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5563A - 반도체 장치의 배선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의 배선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5563A
KR20000055563A KR1019990004240A KR19990004240A KR20000055563A KR 20000055563 A KR20000055563 A KR 20000055563A KR 1019990004240 A KR1019990004240 A KR 1019990004240A KR 19990004240 A KR19990004240 A KR 19990004240A KR 20000055563 A KR20000055563 A KR 20000055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opening
insulating layer
copper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4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2231B1 (ko
Inventor
이원준
박진원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90004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2231B1/ko
Publication of KR20000055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5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2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22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77Filling of holes, grooves or trenches, e.g. vias, with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15Planarisation
    • H01L21/3212Planarisation by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0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4Smoothing; Planar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41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 H01L21/76843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formed in openings in a dielectr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29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of thin functional dielectric layers, e.g. dielectric etch-stop, barrier, capping or liner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배선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반도체 기판상에 제 1 절연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절연층 내에 제 1 개구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개구에 배리아층으로 둘러싸인 제 1 배선을 다마신방법으로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배선상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에치정지층을 포함하는 제 2 절연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절연층 내에 제 2 개구를 형성하는 공정과, O2플라즈마 처리로 상기 제 2 개구의 측벽에 상기 제 1 배선의 산화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베타-다이케톤(Beta-Diketone) 클리닝 제로 상기 산화막을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개구에 상기 배리아층으로 둘러싸인 제 2 배선을 다마신방법으로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리(Copper) 다마신 (Damascene)공정으로 형성된 배선과 비아(Via)를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메탈라이제이션에서 비아부의 구리화합물을 O2플라즈마처리방법으로 구리산화물로 산화시키고, 금속물질 클리닝제인 HFac로 구리산화물을 제거함으로 비아 저항을 낮춤과 동시에 비아 측벽의 구리(Cu)원자를 제거하여 구리의 해로운 효과를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의 배선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Interconnection of Semiconductor Devices}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배선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리(Copper) 다마신 (Damascene)공정으로 형성된 배선과 비아(Via)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배선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장치의 제조공정에서 다층배선 구조는 소자의 설계 룰(Design Rule)이 1.0㎛ 이하로 축소됨에 따라 회로를 고밀도로 레이아웃 또는 배치하는 데 널리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집적회로의 제조공정에서 배선의 역할은 반도체 칩 레벨의 고밀도화 및 칩 크기의 증가화의 경향에 따라 더욱 더 중요하다. 실리콘 반도체의 금속 배선에 널리 사용되는 금속은 알루미늄이다. 알루미늄은 다른 금속 배선과 비교컨대 상대적으로 저 비용이며, 저 저항값을 가지며, 또한 에치(Etching)공정등 제조하기가 쉽다. 그러나 배선구조의 크기가 서브 마이크론(Sub-Micron)으로 작아짐에 따라, 배선의 선폭이 작아지며 상기 배선에서 전류밀도는 증가된다. 배선의 축소화 및 전류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알루미늄 배선의 전자이동(Electromigration) 수명은 열악해 진다. 반도체 다층 배선구조에서 유망한 금속인 구리는 알루미늄에 비하여 많은 장점을 갖고 있다. 예를 들면, 구리는 저 저항값, 높은 내 전자이동(Electromigration)특성을 갖고 있다. 구리를 증착하는 방법으로는 물리적 증착법(Physical Vapor Deposition, 이하 PVD 이라 칭함), 엘렉트로플레이팅(Electro-Plating)방법, 엘렉트로리스(Electroless)증착 방법등이 있다. 한편, 구리를 배선으로 사용할 때의 단점으로는 실리콘(Silicon)내에서 구리(Cu)의 빠른 확산 이동 및 실리콘산화막 절연층에서 드리프트(Drift)등으로 반도체 소자를 열악하게 한다. 그러므로 확산 방지층(Diffusion Barrier)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며, 필요하다.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배선의 제조 공정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반도체기판(11)에 제 1 절연층(13)을 증착 형성하고, 이어서 제 1 절연층의 소정부를 식각한 후 구리(Cu) 다마신(Damascene)방법으로 제 1 배선(Interconnection Wiring)(17)을 형성한다. 이어서 제 2 및 제 3 및 제 4 절연층 (21)(23)(25)을 반도체 기판 전체 표면에 증착 형성한다. 제 1 포토레지스트(Photo Resist)마스크(101)가 제 4 절연층(25)상에 형성된다. 제 1 RIE (Reactive Ion Etching, 이하 RIE 이라 칭함)이방성 에칭으로 제 1 개구(Opening)가 제 4 절연층(25)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RIE 에칭으로 에치정지층(Etching Stop Layer)인 제 3 절연층은 식각되지 않는다. 제 1 개구의 크기는 비아(Via)의 크기와 같은 정도이다.
상기에서 제 1 배선(17)의 하부 및 측부 및 상부는 실리콘산화막 및 실리콘내로 구리의 확산을 방지하는 배리어층(Barrier Layer)(도시 안 함)으로 둘러싸여 있다(Encapsulate). 상기 배리어층으로는 Ta, W, Mo, TiN, TiW, TaN, TiSiN, WN,TaSiN, 등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및 제 4 절연층(13)(21)(25)은 실리콘산화막(SiO2)이며, 제 3 절연층(23)은 실리콘질화막(Si3N4) 또는 실리콘산화질화막(SiOXNY)또는 다결정실리콘(Polycrystalline Silicon)으로 에칭정지층(Etching Stop Layer)으로 사용된다.
도 1b를 참조하면, 제 1 포토레지스트(Photo Resist)마스크(101)를 제거한 후 제 2 포토레지스트(Photo Resist)마스크(102)가 제 4 절연층(25)상에 형성된다. 제 2 RIE 에칭으로 제 1 개구를 포함하는 트렌치(Trench)가 제 4 절연층(25)내에 형성되며, 허선에서 보인 것과 같이 상기 제 1 개구는 제 3 및 제 2 절연층내로 연장된다.
도 1c를 참조하면, 트렌치가 제 4 절연층(25)내에 형성되며, 동시에 상기 제 1 개구는 에칭정지층인 제 3 절연층(23) 및 제 2 절연층(21)내로 연장된다. 이어서 PVD 방법으로 배리어층(Barrier Layer)과 구리(Cu)를 연속적으로 증착하기 전에 제 1 배선(17)인 구리(Cu)표면에 생긴 산화물(예, Cu2O, CuO)을 상기 PVD 장치의 아르곤(Ar)스퍼터 에치(Sputter Etch)공정 스텝(Step)에서 구리 산화물을 제거한다. 상기 스퍼터 에치공정으로 인하여 구리표면의 산화물 CuOX및 Cu (27) 가 동시에 트렌치 및 제 1 개구의 측벽(Sidewall)에 증착된다.
상기에서 구리(Cu)는 다른 배선 금속의 산화 예를 들면 알루미늄의 산화와는 달리 200℃미만의 낮은 온도에서도 쉽게 Cu2O, CuO 의 산화물로 형성되며, 구리의 추가 산화를 방지할 어떤 자기보호(Self-Protective) 산화막도 형성 할 수 없다.
도 1d를 참조하면, 상기 PVD 장치에서 배리어층(Barrier Layer)(29)과 구리(Cu)(31)를 인-시튜(In-Situ)방법으로 연속 증착한다. 이어서 배리어층(Barrier Layer)(29)과 구리(Cu)(31)층의 과잉 부분(Excess Portion)을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이하 CMP 이라 칭함)방법으로 제거한다. 이때 제 4 절연층(25)은 에치/폴리시(Etch/ Polish) 정지층으로 사용된다. 이어서 제 2 배선인 구리(31)의 상부를 씌울(Cap) 배리어층(31)을 증착 형성한다. 이어서 패시베이션 층 (Passivation Layer)(도시 안 함)을 증착 형성한다.
상기에서 아르곤(Ar) 스퍼터 에치(Sputter Etch)공정시 트렌치 및 제 1개구의 측벽에 증착된 CuOX및 Cu (27)는 배리어층(29)의 바깥(Outside) 즉, 실리콘산화막내에 존재하게 됨으로 이후 열처리 공정(Subsequent Thermal Processing)시 소자특성에 해로운 불순물인 구리(Cu)원자는 실리콘산화막 및 실리콘 내로 확산 이동되어 소자의 신뢰성을 악화시킨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구리 배선 및 비아(Via)를 포함하는 배선의 제조공정에서 구리배선상의 산화막 제거 방법으로 사용되는 아르곤 가스를 이용한 스퍼터링 에칭 스텝은 비아 및 트렌치 측벽에 CuOX및 Cu를 증착시키고, 이후 열처리 공정(Subsequent Thermal Processing)시 소자특성에 해로운 불순물인 구리(Cu)원자는 실리콘산화막 및 실리콘 내로 확산 이동되어 소자의 신뢰성을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뢰성 있는 구리(Copper) 다마신(Damascene)공정으로 형성된 배선과 비아(Via)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배선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배선의 제조방법은 반도체 기판상에 제 1 절연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절연층 내에 제 1 개구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개구에 배리아층으로 둘러싸인 제 1 배선을 다마신방법으로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배선상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에치정지층을 포함하는 제 2 절연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절연층 내에 제 2 개구를 형성하는 공정과, O2플라즈마 처리로 상기 제 2 개구의 측벽에 상기 제 1 배선의 산화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베타-다이케톤(Beta-Diketone) 클리닝 제로 상기 산화막을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개구에 상기 배리아층으로 둘러싸인 제 2 배선을 다마신방법으로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배선의 제조 공정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배선의 제조 공정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배선의 제조 공정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반도체기판(61)에 제 1 절연층(63)을 증착 형성하고, 이어서 제 1 절연층의 소정부를 식각한 후 구리(Cu) 다마신(Damascene)방법으로 제 1 배선(Interconnection Wiring)(67)을 형성한다. 이어서 제 2 및 제 3 및 제 4 절연층 (71)(73)(75)을 반도체 기판 전체 표면에 증착 형성한다. 제 1 포토레지스트(Photo Resist)마스크(201)가 제 4 절연층(75)상에 형성된다. 제 1 RIE (Reactive Ion Etching, 이하 RIE 이라 칭함)이방성 에칭으로 제 1 개구(Opening)가 제 4 절연층(75)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RIE 에칭으로 에치정지층(Etching Stop Layer)인 제 3 절연층은 식각되지 않는다. 제 1 개구의 크기는 비아(Via)의 크기와 같은 정도이다.
상기에서 제 1 배선(67)의 하부 및 측부 및 상부는 실리콘산화막 및 실리콘내로 구리의 확산을 방지하는 배리어층(Barrier Layer)(도시 안 함)으로 둘러싸여 있다(Encapsulate). 상기 배리어층으로는 Ta, W, Mo, TiN, TiW, TaN, TiSiN, WN,TaSiN, Si3N4.,CoWP 등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및 제 4 절연층(63)(71)(75)은 실리콘산화막(SiO2)이며, 제 3 절연층(73)은 실리콘질화막(Si3N4) 또는 실리콘산화질화막(SiOXNY)또는 다결정실리콘(Polycrystalline Silicon)으로 에칭정지층(Etching Stop Layer)으로 사용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 1 포토레지스트(Photo Resist)마스크(201)를 제거한 후 제 2 포토레지스트(Photo Resist)마스크(202)가 제 4 절연층(75)상에 형성된다. 제 2 RIE 에칭으로 제 1 개구를 포함하는 트렌치(Trench)가 제 4 절연층(75)내에 형성되며, 허선에서 보인 것과 같이 상기 제 1 개구는 제 3 및 제 2 절연층내로 연장된다.
도 2c를 참조하면, 트렌치가 제 4 절연층(75)내에 형성되며, 동시에 상기 제 1 개구는 에칭정지층인 제 3 절연층(73) 및 제 2 절연층(71)내로 연장된다. 상기 RIE 에칭으로 제 1 배선(67)인 구리(Cu) 표면은 CuFx및 CuOx막(72)으로 얇게 덮어져 있으며, 동시에 트렌치 및 제 1 개구의 측벽에도 부착(Adsorption) 또는 증착된다. 이어서 O2플라즈마(Plasma) 처리방법으로 상기 CuFx및 CuOx막을 산화시켜 CuO 및/또는 Cu2O 막으로 만든다. 이어서 베타-다이케톤(Beta Diketone)계열의 가스 HFac(Hexafluoroacetylacetone)을 클리닝 제(Cleaning Agent)로 사용하여 제 1 배선인 구리표면 및 트렌치 및 제 1 개구의 측벽에 있는 CuO 및/또는 Cu2O 막을 제거한다.
상기에서 구리(Cu)는 다른 금속의 산화 예를 들면 알루미늄의 산화와는 달리 200℃미만의 낮은 온도에서 쉽게 Cu2O, CuO 의 산화물로 형성되며, 구리의 추가 산화를 방지할 어떤 자기보호(Self-Protective) 산화막도 형성 할 수 없다. CuO 및/또는 Cu2O 산화공정은 포토레지스트막을 애싱(Ashing)하는 플라즈마 처리방법으로 형성 할 수 있다. 베타-다이케톤(Beta Diketone)의 상세한 설명은 미국특허 5,094,701에 개시되어 있다.
HFac(Hexafluoroacetylacetone)와 Cu 산화물과의 반응식은 아래와 같다.
CuO(s)+ 2HFac(g)→ Cu(HFac)2(g)+ H2O(g)
Cu2O(s)+ 2HFac(g)→ Cu(HFac)2(g)+ Cu(s)+ H2O(g)
도 2d를 참조하면, PVD 장치에서 배리어층(Barrier Layer)(79)과 구리(Cu)(81)를 연속적으로 증착한다. 이어서 배리어층(Barrier Layer)(79)과 구리(Cu)(81)층의 과잉 부분을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이하 CMP 이라 칭함)방법으로 제거한다. 제 4 절연층(75)은 에치/폴리시(Etch/ Polish) 정지층으로 사용된다. 이어서 제 2 배선인 구리(81)의 상부를 씌울(Cap) 배리어층(81)을 증착 형성한다. 이어서 패시베이션 층 (Passivation Layer)(도시 안 함)을 증착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배선의 제조 방법은 반도체 기판상에 제 1 절연층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절연층 내에 제 1 개구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개구에 배리아층으로 둘러싸인 제 1 배선을 다마신방법으로 형성하며, 상기 제 1 배선상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에치정지층을 포함하는 제 2 절연층을 형성하며, 상기 제 2 절연층 내에 제 2 개구를 형성하며, O2플라즈마 처리로 상기 제 2 개구의 측벽에 상기 제 1 배선의 산화막을 형성하며, 베타-다이케톤(Beta-Diketone) 클리닝 제(Cleaning Agent)로 상기 산화막을 제거하며, 상기 제 2 개구에 상기 배리아층으로 둘러싸인 제 2 배선을 다마신방법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리(Copper) 다마신 (Damascene)공정으로 형성된 배선과 비아(Via)를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메탈라이제이션에서 비아부의 구리화합물을 O2플라즈마처리방법으로 구리산화물로 산화시키고, 금속물질 클리닝제인 HFac로 구리산화물을 제거함으로 비아 저항을 낮춤과 동시에 비아 측벽의 구리(Cu)원자를 제거하여 구리의 해로운 효과를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4)

  1. 반도체 기판상에 제 1 절연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절연층 내에 제 1 개구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개구에 배리아층으로 둘러싸인 제 1 배선을 다마신방법으로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 배선상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에치정지층을 포함하는 제 2 절연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절연층 내에 제 2 개구를 형성하는 공정과,
    O2플라즈마 처리로 상기 제 2 개구의 측벽에 상기 제 1 배선의 산화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베타-다이케톤(Beta-Diketone) 클리닝 제로 상기 산화막을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제 2 개구에 상기 배리아층으로 둘러싸인 제 2 배선을 다마신방법으로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의 배선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선 및 상기 제 2 배선은 구리(Cu)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배선 제조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2 개구를 형성하며 동시에 상기 제 2 개구의 측벽 및 하부에 구리화합물을 부착 또는 증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배선 제조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리아층은 Ta, W, Mo, TiN, TiW, TaN, TiSiN, WN,TaSiN, Si3N4.,CoWP 에서 선택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배선 제조 방법.
KR1019990004240A 1999-02-08 1999-02-08 반도체 장치의 배선 제조 방법 KR100282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240A KR100282231B1 (ko) 1999-02-08 1999-02-08 반도체 장치의 배선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240A KR100282231B1 (ko) 1999-02-08 1999-02-08 반도체 장치의 배선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563A true KR20000055563A (ko) 2000-09-05
KR100282231B1 KR100282231B1 (ko) 2001-02-15

Family

ID=19573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4240A KR100282231B1 (ko) 1999-02-08 1999-02-08 반도체 장치의 배선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22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909B1 (ko) * 2000-12-29 2003-09-2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층간 절연막 형성 방법
KR100606544B1 (ko) * 2004-12-22 2006-08-01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방법
KR100673664B1 (ko) * 2000-07-31 2007-01-2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구리 산화물 제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664B1 (ko) * 2000-07-31 2007-01-2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구리 산화물 제거 방법
KR100399909B1 (ko) * 2000-12-29 2003-09-2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층간 절연막 형성 방법
KR100606544B1 (ko) * 2004-12-22 2006-08-01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구리 배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2231B1 (ko)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5931B1 (ko) 반도체 소자의 다층 배선 형성방법
US6509267B1 (en) Method of forming low resistance barrier on low k interconnect with electrolessly plated copper seed layer
KR100482180B1 (ko)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EP2139037B1 (en) Method of fabricating an interconnect structure for electromigration enhancement
US6130157A (en) Method to form an encapsulation layer over copper interconnects
US20070007657A1 (en) Methods for forming conductive vias in a substrate and electronic devices and systems including an at least partially reversed oxidation injury at an interface between a conductive via and a conductive interconnect structure
KR20120112232A (ko) 저유전율 손상이 감소된 다마신 구조물을 위한 공정
WO2006078815A2 (en) Single mask mim capacitor and resistor with in trench copper drift barrier
US6555461B1 (en) Method of forming low resistance barrier on low k interconnect
US7397124B2 (en) Process of metal interconnects
KR100860133B1 (ko) 이온 주입에 의한 측벽 밀도의 국부적 증가
EP2342743A1 (en) Discontinuous/non-uniform metal cap structure and process for interconnect integration
US8053359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second level of metallization formed over a first level with minimal damage to the first level and method
KR100282231B1 (ko) 반도체 장치의 배선 제조 방법
US6448654B1 (en) Ultra thin etch stop layer for damascene process
KR100282230B1 (ko) 반도체 장치의 배선 제조 방법
US20170148735A1 (en) Interconnect Structure for Semiconductor Devices
US10943972B2 (en) Precision BEOL resistors
KR20040077421A (ko) 반도체 장치의 금속배선 형성 방법
US20050184288A1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second level of metallization formed over a first level with minimal damage to the first level and method
KR101098920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00035629A (ko)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KR100621228B1 (ko) 반도체 소자의 배선 및 배선연결부 제조방법
KR20030053673A (ko)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9773735B1 (en) Geometry control in advanced interconnect 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