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3722A - 다중 중앙처리장치 보드 레벨 상위 통신 프로토콜 - Google Patents
다중 중앙처리장치 보드 레벨 상위 통신 프로토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43722A KR20000043722A KR1019980060132A KR19980060132A KR20000043722A KR 20000043722 A KR20000043722 A KR 20000043722A KR 1019980060132 A KR1019980060132 A KR 1019980060132A KR 19980060132 A KR19980060132 A KR 19980060132A KR 20000043722 A KR20000043722 A KR 2000004372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tocol
- data
- board
- communication protocol
- communica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0—Active monitoring, e.g. heartbeat, ping or trace-rout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4—Negotiation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 운용되고 있는 장비상의 다중 중앙처리장치 보드 레벨 상위 통신 프로토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방법은 통신망의 종류에 따라서 호환 접속과 데이터 전송제어를 실행하는 하위 프로토콜;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누릴 수 있는 모든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및 응용 프로그램들간의 대화나 정보전송 등의 처리를 수행하는 상위 프로토콜을 포함한다.
따라서, 노드와 보드 레벨의 직접통신이 가능해짐으로써 게이트웨이를 통한 애플리케이션보다 신뢰하고, 통신의 장애시 문제의 확인이 용이하며, 애플리케이션 개발시 보드와 보드간의 구조에 개의치 않고 개발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보드레벨의 통신이 가능해짐으로써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및 적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안전성을 보장받을 수 있고, 필요한 인터페이스를 기존에 사용하는 보드간의 간단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사용하므로 개발이 용이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 운용되고 있는 장비상의 다중 중앙처리장치 보드 레벨 상위 통신 프로토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동일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2개 이상의 보드 레벨에서 통신이 가능하며 하위 프로토콜에 독립적으로 동일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개발할 수 있는 다중 중앙처리장치 보드 레벨 상위 통신 프로토콜에 관한 것이다.
서로 다른 형태의 분산 시스템들이 확산됨에 따라 컴퓨터 업계에서는 개방시스템의 필요성이 증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필요성에 대한 대응으로, 전송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이하 TCP라고 함)/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이하 IP라고 함)과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open systems interconnection;이하 OSI라고 함) 2개가 기본적인 개방시스템 표준으로 제시되었다. 먼저 OSI 통신구조가 개발되었으나 일반에게 잘 확산될 수 없었던 문제로 말미암아 TCP/IP라는 프로토콜이 OSI 표준 개발 도중에 개발되었다. 이 두 개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원격지에 서로 떨어져 있는 두 노드들간의 통신이 가능하게 되었다.
노드(node)는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하는 객체를 말하며 이에는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이하 PC라고 함), 워크스테이션, 그리고 장비 등이 포함된다. 하위 프로토콜은 노드와 장비간의 통신을 말하며 TCP/IP나 OSI 7 계층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종래 프로토콜은 1대 1의 통신을 지원하게 되어 있어 CPU 보드 중에서 하나의 보드만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
기존의 프로토콜은 목적지를 구분하기 위하여 주소를 사용하는데 노드 혹은 장비마다 일정하도록 되어 있다. 장비에 여러 CPU 보드가 탑재되는 경우에는 이중 하나의 CPU 보드에만 주소가 지정되므로 나머지 CPU 보드와의 직접 통신은 불가능해진다.
다중 중앙처리장치 보드 환경에서는 여러 개의 주소를 사용하여야 하나, 종래의 프로토콜이 하나의 주소를 지정해서 사용하므로 운용환경에 적용하기에 적당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용에도 무리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프로토콜 상위단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처리를 해주어야 하는데 CPU 보드의 특성으로 인하여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및 개발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노드와 보드간의 직접통신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동일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2개 이상의 보드 레벨에서 통신이 가능하며 하위 프로토콜에 독립적으로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는 다중 중앙처리장치 보드 레벨 상위 통신 프로토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제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동일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2개 이상의 보드 레벨에서 통신이 가능하고 하위 프로토콜에 독립적으로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는 다중 중앙처리장치 보드 레벨 상위 통신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방법은 다중 중앙처리장치 보드 레벨 상위 통신 프로토콜에 있어서, 통신망의 종류에 따라서 호환 접속과 데이터 전송제어를 실행하는 하위 프로토콜;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누릴 수 있는 모든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응용 프로그램들간의 대화나 정보전송 등의 처리를 수행하는 상위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중앙처리장치 보드 레벨 상위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중앙처리장치 보드 레벨 상위 통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개념적인 노드와 장비 내부 보드와의 직접적인 통신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보드와 보드간의 통신을 포함한 개념적인 노드와 보드 레벨간의 직접통신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노드와 보드간의 통신에서 이용 가능한 목표 식별자와 비대칭 통신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보드의 트리 구조와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재전송을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송신측에서의 세그먼테이션과 수신측에서의 조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110,120,140,150 : 시스템 접근점(SAP)
130,160 : 제 5 신뢰 계층 (PENTRA)
170 :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중앙처리장치 보드 레벨 상위 통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프로토콜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 5 신뢰 계층(The Fifth(Penta-) Reliale layer;이하 PENTRA라고 함)(130,160)이라는 것이 본 프로토콜이며,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ser datagram protocol;이하 UDP라고 함)(170)은 하위 프로토콜로서 TCP/IP를 사용하는 경우의 예제이다. 서비스 접근점(service access point;이하 SAP라고 함)(100,110,120,140,150)은 서비스를 받는 포인트를 의미하며 각 SAP(100,110,120,140,150)마다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SAP는 애플리케이션을 나누는 역할을 한다. 윈도우는 SAP 별로 따로 존재하여 SAP #1(100)이 막히더라도 SAP #3(120)은 잘 통신될 수 있다.
도 2는 개념적인 노드와 장비 내부 보드와의 직접적인 통신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종래의 기술은 하나의 노드와 하나의 보드만 통신이 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중앙처리장치 보드 레벨 상위 통신 프로토콜은 도 2와 같이 하나의 노드(200)와 한 장비내 1개 이상의 보드(210,220,230,240,250)와 통신이 가능하다.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는 이러한 개념으로 쉽게 개발할 수 있다.
도 3은 보드와 보드간의 통신을 포함한 개념적인 노드와 보드 레벨간의 직접통신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FLC-B라는 실제 장비(미표시)의 예로서, MCU(320), DCU(310), BCU1(330), BCU2(340), BCU3(350)은 보드의 이름이며 MDIPC, IPC는 보드와 보드간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FLC-B 장비에는 LAN이 DCU(310)에 연결되어 있고 MCU(320)는 DCU(310)와 MDIPC로 연결되어 있다. 다시 채널의 BCU1(330), BCU2(340), BCU3(350)은 IPC로 MCU(320)와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종래 기술은 한 개의 노드(300)가 DCU(310)와만 직접 통신이 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MCU(320)나 BCU(330,340,350)와도 직접통신이 가능하다.
직접통신의 장점은 각 보드에 PENTRA가 올라가게 되므로 동일한 PENTRA 애플리케이션이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벤트 포워딩(Event Forwarding), 다운로딩(Downloading), 디버깅 모드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PENTRA가 직접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데이터그램인 송신(send), 수신(receive)과 비블럭킹(non-blocking)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수신시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rotocol Data Unit;이하 PDU라고 함)의 도착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폴(poll)만 있으면 된다. 데이터그램의 최소 크기는 512 바이트이다. 물론 애플리케이션에서 요구하는 간단한 포팅(Porting) 작업도 필요하다.
도 4는 노드와 보드간의 통신에서 이용 가능한 목표 식별자와 비대칭 통신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멀티 보드의 목적지를 지원하기 위해서 장비내의 보드를 지칭하는 목표 식별자를 추가하여 사용한다. 목표 식별자는 0부터 63 까지 총 64 개의 목표를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6 비트가 필요하다.
신호원(SOURCE)과 목적지를 표시하는 경우에 12비트가 필요하게 되고, 12 비트를 추가하게 되면 2 옥텟(octet)의 오버헤드가 증가하게 된다. 오버헤드에서 2 옥텟을 사용하게 되면 부담이 됨으로 6 비트만을 사용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노드와 보드레벨의 통신상에서 보드가 있는 곳이 한 쪽뿐이므로 비대칭(Asymmetric)의 형태를 취하게 된다. 따라서 신호원과 목적지를 주어야 하는 어드레스와 달리 항상 6 비트의 목표 식별자만 사용하게 된다. 이 의미는 노드(400,420)에서 장비(410,430)쪽으로는 목적지 목표 식별자를 나타내고 장비(410,430)에서 노드(400,420)쪽으로의 통신시에는 신호원 목표 식별자를 나타내게 된다. 나머지 생략된 신호원과 목적지 목표 식별자는 항상 0을 뜻하게 된다. 이로서 최소의 오버헤드를 사용하여 노드와 보드간의 통신에 가능한 목표 식별자를 사용한다.
도 5는 보드의 트리 구조와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보드간에는 라우팅을 하기 위하여 트리 구조를 가지게 되는데, 장비상에서 주소를 가지게 되는 보드가 트리의 루트가 된다. 트리의 루트는 N개의 자식(child)을 가지게 되며 다시 이 자식은 다른 자식을 가지게 된다. 각각의 보드에는 유일한 목표 식별자가 주어지게 되며, 자식을 거느리고 있는 부모(parent)는 자신의 모든 자식에 대한 목표 식별자 정보를 가지고 있다. 트리의 루트가 본 프로토콜의 데이터를 수신하면 목표 식별자를 보고 자신의 것인지 혹은 어떤 자식인지를 판단하여 해당 자식 방향으로 보낸다. 이를 위해서 필요한 인터페이스는 폴(poll), 수신, 송신이다.
폴은 수신 가능한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고 수신은 수신된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인터페이스이다. 송신은 데이터를 해당 보드로 보내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위의 3가지 인터페이스는 보드간의 통신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도 5를 참조하면, MCU(510)는 DCU(500)와 MDIPC로 연결되어 있다. 다시 채널의 BCU1(520),BCU2(530),BCU3(540)은 IPC로 MCU(510)와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장비 내부에서는 목표 식별자를 보고서 라우팅을 한다. 이와 관련된 3가지 개념이 톱(TOP)과 부모 인터페이스(PARENT INTERFACE)와 자식 일람표(CHILDREN TABLE)이다.
TOP은 프로토콜과 직접적인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보드 여부를 의미한다.
PARENT INTERFACE는 TOP이 아닌 보드의 경우 부모 보드와의 통신방법이 필요하며 이는 송신, 폴, 수신으로 이루어져 있다.
CHILDREN TABLE은 라우팅 테이블과 유사한 기능을 하며 목표 식별자와 송신, 폴, 수신의 정보가 들어있다. 그리고, 자식 보드의 수만큼 엔트리(entry)가 존재한다.
도 6은 재전송을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다중 중앙처리장치 보드 레벨 상위 통신 프로토콜은 비접속적(connectionless)이다. 송신과 수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커넥션에 대한 관리는 필요없다.
여기서, 비접속적이라는 것은 데이터 통신에서 상대방과의 사이에 논리적인 통신로의 확립, 해제의 절차를 설정하지 않고, 전송데이터 마다 상대방 주소나 파라미터를 부가하는 통신형태이다.
그리고, 신뢰적(Reliable)이라는 것은 송신을 보장한다는 의미로, 목적지 보드에 데이터가 도착했다는 것이나 통신의 이상으로 데이터가 도착하지 않았음을 알려준다. 하위 프로토콜은 비신뢰적(Unreliable)이며 비접속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이를 위해서 재전송이나 중복(duplication) 컨트롤을 이용한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데이터들(610∼680)은 모두 동일한 데이터로서, 상기 데이터를 수신측으로 보내면 수신측에서는 데이터를 수신하였다는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그런데 송신측에서 상기 수신신호를 인식하지 못한 경우 데이터를 재전송 하게 되는 것이다.
재전송은 원격지에서 수신을 확인하지 못한 내용에 대한 재전송을 의미하며, 중복 컨트롤은 동일한 데이터를 두 번 이상 수신하는 경우의 처리를 의미한다.
재전송 타이머는 PDU의 재전송이 일어나기까지의 시간이고, PDU의 왕복(round trip) 시간보다 길어야 한다. 네트워크에서 손실(Lost) PDU가 발생하는 경우 타이머가 짧으면 응답 시간이 빨라진다.
재전송 카운트는 재전송을 하는 수이며, 카운트만큼의 재전송 후에 타임아웃 데이터가 사용자에게 보내어진다.
PENTRA 타임아웃은 타임아웃 데이터가 사용자에게 보내어지는 시간(실제 존재하지 않음-개념상의 내용)이다. 최소 타임아웃은 재전송 타임아웃×재전송 카운트이다. 예를 들어 디폴트(default)가 15초라면, 원격지(remote)가 단절된 경우 15초 후에 에러가 발생한다.
도 7은 송신측에서의 세그먼테이션과 수신측에서의 조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PENTRA 서비스 데이터 단위(Service Data Unit;이하 SDU라고 함)(700)는 애플리케이션에서 본 프로토콜로 보내는 데이터를 나타낸다. 64K 데이터는 512K에서 헤더 부분만큼을 제외한 데이터 크기로 사용자의 데이터를 잘라 보낸다. 위의 예에서는 3개의 서브 데이터(710,720,730)로 잘라보내는 예를 보여준다. 수신부에서는 이와 반대로 나뉘어져 수신된 3개의 서브 데이터들(740,750,760)을 조립하여 원래의 데이터(770)로 복원한 것을 보낸다.
박스 내부의 1000은 각 사용자의 데이터를 구분하기 위한 일련 번호이고 1/3이나 2/3, 3/3 등은 총 3개로 나누어진 서브 데이터의 순서번호를 나타낸다. 1ST, 2ND, 3RD는 재전송의 개수를 나타낸다.
PENTRA는 64K의 데이터를 한 번에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위 프로토콜에서 512 바이트의 서비스를 사용한다. 이를 위해 송신쪽에서는 잘라 보내는 세그먼테이션이 이루어지고 수신측에서는 잘라 받은 것을 다시 조립한다.
하위 계층인 UDP는 최대 512 바이트를 사용하는데 헤더에서 12 바이트를 사용하므로 데이터로 500 바이트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 최대 130개의 총 개수가 가능하다(65536/500=131.07). PENTRA는 PDU의 총 크기가 고정된 경우만 지원하지만 프로토콜에 따라 미결정된 PDU 크기를 지원하는 경우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송신측에서는 1/3 서브 데이터(710)를 송신하고 수신측에서는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에 대한 긍정응답을 보내게 된다. 송신측은 수신한 데이터(712)로써 수신측에 데이터가 제대로 전달되었지를 인식하고 수신측은 1/3 서브 데이터(711)를 버퍼에 저장한다.
그리고 송신측에서는 2/3 서브 데이터(720)를 송신하게 된다. 첫 번째 2/3 데이터(720)가 송신 도중에 손실되면 송신측에서는 두 번째 2/3 데이터(721)를 송신하고 수신측에서 긍정응답을 보내게 된다. 송신측은 수신한 데이터(723)로써 수신측에 데이터가 제대로 전달되었지를 인식하고 수신측은 2/3 서브 데이터(722)를 버퍼에 저장한다. 그 동안에 송신측에서 세 번째 데이터(724)를 수신측에 송신하더라도 수신측에서는 상기 데이터(725)를 취소하게 된다.
그 다음 3/3 데이터(730)가 수신측으로 송신되는데 이 때도 역시 일정시간 동안 긍정응답이 없을 경우 두 번째 3/3데이터(733)를 송신하게 된다.
수신측에서 보낸 긍정응답이 지연되어 두 번째 보낸 3/3 데이터(733)보다 늦게 도착하더라도 송신측에서 인식만 되면, 첫 번째 데이터(731)는 저장이 된다. PDU 수신이 성공적으로 종료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해 PDU 수신 신호를 사용자에게 보낸다. 그 이후에 지연 도착된 두 번째 3/3 데이터(734)의 긍정응답은 취소된다. 송신측에 도착된 첫 번째 3/3 데이터(732)는 송신이 종료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에 PDU 송신 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지연 도착된 데이터(735)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된다.
PDU 수신 신호는 분할되어진 서브 데이터들(740,750,760)을 조립하여 원래의 데이터(770)로 복원한다.
상기와 같이 PDU는 버퍼에 따라 저장되고, 중복된 PDU는 수신측에서 검출하여 취소된다. 키(Key)로는 일련 번호를 사용하고 수신측에서는 총 번호만큼의 PDU를 받으면 사용자에게 PDU 송신신호를 보낸다.
지연 도착이란 송신측이나 수신측에서 해당 PENTRA SDU에 대한 프로세싱 종료된 후에 늦게 도착하는 PDU를 일컫는다. 지연되어 도착하는 PDU는 일련 번호를 보고 모두 무시된다. 하지만 긍정응답이 손실(loss)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수신측에서는 지연 도착에 대한 긍정응답을 전달한다.
수신측에서는 모든 PDU를 수신하면 사용자에게 PDU 수신 신호를 보낸다. 그 후에 보내는 해당 일련 번호에 대한 긍정응답이 손실되는 경우(재전송 카운트만큼 긍정응답 모두 없어져야 함), 수신측에서는 PDU를 실제로 받았지만 송신측에서는 타임아웃으로 처리하게 된다.
PDU 송신 신호는 수신측에서의 PDU 수신 신호를 보장하지만 타임아웃이 발생해도 수신측에서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은 존재한다. PDU 수신 신호는 PDU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나타내지만 송신측에서 PDU를 제대로 보내었다고 인식하지 않을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대개의 경우 이 가능성은 무시할 정도로 작지만 완벽한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해서 고려할 만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2 개 이상의 CPU 보드를 사용하는 장비상에서는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노드와 보드 레벨의 직접통신이 가능해짐으로써 게이트웨이를 통한 애플리케이션보다 신뢰하고, 통신의 장애시 문제의 확인이 용이하며, 애플리케이션 개발시 보드와 보드간의 구조에 개의치 않고 개발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보드레벨의 통신이 가능해짐으로써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및 적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동일한 프로토콜 및 애플리케이션의 재사용으로 인해 많은 부분이 이미 검증된 부분을 사용하게 되므로 안전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더욱이, 노드와 보드레벨의 통신을 위해서 필요한 인터페이스를 기존에 사용하는 보드간의 간단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사용하므로 개발이 용이하다.
Claims (10)
- 통신망의 종류에 따라서 호환 접속과 데이터 전송제어를 실행하는 하위 프로토콜;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누릴 수 있는 모든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및응용 프로그램들간의 대화나 정보전송 등의 처리를 수행하는 상위 프로토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중앙처리장치 보드 레벨 상위 통신 프로토콜.
- 제 1 항에 있어서,동일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복수개의 보드 레벨에서 통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중앙처리장치 보드 레벨 상위 통신 프로토콜.
- 제 1 항에 있어서,하위 프로토콜에 독립적으로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중앙처리장치 보드 레벨 상위 통신 프로토콜.
- 제 1 항에 있어서,소정의 비트로 구성된 목표 식별자를 사용하므로 노드와 보드레벨의 통신상에서 보드가 한 쪽에 있는 비대칭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중앙처리장치 보드 레벨 상위 통신 프로토콜.
- 제 1 항에 있어서,보드간에는 라우팅을 위하여 트리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중앙처리장치 보드 레벨 상위 통신 프로토콜.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 구조는수신 가능한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폴 인터페이스;수신된 데이터를 읽어 들이는 수신 인터페이스; 및데이터를 해당 보드로 보내기 위한 송신 인터페이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중앙처리장치 보드 레벨 상위 통신 프로토콜.
- 제 1 항에 있어서,원격지에서 수신을 확인하지 못한 내용에 대하여 재전송을 하고, 동일한 데이터를 두 번 이상 수신하는 경우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중앙처리장치 보드 레벨 상위 통신 프로토콜.
- 제 1 항에 있어서,상위 프로토콜은 비접속적이고 신뢰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중앙처리장치 보드 레벨 상위 통신 프로토콜.
- 제 1 항에 있어서,하위 프로토콜은 비신뢰적이고 비접속적인 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중앙처리장치 보드 레벨 상위 통신 프로토콜.
- 제 1 항에 있어서,한 번에 64K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송신측에서는 데이터를 잘라 보내는 세그먼테이션을 하고, 수신측에서는 잘라 받은 데이터를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중앙처리장치 보드 레벨 상위 통신 프로토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60132A KR100298483B1 (ko) | 1998-12-29 | 1998-12-29 | 다중 중앙처리장치 보드 레벨 상위 통신 프로토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60132A KR100298483B1 (ko) | 1998-12-29 | 1998-12-29 | 다중 중앙처리장치 보드 레벨 상위 통신 프로토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43722A true KR20000043722A (ko) | 2000-07-15 |
KR100298483B1 KR100298483B1 (ko) | 2001-10-26 |
Family
ID=19566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60132A KR100298483B1 (ko) | 1998-12-29 | 1998-12-29 | 다중 중앙처리장치 보드 레벨 상위 통신 프로토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9848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48866B1 (ko) * | 2002-10-07 | 2004-09-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다중 프로토콜을 구비한 이1 보드 |
-
1998
- 1998-12-29 KR KR1019980060132A patent/KR10029848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48866B1 (ko) * | 2002-10-07 | 2004-09-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다중 프로토콜을 구비한 이1 보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298483B1 (ko) | 2001-10-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745685A (en) | Protocol extension in NSPP using an acknowledgment bit | |
Braden | Rfc1122: Requirements for internet hosts-communication layers | |
Braden | Requirements for Internet hosts-communication layers | |
US7483376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vering path maximum transmission unit (PMTU) | |
JP4230663B2 (ja) |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パケット・ヘッダの削減 | |
CN1742473B (zh) | 用于在不同网络协议之间传输数据的通用协议层体系结构和方法、以及通用协议分组 | |
US6178181B1 (en) | Mapping function and method of transmitting signaling system 7(SS7) telecommunications messages over data networks | |
US6760766B1 (en) |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 |
US20050129064A1 (en) | Reliable transport layer protocol in low performance 8-bit microcontrollers | |
KR20010040449A (ko) | 네트워크 상에서 목적지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루팅하기위하여 도메인명들을 이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 | |
US6909717B1 (en) | Real time ethernet protocol | |
US6292836B1 (en) |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 |
Farber et al. | Thinwire protocol for connecting personal computers to the Internet | |
US6359888B1 (en) | Method for detecting invalid packets by rewriting transaction identifers | |
KR100298483B1 (ko) | 다중 중앙처리장치 보드 레벨 상위 통신 프로토콜 | |
JPH09270822A (ja) | パケット通信経路試験方法 | |
CN106254396B (zh) | 私有协议信息传输系统与方法 | |
Cisco | Synchronous Data Link Protocol and Derivatives | |
Cisco | Troubleshooting IBM | |
Cisco | Debug Command Reference | |
Cisco | Troubleshooting IBM | |
Cisco | Troubleshooting IBM | |
Cisco | Troubleshooting IBM | |
Cisco | Troubleshooting IBM | |
Cisco | Troubleshooting IB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1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