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3578A - 자동 미장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미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3578A
KR20000063578A KR1020000042571A KR20000042571A KR20000063578A KR 20000063578 A KR20000063578 A KR 20000063578A KR 1020000042571 A KR1020000042571 A KR 1020000042571A KR 20000042571 A KR20000042571 A KR 20000042571A KR 20000063578 A KR20000063578 A KR 20000063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late
plastering
guide
mort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2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4723B1 (ko
Inventor
김한덕
Original Assignee
김한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덕 filed Critical 김한덕
Priority to KR10-2000-0042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4723B1/ko
Publication of KR20000063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3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4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47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2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laying flooring
    • E04F21/24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laying flooring of masses made in situ, e.g. smoothing tools
    • E04F21/245Rotary power trowels, i.e. helicopter trowels
    • E04F21/248Rotary power trowels, i.e. helicopter trowels used by an operator walking behind the trowel, i.e. walk-behind power trow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미장장치, 더욱 상세히는 시공된 건물 또는 주택의 바닥면이나 벽면의 마감 모르타르를 수평과 수직이 유지되도록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건설품질을 대폭향상 시킴과 동시에 인력과 작업소요시간의 최소화에 의해 원가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적극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된 자동 미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위해 본 발명 자동미장장치는,복수개의 연결대(13)와 연결구(14)에 의해 필요길이로 연결설치되는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의 하부에 높낮이조절 및 위치고정 가능하게 연결설치되는 캐스터(2)와; 연결구(31)에 의해 상기 프레임(1)에 길이방향으로 연결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3)과; 양측 복수개소에 가이드롤러(42)를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레일(3)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본체(41)의 상부에 핸들(43)이 설치되고, 하부 복수개소에는 장공(44)을 포함하는 위치조정판(45)을 구비한 이동틀(4)과; 상기 위치조정판(45)에 대응하는 연결판(52)을 구비하여 체결부재(53)에 의해 위치조정 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고, 전후면에는 절곡부(54)가 형성되며, 상면 복수개소에는 물반(55)을 구비한 미장판(5) 으로 구성하였다.

Description

자동 미장장치{AUTO PLASTERING MACHINE}
본 발명은 자동 미장장치, 더욱 상세히는 시공된 건물 또는 주택의 바닥면이나 벽면의 마감 모르타르를 수평과 수직이 유지되도록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건설 품질을 대폭향상 시킴과 동시에 인력과 작업소요시간의 최소화에 의해 원가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적극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된 자동 미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또는 주택등을 건설할 경우 타설된 콘크리트 벽체나 바닥 또는 조적벽체 등에는 마감 모르타르를 시공한 후 그 표면에 도색을 하거나 벽지등을 바르는 등의 후공정을 거쳐 시공을 완료하게 됨은 주지와 같다.
이때 마감 모르타르의 표면은 평탄한 수평 또는 수직을 유지해야 하는데, 종래에는 마감 모르타르의 평탄한 시공을 위해 실 등을 필요두께에 맞추어 종횡으로 설치하여 이를 기준으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모르타르 시공방법은 많은 실을 종횡으로 설치하여야 하므로 작업준비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작업진행중 기준실의 유동이 발생되므로 작업면의 평탄상태를 유지하기 힘들다는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으며, 따라서 고도의 숙련자가 많은 시간동안 작업을 진행해야 하므로 시공비가 과대히 상승하게 되는 주요인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문제점들에도 불구하고 시공된 마감 모르타르의 표면은 수평 또는 수직을 유지하기 어려우므로, 도색을 하거나 벽지를 바르고 난후에는 그 표면의 평탄상태가 불량하여 마감 모르타르의 시공목적을 상실하게 되고, 이에따라 전체적인 건설품질이 저하된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마감 모르타르의 시공을 기계적으로 수행하여 작업소요시간과 인력의 최소화에 의한 원가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적극적으로 구현하고, 시공된 마감 모르타르의 표면을 평탄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건설품질의 대폭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된 자동 미장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필요길이로 연결설치되는 프레임에 가이드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이동틀의 하부에는 미장판을 구비하여, 상기 이동틀의 전후이동에 의해 미장판이 마감 모르타르를 평탄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본발명 자동 미장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자동 미장장치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자동 미장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2 : 캐스터
3 : 가이드레일 4 : 이동틀
5 : 미장판 6 : 와이어
7 : 웨이트블록 13 : 연결대
42 : 가이드롤러 43 : 핸들
45 : 위치조정판 52 : 연결판
53 : 체결부재 54 : 절곡부
바닥면 : G 모르타르 : M
벽체 : W
.이하에서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예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자동 미장장치(A)의 사시도 이다.
본 발명 자동 미장장치(A)는, 필요길이로 연결설치되는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의 하부에 높낮이조절 및 위치고정 가능하게 연결설치되는 캐스터(2)와, 상기 프레임(1)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3)과, 상기 가이드레일(3)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이동틀(4)과, 상기 이동틀(4)에 위치조정 가능하게 연결설치되는 미장판(5)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은 사각틀체로 구성되며, 전,후방프레임(11,12)의 사이에 적정길이의 연결대(13)들을 연결구(14)에 의해 연결시켜 필요한 길이 즉, 시공면의 규격에 맞추어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캐스터(2)는 그 상부에 연결나사부(21)를 구비하여 전,후방프레임 (11,12)의 하부에 체결되며, 상세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그 일측에 잠금레버를 구비하여 위치고정 가능하게 연결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3)은, 전,후방프레임(11,12)의 사이에 연결설치되는데, 프레임(1)에서와 같이 연결구(31)에 의해 필요길이로 열결된다.
상기 이동틀(4)은 사각틀체로 구성된 본체(41)와, 상기 본체(41)의 양측 복수개소에 구비되어 가이드레일(3)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가이드롤러(42)와, 상기 본체(41)의 상부에 돌출설치된 핸들(43)과, 상기 본체(41)의 하부 복수개소에 구비되고 그 중앙에는 장공(44)이 형성된 위치조절판(45)으로 구성된다.
상기 미장판(5)은 상기 위치조절판(45)에 대응하도록 장공(51)이 형성된 연결판(52)을 구비하여 체결부재(53)에 의해 체결고정 설치되고, 그 전후면에는 모르타르를 밀어주도록 절곡부(54)가 형성되며, 상면 복수개소에는 수평을 맞추기 위한 물반(55)이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본 발명 자동 미장장치(A)는 바닥면을 마감미장하기 위한 상태를 도시, 설명한 것으로, 도 2에서는 그 사용상태를 측면도로 나타내었다.
본 발명 자동 미장장치(A)는 사용시에 우선, 바닥면(G)의 규격에 맞추어 프레임(1)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를위해 전,후방프레임(11,12)의 시이에 연결대(13)들을 연결구(14)에 의해 연결설치함으로써 필요길이로 조립한다.
이때 전,후방프레임(11,12) 사이에 가이드레일(3)도 동일한 방법으로 연결시키게 되며, 상기 가이드레일(3)에는 이동틀(4)의 가이드롤러(42)를 조립하게 된다.
이러한 준비상태에서 미장작업을 위해서는 우선, 캐스터(2)의 높낮이를 조정하여 프레임(1)의 전체적인 균형, 즉 수평을 맞추어 준후, 미장판(5)의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상기 미장판(5)의 위치조정은, 그 상면에 구비된 연결판(51)을 이동틀(4)과 연결시키는 체결부재(53)를 이완시킨 상태에서 시공될 마감 모르타르의 두께에 맞추어 미장판(5)의 전후좌우 높이를 맞추게 된다.
즉, 미장판(5)의 상면에는 물반(55)의 구비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미장판(5)을 필요높이로 들어 올린후 상기 물반(55)을 육안으로 확인 하면서 체결부재(53)을 조여주게 되는데, 이경우에 미장판(5)의 연결판(51)과 이동틀(4)의 위치조정판(45)에는 장공(44,5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미장판(5)의 정확한 수평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같이 미장판(5)의 위치조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이동틀(4)을 프레임(1)의 일측으로 밀어준 후 미장판(5)의 진행방향에 마감 모르타르(M)를 공급하고 이동틀(4)의 핸들(43)을 밀어주게 된다.
이에따라 미장판(5)을 포함하는 이동틀(4)은 가이드레일(3)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미장판(5)은 그 전후방의 절곡부(54)가 모르타르(M)를 밀어주며 이동하게 되어 모르타르(M)가 바닥면(G)에 설계두께로 펴지게 된다.
이러한 작업 즉, 미장작업은 초보자도 이동틀(4)을 전후로 밀어 이동시키는 단순동작에 의해 신속히 완료되며, 완료된 시공면은 평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바닥면(G)의 폭이 넓은 경우에는 프레임(1)의 길이 방향으로 미장작업을 완료한 후, 프레임(1)을 미장판(5)의 폭만큼 옆으로 이동시켜 작업을 계속하게 되므로 넓은 바닥면(G)도 신속히 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된다.
한편, 도 3에서는 본 발명 자동 미장장치(A)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는 벽체(W)에 미장작업을 할 수 있도록 프레임(1)을 수직으로 설치하였다.
특히, 프레임(1)에는 안내롤러(15)를 설치하여 이동틀(4)에 일단이 고정된 와이어(6)를 안내하도록 하고, 상기 와이어(6)의 타측단에는 웨이트블록(7)을 설치하여 이동틀(4)의 승강작동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하였다.
이경우에는 프레임(1)을 벽체(W)에 조립시키고 캐스터(2)에 의해 수평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미장판(5)이 벽체(W)와 일정간격으로 위치고정 되도록 한후, 미장판(5)의 절곡부(54)에 모르타르(M)를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준비완료상태에서 작업자는 이동틀(4)의 핸들(43)을 밀어 올리거나 내려주는 과정을 반복하여 미장작업을 완료하에 되는데, 이때 이동틀(4)과 미장판(5) 및 모르타르(M)의 무게는 웨이트블록(7)에 의해 상쇄되므로 작업자의 노동부하는 최소화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 자동 미장장치(A)는 넓은 시공면의 미장작업을 극히 용이하게 단시간에 완료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 향상과 인력절감에 의한 건설비용 최소화의 적극적 구현이 가능하고, 시공면의 평탄상태가 양호하여 건설품질의 대폭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분해와 조립이 용이하여 작업자에게 최대한의 편의를 제공함은 물론, 이동 및 보관시에 최소한의 공간이 요구되어 공간활용효율의 증대와 물류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등의 광범위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복수개의 연결대(13)와 연결구(14)에 의해 필요길이로 연결설치되는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의 하부에 높낮이조절 및 위치고정 가능하게 연결설치되는 캐스터(2)와,
    연결구(31)에 의해 상기 프레임(1)에 길이방향으로 연결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3)과,
    양측 복수개소에 가이드롤러(42)를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레일(3)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본체(41)의 상부에 핸들(43)이 설치되고, 하부 복수개소에는 장공(44)을 포함하는 위치조정판(45)을 구비한 이동틀(4)과,
    상기 위치조정판(45)에 대응하는 연결판(52)을 구비하여 체결부재(53)에 의해 위치조정 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고, 전후면에는 절곡부(54)가 형성되며, 상면 복수개소에는 물반(55)을 구비한 미장판(5)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미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벽면미장시에 미장판(5)을 포함하는 이동틀(4)의 하중을 상쇄시키도록 프레임(1)에 안내롤러(15)를 설치하여 이동틀(4)에 일단을 연결한 와이어(6)를 안내하게 하고, 그 타단에는 웨이트 블록(7)을 고정설치하여서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미장장치.
KR10-2000-0042571A 2000-07-24 2000-07-24 자동 미장장치 KR100374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2571A KR100374723B1 (ko) 2000-07-24 2000-07-24 자동 미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2571A KR100374723B1 (ko) 2000-07-24 2000-07-24 자동 미장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9828U Division KR200206323Y1 (ko) 2000-07-11 2000-07-11 자동 미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578A true KR20000063578A (ko) 2000-11-06
KR100374723B1 KR100374723B1 (ko) 2003-03-15

Family

ID=19679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2571A KR100374723B1 (ko) 2000-07-24 2000-07-24 자동 미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472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60293A (zh) * 2017-05-06 2017-08-18 阜南县申通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墙面抹灰机
CN109339417A (zh) * 2018-09-30 2019-02-15 中铁十六局集团城市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门窗洞口快易抹灰收口装置
CN111485703A (zh) * 2020-04-26 2020-08-04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均匀抹灰装置及其施工方法
CN114135084A (zh) * 2021-11-25 2022-03-04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抹灰组件以及抹灰设备
CN115012622A (zh) * 2021-03-05 2022-09-06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抹灰作业方法、控制装置、抹灰设备及可读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558B1 (ko) 2009-04-28 2012-10-04 주식회사 이레하이테크이앤씨 종 방향 타이닝 설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2842Y1 (ko) * 1985-03-29 1986-10-20 한대남 치약이 구비된 치솔
JPH0315950A (ja) * 1989-06-14 1991-01-24 Nec Corp プログラム実行経路探査装置
MY138254A (en) * 1993-08-16 2009-05-29 Tan Tah Hee Tan Sweee Woon Plastering machine
KR0118209Y1 (ko) * 1994-08-10 1998-04-27 전성원 선바이저 고정장치
KR100276157B1 (ko) * 1998-08-14 2000-12-15 강흥묵 콘크리트 미장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60293A (zh) * 2017-05-06 2017-08-18 阜南县申通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墙面抹灰机
CN107060293B (zh) * 2017-05-06 2019-11-15 阜南县申通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墙面抹灰机
CN109339417A (zh) * 2018-09-30 2019-02-15 中铁十六局集团城市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门窗洞口快易抹灰收口装置
CN109339417B (zh) * 2018-09-30 2024-05-03 中铁十六局集团城市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门窗洞口快易抹灰收口装置
CN111485703A (zh) * 2020-04-26 2020-08-04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均匀抹灰装置及其施工方法
CN111485703B (zh) * 2020-04-26 2021-02-19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均匀抹灰装置及其施工方法
CN115012622A (zh) * 2021-03-05 2022-09-06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抹灰作业方法、控制装置、抹灰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5012622B (zh) * 2021-03-05 2024-04-09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抹灰作业方法、控制装置、抹灰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4135084A (zh) * 2021-11-25 2022-03-04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抹灰组件以及抹灰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4723B1 (ko) 200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3551B1 (ko) 건축물의 벽면 자동 미장기계 및 이를 이용한 벽면 미장 방법
KR101100258B1 (ko) 벽체미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체미장기계
US8684717B2 (en) Apparatus for constructing floor
KR100374723B1 (ko) 자동 미장장치
KR200206323Y1 (ko) 자동 미장장치
CN209976017U (zh) 一种伸缩式可周转卫生间降板定型模板
KR20210002301A (ko) 건축바닥면에 미장마감되는 슬러지형 모르타르타설 면의 진동고름대
CN218758884U (zh) 一种预制墙板三维可调节与临时固定装置
KR200241368Y1 (ko) 자동미장 장치
KR20010079022A (ko) 자동미장 장치
CN206646784U (zh) 一种家装用的瓷砖安装架
CN213774572U (zh) 一种砌墙辅助设备
CN102926305A (zh) 低碳木户外地板的连接构件及其使用方法
CN215520053U (zh) 一种调节皮数杆
CN220395254U (zh) 一种新型便捷式墙体砌筑的铺浆工具
CN220670540U (zh) 一种可周转使用的吊挂式激光弹线仪搁置盒
CN220035824U (zh) 一种用于幕墙单元板与主体钢结构上返梁之间的连接系统
KR20200059674A (ko) 이동식 갱폼
CN116044212A (zh) 一种叠合板安装架体及其使用方法
CN219992823U (zh) 一种可调节的幕墙结构
CN211341563U (zh) 墙板调平装置
CN214658097U (zh) 一种快速安装建筑幕墙结构
CN215888704U (zh) 一种装配式墙垛底框
CN220336488U (zh) 一种便于楼面施工的找平装置
CN219973954U (zh) 一种控制砌体水平灰缝厚度的木制定型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