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2486B1 - 다중화장치에서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의 디지털 루프캐리어서비스방법 - Google Patents

다중화장치에서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의 디지털 루프캐리어서비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2486B1
KR100342486B1 KR1019990049432A KR19990049432A KR100342486B1 KR 100342486 B1 KR100342486 B1 KR 100342486B1 KR 1019990049432 A KR1019990049432 A KR 1019990049432A KR 19990049432 A KR19990049432 A KR 19990049432A KR 100342486 B1 KR100342486 B1 KR 100342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dn
subscriber
task
board
ide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9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5914A (ko
Inventor
이경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49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2486B1/ko
Publication of KR20010045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5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2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24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428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e. systems for transmission of different types of digitised signals, e.g. speech, data, telecentral, television signals
    • H04Q11/0435Details
    • H04Q11/0457Connect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04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09ISD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화장치에 있어서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가입자에 대한 IDLC(Integrated Digital Loop Carrier) 서비스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V5.2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교환기와 E1 링크로 접속되는 링크 보드와; 링크 보드에 접속되는 EPIC와, ISDN 가입자에 접속되며 IOM-버스를 통해 EPIC와 접속되는 IEC-Q와, IOM-버스를 통해 EPIC 및 IEC-Q와 접속되는 IDEC와, EPIC 및 IDEC에 접속되며 패킷-버스를 통해 링크 보드와 접속되는 ISDN CPU를 구비하는 ISDN 가입자 보드와; 링크 보드 및 ISDN 가입자 보드에 접속되는 메인 CPU를 구비한 다중화장치에서, 메인 CPU가 ISDN 보드에 수용된 ISDN 가입자 포트에 대한 ISDN 신호를 검출하여 V5.2 메시지를 생성하고 교환기측으로 전송하는 제1과정과; ISDN CPU가 IDEC를 통해 LAP-D 정보를 링크 보드와 HDLC 프레임으로 송수신하는 제2과정을 구비한다. 이에따라 V5.2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교환기와 연동되는 다중화장치에서 ISDN 가입자에 대한 IDLC 서비스를 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화장치에서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의 디지털 루프 캐리어 서비스방법{INTEGRATED DIGITAL LOOP CARRIER SERVICE METHOD FOR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N MULTIPLEX APPARATUS}
본 발명은 각종 데이터 및 음성 가입자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중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교환기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가입자들을 수용하기 위한 기술의 하나로서 디지털 루프 캐리어, 즉 IDLC(Integrated Digital Loop Carrier)는 원격지에 수용된 가입자 그룹을 중계선 또는 광케이블을 통하여 교환기에 바로 접속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를 위해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에서 규정하고 있는 V5.2 프로토콜(protocol)은 로컬 교환기(LE: Local Exchange)와 액세스 망(AN: Access Network)의 연동 표준을 제공한다. V5.2 프로토콜은 디지털 로컬 교환기와 가입자망인 액세스망에 적용된다. 액세스망은 로컬 교환기와 가입자 사이에서 구현된 로컬 라인 분배망의 일부 또는 전부를 대체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액세스망에는 일반 전화 가입자 또는 종합정보통신망, 즉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가입자가 직접 접속된다. 로컬 교환기는 액세스망을 통해서 사용자 라인이 종단되는 교환기를 말한다.
한편 각종 데이터 및 보이스(voice) 가입자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중화장치가 V5.2 프로토콜에 의해 가입자 서비스를 수행하는 로컬 교환기와 연동(interworking)되는 경우에는 ISDN 가입자와 교환기간에 중간에서 접속을 해주는 액세스망 기능을 수행하여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존의 공중망(public network)상에서 사용하던 신호방식이 아닌 V5.2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교환기와 연동하게 되는 다중화장치는 V5.2 프로토콜을 수용하여 ISDN 가입자에 대한 IDLC 서비스를 할 수 있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화장치에서 ISDN 가입자에 대한 IDLC 서비스를 할 수 있는 IDLC 서비스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화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2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CPU의 ISDN 관련 타스크 구성도,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SDN CPU의 LAP-D 정보 처리 관련 타스크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SDN CPU의 처리 흐름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CPU의 처리 흐름도,
도 6은 통상적인 ISDN 신호 상태 천이도,
도 7은 통상적인 ISDN LAP-D 정보 처리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화장치의 블록구성도를 보인 것으로, V5.2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교환기(도시하지 않았음)에 E1 링크(124)로 접속되는 링크 보드(100)에 ISDN 가입자 보드(102)와 메인 CPU(Central Processing Unit)(108)가 접속되고, ISDN 가입자 보드(102)에는 ISDN 가입자인 ISDN 전화기(106)가 NT(Network Termination)(104)를 통해 수용된다. ISDN 가입자 보드(102)는 IEC-Q(ISDN-Echo cancellation Circuit conforming to 2BIQ-transmission code)(110)와 EPIC(Extended PCM Interface Controller)(112)와 IDEC(ISDN D-channel Exchange Controller)(114)와 ISDN CPU(116)를 구비한다. IEC-Q(110)는 ISDN 가입자에 접속되며 IOM(ISDN-Oriented Modular)-버스(118)를 통해 EPIC(112)와 접속되며, EPIC(112)는 링크 보드(100)에 접속된다. IDEC(114)는 IOM-버스(118)를 통해 EPIC(112) 및 IEC-Q(110)와 접속되고, ISDN CPU(116)는 EPIC(112) 및 IDEC(114)에접속되며 패킷(packet)-버스(120)를 통해 링크 보드(100)와 접속된다. 그리고 메인 CPU(108)와 링크 보드(100)는 로컬 버스 및 이중 포트 메모리(dual port memory)(122)를 통해 접속된다.
예를 들어 메인 CPU(108)로는 MPC860 프로세서를, ISDN CPU(116)로서는 MC680302 프로세서를 사용한다. IEC-Q(110)로서는 지멘스(SIEMENS)사의 PEB2091을, EPIC(112)로서는 지멘스사의 PEB2055를, IDEC(114)로서는 지멘스사의 PEB2075를 사용한다. 그리고 링크 보드(100)의 E-1 링크(124)는 16개의 링크를 지원하고, IDEC(114)는 3개를 사용한다. 또한 ISDN 가입자 보드(102)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ISDN 가입자 보드 및 일반 가입자 보드를 포함하여 총 16개의 가입자 보드를 구성하며, IEC-Q(110)인 PEB2091은 10개의 ISDN 가입자 포트를 가진다. 이에 대해 도 1에서는 편의상 ISDN 가입자 보드(102), ISDN 가입자(106), IDEC(114)를 각각 1개씩만 도시하였다.
통상적으로 상기한 메인 CPU(108)는 ISDN 가입자 보드(102)와 링크 보드(100)를 운영자의 요구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IEC-Q(110)는 NT(104)의 인터페이스 참조점인 U-인터페이스 처리를 하고, EPIC(112)은 실제 데이터가 전송되는 채널과의 스위칭을 처리하며, IDEC(114)는 NT(104)의 LAP-D(Link Access Procedure on D-channel) 정보를 전달해 준다. 그리고 ISDN CPU(116)로 사용한 MC680302 프로세서의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 통신 채널인 SCC에서 링크 보드(100)와 통신하기 위해 한개의 송신 버퍼, 즉 TX BD(Buffer Description)와 한개의 수신 버퍼, 즉 RX BD를 가지며, 각각의 BD에는 8개씩의 버퍼가 있다. 이는순차적으로 LAP-D 정보를 실어 링크 보드(100)와 주고받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다중화장치에 있어서 메인 CPU(108)는 V5.2 프로토콜을 관장하여 호를 구성하게 해주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라 메인 CPU(108)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ISDN 가입자 보드(102)의 가입자 포트의 선로상태, 즉 NT(104)와의 선로상태를 감시하다가 신호 상태 변화가 있을때 V5.2 프로토콜이 원하는 포맷의 메시지를 보내도록 한다.
도 2a은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CPU(108)의 ISDN 관련 타스크 구성도를 보인 것으로, 레이어-3(layer-3) 이상의 계층에서 수행되는 ISDN 관련 타스크 구성도를 보인 것이다.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인 CPU(108)의 ISDN 관련 타스크는 V5.2 프로토콜 관리 타스크(200)와 신호 스캐닝(scanning) 타스크(202)와 신호 관리 타스크(204)와 스위칭 관리 타스크(206)와 OAMP(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Processor) 인터페이스 타스크(208)와 기타 타스크(210)로 이루어진다. 도 2a에서 화살표로 연결된 타스크들간에는 상관관계가 직접적으로 있음을 의미하고, 화살표로 연결되지 않은 타스크들은 각기 다르게 수행되며 각자의 동작을 수행하지만, 이 동작들은 다른 타스크가 작업을 수행하는데 기본 자료가 됨을 의미한다. 그리고 V5.2 프로토콜 관리 타스크(200)와 신호 스캐닝(scanning) 타스크(202)와 신호 관리 타스크(204)와 스위칭 관리 타스크(206)간은 큐(queue)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한 타스크들중에 V5.2 프로토콜 관리 타스크(200)는 ITU-T에서 규정하고 있는 V5.2 프로토콜 절차를 수행하는 타스크로서, V5.2를 사용하는 모든 장치에서와 동일한 기능 및 절차를 따르게 된다. 나머지 타스크들은 장치마다 다른 절차 및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ISDN 가입자들에게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들중 신호 스캐닝 타스크(202)는 OAMP 인터페이스 타스크(208)에 의해 준비된 ISDN 가입자(106)의 신호 변화를 주기적으로 감시한다. 신호 관리 타스크(204)는 ISDN 가입자 서비스를 위해 설정된 메시지를 V5.2 프로토콜 관리 타스크(200)와 송수신하고 가입자를 콘트롤한다. 스위칭 관리 타스크(206)는 교환기에서 할당해주는 특정 링크의 특정 채널과 가입자를 연결해준다. 기타 타스크(210)와 관련된 OAMP 인터페이스 타스크(208)는 도 1의 다중화장치에서 MMI(Man Machine Interface)나 NMS(Network Management System) 등을 이용하여 ISDN 가입자(106)의 구성을 지정해주면 이를 입력받아 기본적으로 서비스 준비 단계가 될 수 있도록 ISDN 가입자 보드(102)를 콘트롤한다.
또한 ISDN CPU(116)는 도 3의 흐름도에 보인 바와 같이 (300)단계에서 ISDN LAP-D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링크 보드(100) 및 ISDN 가입자인 ISDN 전화기(106)로부터 전송되어오는 LAP-D 정보를 감시하고 있다가 (302)단계에서 메시지의 가공없이 재전송을 한다.
도 2b는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SDN CPU(116)의 LAP-D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타스크 구성도를 보인 것으로, IDEC FIFO(First In - First Out memory) 리드 타스크(212)와 IDEC FIFO 라이트 타스크(214)와 기타 타스크(216)와 HDLC TX BD 타스크(218)와 HDLC RX BD(220)로 이루어진다. 도 2b에서도 상기한 도 2a에서와 같이 화살표로 연결된 타스크들간에는 상관관계가 직접적으로 있음을 의미하고, 화살표로 연결되지 않는 타스크들은 각기 다르게 수행되며 각자의 동작을 수행하지만, 이 동작들은 다른 타스크가 작업을 수행하는데 기본 자료가 됨을 의미한다.
상기한 타스크들중에 IDEC FIFO 리드 타스크(212)는 ISDN 가입자(106)로부터 주기적으로 들어오는 LAP-D 정보를 IDEC(114)내의 수신 FIFO인 RFIFO에서 리드하여 임의의 송신버퍼에 순차적으로 라이트한다. IDEC FIFO 라이트 타스크(214)는 HDLC RX BD 리드 타스크(220)가 라이트하는 수신버퍼에서 유효정보가 있을 경우에 ISDN 가입자(106)에게 보내주기 위해 IDEC(114)내의 송신 FIFO인 XFIFO에 데이터를 라이트해준다. HDLC TX BD 라이트 타스크(218)는 HDLC RX BD 리드 타스크(220)가 라이트하는 수신버퍼에서 유효정보가 있을 경우에 링크 보드(100)로 HDLC 프레임으로 전송하기 위해 TX BD에 라이트한다. HDLC RX BD 리드 타스크(220)는 링크 보드(100)에서 HDLC 프레임으로 보내주는 메시지를 ISDN CPU(116)의 SCC1에서 이벤트 레지스터를 주기적으로 리드하여 임의의 수신버퍼에 순차적으로 라이트한다.
EPIC(112)는 IEC-Q(110)를 통해 들어오는 NT(104)의 신호를 분석하여 메인 CPU(108)가 현재의 신호상태를 알 수 있도록 ISDN 가입자 보드(102)의 리드 파트로 신호 상태를 올려준다. 이때 올려주는 신호로는 AR(Active Request), AI(Active Indicator), DI(Deactive Indicator)가 있다. 메인 CPU(108)는 이들 신호를 주기적으로 리드하여 과거 신호 상태와 비교/분석하여 교환기측으로 V5.2 메시지 형태로 만들어 보냄으로써 교환기와의 V5.2 상태를 동일하게 유지시킨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CPU(108)의 처리 흐름도를 보인 것으로, 신호 검출 및 메시지 생성, 전송을 (400)∼(422)단계와 (500)∼(534)단계로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도 5는 도 4의 신호 스캔 루틴(412)의 상세 흐름도를 보인 것이며, ISDN 가입자의 신호 상태 변화가 있을때 V5.2 콘트롤 프로토콜로 신호 상태 변화 메시지를 보내는 것을 보인다. 즉, 50㎳ 간격으로 장치내에 설치된 모든 ISDN 가입자의 신호 상태를 감시하다가 변화가 발생시마다 콘트롤 프로토콜을 통해 V5.2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로컬 교환기로 메시지를 보내고 응답을 기다린다. 가입자에서 발생하는 신호 변화는 콘트롤 프로토콜로 메시지화하여 보내며, 로컬 교환기로부터 전송되어오는 메시지의 분석은 신호 관리 타스크(204)가 큐를 이용해 받아 수행된다.
도 6은 통상적인 ISDN 신호 상태 천이도를 보인 것이다. 도 6에서 보면, FE6에서 FE4로 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FE2 상태를 거치고 가도록 되어 있다. 이는 V5.2 프로토콜의 순서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도 5에서와 같이 FE2나 FE4 신호가 검출되면 신호 상태가 FE4로 뛰어 가도록 하였다. 물론 콘트롤 프로토콜로 해당 신호 변화 메시지를 로컬 교환기로 보내 줄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보낸다. 이는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신호 변화를 주기적인 폴링방식으로 모든 신호를 검출하기 어려우므로 순서에 따라 상태 변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7은 통상적인 ISDN LAP-D 정보 처리 구성도를 보인 것으로, ISDN CPU(116)인 MC680302 프로세서에서 통신용으로 사용하고자하는 SCC 채널로 사용하는 RX BD(700) 및 TX BD(702)와 RX HDLC 큐(704) 및 TX HDLC 큐(706)의 구조와 IDEC(114)인 PEB2075의 이벤트 레지스터인 XFIFO(708) 및 RFIFO(710)의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7에서 링크, 즉 링크 보드(100)로부터 가입자, 즉 ISDN 가입자(106)로의 정보는 RX BD(700)와 RX HDLC 큐(704)와 XFIFO(708)를 경유하여 전송되고, 가입자로부터 링크로의 정보는 RFIFO(710)와 TX HDLC 큐(706)와 TX BD(702)를 경유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RX BD(700) 및 TX BD(702)는 도 7에서 0부터 7까지로 표시한 8개씩의 BD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BD는 CSR(Control Status Register)과 LEN(Length Status Register)과 *으로 표시한 어드레스 영역을 가진다. 그리고 RX HDLC 큐(704)와 TX HDLC 큐(706)는 도 7에서 0부터 199까지로 표시한 200개씩의 레지스터를 가지며, XFIFO(708)와 RFIFO(710)는 도 7에서 0부터 3으로 표시한 4개씩의 이벤트 레지스터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도 2b에 보인 타스크들에서는 이러한 상용 구조를 이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 2b의 타스크들은 인터럽트 방식과 폴링방식의 일부를 이용하여 ISDN LAP-D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NT(104)에서 들어오는 메시지는 링크 보드(100)를 통해 ISDN CPU(116)의 SCC1으로 HDLC 프레임 포맷으로 들어오게 되는데, 메시지가 들어올때마다 인터럽트가 발생하게 된다. 이것이 이벤트 레지스터인 RFIFO(710)에 기록된다. HDLC RX BD 리드 타스크(220)는 주기적으로 이 이벤트 레지스터를 감시하고 있다가 이벤트가 기록될 경우에 8개의 RX BD(700) 중에서 어느 것으로 들어온지를 판단하여 해당 정보를 RX HDLC 큐(704)에 기록한다. 메시지가 들어오는 BD를 판단하기위해 감시 소프트웨어에서는 감시 플래그(flag)를 두어 매번 수행시마다 플래그의 카운트를 계산하여 다음 메시지가 들어오는 BD를 확인하여 기다린다. RX HDLC 큐(704)의 크기는 RX BD가 가지는 모든 정보를 받아들이기 위해 동일한 형태의 구조를 가지며, 여러 가입자에서 동시에 메시지가 들어올 경우를 대비하여 크기는 RX BD(700)보다 상당히 크다. 이는 TX HDLC 큐(706)도 동일하다. 가입자에서도 여러 가입자가 동시에 많은 가입자들이 서비스를 받고자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장치의 ISDN 가입자 보드(102)당 서비스 가능한 가입자는 10개이다. 따라서 여러개의 ISDN 가입자 보드가 설치된 경우에는 더욱 많은 신호 메시지들이 동시에 들어올 수도 있기 때문이다. 즉, HDLC RX BD 리드 타스크(220)는 ISDN CPU(116) SCC1의 RX BD(700)로 들어오는 정상적인 정보들을 받아들여 IDEC(114)의 TFIFO(708)로 보내기 위해 저장되는 임의의 버퍼에 복사하는 역할만을 수행한다.
IDEC FIFO 라이트 타스크(214)는 HDLC RX BD 타스크(220)와 동일한 주기로 순환버퍼로 만들어져 있는 RX HDLC 큐(704)에 기록된 정보들을 순차적으로 어느 가입자에게 전달할지를 판단하고, 정보들을 XFIFO(708)로 실어보내준다.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어느 위치의 버퍼로 순차적으로 HDLC RX BD 리드 타스크(220)가 적어주는지를 계산하고 있다가 해당 버퍼 위치로부터 정보를 들어온만큼 실어 보낸다. 따라서 모든 정보를 IDEC(114)의 XFIFO(708)로 전송한 후에는 수신 위치가 항시 마지막 메시지를 전송한 버퍼 다음이다. 이는 순환버퍼로 기록될때 LAP-D 정보를 순차적으로 보내주기 위함이다. LAP-D 정보의 순서가 달라질 경우에는 모든 시험에서 페일(fail)의 사유가 된다.
IDEC FIFO 리드 타스크(212)는 IDEC(114)내의 이벤트 레지스터인 RFIFO(710)를 주기적으로 감시하고 있다가 해당 레지스터에 메시지가 들어왔다는 것을 감지하는 즉시 가입자 정보들을 찾아서 HDLC RX BD 리드 타스크(220)가 정보를 가져 갈수 있도록 임시 저장버퍼에 순차적으로 기록을 한다. 기록하는 위치는 매번 기록할때마다 계산을 하고 있어야 한다. 이 역시 위에서 언급한대로 순서가 맞지 않는 경우에는 복구할 기능이 본 발명에서는 없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은 메시지의 가공을 하지 않고, 단지 어느 가입자가 정보를 송신하는지와 링크 보드(100)에서 로컬 교환기로 정보를 제공시 어느 가입자에게 실어주어야 하는지를 알기 위한 로컬 교환기와 약속된 가입자 번호를 해당 메시지의 일부에 실어 보내준다. 즉, 데이터 메시지만을 보내주기 때문에 로컬 교환기에서 정상적으로 받았는지를 판단하지는 않는다. 이 판단은 로컬 교환기와 NT(104)간에 이루어지고, 본 발명에서는 단지 중계 역할을 해줄뿐이다. 즉, IDEC FIFO 리드 타스크(212)가 가입자에서 발생하는 모든 신호정보들을 IDEC(114)의 RFIFO(710)를 통해 입수하여 임의 버퍼에 기록만을 하고 작업을 마치게 되고, 정보가 임의 버퍼에 들어있는 것을 역시 동일한 주기로 동작하는 HDLC TX BD 라이트 타스크(218)가 이를 순차적으로 사용 가능한 TX BD(702)에 라이트를 해준다. 라이트방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HDLC 프레임 전송 기법을 이용한다.
V5.2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로컬 교환기와의 ISDN 가입자 서비스는 메시지 전달 순서 및 그 속도에 의해 좌우된다. 매 호(call)가 구성될때마다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과 달리 LAP-D 정보가 역할을 대신하므로 LAP-D 정보를 정확하게, 빠르게 송수신되어 최종단간의 통신이 원활히 이루어져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LAP-D 정보를 전송하는 여러가지 방법중에서 인터럽트 벡터 테이블에 의한 것이 아닌 주기적으로 인터럽트 이벤트 레지스터를 리드하여 변화가 발생시마다 메시지를 전송해주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따라서 V5.2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교환기와 연동되는 다중화장치에서 ISDN 가입자 포트에 대한 ISDN 신호를 검출하여 V5.2 메시지를 생성하고 교환기측으로 전송하며 ISDN CPU가 IDEC를 통해 LAP-D 정보를 링크 보드와 HDLC 프레임으로 송수신함으로써 ISDN 가입자에 대한 IDLC 서비스를 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V5.2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교환기와 연동되는 다중화장치에서 ISDN 가입자에 대한 IDLC 서비스를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4)

  1. V5.2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교환기와 E1 링크로 접속되는 링크 보드와,
    상기 링크 보드에 접속되는 EPIC와, ISDN 가입자에 접속되며 IOM-버스를 통해 상기 EPIC와 접속되는 IEC-Q와, 상기 IOM-버스를 통해 상기 EPIC 및 IEC-Q와 접속되는 IDEC와, 상기 EPIC 및 IDEC에 접속되며 패킷-버스를 통해 상기 링크 보드와 접속되는 ISDN CPU를 구비하는 ISDN 가입자 보드와,
    상기 링크 보드 및 ISDN 가입자 보드에 접속되는 메인 CPU를 구비한 다중화장치에서 ISDN 가입자의 IDLC 서비스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 CPU가 상기 ISDN 보드에 수용된 ISDN 가입자 포트에 대한 ISDN 신호를 검출하여 V5.2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교환기측으로 전송하는 제1과정과,
    상기 ISDN CPU가 IDEC를 통해 LAP-D 정보를 상기 링크 보드와 HDLC 프레임으로 송수신하는 제2과정을 구비하며,
    상기 메인 CPU에서의 ISDN 관련 타스크가,
    상기 V5.2 프로토콜 절차를 수행하는 V5.2 프로토콜 관리 타스크와,
    상기 ISDN 가입자 보드를 콘트롤하는 OAMP 인터페이스 타스크와,
    상기 OAMP 인터페이스 타스크에 의해 준비된 ISDN 가입자의 신호 변화를 주기적으로 감시하는 신호 스캐닝 타스크와,
    ISDN 가입자 서비스를 위해 설정된 메시지를 상기 V5.2 프로토콜 관리 타스크와 송수신하고 가입자를 콘트롤하는 신호 관리 타스크와,
    상기 교환기에서 할당해주는 특정 링크의 특정 채널과 가입자를 연결해주는 스위칭 관리 타스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ISDN CPU에서의 타스크가,
    상기 ISDN 가입자로부터 주기적으로 들어오는 LAP-D 정보를 상기 IDEC내의 RFIFO에서 리드하여 임의의 송신버퍼에 순차적으로 라이트하는 IDEC FIFO 리드 타스크와,
    상기 링크 보드에서 HDLC 프레임으로 보내주는 메시지를 상기 ISDN CPU의 SCC1에서 이벤트 레지스터를 주기적으로 리드하여 임의의 수신버퍼에 순차적으로 라이트하는 HDLC RX BD 리드 타스크와,
    상기 HDLC RX BD 리드 타스크가 라이트하는 수신버퍼에서 유효정보가 있을 경우에 상기 ISDN 가입자에게 보내주기 위해 상기 IDEC내 XFIFO에 데이터를 라이트해주는 IDEC FIFO 라이트 타스크와,
    상기 HDLC RX BD 리드 타스크가 라이트하는 수신버퍼에서 유효정보가 있을 경우에 상기 링크 보드로 HDLC 프레임으로 전송하기 위해 TX BD에 라이트하는 HDLC TX BD 라이트 타스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IDLC 서비스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19990049432A 1999-11-09 1999-11-09 다중화장치에서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의 디지털 루프캐리어서비스방법 KR100342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432A KR100342486B1 (ko) 1999-11-09 1999-11-09 다중화장치에서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의 디지털 루프캐리어서비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432A KR100342486B1 (ko) 1999-11-09 1999-11-09 다중화장치에서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의 디지털 루프캐리어서비스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5914A KR20010045914A (ko) 2001-06-05
KR100342486B1 true KR100342486B1 (ko) 2002-06-28

Family

ID=19619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432A KR100342486B1 (ko) 1999-11-09 1999-11-09 다중화장치에서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의 디지털 루프캐리어서비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24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866B1 (ko) * 2002-10-07 2004-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프로토콜을 구비한 이1 보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7759A (ja) * 1992-07-16 1994-02-10 Sharp Corp Isdn交換機の保守装置
KR19990026690A (ko) * 1997-09-26 1999-04-15 윤종용 가입자 망의 아이에스디엔 디 채널 처리 방법
KR19990048228A (ko) * 1997-12-09 1999-07-05 유기범 전전자 교환기에서 브이5.2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아이에스디엔 호처리방법
KR19990055737A (ko) * 1997-12-27 1999-07-15 이계철 광가입자 전송장치와 디지틀 전전자 교환기간의 v5.2 프로비젼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7759A (ja) * 1992-07-16 1994-02-10 Sharp Corp Isdn交換機の保守装置
KR19990026690A (ko) * 1997-09-26 1999-04-15 윤종용 가입자 망의 아이에스디엔 디 채널 처리 방법
KR19990048228A (ko) * 1997-12-09 1999-07-05 유기범 전전자 교환기에서 브이5.2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아이에스디엔 호처리방법
KR19990055737A (ko) * 1997-12-27 1999-07-15 이계철 광가입자 전송장치와 디지틀 전전자 교환기간의 v5.2 프로비젼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5914A (ko) 2001-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5085A (en) Communication link identifier
EP0594244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a private branch exchange to be used in such a communication system
US6449247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call services for remote users in the event of a communication failure
US4979164A (en) Switching system reliability
EP0852095B1 (en) Procedure and system for ensuring emergency communication
CN1240248C (zh) 本地交换
JPH0634538B2 (ja) デジタル交換装置付通信システム
EP0374231A1 (en) Isdn traffic generator adaptor
KR100342486B1 (ko) 다중화장치에서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의 디지털 루프캐리어서비스방법
KR940007980B1 (ko) Isdn 기본속도 가입자 정합장치
EP0399723A2 (en) Improvement in switching system reliability
KR100251782B1 (ko) 자체 진단 기능을 가지는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 인터페이스회로 및 그 진단방법
FI109074B (fi) Tilaajamultipleksointilaite
KR100219224B1 (ko) Isdn 사용자-망 접속의 계층 3에서 해제 요구 프리미티브 처리방법
KR100219227B1 (ko) Isdn 사용자-망 접속의 계층3에서 설정 표시 프리미티브 처리방법
JP3624851B2 (ja) リモート交換機の系切り替え方法及び交換機システム
KR100219220B1 (ko) 종합정보통신망(isdn) 사용자-망 접속의 계층3에서 호설정 요구 프리미티브 처리방법
JPH09116937A (ja) 構内交換機の回線系インタフェース
KR100273342B1 (ko) 시스템 원격 제어방법
KR20000001566A (ko) 사설 교환기에서 종합정보통신망 접속부의 회선 시험방법
KR100219222B1 (ko) 종합정보통신망(isdn) 사용자-망 접속의 전체호참조번호 제어계층에서 프리미티브 처리방법
KR100603583B1 (ko) 아이피 네트워크를 이용한 교환시스템 및 그교환시스템에서의 노드간 연결 방법
KR19980014076A (ko) 국설 전전자 교환기의 rasm구조(remote access switching module structure of full electroninc switching system)
JPH01270436A (ja) Isdn加入者線試験装置
KR20000044228A (ko) 브이 5.2 프로토콜의 보호 메시지 처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