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5520A - 엠피3 모듈을 구비한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엠피3 모듈을 구비한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5520A
KR20000055520A KR1019990004174A KR19990004174A KR20000055520A KR 20000055520 A KR20000055520 A KR 20000055520A KR 1019990004174 A KR1019990004174 A KR 1019990004174A KR 19990004174 A KR19990004174 A KR 19990004174A KR 20000055520 A KR20000055520 A KR 20000055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rror
compact disc
player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4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8110B1 (ko
Inventor
이용철
Original Assignee
이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철 filed Critical 이용철
Priority to KR1019990004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8110B1/ko
Publication of KR20000055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5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8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81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37A/D conversion, D/A conversion, sampling, slicing and digital quantisation or adjusting parameter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14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being an audio signal
    • G11B2020/00057MPEG-1 or MPEG-2 audio layer III [MP3]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은 MP3 모듈을 구비한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발명은, 마이컴, 디지털 신호처리기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구비하는 CDP에 있어서, CD로부터 독출되는 MP3 데이터를 디코딩한 후에 펄스코드변조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MP3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MP3 모듈은, CD에 기록된 데이터를 디스크램블링하고, 에러를 검출하여 정정하는 MP3 신호처리 부; MP3 데이터를 펄스코드변조 데이터로 디코딩하는 MP3 디코더; 및 디스크램블링에 따른 데이터를 중간 버퍼링하며, 디코딩할 MP3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메모리; 및 CDP의 마이컴과 양방향으로 통신하고, MP3 모듈을 제어하는 MP3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MP3 모듈을 구비한 CDP는 오디오 CD와 CD ROM에 수록된 MP3 파일을 모두 플레이할 수 있고, ASIC을 사용하여 전체 시스템의 가격 절감 및 소형화가 가능하며, 차량이나 휴대용 CDP의 진동에 의한 데이터 에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MP3 플레이어 시스템을 보완하여 PC에서 사용하던 CD를 그대로 재생할 수 있고, 저장매체를 CD로 대치하여 저장 용량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엠피3 모듈을 구비한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 및 그 제어방법{A compact disk player with an MP3 module and its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MP3 모듈을 구비한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디오용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Compact Disk Player: 이하 'CDP')에 있어서, MPEG1 Layer3(Motion Picture Expert Group 1 Layer3 : 이하 'MP3')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MP3 모듈을 구비하여, MP3 데이터 또는 CD 데이터가 기록된 콤팩트디스크를 구동 재생할 수 있는 MP3 모듈을 구비한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콤팩트디스크(Compact Disk: 이하 'CD')는 음성 등을 레이저를 사용하여 펄스코드변조(Pulse Code Modulation: 이하 'PCM') 방식으로 투명한 플라스틱제의 디스크에 디지털 녹음한 것이며, 재생 동작시에도 레이저 반사광에 의해 신호를 검출한다. 이러한 CD용 레코드 또는 플레이어를 CDP라고 한다.
한편, 엠펙(MPEG)은 Motion Picture Expert Group의 약어로서, 국제표준화 기구(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ISO)에 의해 규격화된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데이터의 신장 및 압축 방식을 말한다. MPEG은 MPEG1 및 MPEG2 등으로 구분되며, MPEG1은 1.5Mbps 까지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Stream)을 처리할 수 있으며, 전술한 CD를 기초로 하는 비디오 플레이어(Video Player)에 적당하다. 그리고 MPEG2는 전술한 MPEG1 규격을 포함하고 있으며, 고속 비트 레이트 및 다중 채널을 고려하여 설계되고, 유럽의 DVB에 의해 채용되어, 다음 세대 고화질 TV(HDTV) 및 디지털 소비자 오디오/비디오 환경에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상기 MPEG1 오디오는 복잡도와 압축비에 따라 레이어 1, 2 및 3으로 나뉘며, 레이어 3이 가장 복잡하지만 최고의 성능을 가진다.
한편, MP3은 음악을 담은 디지털 파일로서 PC 사용자를 중심으로 크게 확산되고 있는 음악 포맷이다. MP3은 전술한 MPEG1의 레이어3 오디오에 관한 규격을 말하며, 음질은 CD와 거의 비슷하고, 데이터의 압축비는 약 1/11 정도이다. MP3은 3∼4분 정도의 음악을 약 2∼5Mbyte로 압축 저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650Mbyte의 CD에 저장하면, 무려 14시간 이상의 음악을 CD와 비슷한 수준으로 즐길 수 있다. 따라서, MP3의 장점으로는, 이용가능한 데이터 량이 크다는 것과, 인터넷, 오디오 CD 및 PC 환경하의 CD ROM에 이르기까지 가정용 기기에 적당하며, 음반회사 등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MP3은 독일의 프라운호퍼 연구소에서 디지털 오디오 방송을 위해 개발한 방식으로, 음을 주파수별로 나누어 이를 압축하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인간의 청각에 의한 음의 인지 패턴을 교묘히 이용하는 압축방식이다.
휴대형 디지털 오디오기기인 MP3 플레이어는 테이프나 CD 없이도 인터넷이나 PC 통신을 통해 MP3 음악파일을 다운받아 컴퓨터가 아닌 휴대형 플레이어에 담아 들고 다니면서 음악을 즐길 수 있는 장치이다.
도 1은 일반적인 CDP의 개략적 구성도로서, CDP는, 콤팩트디스크(1)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모터(Spindle motor: 2a); 콤팩트디스크(1)를 추적 재생하여 검출되는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광픽업부(3); 상기 광픽업부(3)를 이송시키기 위한 스레드모터(Thread Motor: 2b); 상기 광픽업부(3)에서 검출된 고주파의 아날로그 신호를 선형 등화 및 파형 정형을 하는 아날로그 파형정형부(4); 프레임 동기신호를 검출하여 각 프레임의 선두 위치를 발견하는 동기검출부(5); 연속된 펄스열을 만들어 상기 동기검출부 및 디지털 신호처리기에 공급하는 위상동기루프 (Phase Locked Loop: 이하 'PLL')(6); EFM(Eight to Fourteen Modulation) 신호를 복조하여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와 에러정정 검출용 패리티를 생성하는 디지털 신호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DSP')(7);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8); 상기 광픽업부의 트래킹 및 포커싱을 제어하고, 상기 콤팩트디스크의 회전을 제어하는 서보부(10); 상기 서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스핀들 모터(2a)와 스레드 모터(2b)를 각각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9);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11); 그리고 상기 DSP(7)에서 처리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의한 CDP의 재생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스핀들모터(2a)가 콤팩트디스크(1)를 회전시키면, 광픽업부(3)는 콤팩트디스크(1)를 추적 재생하여 검출되는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이에 따른 트래킹 오차신호(T.E.) 및 포커싱 오차신호(F.E.)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광픽업부(3)는 레이저 다이오드(미도시), 광검출기(미도시), 대물렌즈(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레드모터(2b)는 상기 광픽업부(3)가 콤팩트디스크(1)를 추적 재생할 수 있도록 이송시키게 되고, 아날로그 파형정형부(4)는 상기 광픽업부(3)에서 검출된 고주파의 아날로그 신호를 소정의 레벨까지 증폭한 후에, 직류 성분 및 잡음의 제거, 선형 등화 및 파형정형을 하게 된다.
상기 동기검출부(5)는 디지털 신호들중에서 프레임 동기신호를 검출하여 각 프레임의 선두 위치를 발견하게 되는데, 이때 PLL(6)은 연속된 펄스열을 만들어 상기 동기검출부(5) 및 DSP(7)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 DSP(7)는 EFM 신호를 복조하여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와 에러정정 검출용 패리티를 생성하고, 좌우채널의 PWM 신호(L, R)를 출력하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8)는 상기 디지털 PWM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OUTL, OUTR)로 변환시켜 출력하게 된다.
상기 서보부(10)는 트래킹 서보, 포커싱서보, 회전서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광픽업의 트래킹 및 포커싱과 상기 콤팩트디스크의 회전을 제어하게 되고, 구동부(9)는 상기 서보부(10)의 제어명령에 따라 스핀들모터(2a)와 스레드모터 (2b)를 각각 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메모리(12)는 상기 DSP(7) 등에서 처리되는 디지털 데이터 등을 저장하게 되며, 중앙처리장치(CPU)(11)는 사용자 입출력 동작 또는 상기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종래의 메모리형 MP3 플레이어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메모리형 MP3 플레이어는, MP3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및 저장 동작 등을 기구적으로 처리하는 MP3 기구부(21); 사용자의 조작 명령에 따른 입출력이 수행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 상기 저장 및 재생 동작을 위한 신호들을 압축 및 신장시키는 DSP(23); 상기 DSP(23)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플래시메모리(25); 상기 DSP(23)에 의해 처리된 좌우 채널의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기(26); 및 상기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모두 제어하는 MP3 마이컴(2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MP3 플레이어와 전술한 CDP와 차이점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MP3 플레이어는 PWM 데이터 대신에 MP3 데이터를 사용하고, CDP의 저장매체인 CD 대신에 PC 등으로부터 MP3 데이터를 다운받아 이를 플래시메모리(25)에 저장하여, 이를 재생시킨다. 전술한 DSP, D/A 변환기 등의 동작과 오디오 데이터 출력 등은 CDP나 MP3 플레이어 모두 유사한 동작을 하게 된다. 종래의 메모리형 MP3 플레이어는 16MB∼64MB 정도의 소용량 플래시메모리(25)를 사용하고 있으며, 약 5∼15곡 정도를 수록할 수 있다. 또한 제조 비용이 비싼 편이고, MP3 파일만을 플레이시킬 수 있다.
종래의 메모리형 MP3 플레이어는 소용량 플래시메모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저장용량이 부족하고, 또한 MP3 파일만 플레이시킬 수 있으며, 가격이 고가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CDP는 MP3 파일을 플레이시킬 수 없으며, 차량용 CDP의 경우에는 진동 등에 따른 데이터 에러의 방지대책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CD에 수록된 오디오 CD 파일과 MP3 파일을 모두 플레이시킬 수 있는 MP3 모듈을 구비한 CDP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저장매체를 CD로 대치시킴으로써 저장 용량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MP3 모듈을 구비한 CDP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차량이나 휴대용 CDP에서 진동에 의한 데이터 에러를 방지할 수 있는 MP3 모듈을 구비한 CDP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MP3 파일의 신호처리 동작을 특수용도 주문형 반도체(ASIC)를 사용하여 구현함으로써, MP3 플레이어의 가격 하락 및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는 MP3 플레이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5 목적은, 휴대용 MP3 플레이어 시스템을 보완하여, PC에서 사용되는 CD 롬디스크를 그대로 재생할 수 있는 MP3 플레이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MP3 플레이어의 개략적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MP3 모듈을 구비한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MP3 모듈을 구비한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신호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MP3 신호처리부의 상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MP3 모듈을 구비한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제어방법의 동작흐름도,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MP3 신호처리부 제어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MP3 모듈을 구비한 CDP는, 마이컴, 디지털 신호처리기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구비하는 CDP에 있어서, CD로부터 독출되는 MP3 데이터를 디코딩한 후에 펄스코드변조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MP3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DP의 디지털신호처리기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와 상기 MP3 모듈에서 출력되는 펄스코드변조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MP3 모듈은, 상기 CD에 기록된 데이터를 디스크램블링하고, 에러를 검출하여 정정하는 MP3 신호처리 수단; 상기 MP3 데이터를 펄스코드변조 데이터로 디코딩하는 MP3 디코더; 및 상기 디스크램블링에 따른 데이터를 중간 버퍼링하며, 상기 디코딩할 MP3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저장 수단; 및 상기 CD 플레이어의 마이컴과 양방향으로 통신하고, 상기 MP3 모듈을 제어하는 MP3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MP3 신호처리 수단은, ASIC에 의한 단일 칩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MP3 신호처리 수단은, 상기 MP3 데이터에 포함된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기신호 처리부; 상기 CDP의 디지털신호처리기로부터 전송되는 MP3 데이터를 디스크램블하는 디스크램블러; 및 상기 MP3 데이터에 포함된 에러를 검출하여 정정하는 에러 검출/정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동기신호 처리부는, 상기 MP3 모듈 전체에서 사용할 기준클럭을 발생하는 타이밍 발생기; 및 상기 MP3 데이터 프레임의 동기신호를 찾아서 프레임의 시작과 종료를 알려주는 동기신호 분리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러 검출/정정부는, 상기 CD로부터 독출되는 1 프레임마다의 MP3 데이터에 포함된 에러를 검출하는 에러검출부; 상기 검출된 에러에 상응하는 에러 정정 코드를 이용하여 에러를 정정하는 에러 정정부; 및 상기 에러 검출 및 정정할 MP3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어드레스 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에러검출부는, 상기 1 프레임 내의 동기신호 바이트를 제외한 모든 바이트에 대해 씨알씨(Cyclic Redundancy Check)를 계산하고, 에러검출코드와 비교하여 에러 여부를 판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러 발생, 상기 MP3 제어수단의 제어 명령 저장 및 제어에 필요한 상태표시를 위한 제어/상태 레지스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 수단은, 동적램(DRAM)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MP3 제어 수단은, 상기 CD가 읽기 불량일 경우, 상기 MP3 신호처리 수단을 이용하여 다시 읽기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CD를 재생시킬 수 있는 MP3 플레이어는, MP3 데이터가 기록된 CD를 추적 검출하는 광픽업 수단; 상기 광픽업 수단에서 검출되는 MP3 데이터를 디스크램블시키는 신호처리 수단; 상기 디스크램블된 MP3 데이터를 펄스코드변조 데이터로 변환하는 디코더; 및 상기 MP3 데이터의 재생에 따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호처리 수단은, ASIC에 의한 단일 칩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호처리 수단은, 상기 MP3 데이터에 포함된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기신호 처리부; 상기 CD로부터 독출되는 MP3 데이터를 디스크램블하는 디스크램블러; 및 상기 MP3 데이터에 포함된 에러를 검출하여 정정하는 에러 검출/정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동기신호 처리부는, 시스템 전체에서 사용할 기준클럭을 발생하는 타이밍 발생기; 및 상기 MP3 데이터 프레임의 동기신호를 찾아서 프레임의 시작과 종료를 알려주는 동기신호 분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에러 검출/정정부는, 상기 CD로부터 독출되는 1 프레임마다의 MP3 데이터에 포함된 에러를 검출하는 에러검출부; 상기 검출된 에러에 상응하는 에러 정정 코드를 이용하여 에러를 정정하는 에러 정정부; 및 상기 에러 검출 및 정정할 MP3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어드레스 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에러검출부는, 상기 1 프레임 내의 동기신호 바이트를 제외한 모든 바이트에 대해 씨알씨를 계산하고, 에러검출코드와 비교하여 에러 여부를 판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러 발생, 상기 MP3 제어수단의 제어 명령 저장 및 제어에 필요한 상태표시를 위한 제어/상태 레지스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저장 수단은, DRA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CD가 읽기 불량일 경우, 상기 MP3 신호처리 수단을 이용하여 다시 읽기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MP3 모듈을 구비한 CDP의 제어방법은, 마이컴, 디지털 신호처리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및 MP3 모듈을 구비하는 CD 플레이어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CD로부터 독출되는 MP3 데이터를 디코딩한 후에 펄스코드변조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CD 플레이어의 디지털신호처리기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출력되는 펄스코드변조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CD에 기록된 데이터를 디스크램블링하고, 에러를 검출하여 정정하는 제1 하위단계; 상기 MP3 데이터를 펄스코드변조 데이터로 디코딩하는 제2 하위단계; 및 상기 디스크램블링에 따른 데이터를 중간 버퍼링하며, 상기 디코딩할 MP3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제3 하위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CD가 읽기 불량일 경우, 다시 읽기를 수행하는 제4 하위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하위단계는, 상기 MP3 데이터에 포함된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기신호 검출단계; 상기 CD 플레이어의 디지털신호처리기로부터 전송되는 MP3 데이터를 디스크램블하는 단계; 및 상기 MP3 데이터에 포함된 에러를 검출하여 정정하는 에러 검출/정정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동기신호 검출단계는, 상기 MP3 모듈 전체에서 사용할 기준클럭을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MP3 데이터 프레임의 동기신호를 찾아서 프레임의 시작과 종료를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에러 검출/정정 단계는, 상기 CD로부터 독출되는 1 프레임마다의 MP3 데이터에 포함된 에러를 검출하는 에러검출단계; 상기 검출된 에러에 상응하는 에러 정정 코드를 이용하여 에러를 정정하는 에러 정정단계; 및 상기 에러 검출 및 정정할 MP3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에러검출단계는, 상기 1 프레임 내의 동기신호 바이트를 제외한 모든 바이트에 대해 씨알씨를 계산하고, 에러검출코드와 비교하여 에러 여부를 판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CD를 재생시킬 수 있는 MP3 플레이어의 제어방법은, MP3 데이터가 기록된 CD를 추적 검출하는 제1 단계; 상기 검출되는 MP3 데이터를 디스크램블시키고, 에러를 검출하여 정정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디스크램블된 MP3 데이터를 펄스코드변조 데이터로 변환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상기 CD가 읽기 불량일 경우, 다시 읽기를 수행하는 제4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MP3 데이터에 포함된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제1 하위단계; 상기 CD로부터 독출되는 MP3 데이터를 디스크램블하는 제2 하위단계; 및 상기 MP3 데이터에 포함된 에러를 검출하여 정정하는 제3 하위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하위단계는, 시스템 전체에서 사용할 기준클럭을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MP3 데이터 프레임의 동기신호를 찾아서 프레임의 시작과 종료를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3 하위단계는, 상기 CD로부터 독출되는 1 프레임마다의 MP3 데이터에 포함된 에러를 검출하는 에러검출단계; 상기 검출된 에러에 상응하는 에러 정정 코드를 이용하여 에러를 정정하는 에러 정정단계; 및 상기 에러 검출 및 정정할 MP3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어드레스 발생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에러검출단계는, 상기 1 프레임 내의 동기신호 바이트를 제외한 모든 바이트에 대해 씨알씨를 계산하고, 에러검출코드와 비교하여 에러 여부를 판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MP3 모듈을 구비한 CDP는, 마이컴, 디지털 신호처리기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구비하는 CD 플레이어에 있어서, CD로부터 독출되는 MP3 데이터를 디코딩한 후에 펄스코드변조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MP3 모듈이 추가적으로 구비됨으로써, 멀티플렉서를 통해 상기 CD 플레이어의 디지털신호처리기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와 상기 MP3 모듈에서 출력되는 펄스코드변조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게 된다. 상기 MP3 모듈에 있어서는, MP3 신호처리 수단이 상기 CD에 기록된 데이터를 디스크램블링하고, 에러를 검출하여 정정하며, 다음에 MP3 디코더가 상기 MP3 데이터를 펄스코드변조 데이터로 디코딩하며, 저장 수단은 상기 디스크램블링에 따른 데이터를 중간 버퍼링하며, 상기 디코딩할 MP3 데이터를 버퍼링하게 되고, MP3 제어 수단은 상기 CD 플레이어의 마이컴과 양방향으로 통신하고, 상기 MP3 모듈을 제어하게 된다. 결국, CD 데이터 또는 MP3 데이터 모두 재생이 가능하며, 아울러 MP3 데이터 내에 포함된 에러 검출 및 정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P3 모듈을 구비한 CDP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P3 모듈을 구비한 CDP는, 자동차용 오디오 CDP(100)가 MP3 모듈(200)을 구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자동차용 오디오 CDP(100)는, 사용자가 오디오 재생 동작 등을 입출력하기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10); 오디오 CD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DSP(130); 오디오 CD 데이터 또는 MP3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시키는 제1 멀티플렉서(MUX#1)(140); 상기 제1 멀티플렉서(14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오디오 D/A 변환기(150); 카세트 테이프 또는 라디오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테이프 플레이어/라디오(160); 광픽업부, 데크 등을 포함하고, CD 재생을 위한 기구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CDP 기구부(170); 상기 오디오 D/A 변환기(150) 또는 테이프 플레이어/라디오 의 출력을 선택 증폭하여 가청주파수로 오디오 출력하는 제2 멀티플렉서(MUX#2) (180); 및 오디오 CD의 재생을 위해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CDP 마이컴(120)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MP3 모듈(200)은, CD에 기록된 MP3 데이터를 디스크램블링하고, MP3 데이터에 포함된 오류를 검출하여 정정하는 MP3 신호처리부(220); 상기 디스크램블링에 따른 데이터를 중간 버퍼링하거나, 디코딩될 MP3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MP3 메모리(240); 상기 MP3 데이터를 펄스코드변조 데이터로 디코딩하는 MP3 디코더(250); 및 상기 CDP 마이컴(120)과 양방향으로 통신하며, MP3 데이터 재생을 위해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MP3 마이컴(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MP3 모듈을 구비한 CDP는, CD 데이터 또는 MP3 데이터가 기록된 CD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여, 각각에 따른 디스크램블 신호처리를 하여 오디오 출력을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상기 CDP 마이컴(120)의 내부 제어프로그램이 교체되어야 한다. 또한 MP3 모듈(200) 내의 MP3 신호처리부(220)는 상기 CD의 디스크램블링, 에러 검출 및 정정, PCM 데이터의 MP3 데이터로의 변환 및 데이터 버퍼 레벨의 조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MP3 신호처리부(220)는 소형화 및 가격 절감을 위해 ASIC화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P3 모듈을 구비한 CDP의 제어방법의 동작흐름도로서, 도 3에 도시된 장치 구성을 참고로 하여, 이하 병행하여 그 작용을 설명한다.
도 6에 의하면, 사용자가 MP3 데이터 재생 또는 CD 데이터 재생을 위해서, CD를 삽입한 후에 키버튼을 눌러서 조작 명령을 입력하면(S10), 상기 데이터가 CD 데이터일 경우에는(S20), 광픽업부가 구동되어 CD로부터 CD 데이터를 독출하게 된다(S30).
상기 광픽업부로부터 검출되는 신호로부터 아날로그 파형정형을 하고(S40), CD 데이터 내에 포함된 동기신호를 검출하게 된다(S50). 다음에 DSP(130)에 의해 EFM 신호를 PWM 신호로 변환하게 된다(S60).
만일, 상기 데이터가 MP3 데이터일 경우에는(S70), 광픽업부가 구동되어 CD로부터 MP3 데이터를 독출하게 된다(S80). 상기 독출된 데이터는 MP3 신호처리부(220)에 의해서 디스크램블되고, 에러를 검출하여 이를 정정하는 신호처리가 수행된다(S90). 다음에 MP3 데이터는 MP3 디코더(250)에 의해 PWM 데이터로 디코딩되게 된다(S100). 이때 에러 검출 및 정정시 발생하는 데이터와 디코딩되는 MP3 데이터는 메모리인 DRAM(240)에 저장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MP3 모듈을 구비한 CDP의 신호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 모듈은 후술하는 신호들을 사용하여 실질적으로 구현되며, 그 기능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송신 신호(Tx)는 MP3 마이컴(210)에서 CDP 마이컴(120)으로 보내는 데이터선이고, 수신 신호(Rx)는 CDP 마이컴(120)에서 MP3 마이컴(210)으로 보내는 데이터선으로서, 두 마이컴(120, 210) 간에는 서로 직접적으로 통신이 가능하다.
CD DSP(130)에서 MP3 신호처리부(220)로 보내는 신호 중에서, BCLK는 직렬 데이터의 비트를 구분하는 클럭이고, SDAT는 직렬 데이터선, WS는 좌채널(Left) 또는 우채널(Right) 오디오 신호임을 알려 주며, C2PO는 에러가 포함된 데이터임을 알려주는 신호로서, 상기 신호는 모두 CDP(100)의 DSP(130)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신호들이다.
또한, MP3 디코더(250)에서 제1 멀티플렉서(MUX#1)로 보내는 아날로그 오디오는 R-Audio와 L-Audio로 구분되는데, R-Audio 및 L-Audio는 각각 베이스밴드 아날로그 우채널 및 좌채널 오디오 신호이다.
또한 MP3 신호처리부(220)와 MP3 메모리(24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신호 중에서, Data는 MP3 메모리(240)인 DRAM의 데이터 라인이고, Address는 DRAM의 어드레스 라인, RAS는 Raw 어드레스 스트로브 라인, CAS는 Column 어드레스 스트로브 라인을 말한다. 그리고 WE는 라이트 인에이블 라인, OE는 출력 인에이블 라인을 나타내고 있다.
MP3 마이컴(210)과 MP3 신호처리부(220)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신호 중에서, Mdata는 데이터 신호, A0∼A5는 어드레스 선택 어드레스 라인, CS는 칩선택 신호를 나타내며, 미도시된 WE는 라이트 인에이블 라인, OE는 출력 인에이블 라인을 나타내고 있다.
MP3 신호처리부(220)와 MP3 디코더(250) 간의 신호 중에서, Data는 MP3 직렬데이터 라인, Rdy는 MP3 디코더의 요구 신호를 각각 나타낸다.
도 6에서, 상기 CDP(100) 내의 DSP(130)에서 디지털 신호처리된 신호 또는 상기 MP3 모듈(200) 내의 MP3 디코더(250)에서 디코딩된 데이터는 제1 멀티플렉서(140)에 입력되게 된다.
상기 제1 멀티플렉서(140)의 선택에 의해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게 되며(S110), 이후에 가청주파수로 증폭되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S120).
한편, 상기 MP3 마이컴(210)은 CDP 마이컴(120)과의 상호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MP3 마이컴(210)은 분, 초, 프레임별 데이터 읽기 명령을 전달하고, 키/리모콘 입력 및 LCD 표시를 위한 데이터 통신을 하게 된다. 또한 시간 연속성 점검 및 다시 읽기 제어가 가능하고, 메모리 버퍼 관리 및 MP3 메모리(240) 버퍼 관리를 하게 된다. 상기 다시 읽기 제어는 CD가 스크래치 등에 의해 읽기 불량일 경우, 상기 MP3 마이컴(210)의 제어에 의해 다시 읽기를 수행되는데, 이때 MP3 신호처리부(220)의 에러 검출/정정에 의해 다시 읽기가 가능해진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MP3 신호처리부의 상세 구성도이고, 도 7은 그 제어방법의 동작흐름도로서, 이하 병행하여 설명한다.
실질적으로, MP3 신호처리부(220)는 소형화 및 비용 절감을 위해 ASIC으로 구현된다. 먼저, 타이밍 발생기(Timing Generator)(221)는 외부에서 16.9344㎒ 입력(CLK)을 받아서, MP3 모듈 시스템 전체에서 사용할 기준 클럭을 만든다. 동기신호 비교기(Sync. Comparator)(223)는 MP3 오디오 데이터 프레임의 최선두에 있는 12 바이트의 동기신호를 찾아내 프레임의 시작과 종료를 알려 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동기신호가 검출된 후 2352 바이트 이후에 다음 동기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에러 상태를 표시한다(S91).
CDP 인터페이스(222)는 CD DSP(130)로부터 CLK, BCLK, C2PO 등의 신호를 직렬 데이터로 받아 16비트 병렬 데이터 열(array)을 생성한다(S92). 그리고 디스크램블러(Descrambler)(225)는 CD로부터 재생되는 MP3 데이터의 디스크램블링을 수행한다(S93). 이때 CD로부터 검출되는 데이터 내에 동기신호 패턴과 같은 패턴이 나오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여기에서 스크램블링은 주어진 신호를 적당한 방법으로 암호화 또는 부호화 하여 일반 수신자가 이해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지만, 상기 디스크램블링은 주어진 신호를 스크림블되기 이전의 상태로 되돌리는 장치를 말한다.
에러 검출부(Error Detection Module)(226)는 CD로부터 읽어낸 1 프레임 데이터 내에 에러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체크하고(S94), 즉, 1 프레임 내의 동기신호 바이트 12 바이트를 제외한 모든 바이트로 CRC(Cyclic Redundency Check)를 계산 후에, 데이터 내에 포함된 에러검출 코드(Error Detection Code)와 비교하여 에러 여부 판별하게 된다.
에러 정정부(Error Corrction Module)(227)는 상기 에러 검출 결과로부터 에러임이 판별되면, 프레임 내에 포함되어 있는 에러정정 코드(Error Corrction Code)를 이용하여 에러 정정을 수행한다(S95). 이때 디코딩 어드레스 발생기 (Decoding Address Generator)(231)는 에러 검출 및 에러 정정할 어드레스를 발생시켜 준다.
MP3 마이컴 인터페이스(228)는 MP3 플레이어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MP3 마이컴(210)과 MP3 신호처리부(220)와의 인터페이스부로서, MP3 마이컴(210)의 상태 레지스터 및 제어용 레지스터(224)를 읽고 쓸 수 있게 한다(S96). 상기 상태 및 제어 레지스터(224)는 각각 MP3 신호처리부(220) 내의 여러 에러 발생 상황이나 MP3 마이컴(210) 제어에 필요한 상태를 표시하는 레지스터 및 마이컴으로부터의 명령을 받아들여 저장해두는 레지스터이다.
다음에, DRAM 제어부(229)는 DRAM(240)의 리프레쉬 및 액세스에 필요한 어드레스 및 데이터를 제어하며(S97), 상기 에러 정정 및 검출 동작, 그리고 MP3 데이터 전송시에 DRAM 버스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에, MP3 디코더 인터페이스(223)는 CD 디코딩 및 에러 보정을 끝낸 MP3 데이터를 PCM 데이터로 변환하는 MP3 디코더(250)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S98). 이때 DRAM(240)의 버퍼로부터 데이터를 읽어 MP3 디코더(250)에 직렬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MP3 데이터 버퍼 어드레스 발생기(232)는 MP3 디코더(250)로 전송할 데이터를 저장하여 두는 버퍼의 읽기 및 쓰기 어드레스를 발생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서, CDP 마이컴(210)은 MP3용 CD ROM을 지원하기 위해서 프로그램이 교체됨으로써, CD ROM 상의 오디오 CD 데이터와 MP3 데이터를 모두 지원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용 CDP, 가정용 CDP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용 CDP는 일반적인 자동차용 CDP를 사용하고, 하드웨어의 추가에 있어서는 소규모의 하드웨어 추가가 필요한데, 즉, 범용 I/O 핀의 사용, CD DSP 신호 커넥터의 사용, 및 오디오 D/A 변환기에 입력신호를 제공하는 멀티플렉서를 사용하여 오디오 CD 데이터 또는 MP3 디코딩된 데이터를 선택하여 오디오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MP3 모듈을 구비한 CDP는 오디오 CD와 CD ROM에 수록된 MP3 파일을 모두 플레이할 수 있고, ASIC을 사용하여 전체 시스템의 가격 절감 및 소형화가 가능하며, 차량이나 휴대용 CDP의 진동에 의한 데이터 에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에 스크래치가 생겨서 읽기 불량이 발생한 경우에, MP3 마이컴 및 신호처리부에 의해 다시 읽기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MP3 플레이어 시스템을 보완하여 PC에서 사용하던 CD를 그대로 재생할 수 있고, 저장매체를 CD로 대치하여 저장 용량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저장매체로 CD를 사용하되, 가정용, 휴대용 및 차량용 CDP를 이용하므로, 별도의 CD ROM 드라이버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가격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33)

  1. 마이컴, 디지털 신호처리기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구비하는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
    콤팩트디스크로부터 독출되는 엠피3 데이터를 디코딩한 후에 펄스코드변조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엠피3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피3 모듈을 구비하는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지털신호처리기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와 상기 엠피3 모듈에서 출력되는 펄스코드변조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엠피3 모듈을 구비하는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엠피3 모듈은,
    상기 콤팩트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디스크램블링하고, 에러를 검출하여 정정하는 엠피3 신호처리 수단;
    상기 엠피3 데이터를 펄스코드변조 데이터로 디코딩하는 엠피3 디코더; 및
    상기 디스크램블링에 따른 데이터를 중간 버퍼링하며, 상기 디코딩할 엠피3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저장 수단; 및
    상기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마이컴과 양방향으로 통신하고, 상기 엠피3 모듈을 제어하는 엠피3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엠피3 모듈을 구비하는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엠피3 신호처리 수단은, 특정용도 주문형 반도체(ASIC)인 단일 칩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피3 모듈을 구비하는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엠피3 신호처리 수단은,
    상기 엠피3 데이터에 포함된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기신호 처리부;
    상기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지털신호처리기로부터 전송되는 엠피3 데이터를 디스크램블하는 디스크램블러; 및
    상기 엠피3 데이터에 포함된 에러를 검출하여 정정하는 에러 검출/정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엠피3 모듈을 구비하는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신호 처리부는,
    상기 엠피3 모듈 전체에서 사용할 기준클럭을 발생하는 타이밍 발생기; 및
    상기 엠피3 데이터 프레임의 동기신호를 찾아서 프레임의 시작과 종료를 알려주는 동기신호 분리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엠피3 모듈을 구비하는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검출/정정부는,
    상기 콤팩트디스크로부터 독출되는 1 프레임마다의 엠피3 데이터에 포함된 에러를 검출하는 에러검출부;
    상기 검출된 에러에 상응하는 에러 정정 코드를 이용하여 에러를 정정하는 에러 정정부; 및
    상기 에러 검출 및 정정할 엠피3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어드레스 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엠피3 모듈을 구비하는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검출부는, 상기 1 프레임 내의 동기신호 바이트를 제외한 모든 바이트에 대해 씨알씨(Cyclic Redundancy Check)를 계산하고, 에러검출코드와 비교하여 에러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피3 모듈을 구비하는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발생, 상기 엠피3 제어수단의 제어 명령 저장 및 제어에 필요한 상태표시를 위한 제어/상태 레지스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엠피3 모듈을 구비하는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
  10.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수단은, 동적램(DRA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피3 모듈을 구비하는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
  11.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엠피3 제어 수단은, 상기 콤팩트디스크가 읽기 불량일 경우, 상기 엠피3 신호처리 수단을 이용하여 다시 읽기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피3 모듈을 구비하는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
  12. 엠피3 플레이어에 있어서,
    엠피3 데이터가 기록된 콤팩트디스크를 추적 검출하는 광픽업 수단;
    상기 광픽업 수단에서 검출되는 엠피3 데이터를 디스크램블시키는 신호처리 수단;
    상기 디스크램블된 엠피3 데이터를 펄스코드변조 데이터로 변환하는 디코더; 및
    상기 엠피3 데이터의 재생에 따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콤팩트디스크를 재생시킬 수 있는 엠피3 플레이어.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 수단은, 특정용도 주문형 반도체(ASIC)인 단일 칩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디스크를 재생시킬 수 있는 엠피3 플레이어.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 수단은,
    상기 엠피3 데이터에 포함된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기신호 처리부;
    상기 콤팩트디스크로부터 독출되는 엠피3 데이터를 디스크램블하는 디스크램블러; 및
    상기 엠피3 데이터에 포함된 에러를 검출하여 정정하는 에러 검출/정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콤팩트디스크를 재생시킬 수 있는 엠피3 플레이어.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신호 처리부는,
    시스템 전체에서 사용할 기준클럭을 발생하는 타이밍 발생기; 및
    상기 엠피3 데이터 프레임의 동기신호를 찾아서 프레임의 시작과 종료를 알려주는 동기신호 분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콤팩트디스크를 재생시킬 수 있는 엠피3 플레이어.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검출/정정부는,
    상기 콤팩트디스크로부터 독출되는 1 프레임마다의 엠피3 데이터에 포함된 에러를 검출하는 에러검출부;
    상기 검출된 에러에 상응하는 에러 정정 코드를 이용하여 에러를 정정하는 에러 정정부; 및
    상기 에러 검출 및 정정할 엠피3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어드레스 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콤팩트디스크를 재생시킬 수 있는 엠피3 플레이어.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검출부는, 상기 1 프레임 내의 동기신호 바이트를 제외한 모든 바이트에 대해 씨알씨를 계산하고, 에러검출코드와 비교하여 에러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디스크를 재생시킬 수 있는 엠피3 플레이어.
  18.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발생, 상기 엠피3 제어수단의 제어 명령 저장 및 제어에 필요한 상태표시를 위한 제어/상태 레지스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콤팩트디스크를 재생시킬 수 있는 엠피3 플레이어.
  19.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수단은, 동적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디스크를 재생시킬 수 있는 엠피3 플레이어.
  20.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콤팩트디스크가 읽기 불량일 경우, 상기 엠피3 신호처리 수단을 이용하여 다시 읽기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디스크를 재생시킬 수 있는 엠피3 플레이어.
  21. 마이컴, 디지털 신호처리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및 엠피3 모듈을 구비하는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콤팩트디스크로부터 독출되는 엠피3 데이터를 디코딩한 후에 펄스코드변조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지털신호처리기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출력되는 펄스코드변조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엠피3 모듈을 구비하는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제어방법.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콤팩트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디스크램블링하고, 에러를 검출하여 정정하는 제1 하위단계;
    상기 엠피3 데이터를 펄스코드변조 데이터로 디코딩하는 제2 하위단계; 및
    상기 디스크램블링에 따른 데이터를 중간 버퍼링하며, 상기 디코딩할 엠피3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제3 하위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엠피3 모듈을 구비하는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제어방법.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위단계는,
    상기 엠피3 데이터에 포함된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기신호 검출단계;
    상기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지털신호처리기로부터 전송되는 엠피3 데이터를 디스크램블하는 단계; 및
    상기 엠피3 데이터에 포함된 에러를 검출하여 정정하는 에러 검출/정정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엠피3 모듈을 구비하는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제어방법.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신호 검출단계는,
    상기 엠피3 모듈 전체에서 사용할 기준클럭을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엠피3 데이터 프레임의 동기신호를 찾아서 프레임의 시작과 종료를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엠피3 모듈을 구비하는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제어방법.
  25.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검출/정정 단계는,
    상기 콤팩트디스크로부터 독출되는 1 프레임마다의 엠피3 데이터에 포함된 에러를 검출하는 에러검출단계;
    상기 검출된 에러에 상응하는 에러 정정 코드를 이용하여 에러를 정정하는 에러 정정단계; 및
    상기 에러 검출 및 정정할 엠피3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엠피3 모듈을 구비하는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제어방법.
  26.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검출단계는, 상기 1 프레임 내의 동기신호 바이트를 제외한 모든 바이트에 대해 씨알씨를 계산하고, 에러검출코드와 비교하여 에러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피3 모듈을 구비하는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제어방법.
  27.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콤팩트디스크가 읽기 불량일 경우, 다시 읽기를 수행하는 제4 하위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엠피3 모듈을 구비하는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제어방법.
  28. 엠피3 플레이어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엠피3 데이터가 기록된 콤팩트디스크를 추적 검출하는 제1 단계;
    상기 검출되는 엠피3 데이터를 디스크램블시키고, 에러를 검출하여 정정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디스크램블된 엠피3 데이터를 펄스코드변조 데이터로 변환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콤팩트디스크를 재생시킬 수 있는 엠피3 플레이어의 제어방법.
  29.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엠피3 데이터에 포함된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제1 하위단계;
    상기 콤팩트디스크로부터 독출되는 엠피3 데이터를 디스크램블하는 제2 하위단계; 및
    상기 엠피3 데이터에 포함된 에러를 검출하여 정정하는 제3 하위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콤팩트디스크를 재생시킬 수 있는 엠피3 플레이어의 제어방법.
  30. 제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위단계는,
    시스템 전체에서 사용할 기준클럭을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엠피3 데이터 프레임의 동기신호를 찾아서 프레임의 시작과 종료를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콤팩트디스크를 재생시킬 수 있는 엠피3 플레이어의 제어방법.
  31. 제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하위단계는,
    상기 콤팩트디스크로부터 독출되는 1 프레임마다의 엠피3 데이터에 포함된 에러를 검출하는 에러검출단계;
    상기 검출된 에러에 상응하는 에러 정정 코드를 이용하여 에러를 정정하는 에러 정정단계; 및
    상기 에러 검출 및 정정할 엠피3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어드레스 발생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콤팩트디스크를 재생시킬 수 있는 엠피3 플레이어의 제어방법.
  32. 제3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검출단계는, 상기 1 프레임 내의 동기신호 바이트를 제외한 모든 바이트에 대해 씨알씨를 계산하고, 에러검출코드와 비교하여 에러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디스크를 재생시킬 수 있는 엠피3 플레이어의 제어방법.
  33.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콤팩트디스크가 읽기 불량이면, 다시 읽기를 수행하는 제4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콤팩트디스크를 재생시킬 수 있는 엠피3 플레이어의 제어방법.
KR1019990004174A 1999-02-08 1999-02-08 엠피3 모듈을 구비한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 및 그 제어방법 KR100568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174A KR100568110B1 (ko) 1999-02-08 1999-02-08 엠피3 모듈을 구비한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174A KR100568110B1 (ko) 1999-02-08 1999-02-08 엠피3 모듈을 구비한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520A true KR20000055520A (ko) 2000-09-05
KR100568110B1 KR100568110B1 (ko) 2006-04-05

Family

ID=19573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4174A KR100568110B1 (ko) 1999-02-08 1999-02-08 엠피3 모듈을 구비한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811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0402A (ko) * 2001-05-25 2002-1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cd-rom 타입 mp3 플레이어와 이의 제어 방법
KR20030016671A (ko) * 2001-08-21 2003-03-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엠피 쓰리 오디오
KR20030044084A (ko) * 2001-11-28 2003-06-09 성낙면 씨디롬 드라이브를 이용한 엠피3 씨디플래이어 제작방법
KR20040078379A (ko) * 2003-03-04 2004-09-10 신 훈 강 차량용 엠피쓰리 멀티 콘트롤러 및 신호분석방법
KR100469572B1 (ko) * 2002-03-20 2005-02-02 주식회사 레인콤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충격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0532410B1 (ko) * 2002-04-19 2005-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cd-mp3 시스템 및 그것을 위한 파일 시스템디코딩 방법
KR100575818B1 (ko) * 1999-09-03 200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 오디오 시스템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KR100604790B1 (ko) * 1999-11-03 2006-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범용 광 디스크 재생장치
KR100895776B1 (ko) * 2007-07-27 2009-05-06 주식회사 대경바스컴 디지털제어 통합 엘시디형 대출력 오디오앰프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9565B1 (ko) * 1993-12-16 1998-04-10 구자홍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엠펙/씨디(mpeg/cd) 오디오 처리 장치
KR19980073857A (ko) * 1997-03-20 1998-11-05 구자홍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디코딩 리셋방법
KR19990069358A (ko) * 1998-02-06 1999-09-06 서윤득 엠피3 저장 방식의 컴팩트 디스크 재생 장치를 이용한 독립형음악 감상 시스템
KR20000000292U (ko) * 1998-06-08 2000-01-15 안성준 엠피쓰리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휴대용 싱글씨디 전용 플레이어
KR100321437B1 (ko) * 1998-11-02 2002-05-13 이상훈 자동차엠피쓰리플레이어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818B1 (ko) * 1999-09-03 200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 오디오 시스템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KR100604790B1 (ko) * 1999-11-03 2006-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범용 광 디스크 재생장치
KR20020090402A (ko) * 2001-05-25 2002-1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cd-rom 타입 mp3 플레이어와 이의 제어 방법
KR20030016671A (ko) * 2001-08-21 2003-03-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엠피 쓰리 오디오
KR20030044084A (ko) * 2001-11-28 2003-06-09 성낙면 씨디롬 드라이브를 이용한 엠피3 씨디플래이어 제작방법
KR100469572B1 (ko) * 2002-03-20 2005-02-02 주식회사 레인콤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충격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0532410B1 (ko) * 2002-04-19 2005-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cd-mp3 시스템 및 그것을 위한 파일 시스템디코딩 방법
KR20040078379A (ko) * 2003-03-04 2004-09-10 신 훈 강 차량용 엠피쓰리 멀티 콘트롤러 및 신호분석방법
KR100895776B1 (ko) * 2007-07-27 2009-05-06 주식회사 대경바스컴 디지털제어 통합 엘시디형 대출력 오디오앰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8110B1 (ko) 2006-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5216A (en) Optical disk player capable of playing back both CD-ROM and CD-DA
JPH10233701A (ja) 高速データ処理及び伝送のためのエラー訂正用のメモリを備えるシステムデコーダ及びエラー訂正用のメモリ制御方法
US20070098021A1 (en) Replaying Digital Media
KR100568110B1 (ko) 엠피3 모듈을 구비한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 및 그 제어방법
JP2919445B2 (ja) データ高速伝送のためのシステムデコーダ及びトラックバッファリング制御方法
KR100358606B1 (ko) 디스크기록재생장치
KR100233722B1 (ko)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재생장치의 디지털신호처리부 테스트장치
US6072755A (en) Optical disk player having multidomain memory for storing demodulated, error-corrected and descrambled data
US6215754B1 (en) High capacity compact disk player
EP1579326B1 (en) Module for reading a data carrier
KR100521916B1 (ko)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가사 동기 및 오디오신호 전송방법
JP2001291326A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半導体集積回路
JP3580898B2 (ja) 映像再生装置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映像カラオケ装置
US20060156051A1 (en) Module for reading a data carrier
JPH10302414A (ja) データの処理及び出力方法並びに装置
JP3110353B2 (ja) 情報再生方法
KR0174856B1 (ko)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용 모터 회전속도 제어장치
KR980011267A (ko) 비디오 씨.디 플레이어의 기억 재생 방법
KR19980079016A (ko) 광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의 재생 방법
KR19990042818A (ko) 병렬 데이터 인터페이스장치
KR20050035572A (ko)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JP2002074838A (ja) 光ディスクの記録再生用ディジタル信号処理回路
JPH08153384A (ja) 記録装置および再生装置
JPH1173734A (ja) 光ディスクデータ再生装置
JP2003317391A (ja)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