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8866B1 - 다중 프로토콜을 구비한 이1 보드 - Google Patents

다중 프로토콜을 구비한 이1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8866B1
KR100448866B1 KR10-2002-0061021A KR20020061021A KR100448866B1 KR 100448866 B1 KR100448866 B1 KR 100448866B1 KR 20020061021 A KR20020061021 A KR 20020061021A KR 100448866 B1 KR100448866 B1 KR 100448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ocol
link
layer
board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1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1885A (ko
Inventor
김태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1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8866B1/ko
Priority to CNB2003101007387A priority patent/CN100525290C/zh
Publication of KR20040031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1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8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프로토콜 및 방향성을 수용하여, 시스템이 다양한 망과 정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프로토콜을 구비한 E1 보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 E1 보드들은 하나의 보드에서 하나의 프로토콜만을 처리하므로, E1이라는 물리적 규격은 같으나 프로토콜 및 방향성이 서로 다른 구간에서는, 필요로 하는 프로토콜 및 방향성을 탑재하는 E1 보드로 교체하여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E1 보드에 다양한 프로토콜을 탑재한 후, 각 링크에서 사용될 프로토콜 및 방향성에 의거하여, 소정 링크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해당 링크와 연관된 프로토콜로 처리함으로써, 시스템이 다양한 망과 정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다중 프로토콜을 구비한 이1 보드{E1 Board Having Multi Protocol}
본 발명은 다중 프로토콜을 구비한 E1 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프로토콜 및 방향성을 수용하여, 시스템이 다양한 망과 정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프로토콜을 구비한 E1 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E1 보드라 함은 E1 링크가 연결되는 보드로, 연결된 링크에서 사용될 프로토콜에 따라 트렁크 E1 보드, IDS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PRI(Primary Rate Interface in ISDN) 보드, V5.2 인터페이스 보드로 구분된다.
여기서, 트렁크 E1 보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E1 프레임의 16번 채널에 존재하는 A, B, C, D 비트(트렁크 시그널링용 제어 비트)를 읽고 씀으로써, 트렁크 프로토콜을 처리한다.
그리고, IDSN PRI 보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APD(Link Access Procedure in D channel) 프로토콜이 탑재되어 물리 계층 및 링크 계층의 프로토콜을 처리하며, 상위 프로토콜은 상위 제어부(Upper Block)으로 연결하여 처리한다.
또한, V5.2 인터페이스 보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APV5(Layer Access Procedure in V5)인 링크 계층 프로토콜이 탑재되어 물리 계층 및 링크 계층의 프로토콜을 처리하고, 상위 프로토콜은 상위 블록으로 연결하여 처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E1 보드들은 한 가지의 프로토콜만을 처리하며, OSI 7 계층에서 계층 1과 계층 2를 구성하는 매우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히, ISDN PRI 보드와 V5.2 인터페이스 보드의 경우에는 정합 방향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억세스 망(Access Network;이하, AN이라 한다)에는 AN용이, 교환기(Local Exchange;이하, LE라 한다)에는 LE용 프로토콜이 적용되어, AN과 LE가 정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LE와 LE, AN과 AN과는 정합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 E1 보드들은 하나의 보드에서 하나의 프로토콜만을 처리하므로, E1이라는 물리적 규격은 같으나 프로토콜 및 방향성이 서로 다른 구간에서는, 필요로 하는 프로토콜 및 방향성을 탑재하는 E1 보드로 교체하여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다양한 망을 정합해야 하는 억세스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경우에는 하나의 E1 보드에 특정 프로토콜만 적용해야 하므로, 시스템의 제한 사항이되어 적용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E1 보드에 다양한 프로토콜을 탑재하고, 운용자에 의해 지정된 방향성에 의거하여 해당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시스템이 다양한 망과 정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프로토콜을 구비한 E1 보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트렁크 E1 보드의 구성을 보인 도.
도 2는 ISDN PRI 보드의 구성을 보인 도.
도 3은 V5.2 프로토콜 보드의 구성을 보인 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프로토콜을 구비한 E1 보드의 구성을 보인 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상위 제어부, 20. 계층 3 프로토콜 스위치,
30. 트렁크 프로토콜 처리부, 40. ISDN 계층 3 인터페이스부,
50. LAPD, 60. V5.2 계층 3 인터페이스부,
70. LAPV5, 80. LE/AN 변환부,
90. 계층 1 프로토콜 스위치, 100. 물리 계층,
110. 링크, 120. 관리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프로토콜을 구비한 E1 보드는, 운용자의 지정에 따라 각 링크에서 사용할 프로토콜을 결정하는 상위 제어부와; 상기 상위 제어부를 통해 전달받은 송신 데이터를 상기 트렁크 프로토콜 처리부, ISDN PRI 프로토콜 처리부, V5.2 프로토콜 처리부 중에서 어느 하나로 전달하는 계층 3 프로토콜 스위치와; 상기 트렁크 프로토콜 처리부, ISDN PRI 프로토콜 처리부, V5.2 프로토콜 처리부로부터 전달받은 송신 데이터의 입출력 플래그를 변경하는 방향 변환부와; 링크를 통해 수신된 수신 데이터를 상기 트렁크 프로토콜 처리부, ISDN PRI 프로토콜 처리부, V5.2 프로토콜 처리부 중에서 어느 하나로 전달하는 계층 1 프로토콜 스위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계층 3 프로토콜 스위치는, 상기 송신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링크 번호에 의거하여 상기 송신 데이터가 전달될 프로토콜 처리부를 결정하여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방향 변환부는, 운용자의 지정에 따라 결정된 각 링크에서의 프로토콜 정합 방향에 따라, 송신 데이터의 입출력 플래그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계층 1 프로토콜 스위치는, 상기 수신 데이터가 수신된 링크의 링크 번호에 의거하여 상기 수신 데이터가 전달될 프로토콜 처리부를 결정하여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프로토콜을 구비한 E1 보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프로토콜을 구비한 E1 보드의 구성을 보인 도로, 상위 제어부(10), 계층 3 프로토콜 스위치(20), 트렁크 프로토콜 처리부(30), ISDN 계층 3 인터페이스부(40), V5.2 계층 3 인터페이스부(60), LAPD 처리부(50), LAPV5 처리부(70), LE/AN 변환부(80), 계층 1 프로토콜 스위치(90), 물리 계층(100), 링크(110), 관리부(1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위 제어부(10)는 E1 보드를 제어하고 상위 프로토콜을 처리한다. 그리고, 운용자의 지정에 따라 각 링크가 어떤 프로토콜로 사용될 것인 지를 결정하고, 각 링크에서 사용될 프로토콜이 결정되면, 해당 정보를 계층 3 프로토콜 스위치(20) 및 계층 1 프로토콜 스위치(90)로 전달한다.
계층 3 프로토콜 스위치(20)는 상위 제어부(10)와 링크 계층 프로토콜을 연결하고, 상위 제어부(10)를 통해 전달받은 데이터를 프로토콜별로 분배하는 데, 전달받은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링크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데이터를 프로토콜별로 분배한다.
트렁크 프로토콜 처리부(30)는 트링크 시그널링용 제어 비트를 처리한다.
ISDN 계층 3 인터페이스부(40)는 ISDN 계층 3과 연결한다.
LAPD 처리부(50)는 ISDN용 PRI용 LAPD를 처리한다.
V5.2 계층 3 인터페이스부(60)는 V5.2 프로토콜 계층 3과 연결한다.
LAPV5 처리부(70)는 V5.2용 계층 2 프로토콜인 LAPV5를 처리한다.
LE/AN 변환부(80)는 운용자의 지정에 따라 결정된 각 링크에서의 프로토콜 정합 방향에 따라 송신 데이터의 입출력 플래그를 변경한다.
계층 1 프로토콜 스위치(90)는 링크 계층 프로토콜과 물리 계층을 연결하고, 물리 계층을 통해 수신받은 데이터를 프로토콜별로 분배하는 데, 수신받은 데이터가 수신된 링크 정보에 의거하여 데이터를 프로토콜별로 분배한다.
물리 계층(100)은 물리적인 E1 링크(110)를 제어하고 연결하는 것으로, 계층 1 프로토콜 스위치(90)를 거쳐온 표준 계층 2 데이터를 물리적 링크 데이터로 변경하여 물리 링크로 전송하고, 물리 링크를 통해 수신받은 물리적 링크 데이터를 표준 계층 2 데이터로 변경하여 계층 1 프로토콜 스위치(90)로 전달한다.
관리부(120)는 E1 보드 및 각 블록을 관리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프로토콜을 구비한 E1 보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운용자의 지정에 따라 E1 보드를 제어하는 상위 제어부(10)는 각 링크가 어떤 프로토콜로 사용될 것인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운용자의 지정에 따라 16개의 E1 링크 중에서 0~3번 링크는 트렁크 프로토콜, 4~10번 링크는 ISDN PRI 프로토콜, 11~15번 링크는 V5.2 프로토콜로 사용하도록 결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운용자의 지정에 따라 상위 제어부(10)에서 각 링크의 사용이 결정되면, 각각의 링크에서 사용될 프로토콜 정보를 계층 3 프로토콜 스위치(20)와 계층 1 프로토콜 스위치(90)로 전달한다.
이후에는, 운용자의 지정에 따라 LE/AN 변환부(80)는 사용하고자 하는 링크의 방향성 즉, 각 링크를 LE로 사용할 것인 지, AN으로 사용할 것인 지를 결정한다.
여기서, 운용자는 각 링크에 사용될 프로토콜에 따라 링크의 방향성을 지정하는 데, 입출력 플래그의 변경으로 링크의 방향성을 지정한다.
예를 들어, 해당 링크를 LE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포맷에 포함되어 있는 C(Command)/R(Response) 값이 C(Command)는 '0', R(Response)은 '1'로 세팅되도록 설정하고, 해당 링크를 AN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C는 '1', R은 '0'으로 세팅되도록 설정함으로써, 각 링크를 LE 또는 AN으로 전환하여 사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링크에서 사용될 프로토콜과 방향성이 정해진 후, 상위 제어부(10)로부터 전송할 데이터를 인가받으면, 계층 3 프로토콜 스위치(20)는 상위 제어부(10)로부터 인가받은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링크 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데이터가 전송될 프로토콜 처리부를 결정하고, 결정된 프로토콜 처리부로 해당 데이터를 전달한다.
예를 들어, 상위 제어부(10)로부터 인가받은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링크 정보를 검색한 결과, 해당 데이터가 3번 링크를 통해 전송될 데이터인 경우에는 해당 데이터를 트렁크 프로토콜 처리부(30)로 전달하고, 해당 데이터가 7번 링크를 통해 전송될 데이터인 경우에는 해당 데이터를 ISDN 계층 3 인터페이스부(40)로 전달하고, 해당 데이터가 13번 링크를 통해 전송될 데이터인 경우에는 해당 데이터를 V5.2 계층 3 인터페이스부(60)로 전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계층 3 프로토콜 스위치(20)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은 해당 프로토콜 처리부는, 전달받은 데이터를 프로토콜 처리하여 표준화된 데이터 포맷으로 변경한다. 즉, 트렁크 프로토콜 처리부(30)에서는 트렁크 프로토콜 처리하여 전달받은 데이터를 공통된 데이터 포맷으로 변경하고, ISDN 계층 3 인터페이스부(40)와 LAPD 처리부(50)에서는 ISDN PRI용 LAPD를 처리하여 전달받은 데이터를 공통된 데이터 포맷으로 변경하고, V5.2 계층 3 인터페이스부(60)와 LAPV5 처리부(70)에서는 V5.2용 계층 2 프로토콜인 LAPV5를 처리하여 전달받은 데이터를 공통된 데이터 포맷으로 변경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해당 프로토콜 처리부에서 변경된 데이터는 LE/AN 변환부(80)에서 입출력 플래그(C/R)가 세팅된 후, 계층 1 프로토콜 스위치(90)를 통해 물리 계층(100)으로 전달된다.
물리 계층(100)에서는 계층 1 프로토콜 스위치(90)를 통해 전달받은 표준 계층 2 데이터를 물리적 링크 데이터로 변경한 후, 해당 링크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소정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받으면, 물리 계층(100)은 수신된 물리적 링크 데이터를 표준화된 계층 2 데이터로 변경한 후, 계층 1 프로토콜 스위치(90)로 전달한다.
물리 계층으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은 계층 1 프로토콜 스위치(90)는 해당 데이터가 수신된 링크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데이터가 전송될 프로토콜 처리부를 결정하고, 결정된 프로토콜 처리부로 해당 데이터를 전달한다.
LE/AN 변환부(80)를 통해 계층 1 프로토콜 스위치(90)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은 해당 프로토콜 처리부는 전달받은 데이터를 프로토콜 처리한 후, 상위 프로토콜을 처리하기 위해 계층 3 프로토콜 스위치(20)를 통해 상위 제어부(10)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다중 프로토콜을 구비한 E1 보드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중 프로토콜을 구비한 E1 보드에 따르면, 하나의 E1 보드에 다양한 프로토콜을 탑재한 후, 각 링크에서 사용될 프로토콜 및 방향성에 의거하여, 소정 링크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해당 링크와 연관된 프로토콜로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이 다양한 망과 정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운용자의 지정에 따라 각 링크에서 사용할 프로토콜을 결정하는 상위 제어부와;
    상기 상위 제어부를 통해 전달받은 송신 데이터를 상기 트렁크 프로토콜 처리부, ISDN PRI 프로토콜 처리부, V5.2 프로토콜 처리부 중에서 어느 하나로 전달하는 계층 3 프로토콜 스위치와;
    상기 트렁크 프로토콜 처리부, ISDN PRI 프로토콜 처리부, V5.2 프로토콜 처리부로부터 전달받은 송신 데이터의 입출력 플래그를 변경하는 방향 변환부와;
    링크를 통해 수신된 수신 데이터를 상기 트렁크 프로토콜 처리부, ISDN PRI 프로토콜 처리부, V5.2 프로토콜 처리부 중에서 어느 하나로 전달하는 계층 1 프로토콜 스위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다중 프로토콜을 구비한 E1 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 3 프로토콜 스위치는,
    상기 송신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링크 번호에 의거하여 상기 송신 데이터가 전달될 프로토콜 처리부를 결정하여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프로토콜을 구비한 E1 보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변환부는,
    운용자의 지정에 따라 결정된 각 링크에서의 프로토콜 정합 방향에 따라, 송신 데이터의 입출력 플래그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프로토콜을 구비한 E1 보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 1 프로토콜 스위치는,
    상기 수신 데이터가 수신된 링크의 링크 번호에 의거하여 상기 수신 데이터가 전달될 프로토콜 처리부를 결정하여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프로토콜을 구비한 E1 보드.
KR10-2002-0061021A 2002-10-07 2002-10-07 다중 프로토콜을 구비한 이1 보드 KR100448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021A KR100448866B1 (ko) 2002-10-07 2002-10-07 다중 프로토콜을 구비한 이1 보드
CNB2003101007387A CN100525290C (zh) 2002-10-07 2003-10-08 支持多协议的e1板和数据传输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021A KR100448866B1 (ko) 2002-10-07 2002-10-07 다중 프로토콜을 구비한 이1 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1885A KR20040031885A (ko) 2004-04-14
KR100448866B1 true KR100448866B1 (ko) 2004-09-18

Family

ID=34270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021A KR100448866B1 (ko) 2002-10-07 2002-10-07 다중 프로토콜을 구비한 이1 보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48866B1 (ko)
CN (1) CN10052529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70011B (zh) * 2016-06-16 2019-07-05 广州海格通信集团股份有限公司 多模式e1接口业务处理的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3722A (ko) * 1998-12-29 2000-07-15 서평원 다중 중앙처리장치 보드 레벨 상위 통신 프로토콜
KR20000058707A (ko) * 2000-06-26 2000-10-05 왕해주 무선다중 송수신보드를 이용한 무선 메시징 방법 및 그시스템
KR20000059397A (ko) * 1999-03-03 2000-10-05 김영환 교환기의 다중 프로토콜 기능 장치
KR20010045914A (ko) * 1999-11-09 2001-06-05 윤종용 다중화장치에서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의 디지털 루프캐리어서비스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3722A (ko) * 1998-12-29 2000-07-15 서평원 다중 중앙처리장치 보드 레벨 상위 통신 프로토콜
KR20000059397A (ko) * 1999-03-03 2000-10-05 김영환 교환기의 다중 프로토콜 기능 장치
KR20010045914A (ko) * 1999-11-09 2001-06-05 윤종용 다중화장치에서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의 디지털 루프캐리어서비스방법
KR20000058707A (ko) * 2000-06-26 2000-10-05 왕해주 무선다중 송수신보드를 이용한 무선 메시징 방법 및 그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1885A (ko) 2004-04-14
CN1509039A (zh) 2004-06-30
CN100525290C (zh) 200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54614B2 (en) Signaling network having common signaling node for protocol conversion
US619916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data communication
JPH06501365A (ja) パケット・スイッチング通信システム
WO2002033863A8 (en) Data provisioning, signaling and traffic servicing network
WO2000030294A8 (en) Software interface between switching module and operating system of a data packet switching system
JP2002513534A (ja) 信号方式ネットワークゲートウェイ装置および信号方式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その使用
CA2094097C (en) Multi-equipment routing method and master station for layered protocol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US20050235079A1 (en) Keyboard video mouse switch for multiple chaining and the method thereof
EP1496661B1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JP2003060716A (ja) 分散型パケット交換網
KR20010048601A (ko) 다양한 프로토콜의 홈 네트워크와 액세스 네트워크를연결하는홈 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네트워크 정합방법
CN100550803C (zh) 一种多协议公共路由管理的装置和方法
US6829249B1 (en) Voice-over internet protocol
KR100448866B1 (ko) 다중 프로토콜을 구비한 이1 보드
WO2007143944A1 (fr) Procédé et appareil de transfert de données sur ethernet
KR20010036633A (ko) 복합기능을 수행하는 키폰 베이스 인터넷 라우터
US5748625A (en) Inter-LAN connection method using ISDN
KR100201818B1 (ko) 부가 채널을 이용한 q시그널링 처리 장치 및 방법
JPH10107897A (ja) 呼を失うことなくisdn briリンクの回復
KR960016537B1 (ko) 종합정보 통신망(isdn)의 패킷 정합 시스템
FI109074B (fi) Tilaajamultipleksointilaite
JP3185758B2 (ja) 論理コネクション管理方法
WO2002006968A8 (en) Method and system of ensuring quality of service between networks using a signaling protocol
KR100219226B1 (ko) Isdn 사용자-망 접속의 계층3에서 해제 확인 프리미티브 처리방법
JPH06133028A (ja) アナログ/ディジタル回線混在収容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