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7280A - 릴-업 - Google Patents

릴-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7280A
KR20000057280A KR1019990704682A KR19997004682A KR20000057280A KR 20000057280 A KR20000057280 A KR 20000057280A KR 1019990704682 A KR1019990704682 A KR 1019990704682A KR 19997004682 A KR19997004682 A KR 19997004682A KR 20000057280 A KR20000057280 A KR 20000057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stand
reeling drum
auxiliary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704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7340B1 (ko
Inventor
토드 올로프 식스틴 스반크비스트
스투레 얼링 레온 스벤손
라스-에릭 롤란드 외널뢰브
Original Assignee
퍼 이.에이리츠
발멧-칼스타드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퍼 이.에이리츠, 발멧-칼스타드 에이비 filed Critical 퍼 이.에이리츠
Publication of KR20000057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7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7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73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2238The web roll being driven by a winding mechanism of the nip or tangential drive type
    • B65H19/2253The web roll being driven by a winding mechanism of the nip or tangential drive type and the roll being displaced during the winding operation
    • B65H19/2261Pope-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30Lifting, transporting, or removing the web roll; Inserting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65H18/26Mechanisms for controlling contact pressure on winding-web package, e.g. for regulating the quantity of air between web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 B65H2301/4134Both ends type arrangement
    • B65H2301/41346Both ends type arrangement separate elements engaging each end of the roll (e.g. chu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8/00Specific machines
    • B65H2408/20Specific machines for handling web(s)
    • B65H2408/23Winding machines
    • B65H2408/236Pope-winders with first winding on an arc of circle and secondary winding along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8/00Specific machines
    • B65H2408/20Specific machines for handling web(s)
    • B65H2408/23Winding machines
    • B65H2408/237Winding machines with substantially continuous horizontal movement of roll support, e.g. Metso-Type

Landscapes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Winding Of Web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Liquid Crystal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제지 릴(3)을 형성하도록 릴링 드럼(4) 상에서 제지가 릴링되는 릴-업(1)은, 릴링 드럼을 지지하도록 스탠드 레일(12)을 각각 지니는 두 개의 스탠드 부재(6, 7); 웨브(2)가 주행하는 표면 와인딩 드럼(8); 및 릴링 드럼을 수용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보조 유닛(19, 20)을 지니는 보조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유닛은 상기 스탠드 부재 내에서 선형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저널링되는 제 1 및 제 2 보조 몸체(21, 22)를 포함한다. 본발명에 따라 각각의 보조 몸체는 스탠드 레일로부터 제조 레벨까지 릴링 드럼을 리프팅하는 리프트 수단을 포함하는데, 이 제조 레벨에서 릴링 드럼은 스탠드 레일로부터 자유로워지며 제지 릴과 릴링 드럼(4)의 하중은 보조 몸체에 의해 흡수되고 스탠드 부재로 전달된다. 리프트 수단은 인접 스탠드 레일에 평행한 상부 지지 표면을 지니는 상단 레일(38), 및 상단 레일의 지지 표면을 릴링 드럼과 접촉시키고 상단 레일의 수직 운동을 통해 리프팅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기(actuator)(41)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릴-업{Reel-up}
제지 기계로부터 제지 릴까지 연속적인 웨브를 릴링하는 복수개의 서로다른 유형의 릴-업이 존재한다. 이 릴-업은 연속적인 제조가 유지될 수 있도록 두 개의 개별 시스템, 즉 릴-업의 상류에 위치한 한쌍의 하강 암(lowering arm)으로부터 빈 릴링 드럼을 수용하는 주 시스템, 및 제지 웨브가 몇 회 감겨진 경우, 완성된 제지 릴로 연속 릴링하기 위해 제지 릴의 개시부를 갖는 릴링 드럼을 취하는 보조 시스템으로 설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반적 유형의 릴-업에 관한 실례에는, 보조 시스템이 제지 릴의 직경의 증가에 따라 회전 또는 변위되는 한쌍의 암 또는 한쌍의 왕복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있다. 보조 암을 지니는 릴-업은 다음의 특허 명세서 등에 기술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 4,143,828호, 미국특허 제 4,283,023호, 미국특허 제 4,175,714호, 미국특허 제 3,614,011호 및 미국특허 제 5,520,354호. 선형적으로 이동가능한 보조 왕복대를 지니는 릴-업은 다음의 특허 명세서 등에 기술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 4,934,619호 및 미국특허 제 5,370,327호.
또다른 실례에는, 위에서 기술된 주 시스템이 완전히 결여되고, 대신 상기 주 시스템을 대체하기 위해 2중 보조 유닛이 구비된 약간 다르고 보다 현대적인 유형의 릴-업이 존재한다.
본 내용에서는, 릴-업이 주 시스템을 갖지 않더라도, 접두사 "보조(secondary)"는 용어 "보조 시스템", "보조 유닛", "보조 부품", "보조 몸체" 등으로 사용된다.
주 시스템 등을 지니는 맨 처음 언급된 유형의 릴-업에서, 릴링은 간단히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발생한다: 빈 릴링 드럼은 웨브의 릴링을 개시하기 위해 릴-업의 상류에 위치한 드럼의 스톡으로부터 웨브가 주행하는 구동 표면 와인딩 드럼과 릴링 드럼을 접촉시키는 한쌍의 주 포크까지 전달한다. 결과적으로 릴링 드럼과 표면 와인딩 드럼 사이에 상당한 마찰이 발생하여, 릴링 드럼은 표면 와인딩 드럼과 접촉되기 전에 우선적으로 이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리고 나서 릴링 드럼은 표면 와인딩 드럼의 주변을 따라 보조 암 또는 보조 왕복대 형태의 보조 유닛이 릴링 드럼을 제어하는 스탠드 부재의 하부로 이동된다. 완성된 릴로 연속 릴링하는 것은 조인트 주위로 회전하거나 또는 스탠드 부재를 따라 선형 변위되는 보조 암 또는 보조 왕복대가 크기 증가에 의한 릴의 수평 운동에 뒤따른다는 점에서 달성된다. 보조 유닛상에 배치된 프레스 장치는 릴링 드럼의 단부상에 배치된 베어링 하우스에 대하여 작동되어 소기의 가변 선형압력은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표면 와인딩 드럼과 제지 릴 사이의 닙내에 유지된다. 제지의 일정한 등급을 위해 닙내의 선형압력은 제지 릴의 부정적 특성을 피하기 위해 낮아야 한다. 선형압력이 너무 낮으면 릴내의 개별 층들이 너무 헐겁게 감겨지는 위험을 초래한다. 그렇지만, 이러한 문제는 더 이상 표면 와인딩 드럼에 대하여 마찰에 의해 구동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릴링 드럼의 한 단부에 배치된 커플링 장치의 도움으로 릴링 드럼을 중심 구동 수단에 연결시켜 해결될 수 있다. 중심 구동은 또한 선형압력이 더 넓은 범위내에서 변화되도록 하여 제지 릴과 표면 와인딩 드럼 사이의 닙내에 존재하는 제지 웨브의 압축력이 감소될 수 있다. 중심 구동을 지니는 릴-업은 다음의 특허 명세서 등에 기술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 4,934,619호, 미국특허 제 5,370,327호, 미국특허 제 5,520,354호, 미국특허 제 5,375,790호(스웨덴특허 제 469 071호) 및 미국특허 제 5,393,008호(스웨덴특허 제 469 072호).
중심 구동이 릴링 드럼을 주 시스템으로부터 보조 시스템으로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전동 변화는 서로다른 구동 장치 사이에서 작용해야 하며, 이는 상기 닙의 일시적인 압력 증가로 인해 선형압력에 영향을 준다. 릴링을 최적화하기 위해, 동일한 구동 장치는 릴링 순서 전체를 통해 빈 릴링 드럼을 지니는 개시부로부터 완성된 릴까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성취하기 위해 서로 교번하고 주 암을 배제할 수 있는 2중 세트의 보조 왕복대만을 사용하는 것이 이미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왕복대 쌍 중 하나에 연결된 단일 구동 수단은 릴링 공정 전체를 통해 릴링 드럼을 완성된 릴까지 릴링 드럼의 뒤를 따를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릴-업은 미국특허 제 5,370,327호에 기술되어 있다.
주 시스템이 있고 없는 여러 유형의 공지된 모든 릴-업은 또다른 상당히 보편적인 문제, 즉 바람직하지 않은 마찰력의 문제를 겪는다. 이러한 마찰력이 매우 큰 문제를 일으키는 이유는 위에서 언급된 바와같이, 특히 낮은 선형압력을 필요로 하는, 위생 목적에 사용되는 "연질 티슈"와 같은 연질 크레이프지(crepe) 및 이와 유사한 부드러운 제지(delicate paper)를 릴링하는 경우에 제지 릴의 부정적인 특성을 피하기 위해 가능한한 정확하게 표면 와인딩 드럼과 성장 제지 릴(growing paper reel) 사이의 닙내의 선형압력을 릴링 공정동안 조절할 수 있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조절은 상기 마찰력에 의해 더 어렵게 이루어진다. 결과적으로 신뢰성있고 정확하게 닙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마찰이 매우 적은 선형 하중 시스템이 요구된다.
바람직하지 않은 마찰력은 특히 베어링과 접촉 표면내의 마찰, 주 암과 보조 암의 조인트내의 마찰, 프레스 장치 등에 의해 발생한다.
마찰은 보조 왕복대를 이동시키는 유압 실린더에서 또한 발생할 수 있다. 보조 왕복대를 지니는 모든 릴-업은 또한 보조 왕복대를 조절하고 이 보조 왕복대가 전후 이동하는 동안 마찰을 최소화하도록 배치된 하나 이상의 레일을 스탠드 부재내에 지닌다. 후자는 롤러 또는 미끄럼 베어링과 같은 몇가지 형태의 베어링을 통해 적절하게 작용된다.
릴링 드럼용 수평 이동가능한 보조 유닛을 포함하는 선형 하중 시스템을 지니는 릴-업에서, 릴 닙내의 선형압력에 대한 제어의 정확도 및 신뢰성의 가장 큰 제한을 가하는 것은 릴링 드럼과 스탠드 레일 사이의 마찰, 즉 스탠드-레일 마찰이다.
보조 왕복대의 선형 베어링이 매우 적은 마찰을 갖도록 설계될지라도, 스탠드-레일 마찰은 보조 왕복대의 베어링의 어떠한 향상에도 관계없이 릴이 제조 단계동안 스탠드 레일에 의해 지지되는 한 변하지 않는 높은 동일한 마찰일 것이다. 선형 베어링에 의한 매우 낮은 마찰력의 경우에도 조차, 스탠드-레일 마찰은 제지 릴의 특성에 비교적 상당히 부정적으로 작용하는데, 이는 다른 측면에서 제지의 품질에 또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공지된 릴-업에서 릴링 드럼은 적어도 3개의 서로다른 상호작용 마찰력, 즉 릴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릴링 드럼의 회전 및 스탠드 레일 상으로의 릴링 드럼의 운동에 의한 베어링 하우스내의 제 1 마찰, 스탠드 레일에 대한 인접부를 통한 제 2 마찰 및 최종적으로 보조 왕복대의 선형 베어링내의 제 3 마찰을 일으킨다.
새로운 제지 릴을 제조하는 동안 릴링 드럼이 스탠드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경우, 제지 웨브로부터의 축적된 먼지와 같은 이물질 형태의 장애물 또는 스탠드 레일이나 릴링 드럼의 변형의 무시할 수 없는 위험성이 존재하여, 수평 운동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며 릴링 드럼이 장애물과 만나는 경우 간헐적으로 작동기에 공급되어야 하는 증가된 힘에 의한 닙 압력내의 일시적인 진동을 초래하는데, 이는 제지 릴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스탠드 레일에 대한 표면 손상의 형태인 변형을 포함하여 상기 장애물에 의한 비균일 선형 운동은 바람직하지 않은 진동을 또한 일으키는데, 이는 제지 릴에 영향을 미치고 장기적으로 릴링 드럼의 베어링 하우스상에, 결과적으로 릴링 드럼을 중심 구동시키는 커플링 장치상에 불필요한 마모를 초래할 수 있다.
제지 릴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스탠드를 따라 릴링 드럼을 배치하는 경우, 스탠드 마찰은 이것이 보조 유닛의 작동기에 필요한 조절장치를 복잡하게 하기 때문에 부가적인 문제를 일으킨다.
본발명은 베어링 하우스가 구비된 단부를 각각 지니는 릴링 드럼(reeling drum)상의 릴-업에 감겨져 제지 릴을 형성하는 연속적인 웨브에서 제지가 제조되는 제지 기계내의 릴-업으로서, 상기 릴-업은, 베어링 하우스에서 릴링 드럼을 지지하도록 레일을 각각 지니는 두 개의 평행한 세장(細長) 스탠드 부재로 구성된 스탠드 수단; 웨브가 주행하는, 스탠드 부재의 상류 단부에 배치된 표면 와인딩 수단; 및 릴링 드럼을 수용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선형적으로 이동가능한 보조 유닛으로 구성된 보조 시스템을 포함하며; 보조 유닛은 제 1 보조 몸체 및 제 2 보조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몸체는 저널 수단에 의해 상기 스탠드 수단에서 선형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저널링되고, 각각의 보조 몸체는 스탠드 부재를 따라 선형적으로 이동시키는 작동기(actuator), 및 릴링 드럼의 베어링 하우스에 대하여 프레스되어 소정의 선형압력이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표면 와인딩 수단과 제지 릴 사이의 닙(nip)내에 유지되도록 배치된 프레스 장치를 포함하는 릴-업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2중 보조 유닛을 지니고 본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수단이 제공된 릴-업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릴-업의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2에 따른 릴-업내의 한 보조 유닛의 내부 보조 왕복대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박스 부품의 일부가 제거된 상태로 도 1 및 2에 따른 릴-업내의 한 보조 유닛의 외부 보조부품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따른 릴-업의 상류 부분의 측면도로서, 릴링 공정동안 한 작동 위치를 예시하는 도면.
도 6 및 7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지만, 본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수단이 제공된 릴-업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
도 8은 보조 유닛을 지니는 유형의 릴-업내의 제 1 스탠드 부재 및 보조 왕복대에 대한 단면도로서, 보조 유닛의 보조 왕복대에 본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작동하지 않는 위치에 있는 리프팅 수단이 제공된 도면.
도 9는 도 8과 동일하지만 리프팅 수단이 작동 위치에 있는 도면.
도 10은 외부로부터 보여지는 도8에 따른 보조 왕복대의 도면.
도 11은 내부로부터 보여지는 도9에 따른 보조 왕복대의 도면.
도 12는 도 8에 따른 릴-업의 제 2 스탠드 부재 및 보조 왕복대에 대한 단면도로서, 상기 제 2 보조 왕복대에 중심 구동시키는 설비가 제공되고, 리프팅 수단이 작동하지 않는 위치에 있는 도면.
도 13은 도 12와 동일하지만 리프팅 수단이 작동 위치에 있는 도면.
도 14는 도 12에 따른 제 2 보조 왕복대의 외부 지지 플레이트에 대한 측면도.
도 15는 도 12에 따른 제 2 보조 왕복대의 리프팅 수단에 대한 측면도.
도 16은 도 12에 따른 제 2 보조 왕복대의 내부 지지 플레이트에 대한 측면도.
본발명의 목적은 공지된 릴-업에서 발생하는 마찰 문제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마찰이 매우 적은 선형 하중 시스템을 제공하여 신뢰성있고 정확한 닙-압력 조절을 이행할 수 있는 릴-업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발명의 부가적인 목적은 제지 릴을 제조하는 동안 스탠드-레일 마찰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릴-업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발명의 목적은 제지 릴의 성장(growth)에 관련하여 스탠드를 따라 릴링 드럼을 배치하는 보조 유닛의 작동기의 설치가 용이한 릴-업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발명에서는, 각각의 보조 몸체는 관련 스탠드 레일로부터 상승된 제조 레벨까지 릴링 드럼을 리프팅하여 릴링 드럼이 스탠드 레일로부터 자유로워지고 제지 릴과 릴링 드럼의 하중이 보조 몸체에 의해 완전히 흡수되며 이들로부터 상기 저널 수단을 통해 상기 스탠드 수단으로 전달되도록 배치된 리프팅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리프팅 수단은 상단 지지 표면을 지니는, 인접 스탠드 레일과 평행한 상부 레일, 및 상부 레일의 지지 표면을 릴링 드럼과 접촉시키고 상단 레일의 실제 수직한 연속된 운동을 통해 상기 리프팅 운동을 초래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업이 제공된다.
스탠드로부터 릴링 드럼을 들어올려 얻어지는 이점은 제거된 스탠드-레일로 인해 보조 시스템내의 전제 마찰이 감소된다는 것이다. 제지 릴로부터의 하중이 보조 왕복대의 선형 베어링으로만 전달되는 경우 베어링내의 마찰은 증가되지만, 총 마찰은 전반적으로 더 낮아지는데 왜냐하면 선형 베어링내의 마찰이 릴링 드럼과 스탠드 레일 사이에서 직접 접촉하는 경우에서보다 더 낮기 때문이다.
제지 릴의 성장에 따른 릴링 드럼의 수평 배치는, 릴링 드럼이 보조 유닛에 의해 상승되어 결과적으로 위에서 기술된 바와같이 마찰이 더 낮아지기 때문에 스탠드 레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경우 이행하기에 더 용이하다.
스탠드 레일은 안전성을 위해 유지되지만, 릴링 단계 전체를 통해 릴링 드럼을 지지하는 스탠드 레일보다 더 낮은 등급의 강철로 제조될 수 있다.
본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 및 2는 제지가 연속적인 웨브(2)에서 제조되는 제지 기계내의 릴-업(1)의 부품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제지 릴(3)은 릴링 드럼(4)의 형태를 갖는 코어상의 릴-업(1)에서 연속적으로 릴링된다. 릴-업(1)은 제 1 및 제 2의 동일하고 평행한 세장 스탠드 부품(6, 7)을 지니는 스탠드 수단(5)을 포함한다. 표면 와인딩 드럼(8)은 스탠드 부품(6, 7)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저널링된다. 표면 와인딩 드럼(8)상에서, 건조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나오는 제지 웨브(2)를 지지하는 무한 벨트(9)가 주행하며, 스루-블로(through-blow) 건조 실린더 및/또는 양키(Yankee) 실린더가 릴-업(1)으로 진행한다. 구동 모터(도시되지 않음)는 벨트(9)의 속도에 해당하는 주변 속도, 결과적으로 제지 웨브(2)가 전방으로 이송되는 속도를 표면 와인딩 드럼(8)에 제공한다. 표면 와인딩 드럼(8)은 복수개의 롤(10)상으로 주행하는 벨트(9)에 의해 변형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데, 이 중 하나, 예컨대 벨트 회전 롤(11)이 구동된다. 수평 스탠드 레일(12)은 각각의 스탠드 부재(6, 7)상에 또한 고정 장착된다. 스탠드 레일(12)은 제지 웨브(2)의 이송 방향으로 보여지는 릴-업(1)의 상류 단부에 위치한 릴링 드럼(4)에 대한 하강 표면(13)을 지니는 상승부(12a)로부터 개시된다. 스탠드 레일(12)은 제지 웨브(2)의 폭보다 약간 더 멀리 서로 이격 배치된다. 각각의 단부에서 릴링 드럼(4)에는 내부 치형 림(16)을 지니는 커플링 장치(15)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드럼(14) 및 커플링 장치(15)내부에 위치한 베어링 하우스(17)가 제공되고 스탠드 레일(12) 또는 상기 기술된 기타 조절 요소를 수용하도록 주변으로 주행하는 그루브(18)가 제공된다. 릴-업(1)의 상류 단부에는, 표면 와인딩 드럼(8)상에 빈 릴링 드럼(4)의 스톡(29)이 존재한다. 스톡(29)은 실질적으로 수평한 선반(30)을 포함하는데, 이 위에 빈 릴링 드럼(4)은 표면 와인딩 드럼과 나란히 그리고 평행하게 놓여 있으며 릴-업(1)에서 사용할 준비가 되어 있다. 공기 또는 유압 실린더와 같은 지지 암 및 작동기를 포함하는 작동 수단(도시되지 않음)은 새로운 릴링 드럼(4)의 점진적인 전방 이송을 조절한다. 빈 릴링 드럼(4)은 하류에 위치한 성장 제지 릴(3)이 소정의 크기에 도달하는 경우 한쌍의 하강 암(33)에 의해 스톡(29)으로부터 하강 표면(13)으로 전달된다. 릴-업(1)(도 1을 참조)의 하류 단부에는 브레이크 암(70)을 지니는 브레이크 스테이션(69)이 존재하는데, 이 브레이크 스테이션(69)에서 제지 릴(3)은 스탠드 레일(12)을 따라 기계의 릴 처리부(도시되지 않음)로 전달되기 전에 최종적으로 지체된다.
릴-업(1)은 도 1 및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1 보조 유닛(19) 및 제 2 보조 유닛(20)으로 구성된 보조 시스템을 포함하는데, 상기 보조 유닛(19, 20)은 텐더(tender)측과 구동측에 대하여 서로 역전된다. 각각의 보조 유닛(19, 20)은 제 1 또는 제 2 스탠드 부재(6, 7)의 외부상에 배치된 제 1 외부 보조 몸체(21), 및 제 2 또는 제 1 스탠드 부재(7, 6)의 내부상에 배치된 내부 제 2 보조 몸체(22)를 지닌다. 각각의 보조 몸체(21, 22)는 왕복대 또는 슬레지(sledge)형태를 갖는데, 이는 플랫폼(23)상에 위치한 두 개의 평행 트랙(26) 등의 하나 이상의 트랙, 및 트랙(들)(26)을 따라 전후 운동을 하는 동안 마찰을 최소로 감소시키기 위해 보조 왕복대(22)내의 롤러 베어링 또는 미끄럼 베어링으로 구성된 베어링을 포함하는 저널 수단에 의해 스탠드 부재(6, 7)의 플랫폼(23)상에서 선형적으로 수평 이동가능하게 저널링된다. 내부 보조 왕복대(22)는 각각의 스탠드 부재(6, 7)의 내부측상에 고정 장착된 트랙(26) 등의 유사한 선형 베어링 및 보조 왕복대(22)의 베어링에 의해 스탠드 부재(6, 7)의 수직 내부 측면에서 또한 저널링된다. 보조 왕복대(21, 22)의 운동은 한 단부에 의해 보조 왕복대(21, 22)에 그리고 다른 한 단부에 의해 스탠드 부재(6, 7)에 부착된, 공기 또는 유압 실린더와 같은 작동기(27)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하나 또는 동일한 보조 유닛(19, 20)내의 두 개의 보조 왕복대(21, 22)의 안내 트랙(26) 상으로의 운동은 서로 동시에 발생한다. 각각의 플랫폼(23)상의 최외측에 위치한 케이블은 가요성 케이블 패키지(28)내에 배치되어, 보조 왕복대(21, 22)의 전후 운동을 허용한다.
릴-업(1)의 각 보조 왕복대(21, 22)는, 스탠드 레일(12)로부터 상승된 위치로 릴링 드럼(4)을 리프팅하여 릴링 드럼(4)이 스탠드 레일(12)로부터 자유로워지며 제지 릴(3) 및 릴링 드럼(4)의 하중이 보조 왕복대(21, 22)에 의해 완전히 흡수되고 저널 수단을 통해 스탠드 수단(5)으로 전달되도록 본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수단을 포함한다.
도 1-5에 도시된 리프트 수단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보조 왕복대(21, 22)에는 릴링 드럼(4)과의 공동작용을 지지하는 피벗 유닛(34), 피벗 유닛(34)을 회전시키는 공기 또는 유압 실린더와 같은 작동기(41), 및 상승된 위치에 피벗 유닛(34)을 유지하시키는 레벨 유지 수단(44)이 제공된다.
각각의 보조 왕복대(21, 22)는 활성 릴링 드럼(4)과 평행한 피벗축 주위로 피벗 유닛(34)을 피벗가능하게 저널링시키는 저널 요소(37)를 지니는 하단 플레이트(35)를 지닌다.
각각의 피벗 유닛(34)은 실질적으로 직각인 수직 지지 플레이트(48), 로킹 장치(49), 프레스 장치(50) 및 로킹 장치(49)와 프레스 장치(50)용 작동기(51, 52)를 포함한다. 프레스 장치(50)는 릴링 드럼(4)의 베어링 하우스(17)에 대하여 프레스되도록 의도되어 소정의 선형압력이 제지 릴의 성장중에 표면 와인딩 드럼(8)과 제지 릴(3) 사이의 닙내에 유지된다. 지지 플레이트(48)에는 스탠드 레일(12)과 평행하고 릴링 드럼(4)과 공동작용하도록 배치된 상단 레일(38)이 상부 에지에서 제공된다. H 형 연결 요소(53)는 한 긴 측면을 따라 수평적으로 지지 플레이트(48)에 고정 장착된다. 로킹 장치(49)는, 하부 단부에서 상류에 배치된 H 형 연결 요소(53)의 두 레그 사이에서 릴링 드럼(4)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수평 베어링 핀(55)에 의해 상기 언급된 H 형 연결 요소에 힌지된 아크형 로킹 암(54)으로 구성되어 있다. 로킹 장치(49)의 작동기(51)는 피벗 유닛(34)의 지지 플레이트(48)상의 하부 부착점과 로킹 암(54) 사이에서 연장되고 단부들에서 힌지된 방식으로 이들에 결합된다. 로킹 장치(49)의 자유 상단부는 로킹 장치(49)가 상단 제조 위치에 있는 경우 릴링 드럼(4)의 축과 공동작용하도록 설계된 롤(56)을 지지한다. 프레스 장치(50)는 H 형 연결 요소(53)의 두 레그내의 로킹 장치(49)바로 맞은 편에 위치하며 로킹 장치(49)와 동일한 방법으로 힌지된 방식으로 연결된다. 프레스 장치(50)는 베어링 핀 (57)에 의해 또한 피벗가능하게 저널링되어, 프레스 장치(50)와 피벗 유닛(34)의 지지 플레이트(48) 사이에 연장된 작동기(52)에 의해 작용된다. 로킹 장치(49) 및 두 개의 보조 왕복대(21, 22)의 프레스 장치(50)는 릴링 드럼(4)용 그리핑 장치(gripping devices)를 형성한다. 릴링 드럼(4)은 그리핑 장치(49, 50)에 의해 둘러싸이고 동시에 제지 릴(3)의 릴링 단계 전체를 통해 그리핑 장치내에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내부 보조 부품(22)(도 3을 참조)에서, 하단 플레이트(35)는 모양이 직사각형이며 수직한 측면 플레이트(36)는 스탠드 부재(6, 7)에 가장 가까운 하단 플레이트(35)의 에지를 따라 배치된다. 상기 저널 요소(37)는 표면 와인딩 드럼(8)에 가장 가까운 단부에서 하단 플레이트(35)로부터 위로 수직 연장된빔(39), 및 빔(39)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피벗축을 형성하는 베어링 핀(40)을 포함한다. 피벗 유닛(34)은 안내 핀(42, 43)에 의해 한 단부에서 빔(39)의 하단부에 그리고 다른 한 단부에서 피벗 유닛(34)에 가요적으로 부착된 작동기(41)의 도움으로 상기 베어링 핀(40)의 주변에서 피벗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레벨 유지 수단(44)은 하단 플레이트(35)상에 배치되며 피벗 유닛(34)상의 계단형 레벨 숄더(47)를 레벨 유지하는 수평 이동가능한 레벨 블록(46) 및 작동기(45)를 포함한다. 레벨 유지 수단(44)의 레벨 블록(46)이 작동기(45)에 의해 두 위치내에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피벗 유닛(34)의 수직 위치는 릴링 드럼(4)의 단부가 각 피벗 유닛(34)의 상부 레일(38)상의 베어링 하우스(17)와 함께 놓인 상단 제조 위치내에, 그리고 피벗 유닛(34)상의 상기 상부 레일(38)이 스탠드 레일(12)의 상부 에지 아래의 레벨에 있는 하부 위치에 설정될 수 있다. 보조 유닛(19 또는 20) 중 하나의 피벗 유닛(34)이 하부 귀환 위치에 있고 다른 한 보조 유닛(20 또는 19)의 피벗 유닛(34)이 상부 제조 위치에 있는 경우, 보조 왕복대(21, 22)는 서로의 하부로 함께 통과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완성된 제지 릴(3)을 하류로 전달한 보조 유닛(19 또는 20)은 다른 보조 유닛(20, 19)내에 형성되는 과정중에 제지 릴(3)의 하부로 통과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조 위치에 있는 릴링 드럼(4)은 스탠드 레일(12)로부터 상승된다.
보조 유닛(19, 20) 각각의 외부 보조 왕복대(21)는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며, 위에서 설명된 내부 보조 왕복대에 관하여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참조 부호가 사용된다. 외부 보조 왕복대(21)는 내부 보조 왕복대(22)의 것보다 다소 더 큰 하단 플레이트(35)를 지닌다. 베어링 샤프트의 주위로 피벗 유닛(34)을 피벗가능하게 저널링시키는 상기 저널 요소(37)는 스탠드 부재(6, 7)에 평행하게 연장된 한 에지에 각각 배치된 두 개의 수직 빔(39), 및 빔(39)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피벗 유닛(34)용 베어링 샤프트를 형성하는 두 개의 베어링 핀(40)을 포함한다. 상기 레벨 유지 수단(44)은 스탠드 부재(6, 7)에 직각으로 수평 배치된 작동기를 지닌다. 피벗 유닛(34)은 박스형 부품(59)을 지니는 스탠드(58) 및 이로부터 돌출한 플랫폼(60)을 포함한다. 박스 부품(59)에는 릴링 드럼(4)을 중심 구동시키는 수단(62)의 부품들이 배치된 상단 수평 플레이트(61)가 제공된다. 상기 수직 리프트 플레이트(48)는 피벗가능한 스탠드(58)의 일부를 형성하는 상기 박스 부품(59)의 내부 수직벽에 고정 장착된다. 중심 구동 수단(62)이 피벗 유닛(34)상에 고정 장착되기 때문에 스탠드 레일(12)에 평행한 방향으로 보조 왕복대(21)로 그리고 또한 피벗가능하게 피벗 유닛(34)으로 선형적으로 대체될 수 있다.
중심 구동 수단(62)은 플랫폼(60)상에 고정 장착된 구동 모터(63), 박스 부품(59)에 고정 장착된 변속기 박스(64)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치형 벨트로 구성된 동력 전달장치(65)를 포함한다. 회전가능한 샤프트(66)는 릴링 드럼(4)에 평행한 방향으로 변속기 박스(64)로부터 돌출해 있다. 커플링 장치(67)는 스탠드 부재(6, 7)와 마주한 내부 단부에 위치한 샤프트(66)상에 배치된다. 커플링 장치(67)는 릴링 드럼(4)상의 해당하는 내부 치형 림(16)과 공동작용하도록 설계된 외부 치형 림(68)을 지닌다. 두 커플링 장치(15, 67) 사이의 이러한 공동작용은 연결될 때까지 커플링 장치(15)에 대하여 공축으로 변위되는 중심 구동 수단(62)의 커플링 장치(67)에 의해 성취된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조 유닛(19, 20)의 피벗 유닛(34) 각각은 스탠드 레일(12)을 지나서 빈 릴링 드럼(4)을 수용하는 상단 페칭 위치(fetching position)까지 회전되도록 또한 배치되는데, 이 드럼은 피벗 유닛(34)이 되돌아오는 경우 피벗 유닛(34)의 상단 레일(38)에 의해 이동되도록 하강 표면(13)상에 놓여졌다. 이 회전은 작동기(41)에 의해 이루어진다.
관련된 성장 제지 릴(3)을 지니는 릴링 드럼(4)이 안정성 또는 몇가지 다른 이유로 스탠드 레일(12)로 하강되지 않는 경우, 릴링 드럼(4) 및 제지 릴(3)이 보조 왕복대(21, 22)에 의해 상단 레일(38)을 거쳐 빈 릴링 드럼(4)으로부터 완성된 제지 릴(3)까지의 전체 제조 단계를 통해 이송되고, 이후에 완성된 제지 릴(3)을 지니는 릴링 드럼(4)이 스탠드 레일(12)로 하강한다는 이점이 있다.
도 6 및 7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하지만, 본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리프트 수단이 제공된 릴-업의 부품들을 보여준다. 이 리프트 수단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피벗 유닛(34)에 의해 피벗가능한 작동기(41)를 포함한다. 그렇지만, 이 수단에는 서로다른 유형의 레벨 유지 수단(44)이 제공된다. 도 6에 도시된 내부 보조 왕복대(22)에서, 레벨 유지 수단(44)은 공기 또는 유압 실린더의 형태를 갖는 작동기(71)를 포함한다. 실린더(71)는 리프트 플레이트(48)에 수직으로 고정 장착되고 이의 피스톤 로드(72)는 하방향으로 안내되는데, 상기 피스톤 로드(72)는 하단 플레이트(35)와 함께 공동작용하도록 피벗가능한 풀리(73)를 지지한다. 실린더(71)가 작동되는 경우 피스톤 로드(72)는 연장된 위치가 되어, 풀리(73)는 릴링 드럼(4)이 초기에 기술된 바와같이 스탠드 레일(12)의 바로 위의 레벨에서 확실히 유지되도록 하단 플레이트(35)에 대하여 안착된다. 도 7에 도시된 외부 보조 왕복대(21)에서 상기 기술된 유형의 두 개의 수직 작동기(71)는 스탠드 레일(12)의 바로 위의 상단 레벨에서 릴링 드럼(4)을 확실히 유지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기술된 수직 작동기(71)는 피벗 유닛(34)이 하단 플레이트(35)상에 적당히 안착되는 경우 더 낮은 위치로부터, 릴링 드럼(4)이 스탠드 레일로부터 자유로워지도록 스탠드 레일(12)의 바로 위의 레벨에서 상단 레일(38)이 위치하는 경우 상단 위치로 피벗 유닛(34)을 회전시키는데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변형적으로 풀리(73)는 피스톤 로드의 단부에 고정 장착되고 적절하게 원형 지지 표면을 지닌다.
도 8-16은 위에서 기술된 서로다른 유형의 릴-업의 부품들을 개별적으로 보여준다. 이러한 유형의 릴-업은 주 시스템(도시되지 않음) 및 위에서 기술된 것과 유사한 두 개의 평행 스탠드 부재(80, 81)의 외부 측면상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보조 왕복대(78, 79)로 구성된 보조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와같은 릴-업은 스웨덴특허 제 469 071호(미국특허 제 5,375,790호에 대응함) 등에서 기술되어 있다. 각각의 보조 왕복대(78, 79)는 두 개의 평행 트랙(82) 및 롤러 베어링 또는 미끄럼 베어링 등의 베어링(83)을 포함하는 저널 수단에 의해 스탠드 부재(80, 81)의 외측상에서 선형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저널링된다. 각각의 보조 왕복대(78, 79)는 적당한 작동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전후로 이동된다.
도 8-11에 도시된 제 1 보조 왕복대(78)의 실시예에서, 본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수단은 제 1 보조 왕복대(78)상의 수직 지지 플레이트(84)의 내측상에 배치된다. 프레스 장치(85), 및 도 1-5에 따른 릴-업과 연관지어 위에서 기술된 작동기(87, 88)를 지니는 로킹 장치(86)는 지지 플레이트(84)의 외측상에 위치한다. 리프트 수단은 지지 플레이트(84)상에 장착된 두 개의 수직 트랙(90) 및 롤러 베어링 또는 미끄럼 베어링으로 구성될 수 있는, 리프트 플레이트(89)상의 대향 베어링(91)을 포함하는 저널 수단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84)내에서 선형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저널링되는 리프트 플레이트(89)를 포함한다. 리프트 수단에는 리프트 플레이트(89)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공기 실린더 또는 유압 실린더와 같은 작동기(92)가 또한 제공된다. 작동기(92)는 릴링 드럼(4)이 스탠드 레일(94)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경우 상승 위치에서 리프트 플레이트(89)를 확실히 유지시키도록 레벨 유지 수단의 기능을 갖는다. 리프트 플레이트(89)에는 비교적 짧은 상단 레일(95)이 제공되는데, 이 레일은 리프트 플레이트(89)의 상부 에지에 고정 장착되고 이 아래에 수직으로 릴링 드럼(4)과 접촉된 평평한 수평 지지 표면을 갖는다. 리프트 플레이트(89)는 반전형 U자와 같은 모양을 지니며, 작동기(92)는 섕크(shank) 사이에 연장된다.
도 12-16에서 보다 상세히 도시된 제 2 보조 왕복대(79)는 릴링 드럼(4)을 중심 구동시키는 수단(98)을 또한 포함한다. 보조 왕복대(79)는 내부 지지 플레이트(96)를 지니는데, 이에 의해 보조 왕복대(79)는 제 1 보조 왕복대(78)에 대하여 위에서 기술된 바와같이 동일한 방식으로 스탠드 부재(81)로 선형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저널링된다. 보조 왕복대(79)는 스탠드(99)를 통해 중심 구동 수단(98)을 지지하는 외부 지지 플레이트(97), 제 1 보조 왕복대(78)에 대하여 위에서 기술된 바와같은 동일한 유형의 관련 작동기(102, 103)를 지니는 로킹 장치(100) 및 프레스 장치(101)를 또한 지닌다. 리프트 수단은 내부와 외부 지지 플레이트(96, 97) 사이에 배치되며, 내부 지지 플레이트(96)상에 고정 장착된 두 개의 수직 트랙(105) 및 리프트 플레이트(104)상에 롤러 베어링 또는 미끄럼 베어링으로 구성된 공동작용하는 대향 베어링(106)을 포함하는 저널 수단에 의해 내부 지지 플레이트(96)로 선형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저널링되는 리프트 플레이트(104)를 포함한다. 리프트 수단에는 리프트 플레이트(104)를 이동시키도록 공기 실린더 또는 유압 실린더와 같은 작동기(107)가 또한 제공되며, 이 작동기(107)는 릴링 드럼(4)이 스탠드 레일(108)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경우 상승 위치에 리프트 플레이트(104)를 확실히 유지시키도록 레벨 유지 수단으로서 또한 기능한다. 리프트 플레이트는 비교적 짧은 상단 레일(110)을 지지하는데, 이 레일은 리프트 플레이트(104)의 상부 에지에 고정 장착되고 이 아래에 수직으로 릴링 드럼(4)과 접촉된 평평한 수평 지지 표면을 갖는다. 도 15 및 16에 보다 간편하게 도시된 바와같이, 리프트 플레이트(104) 내부 지지 플레이트(96)에는 작동기(107)를 장착하기 위한 개구(111, 112)가 제공되는데, 이의 하단부는 내부 지지 플레이트(96)에 부착되고 상단부는 상하부 부착장치(113, 114)에 의해 리프트 플레이트(104)에 부착된다. 외부 지지 플레이트(97)는 리프트 플레이트(104)상에 장착된 수직 안내 트랙(115) 및 외부 지지 플레이트(97)상에 롤러 베어링 또는 미끄럼 베어링으로 구성된 대향 베어링(116)을 포함하는 저널 수단에 의해 리프트 플레이트(104)상에 선형적으로 수직 이동가능하게 저널링된다. 정지구(도시되지 않음)는 릴링 드럼(4)이 레일(94, 108)상에 안착되는 경우 하부 위치에 외부 지지 플레이트(97)를 고정시키도록 배치되며, 이 경우 외부 지지 플레이트(97)는 릴링 드럼(4)으로부터의 소정의 간격으로 상부 에지와 함께 위치한다. 리프트 플레이트(104)는 하단부 및 이의 외측상에, 보스형 종동부(boss-shaped follower)(117)가 외부 지지 플레이트(97)와 공동작용하게 제공되어서, 종동부(117)와 외부 지지 플레이트(97)의 하부 에지 사이에 작은 공간이 형성되며 이 경우 외부 지지 플레이트(97)는 상기 하부 위치에 있고 릴링 드럼(4)은 스탠드 레일(108)상에 안착된다. 이 공간은 리프트 플레이트(104)의 상단 레일(110)과 릴링 드럼(4) 사이의 공간만큼 크다. 작동기(107)가 작동되는 경우 리프트 플레이트(104)는 상방향으로 이동되고 나서, 종동부(117)가 외부 지지 플레이트(97)와 맞물리고 해당 간격만큼 릴링 드럼(4)을 리프팅하는 동시에 릴링 드럼(4)을 리프팅하여 중심 구동 수단(98)의 중심축은 릴링 드럼(4)의 중심축과 정렬된다.
도 1-7에 따른 보조 왕복대를 특히 지니는 릴-업에서, 여기서 도시된 것 이외의 다른 리프트 수단의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리프트 수단은 피벗 유닛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해 수평적으로 변위가능한 웨지형 레벨 블록, 또는 편심장치의 편심주변 표면이 회전에 의해 피벗 유닛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피벗가능한 편심장치, 또는 적당한 나사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승된 제조 위치내의 스탠드 레일(12)과 릴링 드럼(4) 사이의 간격은 두 스탠드 레일(12)에서 동일하며 적어도 1 mm, 바람직하기로는 적어도 2 mm이다.
상단 레일(38)의 지지 표면이 평평하고 수평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16)

  1. 베어링 하우스(17)가 구비된 단부를 각각 지니는 릴링 드럼(reeling drum; 4)상의 릴-업(1)에 감겨져 제지 릴(3)을 형성하는 연속적인 웨브(2)에서 제지가 제조되는 제지 기계내의 릴-업(1)으로서, 상기 릴-업(1)은, 베어링 하우스(17)에서 릴링 드럼(4)을 지지하도록 레일(12)을 각각 지니는 두 개의 평행한 세장(細長) 스탠드 부재(6, 7)로 구성된 스탠드 수단(5); 웨브(2)가 주행하는, 스탠드 부재(6, 7)의 상류 단부에 배치된 표면 와인딩 수단(8); 및 릴링 드럼(4)을 수용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선형적으로 이동가능한 보조 유닛(19, 20)으로 구성된 보조 시스템을 포함하며; 보조 유닛(19, 20)은 제 1 보조 몸체(21) 및 제 2 보조 몸체(22)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몸체들은 저널 수단에 의해 상기 스탠드 수단에서 선형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저널링되고, 각각의 보조 몸체는 스탠드 부재를 따라 선형적으로 이동시키는 작동기(27), 및 릴링 드럼(4)의 베어링 하우스(17)에 대하여 프레스되어 소정의 선형압력이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표면 와인딩 수단(8)과 제지 릴(3) 사이의 닙(nip)내에 유지되도록 배치된 프레스 장치(50)를 포함하는 릴-업(1)에 있어서,
    각각의 보조 몸체(21, 22)는 관련 스탠드 레일(12)로부터 상승된 제조 레벨까지 릴링 드럼(4)을 리프팅하여 릴링 드럼(4)이 스탠드 레일(12)로부터 자유로워지고 제지 릴(3)과 릴링 드럼(4)의 하중이 보조 몸체(21, 22)에 의해 완전히 흡수되며 이들로부터 상기 저널 수단을 통해 상기 스탠드 수단(5)으로 전달되도록 배치된 리프팅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리프팅 수단은 상단 지지 표면을 지니는, 인접 스탠드 레일(12)과 평행한 상부 레일(38), 및 상부 레일(38)의 지지 표면을 릴링 드럼(4)과 접촉시키고 상단 레일(38)의 실제 수직한 연속된 운동을 통해 상기 리프팅 운동을 초래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기(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업.
  2. 제 1항에 있어서, 상승된 제조 위치내의 스탠드 레일(12)과 릴링 드럼(4) 사이의 간격은 두 스탠드 레일(12)에서 동일하며 적어도 1 mm, 바람직하기로는 적어도 2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업.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레일(38)의 지지 표면은 평평하고 수평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업.
  4.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프트 수단은 작동기에 의해 상승된 제조 위치에 릴링 드럼(4)을 확실히 유지시키도록 레벨 유지 수단(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업.
  5.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는 상승된 제조 위치에 릴링 드럼(4)을 확실히 유지시키도록 레벨 유지 수단으로서 또한 자체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업.
  6. 제 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리프트 수단은 상기 상단 레일(38)을 지지하며 스탠드 레일(12)로부터 릴링 드럼(4)을 상승시키기 위해 상기 작동기(41)에 의해 회전되도록 보조 몸체(21, 22)에 피벗가능하게 저널링되는 수직 리프트 플레이트(4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업.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플레이트(48)는 보조 몸체(21, 22)의 피벗 유닛(34)의 일부를 형성하며 보조 몸체는 피벗 유닛(34)이 피벗가능하게 저널링되는 하단 플레이트(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업.
  8. 제 7항에 있어서, 레벨 유지 수단(44)은 하단 플레이트(35)상에 변위가능하게 저널링되며 피벗 유닛(34)을 지지하여 상승된 제조 위치에서 릴링 드럼(4)을 확실히 유지하도록 설정 위치에 배치된 레벨 블록(46), 및 레벨 블록(46)을 변위시키는 작동기(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업.
  9. 제 7항에 있어서, 레벨 유지 수단(44)은 한 위치에서 피벗 유닛(34)을 지지하여 상승된 제조 위치에 릴링 드럼(4)을 확실히 유지하기 위해 피벗 유닛(34) 및 하단 플레이트(35)와 공동작용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수직 배치된 작동기(7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업.
  10. 제 7항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단 플레이트(35)는 제지 웨브(2)가 릴링되는 릴링 드럼(4)에 평행하게 위치한 회전축(40) 주위로 피벗 유닛(34)을 피벗가능하게 저널링시키는 저널 요소(37)를 지지하며, 상기 작동기(41)는 상기 회전축(40)으로부터 이격된 저널 요소(37)에서 한 단부에 의해 그리고 피벗 유닛(34)에서 다른 한 단부에 의해 저널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업.
  11. 제 7항 내지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벗 유닛(34)은 보조 유닛이 빈 릴링 드럼(4)을 페칭하도록 스탠드 부재(6, 7)의 상류에 위치하는 경우 스탠드 레일(12)을 지나서 상단 페칭 위치까지 상기 작동기(41)에 의해 회전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업.
  12. 제 1항 내지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조 몸체(21, 22)는 스탠드 수단(5)의 수평 플랫폼(23)상에서 상기 저널 수단에 의해 저널링되며, 상기 플랫폼(23)은 스탠드 부재(6, 7)로부터 분리 또는 이에 고정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업.
  13. 제 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리프트 수단은 상기 작동기(92, 107)의 도움으로 스탠드 레일(94, 108)로부터 릴링 드럼(4)을 리프팅하기 위해 상기 상단 레일(95, 110)을 지지하고 보조 몸체(78, 79)내에서 선형적으로 수직 변위가능하게 저널링되는 수직 리프트 플레이트(89, 1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업.
  14. 제 13항에 있어서, 보조 몸체(78, 79)는 상기 저널 수단에 의해 스탠드 부재(80, 81)내에서 저널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업.
  15. 제 13항 또는 14항에 있어서, 릴링 드럼(4)이 단부를 지니며, 단부 각각에는 중심 구동 수단(98)과 공동작용하도록 커플링 장치(15)를 지니는 브레이크 드럼(14)이 제공되는 릴-업으로서,
    보조 유닛의 보조 몸체(78, 79) 중 하나는 상기 저널 수단에 의해 스탠드 부재(81)내에서 저널링시키는 내부 지지 플레이트(96) 및 상기 중심 구동 수단(98)을 지지하는 외부 지지 플레이트(97)를 포함하며 리프트 플레이트(104)는 내부 지지 플레이트(96)의 외측상에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외부 지지 플레이트(97)는 리프트 플레이트(104)의 외측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업.
  16. 제 1항 내지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프트 수단은 수평적으로 변위가능한 웨지형 레벨 블록, 피벗가능하게 저널링되는 편심 장치 또는 피벗가능하게 저널링되는 나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기는 상기 릴링 드럼의 리프팅을 성취하기 위해 레벨 블록, 편심 장치 또는 나사 장치에 작용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업.
KR10-1999-7004682A 1996-12-16 1997-11-26 릴-업 KR1004773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604607A SE508086C2 (sv) 1996-12-16 1996-12-16 Rullstol
SE9604607-3 1996-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7280A true KR20000057280A (ko) 2000-09-15
KR100477340B1 KR100477340B1 (ko) 2005-03-17

Family

ID=20404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4682A KR100477340B1 (ko) 1996-12-16 1997-11-26 릴-업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040062B1 (ko)
JP (1) JP2001506213A (ko)
KR (1) KR100477340B1 (ko)
AT (1) ATE239659T1 (ko)
BR (1) BR9714572A (ko)
CA (1) CA2274261C (ko)
DE (2) DE1040062T1 (ko)
SE (1) SE508086C2 (ko)
WO (1) WO19980270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3496C2 (sv) * 1998-12-17 2000-09-18 Rural Patent Svenska Ab NASP-berikad äggula samt dess användning
EP1155083B1 (de) 1999-02-15 2004-09-15 PolyOne Corporation Thermoplastisches vulkanisa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10342022A1 (de) * 2003-09-11 2005-04-07 Voith Paper Patent Gmbh Aufwickelvorrichtung
DE102004029067A1 (de) * 2004-06-16 2006-01-19 Kiefel Extrusion Gmbh Vorrichtung zur Handhabung eines fertigen Wickels und einer Wickelwelle an einer Wickelvorrichtung für Materialbahnen
EP1947043B1 (de) * 2007-01-18 2010-11-03 Reifenhäuser GmbH & Co. KG Maschinenfabrik Wickeleinrichtung
EP2679526B1 (en) * 2012-06-28 2014-09-03 Valmet Technologies, Inc. Reel-up device and a method of reeling a fiber web
CN109178507A (zh) * 2018-10-19 2019-01-11 中国民航大学 一种可加工自动打包的卷纸机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14350C3 (de) * 1972-03-24 1974-11-28 Erwin Kampf Maschinenfabrik, 5276 Wiehl Aufwickelvorrichtung für Bänder oder Folien
SE469071B (sv) * 1991-09-18 1993-05-10 Valmet Karlstad Ab Rullstol med centrumdriven upprullningsvals
JP2678525B2 (ja) * 1993-02-04 1997-11-17 ベロイト・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抄紙機のリール装置
US5370327A (en) * 1993-05-06 1994-12-06 Belo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eling a wound web roll
DE4401959C2 (de) * 1994-01-24 1996-07-25 Voith Gmbh J M Tragtrommelroller für eine Papiermaschine
DE4415324C2 (de) * 1994-05-02 1996-07-18 Kleinewefers Gmbh Vorrichtung zum Aufwickeln einer kontinuierlich zulaufenden Bahn, insbesondere Papierbahn
US5560566A (en) * 1994-11-14 1996-10-01 Beloit Technologies, Inc. Winder with elevated spool support ra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74261A1 (en) 1998-06-25
DE69721848T2 (de) 2004-05-06
KR100477340B1 (ko) 2005-03-17
JP2001506213A (ja) 2001-05-15
BR9714572A (pt) 2000-03-28
SE508086C2 (sv) 1998-08-24
ATE239659T1 (de) 2003-05-15
DE69721848D1 (de) 2003-06-12
EP1040062A1 (en) 2000-10-04
WO1998027001A1 (en) 1998-06-25
EP1040062B1 (en) 2003-05-07
SE9604607D0 (sv) 1996-12-16
CA2274261C (en) 2003-09-16
DE1040062T1 (de) 2001-03-15
SE9604607L (sv) 1998-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3959B1 (ko) 제지 기계에서 주행 웨브를 릴링하는 2중 보조 유닛을 지니는 릴-업 장치
KR100310357B1 (ko) 감김웨브롤을감는방법및장치
EP0829438B1 (en) Method in winding of a web
US5393008A (en) Reel-up with separately acting actuators for influencing linear pressure
FI90033B (fi) Anordning foer att vinda upp en materialbana
US5967449A (en) Winder and method for the continuous winding of a material web
KR100394787B1 (ko) 2중 보조 유닛을 지닌 릴-업
KR100477340B1 (ko) 릴-업
US5875990A (en) Reel-up
US20040041055A1 (en) Method in reeling and a reel-up
CN1085180C (zh) 卷纸机
CA2456528C (en) Method for transferring a reel, and a reel-up
EP1075444B1 (en)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a load to a reel in a reel-up of a paper we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