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3557A - 원터치방식의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 - Google Patents

원터치방식의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3557A
KR20000063557A KR1020000042275A KR20000042275A KR20000063557A KR 20000063557 A KR20000063557 A KR 20000063557A KR 1020000042275 A KR1020000042275 A KR 1020000042275A KR 20000042275 A KR20000042275 A KR 20000042275A KR 20000063557 A KR20000063557 A KR 20000063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discharge
liquid filling
filling machin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2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이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민 filed Critical 이정민
Priority to KR1020000042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63557A/ko
Publication of KR20000063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3557A/ko
Priority to AT01930276T priority patent/ATE337232T1/de
Priority to CNB01811394XA priority patent/CN1208220C/zh
Priority to JP2002503616A priority patent/JP2004501036A/ja
Priority to MXPA02010973A priority patent/MXPA02010973A/es
Priority to US10/275,232 priority patent/US6783024B2/en
Priority to PCT/KR2001/000740 priority patent/WO2001098167A1/en
Priority to EP01930276A priority patent/EP1292506B1/en
Priority to AU56818/01A priority patent/AU5681801A/en
Priority to DE60122514T priority patent/DE60122514D1/de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7Snap-on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1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 B65D75/5822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and defining, after tearing, a small dispensing spout, a small orific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1)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원터치방식의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
(2)발명의 목적
특출2000-24507호의 경우, 용기의 측방에 대각선 방향으로 배출대를 형성하는 것은 가능하나,그 배출대는 원터치방식이 아닌 단점이 제기 되었던 것이다.
이 발명은 상기의 거론된 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3)발명의 구성
배출대(1)는 접착부(2)를 중심으로 하여 상방으로는 구부(3)를 두고, 하방으로는 일 측방이 트인 유출부(4)를 일정 각도 휘어지게 형성한 것이며,상기 구부(3)의 상단에는 날개(6)가 있는 마개(5)를 형성함과, 상기한 마개(5) 하방부로는 지지부(7)를 형성하되,그 지지부(7)의 외환부에는 나사산(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지지부(7)는 구부(3)의 내측 유출공(9)으로 삽입되어져 만난면이 절취선(10)으로 구획져 있음.
(4)발명의 효과
용기의 모서리에 배출대를 형성하고도,그 배출대가 형성된 용기의 내용물을 빨아먹는 것과 다른 용기에 옮기는 것이 동시에 충족되는 장점과, 상기한 배출대는 원터치방식으로 개폐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그 배출대의 구부는 개봉시 까지 청결을 지속시키는 매우 큰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원터치방식의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
본 발명은 원터치방식의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에 관한 것이며,종래의 선행으로는 국내 실용신안공고91-5740호 및 특출2000-24507호가 있다.
상기 선행 실용신안공고91-5740호의 경우,유출부가 일직선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배출대를 용기의 측방이자 대각선 방향으로 결합하게 되면 용기의 하방에 있는 내용물이 빨려 나오지 않는 단점이 제기 되었다.
또한 특출2000-24507호의 경우,용기의 측방에 대각선 방향으로 배출대를 형성하는 것은 가능하나,그 배출대는 원터치방식이 아닌 단점이 제기 되었던 것이나,이 발명은 상기의 거론된 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배출대의 사시도.
도 2는 배출대의 종단면도.
도 3∼도 4는 배출대의 사용상태를 보인 것으로서,도 3은 배출대가 용기의 일측면에 부설된 상태를 보인 것이고,도 4는 용기에 부설된 배출대의 사용후 그 배출대가 재밀봉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5,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도 5는 배출대의 사시도이며,도 6은 배출대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출대 2 : 접착부 3 : 구부
4 : 유출부 5 : 마개 6 : 날개
7 : 지지부 8,11,12 : 나사산 9 : 유출공
10 : 절취선 100 : 용기(파우치) 101 : 절단홈
102 : 절단선 103 : 마개보호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출대는,유출부는 일정 각도 휘어진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그 유출부의 상방에 있는 마개는 원터치방식으로 개폐하도록 절취선으로 구획된 부분을 포함하고 있음과,상기한 마개는 원터치방식으로 개봉후 재밀봉할 수 있도록 마개의 지지부에 결합용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배출대(1)는 접착부(2)를 중심으로 하여 상방으로는 구부(3)를 두고,하방으로는 일 측방이 트인 유출부(4)를 일정 각도 휘어지게 형성한 것이며,상기 구부(3)의 상단에는 날개(6)가 있는 마개(5)를 형성함과,또한 상기 마개(5) 하방부로는 지지부(7)를 형성하되,그 지지부(7)의 외환부에는 나사산(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상기 지지부(7)는 구부(3)의 내측 유출공(9)으로 삽입되어져 만난면이 절취선(10)으로 구획되어져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배출대(1)가 용기(파우치)(100)에 접착된 일예가 도 3과 같은 것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2)의 하방은 용기(100)가 완전 밀봉된 상태를 하고 있고,상방은 절단홈(101)과 절단선(102)으로 구획된 마개보호부(10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도 3과 같은 상태에서,마개보호부(103)를 일측으로 당기게 되면 절단선(102)이 파괴되면서 마개보호부(103)가 제거되게 되는 것이며,계속하여, 마개(5)를 일측으로 돌리게 되면 절취선(10)에 의해 상기 마개(5)가 구부(3)와 분리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상태에서,구부(3)에 입을 대고 빨게 되면 용기(1)의 필름면이 수축되고 동과정에 유출부(4)에는 유출공이 형성되, 상기한 유출부(4)를 따라 용기(1)내의 내용물이 흡출되는 것이며,또한 상기한 용기(1)를 일측으로 기울이게 되면 용기(1)의 필름면이 벌어지면서 형성된 유출부(4) 상단의 개방부를 경유 그 내용물은 유출공(9)을 따라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참고적으로,상기한 유출부(4)가 하방으로 휘어진 상태를 취하고 있지 않을 경우,구부(3)를 입으로 빨았을 시 용기(1) 내의 내용물은 흡출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용기(100) 내의 내용물을 재보관 하고자 할때는 도 4에서 보인 바와 같이 마개(5)를 구부(3)의 상단에 위치 시킨후 회전시키게 되면 나사산(8)이 구부(3)의 상단을 약간 확장시키면서 지지부(7)를 유출공(9) 쪽으로 밀어 넣어 밀폐력을 유지시키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서(도 5,도 6),상기한 배출대(1)는,외측에 날개(6)가 있고 내부 상향으로는 결합용 나사산(11)을 갖고 있는 마개(5)가 구부(3)의 상방에 절취선(10)으로 경계를 하고 일체화 되어 있으며,상기 절취선(10)의 하방이자 구부(3)의 상방부에는 상기 마개(5)의 나사산(11)에 결합될 용도의 나사산(12)을 형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사용시에는 마개(5)를 비틀게 되면 절취선(10)이 파괴되는 것이며,그후의 사용상태는 전예와 같고,사용후 재밀봉하고자 할 때는 마개(5)의 나사산(11)부가 구부(3)의 나사산(12)부에 위치되게 하여 조이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용기의 모서리에 배출대를 형성하고도,그 배출대가 형성된 용기의 내용물을 빨아 먹는 것과 다른 용기에 옮기는 것이 동시에 충족되는 장점과,상기한 배출대는 원터치방식으로 개폐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그 배출대의 구부는 개봉시 까지 청결을 지속시키는 매우 큰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배출대(1)는 접착부(2)를 중심으로 하여 상방으로는 구부(3)를 두고,하방으로는 일 측방이 트인 유출부(4)를 일정 각도 휘어지게 형성한 것이며,상기 구부(3)의 상단에는 날개(6)가 있는 마개(5)를 형성함과, 상기한 마개(5) 하방부로는 지지부(7)를 형성하되,그 지지부(7)의 외환부에는 나사산(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지지부(7)는 구부(3)의 내측 유출공(9)으로 삽입되어져 만난면이 절취선(10)으로 구획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 원터치방식의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
  2.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마개(5)는 내부 상향으로는 결합용 나사산(11)을 갖고,그 마개(5)는 구부(3)의 상방에 절취선(10)으로 경계를 하고 일체화 되어 있으며, 상기 절취선(10)의 하방이자 구부(3)의 상방부에는 상기 마개(5)의 나사산(11)에 결합될 용도의 나사산(1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원터치방식의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한 배출대(1)의 접착부(2) 하방은 용기와 밀봉된 상태를 하고 있고,상방은 절단홈(101)과 절단선(102)으로 구획된 마개보호부(103)가 봉합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 원터치방식의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한 배출대(1)의 접착부(2) 하방만이 용기(100)와 밀봉된 상태를 하도록 구성된 원터치방식의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
KR1020000042275A 2000-05-08 2000-07-22 원터치방식의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 KR200000635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2275A KR20000063557A (ko) 2000-07-22 2000-07-22 원터치방식의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
AT01930276T ATE337232T1 (de) 2000-05-08 2001-05-08 Ausgiesstülle für dünne folienbehälter
CNB01811394XA CN1208220C (zh) 2000-05-08 2001-05-08 用于薄膜液体容器的管口部件
JP2002503616A JP2004501036A (ja) 2000-05-08 2001-05-08 薄膜飲料容器用注出帯アセンブリ
MXPA02010973A MXPA02010973A (es) 2000-05-08 2001-05-08 Un conjunto surtidor para recipiente de liquido de pelicula delgada.
US10/275,232 US6783024B2 (en) 2000-05-08 2001-05-08 Spout assembly for thin-film liquid container
PCT/KR2001/000740 WO2001098167A1 (en) 2000-05-08 2001-05-08 A spout assembly for thin-film liquid container
EP01930276A EP1292506B1 (en) 2000-05-08 2001-05-08 A spout assembly for thin-film liquid container
AU56818/01A AU5681801A (en) 2000-05-08 2001-05-08 A spout assembly for thin-film liquid container
DE60122514T DE60122514D1 (de) 2000-05-08 2001-05-08 Ausgiesstülle für dünne folienbehäl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2275A KR20000063557A (ko) 2000-07-22 2000-07-22 원터치방식의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557A true KR20000063557A (ko) 2000-11-06

Family

ID=19679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2275A KR20000063557A (ko) 2000-05-08 2000-07-22 원터치방식의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6355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018971A (ja) 液体用紙容器の口栓及び該口栓を取り付けた液体用紙容器
KR20000063557A (ko) 원터치방식의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
KR200195236Y1 (ko)
KR20000059190A (ko) 원터치방식의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
KR200212599Y1 (ko) 액체용기용 배출대의 뚜껑 구조
KR20020075761A (ko) 배출대
KR20000064059A (ko) 액체주출용 뚜껑의 밀폐구조
KR20000058373A (ko)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 및 그 구조
KR200258382Y1 (ko) 하부 토출구를 구비한 용기
KR200219432Y1 (ko)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용기
KR20010087800A (ko) 공기유입구를 포함한 접철식 배출대를 갖고 있는 병뚜껑
KR200242766Y1 (ko) 몸체와 일체형인 뚜껑겸용 공기인입구를 갖는 프라스틱용기
KR20000030212A (ko) 내용물 유출용 유출대가 있는 병뚜껑
KR19990030464A (ko)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의 구조
KR20040043720A (ko) 배출대를 수용하도록 된 배출대지지부를 갖고 있는 뚜껑의구조
KR20000017989A (ko) 액체용기용 배출대
KR20000030416A (ko) 내용물 유출용 유출대가 있는 용기 뚜껑 및 그 구조
KR20000030671A (ko) 음료용기용 배출대 및 그 구조
KR200171823Y1 (ko) 개량형 튜브용기
KR20030036336A (ko) 체크벨브를 갖고 있는 액체배출용 배출대
JPH10101120A (ja) 液体容器用注出具及び注出具付き液体容器
KR20020043509A (ko) 조립형지지부가 있는 액체배출용 디스펜서
JP2010274976A (ja) キャップの注出口
KR20000058375A (ko)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고, 그구부에는 내용물을 빨아 먹고 다른 용기에 배출시킬 수있게 된 형의 작동용 유출대 및 그 구조
KR20010074563A (ko) 원터치방식의 액체충전용기용 배출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