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6640A - 안전 콘센트 - Google Patents
안전 콘센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56640A KR20000056640A KR1019990006125A KR19990006125A KR20000056640A KR 20000056640 A KR20000056640 A KR 20000056640A KR 1019990006125 A KR1019990006125 A KR 1019990006125A KR 19990006125 A KR19990006125 A KR 19990006125A KR 20000056640 A KR20000056640 A KR 200000566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let
- plug
- terminals
- safety
- connection terminal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안전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안전 콘센트는 전원단자(24a, 24b)와 전기적으로 격리될 수 있도록 콘센트 본체(20)내에 배치되어 플러그 단자와 전기적으로 대응하는 콘센트 접속단자(26a, 26b)와; 상기 전원단자(24a, 24b)와 콘센트 접속단자(26a, 26b)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일단은 전원단자(24a, 24b)에 연결되고, 나머지 타단은 콘센트 접속단자(26a, 26b)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높은 탄성력을 갖는 도전체로 이루어진 연결단자(25a, 25b)와; 플러그가 전기 콘센트(1)에 삽입될때 상기 연결단자(25a, 25b)가 콘센트 접속단자(26a, 26b)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단자의 타단을 콘센트 접속단자에 밀어 접촉시키는 안전접속수단(21a, 21b)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어린이가 장난으로 젓가락이나 못과 같은 도체를 콘센트 접속단자의 접속공에 삽입하더라도 누름봉이 눌려있는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콘센트 접속단자에는 전기가 존재하지 않아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기기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플러그 및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기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한 안전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콘센트 및 플러그에 있어서는 콘센트에 플러그를 삽탈하여 전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분리하여도 콘센트의 삽입부에는 항상 전원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우연에 의하여 도체가 삽입되거나, 어린이들이 장난으로 삽입부에 도체(젓가락, 못 등)를 삽입할 경우 감전 및 합선에 의한 전기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어(220V로 승압 송전되고 있는 요즈음에는 위험도가 더욱 높음) 어린이들이 있는 곳에서나 일반 가정에서는 항상 불안감을 갖고 사용할 수 밖에 없었으며, 또한 빈번한 플러그의 삽탈 사용으로 인한 콘센트의 접속부의 스파크 및 탄성변형에 의한 협지력 저하(헐거워짐)로 인하여 플러그가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 및 전기사용시 착각으로 100V의 전기기기를 220V의 전기 콘센트에 삽입하므로 해서 기기를 고장내거나 소손시키는 예가 허다 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87-12164 호는 몸체에 원형홈을 형성하고 단자공을 갖는 회전구에 접촉단자를 접착 구성하여 플러그를 회전구의 단자공에 삽입시켜 돌리면 전류가 통하거나 폐쇄되도록 되어 있어 단자공에 젖가락등으로 아무리 세게 눌러도 감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는 안전콘센트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12164호 특허출원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전기기기를 사용할때 플러그를 콘센트에 삽입한 상태에서 플러그를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전기접속을 위한 무리한 힘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지나치게 힘을 가할 경우에는 콘센트의 파괴와 전기사고의 발생이라는 역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5-57413 호는 커버를 콘센트에 부착시켜 전원을 사용할 경우에는 커버를 열고 플러그를 접속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플러그를 빼내면 바로 커버가 접속공을 가려줌으로써 안전조치를 취하는 안전콘센트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57413호 특허출원의 경우에는 플러그의 접속시 사용자가 일일이 커버를 개방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어린이가 커버를 개방한 상태에서 도체를 삽입할 경우에는 여전히 감전사고가 유발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3-26809 호는 별도의 인입구를 장치한 안전판을 콘센트의 상부에 콘센트의 인입구와 다른 방향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1차로 그 안전판이 회전하여 안전판의 인입구와 콘센트의 인입구가 일치하지 않는한 플러그 또는 다른 물체의 전원접속을 차단하고, 또한 상부의 안전판 이외에도 2차로 별도의 안전핀을 사용하여 그 안전핀을 안전판의 하부 또는 콘센트의 인입구가 위치한 면의 후면에 별도의 안전핀을 부착하여 2구의 플러그가 동시에 삽입되지 않는한 상부 안전판의 동작까지 불가능하게 하여 정상적인 2구 콘센트의 꼿음대로 전원에 삽입하여 작동하지 않는 한 전원이 차단되어 감전사고를 근본적으로 예방하는 안전 콘센트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26809호 특허출원은 원터치식으로 사용할 수 없어 불편한 단점과 안전성이 불량한 문제점 그리고 어린이들이 쉽게 조작할 수 있고, 구조가 복잡하여 고장의 발생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5-16797 호는 콘센트 본체에 플러그의 단자봉과 접속되는 접속구와 전원이 연결되는 전원단자를 이격되는 상태로 고정하고, 상기 접속구와 전원단자 사이에는 연결단자가 고정된 버튼을 스프링에 의해 탄지된 상태로 설치하여 플러그를 꽂으면 접속구와 전원단자가 연결단자의 접지에 의해 연결되어 전기를 도통시켜 사용토록 하고, 플러그를 빼면 접속구와 전원단자는 스프링이 버튼을 밀어 연결단자가 떨어지면서 접속구에 전기가 도통하지 못하게 하여 플러그를 뺀 상태에서 어린이들이 젓가랑등과 같은 도체를 꽂았을시에도 접속구에 전기가 도통되지 않아 감전이나 누전사고가 전혀 없게 되는 안전콘센트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16797호 특허출원의 경우에는 플러그의 삽입시 연결단자가 동시에 접속구와 전원단자를 접촉해야 하기 때문에 접촉불량이 발생될 염려가 높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그를 뺀 상태에서는 플러그 이외의 도체를 삽입하더라도 감전이나 누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는 안전 콘센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중의 하나는 플러그의 삽입시에는 완전한 접속이 보장되어 접촉불량에 기한 콘센트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콘센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중의 하나는 부품의 제작이 간단하고, 단가가 저렴한 안전 콘센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은 전원단자(24a, 24b)와 전기적으로 격리될 수 있도록 콘센트 본체(20)내에 배치되어 플러그 단자와 전기적으로 대응하는 콘센트 접속단자(26a, 26b)와; 상기 전원단자(24a, 24b)와 콘센트 접속단자(26a, 26b)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일단은 전원단자(24a, 24b)에 연결되고, 나머지 타단은 콘센트 접속단자(26a, 26b)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높은 탄성력을 갖는 도전체로 이루어진 연결단자(25a, 25b)와; 플러그가 전기 콘센트(1)에 삽입될때 상기 연결단자(25a, 25b)가 콘센트 접속단자(26a, 26b)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단자의 타단을 콘센트 접속단자에 밀어 접촉시키는 안전접속수단(21a, 21b)을 포함하는 안전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접속수단(21a, 21b)은 플러그의 삽입시에 플러그의 전면과 직접 접촉하는 누름부재(30)와; 이 누름부재(30)의 수직방향 힘을 수평방향힘으로 전환하여 상기 연결단자(25a, 25b)의 타단을 콘센트 접속단자(26a, 26b)에 굽혀 접촉시키는 습동편(33a, 33b)과; 상기 누름부재(30)의 플러그 접촉면과 반대편 끝단에 설치되는 복귀스프링(3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누름부재(30)는 막대형상의 누름봉(31)과 쇄기모양의 누름뭉치(32)로 구성되고; 플러그의 삽입력에 의해 누름뭉치(32)가 하강함에 따라 누름뭉치의 테이퍼진 면(32b)과 접하는 습동편(33a, 33b)이 수평으로 이동되어 연결단자의 타단을 접속단자에 접촉시키고, 복귀스프링(34)의 복귀력에 의해 누름뭉치(32)가 상승함에 따라 누름뭉치의 테이퍼진 면(32b)과 접하는 습동편(33a, 33b)이 연결단자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또한, 상기 습동편(33a, 33b)과 누름부재(30)는 콘센트 본체(20) 재질과 동일한 절연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습동편(33a, 33b)은 누름뭉치(32)의 좌, 우측에 각기 설치되는 좌습동편(33a) 및 우습동편(33b)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명세서내에 통합되어 있고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도면은 발명의 현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며,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외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의 화살표 A방향에서 콘센트 본체를 바라다본 평면도.
도 4는 상기 도 3의 B-B'선에서 콘센트 본체를 절단한 종단면도로서, 도 4a는 콘센트에 플러그가 삽입되기전의 종단면도이고, 도 4b는 콘센트에 플러그가 삽입된 후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콘센트 본체 21a, 21b: 안전접속수단
22a, 22b: 접속구 23a, 23b: 전원공급부
24a, 24b: 전원단자 25a, 25b: 연결단자
26a, 26b: 콘센트 접속단자 31: 누름봉
32: 누름뭉치 33a : 좌습동편
33b: 우습동편 34: 복귀스프링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점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첨부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통해 나타내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반적으로 전기 콘센트(1)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상, 하부 케이스(11, 11')속에 콘센트 본체(20)를 내장하고 있다. 하부 케이스(11')의 일단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14)이 부착되고, 상부 케이스(11)의 상면에는 복수의 플러그 접속구(16)가 설치된다.
이 플러그 접속구(16)에는 2극 플러그 단자(도시하지 않음)를 수용하기 위한 2개의 플러그 단자 통과공(12)이 형성되고, 플러그 삽입시에 그 전면과 접촉하는 누름봉(21)을 통과시키기 위한 누름봉 통과공(15)이 형성된다. 상기 누름봉(21)은 콘센트 본체(20)에 설치되어 플러그 접속구(16)의 누름봉 통과공(15)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플러그를 콘센트(1)의 플러그 접속구(16)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전기기기에 구동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콘센트는 가정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220V용 콘센트로서 본 발명이 220V용 콘센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흐트리지 않는 범위내에서 110V용 콘센트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첨부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콘센트 본체(20)를 화살표 A방향에서 내려다본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안전 콘센트(1)는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전원공급부(23a, 23b)에 전원단자(24a, 24b)가 설치되고, 이 전원단자(24a, 24b)에 일체로 연결단자(25a, 25b)가 부착된다.
또한, 플러그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콘센트 접속단자(26a, 26b)가 배치되는데, 이 접속단자(26a, 26b)의 일단(머리부)에는 플러그 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접속공(22a)이 형성되고, 타단(꼬리부)에는 전원단자(24a, 24b)를 향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꼬리부(22b)가 형성된다. 이때, 전원단자(24a, 24b)와 접속단자(26a, 26b)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도록 절연물질에 의해 격리된다.
그 일단(몸체부)이 전원단자(24a, 24b)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단자(25a, 25b)의 타단(연장부)은 접속단자(26a, 26b)의 꼬리부와 평행하게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장된다. 이 연결단자(25a, 25b)는 전도성이 크고, 탄성력이 큰 재질로 만들어진다. 즉, 연결단자(25a, 25b)는 연결단자의 연장부에 수평방향으로 힘이 작용되면 쉽게 휘어져 접속단자(26a, 26b)의 꼬리부에 면접촉되고, 연결단자(25a, 25b)에 작용하는 수평방향 힘이 상실되면 원래의 위치로 쉽게 복귀된다.
또한, 대응하는 두개의 연결단자(26a, 26b)의 연장부 사이에는 안전접속수단(21a, 21b)이 배치된다.
이 안전접속수단(21a, 21b)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a,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콘센트 본체를 B-B'선에서 자른 종단면도로서 4a는 플러그가 콘센트에 삽입되기전의 모습이고, 4b는 플러그가 콘센트에 삽입된 후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안전접속수단(21a, 21b)은 크게 누름부재(30)와, 습동편(33a, 33b)과, 복귀스프링(34)으로 구성된다. 누름부재(30)는 다시 막대형상의 누름봉(31)과 쇄기형상의 누름뭉치(32)로 이루어진다. 이 누름봉(31)은 콘센트의 플러그 접속구(16)에 형성되어 있는 누름봉 통과공(15)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플러그의 삽입시 그 삽입력에 의해 수직으로 눌리는 부분이다.
상기 누름뭉치(32)는 누름봉(31)의 수직하강력을 습동편(33a, 33b)과 복귀스프링(34)에 전달하는 부분이다. 이 누름뭉치(32)는 누름봉(31)이 부착되는 누름봉 부착부(32a)와, 아래로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고 그 좌, 우측에 습동편(33a, 33b)이 경사면을 따라 접하는 테이퍼부(32b)와, 복귀스프링(34)이 유지, 부착되는 돌기부(32c)로 구성된다.
습동편(33a, 33b)은 누름뭉치의 테이퍼부(32b) 좌, 우측과 연결단자(25a, 25b)의 연장부 사이에 각기 배치되는 좌습동편(33a)과 우습동편(33b)을 포함한다. 이 습동편(33a, 33b)의 하부에는 지지대(도면에 미도시)가 설치되어 습동편의 수평방향 이동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누름뭉치의 돌기부(32c)에는 복귀스프링(34)의 일단이 부착되는데, 이 복귀스프링(34)의 타단은 콘센트 본체(20)의 바닥면에 형성된 수용홈(35)에 수용된다. 따라서, 플러그의 삽입력에 의해 누름뭉치(32)에 수직하강력이 작용하면 복귀스프링(34)은 수축하고, 이 플러그 삽입력이 상실되면 복귀스프링(34)은 복원된다.
상기 누름부재(30)와 습동편(33a, 33b)은 콘센트 본체(1)와 동일한 재질의 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안전 콘센트에 대한 플러그 삽탈과정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전기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해 전기기기에 부착된 플러그를 안전 콘센트(1)의 플러그 접속구(16)를 통해 삽입하면, 플러그 단자는 플러그 단자 통과공(12)을 거쳐 콘센트 접속단자(26a, 26b)의 접속공(22a, 22b)에 결합된다.
이때, 플러그의 전면은 플러그 접속구(16)에 돌출된 누름봉(31)을 눌러 누름뭉치(32)를 수직으로 하강시키고, 복귀스프링(34)은 수축된다.
누름뭉치(32)가 수직 하강하면, 이 누름뭉치의 테이퍼부(32b) 경사면에 접하고 있던 좌, 우습동편(33a, 33b)은 각기 좌, 우로 수평 이동하여 연결단자(25a, 25b)의 연장부에 힘을 가한다.
이렇게 연결단자(25a, 25b)의 연장부가 힘을 받아 접속단자의 꼬리부(22b)를 향해 휘면, 접속단자의 꼬리부(22b)와 연결단자(25a, 25b)의 연장부는 서로 면접촉하게 된다.
이에따라, 전원단자(24a, 24b)에 흐르던 전류는 연결단자(25a, 25b), 접속단자(26a, 26b), 플러그 단자를 거쳐 전기기기에 전달된다.
또한, 사용자가 플러그를 콘센트의 플러그 접속구(16)로 부터 이탈시키면, 복귀스프링(34)은 자체의 복원력에 의해 누름뭉치(32)를 수직 상승시키고, 좌, 우습동편(33a, 33b)은 연결단자(25a, 25b)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에따라 접속단자의 꼬리부(22b)와 연결단자(25a, 25b)의 연장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던 전기접촉은 떨어지고, 콘센트 접속단자(26a, 26b)는 전원단자(24a, 24b)와 다시 전기적으로 격리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어린이가 장난으로 젓가락이나 못과 같은 도체를 콘센트 접속단자의 접속공에 삽입하더라도 누름봉이 눌려있는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콘센트 접속단자에는 전기가 존재하지 않아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플러그와 접속되는 전기콘센트에 있어서,상기 전기 콘센트가외부전원이 인가되는 전원단자(24a, 24b)와;전원단자(24a, 24b)와 전기적으로 격리될 수 있도록 콘센트 본체(20)내에 배치되어 플러그 단자와 전기 접촉하는 콘센트 접속단자(26a, 26b)와;일부가 전원단자(24a, 24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나머지 일부는 플러그의 삽탈에 대응하여 전원단자(24a, 24b)와 콘센트 접속단자(26a, 26b)를 전기적으로 스위칭하는, 높은 탄성력을 갖는 도전체로 이루어진 연결단자(25a, 25b)와;플러그 삽입시에만 상기 연결단자(25a, 25b)를 콘센트 접속단자(26a, 26b)에 전기 접촉시키고, 플러그 이탈시에는 상기 연결단자(25a, 25b)와 콘센트 접속단자(26a, 26b)를 전기적으로 격리시키기 위한 안전접속수단(21a, 21b)을 포함하고;상기 안전접속수단(21a, 21b)은플러그의 삽입시에 플러그의 전면과 직접 접촉하는 누름부재(30)와; 이 누름부재(30)에 작용하는 수직방향의 삽입력을 수평방향 힘으로 전환하여 상기 연결단자(25a, 25b)를 콘센트 접속단자(26a, 26b)에 굽혀 접촉시키는 습동편(33a, 33b)과; 플러그 이탈시에 상기 누름부재(30)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귀스프링(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누름부재(30)는 막대형상의 누름봉(31)과 쇄기형상의 누름뭉치(32)로 구성되고;플러그의 삽입력에 의해 누름뭉치(32)가 하강함에 따라 누름뭉치의 테이퍼부(32b)의 경사면과 접하는 습동편(33a, 33b)이 수평으로 팽창되어 연결단자를 굽혀 접속단자에 접촉시키고, 복귀스프링(34)의 복원력에 의해 누름뭉치(32)가 상승함에 따라 누름뭉치의 테이퍼부(32b)의 경사면과 접하는 습동편(33a, 33b)이 연결단자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습동편(33a, 33b)과 누름부재(30)는 콘센트 본체(20) 재질과 동일한 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습동편(33a, 33b)이 누름뭉치(32)의 좌, 우측에 각기 설치되는 좌습동편(33a) 및 우습동편(33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06125A KR20000056640A (ko) | 1999-02-24 | 1999-02-24 | 안전 콘센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06125A KR20000056640A (ko) | 1999-02-24 | 1999-02-24 | 안전 콘센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56640A true KR20000056640A (ko) | 2000-09-15 |
Family
ID=19574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06125A KR20000056640A (ko) | 1999-02-24 | 1999-02-24 | 안전 콘센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00056640A (ko) |
-
1999
- 1999-02-24 KR KR1019990006125A patent/KR2000005664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374199A (en) | Safety receptacle | |
JP4592958B2 (ja) | 電気スイッチシステム | |
KR101152865B1 (ko) | 안전콘센트 | |
KR870010650A (ko) | 케이블 결속단자대 | |
KR950004822A (ko) | 가입자 인터페이스 박스 | |
JPS573376A (en) | Electric plug receptacle connector | |
US20080261420A1 (en) | Safety electric plug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 |
SG67288A1 (en) | A socket for electrical devices | |
US5266042A (en) | Electrical jack and patch plug assembly | |
US4152557A (en) | Safety plug socket | |
US3001168A (en) | Wiring device | |
CN212434520U (zh) | 一种可强制断电的漏电保护器 | |
GB2201306A (en) | Electrical plug terminals and cable clamp | |
JP4322387B2 (ja) | 電気開閉装置ユニットのための接続組立体 | |
CN201699258U (zh) | 安全插座 | |
CN217405745U (zh) | 一种电源插座 | |
CN201060956Y (zh) | 用于电器设备的接线端子 | |
KR20000056640A (ko) | 안전 콘센트 | |
GB2288287A (en) | Electrical connector | |
CN208423367U (zh) | 一种英标插头 | |
KR200252581Y1 (ko) | 안전 콘센트와 플러그 | |
DK0921611T3 (da) | Nettilslutningsstikdåser samt netafbrydere | |
KR102626056B1 (ko) | 커넥터 일체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 | |
CN108511999A (zh) | 一种英标插头 | |
CN217823553U (zh) | 带过载保护结构的连接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