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7028A - 캐러멜 형태의 다이어트 보조식품 - Google Patents

캐러멜 형태의 다이어트 보조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7028A
KR20000067028A KR1019990014485A KR19990014485A KR20000067028A KR 20000067028 A KR20000067028 A KR 20000067028A KR 1019990014485 A KR1019990014485 A KR 1019990014485A KR 19990014485 A KR19990014485 A KR 19990014485A KR 20000067028 A KR20000067028 A KR 20000067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amel
weight
diet
citric acid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4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곤
김흥만
차환수
최인욱
Original Assignee
김희수
주식회사 열림기술
김길환
한국식품개발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수, 주식회사 열림기술, 김길환, 한국식품개발연구원 filed Critical 김희수
Priority to KR1019990014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67028A/ko
Publication of KR20000067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702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어트 보조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팔라티니트 20 내지 55 중량%, 말티톨 시럽 20 내지 55 중량%, 유리산 형태의 하이드록시 시트르산 0.1 내지 5 중량% 및 식이섬유 1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며, 캐러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캐러멜 형태의 다이어트 보조식품은 각성제와 같은 화학물질과는 달리 부작용이 없고 개인의 식습관을 크게 변화시킬 필요없이 공복감을 상실시키고 체지방을 산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이어트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든지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고 쉽게 복용할 수 있고 그 효과도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캐러멜 형태의 다이어트 보조식품{Dietary supplement of caramel type}
본 발명은 다이어트 보조 식품,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및 복용이 간편한 캐러멜 형태의 다이어트 보조식품에 관한 것이다.
국내의 한 여론조사 기관이 실시한 다이어트에 관한 인식 조사에 의하면 응답자의 70.6%가 다이어트 경험이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또한 상기 조사에서 흥미로운 것은 얼굴이 예쁘고 뚱뚱한 여자와 얼굴이 못생기고 날씬한 여자 중 어느 쪽이 미인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65%가 후자를 미인이라고 답하여, 미인의 기준을 얼굴보다는 몸매에 두는 가치관의 변화를 보여준다는 점이다. 또한, 언제 다이어트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는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몸무게가 증가했을 때, 입던 옷이 작아졌을 때, 활동하는데 불편할 때 등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무조건 예쁘게 보이려고 한다기보다는 자신의 건강을 위해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들이 점차 늘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세태 변화에 따라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다양한 다이어트 방법이 고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다이어트 방법을 유형별로 구분하자면 첫째, 지방, 탄수화물 및 단백질의 섭취량을 조절하여 일일 열량 섭취량을 조절하는 방법, 둘째, 공복감을 덜 느끼게 하는 중추신경 자극제를 사용하는 방법, 셋째, 운동요법 등이 있다.
그러나, 대다수의 사람들은 압박감, 의욕상실, 만성적인 공복감 등 다양한 이유로 인해 목표 체중에 도달하기도 전에 식이요법을 포기하고 말며, 각성제와 같은 약물에 의존하게 되면 이러한 약물 요법을 중단하자마자 비정상적인 식욕을 느끼게 되는 2차적인 문제를 초래한다. 또한, 조깅이나 에어로빅과 같은 운동요법은 장기간에 걸쳐 매일같이 지속적으로 실시하지 않으면 효과를 보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개인의 식습관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물리적인 방법으로, 즉 각성제와 같은 화학물질에 의존하지 않고도 공복감을 상실시키고 체지방을 산화시킬 수 있는 다이어트 보조식품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다이어트 보조 식품들은 분말, 과립, 캡슐, 정제, 차 등의 형태로 가공되어, 일단 복용하기에 앞서 심리적인 부담감을 느끼며 입에서 느끼는 만족감을 줄 수 없으며 규칙적으로 복용하기가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다이어트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든지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복용할 수 있으며, 부담없이 장기복용이 가능한 다이어트 보조식품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개인의 식습관과 상관없이, 인체에 무리한 변화를 가하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공복감을 둔화시키고 체지방을 산화시킬 수 있으며,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복용할 수 있는 캐러멜 형태의 다이어트 보조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팔라티니트 20 내지 55 중량%, 말티톨 시럽 20 내지 55 중량%, 유리산 형태의 하이드록시 시트르산 0.1 내지 5 중량% 및 식이섬유 1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며, 캐러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 보조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캐러멜 형태의 다이어트 보조식품에 함유되는 하이드록시 시트르산(HCA)은 인도가 원산지인 과일, 즉 가르시니아(학명을 예로 들면, Garcinia cambogia, Garcinia atroviridis, Garcinia indica 등)의 과피에 유리산과 락톤 형태로 존재한다. 가르시니아는 자극적이고 매운 맛으로 인해 카레 등의 향신료로 사용되었으나, 1960년대에 들어와서, 과피에 함유된 하이드록시 시트르산이 천연성분의 식욕감퇴제이며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관심을 끌게 되었다.
하이드록시 시트르산은 지방 및 콜레스테롤 합성억제제로 알려져 있으며, 써지오(Sergio, W.)의 논문(Medical Hypothesis 27:39, 1988) 및 설리반(Sullivan, A.C.) 등의 논문(Lipids 9;121, 1973 및 Lipids 9;129, 1973)에서 랫트에 대한 실험에서 체지방 축적을 막아 상당량의 체중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하이드록시 시트르산이 어떠한 메커니즘에 의해 체중증가 및 식욕 억제에 기여하는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각성제의 경우 중추신경계를 자극하는 것과는 달리 생체의 신진대사에 직접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인체 기관 중에서 신진대사에 가장 활발하게 기여하는 것은 간이다. 간의 기능에 있어서 중요한 것 중 하나는 인체의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 공급원인 글루코오스의 혈중 농도를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간은 글루코오스를 글리코겐과 같은 다당류 형태로 저장하였다가 글루코오스의 혈중 농도가 낮아지면 글루코오스를 방출한다. 또한, 간은 당생성(gluconeogenesis) 과정에 의해 아미노산이나 락트산과 같은 물질로부터 글루코오스를 합성할 수 있다. 새롭게 합성된 글루코오스는 혈액 중으로 방출되어 인체세포에 에너지를 공급하거나 일단 글리코겐 형태로 저장된 후 나중에 사용될 수 있다. 간과 중추신경계는 부교감 신경으로 직접 연결되어 간의 글루코오스와 글리코겐 농도를 모니터한다. 그 결과, 글루코오스의 과잉 공급으로 인해 글리코겐의 농도가 높아지면, 중추신경계에 포만감이 전달되어 식욕이 억제되는 것이다.
쥐를 대상으로 간의 당생성 과정에 하이드록시 시트르산이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하이드록시 시트르산을 섭취하게 되면 락테이트 또는 아미노산 알라닌으로부터의 글루코오스 생성 속도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하이드록시 시트르산을 이용하게 되면 간의 글루코오스 생성 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식욕을 억제시킬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그러나, 하이드록시 시트르산을 섭취한 쥐의 상당한 체중 감소를 식욕억제의 결과로만 받아들이기는 힘들다. 즉, 음식물 섭취 감소량에 비해 체중 감소량이 상당히 크게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로 인하여 하이드록시 시트르산이 간의 글루코오스 생성과정 뿐만 아니라 지방 연소 과정에도 관여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지방 연소 또는 산화는 간의 신진대사에 있어서 중요하다. 간의 신진대사에 소요되는 산소량은 휴식상태에서 인체의 총산소소비량의 4분의 1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간의 신진대사에 필요한 에너지의 상당량을 지방 연소에 의하여 얻는 것이다. 음식물의 지방은 간세포에 의하여 흡수되어 미토콘드리아에서 산화되면서 에너지를 생성한다. 지방은 L-카르니틴이라는 운반물질과 결합하여 세포질로부터 간의 미토콘드리아로 운반되며, 이 반응은 카르니틴 아실트란스퍼라아제라는 효소에 의해 촉진된다. 카르니틴 아실트란스퍼라아제는 아세틸-CoA로부터 전환된 말로닐-CoA에 의해 저해된다. 말로닐-CoA는 지방 연소과정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지방 및 콜레스테롤 합성의 전구체로서 지방 합성을 돕기까지 한다. 아세틸-CoA는 미토콘드리아에서 합성되지만 세포질에 운반되어야 그 생물학적 기능을 할 수 있는데, 시트르산으로 전환되기전에는 세포질로 운반될 수 없다. 즉, 아세틸-CoA의 운반 가능한 형태가 시트르산인 것이다. 세포질로 운반된 시트르산은 시트레이트 리아제(lyase)라는 효소에 의해 아세틸-CoA로 전환된다.
하이드록시 시트르산의 시트레이트 리아제에 대한 친화력은 시트레이트 리아제의 시트르산에 대한 친화력의 100배 이상이기 때문에 하이드록시 시트르산은 시트레이트 리아제의 저해제이며, 이와 같은 작용은 락톤 형태가 아닌 유리산 형태의 하이드록시 시트르산의 경우에만 나타난다.
하이드록시 시트르산에 의한 시트레이트 리아제의 저해 작용은 활성 시트레이트 리아제 없이도 아세틸-CoA가 세포질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그 결과, 말로닐-CoA로의 전환이 제한되어 지방 및 콜레스테롤의 합성속도가 느려짐과 동시에 지방의 산화가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하이드록시 시트르산은 이상과 같은 원리에 기인하여 지방의 산화를 촉진시킨다. 간에서의 자방 산화가 활성화되면 피루베이트 카르복실라아제라는 주효소의 활성이 증대되어 간에서의 당생성과정도 촉진되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 간의 글리코겐 축적량이 증대되므로 포만감이 중추부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가르시니아에서 추출된 유리산 형태의 하이드록시 시트르산은 불안정하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생물학적으로 비활성인 락톤 형태로 변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오랜 연구 결과 유리산 형태의 하이드록시 시트르산이 제품화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원리에 기인하여 식욕억제와 체지방 산화의 효과를 가져오는 유리산 형태의 하이드록시 시트르산을 캐러멜에 도입하였다.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다이어트 보조식품은 당분을 많이 함유할 수 없는 특성 때문에 분말, 과립, 캡슐, 정제, 차 등의 형태로 가공될 수밖에 없었으나, 본 발명은 가르시니아 과피 추출물로부터 얻은 유리산 형태의 하이드록시 시트르산을 캐러멜 형태에 성공적으로 도입하였다.
본 발명의 다이어트 캐러멜에 함유되는 유리산 형태의 하이드록시 시트르산의 함량은 0.1 내지 5 중량%가 바람직한데, 하이드록시 시트르산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원하는 다이어트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5 중량%를 초과하면 하이드록시 시트르산의 과다한 체내축적으로 인하여 지속적인 식욕저하를 가져올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캐러멜 형태의 다이어트 보조식품에 함유되는 말티톨 시럽(환원맥아물엿)은 당류가 갖고 있는 환원성 말단기에 수소를 부가하여 얻어지는 물질로서,일반 캐러멜 등에 첨가되는 설탕, 포도당, 물엿, 올리고당 등과 같은 당류의 단점이 개선된 물질이다. 천연의 감미효과와 함께 청량감, 보습성, 소화흡수성 및 저칼로리성, 난충치성, 인슐린 비의존성, 수분활성, 내산 내열성, 저착색성, 점도면에서의 효과가 우수하여 수산물 가공, 냉동식품, 제빵, 음료, 무설탕껌 등의 식품가공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성인병 예방, 당뇨병 환자 및 다이어트식이 요구되는 사람에 있어서 감미제로서의 이용이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말티톨은 설탕에 비해 30 내지 75%의 감미도를 가지며 열 또는 식품중 존재하는 아미노산에 의해 갈변되지 않아 단맛을 내면서도 식품 고유의 맛과 향을 유지시켜 준다. 말티톨은 적은 양만이 대장내 세균에 의해 분해되어 서서히 체내에 흡수되고 70 내지 90%는 체외로 배출되는 특성이 있어 말티톨 열량의 극히 적은 부분만이 체내에서 이용된다. 따라서, 설탕(4kcal/g), 포도당(4kcal/g), 소르비톨(3kcal/g), 만니톨(2kcal/g)과 비교할 때 저칼로리(1.5~2kcal/g) 감미제이며, 혈당상승과 인슐린 분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말티톨은 구강내 세균에 의해서 생성되는 유산, 피루빈산 등의 충치유발물질인 유기산을 거의 생성시키지 않으므로, 충치예방에도 좋은 감미제이다. 이는 90분동안의 구강내 pH변화를 관찰한 실험에서 설탕의 경우 pH가 7.0에서 약 4.4정도로 저하된 반면 말티톨은 pH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는 사실에 의해 증명된다. 이외에도 말티톨은 수분활성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높아 미생물 오염가능성이 적고, 보습성이 뛰어나 건조 또는 다습한 장소에 방치하여도 수분증발 또는 수분흡수가 거의 일어나지 않으며, 점도증가로 식품의 밀도감을 높여주는 장점이 있다.
말티톨의 함량은 후술하는 팔라티니트와 혼합되어 본 발명의 다이어트 보조식품이 캐러멜 형태로 가공되기에 충분한 양이면 되는데, 바람직하기로는 20 내지 55중량%이다.
본 발명의 캐러멜 형태의 다이어트 보조식품에 함유되는 팔라티니트(Palatinit)는 유리 환원기를 갖지 않는 비환원성 당인 글루코피라노시도-1,6-만니톨과 글루코피라노시도-1,6-소르비톨의 1:1 혼합물로 이루어진 수소화 이소말툴로오스(isomaltulose)의 상품명이다. 이소말트(isomalt)라고도 알려져 있다. 탄수화물로 분류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수소화 이당류에 속한다. 사카로오스를 효소에 의해 재배열하여 보다 안정한 이소말툴로오스로 전환시킨 후 정제단계를 거쳐 수소화하면 무취, 비흡수성의 백색 결정 형태로 얻어진다. 일부분만 신진대사되기 때문에 1 그램당 2.1 칼로리의 열량을 발생하며, 당도는 설탕의 절반 정도이다. 팔라티니트는 설탕에 비해 칼로리가 절반 수준으로 낮기 때문에 칼로리가 높은 다른 당에 비해 다이어트 작용을 저해하지 않는다.
팔라티니트의 함량은 본 발명의 다이어트 보조식품이 캐러멜 형태로 가공되기에 충분한 양이면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5중량%이다. 함량이 20중량% 미만이면 일정 경도를 갖는 캐러멜 형태로 가공되기가 어렵고, 함량이 5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캐러멜이 너무 딱딱해져서 부드럽게 씹히는 캐러멜 고유의 성질을 낼 수 없기 때문이다.
다이어트 보조식품에 일반적으로 함유되는 식이섬유는 위에서 팽창하여 공복감을 막아주고, 장운동을 원활하게 하여 변비예방 효과가 뛰어나다. 즉, 초식동물과 달리 사람의 위장관에는 섬유질을 분해하는 효소의 분비가 없어 식이섬유는 체내에서 소화되지 않는 반면 섬유질이 분변의 부피를 늘려 수분을 흡착하여 분변의 배설을 용이하게 하며 위장관을 자극해 장운동을 활발하게 하여 분변의 배출속도를 크게 한다. 섬유질은 또한 발암물질,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담즙산, 중금속 등을 흡착하여 배설시키는 작용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이어트 캐러멜 역시 천연 식이섬유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이섬유는 일반적으로 식물성 섬유질을 말하고 수용성과 비수용성 섬유질로 나뉜다. 식물세포벽의 구조물질로 존재하는 셀룰로스, 헤미셀룰로스, 리그닌 등이 비수용성 섬유질이고, 비구조물질로서 저장 다당류에 속하는 펙틴, 구아검, 글루코만난, 알긴산, 라미날린 등이 수용성 섬유질이다. 본 발명에서는 캐러멜 조성물에 용해될 수 있는 수용성 천연 식이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이섬유의 함량은 10중량%를 넘는 한도내에서 임의로 첨가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기로는 약 10 내지 20중량%이다.
본 발명의 다이어트 보조식품은 상기 성분들 외에도 녹차추출물, 캐러멜 제조를 위한 버터, 탈지분유, 레시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캐러멜의 맛이나 향을 좋게하기 위한 향료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녹차 추출물은 충치예방 효과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구충 효과도 탁월하기 때문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은 0.1 내지 5 중량%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당분 흡수 예방 및 당뇨 예방 효과가 있는 기무네마산을 포함할 수 있다. 기무네마산은 인도가 원산지인 Gymnema sylvestre 라는 식물에서 추출된 성분으로서, 췌장의 인슐린 생성 세포를 회복 및 재생시킴으로써 혈당량을 낮추고, 혈중 지질(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량을 정상화시키며, 인슐린 필요량을 감소시키면서 인슐린 생성량은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Gymnema sylvestre 잎을 섭취한 당뇨 쥐의 경우, 췌장의 중량이 30%나 증가하였고, 인슐린 생성세포의 수가 두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당뇨 쥐의 수명 및 생존율도 연장되었고, 투여 후 수시간 동안 당분에 대한 갈망 및 섭취가 감소되었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이어트 캐러멜에 기무네마산을 포함시키게 되면, 식욕 억제 및 체지방 산화외에도 당분 흡수 예방 및 당뇨 예방의 효과까지 가져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이어트 캐러멜에 포함되는 기무네마산의 함량은 0.05 내지 3 중량%가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0.05 중량% 미만이면 이상과 같은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렵고, 3 중량%를 초과하면 기무네마산 고유의 쓴맛 때문에 캐러멜 복용시 맛에 대한 거부감이 생길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캐러멜 형태의 다이어트 보조식품은 전술한 성분들을 포함하여 통상의 캐러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실시예
하기 성분들을 함유하며 1개당 중량이 3g인 캐러멜을 제조하였다(중량% 기준).
팔라티니트(쿨터후드사이언스사의 이소말트)
결정타입 30.833
분말타입 5.0
말티톨 시럽(백광산업(주)의 PM50) 37.567
하이드록시 시트르산 4.0
(코스팜사의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분말)
식이섬유(일본 태양화학사의 썬화이바) 13.0
녹차 추출물(일본 태양화학사의 썬페논100s) 0.1
버터(서울 화인즈사) 4.783
탈지분유(서울우유사) 3.767
레시틴(유원화학사) 0.1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일신유화사) 0.1
향료(후드메이트사의 포도향) 0.2
구연산(정범플라워사) 0.4
색소(삼정향료의 포도과피 추출색소) 0.15
합계 100.0
임상실험
연령 및 신장에 비추어 비만이라고는 할 수 없는 10대 내지 40대의 건강한 남자 5명 및 여자 25명(예, 40대 남성의 경우 체중이 70kg대이고, 10대 여성의 경우 체중이 40kg대임)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1의 캐러멜을 24일 동안 1일 3회 식사 1시간 전에 복용하게 하였다. 평소의 식생활 패턴을 유지하도록 하였고, 특별한 제한은 두지 않았으나 심야(10시 이후) 음식 섭취는 금지시켰다. 매일 아침 기상시 체중을 관찰하여 기록하였다.
실시예 1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에서 번호는 피험자의 번호이며, 1부터 25까지는 여성, 26부터 30은 남성이다.
번호 1일 6일 12일 24일 증감량(kg) 변화율(%)
1 48.50 48.50 48.00 45.00 -3.50 -7.22
2 46.00 46.00 47.00 46.50 +0.50 +1.09
3 49.50 49.00 46.50 45.50 -4.00 -8.08
4 45.50 46.00 46.50 47.00 +1.50 +3.30
5 49.50 49.50 48.50 46.00 -3.50 -7.07
6 51.00 50.50 49.00 47.50 -3.50 -6.86
7 55.00 56.00 54.50 52.00 -3.00 -5.45
8 56.50 55.50 54.00 52.00 -4.50 -7.96
9 47.00 46.00 46.00 47.50 +0.50 +1.06
10 48.00 47.00 46.00 45.00 -3.00 -6.25
11 49.50 49.00 48.50 45.50 -4.00 -8.08
12 47.00 48.00 49.00 48.50 -0.50 -1.06
13 57.00 55.50 56.00 55.50 -1.50 -2.63
14 54.00 54.00 53.50 51.50 -2.50 -4.63
15 55.00 55.50 55.00 52.00 -3.00 -5.45
16 53.50 55.00 55.50 54.50 +1.00 +1.87
17 56.50 56.50 54.00 53.50 -3.00 -5.31
18 64.00 62.50 61.50 59.50 -4.50 -7.03
19 48.00 47.50 47.50 46.50 -1.50 -3.13
20 49.00 49.00 48.50 46.50 -2.50 -5.10
21 54.50 54.00 53.00 51.00 -3.50 -6.42
22 52.00 52.00 53.00 52.00 0.00 0.00
23 48.50 48.00 48.50 46.00 -2.50 -5.15
24 52.50 52.00 51.00 49.00 -3.50 -6.67
25 66.50 67.00 68.50 68.00 +1.50 +2.26
26 58.50 58.00 59.50 59.00 +0.50 +0.85
27 59.00 59.50 58.50 58.50 -2.50 -4.24
28 64.50 64.50 64.50 62.00 -2.50 -3.88
29 68.00 68.00 67.50 65.00 -3.00 -4.41
30 78.50 79.50 79.50 78.50 0.00 0.00
표 1의 데이타로부터 본 발명의 다이어트 캐러멜을 24일간 복용한 30명의 평균 체중변화율은 약 -3.70%로서, 50kg을 기준으로 보면 24일 후 약 1.85kg의 체중감소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캐러멜 형태의 다이어트 보조식품은, 각성제와 같은 화학물질과 달리 부작용이 없고, 개인의 식습관을 크게 변화시킬 필요없이 공복감을 상실시키고 체지방을 산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이어트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든지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고 쉽게 복용할 수 있고 그 효과도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팔라티니트 20 내지 55 중량%, 말티톨 시럽 20 내지 55 중량%, 유리산 형태의 하이드록시 시트르산 0.1 내지 5 중량% 및 식이섬유 1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며, 캐러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 보조식품.
  2. 제1항에 있어서, 0.1 내지 5 중량%의 녹차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 보조식품.
  3. 제1항에 있어서, 0.05 내지 3 중량%의 기무네마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 보조 식품.
KR1019990014485A 1999-04-22 1999-04-22 캐러멜 형태의 다이어트 보조식품 KR200000670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4485A KR20000067028A (ko) 1999-04-22 1999-04-22 캐러멜 형태의 다이어트 보조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4485A KR20000067028A (ko) 1999-04-22 1999-04-22 캐러멜 형태의 다이어트 보조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7028A true KR20000067028A (ko) 2000-11-15

Family

ID=19581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4485A KR20000067028A (ko) 1999-04-22 1999-04-22 캐러멜 형태의 다이어트 보조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670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1295A1 (en) * 2018-12-17 2020-06-25 Kachichian Warouj Food composition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1295A1 (en) * 2018-12-17 2020-06-25 Kachichian Warouj Food composition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06034B1 (en) Multi-functional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CN101889679B (zh) 一种具有解酒保肝作用的组合物及其在食品、保健食品中的应用
JPH09291039A (ja) プロシアニジンを有効成分とする抗肥満剤
KR102299934B1 (ko) 숙취해소에 뛰어나며 알코올에 의한 간 손상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2271367B1 (en) Mineral absorption accelerator and iron deficiency anemia improver or food composition
CN103445175A (zh) 具有解酒保肝作用的组合物
KR101721145B1 (ko) L-카르니틴 구연산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배변촉진 겸용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
CN105341300A (zh) 一种适宜儿童食用的保健糖果
EP2446889A1 (en) Difructose anhydride-containing composition for use in improving bowel movement
JP3628999B2 (ja) 苦瓜茶及びその製造方法
CN1692793A (zh) 保健型超薄速溶口香膜片及其制备方法
KR101958969B1 (ko) 해조류 복합추출물 및 식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위장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4149471A (ja) 血糖低下剤
CN105249475A (zh) 一种保健海藻凉粉及其制备方法
CN101703249A (zh) 具有调节内分泌、提高免疫力作用的保健品及制备方法
JPH05238945A (ja) 腸内環境改善剤
KR20000067028A (ko) 캐러멜 형태의 다이어트 보조식품
KR100959281B1 (ko) 혈당강하 효능을 갖는 칼슘 화합물 시비 쌀
CN112913957A (zh) 一种护肝的盐藻压片糖果及其制备方法
JP2009034017A (ja) ダイエット食品
KR20000021040A (ko) 캔디 형태의 다이어트 보조식품
KR0137897B1 (ko) 두충엽을 주원료로 함유한 건강식품 조성물
CN101468029A (zh) 含双果糖酐的组合物及其用途
KR20030046798A (ko) 변비 및 장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조성물
KR101911628B1 (ko) 식물약재를 이용한 해독제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