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3334A - 전기 플러그 - Google Patents

전기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3334A
KR20000063334A KR1020000036123A KR20000036123A KR20000063334A KR 20000063334 A KR20000063334 A KR 20000063334A KR 1020000036123 A KR1020000036123 A KR 1020000036123A KR 20000036123 A KR20000036123 A KR 20000036123A KR 20000063334 A KR20000063334 A KR 20000063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piece
circular
connection
connect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6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1302B1 (ko
Inventor
최진영
Original Assignee
최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영 filed Critical 최진영
Priority to KR10-2000-0036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1302B1/ko
Publication of KR20000063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3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1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13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 플러그는 선단에서부터 몸통의 적소에 이르는 부위가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며, 상기 선단에 콘센트에 삽입되는 원형 접속부가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원형 접속편; 각각이 상기 원형 접속편의 상기 절개 부위에 삽입되며, 선단에 콘센트에 삽입되는 날형 접속부가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날형 접속편; 상기 각각의 날형 접속편이 삽입된 각각의 원형 접속편을 감쌓는 적어도 두 개의 접속편 수납통; 상기 각각의 원형 접속부 및 상기 각각의 날형 접속부를 상기 각각의 접속편 수납통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출납시키는 접속편 출납 작동 수단 및 상기 접속편 출납 작동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날형 접속부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접속편 수납통의 간격을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좌우로 이동시키는 접속편 이동 수단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전기 플러그{ELECTRIC PLUG}
본 발명은 전기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케이스 내부에 별도의 접속편 수납통을 형성하고, 이 접속편 수납통의 내부에 날형 접속편과 원형 접속편을 서로 엇갈리게 출몰되도록 설치하되, 날형 접속편은 돌출된 상태에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날형 접속편의 출몰 및 회전 각도 또는 날형 접속편의 출몰 여부에 따라 단자의 모양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타국에서도 전기 플러그의 모양에 관계없이 전자제품을 사용할 수 있고, 구성의 단순화로 사용이 편리함은 물론 부피의 감소로 생산성 향상 및 생산단가 감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전기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각국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모양의 전기 플러그와 콘센트를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모양으로 된 타국의 전기 플러그를 국내에서 사용하고자 할 경우 타국의 전기 플러그와 맞는 콘센트가 없어 사용하지 못하는 일이 빈번히 발생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다양한 모양의 전기 플러그 또는 콘센트가 제공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 플러그를 도시한 것으로서, 케이스(1)의 상면에는 국내에서 사용되는 전기 플러그가 접속되기 위한 플러그 접속부(2)가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1)의 외주면상에는 유럽이나 미국, 일본, 한국에서 사용되는 플러그(3)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부(2)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접속부(2)가 회전되어 정지한 위치에 존재하는 플러그(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멀티 플러그는 외국에서 국산 전자 제품을 사용하고자 할 때 국산 전자 제품의 플러그를 플러그 접속부(2)에 결합시키고, 이 상태에서 해당 국가에서 사용되는 플러그와 동일한 형태의 플러그(3)쪽으로 플러그 접속부(2)를 회전시켜 플러그 접속부(2)와 해당 국가의 플러그(3)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플러그(3)를 해당 국가의 실내에 설치된 콘센트에 꽂으면 전원이 플러그(3)와 플러그 접속부(2)를 통해 전자 제품으로 공급되어 플러그가 전혀 다르게 형성된 국가에서도 국산 전자제품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플러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의 외측면으로 다수의 플러그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된 플러그에 의해 휴대하기가 매우 불편하고, 사용시에도 돌출된 플러그 때문에 인접한 콘센트에는 다른 플러그를 사용할 없게 되어 매우 비효율적으로 콘센트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플러그는 다수의 플러그가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구조이므로 제품의 부피가 매우 커지게 되고, 구조가 복잡해져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 생산단가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스 내부에 별도의 접속편 수납통을 형성하고, 이 접속편 수납통의 내부에 날형 접속편과 원형 접속편을 서로 택일적으로 출몰되도록 설치하되, 날형 접속편은 돌출된 상태에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날형 접속편의 출몰 및 회전 각도 또는 원형 접속편의 출몰 여부에 따라 단자의 모양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타국에서도 플러그의 모양에 관계없이 전자제품을 사용할 있고, 구성의 단순화로 사용이 편리함은 물론 부피의 감소로 생산성 향상 및 생산단가 감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플러그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 플러그는 선단에 콘센트에 삽입되는 날형 접속부가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날형 접속편; 상기 각각의 날형 접속부를 돌출시킨 채로 상기 날형 접속편을 감쌓는 적어도 두 개의 접속편 수납통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접속편 수납통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좌우로 유동될 수 있도록 감쌓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한 전기 플러그는 선단에 콘센트에 삽입되는 날형 접속부가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날형 접속편; 상기 각각의 날형 접속부가 돌출된 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날형 접속편을 감쌓는 적어도 두 개의 접속편 수납통 및 상기 접속편 수납통을 감쌓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어느 하나의 접속편 수납통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감쌓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한 전기 플러그는 선단에서부터 몸통의 적소에 이르는 부위가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며, 상기 선단에 콘센트에 삽입되는 원형 접속부가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원형 접속편; 각각이 상기 원형 접속편의 상기 절개 부위에 삽입되며, 선단에 콘센트에 삽입되는 날형 접속부가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날형 접속편; 상기 각각의 날형 접속편이 삽입된 각각의 원형 접속편을 감쌓는 적어도 두 개의 접속편 수납통; 상기 각각의 원형 접속부 및 상기 각각의 날형 접속부를 상기 각각의 접속편 수납통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출납시키는 접속편 출납 작동 수단 및 상기 접속편 출납 작동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날형 접속부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접속편 수납통의 간격을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좌우로 이동시키는 접속편 이동 수단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 플러그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러그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러그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러그의 동작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적용된 원형 접속편과 날형 접속편의 작동관계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날형 접속편이 돌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동작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러그에 의해 구현 가능한 여러 가지 모양의 단자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러그에서 날형 접속편이 돌출된 후 고정된 상태에서의 횡단면도,
도 10은 도 9에서 A-A선을 취하여 본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러그에서 원형 접속편이 돌출된 후 고정된 상태에서의 횡단면도,
도 12는 도 11에서 B-B선을 치하여 본 종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러그에서 날형 접속편이 돌출된 시점에서 이를 접속편 수납통의 접속편 출납공과 연관시켜 보인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서 C-C선을 절취하여 본 종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러그에서 원형 접속편이 돌출된 시점에서 이를 접속편 수납통의 접속편 출납공과 연관시켜 보인 사시도,
도 16은 도 9에서 날형편 출납 작동체를 보인 사시도,
도 17은 도 11에서 원형편 출납 작동체를 보인 사시도,
도 18은 도 12에서 도치된 상태의 접속편 수납통의 후단을 일부 절취하여 본 사시도,
도 19는 도 12에서 접속편 선택 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러그의 배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러그에 의해 구현 가능한 여러 날형 접속편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케이스, 111 : 안내용 장공,
112 : 가이드홈, 120a,120b : 접속편 수납통,
121 : 손잡이, 122 : 개방홀,
130a,130b : 날형 접속편, 131 : 연장봉,
132 : 지지판, 133 : 누름부,
134 : 스프링, 135 : 걸림홈,
140a,140b : 원형 접속편, 141 : 가이드봉,
142 : 스프링, 143 : 걸림턱,
200 : 케이스, 201 : 상부 케이스,
202 : 하부 케이스, 203 : 고정홈,
204 : 안내용 장공, 205 : 도선 인출공,
206 : 고정 부시, 207 : 안내용 장공,
210 : 접속편 수납통, 211 : 접속편 출납공,
212 : 출납 허용홈, 213: 걸림테,
214 : 전도 통체, 215 : 위치 고정핀,
216 : 안내용 장공, 217 : 테이퍼부,
218 : 마개, 218a : 관통홈,
219 : 연결편,
230 : 원형 접속편, 231 : 원형 접속부,
232 : 테이퍼부, 233 : 원형 통체,
233a : 무홈면, 233b : 유홈면,
234 : 스프링 지지부, 235,236 : 위치 고정홈,
237 : 중앙 절개부, 238 : 스프링,
239 : 걸이홈,
250 : 날형 접속편, 251 : 날형 접속부,
253 : 테이퍼면, 254 : 뿌리부,
255 : 위치 고정홈, 256 : 연장봉,
257 : 걸림 돌기, 258 : 스프링,
260 : 날형편 출납 작동체,
261 : 수직판, 262 : 수평판,
263, 264 : 연장봉 삽입홈, 265 : 연장봉 이동홈,
266 : 걸림턱, 267 : 당김편 통과홈,
270 : 원형편 출납 작동체, 271 : 걸쇠,
272 : 걸쇠 삽입홈, 276 : 걸림턱,
277 : 당김편 통과홈, 280 : 접속편 선택 부재,
281 : 당김편, 282 : 조작 노브,
290 : 이송 레버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러그는 크게 케이스(110), 접속편 수납통(120a),(120b), 원형 접속편(140a),(140b), 날형 접속편(130a),(130b), 지지판(132)으로 구성된다.
케이스(110)는 본 발명의 전기 플러그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서, 이 케이스(110)의 전면 일측에는 장방향의 안내용 장공(111)이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110)의 양측면 후단에는 후술하는 지지판(132)의 누름부(133)가 전후진 하기 위한 일정 길이의 가이드홈(112)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접속편 수납통(120a),(120b)에는 그 내부에 원형 접속편(140a),(140b)과 날형 접속편(130a,130b)이 수납되는데, 이 접속편 수납통(120a),(120b)은 내부가 비어있는 관형태로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몸체의 대부분은 케이스(110)의 내부에 존재하고, 선단부의 일정 부분만이 케이스(110)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접속편 수납통(120a),(120b)의 전면에는 원형의 개방홀(122)이 각각 형성되는데, 이 개방홀(122)을 통해 원형 접속편(140a),(140b)과 날형 접속편(130a),(130b)이 출몰하게 된다.
원형 접속편(140a),(140b)은 접속편 수납통(120a),(120b)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원형 단자를 이루는 것으로서, 이 원형 접속편(140a),(140b)은 반원형의 몸체가 서로 맞대어져 원형 단자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원형 접속편(140a),(140b)의 선단부에는 후술하는 날형 접속편(130a),(130b)의 걸림홈(135)이 걸리기 위한 걸림턱(14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형 접속편(140a),(140b)의 후단으로는 접속편 수납통(120a),(120b)내에서 전후진 하도록 된 가이드봉(141)이 형성되는데, 이 가이드봉(141)은 접속편 수납통(120a),(120b)내에서 스프링(142)에 탄지된 상태로 원형 접속편(140a),(140b)을 지지하게 되므로, 원형 접속편(140a),(140b)은 개방홀(122)이 막히지 않는 이상 상기 스프링(142)의 탄성에 의해 전진하여 도 3과 같이 접속편 수납통(120a),(120b) 밖으로 돌출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 날형 접속편(130a),(130b)은 칼날형의 단자를 이루는 것으로서, 날형 접속편(130a),(130b)의 몸체부분이 원형 접속편(140a),(140b)과 가이드봉(141)의 내부에 삽입되며, 날형 접속편(130a),(130b)의 후단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연장봉(131)의 끝부분이 후술하는 지지판(132)에 결합되어 있으며, 연장봉(131)의 외주면에는 날형 접속편(130a),(130b)을 접속편 수납통(120a),(120b) 밖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을 가하는 스프링(134)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날형 접속편(130a),(130b)은 사용자가 원형 접속편(140a),(140b)을 손으로 밀어 넣어서 개방홀(122)이 어느 정도 열리게 될 때 상기 스프링(134)의 탄성에 의해 전면으로 튕겨 나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날형 접속편(130a),(130b)의 몸체 중간부분에는 날형 접속편(130a),(130b)이 전진하였을 때 뒤로 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걸림홈(135)이 형성되어 있다.
즉, 날형 접속편(130a),(130b)이 전진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날형 접속편(130a),(130b)을 손으로 잡고 살짝 돌려주면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걸림홈(135)이 원형 접속편(140a),(140b)의 걸림턱(143)에 걸리면서 날형 접속편(130a),(130b)은 더 이상 뒤로 후퇴하지 않게 되므로 날형 접속편(130a),(130b)을 콘센트에 꽂아 쓰는데 아무런 이상이 없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날형 접속편(130a),(130b)을 회전시키는 각도에 따라 도 8의 (가)(나)(다)와 같이 다양한 모양의 단자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32)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날형 접속편(130a),(130b)의 연장봉(131)이 결합 지지되는 것으로서, 전체적인 단면 형상이 날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양측에 형성된 누름부(133)가 케이스(110)의 양측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누름부(133)를 손으로 잡고 당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날형 접속편(130a),(130b)이 접속편 수납통(120a),(120b) 전면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누름부(133)를 책상면 등에 대고 누르게 되면 지지판(132)과 함께 연장봉(131)이 후퇴하게 되므로 날형 접속편(130a),(130b)이 접속편 수납통(120a),(120b) 내부로 후퇴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원형 접속편(140a),(140b)이 스프링(142)의 탄성에 의해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접속편 수납통(120a),(120b)간의 거리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용 장공(111)에 삽입되어 있는 접속편 수납통(120a)의 일측에 케이스(110)의 측면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121)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21)를 잡아당김에 따라 일측의 접속편 수납통(120a)이 안내용 장공(111) 내에서 좌우로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일측의 접속편 수납통(120a)이 좌우로 움직이게 되면 콘센트에 형성되어 있는 플러그 삽입공의 간격이 크거나 작음에 관계없이 원형 접속편(140a),(140b) 또는 날형 접속편(130a),(130b)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와 같은 상태는 날형 접속편(130a),(130b)이 접속편 수납통(120a),(120b) 내부에 들어가 있고, 원형 접속편(140a),(140b)이 접속편 수납통(120a),(120b)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날형 접속편(130a),(130b)이 접속편 수납통(120a),(120b) 밖으로 돌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돌출되어 있는 원형 접속편(140a),(140b)을 책상 등에 대고 누르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원형 접속편(140a),(140b)이 접속편 수납통(120a),(120b) 내부로 완전히 진입하게 되면, 개방홀(122)이 열리면서 날형 접속편(130a),(130b)이 튕겨나갈 수 있는 공간이 개방홀(122)에 생기게 되고, 이때 날형 접속편(130a),(130b)이 스프링(134)의 탄성에 의해 전진하여 도 4와 같이 접속편 수납통(120a),(120b) 밖으로 전진하게 된다.
날형 접속편(130a),(130b)이 전진하면, 사용자는 날형 접속편(130a),(130b)을 손으로 잡고 일정 각도 살짝 회전시켜 걸림홈(135)이 걸림턱(143)에 걸리도록 하여 날형 접속편(130a),(130b)이 후퇴하지 않도록 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날형 접속편(130a),(130b)을 날형 단자로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날형 접속편(130a),(130b)이 전진한 상태에서 날형 접속편(130a),(130b)을 회전시키는 각도에 따라 도 8의 (가)(나)(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모양의 단자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설명과 같이 돌출되어 있는 날형 접속편(130a),(130b)을 접속편 수납통(120a),(120b) 내부로 후퇴시키고, 접속편 수납통(120a),(120b) 내부에 존재하는 원형 접속편(140a),(140b)을 전진시키기 위해서는 케이스(110)의 양측면에 돌출되어 있는 누름부(133)를 손으로 잡고 뒤로 당겨준다.
상기 누름부(133)를 뒤로 당겨주면, 연장봉(131)이 지지판(132)을 따라 후퇴하게 되므로 원형 접속편(140a),(140b) 역시 접속편 수납통(120a),(120b) 내부로 완전히 후퇴하게 되고, 상기 원형 접속편(140a),(140b)이 개방홀(122)을 통과하여 접속편 수납통(120a),(120b) 내부로 완전히 진입하면 개방홀(122)이 개방되면서 원형 접속편(140a),(140b)이 스프링(142)의 탄성에 의해 탄발되어 접속편 수납통(120a),(120b)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원형의 단자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러그에서 날형 접속편이 돌출된 후 고정된 상태에서의 횡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 A-A선을 취하여 본 종단면도이다.
먼저,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러그는 크게 케이스(200), 케이스(200) 내부에서 좌우로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접속편 수납통(210), 각각의 접속편 수납통(210)에 수납된 채로 일부가 출납되는 한 쌍의 날형 접속편(250)(이하, 간단히 '날형편'이라고도 한다), 각각의 접속편 수납통(210)에 수납된 채로 일부가 출납되는 한 쌍의 원형 접속편(230)(이하, 간단히 '원형편'이라고도 한다), 날형편(250)의 출납에 관계하는 날형편 출납 작동체(260), 원형편(230)의 출납에 관계하는 원형편 출납 작동체(270), 돌출 접속편 선택 부재(280) 및 접속편 선택 부재(280)를 전후로 이송시키는 이송 레버(29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케이스(200)는 상부 케이스(201)와 하부 케이스(20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케이스(200)의 적소, 예를 들어 후단면에는 외부 도선(미도시)과 연결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도선이 인출되는 도선 인출공(205)이 형성되어 있다. 도선 인출공(205)에는 인출된 도선이 외력에 의해 쉽게 빠지지 않도록 잡아주는 고정 부시(206)가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게 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러그의 배면도이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202)의 하측면 적소의 길이 방향에는 후술하는 당김편의 이동을 안내 및 제한하는 안내용 장공(207)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200)의 전면에도 폭방향으로 안내용 장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접속편(230),(25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각각의 접속편 수납통(210)은 양측이 길이 방향으로 개방된 중공체로서 케이스(200)의 좌우에 배치되는데, 좌측의 접속편 수납통(210)(도 9에서 아래에 도시된 접속편 수납통)은 케이스(200)에 고정적으로 배치되고, 우측의 접속편 수납통(210)은 접속편(230),(250)의 간격 조절을 위해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를 위해 하부 케이스(201)에는 고정홈(203)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접하는 위치의 우측의 접속편 수납통(210)에는 고정 돌기(219a)가 형성되어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러그에서 날형 접속편이 돌출된 시점에서 이를 접속편 수납통의 접속편 출납공과 연관시켜 보인 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편 출납공(211)은 원형편(230) 및 날형편(250)의 출납을 허용하는 출납 허용홈(212)과 이러한 출납 허용홈(212)의 단부에 연하여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테(213)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출납 허용홈(212)과 걸림테(213)의 형성 각도는 날형편(250)의 고정 각도와 관련하여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걸림테(213)는 후방의 일부분은 직경이 넓어지는 테이펴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이러한 테이퍼부(217)에 의해 콘센트에 접속시 날형편(250)이 후퇴하지 않고 고정된다.
각각의 접속편 수납통(210)의 중공부의 상단에는 접속편 수납통(210)을 좌우로 관통하는 위치 고정핀(215)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위치 고정핀(215)은 후술하는 위치 고정홈과 상호 작용하여 원형편(230)을 그 돌출(전진) 위치 및 수납(후진) 위치에서 각각 고정시키게 된다. 각각의 접속편 수납통(210)의 후반부에는 각각의 접속편(230),(250)과 접하여 전기 통로를 형성하도록, 바람직하게는 동으로 이루어진 전도 통체(214)가 압입되어 있다.
도 18은 도 12에서 도치된 상태의 접속편 수납통의 후단을 일부 절취하여 본 사시도이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접속편 수납통(210)의 하부에는 원형편(230)을 잡고 전,후진시키는 걸쇠(271)의 이동을 안내 및 제한하는 안내용 장공(216)이 형성되어 있다. 참조 부호 218은 각각의 접속편 수납통(210)의 후단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스프링의 후면을 지지하는 마개를 나타내고, 218a는 후술하는 연장봉이 넣어지는 연장봉 관통홈을 나타내고, 219는 마개(218)와 전도 통체(214) 사이에 개재되는 도선 연결편을 나타내는 바, 이러한 연결편(219)에 도선이 연결된 채로 고정 부시(206)를 관통하여 케이스(200)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날형 접속편(250)은 구조 또는 기능적으로 콘센트의 수납편에 삽입된 채로 접속되는 날형 접속부(251)와 날형 접속부(251)의 양측 두께면에서 폭 방향으로 패여져서 날형 접속부(251)의 돌출시에 접속편 수납통(210)의 걸림테(213)와의 상호 작용으로 날형편(250)이 후퇴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홈(255)이 형성되어 있다. 위치 고정홈(255)의 후단에는 날형 접속부(251)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커서 날형편(250)이 접속편 수납통(210)의 전방으로 필요 이상 빠져나가지 못하게 기능하는 테이퍼면(253)이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면(253)의 후단에는 날형 접속부(251)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워서 날형편(250)이 원형편(230)의 중앙 절개부(237)에서 상하로 유동되지 못하도록 기능하는 뿌리부(254)가 형성되어 있으며, 뿌리부(254)의 후단에는 연장봉(256)이 형성되어 있고, 연장봉(256)의 후단에는 걸림 돌기(257)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장봉(256)의 일부분에는 외측으로 스프링(258)이 끼워진다.
도 16은 도 9에서 날형편 출납 작동체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형편 출납 작동체(260)는 크게 수직판(261)과 수직판(261)의 단부에서 연장되는 수평판(262)으로 이루어진다. 수직판(262)의 좌,우반부의 적소에는 각각 좌우측 연장봉(256)이 삽입되는 연장봉 삽입홈(264),(263)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좌반부의 연장봉 삽입홈(264)에 수평 방향으로 연통하여 연장봉 이동홈(265)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266은 후술하는 당김편이 걸리는 당김편 걸림턱을 나타내고, 267은 당김편이 이동되는 당김편 통과홈을 각각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러그에서 원형 접속편이 돌출된 후 고정된 상태에서의 횡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서 B-B선을 치하여 본 종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러그에서 원형 접속편이 돌출된 시점에서 이를 접속편 수납통의 접속편 출납공과 연관시켜 보인 사시도이다. 도 11, 도 12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접속편(230)은 콘센트의 수납편에 삽입된 채로 접속되는 원형 접속부(231)와 원형 접속부(231)의 돌출시에 원형편(230)의 나머지 부분이 접속편 수납통(2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원형 접속부(231)의 후단으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부(232), 테이퍼부(232)의 후단에 형성되며 중앙에 날형편(250)이 개재된 채로 이동될 수 있도록 중앙의 양면이 절개된 중공의 원형 통체(233) 및 원형 통체(233)에서 연장되며 외력의 제거 시에 인장되어 원형 접속부(231)를 접속편 수납통(210) 밖으로 밀어내는 스프링(238) 및 스프링(238)을 내측에서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234)로 이루어진다.
다시 원형 접속부(231)는 전방에서 볼 때 각각의 단면이 대략적으로 반원형인 선단이 횡으로 갈라진 채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다. 원형 통체(233)의 선단부 및 후단부의 외주면에는 각각 접속편 수납통(210)에 설치된 위치 고정핀(215)과 상호 작용하여 원형편(230)을 그 돌출(전진) 위치 및 수납(후진)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소정 깊이의 위치 고정홈(235),(23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3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통체의 전진 위치 고정홈(236)과 후진 위치 고정홈(235) 사이의 일부 외주면에는 각각의 위치 고정홈(236),(235)의 깊이까지 패여져서 이루어지는 무홈면(233a)이 형성되어 있는 바, 결과적으로 원형편(230)은 이러한 무홈면(233a)이 위치 고정핀(215)에 면하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출납되고, 이렇게 출납된 원형편(230)은 다시 유홈면(233b)(무홈면(233a)과 상대되는 개념으로 사용한다)이 위치 고정핀(215)에 면하도록 회전됨으로써 후퇴하지 못하도록 고정된다. 전진 위치 고정홈(236)의 후측의 외주면에는 걸쇠(271)의 상단이 삽입되는 걸이홈(239)이 형성되어 있다.
도 17은 도 11에서 원형편 출납 작동체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편 출납 작동체(270)는 그 선단부를 좌우로 가로질러 걸쇠(271)의 하단이 삽입되는 걸쇠 삽입홈(272)이 형성되어 있고, 길이 방향으로는 당김편이 통과하는 당김편 통과홈(277)이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276은 당김편이 걸리는 당김편 걸림턱을 나타낸다.
도 19는 도 12에서 접속편 선택 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편 선택 부재(280)는 각각의 접속편 출납 작동체(260),(270)의 걸림턱(266),(276)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4반 원통체 형상의 당김편(281)과 하부 케이스(202) 밖으로 노출되어 당김편(281)이 각각의 출납 작동체(260),(270)의 걸림턱(266),(276)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회전시키는 조작 노브(282)로 이루어진다. 물론, 당김편(281)이 4반 원통체로 형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선택적 걸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0에서 미설명 부호 290은 하부 케이스(202)의 안내용 장공(207)에 억지끼움되며 접속편 선택 부재(280)를 지지한 채로 이송시키는 이송 레버를 나타낸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러그에 의해 구현 가능한 여러 날형 접속편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200)의 전면에는 좌측 접속편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안내용 장공(20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날형편(250)이 역팔자(逆八字) 형상이 될 수 있도록 좌,우측 접속편 수납통(250)의 출납 허용홈(212)이 수직축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도 실선, 일점 쇄선 및 이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날형 접속편(250)의 각도가 도 8에 도시한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고정될 수 있음을 알 수가 있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러그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형편(250)이 돌출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날형편(250)을 접속편수납통(210)에 수납시킴과 더불어 원형편(230)을 돌출시키기 위해서는 각각의 날형편(250)의 날형 접속부(251)를 손으로 잡고 도 20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출납 허용홈(212)에 위치하도록 회전시켜야 한다. 다음으로, 이송 레버(290)를 충분히 전진시킨 상태에서 당김편(281)이 날형편 출납 작동체(260)의 걸림턱(266)에 걸릴 수 있도록 조작 노브(282)를 조작하여 당김편(281)을 도 10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시켜야 한다. 다음으로, 이송 레버(290)를 후진시키게 되는데, 이송 레버(290)가 후진함에 따라 이에 연결된 당김편(282)에 걸림턱(266)이 걸려서 날형편 출납 작동체(250)가 후진하게 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날형 접속부(251)의 선단이 원형편(230)의 중앙 절개부(237)에 수납됨과 동시에 날형편(250)에 의해 원형편(230)에 좌우로 가해지던 압력이 순간적으로 제거됨으로써 스프링(238)의 인장력에 의해 원형편(250)이 원형편 출납 작동체(270)를 매단 채로 접속편 수납통(210) 밖을 향하여 전진하게 되는데, 물론 이 상태에서 위치 고정핀(215)에는 원형 통체(233)의 무홈면(233a)이 면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원형편(230)의 원형 접속부(231)가 완전히 돌출된 상태에서 원형 통체(233)의 유홈면(233b)이 위치 고정핀(215)에 면하도록 원형편(230)을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면 원형편(230)이 그 전지 위치에서 후퇴하지 않도록 고정됨으로써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상태와 같이 된다.
다시, 이 상태에서 원형편(230)을 접속편 수납통(210)에 수납시킴과 더불어 날형편(250)을 돌출시키기 위해서는 각각의 원형편(230)의 원형 접속부(2510)를 손으로 잡고 무홈면(233a)이 위치 고정핀(215)에 면하도록 회전시켜야 한다. 다음으로, 이송 레버(290)를 충분히 전진시킨 상태에서 당김편(281)이 원형편 출납 작동체(270)의 걸림턱(276)에 걸릴 수 있도록 조작 노브(282)를 조작하여 당김편(281)을 도 11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시켜야 한다. 다음으로, 이송 레버(290)를 후진시키게 되는데, 이송 레버(290)가 후진함에 따라 이에 연결된 당김편(281)에 걸림턱(276)이 걸려서 원형편 출납 작동체(270)가 후진하게 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원형 접속부(231)의 선단이 접속편 수납통(210)의 걸림테(213) 내부로 수납되는 시점을 전후하여 원형편(230)에 의해 날형편(250)에 가해진 압착력이 순간적으로 제거됨으로써 스프링(258)의 인장력에 의해 날형편(250)이 날형편 출납 작동체(260)를 매단 채로 접속편 수납통(210) 밖을 향하여 전진하게 된다. 물론 이 상태에서 날형 접속부(250)의 양단은 도 21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출납 허용홈(212)에 면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날형편(250)의 날형 접속부(251)가 완전히 돌출된 상태에서 도 21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되도록, 즉 날형편(250)의 위치 고정홈(255)이 걸림테(213)에 걸리도록 각각의 날형편(250)을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면 날형편(250)이 그 전지 위치에서 후퇴하지 않게 고정됨으로써 다시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날형편(250)의 각도를 일점 쇄선 및 이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시키는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동작될 수 있다. 더욱이, 전술한 구성을 갖는 원형 접속편(230) 및 날형 접속편(250)은 전술한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적절하게 분리된 개체들이 조립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플러그의 사용 태양과 관련하여 예를 들어 각종 전기 기기의 제조 시에 도선에 직접 연결된 채로 판매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 플러그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형 접속편만을 구비한 채로 회전 각도를 조정하는 형태로만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고, 원형 접속편만을 구비한 채로 간격만을 조절하는 형태로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스 내부에 별도의 접속편 수납통을 형성하고, 이 접속편 수납통의 내부에 날형 접속편과 원형의 원형 접속편을 서로 엇갈리게 출몰되도록 설치하되, 날형 접속편은 돌출된 상태에서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날형 접속편의 출몰 및 회전 각도 또는 원형 접속편의 출몰 여부에 따라 단자의 모양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타국에서도 플러그의 모양에 관계없이 전자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구성의 단순화로 사용이 편리함을 물론 부피의 감소로 생산성 향상 및 생산단가 감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플러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선단에 콘센트에 삽입되는 날형 접속부가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날형 접속편;
    상기 각각의 날형 접속부를 돌출시킨 채로 상기 날형 접속편을 감쌓는 적어도 두 개의 접속편 수납통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접속편 수납통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좌우로 유동될 수 있도록 감쌓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기 플러그.
  2. 선단에 콘센트에 삽입되는 날형 접속부가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날형 접속편;
    상기 각각의 날형 접속부가 돌출된 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날형 접속편을 감쌓는 적어도 두 개의 접속편 수납통 및
    상기 접속편 수납통을 감쌓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기 플러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어느 하나의 접속편 수납통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감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4. 선단에서부터 몸통의 적소에 이르는 부위가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며, 상기 선단에 콘센트에 삽입되는 원형 접속부가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원형 접속편;
    각각이 상기 원형 접속편의 상기 절개 부위에 삽입되며, 선단에 콘센트에 삽입되는 날형 접속부가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날형 접속편;
    상기 각각의 날형 접속편이 삽입된 각각의 원형 접속편을 감쌓는 적어도 두 개의 접속편 수납통;
    상기 각각의 원형 접속부 및 상기 각각의 날형 접속부를 상기 각각의 접속편 수납통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출납시키는 접속편 출납 작동 수단 및
    상기 접속편 출납 작동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기 플러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날형 접속부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편 수납통의 간격을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좌우로 이동시키는 접속편 이동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KR10-2000-0036123A 2000-02-15 2000-06-28 전기 플러그 KR100401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6123A KR100401302B1 (ko) 2000-02-15 2000-06-28 전기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07053 2000-02-15
KR1020000007053 2000-02-15
KR10-2000-0036123A KR100401302B1 (ko) 2000-02-15 2000-06-28 전기 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334A true KR20000063334A (ko) 2000-11-06
KR100401302B1 KR100401302B1 (ko) 2003-10-10

Family

ID=26637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6123A KR100401302B1 (ko) 2000-02-15 2000-06-28 전기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13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480B1 (ko) * 2006-12-28 2009-07-21 엑스와이지 사이언스 코퍼레이션 리미티드 커넥터용 어댑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271Y1 (ko) * 1983-06-29 1985-06-19 임현규 110v/220v겸용 출입식 플러그
GB8403294D0 (en) * 1984-02-08 1984-03-14 Rumble C S J Electrical connectors
KR900004071Y1 (ko) * 1987-11-10 1990-05-08 오태준 슬라이드식 110v/220v 겸용 플럭
KR910007978Y1 (ko) * 1989-10-31 1991-10-10 주식회사 매너티 110v/220v 겸용 자동전압 절환플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480B1 (ko) * 2006-12-28 2009-07-21 엑스와이지 사이언스 코퍼레이션 리미티드 커넥터용 어댑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1302B1 (ko) 200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14844B1 (en) Steckverbinder mit einer verbesserten Kabelzugentlastung
US5700150A (en) Electrical outlet type extension cord reel with auxiliary outlet
US20080102686A1 (en) Cap, a Termination Assembly and a Housing Assembly for a Modular Telecom Connection Jack
US3757273A (en) Like adaptor for current collectors for lights electric appliances or the
CN105637708B (zh) 电气的接线端子
US4148540A (en) Electrical coupling devices
DE19649705A1 (de) Verbindungsvorrichtung mit einem magnetischen Verriegelungsmechanismus
JP2009503783A (ja) 接続支援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組立体
WO1993005552A1 (en) Electrical adaptor
EP2473430B1 (en) Device and method for storing an electricity cable
KR101839090B1 (ko) 기중차단기의 배전반 도어 록 장치
PT706234E (pt) Terminal de ligacao
CA2663430A1 (en) Lockout device
CA3206739A1 (en) Coupler connector and cable terminator with side contacts
JP2023504116A (ja) バネを搭載した導電体用端子
US20150222028A1 (en) Contacting device of an electric plug-in connector
ES2528017T3 (es) Herramienta de terminación
US3995358A (en) Applicator tool for multi-conductor connector
KR100401302B1 (ko) 전기 플러그
US3894783A (en) Spring grip contact assembly
JPH08306265A (ja) ブレーカスイッチ
GB2223132A (en) Improved rewirable plug
AU613146B2 (en) Tool for connecting cable wires
JP4288219B2 (ja) 電気的な端子
US6010356A (en) Quick wire electrical socket with strain relie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