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6171A - 마우스가 일체로 장착된 키보드 - Google Patents

마우스가 일체로 장착된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6171A
KR20000066171A KR1019990013075A KR19990013075A KR20000066171A KR 20000066171 A KR20000066171 A KR 20000066171A KR 1019990013075 A KR1019990013075 A KR 1019990013075A KR 19990013075 A KR19990013075 A KR 19990013075A KR 20000066171 A KR20000066171 A KR 20000066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se
keyboard
washer
connecting shafts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3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승근
Original Assignee
권승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승근 filed Critical 권승근
Priority to KR1019990013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66171A/ko
Publication of KR20000066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617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Arrangements integrating additional peripherals in a keyboard, e.g. card or barcode reader, optical scanner
    • G06F3/0213Arrangements provid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in a keyboard, e.g. trackball, mini-joysti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G06F3/0395Mouse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마우스가 일체로 구비된 키보드가 개시된다. 마우스가 일체로 구비된 키보드는 그 소정위치에는 마우스가 유동가능하게 위치할 수 있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안착부의 상면에는 마우스 패드가 부착되며, 마우스 패드의 인접위치에는 복수개의 기판 수용구가 각각 형성되는 상부커버,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사이의 안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되는 기판, 기판의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복수개의 기판 수용구 및 마우스의 바닥부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마우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연결축, 복수개의 연결축에 장착되어 인장력을 발생시키므로써 마우스를 상향으로 당기는 탄성부재, 그리고 탄성부재를 복수개의 연결축에 일체로 결합시키는 고정부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마우스가 일체로 장착된 키보드{Key Board Having Integrally Formed Mouse}
본 발명은 키보드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마우스가 일체로 장착된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용 마우스는 키보드와는 별도로 제작, 판매되므로 사용자는 키보드와 마우스를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하게 된다. 또한, 마우스를 사용하는 경우, 마우스볼이 잘 구르게 하기 위하여 "마우스 패드"라는 별도의 받침판을 사용한다.
이러한 키보드와 마우스는 입력장치라는 동일한 역할을 하면서도 서로 독립되어 사용 되므로써 여러 문제점이 발생한다.
첫째, 키보드와 마우스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상호 반복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두 개의 입력장치로 분리되어 사용됨으로써 키보드 조작과 마우스 조작이 연속적이지 못하여 구조적으로 컴퓨터 조작이 비능률적이고, 키보드와 마우스를 별도로 관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마우스가 항상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마우스를 조작할 때마다, 마우스 위치를 재확인한 후에 조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모니터의 화면상에 커서를 원하는 곳에 신속, 정확하게 클릭하는 데 장애가 있다. 그리고, 마우스가 책상으로부터 바닥으로 떨어지는 경우 번번이 주워 올려야만 하며, 또한, 떨어질 때의 충격으로 마우스가 고장나는 추가적인 문제점이 있다.
셋째, 컴퓨터 테이블이 협소할 경우에 키보드가 위치할 공간이외에 마우스 패드가 위치할 공간을 별도로 확보해야 하며, 또한 좁은 공간에서 마우스와 키보드를 함께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넷째, 컴퓨터 본체에 키보드 코드선과 마우스 코드선이 별도로 각각 구비되므로 두 코드선이 서로 엉키므로써 컴퓨터 주변환경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키보드 상에 마우스를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마우스를 키보드에 유동적으로 장착하므로써 컴퓨터 조작의 편리성과 효율성 및 능률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마우스가 일체로 구비된 키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가 일체로 장착된 키보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2 는 마우스가 키보드에 일체로 장착된 것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3 은 마우스가 키보드에 일체로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0 : 키보드(Key Board) 12 : 상부 커버
14 : 하부 커버 18 : 안착부
20 : 마우스(Mouse) 22 : 볼(Ball)
24 : 마우스 하부커버 26 : 관통홀
30 : 마우스 패드(Mouse Pad)
32 : 기판 수용구 34 : 제1 연결축
36 : 기판 38 : 와셔(Washer)
40 : 스프링(Spr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키보드에 있어서, 그 소정위치에는 마우스가 유동가능하게 위치할 수 있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안착부의 상면에는 마우스 패드가 부착되며, 마우스 패드의 인접위치에는 복수개의 기판 수용구가 각각 형성되는 상부커버,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사이의 안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되는 기판, 기판의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복수개의 기판 수용구 및 마우스의 바닥부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마우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연결축, 복수개의 연결축에 장착되므로써, 상기 마우스의 바닥부의 상면을 가압하여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 그리고 탄성부재를 복수개의 연결축에 일체로 결합시키는 고정부재로 구성된 마우스가 일체로 구비된 키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부재는 복수개의 연결축의 상단면에 위치하는 와셔, 와셔의 홀을 관통하여 복수개의 연결축의 내부에 삽입되므로써 와셔를 복수개의 연결축의 상부에 일체로 고정시키는 체결나사로 구성된다.
또한, 탄성부재는 스프링이며, 스프링은 와셔의 저면과 마우스의 바닥부의 상면의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기판 수용구의 면적범위는 마우스가 안착부에서 사방으로 이동하므로써, 화면에 커서가 움직일 수 있는 범위에 대응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로 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잘 이해될 수 있다.
도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가 일체로 장착된 키보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10)는 상부커버(12), 상부커버(12)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하부커버(14), 그리고 키탑(11)으로 구성된다.
상부커버(12)의 우측하단에 배열되었던 키탑(11)을 우측상단으로 이동하여 재배열하므로써, 상부커버(12)의 우측하단에 소정면적을 갖는 안착부(18)가 형성된다. 이 안착부(18)에는 마우스(20)가 유동가능하게 안착된다.
또한, 안착부(18)의 중간부에는 마우스 패드(30)가 부착되며, 이 마우스 패드(30)의 상면에는 마우스 볼(22)이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마우스 패드(30)의 상부 및 하부에는 기판 수용구(32)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이 기판 수용구(32)의 크기는 마우스(20)가 키보드(10) 상에서 움직일 수 있는 범위를 결정하게 된다.
마우스(20)가 키보드(10)에 유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 는 마우스가 키보드에 일체로 장착된 것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3 은 마우스가 키보드에 일체로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10)의 상부커버(12) 및 하부커버(14)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기판(36)이 장착된다. 이 기판(36)의 상면(36a)에는 제1 연결축(34) 및 제2 연결축(35)이 상향으로 각각 돌출되며, 제1 및 제2 연결축(34,35)은 그 내부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중공형상이다. 제1 및 제2 연결축(34,35)의 형상은 동일하므로 이하 제1 연결축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1 연결축(34)은 기판수용구(32)를 관통하며, 마우스(20)의 하부커버(24)에 형성된 관통홀(26)을 관통하여 마우스(2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제1 연결축(34)과 기판수용구(32)의 사이에는 소정 간격이 형성되므로써, 제1 연결축(34)은 기판수용구(32)의 내부에서 사방으로 유동가능하다.
제1 연결축(34)의 외주에는 탄성부재, 바람직하게는 스프링(40)이 삽입되어 장착되며, 제1 연결축(34)의 상단면에는 와셔(38)가 장착된다. 그리고, 체결나사 (25)가 와셔(38)를 관통하여 제1 연결축(34)에 삽입되므로써, 와셔(38)를 제1 연결축(34)의 상단면에 일체로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40)은 마우스 하부커버(24)의 바닥부(24b)의 상면(24a)과 와셔(38)의 저면의 사이에 배치되므로써 마우스 하부커버(24)의 저면(24b)을 하방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게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시 마우스(20)를 상향으로 들어 올릴 수 있고, 동시에 좌, 우로 움직일 수 있으며, 또한 마우스 볼(22)이 홈(22a)을 관통하여 마우스 패드(30)의 상면에 소정의 마찰력으로 용이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컴퓨터 본체와 연결되는 마우스 코드선(28)과 키보드 코드선(도시안됨)을 서로 일체로 봉합하여 하나의 코드선을 제작하므로써 코드선이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키보드의 안착부에 마우스 대신 트랙볼을 장착할 수 도 있다. 키보드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사이에 트랙볼 회로를 설치하고, 상부커버에 트랙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구를 형성하여 키보드와 트랙볼이 결합된 컴퓨터 입력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트랙볼은 마우스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 입력장치로 마우스를 뒤집어 놓은 것과 유사하므로 키보드상에 형성된 공간 또는 안착부에 장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와 마우스가 하나로 결합된 컴퓨터 입력장치(일명, KEYMOUSE)는 마우스가 키보드 상에 유동적으로 장착됨으로써 키보드와 마우스조작이 연속성을 갖게 되어 컴퓨터 조작이 능률적이고, 마우스가 키보드 상의 한정된 위치에 유동적으로 장착되므로, 마우스의 위치를 재확인할 필요 없이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고, 모니터 화면상의 커서를 원하는 위치에서 신속, 정확하게 클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키보드와 마우스가 일체로 결합되므로써 컴퓨터 테이블 공간이 효율적으로 활용되고, 키보드 코드선과 마우스 코드선이 컴퓨터 본체에 단선으로 연결되므로써 코드선의 엉킴을 방지하므로써 컴퓨터 주변 환경이 간결하게 정리되는 추가적인 장점이 있다.

Claims (4)

  1. 키보드에 있어서,
    그 소정위치에는 마우스가 유동가능하게 위치할 수 있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의 상면에는 마우스 패드가 부착되며, 상기 마우스 패드의 인접위치에는 복수개의 기판 수용구가 각각 형성되는 상부커버;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사이의 상기 안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복수개의 기판 수용구 및 상기 마우스의 바닥부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마우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연결축;
    상기 복수개의 연결축에 끼워지므로써, 상기 마우스의 바닥부의 상면을 가압하여 탄성력을 발생하는 탄성수단;그리고
    상기 탄성수단을 상기 복수개의 연결축에 일체로 결합시키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가 일체로 구비된 키보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복수개의 연결축의 상단면에 위치하는 와셔, 상기 와셔의 홀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개의 연결축의 내부에 삽입되므로써 상기 와셔를 상기 복수개의 연결축의 상부에 일체로 고정시키는 체결나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가 일체로 구비된 키보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스프링이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와셔의 저면과 상기 마우스의 바닥부의 상면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가 일체로 구비된 키보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수용구의 면적범위는 상기 마우스가 상기 안착부에서 사방으로 이동하므로써, 화면에 커서가 움직일 수 있는 범위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가 일체로 구비된 키보드.
KR1019990013075A 1999-04-13 1999-04-13 마우스가 일체로 장착된 키보드 KR200000661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3075A KR20000066171A (ko) 1999-04-13 1999-04-13 마우스가 일체로 장착된 키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3075A KR20000066171A (ko) 1999-04-13 1999-04-13 마우스가 일체로 장착된 키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171A true KR20000066171A (ko) 2000-11-15

Family

ID=19579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3075A KR20000066171A (ko) 1999-04-13 1999-04-13 마우스가 일체로 장착된 키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661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4653B1 (ko) * 2002-10-22 2005-11-02 신민석 키보드 부착식 컴퓨터 케이스
CN108268154A (zh) * 2018-03-30 2018-07-10 北京爵维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由调节角度握感的鼠标结构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5129U (ko) * 1986-08-22 1988-03-07
JPH01142036U (ko) * 1988-03-24 1989-09-28
JPH0390335A (ja) * 1989-09-01 1991-04-16 Yoshimoto Kasei Kk Frp中空体の製造方法
US5049863A (en) * 1989-02-10 1991-09-17 Kabushiki Kaisha Toshiba Cursor key unit for a computer having a mouse function removably mounted on a keyboard section of a base
JPH0466638U (ko) * 1990-10-08 1992-06-12
KR940027359U (ko) * 1993-05-04 1994-12-10 주밍창 키보드에 있어서 포인터 입력기구
KR950023821U (ko) * 1994-01-24 1995-08-23 휴대형 컴퓨터의 트랙볼/마우스 유닛 구조
JPH10111752A (ja) * 1996-10-07 1998-04-28 Sony Corp コンピュータ用入力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5129U (ko) * 1986-08-22 1988-03-07
JPH01142036U (ko) * 1988-03-24 1989-09-28
US5049863A (en) * 1989-02-10 1991-09-17 Kabushiki Kaisha Toshiba Cursor key unit for a computer having a mouse function removably mounted on a keyboard section of a base
JPH0390335A (ja) * 1989-09-01 1991-04-16 Yoshimoto Kasei Kk Frp中空体の製造方法
JPH0466638U (ko) * 1990-10-08 1992-06-12
KR940027359U (ko) * 1993-05-04 1994-12-10 주밍창 키보드에 있어서 포인터 입력기구
KR950023821U (ko) * 1994-01-24 1995-08-23 휴대형 컴퓨터의 트랙볼/마우스 유닛 구조
JPH10111752A (ja) * 1996-10-07 1998-04-28 Sony Corp コンピュータ用入力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4653B1 (ko) * 2002-10-22 2005-11-02 신민석 키보드 부착식 컴퓨터 케이스
CN108268154A (zh) * 2018-03-30 2018-07-10 北京爵维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由调节角度握感的鼠标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0378B1 (en) Webbed keyboard assembly
US7119291B2 (en) Touch pad device for portable computer
US7035094B2 (en) Support assembly for a portable computer
KR20170073466A (ko) 모듈식 광전 스위치 키보드 버튼
GB2244546A (en) Computer input device
US6590989B2 (en) Desktop microphone base with a shock absorbing member
AU2010257998A1 (en) Dust-proof keyboard
US7238908B1 (en) Key structure of keyboard
CN208127083U (zh) 剪刀脚结构按键及其开关装置,及应用该按键的键盘
KR20000066171A (ko) 마우스가 일체로 장착된 키보드
CN211236749U (zh) 具有夹持机构的扩展坞
TWI556279B (zh) 發光鍵盤裝置
KR20020011092A (ko) 조작장치
US6328267B1 (en) Arm support and pad for mouse using the same
TW201721695A (zh) 按鍵結構
CN103377846B (zh) 键盘装置
KR20010076135A (ko) 컴퓨터용 마우스
JP2777763B2 (ja) コントロールキー装置
CN113871241B (zh) 一种摇杆结构及包含该结构的摇杆开关
KR200177530Y1 (ko)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
CN216624063U (zh) 一种显示按键单元及显示按键模组
CN211556345U (zh) 一种具有发光导向结构的嵌入式插座
CN209462559U (zh) 按键式控制盒及耳机
CN111381691B (zh) 具有活动发光结构的鼠标
CN206385353U (zh) 洗衣机及其按键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