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8063A - 연료 주입기 - Google Patents

연료 주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8063A
KR20000058063A KR1020000007269A KR20000007269A KR20000058063A KR 20000058063 A KR20000058063 A KR 20000058063A KR 1020000007269 A KR1020000007269 A KR 1020000007269A KR 20000007269 A KR20000007269 A KR 20000007269A KR 20000058063 A KR20000058063 A KR 20000058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fuel
fuel injector
outlet opening
adjustmen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7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버클리폴
Original Assignee
덴턴 마이클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덴턴 마이클,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덴턴 마이클
Publication of KR20000058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8063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04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having valves, e.g. having a plurality of valves in series
    • F02M61/10Other injectors with elongated valve bodies, i.e. of needle-valv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8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8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61/1806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ischarge orifices, e.g. orientation or siz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29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rot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구 개구부(outlet opening; 12)에 공급되는 연료를 제어하도록 시팅(seating)과 체결 가능한 밸브 니들(valve needle; 14)을 포함하는 연료 주입기(fuel injector)에 있어서, 개구부(16)를 구비하는 조절 부재(adjustment member; 15)를 포함한다. 조절 부재(15)는 출구 개구부(12)에 대해 자신의 개구부(16)를 이동시키도록 움직일 수 있어서 출구 개구부(12)에 의해 이루어지는 연료 유동 제한, 및 이에 따른 연료 주입기에 의해 전달되는 연료 유량을 변경시킨다.

Description

연료 주입기 {FUEL INJECTOR}
본 발명은 연료 주입기(fuel injector)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압축 점화식 내연 기관(compression igni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의 실린더에 소정 압력으로 연료를 전달하는 경우에 사용하기 적합한 연료 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연료 주입기는 보어(bore) 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며, 시팅(seating)의 챔버(chamber) 하류부(downstream)에 공급되는 연료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시팅과 체결될 수 있는 밸브 니들(valve needle)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챔버는 복수의 출구 개구부와 연통된다. 상기 출구 개구부는 연료의 유동을 제한하도록 형성되며, 주어진 연료 압력에 대해 상기 연료 주입기에 의해 전달되는 연료의 유량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출구 개구부가 구멍이 미리 뚫려 있기 때문에, 연료 유동의 제한은 제조 후에 조절될 수 없으며, 상기 연료 유량은 사용 중에는 조절될 수 없다.
일부 공지된 구성에서, 예를 들어 상기 밸브 니들 내에 형성되는 보어 내 슬라이드 가능한 제2 밸브 니들의 경우, 사용되는 상기 출구 개구부가 임의의 시점에 제어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으로 연료 유량을 제어하는 것은 전체 분사 형성 또는 패턴이 용도 변경하려는 개구부의 수만큼 변경되고, 사용하지 않는 이들 개구부가 코크스(coke) 또는 래커(lacquer)에 의해 막힐 수 있다는 점에서 불리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 주입기의 출구 개구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연료 유동의 제한, 및 이에 따른 연료 유량이 사용 시에 변경될 수 있으며 동시에 모든 출구 개구부를 사용할 수 있는 연료 주입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출구 개구부에 공급되는 연료를 제어하도록 시팅과 체결 가능한 밸브 니들, 및 개구부를 구비하는 조절 부재―여기서 조절 부재는 연료 주입기에 의해 전달되는 연료의 유량을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출구 개구부에 관련된 자신의 개구부를 움직이도록 이동이 가능함―를 포함하는 연료 주입기가 제공된다.
상기 조절 부재에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가 알맞게 제공되며, 상기 조절 부재는 상기 출구 개구부와 연통되는 제1 개구부―여기서 제1 개구부 및 출구 개구부는 연료 유동의 제1 제한을 함께 제한함―의 제1 위치(first position), 및 상기 출구 개구부와 연통되는 제2 개구부―여기서 제2 개구부 및 출구 개구부는 연료 유동의 제2 제한을 함께 제한함―의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여기서 제1 및 제2 개구부는 연료 유동의 제한을 변경하기 위해 상이한 형상의 입구 단부(entry end)를 구비함―가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개구부의 입구 단부는 뾰족할 수 있고, 상기 제2 개구부의 입구 단부는 방사형일 수 있다. 결국, 약 30%에 달하는 유동률의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절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각도 이동(angular movement)이 가능하거나 또는 축상으로 이동(axial movement)이 가능하다.
상기 시팅은 상기 조절 부재의 일부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지금까지 기술된 구성은 연료 유동의 효율적인 제한의 조절이 허용되므로, 주어진 연료 압력에 대해 상기 연료 주입기에 의해 전달되는 연료의 유량이 조절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대안적인 구성으로, 상기 조절 부재는 상기 출구 개구부에 대해 이동이 가능하여 상기 출구 개구부로부터 상기 조절 부재의 개구부의 간격(separation)을 변경시키며, 동시에 그 사이의 연통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연료 유동의 효율적인 제한, 및 이에 따른 연료 유량이 2개 이상의 별개의 레벨 사이에서 조절되는 것보다 연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를 드는 방식으로 추가로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주입기의 부분 단면도.
도 2는 다른 동작 모드에서 도 1의 연료 주입기의 부분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의 동작 모드를 예시하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변형예를 예시하는 도 3a 및 도 3b와 유사한 도면.
도 5 내지 도 8은 추가 변형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 9는 연료 주입기의 동작 모드들 간의 절환 기술을 예시하는 도 1과 유사한 도면.
도 1에 부분적으로 예시된 연료 주입기는 한쪽 끝이 막힌 단부(blind end)에 인접한 위치에서 시팅 영역을 제한하는 폐쇄 보어(blind bore; 11)가 제공되는 노즐 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시팅 영역의 하류부에서, 상기 노즐 몸체(10)에 소직경의 천공부(drilling) 형태로 복수의 출구 개구부(12)가 제공된다. 상기 보어(11)는 공급 통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천공부(도시되지 않음)로 연통되는 확장 통로(angular gallery; 13)를 형성하는 형체이며, 여기서 상기 보어(11)에 적합한 연료 소스로부터 고압력의 연료가 공급된다. 상기 연료 소스는 연료 펌프에 의해 적당히 높은 압력으로 연료에 부과되는 커먼 레일(common rail)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연료 소스는 회전식 분배기 펌프(rotary distributor pump)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밸브 니들(14)―여기서 밸브 니들(14)은 슬라이드 이동을 위해 상기 밸브 니들(14)을 안내하는 상기 보어(11)의 인접 부분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 범위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 몸체(10)와 거의 유체 밀착 밀봉(fluid tight seal)을 형성함―은 보어(11) 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다. 상기 밸브 니들(14)은 계단 형(stepped form)으로서, 보어(11) 내에서 연료 압력에 노출되고 위치가 지정되는 스러스트 면(thrust surface; 14a)을 포함하여, 보어(11)에 적용되는 고압력의 연료가 보어(11)의 한쪽 끝이 막힌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밸브 니들(14)을 압박하는 힘을 인가하게 된다. 보어(11)의 한쪽 끝이 막힌 단부에 인접한 밸브 니들(14)의 단부 부분은 슬리브(sleeve) 형태로 상기 조절 부재(15) 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다. 상기 조절 부재(15)는 보어(11)에 의해 정해지는 시팅 영역과 체결되는 형체이며 조절 부재(15)의 내부는 상기 밸브 니들(14)의 단부 영역이 체결 가능한 시팅을 제한한다. 상기 시팅의 하류부에서, 조절 부재(15)에는 상기 노즐 몸체(10)에 제공되는 출구 개구부(12)와 맞추어질 수 있도록 위치가 지정되는 복수의 개구부(16)가 제공된다. 상기 시팅의 상류부(upstream)에서, 상기 조절 부재(15)에는 보어(11) 및 조절 부재(15)의 내부 간의 연통을 허용하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천공부(17)가 제공된다.
스프링(18)이 상기 밸브 니들(14)에 정해지는 상기 조절 부재(15) 및 숄더(shoulder)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스프링(18)은 상기 보어(11)에 의해 정해지는 시팅 영역과 체결되도록 상기 조절 부재(15)를 압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프링(18)은 코일 압축 스프링(coiled compression spring)의 형태를 취할 수 있지만, 도 1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18)은 기계식 스프링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확장 통로(13)가 커먼 레일 연료 시스템의 커먼 레일과 연통되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연료 주입기는 상기 밸브 니들(14)의 이동, 및 이로 인한 연료 주입의 개시 및 종료의 시점을 제어하기 위해 배치되는 제어 조절 장치(control arrangement)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 3a 및 도 3b에 보다 명백하게 예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조절 부재(15) 내에 제공되는 개구부(16)는 제1 개구부 집합(16a) 및 제2 개구부 집합(16b)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개구부 집합(16a)은 상기 출구 개구부(12)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의 천공부 형태를 취한다. 상기 제2 개구부 집합(16b)은 상기 제1 개구부 집합(16a)과 유사하지만, 그 가장 안쪽의 단부에서 방사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조절 부재(15)는 제1 개구부 집합(16a)이 상기 출구 개구부(12)와 맞추어지도록 배치되는 도 1 및 도 3a에 예시된 위치, 및 상기 제2 개구부 집합(16b)이 상기 출구 개구부(12)와 연통되는 도 2 및 도 3b에 예시된 제2 위치 사이에서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제2 개구부(16b) 상의 방사 단부 영역(radiused end region)의 제공은 상기 개구부(16 및 출구 개구부(12)의 조합을 발생하여 상기 조절 부재(15)가 도 1 및 도 3a에 예시된 위치를 점유하는 경우보다 상기 조절 부재(15)가 도 2 및 도 3b에 예시된 위치를 점유하는 경우에 연료 유동을 더욱 적게 제한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연료 유량의 변경량은 약 30%이다.
사용 시에, 주입의 개시에 앞서, 제어 조절 장치는 상기 기관의 동작 조건을 고려하여 바람직한 연료 전달 유량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며, 및 상기 조절 부재(15)가 상기 제1 개구부 집합(16a) 또는 제2 개구부 집합(16b) 중 하나를 상기 출구 개구부(12)와 연통되기 위해 적합한 위치로 이동되는 각도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이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밸브 니들(14)은 상기 조절 부재(15)에 의해 정해지는 상기 시팅으로부터 상승 이동되며, 이러한 이동은 연료가 상기 천공부(17)를 통해 상기 보어(11)로부터 상기 조절 부재(15)로 유동되는 것을 허용하며, 적합한 개구부 집합(16)을 통해 상기 연료 주입기가 결합되는 기관의 실린더에 대한 연소 공간으로 연료가 전달되는 곳으로부터 상기 출구 개구부(12)로 유동되는 것을 허용한다. 주입이 종료되는 것을 결정하는 경우, 상기 밸브 니들(14)은 상기 조절 부재(15)에 의해 정해지는 시팅과 체결되도록 복귀되며, 이로 인해 상기 보어(11)의 내부 및 상기 출구 개구부(12) 사이의 연통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주입 동안에, 상기 스프링(18)은 상기 조절 부재(15)가 상기 보어(11)에 의해 정해지는 상기 시팅 영역과 계속 체결 유지됨으로써 상기 보어(11) 및 상기 출구 개구부(12) 사이의 직접 연통을 방지하는 것을 보장한다.
지금까지 기술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 부재(15)가 주입 개시에 앞서 소정 위치로 회전되지만, 상기 조절 부재(15)가 상기 밸브 니들(14)의 이동 개시 후에 짧게 이동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그 위치가 조절되는 순간에 상기 조절 부재(15) 상에 걸리는 부하가 감소되고, 따라서 이러한 조절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 부재(15)의 위치 조절은 주입 사이클 동안 연료 전달 유량을 조절하도록 주입 중에 이루어질 수 있다.
다수의 기술이 상기 조절 부재(15)의 위치를 조절하는데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조절 부재(15)는 상기 밸브 니들(14)의 각도 이동이 상기 조절 부재(15)에 전달되도록 상기 밸브 니들(14)에 끼울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적합한 모터가 사용 시에 상기 연료가 전달되는 유량을 제어하도록 상기 밸브 니들(14)의 각도 위치를 조절하는데 알맞게 사용된다. 상기 조절 부재(15)를 상기 밸브 니들(14)에 끼우는 것의 대안으로서, 상기 조절 부재(15)는 상기 밸브 니들(14)의 각도 이동이 상기 스프링(18)을 통해 상기 조절 부재(15)에 전달되도록 상기 밸브 니들(14)에 차례대로 끼워지는 스프링(18)에 끼워질 수 있다. 지금까지 기술된 상기 스프링(18) 및 상기 조절 부재(15)가 개별적인 독립 부재이지만, 원한다면 이들 부품은 서로 일체형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상기 조절 부재(15)의 위치를 조절하는 대안적인 기술을 예시한다. 도 9에 예시된 구성에서, 상기 조절 부재(15)에는 구동 축 또는 핀(21)에 의해 이동되는 기어(20) 상에 제공되는 치차(teeth)와 연동되도록 배치되는 일련의 치차(19)가 상기 조절 부재(15)의 외부 상에 제공된다. 상기 구동 축 또는 핀(21)은 확장 통로(13)와 연통되도록 상기 천공부―여기서 천공부는 상기 조절 부재(15)에 인접하는 상기 보어(11)의 일부와 통하도록 연장됨―를 따라 연장된다. 예를 들어 스테퍼(stepper) 모터 또는 피에조(piezo) 모터와 같은 적합한 모터가 상기 기어(20)를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 축 또는 핀(21)을 회전시키며, 이로 인해 상기 연료 주입기의 동작 사이클에서 적합한 시점에 상기 조절 부재(15) 위치의 회전 또는 각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구성에서, 상기 조절 부재(15)가 상기 보어(11)의 일부에 의해 정해지는 시팅 영역에 대향하는 자리를 차지하고, 상기 밸브 니들(14)이 상기 조절 부재(15) 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므로, 상기 보어(11)의 한쪽 끝이 막힌 단부에 인접하는 상기 밸브 니들(14)의 일부가 슬라이드 이동을 위해 안내되며, 상기 밸브 니들(14)의 안내에 의해 상기 밸브 니들(14)이 상기 보어(11) 및 상기 조절 부재(15) 상에 제공되는 상기 시팅과 동심(concentric)을 유지하는 것이 보장되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지금까지 기술된 구성에서 모든 출구 개구부(12)가 각각의 주입 동안 사용되어, 분사 형태 및 형상이 주입들 간에 변경되지 않으며 상기 출구 개구부(12)가 막히는 위험이 감소된다. 주입 유량은 주어진 연료 압력 하에서 상기 분사 폭, 운동량(momentum) 및 침투력(penetration)을 결정하여 선택한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구성의 변형예를 예시한다. 도 4a 및 도 4b에 예시된 변형예에서, 상기 개구부(16b)는 계단형인 천공부로 대체되고 연료 유량을 제한하는 영역(16c)―여기서 제한 영역(16c)은 비교적 큰 직경 영역(16d)으로 통함―을 포함하도록 배치된다. 사용 시에, 도 4a에 예시된 각도 위치에서 상기 조절 부재(15)에 대해, 상기 개구부(16a) 및 출구 개구부(12) 조합의 유효 영역은 상기 출구 개구부(12)의 단면 영역(cross-sectional region)과 거의 동일하다. 상기 조절 부재(15)가 도 4b에 예시된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이후 상기 비교적 큰 직경 영역(16d)에 의해 서로 공간적으로 떨어진 상기 제한 영역(16c) 및 출구 개구부(12) 조합의 유효 영역은 상기 출구 개구부(12)의 단면 영역의 약 0.707배이다. 따라서, 도 4a에 예시된 위치로부터 도 4b에 예시된 위치로의 상기 조절 부재(15)의 이동은 연료 유동의 제한을 증가시키며, 이로 인해 연료 유량이 떨어지게 된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지금까지 기술된 구성의 변형예를 도식적으로 예시하지만, 여기서 상기 조절 부재(15)는 상기 연료 전달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서 조절 가능한 각도로 이동하지 않고 상기 보어에 대해 축상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도 5a에 예시된 위치에서, 상기 개구부(16b)는 상기 출구 개구부(12)와 연통되며, 따라서 연료 유동의 제한은 비교적 작고 상기 연료 전달 유량은 비교적 빠르다. 도 5b는 상기 개구부(16b)가 더 이상 상기 출구 개구부(12)와 연통되지 않고 대신 상기 개구부(16a)가 상기 출구 개구부(12)와 연통되는 위치로 상승 이동되는 조절 부재(15)를 갖는 연료 주입기를 예시한다. 결국, 연료 유량의 제한이 증가하며, 이로 인해 주어진 연료 압력 하에서 전달되는 연료의 유량이 감소된다.
도 6a 및 도 6b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지금까지 기술된 구성의 변형예를 예시하지만, 여기서 상기 조절 부재(15)는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자신의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각도 이동되지 않고 축상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도 7a 및 도 7b는 조절 부재(15)가 자신의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축상으로 이동되는 다른 변형예를 예시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도 7a에 예시된 제1 위치에서 상기 조절 부재(15) 내에 제공되는 개구부(16b)는 상기 연료 주입기 내에 제공되는 여러 출구 개구부(12)와 연통된다. 도 7a에 예시된 제1 위치로부터 도 7b에 예시된 제2 위치로의 상기 조절 부재(15)의 이동은 별도의 개구부(16a)를 상기 출구 개구부(12)의 대응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이동시킨다. 도 7a의 구성에서 연료 유동의 제한은 도 7b의 연료 유량 제한과 상이하며, 이로 인해 주어진 연료 압력에 대해 전달되는 연료 유량이 도 7a 및 도 7b에 예시된 위치들 사이에서 상기 조절 부재(15)를 이동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지금까지 기술된 각각의 구성에서, 상기 조절 부재(15)는 연료가 제1 유량으로 유동되는 제1 위치 및 연료가 제2 유량으로 유동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주어진 연료 압력에서 연료가 단지 2개의 별도 유량으로 유동되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각각의 실시예는 다수의 별도 유량으로 연료가 전달되도록 변경될 수 있지만, 이들 실시예는 연료 유량이 연속적인 범위에 대해 연료 유동을 허용하지는 않는다. 도 8a 및 도 8b는 허용되는 연료 유량이 연속적으로 조절될 수 변형예를 예시한다. 도 8a 및 도 8b의 구성에서, 상기 조절 부재(15)는 도 8a에 예시된 제1 위치 및 도 8b에 예시된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조절 부재(15)는 이들 2개의 극단 위치에 사이의 임의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다. 도 8b에 예시된 위치에서, 상기 조절 부재(15) 내에 형성된 개구부(16)는 상기 출구 개구부(12)로부터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다. 도 8a에 예시된 위치에서 상기 조절 부재(15)에 대해, 상기 출구 개구부(12) 및 상기 개구부(16)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연료 유동을 제한하는 유효 영역은 상기 출구 개구부(12)―여기서 출구 개구부(12) 및 개구부(16)는 단면 영역이 거의 동일함―의 단면 영역과 거의 동일하다. 상기 조절 부재(15)가 도 8b에 예시된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출구 개구부(12) 및 상기 개구부(16)에 의해 형성되는 제한 유효 영역은 상기 출구 개구부(12)의 단면 영역의 거의 0.707배에 해당한다. 중간 위치에서, 상기 제한 유효 영역은 이들 2 극단 위치 사이에 존재된다. 상기 조절 부재(15) 위치의 적합한 조절에 의해 상기 개구부(16) 및 상기 출구 개구부(12) 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연료 유동 제한이 제어될 수 있고, 따라서 주어진 연료 압력에 대해 전달되는 연료 유량이 제어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지금까지의 기술에서, 상기 연료 주입기가 제어되는 방식이 커먼 레일형 주입기와 관련하여 기술되었지만, 상기 밸브 니들(14)은 단지 상기 보어(11)의 한쪽 끝이 막힌 단부 쪽으로 인가되는 스프링일 수 있다는 점, 주입의 개시 시점은 압력을 받는 연료가 상기 보어(11)에 공급되는 시간의 적합한 제어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는 점, 및 상기 보어(11) 내의 연료 압력은 상기 밸브 니들(14)에 인가되는 탄성력이 상기 밸브 니들(14)이 상기 조절 부재(15)에 의해 정해지는 시팅과 체결되는 것을 보여주는 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충분히 낮은 레벨인 경우에 주입이 종료되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료 주입기의 출구 개구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연료 유동의 제한, 및 이에 따른 연료 유량이 사용 시에 변경될 수 있으며 동시에 모든 출구 개구부를 사용할 수 있는 연료 주입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3)

  1. 출구 개구부(outlet opening; 12)에 공급되는 연료를 제어하도록 시팅(seating)과 체결 가능한 밸브 니들(valve needle; 14); 및
    개구부(16)를 구비하는 조절 부재(adjustment member; 15)
    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 부재(15)가 상기 출구 개구부(12)에 대해 자신의 개구부(16)를 움직이도록 이동이 가능하여 상기 출구 개구부(12)에 의해 이루어지는 연료 유동 제한, 및 이에 따른 연료 주입기에 의해 전달되는 연료 유량을 변경시키는
    연료 주입기.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출구 개구부(12)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조절 부재(15)가 상기 출구 개구부(12)에 대해 자신의 개구부(16)를 움직이도록 이동이 가능하여 상기 출구 개구부(12)에 의해 이루어지는 연료 유동 제한을 변경시키며, 동시에 모든 상기 출구 개구부(12)를 사용하는
    연료 주입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15)에 제1 개구부(16a) 및 제2 개구부(16b, 16c, 16d)가 제공되는 연료 주입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15)가 상기 출구 개구부(12)와 연통되는 제1 개구부(16a)―여기서 제1 개구부(16a) 및 출구 개구부(12)는 연료 유동의 제1 제한을 함께 제한함―의 제1 위치(first position), 및 상기 출구 개구부(12)와 연통되는 제2 개구부(16b, 16c, 16d)―여기서 제2 개구부(16b, 16c, 16d) 및 출구 개구부(12)는 연료 유동의 제2 제한을 함께 제한함―의 제2 위치(second position)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연료 주입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16a, 16b)―여기서 제1 및 제2 개구부(16a, 16b)는 연료 유동의 제한을 변경하도록 상이한 형상의 입구 단부를 구비함―가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갖는 연료 주입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중 제1 개구부(16a)의 입구 단부 형상은 뾰족하며(sharp), 제2 개구부(16b)의 입구 단부 형상은 방사형(radius)인 연료 주입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부의 형상이 계단 형상의 천공부(drilling; 16c, 16d)인 연료 주입기.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15)가 상기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각도 이동이 가능한 연료 주입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15)가 상기 밸브 니들(14)에 맞추어져(keyed) 상기 조절 부재(15)의 각도 이동(angular movement)이 달성되는 연료 주입기.
  10. 제8항에 있어서,
    구동 축(21)과 결합된 대응 치차(teeth)에 연동하는 복수의 치차가 상기 조절 부재(15)에 제공되어 상기 조절 부재(15)의 각도 이동이 달성되는 연료 주입기.
  11.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15)가 상기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축상으로 이동이 가능한 연료 주입기.
  12. 제1항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15)가 상기 출구 개구부(12)에 대해 이동이 가능하여 상기 출구 개구부(12)로부터 상기 조절 부재(15)의 개구부(16)의 간격(separation)을 변경시키며, 동시에 연료 유량의 연속 범위를 초과하여 연료 공급을 허용하도록 그 사이의 연통을 유지하는 연료 주입기.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니들(14)의 시팅이 상기 조절 부재(15)의 일부에 의해 정해지는 연료 주입기.
KR1020000007269A 1999-02-16 2000-02-16 연료 주입기 KR200000580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9903496.9A GB9903496D0 (en) 1999-02-16 1999-02-16 Fuel injector
GB9903496.9 1999-02-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8063A true KR20000058063A (ko) 2000-09-25

Family

ID=10847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7269A KR20000058063A (ko) 1999-02-16 2000-02-16 연료 주입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412712B1 (ko)
EP (1) EP1030054A3 (ko)
JP (1) JP2000240532A (ko)
KR (1) KR20000058063A (ko)
GB (1) GB9903496D0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923823D0 (en) 1999-10-09 1999-12-08 Lucas Industries Ltd Fuel injector
ES2280318T3 (es) 2000-07-18 2007-09-16 Delphi Technologies, Inc. Inyector de combustible.
GB0107575D0 (en) * 2001-03-27 2001-05-16 Delphi Tech Inc Control valve arrangement
DE10149277A1 (de) * 2001-10-05 2003-04-24 Siemens Ag Kraftstoffeinspritzventil
US7252249B2 (en) * 2002-02-22 2007-08-07 Delphi Technologies, Inc. Solenoid-type fuel injector assembly having stabilized ferritic stainless steel components
DE10227277A1 (de) * 2002-06-19 2004-01-08 Robert Bosch Gmbh Kraftstoffeinspritzventil für Brennkraftmaschinen
DE102004033283A1 (de) * 2004-07-09 2006-02-02 Robert Bosch Gmbh Kraftstoffeinspritzventil für Brennkraftmaschinen
EP1744050B1 (en) * 2005-07-13 2008-04-09 Delphi Technologies, Inc. Injection nozzle
EP2741080A1 (de) * 2012-12-05 2014-06-11 CTC Analytics AG 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m Einspritzen eines Fluids in ein Analysegerät
NL1041770B1 (en) 2016-03-18 2017-10-03 Cereus Tech B V Improved fuel injection devices.
US10808668B2 (en) * 2018-10-02 2020-10-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a fuel injecto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5266A (en) * 1912-10-24 1915-09-28 Clemens Pasel Fuel-injecting device.
CH636409A5 (en) * 1979-03-01 1983-05-31 Sulzer Ag Injection valve on a reciprocating pist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2948451A1 (de) * 1979-12-01 1981-06-04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Kraftstoffeinspritzduese fuer brennkraftmaschinen
EP0065282B1 (de) * 1981-05-20 1985-10-09 Robert Bosch Gmbh Kraftstoff-Einspritzdüse für Brennkraftmaschinen
JPS6022071A (ja) * 1983-07-16 1985-02-04 Mitsubishi Heavy Ind Ltd 燃料噴射弁
DE3407545A1 (de) * 1984-03-01 1985-09-05 Hubert 8500 Nürnberg Keiczek Kraftstoff-einspritzduese fuer brennkraftmaschinen
JPS61286575A (ja) * 1985-06-14 1986-12-17 Tech Res Assoc Highly Reliab Marine Propul Plant 燃料噴射弁
JPS61286576A (ja) * 1985-06-14 1986-12-17 Tech Res Assoc Highly Reliab Marine Propul Plant 燃料噴射弁
GB8817774D0 (en) * 1988-07-26 1988-09-01 Lucas Ind Plc Fuel injectors for i c engines
US5029759A (en) * 1989-11-17 1991-07-09 Cummins Engine Company, Inc. Curved hole machining method and fuel injector formed thereby
US5458292A (en) * 1994-05-16 1995-10-17 General Electric Company Two-stage fuel injection nozzle
JPH0893601A (ja) * 1994-09-22 1996-04-09 Zexel Corp 燃料噴射ノズル
JPH08144896A (ja) * 1994-11-25 1996-06-04 Zexel Corp 可変噴孔型燃料噴射ノズル
US5947389A (en) * 1996-06-06 1999-09-07 Zexel Corporation Variable nozzle hole type fuel injection nozzle
JPH10141179A (ja) * 1996-11-08 1998-05-26 Zexel Corp 燃料噴射ノズル
JPH10196490A (ja) * 1997-01-14 1998-07-28 Zexel Corp 燃料噴射ノズル
GB9904938D0 (en) * 1999-03-04 1999-04-28 Lucas Ind Plc Fuel inj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240532A (ja) 2000-09-05
EP1030054A2 (en) 2000-08-23
GB9903496D0 (en) 1999-04-07
US6412712B1 (en) 2002-07-02
US20020036242A1 (en) 2002-03-28
EP1030054A3 (en) 2002-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80750B1 (en) Fuel injector
US6378503B1 (en) Fuel injector
US5899389A (en) Two stage fuel injector nozzle assembly
EP0878623B1 (en) Fuel injector
EP1382836B1 (en) Fuel injector
EP0384473B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fuel injection unit
EP0967386A2 (en) Fuel injector
KR20020027568A (ko) 내연 기관용 연료 분사 밸브
US5765755A (en) Injection rate shaping nozzle assembly for a fuel injector
EP1063417A1 (en) Fuel injector
KR20000058063A (ko) 연료 주입기
KR19990078000A (ko) 연료분사기
US4748949A (en) Method and system for injecting a pilot fuel into a combustion chamber
EP0844383B1 (en) Injector
EP1245822B1 (en) Fuel injector with a restricted flow means in the control valve arrangement
US6340017B1 (en) Fuel injector
JPH08261112A (ja) 燃料インジェクター用分流器
US5497743A (en) Injector for separate control of flow and momentum
JP2005500468A (ja) 内燃機関に用いられる燃料噴射装置
EP0972934B1 (en) Fuel injector
EP1033488B1 (en) Fuel injector
KR20000006175A (ko) 연료분사기
EP0994251A1 (en) Fuel injection system
EP3464874B1 (en) Fuel injection valve unit for an internal combustion piston engin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fuel injection valve unit
US6131828A (en) Fuel inj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