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3466A - 모듈식 광전 스위치 키보드 버튼 - Google Patents

모듈식 광전 스위치 키보드 버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3466A
KR20170073466A KR1020160102103A KR20160102103A KR20170073466A KR 20170073466 A KR20170073466 A KR 20170073466A KR 1020160102103 A KR1020160102103 A KR 1020160102103A KR 20160102103 A KR20160102103 A KR 20160102103A KR 20170073466 A KR20170073466 A KR 20170073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hotoelectric switch
base
elastic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펑 젠칭
Original Assignee
둥관 고우터 일렉트로닉스 컴퍼니.,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둥관 고우터 일렉트로닉스 컴퍼니.,리미티드 filed Critical 둥관 고우터 일렉트로닉스 컴퍼니.,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73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34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4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01H13/706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sm between keys and layered keyboard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5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 H03K17/968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using opto-electronic devices
    • H03K17/969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using opto-electronic devices having a plurality of control members, e.g. key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22Miscellaneous with opto-electronic switch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41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using an optical detector
    • H03K2217/94102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using an optical detect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ivation
    • H03K2217/9410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using an optical detect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ivation using a light barrier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식 광전 스위치 키보드 버튼을 공개하였으며, 이는 모듈식 광전 스위치, 베이스, 축심 어셈블리 및 탄성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모듈식 광전 스위치는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축심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의 슬라이드 챔버 내에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탄성소자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축심 어셈블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모듈식 광전 스위치는 발사관, 수신관 및 스페이서를 포함하되, 상기 발사관 및 상기 수신관은 대향하여 설치되고 회로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축심 어셈블리에 연결되어 상기 발사관 및 상기 수신관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축심 어셈블리를 눌러서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발사관 및 상기 수신관 중앙까지 슬라이딩되거나 또는 이탈되도록 하여, 상기 발사관과 상기 수신관 사이의 신호 전송을 차단 또는 도통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스위치 응답속도가 빠르며, 사용수명이 길고, 방수 방진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모듈식 광전 스위치 키보드 버튼{MODULAR PHOTOELECTRIC SWITCH KEYBOARD BUTTON}
본 발명은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는 모듈식 광전 스위치 키보드 버튼에 관한 것이다.
기계식 키보드는 흔히 보는 키보드로서, 이러한 키보드는 버튼마다 하나의 독립적인 스위치에 의해 닫힘 제어되므로, 버튼에 의해 탄성 전기전도재가 또 다른 전기전도재와 접촉되거나 차단되게 하여 도통되거나 차단되는 목적을 달성함으로써 키보드의 누름조작을 구현하고; 기계식 키보드는 누를 때 독특한 촉감과 소리를 구비하기에 점점 많은 컴퓨터 사용자들의 환영을 받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계식 키보드는 많은 부족점을 갖고 있는 바, 이를 테면, 기계구조가 복잡하고, 장착이 번거로우며, 스위치 응답속도가 느리고, 물과 접촉되면 쉽게 단락되며, 먼지와 접촉되면 쉽게 단로되고, 오랜 시간 사용하면 접촉점 부분이 쉽게 마모되거나 금속피로가 발생하며, 사용수명이 짧다.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스위치 응답속도가 빠르며, 사용수명이 길고, 방수 방진하는 모듈식 광전 스위치 키보드 버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제공되는 모듈식 광전 스위치 키보드 버튼은, 모듈식 광전 스위치, 베이스, 축심 어셈블리 및 탄성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모듈식 광전 스위치는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축심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의 슬라이드 챔버 내에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탄성소자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축심 어셈블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모듈식 광전 스위치는 발사관, 수신관 및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발사관 및 상기 수신관은 대향하여 설치되고 회로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축심 어셈블리에 연결되어 상기 발사관 및 상기 수신관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축심 어셈블리를 눌러서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발사관 및 상기 수신관 중앙까지 슬라이딩되거나 또는 이탈되도록 하여, 상기 발사관과 상기 수신관 사이의 신호 전송을 차단하거나 또는 도통되도록 한다.
종래기술에 비해, 본 발명은 상기 발사관 및 상기 수신관을 각각 대향되게 설치하고, 상기 스페이서를 상기 발사관 및 수신관 사이에 설치하여, 상기 스페이서를 상기 축심 어셈블리에 연결시켰기에, 상기 축심 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발사관 및 상기 수신관 사이에 슬라이딩 되도록 구동할 경우, 상기 발사관과 상기 수신관 사이의 신호 전송을 차단할 수 있고; 또 상기 탄성소자를 설치하여, 상기 탄성소자의 회복력을 이용하여 상기 스페이서를 슬라이딩시켜 상기 발사관 및 상기 수신관 사이에서 이탈시킴으로써, 상기 발사관과 상기 수신관 사이의 신호 전송을 도통시키므로, 상기 스페이서의 슬라이딩에 의해 신호를 도통 및 차단시켜 스위치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어, 키보드의 누름조작을 구현하며; 광전소자를 이용하여 키보드 버튼으로의 스위치 구조로 사용하면,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장착되고, 스위치 응답속도가 빠르며, 신호 전송은 빛에 의해 진행되기에 전기전도 금속부재를 수요로 하지 않으며, 방수 방진 효과를 구비하고,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발사관 및 수신관과 직접 접촉되지 않기에, 마모되거나 금속피로 현상이 발생하지 않기에 사용수명을 최대한 연장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듈식 광전 스위치는 시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트체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게 장착되며, 상기 시트체는 두개의 대향관 장착 시트를 구비하며, 두개의 상기 대향관 장착 시트 사이에는 단속홈이 개구되게 설치되며, 상기 발사관 및 상기 수신관은 두개의 상기 대향관 장착 시트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발사관의 발사구 및 상기 수신관의 수신구는 상기 단속홈과 마주하여 서로 정면으로 대향한다. 상기 시트체에 두개의 대향관 장착 시트를 설치하여, 상기 발사관 및 수신관에 대해 한정적인 위치결정을 진행할 수 있고, 양자 사이의 이격된 단속홈에 의해 서로 대향하여, 신호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두개의 상기 대향관 장착 시트는 상기 단속홈과 인접하는 일측에 관통홈을 개구되게 설치하고, 상기 발사구 및 상기 수신구는 상기 관통홈과 정면으로 마주한다. 상기 발사관 및 상기 수신관이 상기 대향관 장착 시트 내에 장착되므로, 상기 관통홈을 개구되게 설치하여 상기 발사구 및 상기 수신구가 외부와 연통가능하도록 하여 신호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사관 및 상기 수신관의 일측에는 걸림부가 설치되고, 두개의 상기 대향관 장착 시트는 상기 걸림부와 대응되는 측벽에는 상기 걸림부와 걸림되는 결합부가 설치된다. 상기 걸림부 및 상기 결합부를 설치하여, 상기 발사관을 신속하게 위치결정하므로, 장착이 간단하고 편리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트체의 저부에는 끼움 레그가 설치되고, 상기 끼움 레그는 회로판과 끼움 결합된다. 상기 끼움 레그는 상기 시트체가 상기 회로판과 신속하게 연결되도록 하므로, 장착이 간단하고 편리하여, 조립속도를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듈식 광전 스위치 키보드 버튼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탄성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편에는 탄성 텅이 구비되며, 상기 축심 어셈블리에는 저촉부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 텅은 상기 축심 어셈블리의 슬라이딩 방향과 수직되는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저촉부와 저촉된다. 상기 탄성편을 설치하고, 상기 축심 어셈블리에 저촉부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탄성편은 상기 저촉부에 대해 탄성력을 발생하여, 본 발명의 모듈식 광전 스위치 키보드 버튼을 누를 때, 키감을 구비하여, 기계식 키보드의 특유의 촉감을 구현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축심 어셈블리는 축심 및 상기 축심 밖에 슬라이딩 되도록 씌워지는 슬라이드 부쉬를 포함하고; 상기 축심에는 걸이부가 설치되며, 눌림받지 않은 상태일 경우, 상기 슬라이드 부쉬는 상기 걸이부에 걸리고, 상기 저촉부는 상기 탄성 텅과 저촉된다. 상기 축심 어셈블리를 축심 및 슬라이드 부쉬 두 부분으로 분할함으로써, 본 발명의 모듈식 광전 스위치 키보드 버튼을 누를 때, 상기 축심과 상기 슬라이드 부쉬가 부딪히는 소리가 발생가능하므로, 기계식 키보드를 모방한 소리를 구현하여, 키보드로 타자할 때의 소리를 증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의 하측 저면에는 회로판의 위치결정홀에 삽입결합되는 위치결정 컬럼이 설치된다. 상기 위치결정 컬럼은 장착시, 상기 베이스를 신속하게 위치결정시킬 수 있어, 장착효율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는 탄성후크가 설치되고, 상기 회로판의 상측에는 고정판이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고정판의 개구에 장착되고 상기 탄성후크는 상기 개구의 엣지에 의해 걸림 지지된다. 상기 탄성후크는 상기 베이스를 신속하게 고정할 수 있어, 납땜 등 단계를 생략할 수 있기에, 장착효율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는 상부 커버 및 받침대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커버 및 상기 받침대 중의 하나에는 걸림 후크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 커버 및 상기 받침대 중의 다른 하나에는 걸림부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커버가 상기 받침대를 덮을 경우, 상기 걸림 후크는 상기 걸림부와 걸리게 된다. 상기 베이스를 상부 커버 및 받침대 두 부분으로 설치하고, 상기 걸림 후크 및 걸림부를 결합 연결하는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조립이 간단하고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모듈식 광전 스위치 키보드 버튼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모듈식 광전 스위치 키보드 버튼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모듈식 광전 스위치 키보드 버튼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B-B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모듈식 광전 스위치 키보드 버튼 중의 슬라이드 부쉬 및 탄성편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모듈식 광전 스위치의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모듈식 광전 스위치의 분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모듈식 광전 스위치의 시트체의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모듈식 광전 스위치의 시트체의 저부 구조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모듈식 광전 스위치의 수신관의 구조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모듈식 광전 스위치 키보드 버튼의 축심 어셈블리의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기술내용, 구조특징, 구현되는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 실시예는 도면과 결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모듈식 광전 스위치 키보드 버튼(100)은, 회로판(200)에 장착되고, 상기 회로판(200) 상측의 고정판(300)에 의해 걸림 지지되며, 이는 모듈식 광전 스위치(1), 베이스(2), 축심 어셈블리(3) 및 탄성소자(4)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2)에는 장착 부분(2a) 및 수직되고 상측으로 개구된 슬라이드 챔버(2b)가 설치되며, 상기 모듈식 광전 스위치(1)는 상기 장착 부분(2a)에 장착되고, 상기 축심 어셈블리(3)는 상기 슬라이드 챔버(2b) 내에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되고, 상단은 상기 베이스(2) 밖으로 돌출되며, 상기 탄성소자(4)는 상기 베이스(2)와 상기 축심 어셈블리(3) 사이에 설치된다.
이어서,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해보면, 상기 모듈식 광전 스위치(1)는 시트체(11), 발사관(12), 수신관(13) 및 스페이서(14)를 포함하되, 상기 발사관(12) 및 수신관(13)의 외형 구조는 동일한 바, 모두 L형 구조를 나타내고, 상기 시트체(11)에는 상기 발사관(12) 및 수신관(13)과 대응되는 두개의 대향관 장착 시트(111)가 설치되고, 두개의 상기 대향관 장착 시트(111)는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되며, 두개의 상기 대향관 장착 시트(111) 사이에는 단속홈(112)이 개구되게 설치되고, 상기 발사관(12) 및 상기 수신관(13)은 두개의 상기 대향관 장착 시트(111)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발사관(12)의 발사구(미도시) 및 상기 수신관(13)의 수신구(13a)는 상기 단속홈(112)과 마주하여 서로 정면으로 대향되고, 상기 스페이서(14)는 상기 단속홈(112)에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페이서(14)는 상기 축심 어셈블리(3)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축심 어셈블리(3)를 눌러, 상기 축심 어셈블리(3)가 상기 스페이서(14)를 상기 발사관(12)과 상기 수신관(13) 사이에서 슬라이드시켜, 상기 스페이서(14)가 상기 발사관(12) 및 상기 수신관(13) 사이에 위치할 때, 상기 발사구와 상기 수신구(13a) 사이의 신호 전송은 차단되고, 상기 스페이서(14)가 상기 발사관(12) 및 상기 수신관(13) 사이에서 이탈될 때, 상기 발사구와 상기 수신구(13a) 사이의 신호 전송은 도통된다.
이어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해보면, 두개의 상기 대향관 장착 시트(111)는 상기 단속홈(112)과 인접하는 일측에 관통홈(111a)을 개구되게 설치하고, 상기 발사구 및 상기 수신구(13a)는 상기 관통홈(111a)과 정면으로 대향한다. 상기 발사관(12) 및 상기 수신관(13)이 상기 대향관 장착 시트(111) 내에 장착되기에, 상기 관통홈(111a)을 개구되게 설치하여 상기 발사구 및 상기 수신구(13a)가 외계와 연통가능하게 함으로써,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두개의 상기 대향관 장착 시트(111)의 저부에 외부로 하향 관통된 두개의 통홀(111b)을 설치하고, 상기 발사관(12) 및 상기 수신관(13)의 저부의 두개의 핀(12b, 13b)은 이들과 각각 대응되는 상기 통홀(111b)을 관통하여 회로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통홀(111b)은 상기 발사관(12) 및 상기 수신관(13)의 핀(12b, 13b)을 직접적으로 신장시켜 회로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할 뿐만 아니라, 핀(12b, 13b)을 상기 시트체(11)의 내부에 숨길 수 있어, 먼지 및 액체의 영향을 받는 것을 피면한다.
이어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해보면, 상기 시트체(11)의 저부에는 끼움 레그(113)가 설치되고, 상기 끼움 레그(113)는 상기 회로판(200)의 끼움홀(201)과 끼움 결합된다. 상기 끼움 레그(113)는 상기 시트체(11)를 상기 회로판(200)에 신속하게 연결시킬 수 있어, 장착이 간단하고 편리하여, 조립속도를 향상시킨다. 상기 시트체(11)의 저부에는 위치결정 컬럼(114)이 설치되고, 상기 위치결정 컬럼(114)은 상기 회로판(200)의 위치결정홀(202)에 삽입결합된다. 상기 위치결정 컬럼(114)은 상기 시트체(11)와 상기 회로판(200)이 조립될 때 신속하게 위치결정되는데 유리하여, 조립속도를 향상시킨다.
이어서, 도 9 및 도 11을 참조해보면, 상기 발사관(12) 및 상기 수신관(13)의 일측에는 걸림부(13c)가 설치되고, 두개의 상기 대향관 장착 시트(111)와 상기 걸림부(13c)와 대응되는 측벽에는 상기 걸림부(13c)에 걸림되는 결합부(111c)가 설치된다. 상기 걸림부(13c) 및 상기 결합부(111c)를 설치하여, 상기 발사관(12)을 신속하게 위치결정시켜, 장착이 간단하고 편리하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해보면, 상기 축심 어셈블리(3)는 축심(31) 및 상기 축심(31) 밖에 슬라이딩 되도록 씌워지는 슬라이드 부쉬(32)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14)는 상기 축심(31)의 일측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축심(31)에는 걸이부(31a)가 설치되며, 눌림받지 않은 상태일 경우, 상기 슬라이드 부쉬(32)는 상기 걸이부(31a)에 걸린다. 상기 모듈식 광전 스위치 키보드 버튼(100)은 탄성편(5)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편(5)은 상기 베이스(2)에 고정되며, 상기 탄성편(5)은 탄성 텅(51)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 부쉬(32)의 일측에는 저촉부(32a)가 설치되고, 상기 저촉부(32a)에는 걸림부분(32b)이 설치되며, 상기 저촉부(32a)가 상기 탄성 텅(51)과 저촉될 때, 상기 탄성 텅(51)은 상기 걸림부분(32b)에 탄성적으로 걸려, 상기 탄성 텅(51)은 상기 슬라이드 부쉬(32)의 슬라이드 방향과 수직되는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저촉부(32a)에 저촉되어, 상기 축심(31)이 하향으로 슬라이딩 될 때, 상기 슬라이드 부쉬(32)가 상기 슬라이드 챔버(2b) 내에 여전히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축심 어셈블리(3)를 축심(31) 및 슬라이드 부쉬(32) 두 부분으로 분할함으로써, 본 발명의 모듈식 광전 스위치 키보드 버튼(100)을 누를 때, 상기 축심(31)과 상기 슬라이드 부쉬(32)가 부딪히는 소리가 발생하므로, 기계식 키보드를 모방한 소리를 구현하여, 키보드로 타자할 때의 소리를 증가한다. 상기 탄성편(5)을 설치하고, 상기 슬라이드 부쉬(32)에 저촉부(32a)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탄성편(5)은 상기 저촉부(32a)에 대해 탄성력을 발생하여, 본 발명의 모듈식 광전 스위치 키보드 버튼(100)을 누를 때, 키감을 구비하여, 기계식 키보드의 특유의 촉감을 구현하였다.
이어서,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2)는 상부 커버(21) 및 받침대(22)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커버(21)는 걸림 후크(21a)가 설치되며, 상기 받침대(22)는 걸림부(22a)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 커버(21)가 상기 받침대(22)를 덮을 때, 상기 걸림 후크(21a)는 상기 걸림부(22a)에 걸려진다. 상기 베이스(2)를 상부 커버(21) 및 받침대(22) 두부분으로 설치하고, 상기 걸림 후크(21a) 및 걸림부(22a)가 결합 연결되는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조립이 간단하고 편리하다. 상기 받침대(22)의 정면으로 대향하는 양측에는 탄성후크(22b)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22)는 상기 고정판(300)의 개구(301)에 장착되고, 상기 탄성후크(22b)는 상기 개구(301)의 엣지에 의해 걸림 지지된다. 상기 탄성후크(22b)는 상기 베이스(2)를 신속하게 고정할 수 있어, 납땜 등 단계를 생략할 수 있기에, 장착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받침대(22)의 하측 저면에는 위치결정 컬럼(22c)이 설치되고, 상기 위치결정 컬럼(22c)은 회로판(200)의 위치결정홀(203)에 삽입결합된다. 상기 위치결정 컬럼(22c)은 장착시, 상기 베이스(2)를 신속하게 위치결정시킬 수 있어, 장착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위치결정 컬럼(22c)은 상기 받침대(22)의 내부로 연장되고, 중앙에는 가이드홀이 개구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축심(31)이 상기 슬라이드 챔버(2b) 내에서 슬라이딩 될 때, 상기 축심(31)의 축이 상기 가이드홀 내에 끼움연결되어, 가이드의 목적을 실현한다. 상기 회로판(200)에는 LED 램프 장착부(204)가 개구되게 더 설치되며, 상기 받침대(22)에는 LED 램프 통홀(2c)이 더 설치되며, LED 장착부(204)에 의해 표면 실장형 LED 램프(6)를 장착하여, 불빛이 LED 램프 통홀(2c)을 거쳐 모듈식 광전 스위치 키보드 버튼(100)이 백라이트 효과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를 종합하고 도면을 결부해보면, 본 발명의 모듈식 광전 스위치 키보드 버튼(100)이 초기상태일 경우, 상기 슬라이드 부쉬(32)는 상기 축심(31)의 걸이부(31a)에 걸리고, 상기 슬라이드 부쉬(32)의 저촉부(32a)가 상기 탄성편(5)의 탄성 텅(51)에 저촉되고; 사용시, 상기 축심(31)을 눌러, 상기 축심(31)을 상기 슬라이드 챔버(2b)를 따라 하향으로 슬라이딩시키되, 이때, 상기 탄성 텅(5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저촉부(32a)가 지지되기에, 상기 슬라이드 부쉬(32)가 정지되고; 상기 축심(31)이 일정한 행정까지 슬라딩될 경우, 상기 축심(31)이 상기 슬라이드 부쉬(32)와 부딪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부쉬(32)를 상기 축심(31)에 따라 하향으로 슬라이딩시키고, 상기 축심(31)은 이와 동시에 상기 스페이서(14)를 하향 이동시키는 바, 상기 스페이서(14)가 상기 단속홈(112)에서 하향으로 상기 발사구 및 상기 수신구(13a) 사이에 이동됨으로써, 상기 발사관(12) 및 상기 수신관(13) 사이의 신호 전송을 차단하여, 신호를 변화시켜, 키보드의 누름조작을 구현한다. 최종적으로, 상기 탄성소자(4)의 회복력의 작용하에서, 상기 축심(31)이 상향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드 부쉬(32)를 상향 이동시킴으로써, 초기상태로 회복된다.
종래기술에 비해, 본 발명은 상기 발사관(12) 및 상기 수신관(13)을 각각 대향되게 설치하고, 상기 스페이서(14)를 상기 발사관(12) 및 수신관(13)사이에 설치하여, 상기 스페이서(14)를 상기 축심 어셈블리(3)에 연결시켰기에, 상기 축심 어셈블리(3)에 의해 상기 스페이서(14)가 상기 발사관(12) 및 상기 수신관(13) 사이에 슬라이딩 되도록 구동할 경우, 상기 발사관(12)과 상기 수신관(13) 사이의 신호 전송을 차단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탄성소자(4)를 설치하여, 상기 탄성소자(4)의 회복력을 이용하여 상기 스페이서(14)를 슬라이딩시켜 상기 발사관(12) 및 상기 수신관(13) 사이에서 이탈시킴으로써, 상기 발사관(12)과 상기 수신관(13) 사이의 신호 전송을 도통시키므로, 상기 스페이서(14)의 슬라이딩에 의해, 신호를 도통 및 차단시켜 스위치 기능을 달성할 수 있어, 키보드의 누름조작을 구현하며; 광전소자를 키보드 버튼의 스위치 구조로 사용하면,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장착되고, 스위치 응답속도가 빠르며, 신호 전송은 빛에 의해 진행되기에 전기전도 금속부재를 수요로 하지 않으며, 방수 방진 효과를 구비하고, 상기 스페이서(14)가 상기 발사관(12) 및 수신관(13)과 직접 접촉되지 않기에, 마모되거나 금속피로 현상이 발생하지 않기에 사용수명을 최대한 연장시키며; 또한, 본 발명은 타자할 때, 두드리는 소리를 낼 수 있고, 누를 때, 키감을 구비하여, 기계식 키보드의 양호한 촉감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모듈식 광전 스위치 키보드 버튼의 구조는 실시예 1의 구조와 동일하고, 구별점은 축심 어셈블리(3)’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축심 어셈블리(3)’ 역시 축심(31’) 및 슬라이드 부쉬(32’) 두 부분으로 분할되나, 상기 스페이서(14)는 슬라이드 부쉬(32’)에 설치되어, 이가 구현하는 기능은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다. 그러므로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듈식 광전 스위치 키보드 버튼은 상기 축심 어셈블리를 기타 구조로 제작할 수 있어, 소리가 나고 키감이 있는 감촉, 소리가 안나고 키감이 있는 감촉, 및 직선형 감촉을 구현하는 바, 예를 들면, 축심 어셈블리를 일체형 구조로 제작하고, 기타 구조는 변화시키지 않음으로써, 키보드는 소리가 안나고 키감이 있는 감촉을 구비하게 한다.
본 발명의 모듈식 광전 스위치 키보드 버튼(100)에 따른 발사관(12) 및 수신관(13)의 내부구조 및 작동원리는 모두 당업자가 숙지하고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 언급된 것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한 균등한 변화는 여전히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한다.

Claims (10)

  1. 모듈식 광전 스위치, 베이스, 축심 어셈블리 및 탄성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모듈식 광전 스위치는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축심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의 슬라이드 챔버 내에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탄성소자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축심 어셈블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모듈식 광전 스위치는 발사관(發射管), 수신관 및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발사관 및 상기 수신관은 대향하여 설치되고 회로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축심 어셈블리에 연결되어 상기 발사관 및 상기 수신관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축심 어셈블리를 눌러서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발사관 및 상기 수신관 중앙까지 슬라이딩되거나 또는 이탈되도록 하여, 상기 발사관과 상기 수신관 사이의 신호 전송을 차단하거나 또는 도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광전 스위치 키보드 버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식 광전 스위치는 시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트체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게 장착되며, 상기 시트체는 두개의 대향관 장착 시트를 구비하며, 두개의 상기 대향관 장착 시트 사이에는 단속홈(通斷槽)이 개구되게 설치되며, 상기 발사관 및 상기 수신관은 두개의 상기 대향관 장착 시트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발사관의 발사구 및 상기 수신관의 수신구는 상기 단속홈과 마주하여 서로 정면으로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광전 스위치 키보드 버튼.
  3. 제 2 항에 있어서,
    두개의 상기 대향관 장착 시트는 상기 단속홈과 인접하는 일측에 관통홈을 개구되게 설치하고, 상기 발사구 및 상기 수신구는 상기 관통홈과 정면으로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광전 스위치 키보드 버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관 및 상기 수신관의 일측에는 걸림부가 설치되고, 두개의 상기 대향관 장착 시트는 상기 걸림부와 대응되는 측벽에는 상기 걸림부와 걸림되는 결합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광전 스위치 키보드 버튼.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체의 저부에는 끼움 레그가 설치되고, 상기 끼움 레그는 회로판과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광전 스위치 키보드 버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식 광전 스위치 키보드 버튼은 탄성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편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탄성편에는 탄성 텅이 구비되며, 상기 축심 어셈블리에는 저촉부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 텅은 상기 축심 어셈블리의 슬라이딩 방향과 수직되는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저촉부와 저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광전 스위치 키보드 버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축심 어셈블리는 축심 및 상기 축심 밖에 슬라이딩 되도록 씌워지는 슬라이드 부쉬를 포함하고; 상기 축심에는 걸이부가 설치되며, 눌림받지 않은 상태일 경우, 상기 슬라이드 부쉬는 상기 걸이부에 걸리고, 상기 저촉부는 상기 탄성 텅과 저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광전 스위치 키보드 버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하측 저면에는 위치결정 컬럼(定位柱)이 설치되고, 상기 위치결정 컬럼은 회로판의 위치결정홀에 삽입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광전 스위치 키보드 버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는 탄성후크가 설치되고, 상기 회로판의 상측에는 고정판이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고정판의 개구에 장착되고 상기 탄성후크는 상기 개구의 엣지에 의해 걸림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광전 스위치 키보드 버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부 커버 및 받침대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커버 및 상기 받침대 중의 하나에는 걸림 후크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 커버 및 상기 받침대 중의 다른 하나에는 걸림부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커버가 상기 받침대를 덮을 경우, 상기 걸림 후크는 상기 걸림부와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광전 스위치 키보드 버튼.





KR1020160102103A 2015-12-18 2016-08-11 모듈식 광전 스위치 키보드 버튼 KR201700734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964805.2A CN105429620A (zh) 2015-12-18 2015-12-18 模组式光电开关键盘按钮
CN201510964805.2 2015-1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3466A true KR20170073466A (ko) 2017-06-28

Family

ID=55507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103A KR20170073466A (ko) 2015-12-18 2016-08-11 모듈식 광전 스위치 키보드 버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178830A1 (ko)
EP (1) EP3185423A1 (ko)
JP (1) JP2017112092A (ko)
KR (1) KR20170073466A (ko)
CN (1) CN105429620A (ko)
TW (1) TWI6022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05982B (zh) * 2016-12-12 2018-05-08 深圳市煌兆铭科技有限公司 光电机械开关、机械键盘、及加速执行方法
CN107180718A (zh) * 2017-07-11 2017-09-19 东莞市高特电子有限公司 一种沉板模组光电开关及键盘
CN107180719A (zh) * 2017-07-11 2017-09-19 东莞市高特电子有限公司 一种沉板式超薄光电机械键盘开关及键盘
CN107316769A (zh) * 2017-07-28 2017-11-03 东莞市高特电子有限公司 一种杠杆沉板式超薄光电机械键盘开关
CN107424857B (zh) * 2017-09-04 2020-03-27 东莞市高特电子有限公司 一种光电薄轴机械键盘开关
CN107464710A (zh) * 2017-09-27 2017-12-12 东莞市高特电子有限公司 一种方形薄型光电机械键盘开关
CN107481880A (zh) * 2017-09-27 2017-12-15 东莞市高特电子有限公司 一种光电感应机械键盘开关
US11770123B2 (en) 2018-01-05 2023-09-26 Darfon Electronics Corp. Optical keyswitch comprising a keycap having a light transmission area and a keycap projection area projected on a circuit board
CN208538736U (zh) * 2018-01-05 2019-02-22 达方电子股份有限公司 光开关按键
US10637470B2 (en) 2018-01-05 2020-04-28 Darfon Electronics Corp. Optical keyswitch
US11108393B2 (en) 2018-01-05 2021-08-31 Darfon Electronics Corp. Optical keyswitch triggered by support mechanism having at least one rotatable frame enable a protrusion to move along with a key cap
CN109599287B (zh) * 2018-11-28 2020-09-01 苏州达方电子有限公司 可调整按压触发点的光学式按键及光学式键盘
CN109494106A (zh) * 2019-01-11 2019-03-19 深圳市晶泰电子有限公司 模块化快速组装键盘
CN109714038A (zh) * 2019-02-03 2019-05-03 深圳市晶泰电子有限公司 轴体开关及带有轴体开关的键盘
CN110047677B (zh) * 2019-03-26 2021-06-08 苏州达方电子有限公司 光开关按键
JP7392480B2 (ja) * 2020-01-14 2023-12-06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光学ユニット及び操作装置
CN112117998B (zh) * 2020-09-16 2023-08-04 荣智工企智能技术(昆山)有限公司 一种光电开关护罩
US11721500B2 (en) 2021-04-07 2023-08-08 Darfon Electronics Corp. Keyswitch assembly and support mechanism thereof
US11735379B2 (en) 2021-04-07 2023-08-22 Darfon Electronics Corp. Keyswitch assembly
WO2023122461A1 (en) * 2021-12-23 2023-06-29 Voyetra Turtle Beach, Inc. Key structure for keyboard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7837A (en) * 1971-04-19 1974-01-22 Cogar Corp Modular optical apparatus
US4341934A (en) * 1980-11-21 1982-07-27 The Keyboard Company Actuator for keyboard switches
US4479111A (en) * 1982-02-09 1984-10-23 Burroughs Corporation Photo-optical switch apparatus
JPH0343229U (ko) * 1989-09-06 1991-04-23
EP0777327A1 (de) * 1995-11-30 1997-06-04 Haschkamp, Joachim, Dipl.-Ing. Drucktastenschalter für Haushaltsgeräte
JPH09320387A (ja) * 1996-05-29 1997-12-12 Niles Parts Co Ltd プッシュロックスイッチ装置
CN2301752Y (zh) * 1997-06-06 1998-12-23 石文广 光电式键盘
JPH1139996A (ja) * 1997-07-18 1999-02-12 Mitsumi Electric Co Ltd キーボード
JP4260064B2 (ja) * 2004-05-21 2009-04-30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室内照明灯
US7122756B2 (en) * 2004-07-01 2006-10-17 Alps Electric Co., Ltd. Push switch
JP5198190B2 (ja) * 2008-09-02 2013-05-15 株式会社タカデン フォトインタラプタ
CN201294175Y (zh) * 2008-11-04 2009-08-19 吴盛志 一种按钮开关
TWI401896B (zh) * 2009-03-03 2013-07-11 Everlight Electronics Co Ltd 光遮斷器
TWI447769B (zh) * 2011-01-14 2014-08-01 Antec Electric System Co Ltd 電子裝置
CN202352729U (zh) * 2011-11-02 2012-07-25 江门市骏达光电科技有限公司 发光二极管支架
TWM438695U (en) * 2012-03-23 2012-10-01 Advanced Radiotech Corp Stepless type keyboard device
CN202602607U (zh) * 2012-05-08 2012-12-12 李水琴 电子式微动开关
CN202818262U (zh) * 2012-07-25 2013-03-20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在显示装置上直接触控的电容式感应开关
DE102013205577A1 (de) * 2013-03-28 2014-10-02 Zf Friedrichshafen Ag Tastenmodul für eine Taste einer Tastatu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Tastenmoduls für eine Taste einer Tastatur
CN203521244U (zh) * 2013-09-05 2014-04-02 东莞市名键电子科技有限公司 电子式机械开关
CN204130394U (zh) * 2014-09-26 2015-01-28 东莞市凯华电子有限公司 一种键盘开关
CN204441139U (zh) * 2015-01-29 2015-07-01 徐孝海 空心对管轴键盘
CN204375618U (zh) * 2015-01-29 2015-06-03 郝小妮 机电分离式光电机械键盘
WO2016134560A1 (zh) * 2015-02-27 2016-09-01 东莞市长资实业有限公司 光电一体式机械轴键盘开关模组
CN105023790A (zh) * 2015-07-24 2015-11-04 东莞市高特电子有限公司 一种机械开关导光柱及加置导光柱的机械开关
CN105097342A (zh) * 2015-08-11 2015-11-25 东莞市长资实业有限公司 一种产生两次触感撞击音及光电控制一体式输入设备开关模组
CN105070560A (zh) * 2015-08-18 2015-11-18 深圳市鼎隆盛塑胶模具有限公司 光感机械键盘
CN105118723B (zh) * 2015-08-31 2017-11-21 东莞市名键电子科技有限公司 光电式键盘按键
CN205249174U (zh) * 2015-12-18 2016-05-18 东莞市高特电子有限公司 模组式光电开关键盘按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78830A1 (en) 2017-06-22
TWI602207B (zh) 2017-10-11
EP3185423A1 (en) 2017-06-28
CN105429620A (zh) 2016-03-23
JP2017112092A (ja) 2017-06-22
TW201724141A (zh) 2017-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3466A (ko) 모듈식 광전 스위치 키보드 버튼
WO2018090897A1 (zh) 一种薄型光电机械式键盘开关
KR100202315B1 (ko) 전원버튼에 마이커가 채용된 전자제품
US20180031226A1 (en) User interface for a household appliance
EP3077583B1 (en) A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a light guide
CN104796505A (zh) 智能终端
US9443680B2 (en) Electronic device and input device thereof
CN210609114U (zh) 反射光轴键盘
WO2022147634A1 (zh) 微动平衡超薄按键组件
US20120098748A1 (en) Button assembly and computer mouse having the same
US10963071B2 (en) Mouse
JP3219461U (ja) ディスプレーを具えるプッシュ及びタッチ方式コントロール装置
US8933355B2 (en) Switch triggering device
KR101197285B1 (ko) 사이드 스위치 모듈
KR20060085818A (ko) 드럼세탁기의 컨트롤패널 어셈블리
US20130206562A1 (en) Keyboard with water-draining function
CN209731207U (zh) 一种一体式光敏元件
CN211479907U (zh) 一种光微动开关及鼠标
CN213909821U (zh) 控制面板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TWI703599B (zh) 開關以及操作裝置
CN217719400U (zh) 一种具备红外功能的电子轻触开关
CN216818161U (zh) 平衡光轴
KR101811766B1 (ko) 리모콘용 스위치
CN107734883B (zh) 可拆卸壳体组件及移动装置
CN109873630A (zh) 一种一体式光敏元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