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0339A - 교환시스템에서 디지탈 가입자 프로토콜 자동 감시방법 - Google Patents

교환시스템에서 디지탈 가입자 프로토콜 자동 감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0339A
KR20000060339A KR19990008556A KR19990008556A KR20000060339A KR 20000060339 A KR20000060339 A KR 20000060339A KR 19990008556 A KR19990008556 A KR 19990008556A KR 19990008556 A KR19990008556 A KR 19990008556A KR 20000060339 A KR20000060339 A KR 20000060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ocol
layer
digital subscriber
error
tes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9990008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9990008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60339A/ko
Publication of KR20000060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0339A/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의 디지탈 가입자 감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탈 가입자와 망간 프로토콜을 지속적으로 감시하여 프로토콜 상태를 운용자가 파악하여 프로토콜의 오동작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교환시스템에서 디지탈 가입자 프로토콜 자동 감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지탈 가입자(ISDN)와 망간 프로토콜 레이어2를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펌웨어(F/W)와, 상기 디지탈 가입자와 망간 프로토콜 레이어3을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가입자 보드제어 프로세서(ASMP)와, 디지탈 가입자 시험블록(DST) 및 운용자 터미널(MMI)을 구비하는 교환시스템에서 디지탈 가입자 프로토콜 자동 감시방법에 있어서, 상기 펌웨어 및 상기 가입자 보드제어 프로세서에서 상기 디지탈 가입자와 망간 프로토콜 레이어2 및 레이어3을 지속적으로 감시하다가 에러가 발생되면 해당 프로토콜 에러 발생내용을 상기 디지탈 가입자 시험블록으로 보고하는 과정과, 상기 레이어2 및 레이어3 프로토콜의 에러 발생내용이 보고되면 상기 디지탈 가입자 시험블록에서 에러 발생내용을 분석하여 상기 운용자 터미널로 출력할 소정 포맷으로 변환한 후, 상기 운용자 터미널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디지탈 가입자 시험블록으로부터 상기 레이어2 및 레이어3 프로토콜에 대한 에러 분석내용을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환시스템에서 디지탈 가입자 프로토콜 자동 감시방법{AUTO TEST METHOD FOR PROTOCOL(LAYER2, LAYER3) BETWEEN ISDN SUBSCRIVER AND NETWORK IN EXCHANGE SYSTEM}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의 디지탈 가입자 감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탈 가입자와 망간 프로토콜을 지속적으로 감시하여 프로토콜 상태를 운용자가 파악하여 프로토콜의 오동작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교환시스템에서 디지탈 가입자 프로토콜 자동 감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프로토콜이란 통신을 행하는 2개의 장치 사이에서 통신을 원활히 수행하도록 하는 약속을 의미한다. 즉, 통신의 개시와 종료, 개개의 정보전송에 있어서 장치 상호간 신호교환의 형식과 순서를 결정하는 것이다.
디지탈 가입자를 수요하는 교환시스템에서 디지탈 가입자(ISDN 가입자)와 망간 프로토콜은 여러가지 형태의 통신서비스를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제공하기 위한 공통기능을 기본으로 통신로의 설정과 해제, 그리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부여하기 위해 제공하는 부가서비스의 제어, 즉 호의 제어를 주로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디지탈 가입자와 망간 프로토콜이 만족해야 할 조건으로 호별 서비스와 전송매체 선택의 용이, 복합단말 수용, 단말기의 이동성 확보, 통신 호환성 확인 등이 요구된다.
한편, 종래 아날로그 통신의 프로토콜과 ISDN 가입자-망간 프로토콜을 비교하면, 종래 아날로그 통신 프로토콜 방식에서는 교환기와 교환기가 인터페이스를 하게 될 때 발신인이 다이알과 버튼 신호로 수신자의 번호를 망에 알려 교환기가 이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호를 접속하여 주었다. 이때, 번호정보 등은 회선상 전류의 유무 또는 음성 대역 주파수 음을 이용하였다. 이에 반해 상기 ISDN-망간 프로토콜에서는 전화의 음성 등이 전송되는 채널(B-Channel)과는 별도의 채널(D-Channel)로 번호정보 등을 전송하는 아웃밴드(OUTBAND)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상기 ISDN가입자와 망간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구성을 하기의 표 1에 기술하였다.
항 목Layer 기 능 요구 조건 구체적 기능항목
Layer1 전기,물리적 조건(전기신호,배선형태 등) 복수채널의 제공복수단말의 수용단말의 이동성D 채널의 공동수용 시분할 다중 운송버스형식(기본 I/F)표준 소켓 억세스 제어
Layer2 메시지 전송을 위한 링크의 설정, 오차제어 복수 단말의 수용D 채널의 공동 이용단말의 휴대성복수종류의 정보전송 복수 논리링크의 설정전 단말에의 방송형 통신, 억세스 자동부여억세스 내의 서비스 식별자
Layer3 호의 설정, 개방 및 부가서비스의 제어를 포함하는 호 제어 각종 서비스의 제어복수 채널의 선택 용이복수 단말의 수용통신 가능성의 확인 서비스 식별정보의 전송, 채널의 선택순서멀티 포인트 착신순서단말의 속성정보의 전송
한편, 종래 교환시스템의 디지탈 가입자 시험을 위한 교환기의 구성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1을 통해 종래 교환시스템의 다지탈 가입자에 대한 유지보수 측면에서 수행되고 있는 시험을 살펴본다. 상기 도 1과 같은 디지탈 가입자를 위한 교환기 시험구조는 교환기에서 자체 보유하고 있는 시험장비를 이용해서 가입자 보드(LT)의 회로시험을 수행하고 BRI 가입자 선로시험 및 LT(Line Termination)/NT(Network Termination) Loopback 시험을 통해서 물리적인 라인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시험을 수행하고 있는데, 상기 LT와 NT단에서 수행되는 프로토콜의 이상유무는 종래의 교환시스템에서는 감지가 불가능하여 프로토콜의 이상유무를 운용자가 확인하여 프로토콜 이상발생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교환시스템의 디지탈 가입자와 망간 프로토콜에 대한 지속적 감시를 통해서 이상 발생시 운용자에게 즉각적으로 알려주어 신속한 대응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교환시스템에서 디지탈 가입자 프로토콜 자동 감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환시스템의 디지탈 가입자와 망간 프로토콜을 지속적으로 감시하여 프로토콜 상태를 운용자가 파악하여 프로토콜의 오동작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교환시스템에서 디지탈 가입자 프로토콜 자동 감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지탈 가입자(ISDN)와 망간 프로토콜 레이어2를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펌웨어(F/W)와, 상기 디지탈 가입자와 망간 프로토콜 레이어3을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가입자 보드제어 프로세서(ASMP)와, 디지탈 가입자 시험블록(DST) 및 운용자 터미널(MMI)을 구비하는 교환시스템에서 디지탈 가입자 프로토콜 자동 감시방법에 있어서, 상기 펌웨어 및 상기 가입자 보드제어 프로세서에서 상기 디지탈 가입자와 망간 프로토콜 레이어2 및 레이어3을 지속적으로 감시하다가 에러가 발생되면 해당 프로토콜 에러 발생내용을 상기 디지탈 가입자 시험블록으로 보고하는 과정과, 상기 레이어2 및 레이어3 프로토콜의 에러 발생내용이 보고되면 상기 디지탈 가입자 시험블록에서 에러 발생내용을 분석하여 상기 운용자 터미널로 출력할 소정 포맷으로 변환한 후, 상기 운용자 터미널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디지탈 가입자 시험블록으로부터 상기 레이어2 및 레이어3 프로토콜에 대한 에러 분석내용을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교환시스템의 디지탈 가입자 시험을 위한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가입자 프로토콜 자동 감시를 위한 교환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가입자와 망간 프로토콜 자동 감시를 위한 신호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처리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가입자 프로토콜 자동 감시를 위한 교환시스템의 블록구성도로서,
ITEC(ISDN Test Equipment Control)(110)는 디지탈 가입자인 ISDN 테스트 장비를 제어하며, 내부에 프로토콜 레이어2를 지속적으로 감시하여 에러발생시 이를 상위로 보고하는 펌-웨어(Firmware:F/W)를 구비한다.
ASMP(Access Switching Subscriber Maintenance Processor)(120)는 가입자 보드제어 프로세서(PP)로서, 상기 펌웨어로부터 레이어2 프로토콜의 에러보고시 에러내용을 분석하여 레이어2 에러 분석정보를 상위인 DST(130)로 보고하며, 프로토콜 레이어3의 이상유무를 지속적으로 감시하여 에러발생시 상기 레이어3 에러내용을 상위로 보고한다.
DST(Digital Subscriber Test)(130)는 디지탈 가입자 시험블록으로, 상기 ISDN-망간 프로토콜(레이어2, 레이어3 포함)을 전체적으로 관리하며, 하위의 상기 ASMP(120)로부터 보고된 본 발명에 따른 프로토콜(레이어2 및 레이어3) 에러 분석정보를 소정 포맷으로 OMP(140)를 통해 운용자 터미널인 MMI(Man Machine Interface)(150)로 보고한다. 또한 상기 DST(130)는 레이어 테이블을 구비하여 하위에서 보고된 레이어2 및 레이어3의 에러 분석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운용자 출력 터미널인 상기 MMI(150)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형하여 보고한다.
OMP(Operation and Maintenance Processor)(140)는 디지탈 가입자에 대한 동작 및 유지보수 프로세서이다.
상기 디지탈 가입자인 ISDN과 망간 프로토콜의 감시를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신규 기능에서 감지할 수 있는 레이어2와 레이어3의 항목은 다음과 같다.
1. 레이어2(Link Access Procedure on the D channel)의 항목: HDLC(High Data Link Control procedure)의 모든 LAPB을 기본으로 한 LAPD는 단말과 망 사이에서 오류없이 정보전송을 실행하는 기능, 전송오류의 검출과 회복기능, 정보전송 순서의 보존기능 등을 행한다. 또한, ISDN 가입자-망 인터페이스는 버스형 인터페이스가 가능하기 때문에 1개의 인터페이스에서 복수 단말에 접속시키는 기능과 요구가 다른 복수의 복수의 정보 전송기능이 있다.
1.1 연결설정 기능 - D-채널 상으로 1개 또는 복수의 논리 연결 제공
1.2 프레임 전송기능 - 프레임의 분리, 동기, Transparent한 전송
1.3 에러검출기능 - 전송에러, 동작에러의 검출
1.4 에러복구기능 - 검출된 에러의 복구, 복구불가 에러통지
1.5 흐름제어기능 - 확인형 전송모드에서 전송된 프레임의 흐름제어
이 있다.
2. 레이어3 항목: 가입자와 망 사이에서 메시지를 주고 받으면서 가입자가 원하는 호출제어, 즉 통신채널의선택, 통신패스의 설정, 유지 해제 등을 시행한다.
2.1 프로토콜의 통합기능 - 회선교환 접속, 패킷교환 접속, 가입자와 가입자 사이의 신호 등 각종 신호 프로토콜 통합
2.2 통신 가능성의 확인기능 - 여러 종류의 단말이 1개의 인터페이스에 연결 가능하기 때문에 단말간에 서로 통신이 가능한 단말인가 아닌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통신 가능성 정보를 제공
2.3 동시착신 절차기능 - 착신측의 버스상에 복수의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 망 측에서는 어떤 단말에 전송할 지 판단할 수 없다. 그래서 모든 단말에 메시지를 송신한다. 각 단말은 착신 메시지를 수신하면 통신 가능성을 보고 착신여부를 판단, 통신이 가능하면 접수를 하고 아니면 무시한다. 통신가능한 단말이 여러 개이면 응답이 빠른 단말이 선택된다.
2.4 프로토콜의 대칭성 확인기능 - 레이어3에서는 메시지의 포맷과 절차가 가입자-망, 망-가입자 간에 대칭을 이룬다. 그래서 망을 거치지 않는 전용선 접속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레이어2 및 레이어3 항목들을 펌웨어(110)와 ASMP(120)에서 지속적 감시를 수행하여 이상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탈 가입자와 망간 프로토콜 자동 감시를 위한 신호흐름도이다.
상술한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르 ㄹ도 3의 신호흐름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펌웨어(110)는 지속적으로 레이어2를 감시하고 상기 ASMP(120)는 레이어3을 지속적으로 감시한다.
상기 펌웨어(110)는 레이어2를 지속적으로 감시하다가 상기 레이어2의 에러발생시 201신호로 에러내용을 상위인 ASMP(120)로 보고한다. 상기 펌웨어(110)에서 상기 ASMP(120)로 보고하는 레이어2 프로토콜의 항목은 상기 예를 든 연결설정, 프레임 전송, 에러검출, 에러복구, 흐름제어 수행에 대한 에러발생이 된다.
상기 ASMP(120)는 상기 펌웨어(110)로부터 상기 레이어2의 에러발생에 따른 에러내용이 수신되면 이를 202신호로 디지탈 가입자 시험블록인 DST(130)로 보고한다. 그러면 상기 DST(130)는 상기 ASMP(120)로부터 보고된 에러내용을 내부에 구비하는 레이어 테이블을 통해 분석하여 레이어2 에러 분석정보를 소정 포맷으로 변형하여 203신호로 OMP(140)를 통해 MMI(15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MMI(150)는 보고된 레이어2 에러 분석내용을 출력(204)하여 운용자에게 레이어2 프로토콜 이상을 경보한다.
한편, 레이어3 감시과정을 보면;
상기 ASMP(120)는 레이어3을 지속적으로 감시하다가 상기 레이어3의 에러발생시 301신호로 에러내용을 상위인 DST(130)로 보고한다. 상기 ASMP(120)에서 상기 DST(130)로 보고하는 레이어3 프로토콜의 항목은 상기 예를 든 프로토콜의 통합, 통신 가능성의 확인, 동시착신 절차, 프로토콜의 대칭성 확인에 대한 에러가 된다.
그러면, 상기 DST(130)는 상기 ASMP(120)로부터 보고된 에러내용을 내부에 구비하는 레이어 테이블을 통해 분석하여 레이어3 에러 분석정보를 소정 포맷으로 변형하여 302신호로 OMP(140)를 통해 상기 MMI(15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MMI(150)는 보고된 레이어3 에러 분석내용을 출력하여 운용자에게 레이어3 프로토콜 이상을 경보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환시스템에서 디지탈 가입자 프로토콜 자동 감시방법은 디지탈 가입자와 망간 레이어2와 레이어3 프로토콜을 운용자의 특별한 지시 없이도 지속적으로 감시하다가 프로토콜 에러가 발생하면 운용자는 현재 프로토콜의 에러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의 디지탈 가입자와 망간 프로토콜에 대한 지속적 감시를 통해서 이상 발생시 운용자에게 즉각적으로 알려주어 프로토콜 오동작에 따른 신속한 대응조치와 오동작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디지탈 가입자(ISDN)와 망간 프로토콜 레이어2를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펌웨어(F/W)와, 상기 디지탈 가입자와 망간 프로토콜 레이어3을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가입자 보드제어 프로세서(ASMP)와, 디지탈 가입자 시험블록(DST) 및 운용자 터미널(MMI)을 구비하는 교환시스템에서 디지탈 가입자 프로토콜 자동 감시방법에 있어서,
    상기 펌웨어 및 상기 가입자 보드제어 프로세서에서 상기 디지탈 가입자와 망간 프로토콜 레이어2 및 레이어3을 지속적으로 감시하다가 에러가 발생되면 해당 프로토콜 에러 발생내용을 상기 디지탈 가입자 시험블록으로 보고하는 과정과,
    상기 레이어2 및 레이어3 프로토콜의 에러 발생내용이 보고되면 상기 디지탈 가입자 시험블록에서 에러 발생내용을 분석하여 상기 운용자 터미널로 출력할 소정 포맷으로 변환한 후, 상기 운용자 터미널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디지탈 가입자 시험블록으로부터 상기 레이어2 및 레이어3 프로토콜에 대한 에러 분석내용을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시스템에서 디지탈 가입자 프로토콜 자동 감시방법.
  2. 디지탈 가입자(ISDN)와 망간 프로토콜 레이어2를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펌웨어(F/W)와, 가입자 보드제어 프로세서(ASMP)와, 디지탈 가입자 시험블록(DST) 및 운용자 터미널(MMI)을 구비하는 교환시스템에서 디지탈 가입자 프로토콜 자동 감시방법에 있어서,
    상기 펌웨어에서 상기 디지탈 가입자와 망간 프로토콜 레이어2를 지속적으로 감시하다가 에러가 발생되면 해당 프로토콜 에러 발생내용을 상기 가입자 보드제어 프로세서로 보고하는 제1과정과,
    상기 가입자 보드제어 프로세서에서 상기 레이어2 프로토콜 에러발생 보고내용을 상기 디지탈 가입자 시험블록으로 보고하는 제2과정과,
    상기 레이어2 프로토콜 에러 발생내용을 보고받은 상기 디지탈 가입자 시험블록에서 상기 레이어2 프로토콜 에러 발생내용을 분석하는 제3과정과,
    상기 분석한 에러 발생내용을 상기 운용자 터미널로 출력할 소정 포맷으로 변환한 후, 상기 운용자 터미널로 전송하는 제4과정과,
    상기 디지탈 가입자 시험블록으로부터 상기 레이어2 프로토콜에 대한 에러 분석내용을 출력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시스템에서 디지탈 가입자 프로토콜 자동 감시방법.
  3. 디지탈 가입자(ISDN)와 망간 프로토콜 레이어3을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가입자 보드제어 프로세서(ASMP)와, 디지탈 가입자 시험블록(DST) 및 운용자 터미널(MMI)을 구비하는 교환시스템에서 디지탈 가입자 프로토콜 자동 감시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보드제어 프로세서에서 상기 디지탈 가입자와 망간 프로토콜 레이어3을 지속적으로 감시하다가 에러가 발생되면 해당 프로토콜 에러 발생내용을 상기 디지탈 가입자 시험블록으로 보고하는 제1과정과,
    상기 레이어3 프로토콜 에러 발생내용을 보고받은 상기 디지탈 가입자 시험블록에서 상기 레이어3 프로토콜 에러 발생내용을 분석하는 제2과정과,
    상기 분석한 에러 발생내용을 상기 운용자 터미널로 출력할 소정 포맷으로 변환한 후, 상기 운용자 터미널로 전송하는 제3과정과,
    상기 디지탈 가입자 시험블록으로부터 상기 레이어3 프로토콜에 대한 에러 분석내용을 출력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시스템에서 디지탈 가입자 프로토콜 자동 감시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가입자 시험블록은 내부에 레이어3 프로토콜 에러 발생내용을 분석하는 레이어 테이블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시스템에서 디지탈 가입자 프로토콜 자동 감시방법.
KR19990008556A 1999-03-15 1999-03-15 교환시스템에서 디지탈 가입자 프로토콜 자동 감시방법 KR200000603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90008556A KR20000060339A (ko) 1999-03-15 1999-03-15 교환시스템에서 디지탈 가입자 프로토콜 자동 감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90008556A KR20000060339A (ko) 1999-03-15 1999-03-15 교환시스템에서 디지탈 가입자 프로토콜 자동 감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339A true KR20000060339A (ko) 2000-10-16

Family

ID=19576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9990008556A KR20000060339A (ko) 1999-03-15 1999-03-15 교환시스템에서 디지탈 가입자 프로토콜 자동 감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603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3014B1 (en) Test access and performanc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cross-connect communication network
US5426688A (en) Telecommunication alarm method and system
US5479493A (en) Calling line identification adjunct for use with a communication system
KR940020754A (ko) 최종 사용자 사이에서의 데이타 및 감독 신호 전송/수신 장치 및 방법(Emorgency local switching)
US5712897A (en) Fault detection in broadband cable systems
US526308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hook transmission for digital loop carrier channel units
US6163595A (en) Way finding with an interactive faceplate
KR910003415B1 (ko) 신호 표시 장치
US7680252B2 (en) Switch proxy for providing emergency stand alone service in remote access systems
KR20000060339A (ko) 교환시스템에서 디지탈 가입자 프로토콜 자동 감시방법
US5828728A (en) Telecommunications network
CA2243856C (en) Telecommunications networks
US20030040890A1 (en) Method and monitoring system for monitoring at least one subscriber line
KR100342486B1 (ko) 다중화장치에서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의 디지털 루프캐리어서비스방법
KR100308905B1 (ko) 교환 시스템에서 컷-오프-콜 검출 방법
CA2019233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hook transmission for digital loop carrier channel units
JP3107401B2 (ja) デジタル回線のモニタ方法
JP3678657B2 (ja) ターミナルアダプタ
KR0139725B1 (ko) 아이에스디엔 가입자 회로에 대한 자동시험 방법
JPS6198049A (ja) 加入者端末収容方式
JPS58147269A (ja) 自動発着信型網制御装置
KR20020009222A (ko) 교환기에서의 중계선 링크 자동 감시방법
JPH02164166A (ja) オーダーワイヤ装置を備えた通信方式
JPH07283866A (ja) 電子交換方式の交換方法と交換装置
KR20010059638A (ko) 전전자교환기에서 발신자 정보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