 감소시킨다.
형성부용 패브릭, 프레스부용 패브릭 및 건조부용 패브릭 모두 제지기에서 무단루프 형태로 되어 있고, 또한 제지과정은 상당한 속도로 진행하는 연속공정임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즉, 섬유 슬러리는 형성부에서 형성용 패브릭에 연속적으로 퇴적되는 한편, 새롭게 제조된 페이퍼 시트는 롤에 연속적으로 감기면서 이후 건조부를 빠져 나오게 된다.
본 발명은 특히 프레스부에서 사용되는 프레스 패브릭에 관한 것이다. 프레스 패브릭은 제지공정 중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 기능 중 하나는 앞서도 암시한 바와같이 프레스 닙을 통해 제조되는 페이퍼 제품을 지지하고 운반하는 기능이다.
프레스 패브릭은 또한 페이스 시트의 표면을 마무리하는 작업에도 관여한다. 즉, 프레스 패브릭은 평활하면서도 균일한 탄성구조를 가지고 프레스 닙을 통과하는 중에 페이퍼의 표면을 매끄러우면서 자욱이 남지않도록 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또한 가장 중요한 것은 프레스 패브릭이 프레스 닙에서의 습한 페이퍼로부터 추출되는 다량의 물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이 기능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소위 공극율이라 칭하는 공간이 프레스 패브릭 내에 있어야 하고, 패브릭은 그 수명이 다할 때까지 적절한 물투과율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프레스 패브릭은 습한 페이퍼에서 받은 물이 프레스 닙을 빠져나온 페이퍼로 다시 복귀하여 이 페이퍼를 다시 적시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제조될 페이퍼 등급에 따라 제지기의 요구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여러가지 다양한 프레스 패브릭이 제조되었다. 일반적으로 프레스 패브릭은 직조 베이스 패브릭에 미세한 부직포 섬유물질의 배트를 니들링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베이스 패브릭은 모노필라멘트 얀, 겹 모노필라멘트 얀, 멀티필라멘트 얀, 또는 겹 멀티필라멘트 얀으로부터 직조되고, 단일층, 다층 또는 적층으로 형성된다. 얀은 일반적으로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같은 합성중합체 수지 중 하나로부터 추출되며, 제지기용 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사용된다.
직조 베이스 패브릭 자체는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되어 있다. 예를들어 무단으로 처음부터 직조할 수도 있고, 평직으로 직조한 후 이어서 직조 이음매를 이용해 무단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일반적으로 변형 무단직조기술로 알려진 공정을 이용해 제조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베이스 패브릭의 폭방향 에지에는 기기방향(MD : machine direction) 얀을 이용한 이음매루프가 형성된다. 이 변형 무단직조 공정에 있어서, MD얀은 패브릭의 양쪽 폭방향 에지들 사이에서 전후로 연속하여 직조되며, 각 에지에서 다시 반대방향으로 복귀하면서 이음매 루프를 형성하게 된다. 이 기술로 제조되는 베이스 패브릭은 제지기 상의 설치과정에서 무단형태로 되므로 기기상에서 이음가능한 (OMS : on-machine-seamable) 패브릭이라 불리운다. 무단형태로 이 패브릭을 배치할 때 2개의 폭방향에지는 상호 만나게 되어 2개의 에지에서 이음매루프가 상호 맞물리는 형태로 되며, 이와같이 맞물려 형성되는 이음매루프의 통로에 이음매 핀 또는 핀틀이 삽입된다.
또, 직조 베이스 패브릭을 형성된 무단루프 내에 위치시키고, 인조 섬유 배트를 양쪽 베이스 패브릭에 니들링하여 함께 결합할 수도 있다. 하나 또는 양쪽의 직조 베이스 패브릭은 OMS 타입일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이든지 직조 베이스 패브릭은 무단루프 형태로 되거나 루단루프 형태로 이음이 가능하게 되고, 루프둘레로 측정된 특정한 길이 및 횡방향으로 측정된 특정한 폭을 가지고 있다. 제지기의 구성이 광범위하게 다양하므로 제지기 천 제조자는 그 고객의 요구에 따라 제지기의 사양에 맞게 적절한 프레스 패브릭을 제조해야할 필요가 있다. 말할필요도 없이 이 고객의 요구에 따라 프레스 패브릭의 제조 주문을 받기 때문에 제조공정을 합리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밖에 없다.
다양한 길이와 폭으로 프레스 패브릭을 보다 신속하고도 효율성있게 제조하기 위해 프레스 패브릭은 미국특허 제5, 360, 656호(Rexfelt 외 다수인 출원) 개시된 나선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되어 왔다. 본 발명은 이 참증을 여기에 참고자료로 인용한다.
미국특허 제5, 360, 656호의 프레스 패브릭은 인조 섬유물질이 니들링된 하나 이상의 층을 갖는다. 이 베이스 패브릭이 갖는 최소한 하나이상의 층은 직조패브릭으로된 나선으로 감긴 스트립으로 구성되며, 이층은 베이스 패브릭의 폭보다는 작다. 베이스 패브릭은 길이 즉 기기방향(MD방향)으로 무단형태가 된다. 나선형으로 감긴 스트립의 길이방향 실은 프레스 패브릭의 길이방향과 일정한 각도를 갖는다. 직조 패브릭의 스트립은 직기 상에서 평직이될 수도 있으며, 이 직기는 제지기 천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것 보다는 폭이 좁다.
이 베이스 패브릭은 상대적으로 좁은 직조 패브릭 스트립으로된 다수의 나선형 결합의 귄선을 갖는다. 패브릭 스트립은 길이방향 얀(날실) 및 횡방향 얀(충진 얀)을 갖는다. 나선으로 감긴 패브릭 스트립의 인근 권선들은 상호 접할 수도 있으며, 이때 생성되는 나선으로 연속하는 이음매가 재봉, 스티칭, 용융 또는 용접으로 폐쇄된다. 이와는 달리 인접 나선형 권선의 에지 부분이 상호 중첩될 수도 있으며, 이때 중첩되는 부분은 두께가 상대적으로 적어 중첩된 부분의 두께를 상승시키지 않아야 한다. 또, 길이방향 얀들 사이의 공간을 스트립의 에지에서 증대시킬 수도 있는데 이 경우는 인근 나선형 권선이 중첩될 때 중첩된 영역에서 길이방향 실들 사이에 공간의 변화가 없게된다.
어떠한 경우이든지 직조 베이스 패브릭은 무단루프 형태로 내면을 가지고 길이(기기)방향 및 횡(교차기기)방향을 가지게 된다. 직조 베이스 패브릭의 측면 에지는 이후 다듬용 절단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양측면은 길이(기기)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된다. 직조 베이스 패브릭과 나선으로 연속하는 이음매 사이의 각도는 상대적으로 작을 수도 있으며, 통상적으로는 예를들어 10°이하가 된다. 또한 직조 패브릭 스트립의 길이방향 얀(날실)은 직조 베이스 패브릭의 길이방향(기기방향)에 대해 동일하게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로 위치한다. 유사하게, 길이방향 얀(날실)에 수직한 직조 패브릭 스트립의 교차방향 얀(충진 얀)도 동일하게 직조 베이스 패브릭의 횡방향(교차기기방향)에 대해 동일하게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로 위치한다. 간단히 말하면 길이방향 얀(날실)과 횡방향 얀(충진 얀) 모두 직조 베이스 패브릭의 길이방향(기기방향) 또는 횡방향(교치기기방향)과 정렬되지 않는다.
미국특허 제 5, 360, 656호에 개시된 방법에 있어서, 직조 패브릭 스트립은 2개의 평행한 롤 둘레에 감겨 직조 베이스 패브릭을 구성한다. 다양한 폭과 길이로되는 무단 베이스 패브릭이 형성은 2개의 평행한 롤 둘레에 상대적으로 좁은 폭의 직조 패브릭 스트립 편을 나선형으로 감아서 이루어지며, 특히 무단 베이스 패브릭의 길이는 직조 패브릭 스트립의 각 나선형 권선의 길이에 의해 결정되고, 나선형 권선의 권회수로 결정된다. 이 경우 주문에 의해 특정 길이 및 폭을 갖는 직조가 완료된 베이스 패브릭을 미리 제조할 필요가 없어진다. 대신 20인치(0.5m)의 좁은 폭으로된 직기가 사용되여 직조패브릭 스트립을 제조하지만 실용적인 이유로 종래의 40-60 인치 폭의 직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말할 필요도 없이, 특허 제5, 360, 656호에서 제안한 방법은 직조 베이스 패브릭의 조립과는 분리된 공정으로 직조 패브릭 스트립을 제조해야만 한다. 여전히 제지기 천의 제조자는 프레스 패브릭의 공정을 합리화하는 것에 고심하고 있으며, 그 주안점은 직조 패브릭 스트립을 부직포물질의 스트립으로 대체하여 직조공정을 함께 제거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말할 필요도 없이 부직포 물질의 스트립 제조에는 직조 패브릭 스트립의 제조에 비해 당위 길이당 시간소비가 감소하면서도 더욱 효율성을 가지고 있다.
미국특허 제4, 427, 734호(Johnson 출원)(여기에 참조기술로 인용함)는 인터위브(interweave) 직조 얀의 베이스 페브릭과 조직물섬유로된 다수의 부직포 층을 가지고 있으며, 각 부직포층은 인근층에 상호 부착되고, 집합적으로 니들링으로 베이스 패브릭에 부착된다. 합성 조직물섬유의 부직포층 간에는 메쉬 패브릭 층이 개재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메쉬 패브릭은 부직포 메쉬 패브릭으로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사출성형 기술에 의해 조직된다. 부직포 메쉬 패브릭은 모노필라멘트 등의 리브 또는 얀의 네트형 구조를 가지며, 이 리브 또는 얀은 부직포 메쉬 패브릭의 스트립의 길이방향 및 교차방향으로 배향된다.
미국특허 제4, 798, 760호 및 제4,830,915호는 부직포 메쉬 패브릭 층을 한층 이상 가지고 있는 프레스 패브릭을 제안하고 있다. 전자는 프레스 패브릭에 직포 베이스 패브릭을 포함하고, 후자의 경우는 직포가 없다.
이들 종래 기술의 부직포 메쉬 패브릭은 프레스 패브릭에 추가의 공극율을 제공하고 형성된 층이 보다 탄성적이어서 직조 패브릭으로 형성된 것 보다 콤팩트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 직조 패브릭의 표면특성을 결정하는 넉클(관절마디와 같은 마디부분, 즉 우둘툴툴한 부분)이 적어 프레스 패브릭의 최상부 즉 페이퍼 접촉층이 평활하고 자욱이 없는 페이퍼시트를 제조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150 인치(3.8m) 이상의 폭에서 유용성이 적어 부직포 메쉬 패브릭을 프레스 패브릭에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는 반면, 프레스 패브릭 자체는 400 인치(10.2m) 이상의 폭에서 사용이 용이하다.
본 발명은 부직포 메쉬 패브릭을 함께 결합하여 제지기용 프레스 패브릭의 부품으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제지기의 프레스부용으로 사용되는 프레스 패브릭을 제조하는 방법과, 이 방법을 통해 얻어지는 프레스 패브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패브릭은 부직포 메쉬 패브릭으로된 스트립을 함께 결합하여 기기방향, 교차기기방향, 내면 및 외면을 갖는 무단루프로 되며, 이 무단루프는 자체로 베이스 패브릭으로 사용되거나 적층형 베이스 패브릭의 한 부분품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부직포 메쉬 패브릭으로된 스트립으로부터 베이스 패브릭을 제조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다. 그 중 한가지 방법에 있어서는 부직포 메쉬 패브릭 스트립을 비중첩 권회 형태로 나선형으로 감고, 나선형으로 감긴 부직포 메쉬 패브릭 스트립의 각 권회부를 미리 감긴 인근 권회부와 접촉시키고, 이 접촉부분을 재봉, 스티칭, 용융 또는 용접으로 결합한다. 이 경우 내면, 외면, 길이방향 및 횡방향을 갖는 무단루프 형태로 부직포 메쉬 패브릭 스트립 보다 큰 폭의 베이스 패브릭이 형성된다.
두번째 방법에 있어서는 다수의 부직포 메쉬 패브릭 스트립으로 동일한 소정 길이의 무단루프를 다수 형성한다. 다수의 무단루프를 상호 나란한 관계로 접촉시켜 배치하고 접촉된 부분을 재봉, 스티칭, 용융 또는 용접으로 결합한다. 이 경우도 내면, 외면, 길이방향 및 횡방향을 갖는 무단루프 형태로 부직포 메쉬 패브릭 스트립 보다 큰 폭의 베이스 패브릭이 형성되며, 첫번째 방법과 차이점은 부직포 메쉬 패브릭 스트립이 나선형으로 감기는 방식이 아니라 길이방향으로 배향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프레스 패브릭용 베이스 패브릭을 제조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개략평면도.
도 2는 마무리된 베이스 패브릭의 평면도.
도 3은 부직포 메쉬 패브릭의 평면도.
도 4는 프레스 패브릭용 베이스 패브릭을 제조하는 또다른 방법을 예시하는 개략 평면도.
다음에,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부직포 메쉬 패브릭을 에지 대 에지로 결합하여 제지기의 프레스 패브릭의 베이스 패브릭 또는 베이스 패브릭의 부품으로서 사용될 무단루프를 조립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평면개략도이다. 이 방법을 실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장치의 예로는 제1롤(12) 및 제2롤(14)을 구비하는 도 1의 장치(10)를 들 수 있으며, 여기서 제1롤(12)과 제2롤(14)은 상호 평행하고 도1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스트립 형태의 부직포 메쉬 패브릭(16)이 스트립 공급롤(18)에서 풀려나와 제1롤(12)과 제2롤(14)에 연속하여 나선형으로 감긴다. 부직포 메쉬 패브릭(16)이 제1롤(12) 및 제2롤(14)에 감김에 따라 스트립 공급롤(18)은 제2롤(14)을 따라 적절한 속도로 이동(즉 도 1에서 볼때 우측으로 이동)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제1롤(12) 및 제2롤(14)은 간격D 만큼 분리되어 있으며, 이것은 제조될 패브릭 또는 그 부품의 요구사양에 따른 전체길이C에 의해 결정되며, 이 전체길이C는 무단루프 형태에서 둘레에 따른 길이방향(기기방향)으로 측정된 것이다. 폭W를 갖는 부직포 메쉬 패브릭(16)은 스트립 공급롤(18)로부터 나선형태로 수회의 권회를 거쳐 이루어지게 된다. 부직포 메쉬 패브릭(16)의 연속적인 권선은 그 에지들이 상호 접촉하게 되어 재봉, 스티칭, 용융 또는 용접에 의해 나선형의 이음매(20)로 부착된다. 목표 폭W에 도달한 베이스 패브릭을 생성할 정도로 부직포 메쉬 패브릭(16)의 권회수가 충분히 되면 나선권회작업이 종료되며, 여기서 폭W은 베이스 패브릭(22)의 무단루프 형태를 가로지르는 횡방향(교차기기방향)으로 측정되는 길이를 말한다. 이와같이 얻어진 베이스 패브릭(22)은 내부면, 외부면, 기기방향 및 교차기기방향이 확정된다. 이와같이 형성된 베이스 패브릭(22)의 측면 에지는 기기방향에 대해 평행하지 않으므로 라인(24)을 따라 다듬질용 절단작업을 해야만 목표 폭W을 가지면서 루프형태로 될 때 기기방향에 대해 평행한 2개의 측면에지가 이루어지는 베이스 패브릭(22)이 완성된다.
부직포 메쉬 패브릭(16)은 미국특허 제4, 427, 734호(Johnson 출원, 본 출원의 참조문헌)에 개시된 바와같이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3에 부직포 메쉬 패브릭(16)의 평면도를 나타냈다. 부직포 메쉬 패브릭(16)은 메쉬를 형성하는 리브 또는 얀으로된 네트형 구조를 가지고 있다. 부직포 메쉬 패브릭(16)을 구성하는 모노 필라멘트형 엘리멘트는 길이방향 및 횡방향으로 각각 배향되며, 부직포 메쉬 패브릭의 길이방향 및 횡방향에 대각선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부직포 메쉬 패브릭(16)은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사출성형 등으로 조직된다.
모노필라멘트형 엘리멘트(26)(28)의 폭과 직경은 0.1mm - 0.5mm 범위에서의 폭과 직경을 가지지만 1.0mm 의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또, 모노필라멘트형 엘리멘트(26)(28)는 각각 다른 폭과 직경을 가질 수도 있다.
또, 모노필라멘트형 엘리멘트(26)(28)의 단면형상은 원형, 사각형, 또는 직각형 등으로 할 수 있으며, 대표적인 사각형의 치수는 예를들어 0.5mm(넓이) 바이 0.2(두께)이다. 마지막으로 모노필라멘트형 엘리멘트(26)(28)는 각각 0.1mm - 2.0mm 범위의 간격으로 인근하여 배치된다.
부직포 메쉬 패브릭(16)은 나선형으로 감겨 베이스 패브릭(22)을 조립하므로 부직포 메쉬 패브릭(16)을 구성하는 모노필라멘트형 엘리멘트(26)(28)는 베이스 패브릭(22)의 기기방향및 교차기기방향과 정렬되지 않는다. 도 2의 평면도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부직포 메쉬 패브릭(16)의 길이방향 모노필라멘트형 엘리멘트(26)는 베이스 패브릭(22)이 기기방향에 대해 약간의 각도θ를 가지며, 이 각도의 크기는 부직포 메쉬 패브릭의 나선권선의 피치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이 각도는 전술한 바와같이, 통상적으로는 10°이하이다. 길이방향 및 횡방향 모노필라멘트형 엘리멘트(26)(28)는 일반적으로 90°로 상호 교차하므로 횡방향 모노필라멘트형 엘리멘트(28)는 베이스 패브릭(22)의 교차기기방향에 대해 동일한 작은 각도θ를 갖는다.
부직포메쉬 패브릭(16)의 제1측방향 에지(30) 및 제2측방향 에지(32)는 함께 부직포 메쉬 패브릭(16)의 폭w을 형성한다. 부직포 메쉬 패브릭(16)이 제1롤(12) 및 제2롤(14)에 나선형으로 감김에 따라 각 권회부의 제1측방향에지(30)가 바로 선행하는 권회부의 제2측방향에지(32)와 접하며, 이 접하는 부분은 재봉, 스티칭, 용융 또는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부직포 메쉬 패브릭(16)은 나선형이 아니라 수직방향으로 제1롤(12) 및 제2롤(14)에 대해 감겨서 루프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방법의 경우는 폭w의 무단루프가 형성되며, 역시 그 단부가 재봉, 스티칭, 용융, 용접에 의해 상호 부착되는데 부착 중에는 그 단부를 임시로 고정하게 된다. 단부는 부직포 메쉬 패브릭(16)의 횡방향 또는 길이방향과 횡방향 사이의 방향 즉 치우쳐진 방향으로 절단될 수 있다. 폭W의 베이스 패브릭을 제조하기 위해 폭w를 갖는 다수의 무단루프(40)를 제1롤(12) 및 제2롤(14) 둘레에 감아서 형성하며, 각 무단루프는 옆에 있는 다른 무단루프와 나란히 접하며, 그 길이방향 에지(42)는 인근하는 다른 에지와 재봉, 스티칭, 용융, 용접으로 부착된다. 무단루프(40)를 형성하기 위해 부직포 메쉬 패브릭(16)의 양단에 결합하는 이음매(44) 방향은 제조될 베이스 패브릭의 기기방향에 대해 경사진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경사진 형태가 되어야 교차기기방향으로 연속하는 이음매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 공정은 부착된 무단루프(40)들의 전체 폭이 베이스 패브릭에 필요한 폭(W) 이상이 될때 까지 지속되며, 폭(W)은 각 무단루프(40)의 폭(w)의 정수배가 된다. 얻어진 폭이 목표를 초과하면 부착된 무단루프들의 측면에지를 기기방향으로 다듬질용 절단을 하여 목표값의 폭(W)으로 형성한다.
나선형으로 감기거나 길이방향으로 감기거나 관계없이 부직포 메쉬 패브릭으로 제조된 베이스 패브릭은 상하로 또는 루프 내부에 끼워져 직조 엘리멘트가 없는 적층형 베이스 패브릭이 된다. 즉, 각 층은 장치(10)에 미리 조립된 층 위에 다시 적층되며, 그 적층 개수는 특별히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 패브릭이 적층될 때 각 층은 서로 다른 열가소성 수지 또는 서로 다른 그물코 값을 갖는 부직포 메쉬 패브릭(16)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또, 적층된 베이스 패브릭이 2개의 나선형으로 감긴 층을 가질 때 이 층들 중 하나를 일방향으로 하여 부직포 메쉬 패브릭(16)을 나선형으로 감아서 형성하고, 다른 층 하나를 다른 방향으로 하여 나선형으로 감아서 형성하면 한층은 우방향 나선형으로 되고, 다른 하나는 좌방향 나선형으로 된다.
또, 적층된 베이스 패브릭이 2개의 길이방향으로 감은 층을 가질 때 한층에서 길이방향 에지(42)들 간에 형성되는 이음매는 다른 층의 이음매와 중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층들 간을 약간 어긋나게 하거나 2개층 각각에 대해 다른 폭을 갖는 부직포 메쉬 스트립(16)을 이용하면 길이 방향 에지(42) 들간의 이음매는 상호 중첩하지 않게 된다.
어떤 경우이든지 부직포 메쉬 패브릭으로 부터 이루어진 단일층 베이스 패브릭 또는 적층된 베이스 패브릭의 한쪽 또는 양쪽 표면에는 니들링에 의해 인조 섬유물질을 다수층으로 부착할 수 있다. 베이스 패브릭이 적층된 경우 인조 섬유물질은 각각의 베이스 패브릭층들 사이를 부착하는 작용을 한다. 또, 베이스 패브릭이 적층된 경우 인조 섬유물질 층들 중 하나 이상을 인접하는 층들 사이에 협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프레스 패브릭은 그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도 여러가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부직포 메쉬 패브릭을 길이방향으로 나선형으로 감아서 하나 이상의 층을 형성한 것에 더하여 하나 이상의 표준 베이스 패브릭을 추가할 수도 있다. 즉, 기기방향 얀 및 교차기기방향 얀으로된 패브릭으로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추가로 하나 이상의 층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이 패브릭은 제지기의 사양에 맞는 치수로 무단직조할 수도 있고, 평직으로 제조한 후 이음매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이 패브릭을 변형무단직조기술을 이용하여 기기상에서 무단으로 형성가능하게(OMS : on-machine-seamale) 제조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표준 베이스 패브릭을 갖는 적층 패브릭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 한쌍의 롤 둘레에 다수의 권회에 의해 직조 패브릭 스트립을 나선으로 감고 이 나선으로 감긴 인근 권회부를 상호 접촉시키고 미국특허 제5, 360, 656호의 방법으로 재봉, 스티칭, 용융 또는 용접에 의해 형성된 나선형 이음매로 폐쇄시켜 추가로 하나 이상의 층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부직포 메쉬 패브릭이 갖는 높은 공극율과 탄성을 가지면서도 어떠한 치수의 주문형 제작에 언제나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프레스 패브릭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6)

  1. 제지기의 프레스부용 프레스 패브릭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소정의 폭을 갖는 부직포 메쉬 패브릭을 제조하는 단계와,
    b)다수의 비중첩 권회부 형태로 상기 부직포 메쉬 패브릭을 나선으로 감는 단계와,
    c)상기 부직포 메쉬 패브릭의 각 권회부와 미리 감긴 권회부 간을 접촉시키는 단계와,
    d)상기 부직포 메쉬 패브릭의 각 권회부를 미리 감긴 권회부와 결합하여 상기 부직포 메쉬 패브릭의 상기 소정의 폭 보다 큰 폭의 베이스 패브릭을 형성하여 내면, 외면 길이방향 및 횡방향을 갖는 무단루프 형태로 베이스 패브릭을 마련하는 단계와,
    e)인조섬유물질로된 다수의 층을 상기 베이스 패브릭의 내면과 외면중 최소한 하나에 부착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패브릭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브릭은 제1베이스 패브릭이며, 단계d) 와 단계e) 사이에
    a) 상기 부직포 메쉬 패브릭으로부터 동일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다수의 무단루프를 형성하는 단계와,
    b)상기 다수의 무단루프를 나란한 관계로 배열하는 단계와,
    c)상기 다수의 무단루프 각각을 인근하는 무단루프와 접촉시키는 단계와,
    d)상기 다수의 무단루프 각각을 인근하는 무단루프와 결합시켜 상기 부직포 메쉬 패브릭의 상기 소정의 폭 보다 큰 폭의 제2베이스 패브릭을 형성하여 내면, 외면, 길이방향 및 횡방향을 갖는 무단루프형태로 제2베이스 패브릭을 마련하는 단계와,
    e)상기 제2베이스 패브릭을 제1베이스 패브릭의 상부(외부둘레)에 배치하여 적층된 베이스 패브릭을 마련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패브릭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와 단계e) 사이에 상기 제1베이스 패브릭의 상기 외면에 최소한 하나 이상의 인조섬유물질 층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패브릭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브릭은 제1베이스 패브릭이며, 단계d) 와 단계e) 사이에
    a) 제2의 다수의 비중첩 권회부 형태로 상기 부직포 패브릭을 나선형으로 감는 단계와,
    b)상기 부직포 메쉬 패브릭의 각 권회부와 미리 감긴 권회부 간을 접촉시키는 단계와,
    c)상기 부직포 메쉬 패브릭의 각 권회부를 미리 감긴 권회부와 결합하여 상기 부직포 메쉬 패브릭의 상기 소정의 폭 보다 큰 폭의 제2베이스 패브릭을 형성하여 내면, 외면, 길이방향 및 횡방향을 갖는 무단루프 형태로 제2베이스 패브릭을 마련하는 단계와,
    d)상기 제2베이스 패브릭을 제1베이스 패브릭의 상부(외부둘레)에 배치하여 적층된 베이스 패브릭을 마련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패브릭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와 단계d) 사이에 상기 제1베이스 패브릭의 상기 외면에 최소한 하나 이상의 인조섬유물질 층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패브릭 제조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다수의 비중첩 권회부는 상기 제1베이스 패브릭에 반대되는 방향에서 나선형으로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패브릭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브릭은 제1베이스 패브릭이며, 단계d)와 단계e) 사이에
    a)기기방향 얀과 교차기기방향얀으로 직조되면서 외면을 갖는 제2 베이스 패브릭을 마련하는 단계와,
    b)상기 제1 베이스 패브릭 내부에 상기 제2베이스 패브릭을 배치하여 적층된 베이스 패브릭을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패브릭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와 단계b) 사이에 상기 제1베이스 패브릭의 상기 외면에 최소한 하나 이상의 인조섬유물질 층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패브릭 제조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브릭의 상기 내면과 외면 양쪽에 다수의 인조섬유물질 층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패브릭 제조방법.
  10. 제지기의 프레스부용 프레스 패브릭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소정의 폭을 갖는 부직포 메쉬 패브릭을 제조하는 단계와,
    b)상기 부직포 메쉬 패브릭으로부터 동일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다수의 무단루프를 형성하는 단계와,
    c)상기 다수의 무단루프를 나란한 관계로 배열하는 단계와,
    d)상기 다수의 무단루프 각각을 인근하는 무단루프와 접촉시키는 단계와,
    e)상기 다수의 무단루프 각각을 인근하는 무단루프와 결합시켜 상기 부직포 메쉬 패브릭의 상기 소정의 폭 보다 큰 폭의 베이스 패브릭을 형성하여 내면, 외면, 길이방향 및 횡방향을 갖는 무단루프형태로 베이스 패브릭을 마련하는 단계와,
    f)상기 베이스 패브릭의 내면과 외면 중 최소한 하나에 다수의 인조섬유물질 층을 부착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패브릭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브릭은 제1 베이스 패브릭이며, 상기 단계e)와 f) 사이에
    a) 상기 부직포 메쉬 패브릭으로부터 동일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다수의 제2무단루프를 형성하는 단계와,
    b)상기 다수의 제2 무단루프를 나란한 관계로 배열하는 단계와,
    c)상기 다수의 제2 무단루프 각각을 인근하는 무단루프와 접촉시키는 단계와,
    d)상기 다수의 제2 무단루프 각각을 인근하는 무단루프와 결합시켜 상기 부직포 메쉬 패브릭의 상기 소정의 폭 보다 큰 폭의 제2베이스 패브릭을 형성하여 내면, 외면, 길이방향 및 횡방향을 갖는 무단루프형태로 제2베이스 패브릭을 마련하는 단계와,
    e)상기 제2베이스 패브릭을 상기 제1베이스 패브릭의 상부(외부둘레)에 배치하여 적층된 베이스 패브릭을 마련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패브릭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와 단계e) 사이에 상기 제1 베이스 패브릭의 외면에 최소한 하나 이상의 인조섬유물질 층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프레스 패브릭 제조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브릭은 제1베이스 패브릭이며, 상기 단계e)와 단계f) 사이에
    a)다수의 비중첩 권회부 형태로 상기 부직포 메쉬 패브릭을 나선형으로 감는 단계와,
    b)상기 부직포 메쉬 패브릭의 각 권회부와 미리 감긴 권회부 간을 접촉시키는 단계와,
    c)상기 부직포 메쉬 패브릭의 각 권회부를 미리 감긴 권회부와 결합하여 상기 부직포 메쉬 패브릭의 상기 소정의 폭 보다 큰 폭의 제2 베이스 패브릭을 형성하여 내면, 외면, 길이방향 및 횡방향을 갖는 무단루프 형태로 제2베이스 패브릭을 마련하는 단계와,
    d)상기 제2베이스 패브릭을 제1베이스 패브릭의 상부(외부둘레)에 배치하여 적층된 베이스 패브릭을 마련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패브릭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와 단계d) 사이에 상기 제1 베이스 패브릭의 외면에 최소한 하나 이상의 인조섬유물질 층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프레스 패브릭 제조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브릭은 제1베이스 패브릭이며, 단계e)와 단계f) 사이에
    a)기기방향 얀과 교차기기방향얀으로 직조되며 외면을 갖는 제2 베이스 패브릭을 마련하는 단계와,
    b)상기 베이스 패브릭 내부에 상기 제2베이스 패브릭을 배치하여 적층된 베이스 패브릭을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패브릭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와 단계b) 사이에 상기 제2베이스 패브릭의 상기 외면에 최소한 하나 이상의 인조섬유물질 층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패브릭 제조방법.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브릭의 상기 내면과 외면 양쪽에 다수의 인조섬유물질 층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패브릭 제조방법.
  18. 제지기의 프레스부용 프레스 패브릭에 있어서,
    베이스 패브릭과 다수의 인조섬유물질층을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패브릭은 제1 부직포 메쉬 패브릭 스트립을 갖는 제1층을 포함하며, 이 제1부직포 메쉬 패브릭 스트립은 제1측방향 에지 및 제2측방향에지를 가지는 한편, 다수의 연속적 권회부 형태로 나선형으로 감기고, 제1부직포 메쉬 스트립의 한 권회부의 상기 제1측방향에지는 인근하는 다른 권회부의 상기 제2측방향에지와 접하여 인근 권회부 상호간을 구분하는 나선형의 연속적 이음매를 형성하고, 이 나선형의 연속적 이음매는 상기 제1부직포 메쉬 패브릭 스트립의 제1측방향에지 및 제2측방향에지를 상호간 부착시킴으로써 폐쇄되며, 그 결과 기기방향, 교차기기방향, 내면 및 외면을 갖는 무단루프 형태로 상기 제1층과 상기 베이스 패브릭을 형성하며,
    상기 다수의 인조섬유물질층이 상기 베이스 패브릭의 상기 내면과 상기 외면중 어느 하나에 니들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프레스부용 프레스 패브릭.
  19. 제18항에 있어서,
    부직포 메쉬 패브릭으로된 소정의 동일 길이의 다수의 무단루프를 갖는 제2층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무단루프 각각은 제1측방향 에지 및 제2측방향 에지를 가지며, 상기 다수의 무단루프는 나란하게 상호 접하는 관계를 가지고 한 무단루프의 제1측방향에지는 인근하는 다른 무단루프의 제2측방향에지와 결합하여 기기방향, 교차기기방향, 내면 및 외면을 갖는 무단루프형태의 상기 제2층을 형성하며, 상기 제2층에 의해 형성된 상기 무단루프가 상기 제1층에 의해 형성된 무단루프의 상부(외부둘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프레스부용 프레스 패브릭.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브릭의 상기 제1층과 제2층 사이에 최소한 하나 이상의 인조섬유물질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프레스부용 프레스 패브릭.
  21. 제18항에 있어서,
    제2부직포 메쉬 패브릭 스트립을 갖는 제2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부직포 메쉬 패브릭 스트립은 제1측방향에지 및 제2측방향에지를 가지며, 상기 제2부직포 메쉬 패브릭 스트립은 다수의 연속 권회부 형태로 나선형으로 감기고 상기 권회부 형태로서의 상기 제2부직포 메쉬 패브릭 스트립의 상기 제1측방향에지는 인근하는 권회부의 제2측방향에지와 접하여 상기 제2부직포 메쉬 패브릭 스트립의 인근하는 권회부 사이를 구분하는 나선형의 연속 이음매를 형성하며, 상기 나선형으로 연속하는 이음매는 상기 제2부직포 메쉬 패브릭 스트립의 제1측방향에지와 제2측방향에지를 상호 부착하여 폐쇄되며, 그 결과 기기방향, 교차기기방향, 내면 및 외면을 갖는 무단루프 형태로 제2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2층에 의해 형성된 무단루프는 상기 제1층에 의해 형성된 무단루프 상부(외부둘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프레스부용 프레스 패브릭.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브릭의 상기 제1층과 제2층 사이에 최소한 하나 이상의 인조섬유물질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프레스부용 프레스 패브릭.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브릭의 제2층은 상기 베이스 패브릭의 상기 제1층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에서 나선형으로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프레스부용 프레스 패브릭.
  24. 제18항에 있어서,
    기기방향 얀 및 교차기기방향 얀을 갖는 직조베이스 패브릭을 갖는 제2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직조베이스 패브릭은 기기방향, 교차기기방향, 내면 및 외면을 갖는 무단루프 형태로 되며, 상기 제2층에 의해 형성된 상기 무단루프는 상기 제1층에 의해 형성된 상기 무단루프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프레스부용 프레스 패브릭.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브릭의 상기 제1층과 제2층 사이에 최소한 하나 이상의 인조섬유물질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프레스부용 프레스 패브릭.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인조섬유물질층이 상기 베이스 패브릭의 상기 내면과 상기 외면중 다른 하나에 니들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프레스부용 프레스 패브릭.
  27. 제지기의 프레스부용 프레스 패브릭에 있어서,
    베이스 패브릭과 다수의 인조섬유물질층을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패브릭은 부직포 메쉬 패브릭으로된 소정의 동일 길이의 무단루프를 다수 가지는 제1층을 포함하며, 상기 무단루프 각각은 제1측방향에지 및 제2측방향에지를 가지며, 상기 무단루프 각각은 제1측방향에지 및 제2측방향에지를 가지고 상기 다수의 무단루프는 인근하는 무단루프들과 나란하게 상호 접하고 한 무단루프의 제1측방향에지는 인근하는 다른 무단루프의 제2측방향에지와 결합하여 기기방향, 교차기기방향, 내면 및 외면을 갖는 무단루프 형태로 상기 제1층 및 상기 베이스 패브릭을 형성하며,
    상기 다수의 인조섬유물질 층은 상기 베이스 패브릭의 내면과 외면 중 하나에 니들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프레스부용 프레스 패브릭.
  28. 제27항에 있어서,
    부직포 메쉬 패브릭으로된 소정의 동일 길이의 제2무단루프를 다수 가지는 제2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무단루프 각각은 제1측방향에지 및 제2측방향에지를 가지며, 상기 다수의 제2무단루프는 인근하는 무단루프들과 나란하게 상호 접하고 한 무단루프의 제1측방향에지는 인근하는 다른 무단루프의 제2측방향에지와 결합하여 기기방향, 교차기기방향, 내면 및 외면을 갖는 무단루프 형태로 상기 제2층을 형성하며, 상기 제2층에 의해 형성된 상기 무단루프는 상기 제1층에 의해 형성된 무단루프의 상부(외부둘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프레스부용 프레스 패브릭.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브릭의 상기 제1층과 제2층 사이에 최소한 하나 이상의 인조섬유물질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프레스부용 프레스 패브릭.
  30. 제27항에 있어서,
    부직포 메쉬 패브릭 스트립을 갖는 제2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부직포 메쉬 패브릭 스트립은 제1측방향에지 및 제2측방향에지를 가지고, 또 상기 부직포 메쉬 패브릭 스트립은 다수의 연속 권회부 형태로 나선형으로 감기고 상기 권회부 형태로서의 상기 부직포 메쉬 패브릭 스트립의 상기 제1측방향에지는 인근하는 권회부의 제2측방향에지와 접하여 상기 부직포 메쉬 패브릭 스트립의 인근하는 권회부 사이를 구분하는 나선형의 연속 이음매를 형성하며, 상기 나선형으로 연속하는 이음매는 상기 부직포 메쉬 패브릭 스트립의 제1측방향에지와 제2측방향에지를 상호 부착하여 폐쇄되며, 그 결과 기기방향, 교차기기방향, 내면 및 외면을 갖는 무단루프 형태로 상기 제2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2층에 의해 형성된 무단루프는 상기 제1층에 의해 형성된 무단루프 상부(외부둘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프레스부용 프레스 패브릭.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브릭의 상기 제1층과 제2층 사이에 최소한 하나 이상의 인조섬유물질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프레스부용 프레스 패브릭.
  32. 제27항에 있어서,
    기기방향 얀 및 교차기기방향 얀을 갖는 직조베이스 패브릭을 갖는 제2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직조베이스 패브릭은 기기방향, 교차기기방향, 내면 및 외면을 갖는 무단루프 형태로 되며, 상기 제2층에 의해 형성된 상기 무단루프는 상기 제1층에 의해 형성된 상기 무단루프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프레스부용 프레스 패브릭.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패브릭의 상기 제1층과 제2층 사이에 최소한 하나 이상의 인조섬유물질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프레스부용 프레스 패브릭.
  34.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인조섬유물질층이 상기 베이스 패브릭의 상기 내면과 상기 외면중 다른 하나에 니들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프레스부용 프레스 패브릭.
  35. 제18항, 제21항,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메쉬 패브릭은 모노필라멘트형 엘리멘트로된 네트형 구조이며, 길이방향 및 횡방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프레스부용 프레스 패브릭.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필라멘트형 엘리멘트는 상기 길이방향과 횡방향으로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프레스부용 프레스 패브릭.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메쉬 패브릭은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프레스부용 프레스 패브릭.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플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프레스부용 프레스 패브릭.
  39.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필라멘트형 엘리멘트는 0.1mm - 1.0mm 범위의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프레스부용 프레스 패브릭.
  40.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 필라멘트형 엘리멘트는 0.1mm - 2.0mm 범위의 간격으로 상호 간격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프레스부용 프레스 패브릭.
  41. 제19항, 제27항,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메쉬 패브릭은 모노필라멘트형 엘리멘트로된 네트형 구조이며, 길이방향 및 횡방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프레스부용 프레스 패브릭.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필라멘트형 엘리멘트는 상기 길이방향과 횡방향으로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프레스부용 프레스 패브릭.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메쉬 패브릭은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프레스부용 프레스 패브릭.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플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프레스부용 프레스 패브릭.
  45.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필라멘트형 엘리멘트는 0.1mm - 1.0mm 범위의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프레스부용 프레스 패브릭.
  46.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 필라멘트형 엘리멘트는 0.1mm - 2.0mm 범위의 간격으로 상호 간격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프레스부용 프레스 패브릭.
KR10-1999-0051233A 1999-04-12 1999-11-18 제지기의 프레스부용 프레스 패브릭 및 그 제조방법 KR1004050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290899 1999-04-12
US9/290899 1999-04-12
US09/290,899 US6240608B1 (en) 1999-04-12 1999-04-12 Method for joining nonwoven mesh produc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7808A true KR20000067808A (ko) 2000-11-25
KR100405084B1 KR100405084B1 (ko) 2003-11-19

Family

ID=23117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1233A KR100405084B1 (ko) 1999-04-12 1999-11-18 제지기의 프레스부용 프레스 패브릭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2) US6240608B1 (ko)
EP (2) EP1045066B1 (ko)
JP (1) JP2000303378A (ko)
KR (1) KR100405084B1 (ko)
CN (1) CN1139689C (ko)
AT (2) ATE356907T1 (ko)
AU (1) AU759330B2 (ko)
BR (1) BR0001324B1 (ko)
CA (1) CA2305961C (ko)
DE (2) DE60033976T2 (ko)
ES (2) ES2228446T3 (ko)
NO (1) NO319114B1 (ko)
NZ (1) NZ501179A (ko)
TW (1) TW554121B (ko)
ZA (1) ZA9976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09283B1 (de) * 2000-11-23 2003-12-17 Thomas Josef Heimba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Textilbahn, insbesondere Papiermaschinenbespannung
US7101599B2 (en) * 2002-05-06 2006-09-05 Albany International Corp. Method to increase bond strength and minimize non-uniformities of woven two-layer multiaxial fabrics and fabric produced according to same
WO2003102298A1 (en) * 2002-05-30 2003-12-11 National Wire Fabric Inc. Broadloom fabric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JP2004036046A (ja) * 2002-07-04 2004-02-05 Ichikawa Woolen Textile Co Ltd 抄紙用プレスフェルト
US6878238B2 (en) * 2002-12-19 2005-04-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on-woven through air dryer and transfer fabrics for tissue making
US6875315B2 (en) * 2002-12-19 2005-04-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on-woven through air dryer and transfer fabrics for tissue making
JP2004232098A (ja) * 2003-01-28 2004-08-19 Ichikawa Woolen Textile Co Ltd 抄紙用プレスフェ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7147756B2 (en) * 2003-02-11 2006-12-12 Albany International Corp. Unique fabric structure for industrial fabrics
US7306703B2 (en) * 2003-05-23 2007-12-11 Albany International Corp. Contamination resistant press fabric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989080B2 (en) * 2003-06-19 2006-01-24 Albany International Corp. Nonwoven neutral line dryer fabric
US7141142B2 (en) * 2003-09-26 2006-11-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making paper using reformable fabrics
JP2006037270A (ja) * 2004-07-26 2006-02-09 Ichikawa Co Ltd 抄紙用プレスフェ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7410554B2 (en) * 2004-11-11 2008-08-12 Albany International Corp. Unique modular construction for use as a forming fabric in papermaking or tissue or nonwovens
ES2479265T3 (es) * 2005-03-21 2014-07-23 Huyck.Wangner Austria Gmbh Fieltro de prensado para máquina de fabricación de papel con flotadores largos en dirección de la máquina en un tejido base
US20080125263A1 (en) * 2006-11-03 2008-05-29 Donald Ray Belik Spliceless baler belt
US20080105517A1 (en) * 2006-11-08 2008-05-08 Donald Ray Belik Spliceless, corded baler belt
DE102007000579A1 (de) 2007-10-26 2009-04-30 Voith Patent Gmbh Papiermaschinenbespannungen, insbesondere für Pressfilz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ATE507348T1 (de) * 2007-12-04 2011-05-15 Heimbach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aschinenfilzes sowie maschinenfilz
EP2128335B1 (de) * 2008-05-28 2013-03-27 Voith Pate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ilzbandes
DE102011005673A1 (de) * 2011-03-17 2012-09-20 Voith Patent Gmbh Laminiertes Endlosband
US9545773B2 (en) 2013-03-15 2017-01-17 Albany International Corp. Pad comprising an extruded mesh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US9352530B2 (en) * 2013-03-15 2016-05-31 Albany International Corp. Industrial fabric comprising an extruded mesh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CN104520096B (zh) 2013-04-19 2017-03-01 艾斯登强生股份有限公司 含弹性载体层缝合压毡及其制造方法
DE102014213444A1 (de) 2014-07-10 2016-01-14 Voith Patent Gmbh Extrudierte Papiermaschinenbespannung
JP6497678B2 (ja) 2015-07-21 2019-04-10 イチカワ株式会社 抄紙用フェ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521447B2 (ja) 2015-07-28 2019-05-29 イチカワ株式会社 抄紙用フェルト
EP3235949B1 (en) 2016-04-21 2018-05-23 Ichikawa Co., Ltd. Papermaking felt
US10385510B2 (en) 2016-11-16 2019-08-20 Astenjohnson, Inc. Seamless press felt with intermediate elastic carrier layer
US11098450B2 (en) 2017-10-27 2021-08-24 Albany International Corp. Methods for making improved cellulosic products using novel press felts and products made therefrom
US11492754B2 (en) 2018-02-02 2022-11-08 Astenjohnson, Inc. Non-woven backing for press felt, method for producing non-woven backing, and press felt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97413A (en) * 1960-05-26 1963-07-16 Draper Brothers Company Unwoven papermaker's felt
US3121660A (en) 1961-02-13 1964-02-18 Jr Edward H Hall Fourdrinier wi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3615989A (en) * 1967-05-09 1971-10-26 Stevens & Co Inc J P Nonwoven fabric structure
US3673024A (en) * 1969-03-06 1972-06-27 Nordiska Maskinfilt Ab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endless drive belts and conveyor bands
US3920511A (en) * 1971-12-06 1975-11-18 Albany Int Corp Non-woven papermakers felt
US3879820A (en) * 1971-12-06 1975-04-29 Albany Int Corp Apparatus for producing non-woven papermakers felt
US4018646A (en) * 1973-05-09 1977-04-19 Johnson & Johnson Nonwoven fabric
US4271222A (en) * 1980-02-04 1981-06-02 Albany International Corp. Papermakers felt and method of manufacture
US4427734A (en) 1982-04-19 1984-01-24 Albany International Corp. Wet press felt for papermaking machines
JPS5970000U (ja) * 1982-10-29 1984-05-12 市川毛織株式会社 製紙用無端ニ−ドルフエルト
US4594756A (en) * 1983-09-20 1986-06-17 Appleton Mill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substrate composed solely of longitudinal yarns
FR2557550B1 (fr) * 1983-12-28 1986-05-30 Europ Propulsion Procede et appareillage pour la fabrication de structures tridimensionnelles de revolution
AT384834B (de) * 1985-06-21 1988-01-11 Fehrer Textilmasch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genadelten papiermaschinenfilzen
US4740409A (en) 1987-03-31 1988-04-26 Lefkowitz Leonard R Nonwoven fabric and method of manufacture
US4878278A (en) * 1987-08-05 1989-11-07 Wangner Systems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e of paper making fabrics
US4830915A (en) * 1987-09-09 1989-05-16 Asten Group, Inc. Non-woven wet press felt for papermaking machines
US4798760A (en) 1987-09-09 1989-01-17 Asten Group, Inc. Superimposed wet press felt
US4972561A (en) * 1989-12-26 1990-11-27 Niagara Lockport Industries Inc. Method of producing an angled pin seam in a papermakers felt
US5268076A (en) 1990-06-13 1993-12-07 Thomas Josef Heimbach Gmbh & Co. Spiral wound papermaking-machine felt
DE9007400U1 (ko) * 1990-06-13 1991-08-14 Thomas Josef Heimbach Gmbh & Co, 5160 Dueren, De
SE468602B (sv) * 1990-12-17 1993-02-15 Albany Int Corp Pressfilt samt saett att framstaella densamma
GB9107149D0 (en) 1991-04-05 1991-05-22 Scapa Group Plc Edge jointing of fabrics
GB9107166D0 (en) * 1991-04-05 1991-05-22 Scapa Group Plc Papermachine clothing
US5202170A (en) * 1991-04-08 1993-04-13 Wangner Systems Corporation Papermaking felt with a non-spiralled machine direction fiber batt
US5328759A (en) * 1991-11-01 1994-07-12 Kimberly-Clark Corporation Process for making a hydraulically needled superabsorbent composite material and article thereof
CA2083211C (en) * 1992-11-09 1996-07-09 Robert W. Legge Papermaker felt
US5792323A (en) * 1995-09-07 1998-08-11 Albany International Corp. Spiral base structres for long nip paper machine press belts
EP0861940B1 (en) * 1997-02-27 2002-06-05 AstenJohnson, Inc. Multi axial seamed papermaker's press felt
US5785818A (en) * 1997-02-27 1998-07-28 Jwi Ltd. Multiaxial pin seamed papermaker's press felt
ATE213793T1 (de) * 1998-04-02 2002-03-15 Heimbach Gmbh Thomas Josef Textilbah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textilbahn sowi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ieses verfahrens
US6331341B1 (en) * 1999-07-09 2001-12-18 Albany International Corp. Multiaxial press fabric having shaped yar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20001860L (no) 2000-10-13
ATE277224T1 (de) 2004-10-15
ATE356907T1 (de) 2007-04-15
BR0001324A (pt) 2000-10-31
NZ501179A (en) 2000-09-29
ES2228446T3 (es) 2005-04-16
DE60013948T2 (de) 2005-10-06
DE60033976D1 (de) 2007-04-26
EP1045066A3 (en) 2001-09-19
EP1477608B1 (en) 2007-03-14
US6240608B1 (en) 2001-06-05
ES2281722T3 (es) 2007-10-01
JP2000303378A (ja) 2000-10-31
DE60013948D1 (de) 2004-10-28
TW554121B (en) 2003-09-21
NO20001860D0 (no) 2000-04-11
AU5951899A (en) 2000-10-19
KR100405084B1 (ko) 2003-11-19
CN1270253A (zh) 2000-10-18
EP1045066B1 (en) 2004-09-22
EP1045066A2 (en) 2000-10-18
EP1477608A1 (en) 2004-11-17
BR0001324B1 (pt) 2009-05-05
AU759330B2 (en) 2003-04-10
ZA997668B (en) 2001-01-03
US20010027593A1 (en) 2001-10-11
NO319114B1 (no) 2005-06-20
CA2305961A1 (en) 2000-10-12
CA2305961C (en) 2007-08-21
CN1139689C (zh) 2004-02-25
US6699366B2 (en) 2004-03-02
DE60033976T2 (de) 200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5084B1 (ko) 제지기의 프레스부용 프레스 패브릭 및 그 제조방법
KR100672850B1 (ko) 제지 기계 직물막의 생산방법
RU2466233C2 (ru) Полноразмерная по ширине ткань, полученная плоским тканьем и выполненная с возможностью сшивания при установке
KR101443067B1 (ko) 줄어든 간섭 패턴을 갖는 다축 직물
KR101184893B1 (ko) 이송 벨트 및 프레스 직물용 반투과성 직물
KR100352025B1 (ko) 기계위에서이음가능한다축압착직물
JP4118141B2 (ja) 抄紙機クロ−ジングの積層構造
KR100646231B1 (ko) 솔기가 있는 제지기용 직물을 위한 베이스 구조체
JP2000080586A (ja) ワ―プル―プ継目
US8828097B2 (en) Industrial textile fabric
ZA200305491B (en) Spirally wound shaped yarns for paper machine clothing and industrial belts.
AU2002236878A1 (en) Spirally wound shaped yarns for paper machine clothing and industrial belts
KR100324995B1 (ko) 제지기상에서이음가능한다축프레스패브릭
KR20040105840A (ko) 적층된 다축 프레스 직물
KR20050012218A (ko) 제지기 및 산업용 직물 시임
JP2001040595A (ja) 成型糸を有している多軸プレス布
MXPA06013004A (es) Metodo para coser una tela multiaxial para fabricacion de papel, para prevenir la migracion de hilos; y tela para fabricar papel correspondiente.
JP4384051B2 (ja) 層状プレス布
KR20050006235A (ko) 이층 다축 직물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고 불균일을감소시키는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생산된 직물
MXPA98009853A (en) Cosas, laminated, multip layer
MXPA00003548A (en) Method for joining nonwoven mesh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