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8560A - 자수용 북실 - Google Patents

자수용 북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8560A
KR20000058560A KR1020000032741A KR20000032741A KR20000058560A KR 20000058560 A KR20000058560 A KR 20000058560A KR 1020000032741 A KR1020000032741 A KR 1020000032741A KR 20000032741 A KR20000032741 A KR 20000032741A KR 20000058560 A KR20000058560 A KR 20000058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embroidery
thread
denier
ray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2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8879B1 (ko
Inventor
김재훈
Original Assignee
김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훈 filed Critical 김재훈
Priority to KR1020000032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8879B1/ko
Publication of KR20000058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8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8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88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자수용 북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북실은 단사섬도 1.1∼4.2 데니어의 레이욘사 18∼48 필라멘트를 S 또는 Z방향으로 섬도 10∼20데니어의 제1나일론 모노사를 레이욘사와 반대방향으로 꼬임을 준 뒤, 섬도 10∼20데니어의 제2나일론 모노사를 레이욘사와 반대방향으로 꼬임을 준 것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의 북실은 북실교환횟수 감소로 기계가동율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고, 교환시 버리는 원사 감소로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인장력이 높고 염색시 염착차이가 발생하지 않아 자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수용 북실{Yarn for embroidery shuttle}
본 발명은 자수용 북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북의 교환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자수용 북실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자수용으로 사용되는 북실은 면 60수 2합(굵기로 환산하면 177데니어)으로, 도 2의 형상의 권사체로 와인딩하여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자수기용 북에 넣어 사용하고 있다. 자수기용 북실권사체에 와인딩되는 종래 북실의 길이는 최대 130m 정도로, 현장에서 하루에 4 내지 5회 교환하여 사용하므로, 북이 1,024개인 경우 1회 교환하는데 4인이 약 30 내지 40분 정도 소요되고, 따라서 1일 180분 정도 기계가동을 중단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기존의 북실은 자수제품의 생산성이 열악하게 때문에 자수업체에서는 정해진 크기의 권사체에 보다 많이 감기면서 자수용으로 적합한 특성을 갖는 북실에 대해서 큰 관심을 갖고 있는 실정이다.
북실을 길게 하기 위해서 보다 가는 실을 사용하면 되나, 실이 가늘수록 자수중에 절사의 발생가능성이 높아지고 그 결과 생산성을 더욱 떨어뜨리는 새로운 문제점을 발생시키므로 아직까지 만족할만한 북실제품이 제시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수용으로 적합한 특성을 갖고 있으며 자수기용 북에 휠씬 많이 감길 수 있는 새로운 북실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자의 연구에서 특정한 섬도의 레이욘사와 나일론사를 연사하여 이를 북실권사체로 제조하면 기존의 북실권사체와 동일한 크기에서 1.5배 긴 길이를 가지면서, 기존 북실에 비해 인장력이 강하고 및 보푸라기 발생율이 훨씬 낮으며 염색성도 우수하다는 사실을 알게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된 것이다.
도 1은 자수기용 북의 형태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자수기용 북에 수용되는 북실권사체의 형태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예시되는 북실의 꼬임형태를 예시한 도면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레이욘사
2a : 제1나일론 모노사
2b : 제2나일론 모노사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자수용 북실에 있어서, 단사섬도 1.1∼4.2 데니어의 레이욘사 18∼48 필라멘트를 S 또는 Z방향으로 섬도 10∼20데니어의 제1나일론 모노사를 레이욘사와 반대방향으로 꼬임을 준 뒤, 섬도 10∼20데니어의 제2나일론 모노사를 레이욘사와 반대방향으로 꼬임을 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용 북실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자수기용 북이 예시되며, 도 2에는 북에 수용되는 북실 권사체가 예시된다. 북의 크기는 자수기의 규격에 따라 정해지기 때문에 북실 권사체의 크기 또한 자수기의 규격에 좌우된다.
본 발명의 북실권사체는 기존의 북실 권사체와 동일한 크기를 갖되, 보다 긴 길이를 갖게 되는데, 이는 북실을 단사섬도 1.1∼4.2 데니어의 레이욘사 18∼48 필라멘트를 S 또는 Z방향으로 섬도 10∼20데니어의 제1나일론 모노사를 레이욘사의 반대방향으로 꼬임을 준 뒤, 섬도 10∼20데니어의 제2나일론 모노사를 레이욘사의 반대방향으로 꼬임을 주어 형성시키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북실을 도 3에 에시되는 바와 같이 레이욘사(1)를 Z방향으로, 제1 및 제2 나일론 모노사(2a,2b)를 S방향으로 꼬임을 주는 방식으로 연사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북실에 있어서, 레이욘사의 단사섬도가 주어진 범위의 하한 보다 낮은 경우에는 자수중에 사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바람직하지 못하며. 단사섬도가 주어진 범위의 상한 보다 높은 경우에는 북실로로 사용하기에는 큰 문제는 없으나 북실권사체의 길이 증가량이 원하는 수준에 못미치게 되어 바람직스럽지 못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레이욘사의 총섬도(D)/필라멘트수(f) 조합은 20D/18f, 30D/18f, 40D/18∼24f, 50D/18∼36f, 75D/18∼48f 등이 있으며, 이중에서도 특히 바람직한 조합은 75D/36f이다.
또한, 레이욘사와 연사되는 제 1 및 제 2 나일론 모노사의 경우에도 섬도가 주어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레이욘사와 유사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레이욘사를 Z방향으로 제1나일론사를 S방향으로 꼬임을 준 뒤 제2나일론사를 S 또는 Z방향으로 권취하야 북실을 제조하면, 제조된 북실의 인장력이 자수용에 적합하게 되고 보푸라기가 발생하지 않게 되며, 권사체로부터 용이하게 북실이 해사되고 자수가공이 원활하게 된다.
한편, 자수용 원사(앞실)는 주로 120∼150데니어의 레이욘 원사를 사용하고 있는 바, 본 발명의 북실을 사용하면 염색시 같은 염로를 채택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 앞실과 북실의 원사 종류가 달라 색상별 롯드(LOT)차가 발생되어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 및 기타의 장점은 후술되는 실시예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단,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섬도 20데니어의 투명한 제1나일론 모노사(2a)를 S방향으로 75D/24f의 레이욘사(1)를 Z방향으로 꼬임을 준 뒤, 섬도 20데니어의 투명한 제2나일론 모노사(2b)를 S 방향으로 꼬임을 주어 북실을 제조하고, 제조된 북실을 사용하여 기존의 면60수 2합으로된 자수용 북실권사체(북실길이 130m)와 동일한 크기의 권사체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북실 권사체에 와인딩된 북실의 길이를 측정한 결과 200m이었다. 즉, 기존대비 길이증가율이 53%이었다.
실시예의 북실권사체를 북 1,024개에 넣고 4인이 북실을 교환하면서 1일 가동한 결과, 기계가동중단시간이 90분 정도에 불과한 반면, 상기 기존의 북실의 경우 동일한 조건에서 기계가동중단시간이 180분이었다.
또한, 기존의 면58수 2합으로된 북실과 비교한 결과, 기존 북실의 경우 인장력이 낮고 보푸라기발생이 많아 자수시 절사빈도가 높았으나, 본 실시예의 북실은 인장력이 높고 보푸라기 발생이 거의 없으며 자수시 절사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북실은 북실교환횟수 감소로 기계가동율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고, 교환시 버리는 원사 감소로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인장력이 높고 염색시 염착차이가 발생하지 않아 자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장점이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자수용 북실에 있어서, 단사섬도 1.1∼4.2 데니어의 레이욘사 18∼48 필라멘트를 S 또는 Z방향으로 섬도 10∼20데니어의 제1나일론 모노사를 레이욘사와 반대방향으로 꼬임을 준 뒤, 섬도 10∼20데니어의 제2나일론 모노사를 레이욘사와 반대방향으로 꼬임을 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용 북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욘사의 총섬도(D)/필라멘트수(f) 조합이 20D/18f, 30D/18f, 40D/18∼24f, 50D/18∼36f 또는 75D/18∼48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용 북실.
KR1020000032741A 2000-06-14 2000-06-14 자수용 북실 KR100348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741A KR100348879B1 (ko) 2000-06-14 2000-06-14 자수용 북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741A KR100348879B1 (ko) 2000-06-14 2000-06-14 자수용 북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8560A true KR20000058560A (ko) 2000-10-05
KR100348879B1 KR100348879B1 (ko) 2002-08-17

Family

ID=19671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741A KR100348879B1 (ko) 2000-06-14 2000-06-14 자수용 북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88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409B1 (ko) 2018-05-02 2019-02-11 주식회사 이폴리움 냉감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냉감 원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8879B1 (ko) 200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67622B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textile in extra-fine animal fibres which are not industrially weavable, by the use of continuous water-soluble synthetic filaments
CN108728967A (zh) 包缠结构亚麻、涤纶长丝段彩复合纱的加工方法及复合纱
KR100348879B1 (ko) 자수용 북실
KR100368645B1 (ko) 자수용 북실
US20030121245A1 (en) Composite elastic yar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stretchable textile fabric, and stretchable knitted fabric
JPH1161581A (ja) 芯鞘型複合紡績糸および布帛
KR20000052344A (ko) 숭고사의 제법
RU2113565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нить
KR920010290B1 (ko) 세섬도의 폴리아미드 모노 포이-가연사(Mono Poy-DTY)의 제조방법
JP2550132B2 (ja) 空気仮撚法による麻/レーヨン/ポリエステル混紡糸
CN209178565U (zh) 一种高强度高支双股纱
JPS6127495B2 (ko)
RU2066355C1 (ru) Крученая швейная нитка
KR890001788B1 (ko) 유사 루우프사(Imitation loop yarn)의 제조방법
JPS61289148A (ja) 意匠撚糸
JP3483340B2 (ja) 経編構造を有する伸縮性複合糸
RU2089683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ряжи на крутильной машине с полым веретеном
JPH08199439A (ja) 意匠糸の製造方法
RU2099450C1 (ru) Пряжа для тканых и трикотажных изделий,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ткань и трикотажное полотно
JPH06330426A (ja) 特殊意匠糸及びその製造法
JP2839294B2 (ja) 複合糸の製造方法
CN115140615A (zh) 一种提高氨纶纤维卷绕生头效率的工艺控制方法
JPS6214652B2 (ko)
JPS62215040A (ja) 特殊布帛物
JPH07150431A (ja) 弾性割繊糸の製糸方法、および割繊カバーリング糸の製糸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