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3042A - Dual propeller propulsion system for a water craft - Google Patents

Dual propeller propulsion system for a water craf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3042A
KR20000053042A KR1019990703942A KR19997003942A KR20000053042A KR 20000053042 A KR20000053042 A KR 20000053042A KR 1019990703942 A KR1019990703942 A KR 1019990703942A KR 19997003942 A KR19997003942 A KR 19997003942A KR 20000053042 A KR20000053042 A KR 20000053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ller
propellers
housing
water
propuls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7039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06261B1 (en
Inventor
로이터라인홀트
카울슈테판
Original Assignee
디트리히 베. 보르크
숏텔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21686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0005304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DE29619385U external-priority patent/DE29619385U1/en
Priority claimed from DE1996148417 external-priority patent/DE19648417A1/en
Application filed by 디트리히 베. 보르크, 숏텔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디트리히 베. 보르크
Publication of KR20000053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30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6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6261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7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by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08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 B63H5/1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of coaxial type, e.g. of counter-rotativ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22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non-mechanical gearing
    • B63H23/24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non-mechanical gear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42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ulsive elements;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propellers used therefor only; Steering or dynamic anchoring by rudders carrying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08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08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 B63H5/1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of coaxial type, e.g. of counter-rotative type
    • B63H2005/103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of more than one propeller of coaxial type, e.g. of counter-rotative type of co-rotative type, i.e. rotating in the same direction, e.g. twin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B63H2005/1254Podded azimuthing thrusters, i.e. podded thruster units arranged inboard for rotation about vertical axis
    • B63H2005/1258Podded azimuthing thrusters, i.e. podded thruster units arranged inboard for rotation about vertical axis with electric power transmission to propellers, i.e. with integrated electric propeller mo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High-Pressure Fuel Injection Pump Control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수상교통수단의 동체 하부에 수류가 원활하게 하도록 곤돌라 형태로 마련되는 수중 하우징(2)의 양단부 외측에 두 프로펠러(3, 4)가 동축으로 배치되고, 두 프로펠러(3, 4)를 위한 구동수단이 수중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수상교통수단의 동체로부터 하우징 섕크(18)를 통해 에너지가 구동수단에 공급되며, 하우징 섕크의 한쪽 단부가 수상교통수단 동체(24)에 연결되고 그 다른 쪽 단부가 수중 하우징(2)에 연결되는 수상교통수단의 이중프로펠러 추진장치는, 수중 하우징(2)이 제어장치(20)의 일부가 되고, 수상교통수단 운행방향 전방의 프로펠러(3)에서 증대된 에너지를 지닌 채 떠나가는 워터제트가 제어장치(20)를 통하여 에너지 손실이 최소화되고 뒤틀림이 최대한 제거되어서 수상교통수단 운행방향 후방에 있고 수중 하우징의 다른 쪽 단부에 있는 프로펠러(4)에 보내어지고, 두 프로펠러(3, 4)는 수중 하우징 내부의 구동수단에 의해 동일 회전방향으로 구동되고, 두 프로펠러(3, 4)의 유입부에서 서로 다른 수준으로 있게 되는 흐름 에너지가 최적으로 활용되도록 각각의 워터제트의 단면의 영역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wo propellers 3 and 4 are coaxially disposed on both outer sides of the underwater housing 2 provided in the shape of a gondola so that water flow is smoothly below the fuselage of the water vehicle, and driving means for the two propellers 3 and 4. It is provided inside the underwater housing, and energy is supplied to the drive means from the fuselage of the water vehicle through the housing shank 18, one end of the housing shank is connected to the water vehicle fuselage 24,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In the dual propeller propulsion device of the water vehicle connected to the underwater housing 2, the underwater housing 2 becomes part of the control device 20, and the energy propagated in the propeller 3 in front of the water vehicle traveling direction is transferred. The water jets that are leaving the water jets are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underwater housing, behind the water vehicle's direction of travel, with minimal loss of energy and minimal distortion through the control unit 20. Flow energy sent to the propeller 4, the two propellers 3 and 4 are driven in the same rotational direction by the drive means inside the underwater housing and at different levels at the inlets of the two propellers 3 and 4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the area of the cross section of each water jet so as to be optimally utilized.

Description

수상교통수단의 이중 프로펠러 추진장치{DUAL PROPELLER PROPULSION SYSTEM FOR A WATER CRAFT}DUAL PROPELLER PROPULSION SYSTEM FOR A WATER CRAFT}

이러한 추진장치로서 공지된 형태는 원래의 원동기, 특히 디젤엔진이 선박동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원동기의 또 다른 일부로서 전동장치가 선박동체 하부의 곤돌라 속에 들어가며, 전동장치에 연결된 구동축이 곤돌라의 양단부 쪽으로 연장되어 이 구동축의 양단부에 서로 같은 형태의 두 프로펠러가 각각 하나씩 고정되어 함께 돌아가는 것이다. 이러한 해결방법의 하나가 DE 44 30 738 A1에 설명되어 있다. 여기서 중요한 특징은 두 프로펠러 사이에 설치되는 제어장치인데, 이 제어장치는 수류(水流)가 항해방향의 전방에 있는 프로펠러를 떠난 뒤에 생기는 비틀림을 제거해 주며, 이로써 이 수류가 비교적 높은 에너지를 가진 채 비틀림 없이 항해방향의 후방에 있는 프로펠러로 유입된다. 또 같은 종류의 추진장치로서, 구동장치 전체가 앞에서 언급한 곤돌라 속에 들어가는 형태의 것도 공지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는 곤돌라 양단의 프로펠러를 위한 원동기로서 전기모터가 제공된다. 여기에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는 선박동체에 설치된 발전시설에서 나온다. 이러한 방법은 EP 0 590 867 A1에 설명되어 있다.Known as such a propulsion device, the original prime mover, in particular the diesel engine, is installed inside the ship's fuselage, and as another part of the prime mover, the transmission is placed in the gondola below the ship's fuselage, and the drive shaft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are at both ends of the gondola. Extending to the two ends of the drive shaft, each having the same type of propellers fixed to each other and rotating together. One such solution is described in DE 44 30 738 A1. An important feature here is a control device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two propellers, which eliminates the torsion after the water flow leaves the propeller in front of the navigational direction, thereby twisting the water stream with a relatively high energy. Flows into the propellers at the rear of the navigation direction without In addition, as the propulsion device of the same type, it is also known that the entire driving device is in the gondola mentioned above. In this method, an electric motor is provided as a prime mover for the propellers across the gondola. The electrical energy supplied here comes from power plants installed in the ship's fuselage. This method is described in EP 0 590 867 A1.

첫 번째 언급한 구조의 추진장치에서는 선박동체 내부의 원동기와 곤돌라 내부의 그 전동장치 사이에 있는 구동축이, 두 번째 언급한 구조의 추진장치에서는 선박동체 내부의 발전시설과 곤돌라 내부의 전기모터 사이의 전기 도선이 보호관 속에 들어간다. 이 보호관의 위쪽 단부는 그 종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선박동체에 설치되고, 아래쪽 단부는 곤돌라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곤돌라를 지지한다. 이렇게 하면 보호관에는 서보모터가 부여될 수 있다. 서보모터는 곤돌라 및 여기에 부여된 프로펠러와 함께 보호관을 그 종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후방의 프로펠러에서 빠져나가는 물의 흐름 방향을 바꿀 수 있으며, 방향타 겸용 이중프로펠러 추진시스템이 실현된다. 그밖에도 첫 번째 언급한 실시형태에서는 보호관이 안내격자의 일부가 된다.In the propulsion system of the first mentioned structure, the drive shaft between the prime mover inside the ship body and its transmission device in the gondola, and in the propulsion system of the second mentioned structure between the power plant inside the ship body and the electric motor inside the gondola An electrical lead enters the sheath. The upper end of the protective tube is installed on the ship body so as to rotate about its longitudinal axis, and the lower end is firmly fixed to the gondola to support the gondola. In this way, the servo tube can be provided to the protective tube. The servomotor, together with the gondola and propellers attached thereto, may cause the protective tube to rotate about its longitudinal axis. In this way, the direction of water flowing out of the rear propeller can be changed, and a double propeller propulsion system for rudder combined use is realized. In addition, in the first mentioned embodiment, the sheath becomes part of the guide lattice.

본 발명은 원동기와 이 원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이중 프로펠러를 갖춘 워터제트(water jet) 추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jet propulsion device having a prime mover and a double propeller driven by the prime mover.

도 1은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게 곤돌라 형태로 되어 있는 수중 하우징이 하우징 섕크 및 다리를 통해 선박 하부면에 장치되며, 수중 하우징에 수용된 전기모터의 구동축 양단에 프로펠러가 하나씩 부여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프로펠러 추진장치의 제1 실시예의 도면;1 is an underwater housing having a smooth flow of the gondola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hip through the housing shank and legs, one propeller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drive shaft of the electric motor accommodated in the underwater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of a dual propeller propulsion device;

도 2는 도 1의 실시예를 목적에 맞게 변형한 제2 실시예의 도면;FIG. 2 is a view of a second embodiment modified to suit the embodiment of FIG. 1. FIG.

도 3은 수중 하우징 내부에 V 드라이브가 설치되어 있고,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통상적인 내연기관, 전기모터 등이 될 수 있는 선박 내부의 원동기로부터 보호관 및 하우징 섕크 속에 설치된 구동축을 거쳐 구동 에너지가 V 드라이브에 전달되는 세 번째 실시예의 도면;3 shows a V drive installed in the underwater housing, and although not shown, driving energy is supplied to the V drive from a prime mover inside the ship, which may be a conventional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 electric motor, or the like, through a drive shaft installed in a protective tube and a housing shank. A diagram of a third embodiment conveyed;

도 4 내지 도 6은 선박 내부의 발전기로부터 하우징 섕크를 통과하는 케이블을 통해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는 전기모터가 수중 하우징 내부에 있는, 세 가지 변이형을 가지는 또 다른 실시예를 앞의 실시예들에 상응하게 보인 도면; 그리고4 to 6 show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three variants in which the electric motor, which is supplied with electrical energy via a cable passing through the housing shank from the generator inside the vessel, is in the underwater housing. Correspondingly shown drawings; And

도 7은 발명의 목적에 특히 맞으며, 특히 본 발명의 대상이 되며 앞의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이중프로펠러 배치구조를 보이는 이중프로펠러 추진장치 실시예의 도면이다.Figure 7 is a view of a double propeller propulsion device embodiment particularly suited to the purpose of the invention, in particula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ing a double propeller arrangement structure applicable to all the above embodiments.

이러한 종래 기술이 본 발명보다 진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늘날의 지식 수준에서 볼 때 최선이라 할 수 있는 효율을 거둘 수 있고, 종래 기술보다 구조가 더 복잡하거나 제작비가 더 많이 들지 않는 이중 프로펠러식 선박 추진장치를 개선하는 데 있다.In the situation where the prior art is not advanced than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hieve the best efficiency at the present knowledge level, and the structure is not more complicated or expensive to manufacture than the prior art. It is to improve the double propeller type ship propulsion system.

이 목적에 도달하는 방법은 본 발명에 따라 목적에 알맞게 선택된 하나하나의 개별 문제 해결책들을 조합시키는 데 있다. 이 조합은 개별 장점들의 단순한 합(合)이 아니라, 전체적인 구상이 최적에 이르는 제곱이라 할 수 있다.The way to reach this object is to combine the individual problem solutions one by one selec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combination is not a simple sum of the individual advantages, but the square of the overall conception to the optimum.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추진장치는 선박동체 바깥에 마련된 곤돌라의 양단에 설치되는 두 개의 프로펠러와, 곤돌라 내부에 장착되어, 한쪽 단부가 선박동체에, 다른쪽 단부가 곤돌라에 연결되어 있는 보호관을 통해서 선박동체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는 원동기로 이루어지는 워터제트식 추진장치가 된다. 여기서 보호관은 제어장치의 일부가 되며, 이 제어장치는 선박의 항해방향 전방의 구동축 및 곤돌라의 단부에 있는 프로펠러를, 많은 에너지를 지닌 채, 떠나는 워터제트에 비틀림이 생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방 프로펠러를 떠나는 워터제트가 높은 에너지와 적은 비틀림을 지닌 채 선박 운행방향의 후방에 있는 프로펠러에 유입되게 한다. 이를 위해서 두 프로펠러는 곤돌라 내부의 구동장치에 의해 같은 회전방향으로 구동되며 수류를 가로지르는 영역에서는 대체로 같은 형태로 되어 있다.Accordingly, the ship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wo propeller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gondola provided outside the ship body, and is mounted inside the gondola, through one end of the ship body,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gondola. It becomes a water jet propulsion device consisting of a prime mover supplied with energy from the ship body. The guard tube here becomes part of the control, which controls the propeller at the end of the gondola and the drive shaft in front of the ship's navigational direction, with a lot of energy, so that the water jet leaving the front propeller is free from distortion. Allow the jet to enter the propellers behind the ship's direction of travel with high energy and little torsion. To this end, the two propellers are driven in the same rotational direction by the drive device inside the gondola and are generally the same in the area crossing the water flow.

또다른 형성에 있어서 두 프로펠러는 대체로 직경이 같지만, 선박 운행방향 전방의 프로펠러는 전체 직경 영역에서, 선박 운행방향 후방의 프로펠러는 전방 프로펠러를 떠날 때 생기는 수류의 수축에 의해 결정된 직경인 직경 영역에서 서로 다른 날개 형상을 취한다. 한편, 선박 운행방향 전방의 프로펠러와 선박 운행방향 후방의 프로펠러는 수류 수축이 일어나는 직경 영역 바깥에 있는 링 형태의 영역에서는 날개 형상이 서로 동일하다.In another formation, the two propellers are generally the same in diameter, but the propellers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ship's direction are in the entire diameter region, and the propellers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ship's direction are in diameter, the diameter determined by the contraction of the water flow when leaving the forward propeller. Take another wing shape. On the other hand, the propellers in front of the ship running direction and the propellers in the back of the ship running direction have the same wing shape in the ring-shaped area outside the diameter area where the water flow contraction occurs.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과 그 밖의 다른 특징들은 이하에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통해 자세히 설명되고 청구항들을 통해 제시된다.These and othe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shown in the drawings and set forth in the claims.

도 1에 다른 실시예의 설명Description of another embodiment in FIG. 1

크게 보아 추진장치는 선박동체의 외부, 특히 하부에 위치하는 하우징(2''') 속에 들어있는 전기모터(1''')와, 전기모터(1''')에 의해 구동되는 두 개의 프로펠러(3''', 4''')로 이루어진다. 이 두 프로펠러는 정점원(5''')의 지름이 동일하고 날개의 기하학적 형상이 비슷하게 만들 수도 있지만 서로 다른 구조를 갖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두 프로펠러는 회전방향과 회전속도가 동일하며 예컨대 화살표(A''')로 표시된 것처럼 동일한 방향으로 수류를 추진한다.In general, the propulsion system includes an electric motor 1 '' 'contained in a housing 2' '' located outside the ship body, in particular at the bottom, and two propellers driven by the electric motor 1 '' '. (3 '' ', 4' ''). These two propellers may have the same diameter of the vertex circle (5 '' ') and the wing geometry may be similar, but they have different structures. These two propellers have the same rotational direction and rotational speed and, for example, propel the water flow in the same direction as indicated by arrow A '' '.

전기모터(1''')는 수중하우징(2''') 속에 물이 새지 않게 설치되어 있다. 전기모터의 양측으로는 구동축(7''')이 연장되어 있고, 이 구동축은 모터의 양측에서 하우징(2''')의 베어링(8''', 9''')의 지지를 받아 회전한다. 밀폐는 구동축(7''')과 하우징 정면벽(2a''', 2b''') 사이와 베어링(8''', 9''') 옆에 있는 패킹(10''', 11''')이 담당하는데, 이것은 래버린스 패킹의 일부가 되는 하우징 정면벽과 연결된다. 하우징(2''')의 외부에는 이음축(12''', 13''')이 구동축(7''')에 플랜지이음되어 있다. 양쪽의 이음축은 프로펠러(3''', 4''')가 고정되어 함께 회전한다. 하우징(2''')의 앞뒤 정면에는 보스캡(boss cap)(14''', 15''')이 연결되는데, 이렇게 해서 앞쪽 프로펠러(3''') 부위에 머리(14''')가 있고, 하우징(2''')이 몸통이 되고, 뒤쪽 프로펠러(3''') 부위에 꼬리(15''')가 있는 유선형 물체가 형성됨으로써 유체의 흐름이 원활해진다. 하우징(2''')에 면해 있는 보스캡(14''', 15''')의 정면벽(14a''', 15a''')은 래버린스 패킹의 두 번째 일부가 된다. 이 패킹의 첫 번째 일부는 이미 언급한 정면벽(2a''', 2b''')이다. 하우징(2''')은 다리(18''')를 통해 선박동체에 고정되어 있다. 이 다리는 중공체로 되어 있으며, 이 다리는 두 프로펠러(3''', 4''') 사이의 제어장치(19''')의 일부가 된다. 이 제어장치에는 하우징(2''')에 부속된 또 다른 날개들이 있는데, 그 가운데 하나는 직경방향으로 다리(18''')의 맞은 편에 있는 날개로서 20'''으로 표시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제어장치(19''')의 날개들은 구동축(7''')의 종축선을 중심으로 같은 간격으로 배열되어 하우징(2''')에 고정되어 있다.The electric motor 1 '' 'is installed so that water does not leak in the underwater housing 2' ''. The drive shaft 7 '' 'extends on both sides of the electric motor, and the drive shaft rotates under the support of the bearings 8' '' and 9 '' 'of the housing 2' '' on both sides of the motor. do. The seal is sealed between the drive shaft 7 '' 'and the housing front walls 2a' '', 2b '' 'and next to the bearings 8' '', 9 '' '. ''), Which is connected to the housing front wall which is part of the labyrinth packing. Outside the housing 2 '' ', the joint shafts 12' '', 13 '' 'are flanged to the drive shaft 7' ''. The joint shafts on both sides rotate with the propellers 3 '' 'and 4' '' fixed. Boss caps 14 '' 'and 15' '' are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fronts of the housing 2 '' ', so that the head 14' '' is attached to the front propeller 3 '' '. ), The housing 2 '' 'becomes a torso, and a streamlined object having a tail 15' '' is formed at the rear propeller 3 '' ', thereby facilitating the flow of the fluid. The front walls 14a '' ', 15a' '' of the boss caps 14 '' ', 15' '' facing the housing 2 '' 'become the second part of the labyrinth packing. The first part of this packing is the already mentioned front wall 2a '' ', 2b' ''. The housing 2 '' 'is fixed to the ship body via the legs 18' ''. This leg is a hollow body, which becomes part of the control unit 19 '' 'between the two propellers 3' '', 4 '' '. The control device also has other wings attached to the housing 2 '' ', one of which is marked 20' '' in the radial direction opposite the leg 18 '' '. As a whole, the wings of the control device 19 ''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bout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drive shaft 7' '' and fixed to the housing 2 '' '.

전반적으로 볼 때 두 프로펠러(3''', 4''')는 제2 프로펠러(4''')의 출력 작업수준이 거의 제1 프로펠러(3''')의 최종 작업수준이 되고, 제어장치(19''')에 힘입어 제1 프로펠러(3''')의 출력 수류 비틀림과 제2 프로펠러(4''')의 입력 수류 비틀림이 의도대로 영향을 받음으로써 유체가 제1 프로펠러에서 제2 프로펠러로 넘어갈 때 에너지 손실이 최소화되도록 구성되어 있다.Overall, the two propellers 3 '' 'and 4' '' have the output working level of the second propeller 4 '' ', which is almost the final working level of the first propeller 3' '', and the control Thanks to the device 19 '' ', the output water flow torsion of the first propeller 3' '' and the input water flow torsion of the second propeller 4 '' 'are intentionally influenced so that the fluid is released from the first propeller. It is configured to minimize energy loss when crossing to the second propeller.

전기모터(1''')에 대한 에너지 공급은 다리(18''')와 하우징(2''') 내부를 거쳐 모터에 도달하는 도선(21''')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다리(18''')와 하우징(2''')의 내부공간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The supply of energy to the electric motor 1 '' 'is via a conductor 21' '' reaching the motor via the legs 18 '' 'and inside the housing 2' ''. To this end, the inner space of the leg 18 '' 'and the housing 2' ''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추진장치는 선박의 종방향(구동축의 종축방향)으로 추력을 발생시키는 데 뿐만 아니라, 선박을 조종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도록 그에 맞게 선박에 장치되고 공지된 종류의 선회 메커니즘을 통해 두 프로펠러 사이 한가운데의 종축선(22''')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게, 경우에 따라서는 360°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축선(22''')은 구동축의 종축선(23''')과 직각을 이룬다.The propulsion system is not only for generating thrus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ip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drive shaft), but also in the middle of the two propellers by means of a known kind of turning mechanism, which is fitted to the ship so that it can also be used for maneuvering the ship. In order to turn about the vertical axis | shaft 22 '' ', it may be able to rotate 360 degrees in some cases. The axis 22 '' 'here 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23' '' of the drive shaft.

도 2에 따른 실시예의 설명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2

크게 보아 추진장치는 선박동체의 외부, 특히 하부에 위치하는 하우징(2'') 속에 들어있는 전기모터(1'')와, 전기모터(1'')에 의해 구동되는 두 개의 프로펠러(3'', 4'')로 이루어진다. 이 두 프로펠러는 정점원(5'')의 지름이 동일하고 날개의 기하학적 형상이 비슷하게 만들 수도 있지만 서로 다른 구조를 갖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두 프로펠러는 회전방향과 회전속도가 동일하며 예컨대 화살표(A'')로 표시된 것처럼 동일한 방향으로 수류를 추진한다.In general, the propulsion system includes an electric motor 1 '' contained in a housing 2 '' located outside of the ship body, in particular at the bottom, and two propellers 3 'driven by the electric motor 1' '. ', 4' '). These two propellers can have the same diameter of the vertex circle (5 '') and the wing geometry can be similar, but they have different structures. These two propellers have the same rotational direction and rotational speed and, for example, drive water flow in the same direction as indicated by arrow A ''.

전기모터(1'')는 수중 하우징(2'') 속에 물이 새지 않게 설치되어 있다. 전기모터의 양측으로는 구동축(7'')이 연장되어 있고, 이 구동축은 모터의 양측에서 하우징(2'')의 베어링(8'', 9'')의 지지를 받아 회전한다. 밀폐는 구동축(7'')과 하우징 정면벽(2a'', 2b'') 사이와 베어링(8'', 9'') 옆에 있는 패킹(10'', 11'')이 담당하는데, 이것은 래버린스 패킹의 일부가 되는 하우징 정면벽과 연결된다. 하우징(2'')의 외부에는 이음축(12'', 13'')이 구동축(7'')에 플랜지이음되어 있다. 양쪽의 이음축은 프로펠러(3'', 4'')가 고정되어 함께 회전한다. 하우징(2'')의 앞뒤 정면에는 보스캡(14'', 15'')이 연결되는데, 이렇게 해서 앞쪽 프로펠러(3'') 부위에 머리(14'')가 있고, 하우징(2'')이 몸통이 되고, 뒤쪽 프로펠러(3'') 부위에 꼬리(15'')가 있는 유선형 물체가 형성됨으로써 유체의 흐름이 원활해진다. 하우징(2'')에 면해 있는 보스캡(14'', 15'')의 정면벽(14a'', 15a'')은 래버린스 패킹의 두 번째 일부가 된다. 이 패킹의 첫 번째 일부는 이미 언급한 정면벽(2a'', 2b'')이다. 하우징(2'')은 다리(18'')를 통해 선박동체에 고정되어 있다. 이 다리는 중공체로 되어 있으며, 이 다리는 두 프로펠러(3'', 4'') 사이의 제어장치(19'')의 일부가 된다. 이 제어장치에는 하우징(2'')에 부속된 또 다른 날개들이 있는데, 그 가운데 하나는 직경방향으로 다리(18'')의 맞은 편에 있는 날개로서 20''으로 표시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제어장치(19'')의 날개들은 구동축(7'')의 종축선을 중심으로 같은 간격으로 배열되어 하우징(2'')에 고정되어 있다.The electric motor 1 '' is installed so that water does not leak in the underwater housing 2 ''. A drive shaft 7 '' extends on both sides of the electric motor, and the drive shaft rotates with support of the bearings 8 '' and 9 '' of the housing 2 '' on both sides of the motor. Sealing is carried out between the drive shaft 7 '' and the housing front walls 2a '' and 2b '' and the packings 10 '' and 11 '' next to the bearings 8 '' and 9 ''. It is connected to the housing front wall that is part of the labyrinth packing. Outside the housing 2 '', the joint shafts 12 '', 13 '' are flanged to the drive shaft 7 ''. The joint shafts on both sides rotate with the propellers 3 '' and 4 '' fixed. Boss caps 14 '' and 15 '' are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housing 2 '', so that the front propeller 3 '' has a head 14 '' and the housing 2 '' ) Becomes the body, and a streamlined object having a tail 15 '' is formed at the rear propeller 3 '' so that the fluid flows smoothly. The front walls 14a '' and 15a '' of the boss caps 14 '' and 15 '' facing the housing 2 '' become the second part of the labyrinth packing. The first part of this packing is the already mentioned front walls 2a '' and 2b ''. The housing 2 '' is fixed to the ship body via the legs 18 ''. This bridge is a hollow body, which becomes part of the control unit 19 '' between the two propellers 3 '', 4 ''. The control device also has other wings attached to the housing 2 '', one of which is marked 20 '' as the blade opposite the leg 18 '' in the radial direction. As a whole, the wings of the control device 19 ''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bout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drive shaft 7 '' and are fixed to the housing 2 ''.

전반적으로 볼 때 프로펠러(3'', 4'')는, 제2 프로펠러(4'')의 출력 작업수준이 거의 제1 프로펠러(3'')의 최종 작업수준이 되고, 제어장치(19'')에 힘입어 제1 프로펠러(3'')의 출력 수류 비틀림과 제2 프로펠러(4'')의 입력 수류 비틀림이 의도대로 영향을 받음으로써 유체가 제1 프로펠러에서 제2 프로펠러로 넘어갈 때 에너지 손실이 최소화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general, the propellers 3 '' and 4 '' have the output working level of the second propeller 4 '' being almost the final working level of the first propeller 3 '', and the control device 19 ' Energy when the fluid flows from the first propeller to the second propeller due to the influence of the output water current distortion of the first propeller 3 '' and the input water current distortion of the second propeller 4 '' as intended. It is configured to minimize losses.

전기모터(1'')에 대한 에너지 공급은 다리(18'')와 하우징(2'') 내부를 거쳐 모터에 도달하는 도선(21'')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다리(18'')와 하우징(2'')의 내부공간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The supply of energy to the electric motor 1 '' is via a conductor 21 '' reaching the motor via the legs 18 '' and inside the housing 2 ''. For this purpose, the inner space of the leg 18 '' and the housing 2 ''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추진장치는 선박의 종방향(구동축의 종축방향)으로 추력을 발생시키는 데 뿐만 아니라, 선박을 조종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도록 그에 맞게 선박에 장치되고 공지된 종류의 선회 메커니즘을 통해 두 프로펠러 사이 한가운데의 종축선(22'')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게, 경우에 따라서는 360°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축선(22'')은 구동축의 종축선(23'')과 직각을 이룬다.The propulsion system not only generates thrus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ip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drive shaft), but is also fitted to the ship so that it can be used to maneuver the ship. In order to turn about the vertical axis | shaft 22 ", it can rotate 360 degrees in some cases. The axis 22 ″ here 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23 ″ of the drive shaft.

모터(1'')는 영구 동기 모터(permanent synchronous motor)로 실시되며 이렇게 해서 출력밀도(power density)가 아주 높은 전동기가 된다. 이러한 모터 기술을 통해, 두 프로펠러 사이의 하우징(2'')을 고도의 효율을 보이도록 유체역학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motor 1 '' is implemented as a permanent synchronous motor, which results in an electric motor with a very high power density. This motor technology makes it possible to hydrodynamically implement the housing 2 '' between the two propellers with high efficiency.

이러한 기술을 통해 또 가능한 것은 다리(18'')를 섕크로 실시하여 최적의 유체역학적 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possibility with this technique is to implement the legs 18 '' in shank to achieve the optimal hydrodynamic shape.

섕크(18'')에서 하우징(2'') 가까이에 있는 그 아래쪽 부위는 직경방향으로 반대쪽에 있는 제2 안내 핀(fin)(20'')과 함께 안내 핀쌍을 이룸으로써 제어장치를 구성한다. 이렇게 해서, 수류 방향(A'')으로 볼 때 두 번째가 되는 프로펠러(4'')에 대한 수류의 유입이 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안내 핀들은 두 프로펠러(3'', 4'')의 정점원(5'')에서 끝난다.The lower portion of the shank 18 '' near the housing 2 '' constitutes a control device by pairing a guide pin with a second guide fin 20 '' opposite in the radial direction. . In this way, the inflow of the water flow to the propeller 4 '', which becomes second in the water flow direction A '', can be optimally achieved. The guide pins terminate at the vertex circle (5 '') of the two propellers (3 '', 4 '').

작은 직경으로 출력밀도가 높은 영구 동기 모터를 최적의 안내수단(안내 핀쌍 내지 제어장치(20'')) 및 두 프로펠러(3'', 4'')와 조합시킴으로써, 전기적으로도 유체역학적으로도 뛰어난 효과 개선이 돋보이는 추진장치가 실현된다.By combining a small diameter, high output density permanent synchronous motor with optimum guidance means (guide pin pair to control device 20 '') and two propellers 3 '' and 4 '', both electrically and hydrodynamically The propulsion system is realized with outstanding effect improvement.

모터(1'')를 영구 동기 모터로 실시하면, 공지된 다른 모터들의 경우에 비해 하우징(2'')의 직경을 20%까지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해서 장점들이 분명하게 드러나는데, 비교적 적은 부피, 더욱 원활한 유체 흐름 및 비교적 적은 흐름 저항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By implementing the motor 1 '' as a permanent synchronous motor, the diameter of the housing 2 '' can be reduced by 20% compared to other known motors. The advantages are evident in this way, with relatively low volume, smoother fluid flow and relatively low flow resistance.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는 퍼머넌트 모터의 회전자 베어링과 관련하여 이루어진다. 이 회전자 베어링에는 프로펠러축 베어링도 포함되어 있다. 프로펠러로부터 오는 변위, 변형 및 역학적 부하를 줄이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멤브레인 커플링(membrane coupling)을 이용하여 회전자, 곧 구동축(7'')을 프로펠러축(12'', 13'')과 연결시킨다. 이렇게 해서 고정자와 회전자 사이의 공기 갭(air gap)이 최소화될 수 있는데, 이것은 현저한 효율 개선이 추가로 이루어짐을 뜻한다.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made in connection with a rotor bearing of a permanent motor. This rotor bearing also includes a propeller shaft bearing. In order to reduce or reduce the displacement, deformation and mechanical loads coming from the propeller, the rotor, drive shaft (7 '') is connected with the propeller shaft (12 '', 13 '') using membrane coupling. Let's do it. In this way the air gap between the stator and the rotor can be minimized, which means that a further improvement in efficiency is achieved.

도 3에 따른 실시예의 설명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3

도 3은 수직 구동축(1')을 갖춘 원동기가 선박동체 내부에 배치되고 추진 프로펠러가 선박동체 외부에 있는 방향타 겸용 이중프로펠러 추진장치로 실시된 선박 추진장치를 보여 주고 있다.Figure 3 shows a ship propulsion device implemented with a rudder double propeller propulsion device having a prime mover with a vertical drive shaft 1 'and a propeller propeller outside the ship body.

통상적인, 그래서 도 3에 도시하지 않은, 방식대로, 모터와 전동장치로 된 원동기는 수직 구동축(1')의 상단부에 작용하여 구동축(1')을 그 종축선(2')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며 회전속도 변경이 가능하다. 구동축(1')의 하단부에는 V 드라이브(3', 4')의 입력 베벨기어(3')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함께 돌아가며 V 드라이브(3', 4')의 출력 베벨기어(4')와 맞물려 상호작용한다. 출력 베벨기어(4')는 수평 양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출력 구동축(5')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함께 돌아가며, 이 구동축의 자유단에는 프로펠러(6', 7')가 하나씩 견고하게 고정되어 함께 돌아간다. 두 프로펠러는 정점원(14')의 지름이 동일하고 날개의 기하학적 형상이 비슷하게 만들 수도 있지만 서로 다른 구조를 갖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두 프로펠러는 동일한 출력 구동축(5')에 부여됨으로써 회전방향과 회전속도가 동일하며 예컨대 화살표(A')로 표시된 것처럼 동일한 방향으로 수류를 추진한다.In a conventional, so not illustrated, manner in which the motor and the prime mover are driven a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drive shaft 1 ', rotating the drive shaft 1' about its longitudinal axis 2 ', in a manner not shown in FIG. The rotation speed can be changed. At the lower end of the drive shaft 1 ', the input bevel gears 3' of the V drives 3 'and 4' are firmly fixed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output bevel gears 4 'of the V drives 3' and 4 '. Interlock and interact. The output bevel gear 4 'is firmly fixed to the output drive shaft 5' extending horizontally in both directions, and the propellers 6 'and 7' are firmly fixed to each other at the free end of the drive shaft. Goes. The two propellers may have the same diameter of the vertex circle 14 'and the wing geometry may be similar, but it is common to have different structures. These two propellers are applied to the same output drive shaft 5 'so that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the rotational speed are the same and, for example, propel the water flow in the same direction as indicated by arrow A'.

V 드라이브(3', 4')는 하우징(2')에 의해 둘러싸이며, 이 하우징 속에서 두 베어링(10', 11')의 도움으로 출력 구동축(5')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하우징(9')은, 수직 구동축(1')을 동심으로 둘러싸며 방향타 기능을 위해 그 종축선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는 하우징관(9a')에 의해 지탱된다.The V drives 3 ', 4' are surrounded by a housing 2 'in which the output drive shaft 5' is rotatably supported with the aid of two bearings 10 ', 11'. This housing 9 'is supported by a housing tube 9a' which can concentrically surround the vertical drive shaft 1 'and pivot about its longitudinal axis for rudder function.

추진 시스템의 수중 부분은 분사 수류(12') 속에 놓인다.The underwater portion of the propulsion system lies in the jet stream 12 '.

전방 프로펠러(6')는 수류를 내보낼 때, 에너지가 상실된 수류 뒤틀림을 발생시킨다. 같은 속도로 회전하는 후방 프로펠러(7')는 전방 프로펠러가 내보낸 수류를 공급받는다. 만일 두 프로펠러(6', 7') 사이에 제어장치가 없다면, 앞서 말한 불리한 분사 수류가 공동화를 가속화시키고 에너지 손실을 증대시킬 것이다.When the front propeller 6 'sends out the water flow, it causes the water flow distortion which lost energy. The rear propeller 7 ', which rotates at the same speed, is supplied with the water flow emitted by the front propeller. If there is no control between the two propellers 6 ', 7', the aforementioned disadvantageous jet streams will accelerate cavitation and increase energy loss.

이러한 에너지 손실에 대처하기 위해서, 두 프로펠러(6', 7') 사이에 제어장치(8')가 마련되어 전방 프로펠러(6')에서 생기는 수류 뒤틀림을 바로 잡아 준다. 이때 수류가 제어장치 둘레를 지나면서 추진력이 생김으로써 상실된 에너지가 되찾아진다. 더 나아가, 후방 프로펠러(7')가 비교적 큰 에너지 하락을 처리할 수 있도록 그 프로펠러 앞에서 사전 뒤틀림이 발생한다. 이 점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제2 프로펠러(7')를 제1 프로펠러(6')와 다른 구조를 갖게 한다.In order to cope with this energy loss, a control device 8 'is provided between the two propellers 6', 7 'to correct the water flow distortion occurring in the front propeller 6'. As the water flows around the control unit, propulsion is created to restore the lost energy. Furthermore, a prewarp occurs in front of the propeller so that the rear propeller 7 'can handle a relatively large energy drop. In view of this point, preferably, the second propeller 7 'has a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propeller 6'.

제어장치(8')는, 도 3에서 보듯이, 두 개의 안내 날개(8a', 8b')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한 안내 날개(8a')는 수직 구동축(1')를 둘러싸는 하우징 관(9a')으로 되어 있다. 두 번째 안내 날개(8b')는 수평 구동축(5')을 둘러싸는 하우징(9')의 하면(9b')에 위치하는데, 첫 번째 안내 날개와 180°를 이룬다. 이 두 안내 날개(6', 7')는 전체 하우징(9', 9a')과 함께 단일 부품을 이룬다.The control device 8 ', as shown in Fig. 3, consists of two guide vanes 8a', 8b ', where one guide vane 8a' comprises a housing tube (1) enclosing the vertical drive shaft 1 '. 9a '). The second guide vane 8b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9b' of the housing 9 'surrounding the horizontal drive shaft 5' and forms 180 ° with the first guide vane. These two guide vanes 6 ', 7' together with the entire housing 9 ', 9a' form a single part.

도 4에서 도 6까지의 실시예의 설명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from FIG. 4 to FIG. 6

크게 보아 추진장치는 선박동체의 외부, 특히 하부에 위치하는 하우징(2) 속에 들어있는 전기모터(1)와, 전기모터(1)에 의해 구동되는 두 개의 프로펠러(3, 4)로 이루어진다. 이 두 프로펠러는 정점원(5)의 지름이 동일하고 날개의 기하학적 형상이 비슷하게 만들 수도 있지만 서로 다른 구조를 갖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두 프로펠러는 회전방향과 회전속도가 동일하며 예컨대 화살표(A)로 표시된 것처럼 동일한 방향으로 수류를 추진한다(도 4).In general, the propulsion device consists of an electric motor 1 contained in a housing 2 located outside the ship body, in particular in the lower part, and two propellers 3, 4 driven by the electric motor 1. These two propellers may have the same diameter of the vertex circle 5 and the shape of the wings may be similar, but it is common to have different structures. These two propellers have the same rotational direction and rotational speed and, for example, propel the water flow in the same direction as indicated by arrow A (FIG. 4).

전기모터(1)는 수중 하우징(2) 속에 물이 새지 않게 설치되어 있다. 전기모터의 양측으로는 구동축(7)이 연장되어 있고, 이 구동축은 모터의 양측에서 하우징(2)의 베어링(8, 9)의 지지를 받아 회전한다. 밀폐는 구동축(7)과 하우징 정면벽(2a, 2b) 사이와 베어링(8, 9) 옆에 있는 패킹(10, 11)이 담당하는데, 이것은 래버린스 패킹의 일부가 되는 하우징 정면벽과 연결된다. 하우징(2)의 외부에는 이음축(12, 13)이 구동축(7)에 플랜지이음되어 있다. 양쪽의 이음축은 프로펠러(3, 4)가 고정되어 함께 회전한다. 하우징(2)의 앞뒤 정면에는 보스캡(14, 15)이 연결되는데, 이렇게 해서 앞쪽 프로펠러(3) 부위에 머리(14)가 있고, 하우징(2)이 몸통이 되고, 뒤쪽 프로펠러(3) 부위에 꼬리(15)가 있는 유선형 물체가 형성됨으로써 유체의 흐름이 원활해진다. 하우징(2)에 면해 있는 보스캡(14, 15)의 정면벽(14a, 15a)은 래버린스 패킹의 두 번째 일부가 된다. 이 패킹의 첫 번째 일부는 이미 언급한 정면벽(2a, 2b)이다. 하우징(2)은 다리(18)를 통해 선박동체에 고정되어 있다. 이 다리는 중공체로 되어 있으며, 이 다리는 두 프로펠러(3, 4) 사이의 제어장치(19)의 일부가 된다. 이 제어장치에는 하우징(2)에 부속된 또 다른 날개들이 있는데, 그 가운데 하나는 직경방향으로 다리(18)의 맞은 편에 있는 날개로서 20으로 표시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제어장치(19)의 날개들은 구동축(7)의 종축선을 중심으로 같은 간격으로 배열되어 하우징(2)에 고정되어 있다.The electric motor 1 is installed in the underwater housing 2 so that water does not leak. The drive shaft 7 extends on both sides of the electric motor, and the drive shaft rotates with the support of the bearings 8 and 9 of the housing 2 on both sides of the motor. Sealing is carried out between the drive shaft 7 and the housing front walls 2a and 2b and the packings 10 and 11 next to the bearings 8 and 9, which are connected to the housing front wall which is part of the labyrinth packing. . Outside the housing 2, the joint shafts 12 and 13 are flanged to the drive shaft 7. The joint shafts on both sides rotate with the propellers 3 and 4 fixed. The boss caps 14 and 15 are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fronts of the housing 2, so that the front propeller 3 has a head 14, the housing 2 becomes a body, and a rear propeller 3 part. The streamlined object with the tail 15 is formed in the fluid flow is smooth. The front walls 14a, 15a of the boss caps 14, 15 facing the housing 2 become the second part of the labyrinth packing. The first part of this packing is the already mentioned front walls 2a, 2b. The housing 2 is fixed to the ship body via the legs 18. This leg is a hollow body, which becomes part of the control unit 19 between the two propellers 3, 4. The control device has further wings attached to the housing 2, one of which is marked 20 as the blade opposite the leg 18 in the radial direction. As a whole, the wings of the control device 19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bout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drive shaft 7 and are fixed to the housing 2.

전반적으로 볼 때 프로펠러(3, 4)는, 제2 프로펠러(4)의 출력 작업수준이 거의 제1 프로펠러(3)의 최종 작업수준이 되고, 제어장치(19)에 힘입어 제1 프로펠러(3)의 출력 수류 비틀림과 제2 프로펠러(4)의 입력 수류 비틀림이 의도대로 영향을 받음으로써 유체가 제1 프로펠러에서 제2 프로펠러로 넘어갈 때 에너지 손실이 최소화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general, the propellers 3, 4 have the output working level of the second propeller 4 being almost the final working level of the first propeller 3, and the first propeller 3 is driven by the controller 19. The output water flow torsional torque of the 2nd propeller and the input water flow torsional of the second propeller 4 are intentionally influenced so that energy loss is minimized when the fluid passes from the first propeller to the second propeller.

전기모터(1)에 대한 에너지 공급은 다리(18)와 하우징(2) 내부를 거쳐 모터에 도달하는 도선(21)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다리(18)와 하우징(2)의 내부공간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The supply of energy to the electric motor 1 is via a conductor 21 reaching the motor via the legs 18 and the interior of the housing 2. To this end, the leg 18 and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추진장치는 선박의 종방향(구동축의 종축방향)으로 추력을 발생시키는 데뿐만 아니라, 선박을 조종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도록 그에 맞게 선박에 장치되고 공지된 종류의 선회 메커니즘을 통해 두 프로펠러 사이 한가운데의 종축선(22)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게, 경우에 따라서는 360°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축선(22)은 구동축의 종축선(23)과 직각을 이룬다.The propulsion system is fitted to the ship so that it can be used not only for generating thrus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ip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drive shaft) but also for maneuvering the ship. It is possible to rotate 360 ° in some cases so as to be able to pivot about the vertical axis 22. Here, the axis 22 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23 of the drive shaft.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추진장치의 아주 유용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여기서 전동기(1)는 영구자석 회전자(25)와 고정자 금속판 패킷(26)을 구비한 영구 동기 모터이다. 이러한 모터 자체는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영구 동기 모터로 실시된 전동기에 대해서도 자세히 설명할 필요는 없겠다.The following describes a very useful embodiment of the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The electric motor 1 is here a permanent synchronous motor having a permanent magnet rotor 25 and a stator metal plate packet 26. Since such a motor itself is already known, it does not need to be described in detail also for an electric motor implemented as a permanent synchronous motor.

같은 속도로 회전하고 같은 방향(A)으로 추진하는 두 프로펠러(3, 4)를 구동하기 위하여, 선박 외피(24) 아래의 수면 아래에 놓이는 곤돌라 형태의 하우징(2)에서 그러한 모터를 사용하게 되면, 특히 원동기의 전기적 효율면에서 여러 가지 장점이 있으며, 강제 냉각장치가 필요없게 된다. 그 밖에도 원동기가 차지하는 부피가 적기 때문에 수중 하우징을 흐름 저항에 대해 최적의 효과를 보이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The use of such a motor in a gondola-shaped housing 2 under the water surface below the ship's envelope 24 to drive two propellers 3 and 4, rotating at the same speed and propelling in the same direction (A). In particular, there are several advantages in terms of electrical efficiency of the prime mover, and no forced cooling is required. In addition, the small volume occupied by the prime mover allows the underwater housing to be configured in such a way as to have an optimum effect on the flow resistance.

이러한 영구 동기 모터(1)는, 또 다른 실시형태로는, 통과하는 프로펠러축(12, 13)과 회전자(25)가 두 베어링(8, 9)을 통해 공동으로 지지를 받도록 곤돌라 형태의 하우징(2) 내부에 설치된다. 이것의 구체적인 실현은 영구자석 회전자(25)가 그것에 의해 동심으로 둘러싸인 지지관(27) 위에 놓이며, 이 지지관이 그 각 단부 근처에서 링 형태의 멤브레인 커플링(28, 29)을 통해 프로펠러축(12, 13)에 고정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구동축의 양단부에서는 멤브레인 커플링(28, 29)과 그 부속 베어링(8, 9)이 서로 가까운 위치에 있게 된다. 프로펠러축과 전기모터관이 베어링 장치를 공유함으로써, 부품을 최소화하고 추진장치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각 레이디얼 베어링에 밀착해 있게 되는 멤브레인 커플링을 사용함으로써, 프로펠러축의 휨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회전자를 고정자 내부에서 정확하게 센터링할 수 있다. 이것은 원동기 내부의 고정자의 동적 특성과 관련하여 상당한 이점을 가져다 준다(예를 들면, 기계적 진동이 최소화된다).This permanent synchronous motor 1 is, in another embodiment, a gondola-shaped housing such that the propeller shafts 12, 13 and the rotor 25 passing through are jointly supported by two bearings 8, 9. (2) It is installed inside. A concrete realization of this is that the permanent magnet rotor 25 is placed on a support tube 27 concentrically surrounded by it, which is propellered through a ring-shaped membrane coupling 28, 29 near its respective end. In a manner fixed to the axes 12, 13. At this time, at both ends of the drive shaft, the membrane couplings 28 and 29 and their associated bearings 8 and 9 are in close proximity to each other. The propeller shaft and the electric motor tube share the bearing arrangement, minimizing parts and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propulsion system. By using a membrane coupling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radial bearing, the rotor can be accurately centered inside the stator with little effect on the deflection of the propeller shaft. This brings a significant advantage with respect to the dynamic properties of the stator inside the prime mover (eg, mechanical vibration is minimized).

또한 전동기를 영구 동기 모터(1)로 실시하면(도 5, 도 6), 아주 적합한 방식으로 수중 하우징 섕크(18)(도 4와 관련하여 "다리"로 지칭된 것)를 추진장치에 통합할 수 있다. 이 하우징 섕크는 아주 가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해서 추진장치의 흐름 저항이 현저하게 감소된다. 이렇게 수중 하우징 섕크(18)의 횡단면 형상이 가늘게 됨으로써, 90°떨어져 있는 측면의 안내 핀쌍(도시되어 있지 않음) 및 180°떨어져 있는 반대편 핀(20)과 함께 협력하여 전방 프로펠러(3)에서 나오는 수류의 뒤틀림을 제거하는데 일조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대체로 구조가 동일하고 회전 속도와 회전 방향이 동일한 두 프로펠러를 기초로 하는 추진장치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효율 개선이 이루어진다.Also, if the motor is implemented with a permanent synchronous motor 1 (Figs. 5, 6), it is possible to integrate the underwater housing shank 18 (referred to as "leg" in connection with Fig. 4) to the propulsion device in a suitable manner. Can be. This housing shank can be made very thin, which significantly reduces the flow resistance of the propulsion system. The thinner cross-sectional shape of the underwater housing shank 18 thus cooperates with a pair of guiding pins (not shown) at 90 ° apart and the opposite pin 20 at 180 ° away from the front propeller 3. It helps to eliminate distortion of the. This results in an improvement in efficiency which has to be achieved in a propeller based propeller which is generally of the same structure and has the same rotational speed and direction of rotation.

프로펠러축(12, 13) 및 프로펠러축을 일부로 포함하는 집합 부품을 제동하는 제동 브레이크는 수중 곤돌라(2)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33으로 표시되어 있다.Braking brakes for braking the assembly parts comprising propeller shafts 12 and 13 and propeller shafts as part thereof are provided inside the underwater gondola 2 and are indicated by 33.

끝으로 도 5, 도 6에 따른 실시예는 번거로운 수중 조립 작업을 아주 단순화시켜 준다. 물에 떠 있는 선박에서 조립/분해 가능한 방향타 겸용 프로펠러는 여러 방향타 겸용 프로펠러 제작회사에서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른 조립 작업도 상당히 번거롭다. 특히 도 5, 도 6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중 하우징 섕크와 지지 원추가 분리되는 곳에서 수중 조립/분해 작업을 매우 간단하게 할 수 있게 해 준다. 수중 하우징 섕크는 도 6에서 도 8로 표시되어 있으며, 그 상단부는 선박 외피가 이루는 평면(24)에 있고 지지 원추(30)와 연결되어 있다. 지지 원추의 상단부는 선박의 지지 구조물 내부에 있는 조종 베어링(31) 속으로 들어가 있다. 이 조종 베어링(31)에는 내부 톱니바퀴 림(31b)이 부여된 내부링(31a)이 있으며, 이 베어링 내부링(31a)은 지지 원추(30)의 외부 원주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외부링(31c)은 구름체를 통해 내부링과 상호작용하며 선박의 지지 구조물에 견고하게 통합되어 있다. 조종 베어링의 내부링의 내부 톱니바퀴 림에는 구동장치(도시되어 있지 않음)의 피니언(도시되어 있지 않음)이 맞물려 들어가 있다. 이렇게 해서 선박의 조종을 위해 전체 추진장치가 종축선(22)을 중심으로 360°회전할 수 있게 된다.Finally,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S. 5 and 6 greatly simplifies the cumbersome underwater assembly work. Several rudder propellers are available for assembly / disassembly in floating vessels. The assembly work is also cumbersome. In particular, th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FIGS. 5 and 6 makes it very simple to assemble / disassemble underwater operations where the underwater housing shank and the support cone are separated. The underwater housing shank is labeled from FIG. 6 to FIG. 8, the upper end of which is in the plane 24 of the ship shell and connected to the support cone 30.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cone enters the steering bearing 31 inside the ship's support structure. The steering bearing 31 has an inner ring 31a to which an inner gear rim 31b is attached, and the bearing inner ring 31a is firmly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cone 30. The outer ring 31c interacts with the inner ring through a rolling body and is firmly integrated into the ship's support structure. The inner gear rim of the inner ring of the steering bearing is engaged with a pinion (not shown) of the drive (not shown). In this way, the entire propulsion system can rotate 360 ° about the longitudinal axis 22 for the control of the ship.

하우징 섕크(18)와 지지 원추(30)의 연결이 분리될 수 있음은 플랜지 이음(32)이 말해 주고 있다.The flange joint 32 tells us that the connection of the housing shank 18 and the support cone 30 can be separated.

이 모든 실시예에서 공통적인 것은 청구항 1의 특징들이 조합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수상 교통수단, 특히 선박의 워터제트 추진장치라는 데 있다. 곧, 원동기와 이것에 의해 구동되는 두 개의 프로펠러가 있으며, 이 프로펠러들은 곤돌라 형태의 유선형 수중 하우징의 바깥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원동기에 의해 구동되며, 원동기는 수중 하우징 내부에 있으면서 두 프로펠러가 공유하는 구동축을 작동시키며, 제1 프로펠러는 수류의 흐름 에너지를 현저하게 증가시키며, 높은 에너지를 지닌 이 수류는 불가피한 뒤틀림이 제어장치에서 제거된 뒤에 제2 프로펠러로 유입되며, 이때 제2 프로펠러와 제2 프로펠러의 추진 작업의 차이는 비교적 적은 흐름 에너지가 제1 프로펠러에서 최대한 증대되는 반면에 제2 프로펠러에서는 비교적 높은 흐름 에너지가 다시 한번 증대되는 것이다. 이하에서 도 7에 의해 설명되는 특별한 실시예에서 제2 프로펠러에는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프로펠러와 차이가 나는 중심부와, 제1 프로펠러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 제1 프로펠러와 동일한 방식으로 추진하는 주변부가 있다.Common to all these embodiments is the combination of the features of claim 1 as a water jet propulsion device for water transport, in particular a ship, having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there is a prime mover and two propellers driven by them, which are arranged at both ends of the gondola-shaped streamlined underwater housing and driven by the prime mover, which is located inside the underwater housing and shared by both propellers. The first propeller significantly increases the flow energy of the water stream, and this high energy stream flows into the second propeller after the inevitable distortion is removed from the controller, whereby the second propeller and the second propeller The difference in propulsion work is that the relatively low flow energy is increased as much as possible in the first propeller, while the relatively high flow energy is increased once again in the second propeller. In the particular embodiment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7, the second propeller has a central por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propeller as described, and a periphery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first propeller and propelling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propeller. .

도 7에 따른 실시예의 설명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7

수류 유입방향(A)의 전방에 있는 프로펠러(3)는 수류의 에너지 증대에 최적의 효과를 보이는 날개 형태를 갖는다. 수류 유입방향(A)의 후방에 있는 프로펠러(4)는 주변부에서 전방 프로펠러(3)와 동일한 날개 형태를 갖는다. 이 주변부는 중심부를 에워싸고 있는데, 중심부는 위에서 여러 번 설명했듯이 전방 프로펠러(3)와 차이가 있다. 다시 말해, 후방 프로펠러(4)는, 제1 프로펠러(3)를 떠난 수류가 제어장치(19)에서 비틀림이 제거되고 뒤틀림에 의해 야기된 에너지 손실이 보상된 뒤에, 제1 프로펠러에서 증대된 에너지를 이 에너지 수준에서 다시 한번 증대시킨다. 중심부와 주변부는 수축면(100)에 의해, 다시 말해 제1 프로펠러를 떠난 뒤의 수류를 에워싸는, 유입 단면보다 훨씬 작은 단면을 둘러싸는 생성면(generated surface)에 의해, 서로 구분된다. 따라서 주변부에서는 화살표(A)로 표시된 수류가제1 프로펠러에 유입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2 프로펠러에 수류(B)가 유입된다.The propeller 3 in front of the water flow direction A has a wing shape that shows an optimum effect on the energy increase of the water flow. The propeller 4 at the rear of the water inflow direction A has the same wing shape as the front propeller 3 at the periphery. This perimeter surrounds the center, which differs from the front propeller 3 as described several times above. In other words, the rear propeller 4 receives the increased energy from the first propeller after the water flow leaving the first propeller 3 is removed from the torsion in the controller 19 and the energy loss caused by the distortion is compensated for. Increase again at this energy level. The central and periphery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y the shrinking surface 100, in other words by a generated surface that encloses a cross section much smaller than the inflow cross section, which surrounds the water flow after leaving the first propeller. Therefore, in the periphery, the water flow B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propeller in the same manner as the water flow indicated by the arrow A flows into the first propeller.

Claims (35)

수상교통수단의 동체 하부에 수류가 원활하게 하도록 곤돌라 형태로 마련되는 수중 하우징(2)의 양단부 외측에 두 프로펠러(3, 4)가 동축으로 배치되고, 두 프로펠러(3, 4)를 위한 구동수단이 수중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수상교통수단의 동체로부터 하우징 섕크(18)를 통해 에너지가 구동수단에 공급되며, 하우징 섕크의 한쪽 단부가 수상교통수단 동체(24)에 연결되고 그 다른 쪽 단부가 수중 하우징(2)에 연결되는 수상교통수단의 워터제트 추진장치에 있어서,Two propellers 3 and 4 are coaxially disposed on both outer sides of the underwater housing 2 provided in the shape of a gondola so that water flow is smoothly below the fuselage of the water vehicle, and driving means for the two propellers 3 and 4. It is provided inside the underwater housing, and energy is supplied to the drive means from the fuselage of the water vehicle through the housing shank 18, one end of the housing shank is connected to the water vehicle fuselage 24,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In the water jet propulsion device of the water transportation means connected to the underwater housing (2), 수중 하우징(2)은 제어장치(20)의 일부가 되고, 제어장치(20)를 통하여 수상교통수단 운행방향 전방의 프로펠러(3)에서 증대된 에너지를 지닌 채 떠나가는 워터제트가 에너지 손실이 최소화되고 뒤틀림이 최대한 제거되어서 수상교통수단 운행방향 후방에 있고 수중 하우징의 다른 쪽 단부에 있는 프로펠러(4)에 보내어지고, 두 프로펠러(3, 4)는 수중 하우징 내부의 구동수단에 의해 동일 회전방향으로 구동되고, 각각의 워터제트의 단면의 영역에서 두 프로펠러(3, 4)의 유입부에서 서로 다른 수준으로 있게 되는 흐름 에너지가 최적으로 활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교통수단의 워터제트 추진장치.The underwater housing 2 becomes part of the control device 20 and the water jet leaving the increased energy from the propeller 3 in front of the water vehicle traveling direction through the control device 20 minimizes energy loss. And distortion is eliminated as much as possible and sent to the propeller 4 at the rear end of the water vehicle traveling direction and at the other end of the underwater housing, the two propellers 3 and 4 being driven in the same rotational direction by the drive means inside the underwater housing. Waterjet propulsion device drive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optimally utilize the flow energy that is at different levels at the inlets of the two propellers (3, 4) in the region of the cross section of each waterjet . 제 1 항에 있어서, 수상교통수단 운행방향 후방의 프로펠러(4)는 수상교통수단 운행방향 전방의 프로펠러(3)보다 워터제트의 수축 정도만큼 더 작은 단면 영역을 가지고, 두 프로펠러(3, 4)의 유입부의 흐름 에너지가 상이한 관계로 두 프로펠러의 날개 형태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 추진장치.2. The propellers 4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pellers 4 behind the water vehicle traveling direction have a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the propellers 3 ahead of the water vehicle driving direction by the shrinkage of the water jet, and the two propellers 3, 4 Water jet propul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ng shape of the two propellers are different because the flow energy of the inlet is different. 제 2 항에 있어서, 수상교통수단 운행방향 후방의 프로펠러(4)는 워터제트의 수축에 맞추어 작아진 그 단면 영역이 그 프로펠러의 전체 단면 영역이 되는 것을, 다시 말해 두 프로펠러(3, 4)의 직경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 추진장치.3. The propeller 4 behind the water vehicle traveling dire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which is reduced in accordance with the shrinkage of the water jet becomes the to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opeller, ie the two propellers 3, 4 Waterjet propul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is different. 제 2 항에 있어서, 두 프로펠러(3, 4)는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여기서 수상교통수단 운행방향 후방의 프로펠러(4)는 그 중심부의 날개 형태가 그 주변부와 다르고, 또한 이 중심부는 수상교통수단 운행방향 전방의 프로펠러(3)를 떠나면서 수축된 상태가 된 워터제트의 단면을 가지며, 더 나아가 후방 프로펠러(4)는 전방 프로펠러(3)와 마찬가지로 그 중심부가 유입 수류의 에너지에 가장 잘 적응하는 날개 형태를 가져서 두 프로펠러의 날개 형태가 서로 다르게 되며, 끝으로 제2 프로펠러(4)의 중심부를 방사상으로 잇는 주변부에는 제1 프로펠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장애없이 수류가 유입되고, 이 주변부의 날개 형태는 제1 프로펠러의 날개 형태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 추진장치.3. The propellers (4)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two propellers (3, 4) have the same diameter, wherein the propeller (4) behind the water vehicle's direction of travel differs from its periphery in the form of a wing at its center. It has a cross section of the water jet which is in a contracted state leaving the propeller 3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ravel, and furthermore, the rear propeller 4, like the front propeller 3, has a central portion that best adapts to the energy of the inflow water stream. The wing shape of the two propeller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having a wing shape. Finally, water flows into the peripheral portion radially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second propeller 4 without obstacles as in the case of the first propeller. Waterjet propul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the wing of the first propeller.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수상교통수단 운행방향 후방의 프로펠러(4)의 날개 부위의 날개 기울기는 수상교통수단 운행방향 전방의 프로펠러(3)의 날개 부위의 날개 기울기에 1.04 내지 1.52배의 워터제트 수축에 상응하는 범위에 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 추진장치.The wing slope of the wing portion of the propeller 4 behind the water vehicle traveling direction is 1.04 to 1.52 times the slope of the wing of the wing portion of the propeller 3 ahead of the water transportation direction. Waterjet propul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reaches a range corresponding to the shrinkage of the waterjet. 제 4 항에 있어서, 수상교통수단 운행방향 전방의 프로펠러(3)의 전체 단면 영역에서 그리고 수상교통수단 운행방향 후방의 프로펠러(4)의 링 형태의 바깥영역에서 두 프로펠러(3, 4)의 동일한 날개 구조는 +/- 5%의 기울기를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 추진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both propellers (3, 4) are identical in the entir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ropeller (3) in front of the water vehicle running direction and in the ring-shaped outer region of the propeller (4) in the rear of the water vehicle running direction. Waterjet propul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ng structure allows a slope of +/- 5%. 제 5 항에 있어서, 두 프로펠러(3, 4)의 상이한 날개 구조는 날개의 기울기를 다르게 해서 이루질 뿐만 아니라, 날개의 곡률을 다르게 함으로써도 이루어지며, 이때 제 5 항에 언급된, 서로 다른 날개 기울기의 범위는 0.9 내지 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 추진장치.The w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different wing structures of the two propellers (3, 4) are achieved not only by varying the tilt of the wing, but also by varying the curvature of the wing, wherein the different wing, as mentioned in claim 5 Waterjet propul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ange of the slope is 0.9 to 1.6. 제 7 항에 있어서, 두 프로펠러(3, 4)의 상이한 날개 구조는 날개 기울기 대신에 날개 곡률을 상응하게 다르게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 추진장치.8. Waterjet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7, characterized in that the different wing structures of the two propellers (3, 4) are made by correspondingly different wing curvature instead of wing tilt.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장치는 수중 하우징(2)의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 추진장치.9. Waterjet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y of the preceding claim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device comprises part of the underwater housing (2). 제 9 항에 있어서, 제어장치는 수중 하우징(2)의 일부를 포함하고, 하우징 섕크(18)는 이 일부의 작용에 영향을 주지않아 수중 하우징(2)의 일부를 포함하는 제어장치의 작용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 추진장치.10.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control device comprises a part of the underwater housing 2, and the housing shank 18 does not affect the action of this part so that the control device comprises a part of the underwater housing 2. Water jet propulsion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so as not to affect. 제 1 항, 제 9 항 및 제 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장치는 대체로 안내 날개(20)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 추진장치.11. Waterjet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device is generally comprised of guide vanes (20). 제 11 항에 있어서, 안내 날개(20)들은 0.0 내지 0.2 범위의 곡률과 -7°내지 +7°범위의 날개 각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 추진장치.Water jet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1,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vanes (20) maintain a curvature ranging from 0.0 to 0.2 and a wing angle ranging from -7 ° to + 7 °.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제어장치는 두 프로펠러(3, 4)의 공통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두 안내 날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 추진장치.13. Waterjet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1 or 12,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device has two guide vanes arranged rotationally symmetrically about a common axis of rotation of the two propellers (3, 4).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중 하우징(2) 내부의 구동수단은 수중 하우징 단부의 두 프로펠러(3, 4)를 위한 두 부분 구동축을 갖춘 전동장치(4', 5')이며, 이것에 대한 기계적 동력 전달(2')은 수상교통수단의 동체 내부의 모터, 바람직하게는 내연기관 또는 수력모터로부터 하우징 섕크를 통과하는 연결축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 추진장치.The driv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drive means inside the underwater housing (2) is a transmission (4 ', 5') with a two-part drive shaft for the two propellers (3, 4) at the end of the underwater housing. Wherein the mechanical power transmission (2 ') is through a connecting shaft passing through the housing shank from a motor, preferably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r a hydraulic motor, in the body of the water vehicle.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중 하우징(2) 내부의 구동수단은 수중 하우징 양 끝에 있는 두 프로펠러(3, 4)를 위한 구동축의 두 부분축(13, 14)을 갖춘 전기모터이며, 이것에 대한 에너지 공급은 수상교통수단의 동체 내부의 발전기로부터 하우징 섕크(18)를 통과하는 도선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 추진장치.14. The drive means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drive means inside the underwater housing (2) is provided with two partial shafts (13, 14) of the drive shaft for the two propellers (3, 4) at both ends of the underwater housing (14). An electric motor, the water jet propulsion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ly of energy is through a conductor passing through the housing shank (18) from the generator inside the fuselage of the water vehicle.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중 하우징(2) 내부의 구동수단은 수중 하우징 양 끝에 있는 두 프로펠러(3, 4)를 위한 두 부분 구동축을 갖춘 수력모터이며, 이것에 대한 에너지 공급은 수상교통수단의 동체 내부에 위치되어 수력모터작동수단의 에너지를 증대시키는 장치로부터 하우징 섕크를 통과하는 링 형태의 안내수단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 추진장치.14. A hydraulic motor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drive means inside the underwater housing 2 is a hydraulic motor with two partial drive shafts for the two propellers 3 and 4 at both ends of the underwater housing. The water jet propulsion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ergy supply is provided through a ring-shaped guide means which passes through the housing shank from the device located inside the body of the water transportation means to increase the energy of the hydraulic motor operating means. 제 15 항에 있어서, 모터(1)의 열배출은 모터(1)의 열발생부와 연결되어 열을 전도하는 수중 하우징(2)의 벽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 추진장치.16. The water jet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the heat dissipation of the motor (1) is made through a wall of the underwater housing (2) connected to the heat generating portion of the motor (1) to conduct heat.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상교통수단 운행방향 전방의 프로펠러(3)는 그 유입부에서 프로펠러면에 이를 때까지 단면이 줄어드는 가속 노즐에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 추진장치.The water je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wherein the propeller (3) in front of the water vehicle driving direction is surrounded by an acceleration nozzle whose cross section decreases from its inlet to the propeller surface. Propulsion system.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프로펠러(3, 4)는 각각의 노즐 유입부에서 제1 프로펠러(3)의 프로펠러면에 이를 때까지 단면이 확대되는 감속 노즐에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 추진장치.17. The propellers 3, 4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each propeller 3, 4 is surrounded by a deceleration nozzle whose cross section is enlarged until reaching the propeller face of the first propeller 3 at each nozzle inlet. Water jet propul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직 하우징 섕크(18)는 그 하단부에 있는 수중 하우징과 함께 그 종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수상교통수단의 동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 추진장치.20. The vertical housing shank (18)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housing shank (18) is connected to the body of the water vehicle so that it can rotate about its longitudinal axis with the underwater housing at its lower end. Water jet propulsion unit. 제 20 항에 있어서, 하우징 섕크(18)는 서보모터를 통해 그 종축선을 중심으로 360°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 추진장치.21. The water jet propulsion device of claim 20, wherein the housing shank (18) is capable of rotating 360 degrees about its longitudinal axis via a servomotor. 제 15 항에 있어서, 각각의 프로펠러(3, 4)를 구동축(7) 및 각각의 부분축(12, 13)에 고정하는 부위는 각각의 캡(14, 15)에 의해 둘러싸이며, 수중 하우징(2)과 캡(14, 15)이 이루는 외부 윤곽은 흐름에 유리한 유선형을 이루며, 이것의 머리(14) 부위의 프로펠러(3)는 수류 방향(A) 전방의 프로펠러가 되고, 그 유선형의 꼬리(15) 부위의 프로펠러(4)는 수류 방향 후방의 프로펠러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 추진장치.16. The site of claim 15, wherein the portions securing each propeller (3, 4) to the drive shaft (7) and each of the partial shafts (12, 13) are surrounded by respective caps (14, 15), and the underwater housing ( The outer contour formed by 2) and the caps 14 and 15 is in a streamlined manner which is advantageous for flow, and the propeller 3 at the head 14 portion thereof becomes a propeller in front of the water flow direction A, and its streamlined tail ( 15) Waterjet propul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peller (4) is a propeller in the rear of the water flow direction. 제 15 항 및/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전기모터(1)는 영구 동기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 추진장치.23. Waterjet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5 and / or 22,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ic motor (1) is a permanent synchronous motor. 제 23 항에 있어서, 모터(1)의 회전자(25)는 고정자(26) 내측에 동심을 이루며 들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 추진장치.The water jet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23, wherein the rotor (25) of the motor (1) is concentrically contained inside the stator (26). 제 24 항에 있어서, 회전자(25)는 프로펠러(3, 4)를 수용하기위해 회전자(25)를 관통하여 양단부으로 빠져나온 프로펠러축(7 및 12, 13)과, 멤브레인 커플링(28, 29)을 통해, 견고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 추진장치.25. A membrane coupling (28) according to claim 24, wherein the rotor (25) has a propeller shaft (7) and (12) and (13) and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guide through the (25) rotor (25) to receive the propeller (3,4). Water jet propul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rough, 29) is firmly connected. 제 25 항에 있어서, 회전자(25)의 외부에서는 각 멤브레인 커플링(28, 29) 바로 옆에 베어링(8, 9)이 배치되며, 회전자(25)와 프로펠러축(12, 13)으로 이루어지는 집합 부품이 그 베어링을 통해 워트제트 추진장치의 수중 하우징(2) 내부에 자리잡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 추진장치.26. The bearing (8) and (9) of claim 25, wherein outside the rotor (25), bearings (8, 9) are arranged next to each membrane coupling (28, 29). The waterjet propul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ssembly is made is located inside the underwater housing (2) of the waterjet propulsion device through the bearing. (삭제)(delete) 제 22 항 내지 제 2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자(25)는 회전자 지지관(27)을 통해 프로펠러축(12, 13)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 추진장치.29. Waterjet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y of claims 22 to 28,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or (25) is connected with the propeller shaft (12, 13) via the rotor support tube (27). 제 22 항 내지 제 2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중 하우징(2)은 지지 원추(30)가 부여된 하우징 섕크(18)를 통해서, 프로펠러축(12, 13)과 직각을 이루어 프로펠러축의 종축선(23)과 교차하는 회전축(22)을 중심으로 360°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 추진장치.29. The longitudinal axis of any of the claims 22-28, wherein the underwater housing (2) is perpendicular to the propeller shafts (12, 13), through a housing shank (18) provided with a support cone (30). Waterjet propul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rotate 360 ° around the axis of rotation (22) intersecting the line (23). 제 29 항에 있어서, 하우징 섕크(18)와 지지 원추(30)는 선박 외피(24)의 평면에서 분리 가능하게 서로 연결(플랜지 이음)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 추진장치.30. The waterjet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29, wherein the housing shank (18) and the support cone (30) ar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plane of the vessel shell (24). 제 29 항 또는 제 30 항에 있어서, 지지 원추(30)는 작은 쪽 단면이 하우징 섕크(18)에 면해 있고, 상부의 큰 단면은 프로펠러축(12, 13)의 종축선(23)과 교차하는 수직 축선(2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수상교통수단 내부에 자리잡는(베어링(31))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 추진장치.31. The support cone 30 has a small cross section facing the housing shank 18, the upper large cross s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axis 23 of the propeller shafts 12, 13. Waterjet propul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within the water transport (bearing 31) to be rotated about the vertical axis (22). 제 22 항 내지 제 31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 섕크(18)는 두 프로펠러(3, 4) 사이의 제어장치(19)의 다수의 동일한 안내 날개(18, 20) 가운데 하나로 형성되며, 이 안내 날개들은 하우징(2)의 둘레에 같은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 추진장치.32. The housing shank (18) according to any of claims 22 to 31, wherein the housing shank (18) is formed of one of a plurality of identical guide vanes (18, 20) of the control device (19) between two propellers (3, 4), Water guide propul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vanes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round the housing (2).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상교통수단 운행방향 전방의 프로펠러(3)는 유입부에서 프로펠러면에 이를 때까지 단면이 확대되는 감속 노즐에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 추진장치.The water je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wherein the propeller (3) in front of the water vehicle driving direction is surrounded by a deceleration nozzle whose cross section is enlarged from the inlet to the propeller surface. Propulsion system.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프로펠러는 유입부에서 프로펠러면에 이를 때까지 단면이 줄어드는 가속 노즐에 둘러싸이거나 유입부에서 프로펠러면에 이를 때까지 단면이 확대되는 감속 노즐에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 추진장치.17. The deceleration nozz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wherein each propeller is surrounded by an acceleration nozzle that reduces the cross section until reaching the propeller face at the inlet or at a reduction nozzle that extends in the cross section until reaching the propeller face at the inlet. Waterjet propul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closed.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프로펠러는 노즐 유입부에서 제1 프로펠러의 프로펠러면에 이를 때까지 단면이 줄어드는 가속 노즐인 공통의 노즐에 둘러싸이거나 노즐 유입부에서 제1 프로펠러의 프로펠러면에 이를 때까지 단면이 확대되는 감속 노즐인 공통의 노즐에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 추진장치.17. The propell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wherein the two propellers are surrounded by a common nozzle, which is an acceleration nozzle whose cross section decreases from the nozzle inlet to the propeller face of the first propeller, or at the nozzle inlet. Waterjet propulsion device is characterized by being surrounded by a common nozzle which is a reduction nozzle that the cross section is expanded until the propeller surface of the.
KR1019997003942A 1996-11-07 1999-05-04 Dual propeller propulsion system for a water craft KR10030626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9619385U DE29619385U1 (en) 1996-11-07 1996-11-07 Ship propulsion with a rudder propeller
DE29619385.2 1996-11-07
DE1996148417 DE19648417A1 (en) 1996-11-22 1996-11-22 Double-propeller drive for water vessel
DE19648417.0 1996-11-22
DE29707028.2 1997-04-18
DE29707028U DE29707028U1 (en) 1996-11-07 1997-04-18 Ship propulsion with a rudder propel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3042A true KR20000053042A (en) 2000-08-25
KR100306261B1 KR100306261B1 (en) 2001-09-24

Family

ID=27216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3942A KR100306261B1 (en) 1996-11-07 1999-05-04 Dual propeller propulsion system for a water craft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0935553B1 (en)
JP (1) JP3214568B2 (en)
KR (1) KR100306261B1 (en)
CN (1) CN1080677C (en)
CA (1) CA2271034C (en)
DK (1) DK0935553T3 (en)
ES (1) ES2163204T3 (en)
HK (1) HK1023971A1 (en)
NO (1) NO324212B1 (en)
PT (1) PT935553E (en)
WO (1) WO1998019907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059B1 (en) * 2001-08-30 2009-11-13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Shock resistant marine marine engines including motors and generator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280709T1 (en) * 1998-12-21 2004-11-15 Mitsubishi Heavy Ind Ltd AZIMUT PROPULSION DEVICE AND VESSEL EQUIPPED THEREFROM
FI115042B (en) * 2000-01-28 2005-02-28 Abb Oy Engine unit for ships
US6244912B1 (en) * 2000-03-20 2001-06-12 Electric Boat Corporation Strut-mounted marine propulsion unit
DE10044101A1 (en) * 2000-09-07 2002-04-04 Schottel Gmbh & Co Kg Drive for fast watercraft
JP4674841B2 (en) * 2001-06-08 2011-04-20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Electric propulsion device for small vessels
DE102004008805B4 (en) * 2004-02-20 2008-08-14 Siemens Ag Two propeller drive for ships
WO2006131107A2 (en) * 2005-06-09 2006-12-14 Schottel Gmbh & Co. Kg Ship propulsion unit and ship propulsion method
US8640985B2 (en) * 2009-05-22 2014-02-04 Textron Innovations Inc. Co-rotating stacked rotor disks for improved hover performance
US20110263165A1 (en) * 2010-04-26 2011-10-27 Twin Disc, Inc. Electric Marine Surface Drive
KR20130024467A (en) * 2011-08-31 2013-03-08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Flat type sealing device and method of underwater mounting azimuth thruster
WO2013168986A1 (en) * 2012-05-10 2013-11-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opulsion device for ship and ship comprising same
CN104229113B (en) * 2014-09-24 2017-11-17 江苏科技大学 Pod propulsion marine vessel power directly drives propulsion plant, propulsion system and propulsion method
EP3069985A1 (en) * 2015-03-20 2016-09-21 ABB Oy A vessel with a hull and a propulsion unit
CN105015753B (en) * 2015-07-01 2017-08-22 胡景威 A kind of rudder for ship
CN105151265B (en) * 2015-10-25 2017-06-20 宁波市鄞州发辉机械科技有限公司 A kind of transmission device of submersible
FR3054999B1 (en) * 2016-08-09 2018-08-17 Aetc Sapphire PROPULSION UNIT FOR A MARINE VEHICLE COMPRISING A BRAKING AND LOCKING SYSTEM OF THE DRIVE SHAFT
CN107963196A (en) * 2017-12-07 2018-04-27 张立 A kind of ship propeller
CN108045534A (en) * 2017-12-30 2018-05-18 殷红平 A kind of orientation blade driving mechanism for universal robot
ES2815925T3 (en) * 2018-08-03 2021-03-31 Sealence S P A Outboard water jet propulsion device for marine vehicles
CN109436268A (en) * 2018-09-26 2019-03-08 湖北环电磁装备工程技术有限公司 Ship podded propeller
CN109278969A (en) * 2018-10-12 2019-01-29 邓建军 Coaxial double paddle electrical water jetting propellers
CN110316345A (en) * 2019-07-15 2019-10-11 南京高精船用设备有限公司 It is a kind of novel to turning the lateral propulsion system of propeller ship
CN112937822A (en) * 2021-03-09 2021-06-11 北京航空航天大学 Single-drive foldable coaxial propeller device
CN113636054A (en) * 2021-06-04 2021-11-12 东台市水洲盈华船舶配件有限公司 Double-propeller type underwater propeller
CN114572370A (en) * 2021-12-28 2022-06-03 深圳潜行创新科技有限公司 Contra-rotating double-propeller underwater propeller
CN115009489A (en) * 2022-05-22 2022-09-06 哈尔滨广瀚动力传动有限公司 Electric contra-rotating propeller propulsion nacelle
CN118499573B (en) * 2024-07-19 2024-09-20 沈阳欧施盾新材料科技有限公司 Low-temperature offshore gas transportation floating pipeline and use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3611C (en) *
GB515469A (en) * 1938-03-05 1939-12-06 John Taylor Mcintyre Improvements in cased screw propeller type fans, pumps and the like
US2691356A (en) * 1950-11-28 1954-10-12 Waterval William Multiple propeller drive for ships
DE1094622B (en) * 1957-10-12 1960-12-08 Volkswerft Stralsund Veb Double propeller, preferably for ships
GB832164A (en) * 1958-09-26 1960-04-06 Murray & Tregurtha Inc Reversible propeller
DE1556851A1 (en) * 1967-02-01 1970-01-29 Grim Otto Dr Ing Propeller
US4182118A (en) * 1971-04-18 1980-01-08 Chronic Bill M Jet propulsion engine
US4074652A (en) * 1976-07-26 1978-02-21 Jackson William M Steering and propulsion device for watercraft
DE2911830A1 (en) * 1979-03-26 1980-10-09 Ernst August Werner Water jet propulsion system for speedboat - is contained in constant cross-section casing projecting below stern
FI79991C (en) * 1986-04-29 1990-04-10 Hollming Oy PROPELLERANORDNING FOER ETT FARTYG.
US5222863A (en) * 1991-09-03 1993-06-29 Jones Brian L Turbine multisection hydrojet drive
FI96590B (en) 1992-09-28 1996-04-15 Kvaerner Masa Yards Oy Ship's propulsion device
JPH07132469A (en) 1993-11-08 1995-05-23 Kaijirushi Hamono Kaihatsu Center:Kk Handle for various tools and manufacture thereof
DE4440138C1 (en) * 1994-11-10 1996-01-25 Volker Wagner Mounting for holding candles, e.g. during mfr., transport or storage
DE4440738A1 (en) * 1994-11-15 1996-05-23 Schottel Werft Ship propulsion with a prime mover in the hull and a propeller driven by the prime mover outside the hull
JPH08207895A (en) * 1995-02-06 1996-08-1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Ship steering gear
DE19618247A1 (en) * 1996-05-07 1997-11-13 Blohm & Voss Int Propeller drive for marine vessel
DE29619385U1 (en) * 1996-11-07 1997-03-13 Schottel-Werft Josef Becker GmbH & Co KG, 56322 Spay Ship propulsion with a rudder propell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059B1 (en) * 2001-08-30 2009-11-13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Shock resistant marine marine engines including motors and genera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63204T3 (en) 2002-01-16
JP2000515095A (en) 2000-11-14
CA2271034C (en) 2004-06-22
JP3214568B2 (en) 2001-10-02
KR100306261B1 (en) 2001-09-24
PT935553E (en) 2002-03-28
NO992215D0 (en) 1999-05-06
NO992215L (en) 1999-05-06
CA2271034A1 (en) 1998-05-14
EP0935553A1 (en) 1999-08-18
DK0935553T3 (en) 2002-01-28
HK1023971A1 (en) 2000-09-29
EP0935553B1 (en) 2001-09-19
CN1080677C (en) 2002-03-13
NO324212B1 (en) 2007-09-10
CN1236347A (en) 1999-11-24
WO1998019907A1 (en) 1998-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6261B1 (en) Dual propeller propulsion system for a water craft
KR101277348B1 (en) Submarine with a propulsive derive comprising an annular electric mo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3809005A (en) Propulsion system
US9816464B2 (en) Thrust vector control
US5947779A (en) Propulsion device
FI112058B (en) Ship propulsion machinery with rudder propeller
US3561392A (en) Unit of propulsion by hydrodynamic reaction
CN106143849A (en) A kind of tunnel thruster of band safeguard function
CN207129124U (en) Propulsion plant and submarine navigation device
US20010051475A1 (en) Twin-propeller drive for watercraft
US4571192A (en) Self propelled spherical vehicle
US6899576B2 (en) Twin-propeller drive for watercraft
US3179081A (en) Combined propulsion and steering apparatus for vessels
CN113247224A (en) Vector propulsion device based on rim propeller
US5941744A (en) Vectored propulsion system for sea-going vessels
RU2119875C1 (en) Shipboard propeller-engine plant, type swivel column
KR101127484B1 (en) Arrangement in a counter rotating propulsion system
JP2001106190A (en) Pump jet device
US7465201B1 (en) Articulation mechanism and elastomeric nozzle for thrust-vectored control of an undersea vehicle
JP3171394B2 (en) Pump jet thruster with thrust control device
WO2005021374A1 (en) Contra-rotating variable pitch propellers fitted on the strut
US20070014669A1 (en) Centrifugal engine
US6413128B2 (en) Device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ravel of a watercraft
CN215972055U (en) Vector propulsion device based on rim propeller
US5407373A (en) Propulsion system for water vess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50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906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6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8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8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code: PG17011E01I

Patent event date: 20011026

Comment text: Request for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6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