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7660A - 서로 다른 신호 레벨을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 Google Patents

서로 다른 신호 레벨을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7660A
KR20000067660A KR1019990015663A KR19990015663A KR20000067660A KR 20000067660 A KR20000067660 A KR 20000067660A KR 1019990015663 A KR1019990015663 A KR 1019990015663A KR 19990015663 A KR19990015663 A KR 19990015663A KR 20000067660 A KR20000067660 A KR 20000067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erminal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or
interfac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5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7211B1 (ko
Inventor
김한상
Original Assignee
신동훈
제이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훈, 제이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동훈
Priority to KR1019990015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7211B1/ko
Publication of KR20000067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7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7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72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7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different data processing systems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e.g. protocol converters for incompatible systems, open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G06F13/4286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using a handshaking protocol, e.g. RS232C lin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02Serial port, e.g. RS232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통신 단말기에 탑재되며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제2 통신 단말기 사이에 전송되는 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신호 변환 장치, 신호 선택 장치와 커넥터를 포함한다.
신호 변환 장치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신호레벨로 변환하여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커넥터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결합되며,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신호 변환 장치에 전송하는 제1 신호 단자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 직접 전송하는 제2 신호 단자를 가지고 있다. 신호 선택 장치는 상기 제1 커넥터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신호 변환 장치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시킨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 장치는 서로 다른 레벨의 신호를 사용하는 통신 단말기에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서로 다른 신호 레벨을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 장치{An Interface Device for Interfacing with a Variety of Signal Level}
본 발명은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로 다른 신호 레벨을 가진 단말기와 호환되어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전자 제품(예컨대, 이동 전화기, 컴퓨터, PDA 등) 사이에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유무선 데이터 통신이나 E-mail 그리고 인터넷 등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전자 제품(통신 단말기, 컴퓨터, 프린터 등) 사이에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이들 전자 제품 사이의 신호 레벨을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가 필요하다.
즉, 일반적으로 전자 제품 상호 간에는 서로 다른 레벨의 신호 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 제품은 서로 다른 신호 레벨을 일정한 표준에 의거하여 신호 레벨을 변환 및 증폭하여 송수신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신호 레벨의 변환 등은 인터페이스 장치에 의해 구현된다.
도1은 하나의 통신 단말기에 설치되는 종래의 인터페이스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인터페이스 장치는 데이터 송수신기(10)로부터 송신되는 전송 신호(Tx)나 다른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수신 신호(Rx)를 수신하여 이들 신호를 변환하는 RS232 드라이버(22)와, 이 RS 232 드라이버(22)에 의해 변환된 신호(Tx')를 다른 통신 단말기 등에 전송하거나 다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Rx')를 RS 232 드라이버(22)로 전송하기 위한 커넥터(24)를 포함한다.
다음에는 도1에 도시한 종래의 인터페이스 장치(20)의 동작을 설명한다.
휴대형 정보 단말기나 컴퓨터가 수 미터 이상 떨어진 곳에 있는 다른 정보 단말기 등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에는 이들 신호를 소정 신호 레벨로 변환한 후 증폭하여 송신하여야 한다.
도1의 RS 232 드라이버(22)는 이와 같이 신호 레벨을 변환 및 증폭하기 위한 것으로서, 데이터 송수신기(10)로부터 송신 신호(Tx)(보통 이 송신 신호는 5V 또는 3,3 V의 스윙 폭을 가지는 논리 레벨의 신호이다.)를 수신하여, RS 232 신호 레벨의 송신 신호(Tx')로 변환한 후, 출력한다.
그러면, 이 인터페이스 장치(20)의 커넥터(24)를 통해 연결되는 다른 통신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는 내장되어 있는 RS 232 드라이버(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RS 232 신호 레벨의 신호를 수신하여, 논리 레벨의 신호로 변환한 후 데이터 송수신기로 이 논리 레벨의 신호를 송신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RS 232 드라이버(22)는 주로 먼 거리에 있는 다른 통신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한편, 먼 거리가 아닌 가까운 거리에 있는 통신 장치(예컨대, 휴대폰과 PDA 사이의 통신)와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도1의 RS 232 드라이버(22)를 사용하여 신호 레벨을 변환할 필요 없이, 직접 데이터 송수신기와 통신할 수도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인터페이스 장치는 이와 같이 RS 232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신호 레벨을 변환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단말기와 신호 레벨 변환 없이 직접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를 동시에 지원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여러 종류의 신호레벨을 가진 다른 통신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해서는 각 신호 레벨의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 변환 장치가 별도로 필요하였으며, 따라서 종래의 인터페이스 장치는 각각 다른 신호 레벨을 사용하는 다른 통신 단말기에 호환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레벨의 신호를 사용하는 통신 단말기에 호환되어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는 제1 통신 단말기에 탑재되며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제2 통신 단말기 사이에 전송되는 신호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신호레벨로 변환하여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신호 변환 장치;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결합되며,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신호 변환 장치에 전송하는 제1 신호 단자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 직접 전송하는 제2 신호 단자를 가지는 제1 커넥터와; 상기 제1 커넥터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신호 변환 장치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시키는 신호 선택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 선택 장치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신호 레벨이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신호 레벨과 같은 경우 상기 신호 변환 장치를 디스에이블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호 변환 장치는 상기 제1 커넥터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신호 변환 장치를 디스에이블시키는 셧 다운 단자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신호 선택 장치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제3 신호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셧 다운 단자에 하이 또는 로우 레벨의 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커넥터는 전원 전압에 연결되는 제4 신호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신호 레벨이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신호 레벨과 같은 경우에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제3 신호 단자는 상기 제4 신호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신호 선택 장치에 하이 레벨의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3 신호 단자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제2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제4 신호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는 제1 통신 단말기에 탑재되며,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다수의 제2 통신 단말기 사이에 전송되는 신호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각 대응하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신호레벨로 변환하여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다수의 신호 변환 장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의 신호 변환 장치 중 하나의 신호 변환 장치를 인에이블시키는 디코더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결합되며, 상기 디코더에 커플링되는 신호 단자로 이루어지는 제1 신호 단자 집합과 상기 다수의 신호 변환 장치에 커플링되는 신호 단자로 이루어지는 제2 신호 단자집합을 가지는 제1 커넥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신호 변환 장치 중 하나 이상의 신호 변환 장치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직접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신호 변환 장치는 상기 제1 커넥터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신호 변환 장치를 디스에이블시키는 셧 다운 단자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디코더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제1 신호 단자집합으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셧 다운 단자에 하이 또는 로우 레벨의 신호를 인가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는 제1 통신 단말기에 탑재되며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다수의 제2 통신 단말기 사이에 전송되는 신호를 인터페이스하기 것으로서
각각 대응하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신호레벨로 변환하여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다수의 신호 변환 장치; 상기 다수의 신호 변환 장치의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의 신호 변환 장치의 출력 신호 중 하나의 출력 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멀티플렉서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결합되며, 상기 멀티플렉서에 커플링되는 신호 단자로 이루어지는 제1 신호 단자 집합과 상기 다수의 신호 변환 장치에 커플링되는 신호 단자로 이루어지는 제2 신호 단자집합을 가지는 제1 커넥터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신호 변환 장치(110), 신호 선택장치(120), 커넥터(130)를 포함한다.
신호 변환 장치(110)는 데이터 송수신기(9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Tx)를 수신하여, 이를 소정 신호 레벨 예컨대, RS 232 신호 레벨의 신호(Tx')로 변환시킨 후, 커넥터(130)로 송신한다. 또한, 이 신호 변환 장치(110)는 다른 통신 단말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수신되는 신호(Rx')를 수신하여, 데이터 송수신기(90)에서 사용하는 신호 레벨(Rx)로 변환시킨 후 이 변환된 신호를 데이터 송수신기(90)로 전송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호 변환 장치(110)는 셧 다운 기능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호 변환 장치(110)의 셧 다운 단자(Shutdown)에 로우 신호가 인가되면 신호 변환 장치(110)는 디스에이블 상태 즉, 출력이 하이 임피던스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셧 다운 기능을 제공하는 신호 변환 장치로서 구체적으로 Sipex 사의 제품(모델명 SP 385)을 사용하였다.
커넥터(130)는 m개의 단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중 하나의 단자(도2의 1번 단자)는 전원 전압(VCC)에 연결된다. 커넥터(130)의 두 개의 단자(2번 단자, 3번 단자)는 신호 변환 장치(110)에 연결되며, 이들 단자를 통해 각각 신호 변환 장치(110)로부터 송신되는 RS 232 레벨의 송신 신호(Tx')와 다른 통신 단말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수신되는 RS 232 레벨의 수신 신호(Rx')를 송수신 한다. 커넥터(130)의 다른 하나의 단자(k번 단자)는 신호 선택 장치(120)에 연결되어, k번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신호 선택 장치(120)의 온, 오프를 제어한다. 커넥터(130)의 나머지 두 개의 단자(m-1번 단자, m 단자)는 신호 변환 장치를 거치지 않고, 데이터 송수신기(90)의 송신 및 수신 신호선에 직접 연결된다.
이 커넥터(130)는 다른 통신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해 커넥터(140)에 연결된다. 이때, 커넥터(140)는 통신하고자 하는 다른 통신 단말기의 커넥터 또는 다른 통신 단말기에 연결되는 케이블의 커넥터이다.
신호 선택 장치(120)는 제1 단자가 신호 변환 장치의 셧 다운 단자에 연결되며, 제2 단자가 접지에 연결되며 제3 단자가 커넥터(130)의 k번 단자에 연결되는 3단자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3단자 스위치의 예로는 모스 트랜지스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등의 여러 가지 스위치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인터페이스가 탑재되는 통신 단말기의 논리 레벨과 다른 신호 레벨(Rx')이 수신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커넥터(130)에 연결되는 다른 통신 단말기의 커넥터(140)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취한다. 즉, 다른 통신 단말기의 커넥터(140)는 커넥터(130)의 2번, 3번 단자에만 연결되며, 커넥터(130)의 m-1번 단자, m번 단자에는 연결되지 않는 구조를 취한다.
따라서, 다른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Rx')는 커넥터(130, 140)를 통해 신호 변환 장치(110)에 입력되어 데이터 송수신기(90)에서 사용하는 신호 레벨(Rx)로 변환된 후, 데이터 송수신기(90)로 전송된다.
이 때, 단자(k)는 오픈되거나 그라운드로 처리되어 신호변환장치(110)는 온이 된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인터페이스가 탑재되는 통신 단말기와 동일한 신호 레벨로 통신하는 경우(예컨대, 가까운 거리에 있는 통신 단말기와 통신을 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커넥터(130)에 연결되는 다른 통신 단말기의 커넥터(140)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취한다. 즉, 다른 통신 단말기의 커넥터(140)는 커넥터(130)의 1번 단자가 k번 단자에 연결되어 전원 전압(Vcc)이 신호 선택 장치에 연결되도록 하는 구조를 취한다. 또한, 커넥터(140)는 커넥터(130)의 m-1번 단자, m번 단자에는 연결되어 송신 및 수신 신호가 전송되도록 한다.
따라서, 신호 선택 장치(120)에는 하이 신호가 인가되기 때문에, 신호 선택 장치(120)는 온 상태로 되며, 이에 따라 신호 변환 장치(110)의 셧 다운 단자에는 로우 레벨의 신호가 인가된다. 따라서, 신호 변환 장치(110)는 디스에이블 상태 즉,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된다. 또한, 다른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Rx)는 신호 변환 장치(110)를 통하지 않고, 직접 데이터 송수신기(90)에 전송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장치에 결합되는 커넥터(140)의 구조를 적절히 변경하여, 커넥터(130)에 연결함으로써 제1 실시예의 인터페이스가 탑재되는 통신 단말기의 논리 레벨과 같은 신호 레벨이 들어오는 경우와 다른 신호 레벨이 들어오는 경우를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다음은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를 설명한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신호 변환부(210), 디코더(220) 및 커넥터(230)로 이루어진다.
신호 변환부(210)는 다수의 신호 변환 장치(SC1, SC2,...SC2n)로 이루어지는 데, 각 신호 변환 장치는 데이터 송수신기(9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각각 소정 신호 레벨 예컨대, RS 232 신호 레벨이나 RS422 신호 레벨로 변환시킨 후, 커넥터(230)로 송신한다. 또한, 각 신호 변환 장치(SC1, SC2,...SC2n)는 다른 통신 단말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 송수신기(90)에서 사용하는 신호 레벨로 변환시킨 후 이 변환된 신호를 데이터 송수신기(9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각 신호 변환 장치도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셧 다운 기능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호 변환 장치(SC1, SC2,...SC2n)의 셧 다운 단자에 하이 전압이 인가되면 신호 변환 장치는 디스에이블 상태 즉, 하이 임피던스 상태가 된다.
한편, 도3에 도시한 신호 변환 장치(SC1, SC2,...SC2n) 중 하나 이상의 신호 변환 장치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바로 데이터 송수신기(90)의 신호 선에 연결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즉, 도3에서는 편의상 신호 변환 장치(SC1, SC2,...SC2n)로 도시하였지만, 실제 이 신호 변환 장치(SC1, SC2,...SC2n) 중 하나 이상의 신호 변환 장치(예컨대,SC2n)는 커넥터(230)로부터 데이터 송수신기(90)에 바로 신호 선이 연결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도3에서는 편의상 데이터 송수신기와 각 신호 변환 장치(SC1, SC2,...SC2n)가 하나의 신호 선으로 연결된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데이터 송수신기와 각 신호 변환 장치(SC1, SC2,...SC2n) 사이에는 송신 및 수신을 위한 2 이상의 신호 선이 연결되어 있다.
커넥터(230)는 P개의 단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중 하나의 단자(도2의 1번 단자)는 전원 전압(VCC)에 연결된다. 커넥터(230)의 m 개의 단자(2번 단자, 3번 단자, ...m+1번 단자)는 디코더(220)에 연결된다. 나머지 단자(m+2번 단자, ,,,. P번 단자)들은 각 신호 변환 장치(SC1, SC2,...SC2n)에 연결되어, 이들 단자를 통해 각 신호 변환 장치 또는 다른 통신 단말기로 신호를 전송한다.
한편, 도3에서는 편의상 커넥터(230)와 각 신호 변환 장치가 하나의 신호 선으로 연결된 구조를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 각 신호 변환 장치와 커넥터(230) 사이에는 송신 및 수신 신호의 전송을 위한 둘 이상의 신호선이 연결되어 있다.
디코더(220)는 입력 단자가 커넥터(230)의 m 개의 단자와 연결되며, 출력 단자가 2n개의 각 신호 변환 장치(SC1, SC2,...SC2n)의 셧 다운 단자에 연결된다. 이 디코더(220)는 n 개의 입력 단자에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각 신호 변환 장치 중 하나의 신호 변환 장치(예컨대, SC1)의 셧 다운 단자에는 하이 신호를 인가하고 나머지 신호 변환 장치(SC2, SC3,...SC2n)의 셧 다운 단자에는 로우 신호를 인가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디코더(220)의 입력 단자에 입력되는 신호는 커넥터(230)에 결합되는 다른 통신 단말기의 커넥터(240)의 구조에 의해 결정된다. 예컨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240)가 커넥터(230)의 2번 단자와 4번 단자만을 전원전압에 연결시키고 나머지 단자들은 전원 전압에 연결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취하는 경우에는, 디코더(320)의 첫 번째 및 세 번째 입력 단자에만 하이 신호가 인가되고 나머지 입력 단자에는 로우 신호가 인가된다. 즉, 이진 신호 값 101000....0 입력되게 된다. 따라서, 디코더(220)는 이 이진 신호 값에 대응하여 신호 변환 장치(SC1, SC2,...SC2n) 중 하나의 신호 변환 장치에만 하이 신호를 인가하고 나머지 신호 변환 장치에는 로우 신호를 인가한다. 따라서, 하이 신호가 인가된 신호 변환 장치만이 인에이블 상태로 되고, 나머지 신호 변환 장치는 디스에이블 상태로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커넥터(230)와 다른 통신 단말기의 커넥터(240)가 연결되어 다른 통신 단말기의 신호가 입력되면, 디코더(220)는 이 수신된 단말기의 신호 레벨을 변환시키는 신호 변환 장치를 선택한다. 이때, 신호 변환 장치의 선택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코더(220)에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결정되며, 또한 디코더(220)에 입력되는 신호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되는 다른 통신 단말기의 커넥터(240)의 구조에 의해 결정된다.
디코더(220)에 의해 선택된 신호 변환 장치는 다른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입력받아 데이터 송수신기(90)에서 사용하는 신호 레벨로 변환하여, 데이터 송수신기(90)로 출력한다.
한편, 데이터 송수신기(90)로부터 다른 통신 단말기로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먼저, 디코더(220)에 의해 선택된(이 디코더의 선택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넥터(230, 240)의 결합에 의해 결정됨) 신호 변환 장치(210)가 데이터 송수신기(9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이 신호를 소정 신호 레벨로 변환시켜 커넥터(230, 240)를 통해 다른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그러면, 다른 통신 단말기는 이 신호를 자신이 사용하는 신호 레벨로 변환시킨 후 수신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도 인터페이스 장치에 결합되는 커넥터(240)의 구조를 적절히 변경하여 커넥터(230)에 연결함으로써 서로 다른 신호 레벨을 사용하는 통신 단말기와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는 셧 다운 기능을 가지는 신호 변환 장치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셧 다운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신호 변환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는데,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는 이와 같은 셧 다운 기능이 지원되지 않은 신호 변환 장치를 적용한 경우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는 멀티플렉서(310), 신호 변환부(320)와 커넥터(330)를 포함한다.
신호 변환부(320)는 다수의 신호 변환 장치(SC1, SC2,...SC2n)로 이루어지는 데, 각 신호 변환 장치는 데이터 송수신기(9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각각 소정 신호 레벨로 변환시킨 후 커넥터(330)로 송신한다. 또한, 각 신호 변환 장치(SC1, SC2,...SC2n)는 다른 통신 단말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 송수신기(90)에서 사용하는 신호 레벨로 변환시킨 후 이 변환된 신호를 데이터 송수신기(9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신호 변환 장치(SC1, SC2,...SC2n)는 셧 다운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다.
한편, 도4에서는 편의상 신호 변환 장치(SC1, SC2,...SC2n)로 도시하였지만, 실제 이 신호 변환 장치(SC1, SC2,...SC2n) 중 하나 이상의 신호 변환 장치(예컨대,SC2n)는 커넥터(330)로부터 데이터 송수신기(90)에 바로 신호 선이 연결된 구조일 수 있다.
도4에서, 커넥터(330)는 m개의 단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중 하나의 단자(도4의 1번 단자)는 멀티플렉서(310)에 연결되며, 나머지 단자(2번 단자,....,m번 단자)들은 각 신호 변환 장치(SC1, SC2,...SC2n)에 연결되어, 이들 단자를 통해 각 신호 변환 장치 또는 다른 통신 단말기로 신호를 전송한다.
한편, 도4에서는 편의상 커넥터(330)의 1번 단자를 통해 멀티플렉서(310)에 하나의 신호선을 통해 n 비트로 전송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도3의 디코더(220)와 커넥터(230)가 연결되는 구조와 동일하다.
또한, 도4에서는 편의상 커넥터(330)와 각 신호 변환 장치가 하나의 신호 선으로 연결된 구조를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 각 신호 변환 장치와 커넥터(230) 사이에는 송신 및 수신 신호의 전송을 위한 둘 이상의 신호선이 연결되어 있다.
멀티플렉서(310)는 커넥터(33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신호 변환 장치(SC1, SC2,...SC2n)의 출력 신호 중 하나의 출력 신호만을 선택하여 데이터 송수신기(90)로 출력한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커넥터(330)와 다른 통신 단말기의 커넥터(도시하지 않음)가 연결되어 다른 통신 단말기의 신호가 입력되면, 이 신호는 각 신호 변환 장치(SC1, SC2,...SC2n) 중의 하나의 신호 변환 장치 예컨대, SC1에 입력되어, 데이터 송수신기(90)에 사용되는 신호 레벨로 변환한다. 이때, 다른 통신 단말기로부터 신호가 인가되지 않은 다른 신호 변환 장치는 소자의 특성 상 소정의 신호 값을 출력한다.
멀티플렉서(310)는 커넥터(33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신호 변환 장치(SC1)의 출력 신호, 즉, 다른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변환한 신호를 선택하고, 이 선택된 신호는 데이터 송수신기(90)로 전송된다. 이때, 멀티플렉서(310)에 입력되는 신호는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되는 다른 통신 단말기의 커넥터의 구조에 의해 결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도 인터페이스 장치에 결합되는 커넥터의 구조를 적절히 변경하여 커넥터(330)에 연결함으로써 서로 다른 신호 레벨을 사용하는 통신 단말기들과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상기 실시예 외에 많은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장치는 서로 다른 레벨의 신호를 사용하는 통신 단말기에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3)

  1. 제1 통신 단말기에 탑재되며,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제2 통신 단말기 사이에 전송되는 신호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신호레벨로 변환하여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신호 변환 장치;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결합되며,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신호 변환 장치에 전송하는 제1 신호 단자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 직접 전송하는 제2 신호 단자를 가지는 제1 커넥터와;
    상기 제1 커넥터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신호 변환 장치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시키는 신호 선택 장치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선택 장치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신호 레벨이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신호 레벨과 같은 경우 상기 신호 변환 장치를 디스에이블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변환 장치는 상기 제1 커넥터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신호 변환 장치를 디스에이블시키는 셧 다운 단자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신호 선택 장치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제3 신호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셧 다운 단자에 하이 또는 로우 레벨의 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선택 장치는
    상기 커넥터의 상기 제3 신호 단자에 제1 단자가 커플링되며, 상기 신호 변환 장치의 상기 셧 다운 단자에 제2 단자가 커플링되며, 접지에 제3 단자가 커플링되는 3단자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전원 전압에 연결되는 제4 신호 단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신호 레벨이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신호 레벨과 같은 경우,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제3 신호 단자는 상기 제4 신호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신호 선택 장치에 하이 레벨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신호 단자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제2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제4 신호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7. 제1 통신 단말기에 탑재되며,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다수의 제2 통신 단말기 사이에 전송되는 신호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각각 대응하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신호레벨로 변환하여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다수의 신호 변환 장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의 신호 변환 장치 중 하나의 신호 변환 장치를 인에이블시키는 디코더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결합되며, 상기 디코더에 커플링되는 신호 단자로 이루어지는 제1 신호 단자 집합과 상기 다수의 신호 변환 장치에 커플링되는 신호 단자로 이루어지는 제2 신호 단자집합을 가지는 제1 커넥터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신호 변환 장치 중 하나 이상의 신호 변환 장치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직접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 신호 변환 장치는 상기 제1 커넥터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신호 변환 장치를 디스에이블시키는 셧 다운 단자를 가지며,
    상기 디코더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제1 신호 단자집합으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셧 다운 단자에 하이 또는 로우 레벨의 신호를 인가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전원 전압에 연결되는 제3 신호 단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제1 단자 집합 중 소정 신호 단자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제2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제3 신호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디코더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11. 제1 통신 단말기에 탑재되며,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다수의 제2 통신 단말기 사이에 전송되는 신호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각각 대응하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신호레벨로 변환하여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다수의 신호 변환 장치;
    상기 다수의 신호 변환 장치의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의 신호 변환 장치의 출력 신호 중 하나의 출력 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멀티플렉서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결합되며, 상기 멀티플렉서에 커플링되는 시호 단자로 이루어지는 제1 신호 단자 집합과 상기 다수의 신호 변환 장치에 커플링되는 신호 단자로 이루어지는 제2 신호 단자집합을 가지는 제1 커넥터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신호 변환 장치 중 하나 이상의 신호 변환 장치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직접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전원 전압에 연결되는 제3 신호 단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제1 단자 집합 중 소정 신호 단자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제2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제3 신호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멀티플렉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KR1019990015663A 1999-04-30 1999-04-30 서로 다른 신호 레벨을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KR100297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663A KR100297211B1 (ko) 1999-04-30 1999-04-30 서로 다른 신호 레벨을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663A KR100297211B1 (ko) 1999-04-30 1999-04-30 서로 다른 신호 레벨을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7660A true KR20000067660A (ko) 2000-11-25
KR100297211B1 KR100297211B1 (ko) 2001-09-26

Family

ID=19583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5663A KR100297211B1 (ko) 1999-04-30 1999-04-30 서로 다른 신호 레벨을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72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430B1 (ko) 2007-09-04 2011-01-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리시버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7211B1 (ko) 2001-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3183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伝送システムのアセンブリ
US7627704B2 (en) Communication interface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038293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직렬 및 유에스비 포트에 대한 공용인터페이스장치
US11703910B2 (en) Docking station, electrical device, and method for configuring basic input output system
EP1207458A3 (en) Data-storing device
TWI366964B (en) Portable electronic instrument including at least one input/output terminal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an electronic unit arranged within said instrument
KR100297211B1 (ko) 서로 다른 신호 레벨을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US7724035B2 (en)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cable
KR100651204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외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JPWO2007049455A1 (ja) 半導体メモリカード
KR10060671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듀얼 uart회로
CN102739302A (zh) 一种移动终端与其它设备之间的互联模式
CN101816136B (zh) 用于传输人体的声波的方法和设备
KR200377353Y1 (ko) 스위칭 기능을 가지는 데이터통신용 장치
KR200315312Y1 (ko)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
KR100468788B1 (ko) Usb otg 인터페이스 블락과 usb otg인터페이싱 방법
KR200237375Y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직렬포트와 이어폰 잭 전환스위칭회로
KR100698136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방법
KR200212560Y1 (ko) 무선인터넷 커넥터
KR19980051651A (ko) 모뎀과 공중용 전화선간의 연결장치
KR19990048033A (ko) 노트북의 무선 통신 장치
KR200286873Y1 (ko) 단말기용 휴대용 충전기
JP4643518B2 (ja) 通信装置
JP3091011B2 (ja) 信号ライン接続装置
KR20030069238A (ko) 차량 정보 단말기와 휴대용 컴퓨터를 연결하는 케이블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