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2850B1 - 제지 기계 직물막의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제지 기계 직물막의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2850B1
KR100672850B1 KR1020037004875A KR20037004875A KR100672850B1 KR 100672850 B1 KR100672850 B1 KR 100672850B1 KR 1020037004875 A KR1020037004875 A KR 1020037004875A KR 20037004875 A KR20037004875 A KR 20037004875A KR 100672850 B1 KR100672850 B1 KR 100672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laminate structure
upper layer
lower lay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4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2468A (ko
Inventor
한젠로베르트아.
Original Assignee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30042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2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2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2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7/00Other details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7/08Felts
    • D21F7/083Multi-layer fel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7/00Other details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7/08Fel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0027Screen-cloths
    • D21F1/0036Multi-layer screen-cloth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2/00Paper making and fiber liberation
    • Y10S162/90Papermaking press fe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2/00Paper making and fiber liberation
    • Y10S162/901Impermeable belts for extended nip pr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2/00Paper making and fiber liberation
    • Y10S162/902Woven fabric for papermaking drier s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2/00Paper making and fiber liberation
    • Y10S162/903Paper forming member, e.g. fourdrinier, sheet forming me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033Including a strip or ribb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707Woven fabric including a nonwoven fabric layer other than paper
    • Y10T442/3724Need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707Woven fabric including a nonwoven fabric layer other than paper
    • Y10T442/3724Needled
    • Y10T442/3732Including an additional nonwoven fabric

Landscapes

  • Paper (AREA)
  • Manufacturing Of Multi-Layer Textile Fabric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라미네이트 구조체(16)를 나선형으로 복수의 선회부로 권취함으로써 제지기의 직물이 제조된다.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체는 하층(36)과 상층(34)을 가지는데, 이들 양자는 동등한 폭을 갖는 스트립들이다. 상기 하층(36)과 상층(34)은 횡방향으로의 오프셋 방식 서로 적층되는데, 이로써 상기 하층(36)의 적층되지 않은 부분이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체의 일 측방향 에지를 따라 있게 되고 상기 상층(34)의 적층되지 않은 부분이 다른 측방향 에지를 따라 있게 된다.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체가 나선형으로 권취될 때, 일 선회부의 상층의 적층되지 않은 부분은 인접한 선회부의 하층의 적층되지 않은 부분 상에 겹쳐진다. 이들은 서로 결합되어, 나선형으로 권취된 구조체로부터 제지기의 직물을 형성하게 된다.

Description

제지 기계 직물막의 생산방법 {Method for producing paper machine clothing}
본 발명은 제지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제지 기계 직물막의 제조, 즉 제지 기계의 형성부, 가압부, 및 건조부에서 사용되는 직물에 관한 것이다.
제지 공정 중에 있어서, 제지 기계의 형성부 내의 이동중인 형성 직물 상에 섬유질 슬러리(fibrous slurry), 즉 셀룰로오스 섬유질의 수성(水性) 분산물(dispersion)을 투여함으로써 셀룰로오스 섬유질 웹(cellulosic fibrous web)이 형성된다. 다량의 물이 상기 형성 직물을 통하여 슬러리로부터 배수되면서 상기 형성 직물의 표면 상에 셀룰로오스 섬유질 웹이 남게 된다.
새로 형성된 셀룰로오스 섬유질 웹은 상기 형성부로부터 일련의 가압 닙(nip)을 구비한 가압부로 진행한다.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질 웹은 가압 직물에 지지되어 가압 닙을 통과하거나, 또는 흔한 경우와 같이 두 개의 가압 직물들 사이로 통과한다. 상기 가압 닙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질 웹은 압축력을 받게되는데, 이로써 셀룰로오스 섬유질 웹으로부터 물이 짜내어 지고, 상기 웹에 있는 셀룰로오스 섬유는 서로 부착되어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질 웹이 종이 시트로 만 들어진다. 상기 물은 가압 직물 또는 가압 직물들에 의하여 수용되고, 이상적으로는 상기 종이 시트로 되돌아가지 않는다.
상기 종이 시트는 결국 건조부로 진행하는데, 상기 건조부는 적어도 하나의 일련의 회전가능한 건조 드럼들 또는 실린더들을 구비하고, 이들은 증기에 의하여 내부적으로 가열된다. 새로 형성된 종이 시트는 건조 직물에 의하여 일련의 드럼들 각각을 실질적으로 휘감는 꾸불꾸불한 경로로 보내지는데, 상기 건조 직물은 종이 시트를 상기 드럼들의 표면에 근접하도록 지지한다. 상기 가열된 드럼들은 증발에 의하여 상기 종이 시트의 수분함유량을 바람직한 수준으로 감소시킨다.
상기 형성 직물, 가압 직물, 및 건조 직물은 모두 제지 기계 상에서 무한 루프(loop)의 형태를 가지고, 컨베이어(conveyer) 방식으로 기능한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종이 제조는 상당한 속력으로 진행되는 연속적인 공정이라는 점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섬유질 슬러리는 형성부 내의 형성 직물 상에 연속적으로 투여되고, 새로이 제조된 종이 시트는 상기 건조부로부터 나온 후 롤에 연속적으로 권취된다.
본 발명은 상기 가압부에서 사용되는 가압 직물에 관한 것이지만, 제지 기계의 형성부 및 건조부 각각의 형성 직물 및 건조 직물의 제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가압 직물은 종이 제조 공정 중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그 기능들 중의 하나는, 위에서 내포된 바와 같이, 제조되고 있는 종이 제품을 지지하고 상기 가압 닙을 통하여 운송하는 것이다.
가압 직물은 상기 종이 시트의 표면 피니싱(finishing)에도 관련된다. 즉 가압 직물은 매끄러운 표면과 균일한 탄성 구조를 갖도록 설계되는데, 이로써 가압 닙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종이에 매끄럽고 얼룩이 없는 표면이 부여된다.
아마도 가장 중요한 사항으로서, 상기 가압 직물은 상기 가압 닙 내의 젖은 종이로부터 많은 양의 물을 수용한다. 이 기능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가압 직물 내에 흔히 공체적(void volume)으로 불리는, 물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있어야 하고, 상기 직물은 그 전체 사용 수명에 걸쳐서 물에 대한 적절한 투과성을 가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가압 직물은 상기 젖은 종이로부터 수용된 물이 가압 닙으로부터 배출되는 종이로 되돌아가서 종이를 다시 적시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재의 가압 직물은 제지 기계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도록 다양한 스타일로 생산되고, 제조되는 종이의 등급에 맞춰 상기 제지 기계에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가압 직물은, 미세한 비직조(nonwoven) 섬유질 소재로 된 배트(batt)가 내부에 누벼진 베이스 직물(base fabric)을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 직물은 단일 필라멘트(monofilament), 꼬인 단일 필라멘트(plied monofilament), 다중 필라멘트(multifilament), 또는 꼬인 다중 필라멘트(plied multifilament)의 실로부터 직조될 수 있고, 단층(single-layered), 다층(multi-layered), 또는 적층(laminated)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실은 폴리아미드(polyamide) 수지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수지와 같은 합성 중합체 수지들 중의 하나로부터 압출 성형되는 것이 통상적인데, 상기 합성 중합체 수지는 제지 기계 직물막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이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직조(woven) 베이스 직물 자체는 많은 다양한 형태를 갖는다. 예를 들어 그것은 무한하게 직조되거나, 또는 편평하게 직조되고 직조 솔기(woven seam)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무한한 형태로 될 수 있다. 이와 다른 형태로서, 베이스 직물은 변형된 무한 직조라고 알려진 공정에 의하여 생산될 수 있는데, 여기서는 상기 베이스 직물의 폭방향 에지에 상기 베이스 직물의 기계-방향(machine-direction; MD) 실을 이용한 솔기형성 루프(seaming loops)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공정에서, 상기 MD 실은 상기 직물의 폭방향 에지들 사이를 전후로 연속적으로 직조하는데, 각 에지에서 방향을 바꾸고 솔기형성 루프를 형성한다. 이 방식으로 생산된 베이스 직물은 제지 기계 상에의 장착 중에 무한한 형태로 배치되고, 이 때문에 기계 상에서 솔기형성 가능한(on-machine-seamable) 직물로 불린다. 그러한 직물을 무한한 형태로 배치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폭방향 에지들이 함께 모아지고, 상기 두 개의 에지에서의 솔기형성 루프는 서로 깍지끼듯 얽혀지며, 솔기형성 핀(seaming pin) 또는 솔기형성 핀틀(seaming pintle)은 상기 솔기형성 루프들 에 의해서 형성되는 통로에 끼워진다.
나아가 상기 직조 베이스 직물은, 다른 베이스 직물에 의하여 형성된 무한 루프 내에 베이스 직물을 배치하고 양 베이스 직물들을 통하여 스테이플 섬유 배트(staple fiber batt)를 바느질(needling)하여 양자를 서로에 대하여 결합하게 함으로써 적층될 수 있다. 하나 또는 두 개의 직조 베이스 직물은 기계 상에서 솔기형성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어느 경우든, 상기 직조 베이스 직물은 그 둘레를 따라 종방향으로 측정된 특정 길이와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측정된 특정 폭을 갖는 무한 루프 형태를 가지거나, 또는 그러한 형태로 솔기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지 기계의 구성은 다양하기 때문에, 제지 기계 직물막 제조자들은 그들의 고객의 제지 기계의 특정 위치에 맞도록 요구되는 치수를 갖는 가압 직물과 다른 제지 기계 직물막을 생산할 것이 요구된다. 말할 필요도 없지만, 각 가압 직물은 지시에 맞게 만들어져야 하는 것이 통상적이므로, 상기 요구는 제조 공정을 합리화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다양한 길이와 폭을 갖는 가압 직물을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생산해야 한다는 이런 요구에 대응하여, 최근의 가압 직물은 렉스펠트(Rexfelt) 등의 미국 특허 제5,360,656호에 개시된 나선형 기술을 사용하여 생산되어 왔다. 상기 미국 특허의 개시사항은 여기에 참조되어 기재된다.
미국 특허 제5,360,656호는 내부로 바느질된 하나 이상의 스테이플 섬유 재료 층을 가진 베이스 직물을 구비한 가압 직물을 개시한다. 상기 베이스 직물은 상기 베이스 직물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직조(woven) 직물의 나선형으로 권취된 스트립(strip)으로 구성된 층을 적어도 하나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 직물은 종방향, 또는 기계 방향으로 무한하다. 상기 나선형으로 권취된 스트립의 길이방향 실은 상기 가압 직물의 종방향에 대하여 각을 이룬다. 상기 직조 직물의 스트립은, 종이 기계 직물막의 생산에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것보다 좁은 직기(loom) 상에 편평-직조(flat-woven)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직물은 상대적으로 좁은 직조 직물 스트립이 나선형으로 권취되고 결합된 선회부(turn)를 수 개 구비한다. 상기 직물 스트립은 길이방향의 실(날 실)과 횡방향의 실(채움실; filling yarns)에 의하여 직조된다. 나선형으로 권취된 직물 스트립의 인접한 선회부들은 서로 맞대어 질 수 있고, 그렇게 생성된 나선형으로 연속적인 솔기는 꿰맴(sewing), 감침(stitching), 용융(melting), 또는 용접(welding)에 의하여 닫혀질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서, 인접한 나선형 선회부들의 인접한 종방향 에지부들은, 상기 에지가 감소된 두께를 가져서 겹친 부분 영역의 두께가 증가하지 않는 한, 겹치게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길이방향의 실들 사이의 간격(spacing)은 스트립의 에지에서 증가될 수 있는데, 이로써 인접한 나선형 선회부들이 겹치도록 배치되는 때에 상기 겹치는 영역의 길이방향 실들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지 않을 수 있다.
어느 경우든, 무한 루프의 형태를 가지고, 내면, 종방향(기계방향), 및 횡방향(기계-횡단방향)을 갖는 직조 베이스 직물이 결과물이 된다. 그 후 상기 직조 베이스 직물의 측방향 에지는 그 종방향(기계방향)으로 평행하게 되도록 다듬어진다. 상기 직조 베이스 직물의 기계방향과 나선형으로 연속적인 솔기 사이의 각도는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는데, 즉 10°보자 작은 것이 일반적이다. 같은 이유로, 상기 직조 직물 스트립의 길이방향 실(날실)은 직조 베이스 직물의 종방향(기계방향)에 대해 상기 각도와 동일한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를 이룬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길이방향 실(날실)에 직교하는 상기 직조 직물 스트립의 횡단방향 실(채움실)은 상기 직조 베이스 직물의 횡방향(기계-횡단방향)에 대해 상기 각도와 동일한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을 이룬다. 간단히 말하면, 상기 직조 직물 스트립의 길이향향 실(날실)이나 횡단방향 실(채움실) 어느 것도 직조 베이스 직물의 종방향(기계방 향)이나 횡방향(기계-횡단방향)으로 정렬되지 않는다.
미국 특허 제5,360,656호에 개시된 방법에서는, 상기 직조 직물 스트립이 두 개의 평행한 롤(roll)들 주위로 권취되어 직조 베이스 직물로 조립된다. 상기 두 개의 평행한 롤들 주위로 직조 직물 스트립의 상대적으로 좁은 조각(piece)을 나선형으로 권취함으로써 다양한 폭과 길이를 갖는 무한 베이스 직물이 제공될 수 있고, 특정의 무한 베이스 직물의 길이는 상기 직조 직물 스트립의 각 나선형 선회부의 길이에 의하여 결정되며, 상기 폭은 상기 직조 직물 스트립의 나선형 선회부의 수에 의하여 결정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지시할 특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완전한 베이스 직물을 직조함에 대한 우선적 필요성이 제거될 수 있다. 대신에, 직조 직물 스트립을 생산하기 위하여 20 인치(0,5 미터)와 같이 좁은 직기가 사용될 수 있으나, 실제적인 이유로 인하여 40 내지 60 인치(1.0 내지 1.5 미터)의 폭을 갖는 종래의 직물 직기가 선호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5,360,656호는 각각 직조 직물이 나선형으로 권취된 스트립으로 구성된 두 개의 층들을 갖는 베이스 직물을 구비한 가압 직물도 개시한다. 상기 두 개의 층들은 무한 루프의 형태를 취하는데, 하나는 다른 하나에 의하여 형성되는 무한 루프의 내측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층에 있는 나선형으로 권취된 직조 직물의 스트립은 다른 층에 있는 직조 직물의 스트립이 나선형을 형성하는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나선형을 형성한다. 보다 상세히 말하자면, 하나의 층에 있는 나선형으로 권취된 스트립은 오른쪽으로 나선을 형성하고, 다른 층에 있는 나선형으로 권취된 스트립은 왼쪽으로 나선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두층으로 적층된 베이스 직물에 있어서, 상기 두 층들 각각의 직조 직물 스트립의 길이방향 실(날실)은 직조 베이스 직물의 종방향(기계 방향)과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를 형성하고, 일 층에 있는 직조 직물 스트립의 길이방향 실(날실)은 다른 층에 있는 직조 직물 스트립의 길이방향 실(날실)에 대하여 각도를 형성한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두 층들 각각의 직조 직물 스트립의 횡단방향 실(채움실)은 상기 직조 베이스 직물의 횡방향(기계-횡단방향)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를 형성하고, 하나의 층의 직조 직물 스트립의 횡단방향 실(채움실)은 다른 층의 직조 직물 스트립의 횡단방향 실(채움실)에 대하여 각도를 형성한다. 간단히 말하면, 양 층에 있는 직조 직물 스트립의 길이향향 실(날실)이나 횡단방향 실(채움실) 어느 것도 베이스 직물의 종방향(기계방향)이나 횡방향(기계-횡단방향)으로 정렬되지 않는다. 나아가, 양 층에 있는 직조 직물 스트립의 길이향향 실(날실)이나 횡단방향 실(채움실) 어느 것도 서로에 대해 정렬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미국 특허 제5,360,656호에 개시된 베이스 직물은 정의된 기계방향 또는 기계-횡단방향의 실을 갖지 않는다. 그 대신에, 그 실 시스템은 기계 방향과 기계-횡단 방향에 대해 경사진 각도의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러한 베이스 직물을 갖는 가압 직물은 다축(multi-axial) 가압 직물로 불릴 수 있다. 종래 기술의 표준 가압 직물은 세 개의 축을 갖는데, 하나는 기계 방향(MD; machine direction)의 축이고, 하나는 기계-횡단 방향(CD; cross-machine direction)의 축이며, 하나는 상기 직물의 두께를 관통하는 제트 방향의 축이다. 이에 반하여 다축 가압 직물은 이들 세 개의 축들을 갖을 뿐만 아니라, 그 나선형으로 권취된 층 또는 층들의 실 시스템의 방향에 의하여 정해지는 적어도 두 개의 축들을 더 구비한다. 더욱이 다축 가압 직물의 제트방향으로 복수의 유동 경로가 있다. 결과적으로 다축 가압 직물은 적어도 다섯 개의 축들을 갖는다. 하나 이상의 층을 갖는 다축 가압 직물은 그 다축 구조 때문에, 실 시스템이 서로에 대해 평행한 베이스 직물 층들을 갖는 것에 비하여, 제지 공정 중에 가압 닙 내에서의 압축에 대해 함몰(collapse)하거나 포개지는(nest) 것에 대해 뛰어난 저항성을 보인다.
베이스 직물이 일단 미국 특허 제5,360,656호에 개시된 사항에 따라서 제조되면, 여기에는 부가적인 층들의 형태로 다른 재료들이 부착될 수 있다. 가장 흔히, 이들 부가적인 층들은 바느질 또는 하이드로인탱글링(hydroentangling)에 의하여 베이스 직물에 부착되는 스테이플 섬유 재료의 배트(batt)를 구비한다. 상기 스테이플 섬유 재료는 상기 가압 직물의 종이를 지지하는 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 직물은 적층되는데, 바느질 또는 하이드로인탱글링에 의해서 적층된 베이스 직물을 통하여 몰리는(driven) 개개의 섬유들에 의하여 상기 층들이 서로 지지된다.
또한, 비직조 메쉬 직물이나 구멍이 형성된 열가소성 시트 재료와 같은 부가적인 재료의 층들은 종종 스테이플 섬유 재료가 베이스 직물에 부착되기 전에 베이스 직물을 덮도록 사용된다. 이들 부가적인 재료들은, 예를 들어 향상된 압축성과 탄성, 스무더(smoother)나 종이 웹으로부터 압출된 물의 임시 저장소로서의 부가적인 빈 공간, 접힘없는(knuckle-free) 표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포함된다.
명백하게, 이들 부가적인 층들은 부가적인 제조 단계들을 감수함으로써 제공 되고, 이는 결국 미국 특허 제5,360,656호에 개시된 베이스 직물의 제조에 의하여 절감된 시간을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제지기의 적층된 직물을 미리 적층된 구조로부터 보다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지기의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과, 제지기의 직물 자체에 관한 것이고, 스트립의 형태를 갖는 라미네이트 구조체는 미리 제조된 후에, 나선형 권취 기술에 의하여 제지기의 직물을 특정의 폭과 길이로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체는 상층과 하층을 구비하는데, 이들은 샌드위치되는 형태로 서로에 대해 부착된다. 상기 상층 및 하층은 동일한 폭을 가지고, 스트립의 형태를 가지며, 횡방향으로 오프셋(offset)되는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적층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하층의 적층되지 않은 부분은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체의 측방향 일 에지를 따라 위치하고, 상기 상층의 적층되지 않은 부분은 다른 측방향 에지를 따라 위치한다.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체가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때, 나선형으로 권취된 라미네이트 구조체의 일 선회부 중 상층의 적층되지 않은 부분은 인접한 선회부 중 하층의 적층되지 않은 부분 위에 겹친다. 그 후, 상기 겹치는 상층의 적층되지 않은 부분은 하층의 적층되지 않은 부분에 결합되어 제지기의 직물이 생산된다. 이와 같은 결합은 상기 제지기 직물의 치수적 안정성과 구조적 결집성을 향상시키고, 일 선을 따라서 만들어진 것보다 종이 웹에 얼룩을 덜 남긴다.
제지 기계 상의 종이 웹을 궁극적으로 지지하는 상기 상층은, 스테이플 섬유 재료, 종이 웹 상에 얼룩을 남기지 않을 정도로 미세한 섬유 또는 필라멘트로 직조된 직물, 방사-결합되고(spun-bond) 하이드로인탱글링되며(hydroentangled) 멜트-블로우된(melt-blown) 비직조 직물, 및 구멍이 형성되고 압출성형된 중합체 필름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들 중 하나를 구비한다. 상기 하층은, 스테이플 섬유 재료, 종이 웹 상에 얼룩을 남기지 않을 정도로 미세한 섬유 또는 필라멘트로 직조된 직물, 방사-결합되고 하이드로인탱글링되며 멜트-블로우된 비직조 직물, 구멍이 형성되고 압출성형된 중합체 필름, 니트(knitted) 직물, 비직조 그물망(netting) 재료 또는 메쉬 직물, 및 직조 직물 스트립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들 중 하나를 구비한다. 상기 상층 및 하층은 꿰맴(sewing), 바느질(needling), 용융(melting), 융합(fusing), 접착(gluing), 등에 의하여 서로 부착되고, 결과적인 라미네이트 구조체는 제지기의 직물을 제조함에 있어서의 후속하는 사용을 위해 저장된다.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지기의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적 평면도이고;
도 2 는 제지기의 직물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3 은 도 1 의 3-3 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도 1 은 제지기의 직물을 제조하는 본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적 평면도이다. 본 방법은 제1롤(12)과 제2롤(14)를 구비하는 장치(10)를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는데, 상기 롤들은 서로 평행하고 화살표에 의하여 지시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스트립 형태를 갖는 라미네이트 구조체(16)는 저장롤(18)로부터 제1롤(12) 및 제2롤(14)로 연속적인 나선형으로 권취된다.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체(16)이 롤들(12, 14) 주위로 권취됨에 따라서, 상기 저장롤(18)을 제2롤(14)을 따라서(도 1 에서의 오른쪽으로) 적절한 속도로 평행이동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상기 제1롤(12)과 제2롤(14)은 거리(D)만큼 이격되는데, 이는 제지기의 직물이 제조되는데 필요한 총 길이(C)를 참조하여 결정된다. 상기 총 길이(C)는 제지기의 직물의 무한 루프 형태에 대해 종방향(기계 방향)으로 측정된다. 라미네이트 구조체(16)는 저장롤(18)로부터 제1롤 및 제2롤(12, 14) 상에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복수의 선회부를 형성하고, 상기 저장롤(18)은 권취과정 중에 상기 제2롤(14)을 따라서 평행이동될 수 있다.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체(16)의 연속적인 선회부들은 서로에 대하여 맞닿고, 나선형의 연속적인 솔기(20)를 따라서 꿰맴, 감침, 용융, 접착, 또는 용융에 의해 서로 부착되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지기의 직물(22)을 생산한다. 이러한 부착은 제지기의 직물(22)에 의하여 형성되는 무한 루프의 내부 또는 외부 중의 일측에서 이루어지는데, 내측에서의 부착이 바람직하다.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체(16)의 선회부가 충분한 수 만큼 만들어져서, 제지기의 직물(22)의 무한 루프 형태를 횡단하여 횡방향(기계-횡단 방향)으로 측정되는 폭(W)을 바람직하게 갖는 제지기의 직물(22)이 생산되면, 상기 나선형 권취가 종료된다. 이렇게 얻어진 제지기의 직물(22)은 내측 표면, 외측 표면, 기계 방향, 및 기계-횡단 방향을 갖는다. 초기에, 상기 제지기의 직물(22)의 측방향 에지가 그 기계 방향에 평행하지는 않을 것이고, 원하는 폭(W)과 그 무한 루프 형태의 기계 방향에 평행한 두 개의 측방향 에지를 갖는 가압 직물(22)를 제공하기 위하여 선(24)을 따라 다듬어져야 한다.
라미네이트 구조체(16)는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제지기의 직물(22)를 형성하기 때문에, 나선형으로 연속적인 솔기(20)는 가압 직물의 기계 방향, 또는 종방향과 정렬되지 않고, 그 대신에 약간의 각도(θ)를 형성한다. 상기 각도의 크기는 도 2 에 도시된 평면도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지기의 직물(22)의 기계 방향에 대한 라미네이트 구조체(16)의 나선형 권취의 피치(pitch)의 치수이다. 이 각도는 전술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10° 보다 작다.
도 3 은 도 1 의 3-3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4 는 라미네이트 구조체(16)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 관찰되는 바와 같이, 라미네이트 구조체(16)는 두 개의 층들을 구비하는데, 편의를 위하여 이들을 상층(34)과 하층(36)으로 칭하기로 한다. 상기 상층(34)은 제지기의 직물(22)의 외측 표면을 형성하고, 제지 기계 상에서 제조되는 젖은 종이 웹과 접촉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층(34)은 스테이플 섬유 재료, 종이 웹 상에 얼룩을 남 기지 않을 정도로 미세한 섬유 또는 필라멘트로 직조된 직물, 방사-결합되고 하이드로인탱글링되며 멜트-블로우된 비직조 직물, 및 구멍이 형성되고 압출성형된 중합체 필름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들 중 하나를 구비한다. 더욱이 상층(34)은 적어도 두 개의 개별적 서브층(sublayer)들을 구비할 수 있는데, 그 각각은 상기 군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들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층(34) 또는 그 서브층은 스테이플 섬유 재료의 배트 또는 배트들을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층(34) 또는 그 서브층은 배트 섬유의 실 또는 필라멘트에 상응하는 데니어(denier)의 미세한 실 또는 필라멘트로 된 직조 직물 또는 비직조 직물을 구비하고, 따라서 이것과 접촉하게 되는 젖은 종이 웹에 심각하게 얼룩을 형성하지 않는다.
상층(34)과 그 서브층은 미국 특허 제5,525,410호에 개시된 여러가지 미세한 직조(woven) 직물일 수 있고, 상기 미국 특허의 개시사항은 여기에 참조되어 기재된 것으로 한다. 카네보(Kanebo)에 의하여 생산 및 판매되는 미세한 직조 메쉬 제품들도 사용될 수 있다. 세렉스(Cerex)로부터 입수가능한 방사-결합된 비직조 직물, 및 손타라(Sontara)의 이름 하에서 듀퐁(Dupont)으로부터 입수가능한 하이드로인탱글링된 비직조 직물도 사용될 수 있다. 후자의 재료들은 하이드로인탱글링되고, 매우 미세한 데니어인 폴리에스테르 섬유 재료이다. 멜트-블로우된 비직조 직물은 보통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을 포함한다.
상기 상층(34) 또는 그 서브층은 구멍이 형성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시트 재료와 같은 구멍이 형성된 압출 중합체 필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멍이 형성된 TPU 시트 재료는 140 내지 850 g/m2 의 밀도와, 0.13 내지 1.3 mm (5 내지 50 mil)의 두께와, 20 내지 60 % 의 개방영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멍은 사각형, 정사각형, 원형 등과 같은 임의의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변형예로서, 상기 중합체 필름은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하층은 상층(34)에 적합한 것으로 제시된 재료들과, 니트 직물, 비직조 그물망 재료 또는 메쉬 직물, 및 직조 직물 스트립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들 중의 하나를 구비한다. 하층(36)이 직조 기계 상에서 하중을 지탱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제지기의 직물에 기계 방향과 기계-횡단 방향으로 치수적 안정성을 제공하는 때에는, 니트 직물, 비직조 그물망 재료 또는 메쉬 직물, 및 직조 직물 스트립 중의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더욱이 하층(36)은 적어도 두 개의 개별적인 서브층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들 각각은 동일한 군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들 중의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하층(36) 또는 그 서브층은 직조 직물 스트립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는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합성 중합체 수지로 된 단일 필라멘트 실, 꼬인 단일 필라멘트 실, 또는 다중 필라멘트 실로, 제지업계에서 사용되는 다른 직물이 직조되는 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직조될 수 있다. 상기 직조 직물 스트립은, 직조 후 저장롤에의 중간 저장 전에 종래의 방식으로 열-고정(heat-set)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직조 직물 스트립은 길이방향 실과 횡단 방향 실을 포함하는데, 상기 길이방향 실은 예를 들어, 꼬인 단일 필라멘트 실일 수 있고, 상기 횡단방향 실은 단일 필라멘트 실일 수 있으며, 직조 직물 스트립은 단일 또는 다중 층으로 직조된 것일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직조 직물 스트립은 미국 특허 제5,525,410호에 개시된 다양한 미세한 직조 직물일 수 이거나, 또는 카네보(kanebo)에 의하여 판매되는 다양한 미세한 직조 메쉬 직물일 수 있다.
변형예로서, 상기 하층(36) 또는 그 서브층은 존슨(Johnson)의 미국 특허 제4,427,734호에 개시된 다양한 비직조 메쉬 직물 스트립을 구비할 수 있다. 이 특허의 개시된 사항은 여기에 참조되어 기재된 것으로 한다. 이 미국 특허에 개시된 비직조 메쉬 직물은 메쉬를 한정하는 그물망같은 구조의 립(rib)들 또는 실들을 구비한다. 상기 비직조 메쉬 직물을 형성하는 단일 필라멘트 요소들는 그 길이방향 및 횡단방향으로 방향이 정해지지만, 변형예로서 이들은 상기 방향에 대하여 대각을 이루도록 방향이 정해질 수도 있다. 상기 비직조 메쉬 직물은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압출성형과 같은 기술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텍스(Naltex)로부터 입수가능하고, 0.33 mm(0.013 inch 또는 13 mil) 내지 2.03 mm(0.08 inch 또는 80 mil) 의 직경을 갖는 스트랜드(strand)를 구비하며, 센티미터 당 3 내지 16 개의 스트랜드(인치 당 7 내지 40 개의 스트랜드)를 갖는 비직조 그물망 재료가 이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재료들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상층(34) 및 하층(36)이 서로 결합되어 제지기의 직물(22)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라미네이트 구조체(16)를 형성한다. 상기 상층(34) 및 하층(36)은 폭(w)을 갖는 스트립의 형상으로 가진다. 즉, 상층(34)은 하층(36)의 폭과 같은 폭(w)을 갖는다. 1.0 mm(0.001 m; 0.039 inch) 내지 5.0 m(197.0 inch) 범위 내의 폭을 갖는 스트립이 본 발명의 실제에 유용하며, 상기 폭(w)은 명목상 1.0 미터(39.4 inch)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층(34)과 하층(36)은 횡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거리(d)를 두고 오프셋(offset)되도록 결합된다. 직물 층들 서로 간의 결합은 꿰맴, 바느질, 융합, 용융, 접착, 또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다른 공정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체(16)는 상당한 길이로 제조될 수 있고, 고객의 요구에 맞는 크기를 가진 제지기의 직물(22)을 제조하기 위한 후속의 사용을 위하여 저장된다.
도 4 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체(16)의 상층(34)은 제1측방향에지(30)과 제2측방향에지(32)를 구비하고, 이들은 함께 그 폭(w)을 한정한다. 상기 하층(36)은 전술된 바와 같이 동일한 폭(w)을 갖는다.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체(16)가 제1롤 및 제2롤(12, 14) 상에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도 3 의 단면에 도시된 구조를 형성하는 것과 같이, 라미네이트 구조체(16)의 각 선회부의 상층(34)의 제1측방향에지(30)는 바로 앞에 선행하는 선회부의 상층(34)의 제2측방향에지(32)에 맞닿는다. 그렇게 함에 있어서, 하층(36)의 측방향에지들 또한 동일한 방식으로 맞닿는다. 하층(36)에 대한 상층(34)의 거리(d)에 의한 오프셋 때문에, 라미네이트 구조체(16)의 각 선회부는 선행하는 선회부와 겹침결합(lap joint)을 형성하 는데, 이는 일 선회부의 상층(34)의 폭(d) 부분이 하층(36)의 선행하는 선회부의 동일한 폭 부분에 겹치기 때문이다. 그 후, 상기 상층(34)의 겹치는 부분들은, 꿰맴, 감침, 용융, 접착, 또는 용융에 의해 하층(36)의 아래 부분에 결합되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지기의 직물(22)을 생성한다. 상기 부착은 제지기의 직물(22)에 의하여 형성되는 무한 루프의 내측 또는 외측 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내측 상에서의 부착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라미네이트 구조체를 생성하기 위하여 전체폭(full-width) 구조체들을 서로 접착시킬 필요가 제거될 수 있다. 대신에, 상기 구조체는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갖는 상층과 하층으로부터 먼저 제조되고, 후속하여 나선형 권취 기술에 의하여 전체폭 구조체들을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체는 신속히 제조될 수 있고, 추후에 이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사항에 대한 변형예들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지만, 이 변형예는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를 넘어서까지 본 발명을 변형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라미네이트 구조체(16)로부터 전술된 방식으로 제조된 제지기의 직물(22)을 형성하는 적층된 제지기의 직물 자체는, 먼저 전술된 다양한 표준들 중의 임의의 베이스 직물을 제1롤 및 제2롤(12, 14) 근처에 장착한 후에, 전술된 절차에 따라서 그 위에 라미네이트 구조체(16)의 스트립을 나선형으로 권취하여 베이스 직물 상에 제지기의 직물(22)의 형태로 층을 생성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변형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전술된 절차에 의해서 나선형으로 권취함에 의하여 먼저 생성된 것에 라미네이트 구조체(16)의 스트립을 나선형으로 권취함에 의하여, 제지기의 직물(22)의 형태를 갖는 부가층(further layer)이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층은 먼저 생성된 층이 권취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라미네이트 구조체(16)의 스트립을 나선형으로 권취하여 제조되는데, 이로써 하나의 층에서 라미네이트 구조체(16)는 일 방향으로 나선형을 형성하여 오른 방향의 나선을 생성하고, 다른 층에서는 라미네이트 구조체(16)가 다른 방향으로 나선형을 형성하여 왼 방향의 나선을 생성한다.
나아가, 라미네이트 구조체(16)로부터 전술된 방식으로 제조된 제지기의 직물(22)을 형성하는 적층된 제지기의 직물은, 임의의 표준과 적절한 치수를 갖는 베이스 직물에 걸쳐서 제지기의 직물을 슬립(slip)시킴으로써 제조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든, 제지기의 직물이 적층되거나 또는 라미네이트 구조체(16)를 나선형으로 권취함에 의하여 생성되는 하나의 층을 포함하든 간에, 그 외측 표면, 내측 표면, 또는 이들 모두의 표면에 스테이플 섬유 재료의 하나 이상이 나선형으로 형성된 스트립 또는 전체폭의 형태로 적합화되고, 바느질이나 하이드로인탱글링에 의하여 결합된다. 상기 제지기의 직물이 적층된 경우에, 위에 위치하는 층들을 통해 결합된 상기 스테이플 섬유 재료의 개별적 섬유들은 상기 층들이 서로 부착되게 하는 주된 수단이다. 어느 경우든, 이 부가적인 배트는 상기 제지기의 직물을 구조적 완전성을 향상시키고, 시트가 얼룩지는 위험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은 제지 기술에 이용될 수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제지 기계의 형성 부, 가압부, 및 건조부에서 사용되는 직물에 관하여 이용될 수 있다.

Claims (32)

  1. 하층과 상층을 갖는 라미네이트 구조체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하층과 상층 각각은 동등한 폭의 스트립들이고 함께 적층되며, 상기 하층의 적층되지 않은 부분이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체의 일 측방향 에지를 따라 있고 상기 상층의 적층되지 않은 부분이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체의 다른 측방향 에지를 따라 있도록 상기 하층은 상기 상층에 대해 횡방향으로 오프셋되는 라미네이트 구조체 제공단계;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체를 나선형으로 복수의 선회부로 권취하는 단계로서,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체의 일 선회부의 상층의 적층되지 않은 부분은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체의 인접한 선회부의 하층의 적층되지 않은 부분 상에 겹쳐지는 권취단계; 및
    제지기의 직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겹쳐진 상기 상층의 적층되지 않은 부분을 상기 하층의 적층되지 않은 부분에 결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지기의 직물은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을 갖는 무한 루프의 형태로 되는 결합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은 꿰맴(sewing), 감침(stitching), 접착(gluing), 용융(fusion) 및 용접(welding)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작업에 의하여 수행되며,
    제지기의 직물은 샌드위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샌드위치의 내표면들을 형성하는 상기 상층면과 하층면은 실질적으로 매끄러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체 제공단계는: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체를 위한 베이스인 하층을 제공하는 단계;
    제지 기계 내에서 종이 웹을 지지하기 위해 적합화된 상층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상층 및 상층에 대해 횡방향으로 오프셋되는 하층으로 샌드위치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층과 하층을 함께 부착시키는 부착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단계는 꿰맴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단계는 바느질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단계는 접착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단계는 융합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단계는 용융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단계 이후에,
    상기 제지기의 직물에 스테이플 섬유 재료로 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층을 부착시키는 부착단계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단계는 상기 제지기의 직물의 내측 표면 상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단계는 상기 제지기의 직물의 외측 표면 상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플 섬유 재료로 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층은 상기 제지기의 직물의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 중의 하나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스트립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플 섬유 재료로 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층은 상기 제지기의 직물의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 중의 하나 상에 전체폭으로 적합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체의 제공 단계 이전에,
    상기 제지기의 직물을 위한 베이스 직물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직물은 무한 루프의 형태이고, 상기 무한 루프는 내측 표면, 외측 표면, 제1 및 제2 측방향 에지, 및 상기 측방향 에지들 사이로 횡방향으로 측정되는 직물 폭을 가지며,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체는 상기 베이스 직물의 외측 표면 상에 나선형으로 복수의 선회부로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체의 제공 단계 이전에,
    상기 제지기의 직물을 위한 베이스 직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 직물을 상기 제지기의 직물 내부로 슬립시키는 단계;를 더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직물은 무한 루프의 형태이고, 상기 무한 루프는 내측 표면, 외측 표면, 제1 및 제2 측방향 에지, 및 상기 측방향 에지들 사이로 횡방향으로 측정되는 직물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체는 제 1 라미네이트 구조체이고,
    상기 제지기의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하층과 상층을 갖는 제 2 라미네이트 구조체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하층과 상층 각각은 동등한 폭의 스트립들이고 함께 적층되며, 상기 하층의 적층되지 않은 부분이 상기 제 2 라미네이트 구조체의 일 측방향 에지를 따라 있고 상기 상층의 적층되지 않은 부분이 상기 제 2 라미네이트 구조체의 다른 측방향 에지를 따라 있도록 상기 하층은 상기 상층에 대해 횡방향으로 오프셋되는 제 2 라미네이트 구조체 제공단계;
    상기 제 2 라미네이트 구조체를 상기 제지기의 직물에 나선형으로 복수의 선회부로 권취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라미네이트 구조체의 일 선회부의 상층의 적층되지 않은 부분은 상기 제 2 라미네이트 구조체의 인접한 선회부의 하층의 적층되지 않은 부분 상에 겹쳐지는 권취단계; 및
    겹쳐진 상기 상층의 적층되지 않은 부분을 상기 하층의 적층되지 않은 부분에 결합시키는 결합단계;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라미네이트 구조체는 상기 제 1 라미네이트 구조체가 권취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나선형으로 권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
  22. 제지 기계용 제지기의 직물로서, 상기 제지기의 직물은 라미네이트 구조체를 구비하고,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체는 하층과 상층을 가지며, 상기 하층과 상층 각각은 동등한 폭의 스트립들이고 함께 적층되고, 상기 하층의 적층되지 않은 부분이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체의 일 측방향 에지를 따라 있고 상기 상층의 적층되지 않은 부분이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체의 다른 측방향 에지를 따라 있도록 상기 하층은 상기 상층에 대해 횡방향으로 오프셋되며,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체는 나선형으로 복수의 선회부로 권취되고,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체의 일 선회부의 상층의 적층되지 않은 부분은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체의 인접한 선회부의 하층의 적층되지 않은 부분 상에 겹쳐지며, 겹쳐진 상기 상층의 적층되지 않은 부분은 상기 하층의 적층되지 않은 부분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은 꿰맴(sewing), 감침(stitching), 용융(fusion), 접착(gluing) 및 용접(welding)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작업에 의하여 수행되며,
    제지기의 직물은 샌드위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샌드위치의 내표면들을 형성하는 상기 상층면과 하층면은 실질적으로 매끄러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직물.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지기의 직물의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 중의 하나에 부착된 스테이플 섬유 재료로 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층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 기의 직물.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플 섬유 재료로 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층은 상기 제지기의 직물의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 중의 하나 상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스트립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직물.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플 섬유 재료로 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층은 상기 제지기의 직물의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 중의 하나에 전체폭으로 적합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직물.
  26. 제 22 항에 있어서,
    무한 루프 형태의 베이스 직물을 더 구비하고, 상기 무한 루프는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을 가지며,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체는 상기 베이스 직물의 외측 표면 상에 나선형으로 권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직물.
  27. 제 22 항에 있어서,
    무한 루프 형태의 베이스 직물을 더 구비하고, 상기 무한 루프는 내측 표면과 외측 표면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 직물은 상기 제지기의 직물의 내측에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직물.
  28.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체는 제 1 라미네이트 구조체이고, 제 2 라미네이트 구조체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 2 라미네이트 구조체도 하층과 상층을 가지고, 상기 하층과 상층 각각은 동등한 폭의 스트립들이고 함께 적층되며, 상기 하층의 적층되지 않은 부분이 상기 제 2 라미네이트 구조체의 일 측방향 에지를 따라 있고 상기 상층의 적층되지 않은 부분이 상기 제 2 라미네이트 구조체의 다른 측방향 에지를 따라 있도록 상기 하층은 상기 상층에 대해 횡방향으로 오프셋되고, 상기 제 2 라미네이트 구조체는 상기 제지기의 직물 상에 나선형으로 복수의 선회부로 권취되며, 상기 제 2 라미네이트 구조체의 일 선회부의 상층의 적층되지 않은 부분은 상기 제 2 라미네이트 구조체의 인접한 선회부의 하층의 적층되지 않은 부분 상에 겹쳐지고, 겹쳐진 상기 상층의 적층되지 않은 부분은 상기 하층의 적층되지 않은 부분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직물.
  29.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체의 상층은 스테이플 섬유 재료, 섬유 또는 필라멘트로부터 직조된 직물, 방사-결합되고 하이드로인탱글링되며 멜트-블로우된 비직조 직물, 및 구멍이 형성되고 압출성형된 중합체 필름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들 중 하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직물.
  30.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체의 상층은 적어도 두 개의 개별적 서브층들을 구비하고, 상기 서브층들 각각은 스테이플 섬유 재료, 섬유 또는 필라멘트로부터 직조된 직물, 방사-결합되고 하이드로인탱글링되며 멜트-블로우된 비직조 직물, 및 구멍이 형성되고 압출성형된 중합체 필름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들 중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직물.
  31.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체의 하층은 스테이플 섬유 재료, 섬유 또는 필라멘트로부터 직조된 직물, 방사-결합되고 하이드로인탱글링되며 멜트-블로우된 비직조 직물, 및 구멍이 형성되고 압출성형된 중합체 필름, 니트 직물, 비직조 그물망 재료 또는 메쉬 직물, 및 직조 직물 스트립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들 중 하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직물.
  32.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체의 하층은 적어도 두 개의 개별적 서브층들을 구비하고, 상기 서브층들 각각은 스테이플 섬유 재료, 섬유 또는 필라멘트로부터 직조된 직물, 방사-결합되고 하이드로인탱글링되며 멜트-블로우된 비직조 직물, 및 구멍이 형성되고 압출성형된 중합체 필름, 니트 직물, 비직조 그물망 재료 또는 메쉬 직 물, 및 직조 직물 스트립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들 중 하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직물.
KR1020037004875A 2000-10-05 2001-10-03 제지 기계 직물막의 생산방법 KR1006728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679,697 US6723208B1 (en) 2000-10-05 2000-10-05 Method for producing spiral wound paper machine clothing
US09/679,697 2000-10-05
PCT/US2001/030937 WO2002029157A1 (en) 2000-10-05 2001-10-03 Method for producing paper machine cloth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468A KR20030042468A (ko) 2003-05-28
KR100672850B1 true KR100672850B1 (ko) 2007-01-22

Family

ID=24727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4875A KR100672850B1 (ko) 2000-10-05 2001-10-03 제지 기계 직물막의 생산방법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6723208B1 (ko)
EP (1) EP1322815B1 (ko)
JP (1) JP4069250B2 (ko)
KR (1) KR100672850B1 (ko)
CN (1) CN1213199C (ko)
AT (1) ATE349567T1 (ko)
AU (2) AU9497601A (ko)
BR (1) BR0114070A (ko)
CA (1) CA2418171C (ko)
DE (1) DE60125559T2 (ko)
ES (1) ES2273895T3 (ko)
MX (1) MXPA03003037A (ko)
NO (1) NO331031B1 (ko)
NZ (1) NZ524133A (ko)
RU (1) RU2268330C2 (ko)
TW (1) TW510849B (ko)
WO (1) WO2002029157A1 (ko)
ZA (1) ZA2003010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65713B2 (en) * 2001-02-03 2003-05-20 Albany International Corp. Laminated structure for paper machine press fabric and method making
US6616812B2 (en) * 2001-09-27 2003-09-09 Voith Paper Patent Gmbh Anti-rewet felt for use in a papermaking machine
US7101599B2 (en) * 2002-05-06 2006-09-05 Albany International Corp. Method to increase bond strength and minimize non-uniformities of woven two-layer multiaxial fabrics and fabric produced according to same
US6875315B2 (en) * 2002-12-19 2005-04-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on-woven through air dryer and transfer fabrics for tissue making
US6878238B2 (en) * 2002-12-19 2005-04-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on-woven through air dryer and transfer fabrics for tissue making
US6989080B2 (en) * 2003-06-19 2006-01-24 Albany International Corp. Nonwoven neutral line dryer fabric
US7141142B2 (en) * 2003-09-26 2006-11-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making paper using reformable fabrics
DE10358320A1 (de) * 2003-12-12 2005-07-21 Rex Industrie-Produkte Graf Von Rex Gmbh Einstückiger Reibkörper mit einem Träger und darauf angeordnetem Reibbelag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20060068665A1 (en) * 2004-09-29 2006-03-30 Heinz Pernegger Seamed felt for forming fiber cement articles and related methods
US7410554B2 (en) * 2004-11-11 2008-08-12 Albany International Corp. Unique modular construction for use as a forming fabric in papermaking or tissue or nonwovens
US7473336B2 (en) * 2005-04-28 2009-01-06 Albany International Corp. Multiaxial fabrics
US7207355B2 (en) * 2005-05-06 2007-04-24 Astenjohnson, Inc. Multi-axial seamed papermaking fabric and method
DE102005046905A1 (de) * 2005-09-30 2007-04-05 Voith Patent Gmbh Papiermaschinenbespannung
US10590571B2 (en) * 2007-12-28 2020-03-17 Albany International Corp. Ultra-resilient pad
AU2008345003A1 (en) * 2007-12-28 2009-07-09 Albany International Corp. Ultra-resilient pad
ES2401172T3 (es) * 2007-12-28 2013-04-17 Albany International Corp. Tejido ultra-elástico
US10590569B2 (en) 2007-12-28 2020-03-17 Albany International Corp. Ultra-resilient fabric
RU2507334C2 (ru) 2008-09-11 2014-02-20 Олбани Интернешнл Корп. Проницаемый ремень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ткани, материи и нетканой продукции
BRPI0918561B1 (pt) 2008-09-11 2019-06-18 Albany International Corp. Membros de suporte de não tecido contínuo
US8728280B2 (en) 2008-12-12 2014-05-20 Albany International Corp. Industrial fabric including spirally wound material strips with reinforcement
US8764943B2 (en) 2008-12-12 2014-07-01 Albany International Corp. Industrial fabric including spirally wound material strips with reinforcement
EP2376691B1 (en) * 2008-12-12 2016-04-27 Albany International Corp. Industrial fabric including spirally wound material strips
US8454800B2 (en) 2009-01-28 2013-06-04 Albany International Corp. Industrial fabric for producing tissue and towel products,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DE102009002433A1 (de) * 2009-04-16 2010-10-21 Voith Patent Gmbh Papiermaschinenbespannung
US8535484B2 (en) 2011-01-21 2013-09-17 Albany International Corp. Ultra-resilient fabric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DE102011009227A1 (de) * 2011-01-22 2012-07-26 Trützschler Nonwovens Gmbh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Vlies-Gewebeverbundes
DE102011005673A1 (de) * 2011-03-17 2012-09-20 Voith Patent Gmbh Laminiertes Endlosband
US20130008552A1 (en) 2011-07-06 2013-01-10 Hans Peter Breuer Felt for forming fiber cement articles and related methods
DE202012102608U1 (de) * 2012-07-13 2013-10-14 Heimbach Gmbh & Co. Kg Endloses Band
WO2014202281A1 (de) * 2013-06-21 2014-12-24 Voith Patent Gmbh Bespannung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RU2687640C2 (ru) 2014-09-25 2019-05-15 Олбэни Интернешнл Корп. Многослойная лента для крепирования и структурирования в процессе изготовления основанного на целлюлозе продукта
ES2961677T3 (es) 2014-09-25 2024-03-13 Albany Int Corp Cinta multicapa para crepado y estructuración en un proceso de fabricación de papel guateado
EP3274284A1 (en) * 2015-03-26 2018-01-3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s of winding substrates having three-dimensional features
JP6497678B2 (ja) 2015-07-21 2019-04-10 イチカワ株式会社 抄紙用フェ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521447B2 (ja) 2015-07-28 2019-05-29 イチカワ株式会社 抄紙用フェルト
DE202015106663U1 (de) 2015-12-07 2017-03-08 Heimbach Gmbh & Co. Kg Band für den Einsatz in Maschinen
EP3235949B1 (en) 2016-04-21 2018-05-23 Ichikawa Co., Ltd. Papermaking felt
US11525197B2 (en) 2017-04-07 2022-12-13 Nike, Inc. Knitted textile and method of forming
US11358895B2 (en) 2018-11-15 2022-06-14 Owens-Brockway Glass Container Inc. Batch charger for a melting chambe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25026A (en) * 1938-02-15 1940-12-17 Welsh Mfg Co Method of making a tube of cellulose material
US2315217A (en) * 1941-02-11 1943-03-30 Obiglio Carlos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tubular bodies
US3673024A (en) * 1969-03-06 1972-06-27 Nordiska Maskinfilt Ab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endless drive belts and conveyor bands
US4427734A (en) 1982-04-19 1984-01-24 Albany International Corp. Wet press felt for papermaking machines
DE9007400U1 (ko) 1990-06-13 1991-08-14 Thomas Josef Heimbach Gmbh & Co, 5160 Dueren, De
US5268076A (en) * 1990-06-13 1993-12-07 Thomas Josef Heimbach Gmbh & Co. Spiral wound papermaking-machine felt
SE468602B (sv) 1990-12-17 1993-02-15 Albany Int Corp Pressfilt samt saett att framstaella densamma
US5208087A (en) * 1991-10-08 1993-05-04 Albany International Corp. Spiral construction for a long nip press belt
US5525410A (en) 1995-02-24 1996-06-11 Albany International Corp. Press fabric
US6124015A (en) * 1996-04-18 2000-09-26 Jwi Ltd. Multi-ply industrial fabric having integral jointing structures
US5713399A (en) * 1997-02-07 1998-02-03 Albany International Corp. Ultrasonic seaming of abutting strips for paper machine clothing
US5785818A (en) * 1997-02-27 1998-07-28 Jwi Ltd. Multiaxial pin seamed papermaker's press felt
US5879777A (en) 1997-06-19 1999-03-09 Asten, Inc. Modular papermaking fabric
JP3272282B2 (ja) * 1997-10-20 2002-04-08 市川毛織株式会社 ニードルフェ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EP0947623B1 (de) * 1998-04-02 2002-02-27 Thomas Josef Heimba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 Co. Textilbah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Textilbahn sowi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ieses Verfahrens
US5939176A (en) * 1998-09-01 1999-08-17 Albany International Corp. Warp loop seam
US6350336B1 (en) 1999-06-22 2002-02-26 Albany International Corp. Method of manufacturing a press fabric by spirally attaching a top laminate layer with a heat-activated adhes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125559D1 (de) 2007-02-08
WO2002029157A1 (en) 2002-04-11
CA2418171C (en) 2009-01-06
US6723208B1 (en) 2004-04-20
JP2004510896A (ja) 2004-04-08
CN1213199C (zh) 2005-08-03
NO331031B1 (no) 2011-09-19
EP1322815B1 (en) 2006-12-27
AU9497601A (en) 2002-04-15
CA2418171A1 (en) 2002-04-11
ES2273895T3 (es) 2007-05-16
TW510849B (en) 2002-11-21
RU2268330C2 (ru) 2006-01-20
MXPA03003037A (es) 2003-06-24
BR0114070A (pt) 2003-08-12
DE60125559T2 (de) 2007-10-04
ZA200301001B (en) 2004-02-09
CN1466641A (zh) 2004-01-07
KR20030042468A (ko) 2003-05-28
JP4069250B2 (ja) 2008-04-02
AU2001294976B2 (en) 2005-11-03
NO20031534D0 (no) 2003-04-04
NZ524133A (en) 2004-09-24
ATE349567T1 (de) 2007-01-15
NO20031534L (no) 2003-04-04
EP1322815A1 (en) 200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2850B1 (ko) 제지 기계 직물막의 생산방법
KR100405084B1 (ko) 제지기의 프레스부용 프레스 패브릭 및 그 제조방법
KR100814898B1 (ko) 제지기 직물용 적층 구조물
AU2001294976A1 (en) Method for producing paper machine clothing
AU2002243772B2 (en) Laminated structure for paper machine clothing
KR100646231B1 (ko) 솔기가 있는 제지기용 직물을 위한 베이스 구조체
AU2002243772A1 (en) Laminated structure for paper machine clothing
JP4818259B2 (ja) 糸移動を防止する多軸抄紙布の継ぎ合わせ方法、及びそれに対応する抄紙布
KR20050075342A (ko) 층을 이루는 프레스용 직물
JP2001040594A (ja) 角度のついた織を持つ多軸プレス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