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0680A - 공조용 히터 및 에어컨 유니트 구조 - Google Patents

공조용 히터 및 에어컨 유니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0680A
KR20000060680A KR1019990009215A KR19990009215A KR20000060680A KR 20000060680 A KR20000060680 A KR 20000060680A KR 1019990009215 A KR1019990009215 A KR 1019990009215A KR 19990009215 A KR19990009215 A KR 19990009215A KR 20000060680 A KR20000060680 A KR 20000060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scharge
damper
chambe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9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0967B1 (ko
Inventor
문지현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90009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0967B1/ko
Publication of KR20000060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0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9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공조용 히터 및 에어콘 유니트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공기가 유입되는 외기 및 내기유입구를 갖는 유입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공기가 배출되는 제 1배출구와 제 2 배출구와 제 3 배출구를 갖는 배출부가 형성된 U형상의 케이스 내부에 격벽이 설치되어 제 1 연통구와 제 2 연통구에 의해 서로 연통되는 제 1 쳄버와 제 2 쳄버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부에는 상기 외기 및 내기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내외기댐퍼 및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이 설치되며, 상기 제 2 쳄버의 내부에는 공기의 온도를 냉각시키는 증발코어 및 공기를 온도를 상승시키는 히터코어가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배출부에는 제 1 배출구와 제 2 배출구를 각각 개폐하는 제 1 배출댐퍼와 제 2 배출댐퍼가 설치되며, 상기 격벽의 일측에는 유입부를 지난 공기를 선택적으로 제 1 쳄버와 제 2 쳄버로 유입되도록 하는 에어댐퍼가 설치되고, 상기 격벽의 타측에는 제 2 쳄버를 지난 공기가 제 3 배출구나 배출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 3 배출댐퍼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공조용 히터 및 에어컨 유니트 구조{Structure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조용 히터 및 에어콘 유니트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공조기의 블로워부, 냉각부, 히터부를 일체형 케이스로 제작하여 공기의 누출을 방지함은 물론 제품의 크기 및 제작비를 축소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공조용 히터 및 에어콘 유니트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공조용 히터 및 에어콘 유니트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11)의 내부에 회동되게 설치된 제 1 댐퍼(12)의 회동에 따라 외기 또는 내기가 선택적으로 흡입되어 송풍팬(13)에 의해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브로워부(10)와, 상기 브로워부(10)에서 배출된 공기의 온도를 증발시켜 차거워진 공기를 배출하도록 제 2 케이스(21)의 내부에 증발코어(22)가 설치된 냉각부(20)와, 상기 냉각부(20)를 지난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켜 뜨거운 공기를 배출하도록 제 3 케이스(31)의 내부에 히터(32)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증발코어(22) 또는 히터(32)에 의해 차가워지거나 뜨거워진 공기를 자동차 실내의 창측이나 바닥이나 원드실드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흐르도록 제어하는 다수의 배출댐퍼(33)가 설치된 히터부(30)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브로워부(10)로 유입된 공기는 냉각부(20)와 히터부(30)를 거치며 차가워지거나 또는 뜨거워지도록 온도 조절된 다음 히터부(30)의 배출댐퍼(33)에 의해 자동차 실내의 전방이나 바닥이나 창측 등으로 선택적으로 배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공조용 히터 및 에어콘 유니트구조는 브로워부(10)의 제 1 케이스(11)와 냉각부(20)의 제 2 케이스(21)와 히터부(30)의 제 3 케이스(31)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덕트를 이루게 됨으로 그 부피가 커 자동차 실내의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되고, 자동차의 운행시 차체의 진동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기 제 1 케이스(11)와 제 2 케이스(21)와 제 3 케이스(31)의 이음부분으로 공기의 누출이 발생될 수 있으며, 운전자의 사양에 의해 에어콘의 미장착시에는 증발코어(22)가 생략되거나 상기 증발코어(22)가 설치되는 제 2 케이스(21)가 삭제됨으로 그 대용으로 조인트덕트와 같은 연결구가 별도로 필요하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공조기의 브로워부, 냉각부, 히터부를 일체형 케이스로 제작하여 공기의 누출을 방지함은 물론 제품의 크기 및 제작비를 축소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공조용 히터 및 에어콘 유니트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일측에 공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구와 내기유입구를 갖는 유입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공기가 배출되는 제 1배출구와 제 2 배출구와 제 3 배출구를 갖는 배출부가 형성된 U형상의 케이스 내부에 격벽이 설치되어 제 1 연통구와 제 2 연통구에 의해 서로 연통되는 제 1 쳄버와 제 2 쳄버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부에는 상기 외기유입구 및 내기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내외기댐퍼 및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이 설치되며, 상기 제 2 쳄버의 내부에는 공기의 온도를 냉각시키는 증발코어 및 공기를 온도를 상승시키는 히터코어가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배출부에는 제 1 배출구와 제 2 배출구를 각각 개폐하는 제 1 배출댐퍼와 제 2 배출댐퍼가 설치되며, 상기 격벽의 일측에는 유입부를 지난 공기를 선택적으로 제 1 쳄버와 제 2 쳄버로 유입되도록 하는 에어댐퍼가 설치되고, 상기 격벽의 타측에는 제 2 쳄버를 지난 공기가 제 3 배출구나 배출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 3 배출댐퍼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용 히터 및 에어콘 유니트구조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공조용 히터 및 에어콘 유니트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조용 히터 및 에어콘 유니트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케이스101 : 제 1 연통구
102 : 제 2 연통구103 : 외기유입구
104 : 내기유입구105 : 제 1 배출구
106 : 제 2 배출구107 : 제 3 배출구
110 : 유입부120 : 배출부
130 : 제 1 쳄버140 : 제 2 쳄버
150 : 격벽210 : 내외기댐퍼
220 : 제 1 배출댐퍼230 : 제 2 배출댐퍼
240 : 제 3 배출댐퍼250 : 에어댐퍼
300 : 송풍팬400 : 증발코어
500 : 히터코어
이하 본 발명인 공조용 히터 및 에어콘 유니트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조용 히터 및 에어콘 유니트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조용 히터 및 에어콘 유니트구조는 일측에 공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구(103)와 내기유입구(104)를 갖는 유입부(110)가 형성되고 타측에 공기가 배출되는 제 1 배출구(105)와 제 2 배출구(106)와 제 3 배출구(107)를 갖는 배출부(120)가 형성된 U형상의 케이스(100) 내부에 격벽(150)이 설치되어 제 1 연통구(101)와 제 2 연통구(102)에 의해 서로 연통되는 제 1 쳄버(130)와 제 2 쳄버(140)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부(110)에는 상기 외기유입구(103) 및 내기유입구(10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내외기댐퍼(210) 및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300)이 설치되며, 상기 제 2 쳄버(140)의 내부에는 공기의 온도를 냉각시키는 증발코어(400) 및 공기를 온도를 상승시키는 히터코어(500)가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배출부(120)에는 제 1 배출구(105)와 제 2 배출구(106)를 각각 개폐하는 제 1 배출댐퍼(220)와 제 2 배출댐퍼(230)가 설치되며, 상기 격벽(150)의 일측에는 유입부(110)를 지난 공기를 선택적으로 제 1 쳄버(130)와 제 2 쳄버(140)로 유입되도록 하는 에어댐퍼(250)가 설치되고, 상기 격벽(150)의 타측에는 제 2 쳄버(140)를 지난 공기가 제 3 배출구(107)나 배출부(120)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 3 배출댐퍼(24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내외기댐퍼(210)와 에어댐퍼(250)와 제 1 배출댐퍼(220)와 제 2 배출댐퍼(230)와 제 3 배출댐퍼(240)는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일단이 케이스(100)에 힌지(211)(251)(221)(231)(241)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100)의 유입부(110)에는 송풍팬(300)을 회전시키는 모터(310)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공조용 히터 및 에어콘 유니트구조는 내외기댐퍼(210)에 의해 외부공기와 자동차 실내의 공기가 선택적으로 케이스(100)의 유입부(110)에 유입된 후 모터(310)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팬(300)에 의해 제 1 쳄버(130) 또는 제 2 쳄버(140)로 진입되는데 이때, 상기 에어댐퍼(250)가 상기 유입부(110)로 유입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
이후 상기 에어댐퍼(250)가 제 1 연통구(101)를 밀폐하면 상기 송풍팬(30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제 1 쳄버(130)를 지나며 온도가 변화되지 않은 상태로 케이스(100)의 배출부(120)로 유입되고, 상기 배출부(120)로 유입된 공기는 제 1 배출댐퍼(220)와 제 2 배출댐퍼(230)와 제 3 배출댐퍼(240)의 회동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 1 배출구(105) 또는 제 2 배출구(106) 또는 제 3 배출구(10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에어댐퍼(250)가 제 1 쳄버(130)를 밀폐하면, 상기 송풍팬(30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제 2 쳄버(140)의 지나며 제 2 쳄버(140)에 설치된 증발코어(400) 또는 히터코어(500)에 의해 선택적의 공기의 온도가 차거워지거나 또는 뜨거워진 상태로 변화된 다음, 케이스(100)의 배출부(120)로 유입되는데 이때, 상기 제 3 배출댐퍼(240)가 제 2 쳄버(140)를 밀패한 상태라면 제 2 쳄버(140)를 지나며 온도가 변화된 공기가 제 3 배출구(10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제 3 배출댐퍼(240)가 제 3 배출구(107)를 밀폐한 상태라면 상기 제 2 쳄버(140)를 지나며 온도 변화된 공기가 제 1 배출댐퍼(220) 및 제 2 배출댐퍼(230)의 회동 선택적으로 제 1 배출구(105) 또는 제 2 배출구(10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인 공조용 히터 및 에어콘 유니트구조는 격벽에 의해 내부가 제 1 쳄버와 제 2 쳄버로 구획된 하나의 케이스의 내부에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과, 공기의 온도를 차갑게 하는 증발코어와, 공기의 온도를 뜨겁게 하는 히터코어와, 케이스로 유입되는 내외기를 제어하는 내외기댐퍼와, 케이스로 유입된 공기를 제 1 쳄버 또는 제 2 쳄버로 흐르게 하는 에어댐퍼와, 상기 케이스의 제 1 쳄버 및 제 2 쳄버를 지난 공기를 선택적으로 제 1 배출구 또는 제 2 배출구 또는 제 3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제 1 배출댐퍼와 제 2 배출댐퍼와 제 3 배출댐퍼가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공조용 히터 및 에어콘 유니트구조에 비해 그 크기를 축소하여 협소한 공간에서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하나의 케이스로 이루어져 공기의 누출을 적극 차단할 수 있으며, 부품수를 줄여 제작공정과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음으로 제품의 코스트 절감 및 생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일측에 공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구(103)와 내기유입구(104)를 갖는 유입부(110)가 형성되고 타측에 공기가 배출되는 제 1 배출구(105)와 제 2 배출구(106)와 제 3 배출구(107)를 갖는 배출부(120)가 형성된 U형상의 케이스(100) 내부에 격벽(150)이 설치되어 제 1 연통구(101)와 제 2 연통구(102)에 의해 서로 연통되는 제 1 쳄버(130)와 제 2 쳄버(140)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부(110)에는 상기 외기유입구(103) 및 내기유입구(10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내외기댐퍼(210) 및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300)이 설치되며, 상기 제 2 쳄버(140)의 내부에는 공기의 온도를 냉각시키는 증발코어(400) 및 공기를 온도를 상승시키는 히터코어(500)가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배출부(120)에는 제 1 배출구(105)와 제 2 배출구(106)를 각각 개폐하는 제 1 배출댐퍼(220)와 제 2 배출댐퍼(230)가 설치되며, 상기 격벽(150)의 일측에는 유입부(110)를 지난 공기를 선택적으로 제 1 쳄버(130)와 제 2 쳄버(140)로 유입되도록 하는 에어댐퍼(250)가 설치되고, 상기 격벽(150)의 타측에는 제 2 쳄버(140)를 지난 공기가 제 3 배출구(107)나 배출부(120)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 3 배출댐퍼(240)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용 히터 및 에어콘 유니트구조.
KR1019990009215A 1999-03-18 1999-03-18 공조용 히터 및 에어컨 유니트 구조 KR100320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215A KR100320967B1 (ko) 1999-03-18 1999-03-18 공조용 히터 및 에어컨 유니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215A KR100320967B1 (ko) 1999-03-18 1999-03-18 공조용 히터 및 에어컨 유니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680A true KR20000060680A (ko) 2000-10-16
KR100320967B1 KR100320967B1 (ko) 2002-01-29

Family

ID=19576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9215A KR100320967B1 (ko) 1999-03-18 1999-03-18 공조용 히터 및 에어컨 유니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09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48803A (zh) * 2019-11-26 2020-02-28 中国扬子集团滁州扬子空调器有限公司 一种单冷型空调和室内加热器复合产品及其控制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48803A (zh) * 2019-11-26 2020-02-28 中国扬子集团滁州扬子空调器有限公司 一种单冷型空调和室内加热器复合产品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0967B1 (ko) 2002-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37626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484712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20160059030A (ko) 차량용 공조 장치
KR20030052633A (ko) 이층기류 공급을 위한 공조유니트
CN113453922B (zh) 车辆用空调单元
KR20010111646A (ko) 자동차 쿨링 박스의 열전소자 냉각장치
KR20000060680A (ko) 공조용 히터 및 에어컨 유니트 구조
KR100623504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20080080809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40075617A (ko) 블로어 유닛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
KR10141885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8265447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200037940A (ko) 차량용 hvac 모듈
KR10157810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00005506A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WO2020170753A1 (ja) 車両用空調ユニット
KR101529212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20100005508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80001698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KR20030046739A (ko) 차량용 공기조화 장치
KR20060118727A (ko) 차량용 송풍장치
KR0116693Y1 (ko) 공기조화장치
KR100228435B1 (ko) 공조 장치를 갖는 도어
KR970004469Y1 (ko) 공기 조화장치
KR100462716B1 (ko) 히터코어의 잠열이동이 방지된 자동차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