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1208A - 김 양식망에 부착하는 잡조류 구제용 유기산 조성물 - Google Patents

김 양식망에 부착하는 잡조류 구제용 유기산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1208A
KR20000051208A KR1019990001512A KR19990001512A KR20000051208A KR 20000051208 A KR20000051208 A KR 20000051208A KR 1019990001512 A KR1019990001512 A KR 1019990001512A KR 19990001512 A KR19990001512 A KR 19990001512A KR 20000051208 A KR20000051208 A KR 20000051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seaweed
organic acid
organic
la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1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노동
오중근
Original Assignee
박노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노동 filed Critical 박노동
Priority to KR1019990001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1208A/ko
Publication of KR20000051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120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02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02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 A01N37/04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polybasic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06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3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singly bound oxygen or sulfur atom attache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this oxygen or sulfur atom not being a member of a carboxylic group or of a thio analogue, or of a derivative thereof, e.g. hydroxy-carboxylic aci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 양식망에 부착하여 김의 생장과 품질을 저해하는 파래 등의 잡조류를 제거하기 위한 유기산 제제 조성물과 그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부유식 양식기술에서 파래 등 잡조류가 부착하여 김 포자가 김망에 착근하는 것을 방해하므로써 영양분을 고갈시키고 햇빛을 차단하여 김의 광합성을 저해하며 병해를 일으키는 부착 잡조류(파래, 매생이 규조류 등)의 구제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유기산 제제 조성물과 그 처리방법의 제공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산과 이와 유사한 유기산을 몇가지 조합한 것이다.

Description

김 양식망에 부착하는 잡조류 구제용 유기산 조성물 제제와 그 처리방법 {Organic acid formula for the control of the Enteromorpha linza from the cultivation of lavor}
본 발명은 김 양식장에 있어서 잡조류 제거용 유기산 조성물 및 그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김 양식망에 부착하여 김의 생장과 품질을 저해하는 파래를 제거하기 위한 유기산 조성물 제제와 그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부유식 양식기술의 보급과 인공채묘 및 냉동망 기술의 개발 등 양산기술의 개발 확립과 함께 김 양식시설의 급격한 증가, 밀식양식으로 어장이 시간적 공간적으로 혹사되어 영양염의 부족과 병해의 만연, 잡조류의 부착으로 인해 김 양식장에 파래, 규조류, 갯병의 피해가 날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현행 부유식 양식기술에서는 양식망이 햇빛에 자주 노출되지 못하여 부착 잡조류의 생육이 용이해지고, 김 양식장에 잡조류(파래, 매생이, 규조류등)가 번성하면 조류의 소통이 방해되어 영양분이 고갈되고, 햇빛이 차단되어 광합성이 저해되고 병해를 일으키기 쉽다. 특히 파래는 그 생육시기가 김과 비슷하고 근래에는 김 양식장의 증가와 밀식으로 인한 조류의 소통 불량으로 김에 파래의 부착이 심해지고 있어 김 양식 어민들에게 막대한 손실을 주고 있다. 이러한 부착 잡조류를 구제하기 위하여 김 양식장에서는 무기산인 염산(HCl)을 침적식으로 처리하고 있으나 염산의 처리는 산 처리시 약해에 의한 김의 부분적 수량감소 및 품질 저하의 문제, 식품으로서 김의 안전성이 의문시될 때 예상되는 소비의 감소 문제, 김 양식어장 환경의 오염과 그로 인한 어장 생물 등의 피해 및 2차 오염문제 등을 야기할 소지가 있다. 따라서 염산을 대체할 수 있는 잡조류 제거제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종래에도, 파래(Enteromorpha linza)가 생리적으로 김에 비해 내건성과 내한성이 약한 점을 이용하여 부사(富士), 금자(金子) 등은 물리적으로 김 양식망을 노출시켜 파래를 구제하고자 시도한 바 있으며, 산내(山內)는 부유식 김망을 육상 도출함으로써 파래를 구제하는 방법을 연구한 바 있다. 돈하(敦賀)등은 김과 파래의 엽체의 간출(干出)과 동화, 호흡작용 등을 비교 연구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만으로는 파래의 구제가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김양식망에 부착하여 김의 생산과 품질을 저해하는 파래가 김에 비하여 산성에 매우 약하다는 점을 이용하여 수산 등의 유기산을 주성분으로 한 파래 구제용 제제를 개발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김양식에서 파래를 구제하는 유기산 제제의 처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파래 또는 김의 엽체를 농도별 시간별로 유기산 등을 포함하는 각 시약으로 처리한 후 변색 및 변색시간, 광합성량 및 파래와 김의 생존율을 조사하고 이 조사결과를 근거로하여 파래제거에 가장 효과적인 유기산 제제를 제조한 후 이 유기산 제제로 파래와 김을 처리하고 상기와 동일하게 파래와 김의 변색 및 변색시간과 광합성량을 측정하고 잡조류 제거 효과를 조사하므로써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유기산 등의 천연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용액을 김과 파래에 처리한 후 변색정도 및 변색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염산, 구연산, 말산 및 수산 등으로 처리된 김과 파래의 광합성 반응을 개시한 후 산소전극을 사용하여 용존산소량을 측정하므로써 광합성량을 산출하는 단계; 수산을 비롯한 유기산으로 처리된 김과 파래의 생존율을 에반스 블루 염색법으로 조사하는 단계; 유기산이 함유된 파래제거용 유기산 제제의 제조단계: 상기 제조한 유기산 제제로 파래와 김을 처리하고 변색정도 및 변색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제조한 유기산 제제로 처리된 파래와 김의 광합성량을 산소전극을 사용한 용존산소량 측정법으로 산출하는 단계 및; 제조한 유기산 제제를 김 양식장에 처리한 후 광학현미경을 이용한 변색 및 세포벽 막간공간의 분리현상을 관찰하여 잡조류의 제거효과를 조사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전남 해남군 송지면 소죽리 764-5에 위치한 삼호수산(대표 오중근씨) 소유의 양식장을 본 발명의 주 대상 양식장으로 삼아 1994년 9월부터 1996년 5월까지 실험하였으며 여기서 생산되는 일반김과 파래를 가지고 실험하였다. 김과 파래는 엽체가 10-15㎝인 것을 시료로 사용하였고 해수도 이곳에서 채취한 것을 사용하였다. 파래 또는 김의 엽체를 농도별, 시간별로 각 시약에 침지시킨 다음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시약은 EP급 또는 GR급이었으며, pH는 pH meter(Beckman pHi 34)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실험방법은 하기와 같다.
1. 달관법
약제 용액에 시료를 침지한 다음 색깔의 변화를 관찰하여 변색에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2. Evans blue 염색법
0.125% Evans blue 수용액 5㎖에 직경 6㎜(1.5㎎/disc)로 펀치한 엽체 disc 10개를 25분간 침지한 다음 충분히 씻고 여기에 1% SDS 용액 3㎖을 가하여 6시간 동안 실온에 두었다가 추출된 Evans blue의 함량을 600nm에서 측정하였다.
3. 광합성 능력 측정법
김과 파래의 광합성 능력은 산소전극(Oxygen electrode; Rank Brother사의 Clark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직경 6㎜(1.5㎎/disc)로 펀치한 엽체 disc 10개를 사용하였다. 반응조에 완충액(0.5mM CaSO4가 포함된 50mM HEPES, pH 7.2) 3㎖를 넣고 교반하여 반응액중의 용존산소량을 안정시킨 다음, 절단한 절편을 넣어 10분간 광을 조사하고 광합성 기질로서 0.625M NaHCO2 100㎕를 가하여 광합성 반응을 개시하고 증가하는 용존산소량을 기록하여 광합성량을 산출하였다.
4. 광학현미경 관찰법
김과 파래의 조직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약제의 처리로 일어난 변화를 2가지 측면에서 관찰하였다. 하나는 색깔의 변화이고 다른 하나는 세포벽 막간공간의 분리현상이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법을 실시예와 실험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1: 각종 유기산이 김과 파래에 변색에 미치는 영향조사
실험예 1: 변색에 미치는 유기산의 영향
먼저, 유기산, 유기산 염, 기타 천연 화합물 등의 0.25-3% 용액을 조제하고, 여기에 파래와 김의 조직을 침지하여 변색에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다(표1). 이는 김 양식장 어민들이 염산 처리 후에 파래의 색깔이 변하는 것을 보고 투약이 제대로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는 것에 근거한 것으로 파래는 연노란으로 변하고 김은 약간 맑은 적색으로 변하였다.
조사 대상 화합물은 표 1에 나타낸 유기산류를 포함하여 50여종의 유기 화합물이었다. 그러나 표 1에 나타낸 유기산류를 제외한 나머지 화합물들의 해수 용액에 김과 파래를 침지시켰을 때는 뚜렷한 변색이 나타나지 않았다.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염산은 파래에 대한 약효가 다른 어떤 유기산보다 빨리 나타나며, 김의 변색을 유발하는 시간은 포름산보다 늦었다. 유기산의 농도가 진할수록 변색 시간이 단축되고, 일반적으로 파래는 김에 비하여 빨리 변색되었다. 이것은 파래가 김에 비하여 유기산 처리에 약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유기산 제제를 발명하는데 이론적 근거가 되었다.
파래와 김의 잎이 유기산에 의해 변색되는데 걸리는 감응시간
유기산 종류 농도(%)
0.25 0.5 0.75 1.0 1.5 2.0 2.5 3.0
초산 파래김 -**7:05 -6:25 -5:15 -4:46 -4:29 9:073:26 7:432:18 5:461:26
구연산 파래김 -- 9:20- 8:32- 7:43- 6:43- 5:38- 4:09- 3:369:22
포름산 파래김 7:331:19 6:441:11 5:331:06 4:460:59 3:580:47 2:330:38 1:250:34 1:070:30
푸마르산 파래김 -- -- 9:28- 8:51- 8:00- 7:02- 6:12- 5:22-
글루타르산 파래김 -- -- -- -- 9:27- 7:39- 6:36- 5:399:36
글리신 파래김 -- -- -- -- -- -- -- --
D,L-말산 파래김 -- 9:48- 8:49- 8:08- 7:13- 6:05- 5:22- 4:26-
말론산 파래김 -- -- -- -- -- 9:49- 7:40- 6:248:59
수산 파래김 3:00- 2:02- 1:44- 1:109:08 0:558:00 0:456:05 0:345:52 0:163:58
옥살아세트산 파래김 7:30- 6:09- 5:49- 4:52- 4:02- 3:06- 2:34- 1:55-
프로피온산 파래김 -- -- 8:34- 7:037:53 6:336:20 5:045:00 4:333:33 3:392:34
호박산 파래김 -- -- -- -- 9:369:03 8:038:12 6:217:40 5:496:37
주석산 파래김 6:118:46 5:207:52 4:456:50 4:065:25 3:495:00 2:104:21 1:423:26 1:212:58
염산 파래김 0:535:01 0:424:06 0:313:53 0:262:53 0:222:04 0:161:24 0:131:11 0:060:37
[주] 김 또는 파래의 잎은 산 해수용액에 침지시켰고 그 다음에 잎에서 색변화가 나타날 때까지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였다.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초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등 저분자의 monocarboxylic acid들을 처리한 경우에는 파래에 비하여 김이 더 신속하게 변색한 반면 dicarboxylic acid나 tricarboxylic acid들을 처리한 경우에는 파래의 변색이 김에 비하여 더 빨랐다. 이 가운데 구연산, 푸마르산, 말산, 수산, oxaloacetic acid 등이 효과가 좋았다. 아미노산인 글리신은 김과 파래에 뚜렷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그것은 표 2에 보인 바와 같이 글리신 용액이 중성 pH를 유지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표 2는 표 1의 0.1-2% 유기산을 함유한 해수 용액의 pH를 측정한 것으로, 해수의 pH는 8부근이었으며, 0.1% 구연산 해수의 pH는 3이하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0.1% 염산 해수의 pH는 1.57이었다. 유기산의 농도가 진해지면 해수의 pH가 낮아졌다. 일반적으로 같은 농도의 유기 해수용액의 pH는 서로 비슷하지만 수산 해수용액의 pH는 다른 유기산에 비하여 낮았다. 한편, 아미노산 글리신(glycine)은 해수의 pH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산 해수용액의 pH
농도(%)
0.1 0.25 0.5 0.75 1.0 1.25 1.5 1.75 2.0
초산 3.55 3.18 2.90 2.78 2.70 2.65 2.58 2.52 2.49
부티르산 3.85 3.43 3.15 3.01 2.91 2.84 2.78 2.73 2.68
구연산 2.73 2.37 2.14 2.02 1.94 1.86 1.81 1.76 1.73
포름산 2.50 2.20 2.03 1.93 1.86 1.79 1.73 1.69 1.63
푸마르산 2.37 2.01 1.75 1.72 -** - - - -
글루타르산 3.00 2.55 2.27 2.11 2.01 1.92 1.85 1.80 1.75
글리신 7.43 7.27 7.10 7.04 7.04 7.02 6.95 6.95 6.95
D,L-말산 2.27 1.88 1.63 1.50 1.41 1.35 1.27 1.21 1.17
수산 1.31 0.83 0.55 0.41 0.29 0.20 0.12 0.03 0.03
옥살로아세트산 2.46 2.11 1.90 1.79 1.72 1.64 1.58 1.52 1.48
프로피온산 3.77 3.37 3.12 2.95 2.87 2.80 2.74 2.67 2.64
호박산 3.39 2.96 2.80 2.64 2.55 2.43 2.38 2.31 2.27
주석산 2.63 2.30 2.11 2.01 1.97 1.92 1.86 1.81 1.75
염산 1.57 1.30 1.18 1.09 0.99 0.85 0.76 0.65 0.58
[주] 해수의 pH는 7.98이고 수온은 12 ~ 18℃이다. **는 거의 불용성임을 나타낸다
실험예 2: 광합성 능력에 미치는 유기산의 영향
표 3은 관행으로 처리되는 염산이 김과 파래의 광합성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이다. 여기에서 파래는 김에 비하여 광합성 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고 파래의 생장속도와 바이오매스(biomass) 생산량이 김에 비하여 월등한 것은 이러한 광합성 능력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염산을 처리한 결과 파래의 광합성 능력이 현저히 저해되었다. 0.05% 염산 농도에서 1분간 침지한 후에 광합성량이 약 52%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그 이상의 염산 농도에서는 더이상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김의 경우에는 0.05% HCl를 처리해도 아무런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고, 0.5%의 고농도 HCl에서도 약 20% 정도만 저해되었다. 한편, 표 1의 유기산중 파래의 변색에 가장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이는 3가지 유기산(구연산, 말산, 수산)이 파래의 광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각 농도가 1.5%일 때 파래의 광합성 능력이 뚜렷이 저해되어 1.5% 염산만큼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 그러나 김은 유기산 처리시에 파래에 비하여 광합성 능력이 크게 저해되지 않았다.
염산이 김과 파래의 광합성 활성에 미치는 영향
HCl(%) 파래
μmole O2/dm2/hr
0 660 481
0.05 340 480
0.1 334 444
0.5 306 384
[주] 블레이드 디스크(blde disc)는 HCl 해수용액에 1분동안 침수하고 씻은 다음 물질과 방법에서 설명한 것처럼 광합성 활성이 측정되었다.
유기산이 파래의 광합성 활성에 미치는 영향
유기산 광합성활성
μmole O2/dm2/hr
대조 812
1.5% 구연산 260
1.5% 말산 432
1.5% 수산 289
1.5% 염산 330
[주] 블레이트 디스크(blade disc)는 산 해수용액에 1분간 침지시키고 씻은 다음 물질과 방법에서 설명한 것 처럼 광합성 활성이 측정되었다.
실험예 3: 생존율에 미치는 유기산의 영향
Evans Blue 염색법으로 생존율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제시한 바와 같이 유기산의 처리시 Oxalic acid를 제외하고는 파래 세포를 거의 치사하지 않는 것처럼 보였다. 이것은 약제의 처리가 세포막에 영향을 미쳐 죽은 세포에 염색된 색소가 완전하게 추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유기산 처리시 파래 블레이드 디스크의 생존율
흡광도 생존율(%)
대조 0.459 100
1.5% 구연산 0.420 101.1
1.5% 말산 0.427 100.2
1.5% 수산 0.715 63.7
1.5% 염산 1.217 0**
[주] a. 블레이트 디스크(blade disc)는 산 해수용액에 1분간 침지시키고 씻은 다음 0.125% 에반 블루 용액에서 25분간 배양했다. 염료는 추출하고 물질과 방법에서 설명된 것처럼 600nm에서 측정했다.b. 1.5% 염산내에서 가열한 블레이드 디스크(blade disc)의 생존율은 0d이라고 추정된다.
실시예 2: 유기산 제제의 조제 및 파래 제거 효과조사
실험예 1: 유기산 제제의 조성
상기 실시예 1의 실험예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성적이 좋은 몇가지 유기산으로 다양한 조성과 농도를 함유하는 파래 제거용 유기산 제제를 제조하였으며 그 몇가지의 대표적 조성과 양식장 살포시의 농도는 표 6과 같다.
양식장 살포시 유기산 제제의 조성의 예
제 제 조 성
1 수산 0.5%, HNO30.2%
2 수산 0.5%, 말산 0.5%, HNO30.2%
3 수산 0.5%, 구연산 0.5%, HNO30.2%
4 수산 0.5%, 구연산 0.5%, 말산 0.5%, HNO30.2%
5 수산 0.5%, 구연산 0.5%, HNO30.2%, NH4Cl 0.1%
6 수산 0.5%, 구연산 0.5%, 말산 0.5%, HNO30.2%, NH4Cl 0.1%
7 수산 0.5%, 구연산 0.5%, 말산 0.5%, 옥살아세트산 0.5%, HNO30.2%
실험예 2: 파래와 김의 변색에 미치는 유기산 제제의 효과
상기 조제한 유기산 조성물 제제와 시판품인 일제 "W-Clean"과 국산품 "구로겐"의 성능을 우선 변색에 걸리는 시간으로 비교하였다. 표 7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 조제한 제제는 시판품과 비교하여 손색이 없고 오히려 더 신속히 파래의 변색을 유발하였다. 게다가 김은 파래에 비하여 변색하는데 시간이 더 걸려 이 제제들이 파래만을 선택적으로 구제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제제 파 래
1 0:41 -**
2 0:41 -
3 0:45 -
4 0:44 -
5 0:39 6:13
6 0:39 9:24
7 0:42 9:32
W-Clean 10배 희석 0:21 2:30
24배 희석 0:45 6:09
50배 희석 1:30 -
100배 희석 3:01 -
200배 희석 4:42 -
구로겐 10배 희석 0:27 10:00
25배 희석 1:02 -
50배 희석 1:25 -
100배 희석 2:59 -
200배 희석 4:49 -
[주] 김 또는 파래의 잎은 산 해수용액에 침지하였고 표 1에 나타난 것처럼 경과 시간이 측정되었다.**는 10분 이상을 나타낸다.
실험예 3. 파래와 김의 광합성 능력에 미치는 유기산 제제의 영향
본 발명에서 조제한 유기산 제제 일부와 시판품이 파래의 광합성 능력을 억제하는 성능을 조사하였다(표 8). 본 발명에서 조제한 제제들은 시판품과 비교하여 파래의 광합성 활성을 강하게 저해하였다.
유기산 조성물 제제와 시판품간의 파래 잎의 광합성 활성 저해의 비교
제 제 파래
(μ mole O2/dm2/hr)
대조 594
1 301
2 280
3 285
4 304
5 316
6 309
7 298
W-Clean 10배 희석 315
25배 희석 307
50배 희석 328
100배 희석 350
구로겐 10배 희석 315
25배 희석 326
50배 희석 372
100배 희석 506
[주] 블레이드 디스크(blade disc)는 해수용액 제제에서 1분간 침지시키고 씻은 다음 물질과 방법에서 설명된 것처럼 광합성 활성을 특정하였다.
실험예 4: 약제처리방법에 따른 잡조류 제거효과
본 연구에서 조제한 제제의 성능이 시판품 보다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그중 제제 2, 4를 가지고 그 약효를 양식장에서 처리 방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이들 약제의 처리 방법은 양식장의 작업조건에 최대한 적합하도록 고안하였다(표 9).
양식장에 처리된 유기산 조성물 제제의 처리방법
방법 과정
1 보통의 염산처리에서 사용된 거솨 유사한 순간 침지과정
2 1시간 노출후 레이버 네트(laver nets)에 유기산 제제 용액을 분사하는 방법
3 노출 후 즉시 레이버 네트*(laver nets)에 유기산 제제 용액을 분사하는 방법
본 발명에서는 시판품 2가지와 본 발명에서 조제하여 선발한 제품을 이용하여 효과를 조사하였다. 먼저, 염산처리와 동일한 과정으로 동력선에 유기산 제제를 싣고 진행하며 김양식망을 약 20초 동안 노출하여 과량의 수분을 제거하고 약 5초 동안 약액에 침지한 다음 약 40초 후에 바닷물에 돌려보내는 준자동화 과정으로 처리하였으나(방법 1) 어느 것도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단지 제제 2, 4만이 파래 변색을 일으키는 효과를 나타냈다. 시판품의 처리방법은 대부분 100-200배 희석액에 10-30분간 침지하여 처리하도록 되어있으나 그와 다른 처리법을 썼으므로 약효가 나타날 수 없었던 것으로 보였다.
다음으로 양식장에서 어민들이 일상적으로 양식망을 뒤집어 노출하는 과정중김 양식망을 1시간 노출 후에 약액을 살포하는 방법이나 김양식망을 노출직후에 약액을 살포하는 방법(방법 2)으로 하는 것이었다. 이는 양식망을 노출하면 파래의 생육은 억제되고 대신 김의 생육이 조장되어 병해의 방제에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표 8에 나타낸 희석배율의 약제를 살포하였던 바 시판품 하나는 거의 효과가 없었고 또다른 시판품은 그 약해가 심하였다. 본 발명에서 조제한 약제들은 파래를 강력히 제거하는 대신 비교적 심한 약해를 나타냈다. 이때 대조로 처리한 100배 희석 염산(0.35%)은 약해가 좀 덜한 편이었다. 최적 처리 조건은 양식망을 노출한 직후에 본 제제를 살포 처리한 다음 1시간 노출시켰다가 바닷물에 침지 시키는 것이었다.
처리 방법에 따라 약효가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파래의 구제 효과를 증가시키는 방법 대신 김에 대한 약해를 줄일 수 있는 방법(방법 3)을 고안하였다. 이것은 김과 파래의 수분상태에 따라 약제에 대한 반응이 다르다는 점에서 착안한 것으로 방법 3으로 약제를 처리한 결과 이것은 방법 1보다는 효과 있으며 방법 2보다는 약해가 적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와 실험결과들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무기산(HCl)을 사용하지 않고 인체에 무해한 수산, 말산 등의 유기산을 주성분으로 한 파래 제거용 유기산 제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밖에도 염산을 대체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환경친화성 기술로서 환경산업 및 김 양식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김양식망에 부착하는 잡조류 구제를 위한 유기산을 0.01 ~ 50% 함유함을 특징으로 유기산 조성물 제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은 푸마르산, 글루타르산, 말산, 말론산, 수산, 옥살아세트산, 주석산 중 하나 이상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산 조성물 제제.
  3. 제 1항의 유기산 조성물 제제를 동력선에 유기산 제제를 싣고 진행하며 양식망을 순간 침지하여 구제하거나 또는 해태 양식망을 노출한 직후 처리하여 파래를 구제하는 방법.
KR1019990001512A 1999-01-19 1999-01-19 김 양식망에 부착하는 잡조류 구제용 유기산 조성물 KR200000512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1512A KR20000051208A (ko) 1999-01-19 1999-01-19 김 양식망에 부착하는 잡조류 구제용 유기산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1512A KR20000051208A (ko) 1999-01-19 1999-01-19 김 양식망에 부착하는 잡조류 구제용 유기산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208A true KR20000051208A (ko) 2000-08-16

Family

ID=19571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1512A KR20000051208A (ko) 1999-01-19 1999-01-19 김 양식망에 부착하는 잡조류 구제용 유기산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12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585B1 (ko) 2019-05-23 2020-07-10 영림화학주식회사 김양식용 영양제 및 산처리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585B1 (ko) 2019-05-23 2020-07-10 영림화학주식회사 김양식용 영양제 및 산처리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8893B1 (ko) 김양식용 복합영양제
US6455468B1 (en) Seed treatment composition
JP2001506618A (ja) 魚養殖における過酢酸の使用
JPS60146808A (ja) 農園芸用殺菌及び植物病害防除剤
JPH03204802A (ja) 切り花用延命剤及び切り花の処理方法
KR20000051208A (ko) 김 양식망에 부착하는 잡조류 구제용 유기산 조성물
CN113349217B (zh) 一种互花米草除控剂和治理互花米草的方法及应用
CN103518698B (zh) 一种紫菜养殖过程中的绿藻的清除方法
KR100231912B1 (ko) 김 양식망에 부착하는 파래 구제용 유기산 조성물 제제와 그처리방법
KR101342532B1 (ko) 김 양식용 병해예방 영양제
CA2365176A1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controlling lice
Lanzing Observations on malachite green in relation to its application to fish diseases
WO2006104372A1 (en) Method, composition and kit for promoting plant growth and improving plant preservation
KR0143442B1 (ko) 키토산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법
Mudge et al. The influence of pH and light on hydrilla (Hydrilla verticillata) photosynthesis and chlorophyll after exposure to flumioxazin
KR0129827B1 (ko) 김양식용 유기산 혼합물
US5707927A (en) Cultivating method for bean sprout and green bean sprout using cinnamic acid derivatives
Ludwig et al. The effect of the dye Aquashade® on water quality, phytoplankton, zooplankton, and sunshine bass, Morone chrysops× M. saxatilis, fingerling production in fertilized culture ponds
KR100398474B1 (ko) 후민물질계 김 양식용 영양 산 처리제
JP3369544B2 (ja) 海苔処理剤および処理方法
JP3629049B2 (ja) 海苔の病害防除剤及び海苔の病害防除方法
JP2002300819A (ja) 色落ちした養殖海苔の回復を促進する方法
Sorower Determination on efficacy of selected common water quality treatment chemicals and drugs used in Bangladesh
RU2180481C2 (ru) Состав для защиты клеток растений против понижения температуры
JP3222419B2 (ja) バナナ果肉の黒変防止剤、黒変防止バナナ、黒変防止バナナ飲食品及びバナナ果肉の黒変防止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