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1877A - 신규한 헤어 스타일링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한 헤어 스타일링제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51877A KR20000051877A KR1019990002579A KR19990002579A KR20000051877A KR 20000051877 A KR20000051877 A KR 20000051877A KR 1019990002579 A KR1019990002579 A KR 1019990002579A KR 19990002579 A KR19990002579 A KR 19990002579A KR 20000051877 A KR20000051877 A KR 200000518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ir
- hair styling
- styling
- flaking
- styling composi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61K8/892—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modified by a hydroxy group, e.g. dimethicono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헤어 스타일링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레진으로서 비이온성 호모폴리머인 폴리비닐카프로락탐 0.96중량% 내지 6 중량%와 가소제로서 실리콘 글리콜 코폴리머 0.05중량% 내지 0.2중량%, 제 2의 폴리머로서 메타크릴로일 에틸 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0.1중량% 내지 2.5중량% 및 나머지는 에탄올을 함유하며 이와같은 본 발명의 신규한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은 조성물중 레진이 건조된 후 빗질을 하였을 때 모발에 흰가루가 남는 플레이킹 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으면서 자연스럽게 헤어 스타일링을 마무리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규한 헤어 스타일링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비이온성 호모폴리머인 폴리비닐카프로락탐을 함유하는 헤어 스타일링제 조성물에 실리콘 글리콜 코폴리머를 첨가하여 플레이킹 현상을 제거한 신규한 헤어 스타일링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스타일링이란 모발의 수소 결합에 영향을 줌으로써 모발의 형태를 재구조,재조직하여 모발의 컬 패턴에 변화를 주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변형된 컬 패턴을 영구적으로 유지하는 것은 퍼머 등의 화학적 시술을 하는 것이고,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스프레이, 무스, 젤 등으로 불리는 스타일링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 스타일링 제품은 분사제의 유·무에 따라 에어로졸과 비(非)에어로졸 제품으로 구분된다. 헤어 스타일링 제품의 주원료는 폴리머와 용제, 가소제, 첨가제 및 분사제가 있는데 폴리머는 모발에 막을 형성하여 스타일을 고정하고 용제로는 물과 알콜이 주로 사용되며 이들은 폴리머를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가소제는 폴리머에 의해 형성된 막의 성질을 개선시키고 첨가제는 자외선 차단제, 보습제, 영양제 등으로 모발의 보호 및 영양 공급 등의 기능성을 부여하며 분사제는 에어로졸의 경우 내용물이 용기 밖으로 노즐을 통하여 분사되도록 한다.일반적인 헤어 스타일링 제품에 사용되는 폴리머는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로서 음이온성, 양이온성, 양쪽성, 비이온성 폴리머로 크게 구분되며 이들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 상기 폴리머의 성질을 조정하기 위해 가소제(plasticizer)로 폴리올, 유성 원료, 실리콘 등을 사용하고 있다.
헤어 스타일링 제품의 사용목적은 모발을 원하는 모양으로 고정, 유지시키기는 것으로서 이러한 기능을 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원료는 폴리머이다. 실제 제품 처방에서는 헤어 스타일링제의 기능에 따라 스타일의 고정 및 유지를 위한 제품이면 주로 음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폴리머를 사용하고, 콘디쇼닝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양이온성 폴리머를 사용하며 양쪽성 폴리머의 경우 스타일링의 고정 및 유지와 동시에 콘디쇼닝 효과를 줄 수 있는 제품에 사용되고 있다. 헤어 스타일링 제품은 스타일링을 고정, 유지시키는 능력 (셋팅력)에 따라 하드, 소프트 등으로 나뉘어지는데 이는 사용자의 기호 또는 유행하는 헤어 스타일의 영향을 받는다. 사용되는 폴리머의 양이 많을 수록 강한 셋팅력을 나타내지만 폴리머의 특성상 사용량이 한정되며 이러한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가소제로서 각종 폴리올, 에스테르 등 유성원료, 실리콘 등이 사용된다. 가소제를 첨가함으로서 폴리머는 개질되어 모발에 형성된 막의 강도가 약해지면서 부드러워지고, 모발에 대한 부착력이 향상되어 빗질시 발생할 수 있는 플레이킹이 최소화된다. 그러나 사용자의 사용 방법에 따라 간혹 완벽한 제품이라 할지라도 무리하게 물리적인 자극을 가하게 되면 모발에 부착된 필름이 벗겨지면서 흰색의 가루 모양으로 모발이나 의복위로 떨어져 나오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인 비이온성 호모폴리머인 폴리비닐피롤리돈과 같은 폴리머는 매우 단단하고 투명한 필름을 형성하면서 샴푸시 잘 씻겨지는 특징이 있지만 흡습성이 강하여 쉽게 정발력을 잃게 된다. 그리고 이 폴리머에 의해 형성된 필름은 빗질과 같은 작용에 의해 쉽게 플레이킹이 발생한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는 한 방법으로 비닐아세테이트와 공중합을 함으로써 내습성을 향상시켜 폴리머의 특성을 개선할 수 있었지만 한계가 있었다. 다른 방법으로 가소제를 이용하여 필름의 강도를 조정하고 부착력을 향상시키므로써 폴리머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폴리머에 의해 형성된 필름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는 라놀린, 피마자유, 옥틸 도데카놀 등의 유제 및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등 이염기산 디에스테르, 글리세린 등의 다가 알콜이 있다. 가소제는 필름의 성질을 개선하는 것이외에도 모발에 광택을 부여하고 감촉을 부드럽게 만들어 주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가소제를 선택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이용하고자 하는 폴리머, 용제와의 상용성 및 색·냄새가 없을 것, 휘발성이 없을 것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비이온성 호모 폴리머인 폴리비닐카프로락탐을 함유한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을 사용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플레이킹현상을 최소화한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폴리비닐카프로락탐은 하기 구조식(I)로 표시되는 단위 구조를 중합하여 형성된 비이온성 호모폴리머이다.
상기 폴리머는 끈적임이 없고 유연한 필름을 형성하여 자연스러운 스타일링으로 마무리하여 주고 지속성이 강한 특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이 폴리머는 모발에 대한 부착력이 약하여 약한 자극에도 쉽게 필름이 떨어져 플레이킹이 발생하는 정도가 심하다. 따라서 상기 폴리비닐카프로락탐의 취약점을 해결하고 보다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는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필름의 강도를 강화하고 부착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제 2의 폴리머와 실리콘 글리콜 코폴리머를 사용하였다. 제 2의 폴리머로는 모발에 대한 부착력이 강하고 매우 단단한 필름을 형성하여 빗질과 같은 물리적 자극에 의해 발생하는 플레이킹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메타크릴로일 에틸 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를 사용하였다. 2가지의 폴리머를 조합하여 사용함에 있어서 분사제를 이용하는 경우, 원액과 분사제와의 상용성, 용기의 부식 문제, 모발과의 친화성에 영향을 주는 가장 큰 요인 중의 하나가 원액의 수소이온농도이다. 이 문제는 사용되는 폴리머의 비율을 조정함으로서 해소할 수 있었다. 가소제로는 두가지의 폴리머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두가지 폴리머에 효과적인 가소성을 부여할 수 있는 실리콘 글리콜 코폴리머를 사용하여 폴리비닐카프로락탐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플레이킹 현상을 해소하므로써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발 고정성분으로 비이온성 호모 폴리머인 폴리비닐카프로락탐을 함유하고 가소제로 실리콘 글리콜 코폴리머를 함유하므로써 플레이킹 현상이 없는 헤어 스타일링제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스타일을 고정하는 폴리머 성분으로 비이온성 호모 폴리머인 폴리비닐카프로락탐과 가소제로 실리콘 글리콜 코폴리머를 함유하고 제 2의 폴리머로 메타크릴로일 에틸 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 조성물의 플레이킹 발생여부와 스타일링 유지력 및 원액의 pH를 조사한 다음, 폴리머와 제 2의 폴리머는 상기 본 발명의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과 동일한 성분을 함유하지만 가소제인 실리콘 글리콜 코폴리머는 함유하지 않은 종래의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을 제조하고 플레이킹 발생여부를 조사한 후 상기 본 발명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의 플레이킹 발생 조사결과와 비교하므로써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비이온성 호모 폴리머인 폴리비닐카프로락탐을 함유하는 40% 에탄올 용액과 메타크릴로일 에틸 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50% 에탄올 용액 및 실리콘 글리콜 코폴리머를 각각 다른 양으로 함유하는 5종의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을 제조하고 각각의 플레이킹 발생여부와 스타일링 유지력 및 pH를 조사하는 단계 및; 비이온성 호모 폴리머인 폴리비닐카프로락탐을 함유하는 40% 에탄올 용액과 메타크릴로일 에틸 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50% 에탄올 용액은 함유하지만 실리콘 글리콜 코폴리머는 함유하지 않는 4종의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을 제조하고 플레이킹 발생여부를 조사한 후 상기 미리 제조된 5종의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의 플레이킹 발생 조사 결과와 비교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에어로졸을 만들기 위하여 사용하는 분사제는 LPG를 사용하였으며 사용한 성분들의 함량단위는 중량%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법을 실시예와 비교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제조 및 물성조사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비닐카프로락탐을 함유하는 40% 에탄올 용액과 메타크릴로일 에틸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를 함유하는 50% 에탄올 용액, 실리콘 글리콜 코폴리머, 초산 토코페롤, 벤조페논-3, 에탄올 및 분사제인 LPG를 하기 표 1에 나타낸 함량대로 각각 함유하는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1 ~ 5를 제조하고 이들 각 조성물의 플레이킹 발생여부와 스타일링 유지력 등을 측정하였다. 이때, 플레이킹현상의 측정은 모발 트레스에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을 분사한 후 건조되면 일반적인 플라스틱 빗을 이용하여 검은 종이 위에서 빗질하여 종이 위에 떨어진 흰가루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스타일링 유지력은 일반적인 고습도하에서의 컬 유지력(curl retention)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타일 유지력과 원액의 pH는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플레이킹은 5종의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모두 발생하지 않았다.
구 분 |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1 |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2 |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3 |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4 |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5 |
폴리비닐카프로락탐 40% 에탄올 용액 | 3.12 | 4.80 | 9.46 | 2.60 | 8.13 |
메타크릴로일 에틸 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50% 에탄올 용액 | 4.68 | 1.56 | 0.23 | 1.3 | 1.17 |
실리콘 글리콜 코폴리머 | 0.11 | 0.11 | 0.20 | 0.05 | 0.13 |
초산 토코페롤 | qs | qs | qs | qs | qs |
벤조페논-3 | qs | qs | qs | qs | qs |
에탄올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LPG | 35.00 | 35.00 | 35.00 | 35.00 | 35.00 |
[주] qs: 적정량 |
구 분 |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1 |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2 |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3 |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4 |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5 |
플래이킹 발생여부 | 없음 | 없음 | 없음 | 없음 | 없음 |
스타일링 유지력 | strong hard | hard | hard | soft | strong hard |
원액의 pH | 7.83 | 7.71 | 7.50 | 7.66 | 7.61 |
비교실시예 2: 종래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제조 및 물성조사
본 비교실시예에서는 폴리비닐카프로락탐을 함유하는 40% 에탄올 용액과 메타크릴로일 에틸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를 함유하는 50% 에탄올 용액, 글리세린,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옥틸 도데카놀, 초산 토코페롤, 벤조페논-3, 에탄올 및 분사제인 LPG를 하기 표 3에 나타낸 함량대로 각각 함유하는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6 ~ 9를 제조하고 이들 각 조성물의 플레이킹 발생여부를 조사하였다. 플레이킹 발생여부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6 ~ 9 모두가 플레이킹이 발생하였다.
구 분 |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6 |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7 |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8 |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9 |
폴리비닐카프로락탐 40% 에탄올 용액 | 3.12 | 3.12 | 3.12 | 3.12 |
메타크릴로일 에틸 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50% 에탄올 용액 | 4.68 | 4.68 | 4.68 | 4.68 |
글리세린 | 0.11 | - | - | - |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 - | 0.11 | - | - |
옥틸 도데카놀 | - | - | 0.11 | - |
초산 토코페롤 | qs | qs | qs | qs |
벤조페논-3 | qs | qs | qs | qs |
에탄올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LPG | 35.00 | 35.00 | 35.00 | 35.00 |
[주] qs: 적정량 |
구 분 |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6 | 헤어스 타일링 조성물 7 |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8 |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9 |
플래이킹 발생여부 | 발생함 | 발생함 | 발생함 | 발생함 |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실시예 1의 결과에 의하면 강도가 높은 필름을 형성하는 메타크릴로일 에틸 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의 비율이 높을 수록 스타일링 유지력이 강한 특성을 나타내었고 실리콘 글리콜 코폴리머는 두 종류의 폴리머인 폴리비닐카프로락탐 폴리머와 메타크릴로일 에틸 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에 바람직한 가소성으로 필름의 부착력을 향상시켰고 플레이킹 현상을 해소하였다. 원액의 수소이온농도는 7.5이상일 경우 바람직한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로서의 역할을 하며 폴리비닐카프로락탐의 함량이 높을 수록 원액의 수소이온 농도는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와 비교실시예에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은 비이온성 호모폴리머인 폴리비닐카프로락탐 0.96중량% 내지 6 중량%와 가소제인 실리콘 글리콜 코폴리머 0.05중량% 내지 0.2중량%, 메타크릴로일 에틸 베타민/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0.1중량% 내지 2.5중량% 및 나머지는 에탄올을 함유하므로써 플레이킹이 전혀 발생하지 않으면서 자연스럽게 헤어 스타일링을 마무리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화장품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 비이온성 호모폴리머인 폴리비닐카프로락탐 0.96중량% 내지 6 중량%, 실리콘 글리콜 코폴리머 0.05중량% 내지 0.2중량%, 메타크릴로일 에틸 베타민/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0.1중량% 내지 2.5중량% 및 나머지는 에탄올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스타일링제 조성물.
- 제1항 기재의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을 함유하는 헤어스타일링 제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02579A KR100280190B1 (ko) | 1999-01-27 | 1999-01-27 | 신규한 헤어 스타일링제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02579A KR100280190B1 (ko) | 1999-01-27 | 1999-01-27 | 신규한 헤어 스타일링제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51877A true KR20000051877A (ko) | 2000-08-16 |
KR100280190B1 KR100280190B1 (ko) | 2001-01-15 |
Family
ID=19572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02579A KR100280190B1 (ko) | 1999-01-27 | 1999-01-27 | 신규한 헤어 스타일링제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8019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4435B1 (ko) * | 2001-12-04 | 2005-04-20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
WO2012026708A3 (ko) * | 2010-08-26 | 2012-06-28 | No Hyun Sun | 헤어 스타일링 기능이 우수한 탈모방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토닉 |
-
1999
- 1999-01-27 KR KR1019990002579A patent/KR10028019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4435B1 (ko) * | 2001-12-04 | 2005-04-20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
WO2012026708A3 (ko) * | 2010-08-26 | 2012-06-28 | No Hyun Sun | 헤어 스타일링 기능이 우수한 탈모방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토닉 |
US8637095B2 (en) | 2010-08-26 | 2014-01-28 | Hyun Soon Noh |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with excellent hair styling function, and hair tonic containing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280190B1 (ko) | 2001-0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165367A (en) | Hair preparations containing vinyl pyrrolidone copolymer | |
DE69715597T2 (de) | Präparate mit haarkonditionierenden eigenschaften | |
US5338541A (en) | Dual cationic terpolymers providing superior conditioning properties in hair, skin and nail care products | |
US4223009A (en) | Hair preparation containing vinyl pyrrolidone copolymer | |
CA1091160A (en) | Hair preparation containing vinyl pyrrolidone copolymer | |
EP0521665B1 (en) | Ampholyte terpolymers providing superior conditioning properties in shampoos and other hair care products | |
DE112017002170T5 (de) | Haarstärkende Zusammensetzung und ein Kit zur Stärkung von Haaren | |
DE202017101868U1 (de) | Zusammensetzung zur Haarverfestigung und Mittel zum Festigen von Haaren mit ausgezeichneten Eigenschaften | |
DE202017101867U1 (de) | Zusammensetzung zur Haarverfestigung und Mittel zum Festigen der Haare | |
NZ243273A (en) | Hair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ampholytic terpolymers | |
EP1878423A2 (de) | Haarstylingzubereitungen mit besonderen Proteinhydrolysaten | |
DE3731477C2 (de) | Kosmetische Mittel auf der Basis von kationischen Polymeren und Alkyloxazolinpolymeren | |
WO2016096671A1 (de) | Mittel zur temporären verformung keratinhaltiger fasern mit einer mischung aus konditionierenden polymeren | |
DE19617515A1 (de) | Haarbehandlungsmittel mit mindestens einem Pflegestoff | |
DE19523596A1 (de) | Zubereitung zur Behandlung keratinischer Fasern | |
DE69601526T2 (de) | Zusammensetzung zur Behandlung von Keratinfasern, die mindestens ein fixierendes Polymer und mindestens eine Verbindung vom Ceramidtyp enthält, und Verfahren | |
EP0715843A1 (de) | Als Wirkstoffe in kosmetischen Zubereitungen wie Haarstylingmitteln geeignete quaternierte Copolymerisate | |
JP3253023B2 (ja) | 整髪剤 | |
US5663261A (en) | Film-forming resin and hair care cosmetic containing the same | |
EP1048286A2 (de) | Haarbehandlungsmittel mit Polymeren aus ungesättigten Sacchariden, ungesättigten Saccharidsäuren oder deren Derivaten | |
DE19907715A1 (de) | Zubereitungen zur Behandlung keratinischer Fasern | |
DE10357532A1 (de) | Verwendung von Polymerisaten auf Basis von N-Vinylcaprolactam für die Haarkosmetik | |
KR100280190B1 (ko) | 신규한 헤어 스타일링제 조성물 | |
EP3060309B1 (en) | Rinse-off volumizing hair compositions containing styling polymers and polycationic polymers | |
JP2018523661A (ja) | ビニルアルコールエーテルから誘導されたポリマーを含むパーソナルケア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1104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