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9121A - 폴리올 배합물 - Google Patents

폴리올 배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9121A
KR20000049121A KR1019990703205A KR19997003205A KR20000049121A KR 20000049121 A KR20000049121 A KR 20000049121A KR 1019990703205 A KR1019990703205 A KR 1019990703205A KR 19997003205 A KR19997003205 A KR 19997003205A KR 20000049121 A KR20000049121 A KR 20000049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
weight
parts
energy absorbing
molecula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703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바스틴베노이트에티엔느쟝-마리기스레인
보이렌즈마크마리아헤르만알마
Original Assignee
지스트라텐 알베르터스 빌헬머스 요안느
쉘 인터내셔날 리서치 마챠피즈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스트라텐 알베르터스 빌헬머스 요안느, 쉘 인터내셔날 리서치 마챠피즈 비.브이. filed Critical 지스트라텐 알베르터스 빌헬머스 요안느
Publication of KR20000049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912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04Two or more polyethers of different physical or chemical nature
    • C08G18/4816Two or more polyethers of different physical or chemical nature mixtures of two or more polyetherpolyols having at least three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009Two or more macromolecular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of groups C08G18/42 - C08G18/64
    • C08G18/4072Mixtures of compounds of group C08G18/63 with other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08Foam properties flexi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41Foam properties having specified density
    • C08G2110/005< 50kg/m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83Foam properties prepared using water as the sole blowing ag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a) 2,500 내지 6,500 의 분자량, 2.5 내지 6 의 관능도 및 40% 이상의 1 차 히드록시 함량을 갖는 30 내지 70 중량부의 폴리올, 임의적으로 상기의 폴리올내에 안정하게 분산되는 중합체를 가짐; 이와 연결 또는 연합하여 (b) 300 내지 1,000 의 분자량, 2.5 내지 6 의 관능도 및 200 내지 600 의 히드록시 값을 갖는 70 내지 30 중량부의 경질 폴리올을 포함하는 에너지 흡수 발포체의 제조를 위한 폴리올 배합물. 이 배합물의 사용으로 50 kg/m3이하의 밀도를 가진 발포체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폴리올 배합물 {POLYOL COMBINATION}
본 발명은 저밀도의 에너지 흡수 발포체, 발포체 자체 및 발포체를 포함하는 형상화된 제품의 제조를 위한 폴리올 배합물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흡수 PU 발포체 (때로는 점탄성 발포체로 지칭됨) 는 유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유형이며, 변형 및 고진동 감쇠로부터 천천히 회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물성은, 발포체의 유형이 의학, 포장, 자동차 및 스포츠 용품의 제품에 널리 사용되게 하는 것을 허용한다.
고탄성, 물-발포 에너지 흡수 PU 발포체는 특히, 미국 특허 명세서 제 4 190 712, 4 116 893, 4 282 330 및 4 212 954 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제안에서는, 유용한 대부분의 개방 용기 발포체를 유지하기 위해서 특정한 가교제를 가끔 요구하는 다양한 폴리올 혼합물이 제안되어 있다 (개방 용기는 발포체에 더욱 커다란 유연성을 줌); 제안된 발포체의 밀도는 80 kg/m3을 초과한다.
상업적 이용에 있어서, 상표명 TEMPUR 로 시판되는 점탄성 발포체가 매트리스 및 쿠션의 용도로 영국 특허 명세서 제 2290256 A 호에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용도를 위한 점탄성 발포체의 바람직한 밀도 범위는 영국 특허 명세서 제 2290256 A 호에 50 내지 120 kg/m3으로 기재되어 있다. 35 회 정기 폴리우레탄 기술/시장 총회 회보 (1994 년), 661 내지 664 페이지의 "점탄성 슬래브원료 발포체의 기초, 물성 및 응용" 이란 제목의 논문에 아르코 화학회사 (ARCO Chemical Company) 의 상표명 SOFTCEL 의 새로운 발포체가 검토되어 있는데, 이는, 특수 중합체 폴리올,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통상의 발포체 개질제 및 슬래브원료 중간체로부터 제조되며, 경도의 변화가 요구될 경우 부가적인 강화 중합체 폴리올과 함께 사용하며; 제조된 발포체 밀도는 2 pcf 내지 4 pcf 이상의 범위이다. (약 32 내지 64 kg/m3또는 이상).
저밀도 에너지 흡수 발포체, 50 kg/m3이하의 발포체는 상업적으로 유리하고, 양호한 경도 및 저탄성 에너지 흡수 발포체에서 이력현상 (hysteresis) 을 유지하면서 고밀도 발포체보다 적은 원료를 요구한다.
본 발명은 에너지 흡수 발포체의 제조를 위한 폴리올 배합물을 제공하며,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a) 2,500 내지 6,500 의 분자량, 2.5 내지 6 의 관능도 및 40% 이상의 1 차 히드록시 함량을 갖는 30 내지 70 중량부의 폴리올, 임의적으로 상기의 폴리올내에 안정하게 분산되는 중합체를 가짐; 이와 연결 또는 연합하여
(b) 300 내지 1,000 의 분자량, 2.5 내지 6 의 관능도 및 200 내지 600 의 히드록시 값을 갖는 70 내지 30 중량부의 경질 폴리올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폴리올 배합물을 사용해서 50 kg/m3이하의 밀도를 갖는 에너지 흡수 발포체를 수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특정한 폴리올 a) 가 사용되며, 이는 특정한 조건: 2,500 내지 6,500 의 고분자량, 2.5 내지 6 의 관능도 (Fn) 및 40% 이상의 1 차 히드록시 함량을 충족해야만 한다.
바람직한 폴리올은 부가적으로 5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중량% 의 에틸렌 옥시드 함량을 가지는 것이다. 4,000 내지 6,000 의 분자량 및 50 내지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5% 의 1 차 히드록시 함량을 갖는 폴리올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매우 적합한 폴리올은 CARADOL MC 36-03, CARADOL MC 27-03 및 CARADOL SA 36-01 이다 (CARADOL 은 상표명임).
폴리올 a) 를 기재 폴리올로서 갖는 중합체 폴리올을 이용할 때,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일반적으로, 중합체 폴리올은 액상 폴리올내 고상 중합체의 분산물이다. 이러한 계는 공지되어 있으며, 보통 자유 라디칼 촉매의 존재하에 하나 또는 다수의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중합해서 제조된다. 이러한 중합체 폴리올 계 및 이의 제조방법의 예는, 예를 들면, 유럽 특허 명세서 제 0,076,491; 0,343,907 및 0,495,551 호에 개시되고 있다. 폴리우레아 또는 폴리우레탄 중합체는 또한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기재로하는 중합체 대신에 중합체 폴리올내의 분산된 중합체로서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재 폴리올에 분산되는 중합체는 원리상 이 목적을 위해 적용가능한 것으로 공지된 어떠한 중합체일 수가 있다. 따라서, 적합한 중합체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기재로한 중합체 및 특별하게는 스티렌, 알파-메틸 스티렌, 메틸 스티렌 및 다양한 기타 알킬-치환 스티렌과 같은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의 중합체를 포함한다. 이중에서 스티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닐 방향족 단량체는 단독으로 또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염화 비닐리덴, 다양한 아크릴레이트 및 1,3-부타디엔 및 이소프렌과 같은 공역 디엔과 같은 기타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와 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중합체는, 그러나, 폴리스티렌 및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SAN) 공중합체이다. 또다른 적합한 중합체류는 폴리우레아 및 폴리우레탄 중합체이다. 특별하게는, 1 차 아민 또는 폴리히드릭 알콜 아민 및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축합 생성물이 이 관점에서 매우 유용하다. 매우 바람직한 중합체는 트리에탄올아민 및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TDI) 의 축합 생성물이다. 분산된 중합체는 적합하게는 중합체 폴리올의 총 중량을 기재로해서 5 내지 40 중량% 량으로 존재한다. 중합체가 폴리스티렌 또는 SAN 중합체인 경우, 바람직한 고체량은 10 내지 35 중량% 인 반면에, 폴리우레아 폴리우레탄 중합체의 경우 바람직한 중합체의 양은 5 내지 20 중량% 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폴리올 제제의 폴리올 성분 (a) 로서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는 몇몇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중합체 폴리올 조성물의 예는 국제 특허 명세서 제 WO 95/09886 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면, 예는 폴리우레탄 폴리올 CARADOL SP50-01 및 DESMOPHEN 7652, 그리고 또한 폴리스티렌 폴리올 CARADOL MD25-01 및 CARADOL MD30-01 을 포함한다 (CARADOL 및 DESMOPHEN 은 상표명임).
폴리올 성분 (b) 로서 사용되는 폴리올은 상대적으로 낮은 관능도 및 분자량의 경질 폴리올이다. 폴리올은 300 내지 1,000,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700 의 분자량, 2.5 내지 6,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 의 관능도 및 200 내지 600 의 히드록시 값을 갖는 것이 요구된다.
경질 폴리올은 가장 적합하게는 에틸렌 옥시드 함량이 없는 100% 프로필렌 옥시드이다.
성분 (b) 로서 사용될 수 있는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경질 폴리올로는 CARADOL GB 250-01 가 있다.
두가지 폴리올 성분 (a) 및 (b) 는, 에너지 흡수 발포체의 제조에 있어서 하나와 다른 하나를 연계해서 또는 폴리올 혼합물로 배합해서 사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발포제는 이러한 폴리올 혼합물내 배합될 수 있다. 어떠한 통상의 발포제도 사용될 수 있는 반면, 에너지 흡수 발포체를 위해서 물이 발포제로서 주로 사용된다. 배합된 폴리올 (a) 및 (b) 의 100 중량부당 1 내지 4 중량부의 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 함량의 변경은 발포체의 밀도를 또한 변경시킨다. 높은 물 함량은 발포체 밀도를 낮추게 한다.
중합체 폴리올, 경질 폴리올 및 물 뿐만 아니라, 폴리올 제제는 부가적인 성분 및 유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에 유용한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올 제제는 부가적으로 발포 촉매 및/또는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제, 화염지연제, 발포 안정제 및 색소와 같은 보조제 또한 존재할 수 있다. 편리하게는, 폴리올 제제는 더우기: (c) 0.01 내지 2 php 의 폴리우레탄 촉매; 및 (d) 0 내지 3.0 php 의 가교제를 포함한다 ("php" 는 폴리올 (a) 더하기 경질 폴리올 (b) 의 100 중량부당 중량부량을 지칭함).
폴리우레탄 촉매는 공지되어 있으며, 많은 상이한 화합물을 포함한다. 폴리우레탄 촉매의 광범위한 목록은, 예를 들면, 미국 특허 명세서 제 5,011,908 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그러나, 아민 촉매 및 주석 촉매 둘다를 사용하는 것이 특별히 유리하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주석 촉매는 주석염 및 카르복실산의 디알킬 주석염, 예를 들면, 옥토산 주석, 올레산 주석,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디부틸틴 아세테이트 및 디부틸틴 디아세테이트를 포함한다. 이중에서 옥토산 주석 및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가 가장 흔히 적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가장 바람직하게 적용되는 주석 촉매는, 옥토산 주석인데, 이 촉매가 특히 탄성 및 밀도면에서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유연성 발포체를 초래하는 것으로 발견되어졌기 때문이다. 주석 촉매와 함께, 하나 이상의 3 차 아민 촉매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3 차 아민 촉매는 널리 사용되며, 예를 들어, 비스(2,2'-디메틸-아미노)에틸 에테르,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에틸렌디아민 및 디메틸에탄올아민을 포함한다.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3 차 아민 촉매의 예는 상표명 NIAX, TEGOAMIN 및 DABCO (모두 상표명임) 로 시판되는 것들이다. 촉매는 전형적으로 0.01 내지 2.0 php 의 양으로 사용된다. 바람직한 촉매의 총량은 0.05 내지 1.0 php 이다.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에 있어서 가교제의 사용은 공지되어 있다. 다관능도 글리콜 아민은 이 목적으로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가장 흔히 사용되는 다관능도 글리콜 아민은 자주 DEOA 로서 약칭되는 디에탄올아민이다. 사용될 경우, 가교제는 3.0 php 까지, 예를 들면 0.2 내지 1.5 php 까지의 양으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특별한 특징은 양호한 발포체 형성을 확실케 하기위해서 따로 가교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더우기, 화염 지연제, 발포 안정제 (계면활성제) 및 충전제와 같은 기타 공지의 보조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유기실리콘 계면활성제는 폴리우레탄 제조에 있어서, 발포 안정제로서 가장 편리하게 적용된다. 광범위하게 다양한 이러한 유기실리콘 계면활성제는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하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발포 안정제는 폴리올 반응물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반응물의 반응 혼합물을 기준으로 5 중량% 까지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폴리올 제제는 에너지 흡수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기위해서 매우 유용하다. 이러한 유연성 발포체를 제조하기 위해서, 폴리올 제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며, 이때 이소시아네이트 지수 (즉, 이소시아네이트기 대 히드록시기의 당량비) 는 70 내지 120 의 값을 가진다. 폴리올 제제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이소시아네이트 지수가 75 내지 115 범위에 있게 되는 양으로 반응시켜서 매우 양호한 결과가 수득되어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폴리올 배합물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발포시켜서 수득될 수 있는 에너지 흡수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공한다. 폴리올 a) 및 경질 폴리올 b) 만을 함유하는 폴리올 제제가 사용될 때, 그다음 촉매, 임의의 가교제, 발포제 및 소망스럽다면 또는 필요하다고 생각되면, 발포 안정제 및 기타 보조제는, 폴리올 제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둘다를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에 따로 첨가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발포체를 궁극적으로 생성시키는 조성물은, 적합하게는 하기의 성분을 함유한다:
(a) 상기에 정의한대로, 30 내지 70 pwb 의 폴리올 a)
(b) 상기에 정의한대로, 70 내지 30 pwb, 총 100 pwb 까지의 경질 폴리올 b)
(c) 0.01 내지 1.0 php 의 주석 촉매, 바람직하게는 옥토산 주석
(d) 0 내지 1.0 php 의 3 차 아민 촉매
(e) 발포제로서 1 내지 4 php 의 물
(f) 발포 안정제의 총 조성물의 5 중량% 까지의 유기실리콘
(g) 임의의 기타 보조제, 및
(h) 이소시아네이트 지수가 70 내지 120 의 범위에 있는 양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이들 성분들중, 성분 (a) 및 (b) 는 본 발명의 폴리올 제제에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때, 하나 이상의 성분 (c) 내지 (g) 또한 이러한 폴리올 제제에서 존재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유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것들이다. 유용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적어도 두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포함해야 하고, 유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에서 적합하게 적용되는 공지의 지방족 (보통 알킬렌) 및 방향족 디-, 트리-, 테트라- 및 상위 (higher) 의 이소시아네이트 둘다를 포함해야 한다. 이러한 지방족 및/또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둘 이상의 혼합물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적합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예는 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2,4-TDI), 2,6-TDI, 2,4-TDI 및 2,6-TDI 의 혼합물, 1,5-나프텐 디이소시아네이트, 2,4-메톡시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MDI), 4,4'-바이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4,4'-바이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4,4'-바이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3,3'-디메틸-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4,4',4"-트리페닐메탄 트리이소시아네이트, 2,4,6-톨루엔 트리이소시아네이트, 4,4'-디메틸-2,2',5,5'-디페닐메탄 테트라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폴리페닐렌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중합체성 MDI,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주성분인 MDI 의 혼합물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2,4-TDI, 2,6-TDI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특별하게 유리하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매우 양호한 결과가, 약 80:20 또는 65:35 의 2,4-TDI:2,6-TDI 중량비의 2,4-TDI 및 2,6-TDI 의 혼합물로부터 얻어지게 되었다. 이들 혼합물은 각각 CARADATE 80 및 CARADATE 65 로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하다 (CARADATE 는 상표명임).
본 발명의 에너지 흡수 발포체는, 매트리스 및 쿠션 (특히, 노쇠자 또는 입원환자가 사용하는), 포장 및 정형외과 용구에서 특별한 용도를 갖는다.
신체 열의 영향하에 부드러워져서 신체를 형상화하고, 발포체상의 압축 하중의 분포에 의해서 향상된 편리함을 제공하기 때문에, 에너지 흡수 발포체는 매트리스, 쿠션 및 관련 품목에 있어서, 유용한 재료를 제공한다. 발포체의 개방 용기 성질은 필요한 환기를 제공하고, 높은 이력현상 (hysteresis) 은, 사용후 발포체 제품이 점차 (천천히) 원형상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포장에 있어서, 이러한 압축 성질은 운송중 내용물 보호를 위해서는 유용하다. 더구나, 두가지 폴리올 성분의 비율은, 발포체가 덜 탄성적이게 하고, 따라서 이러한 최종 사용에 유용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정형외과 용구에 있어서, 압축 및 형상 회복은 특별하게는 근육 운동 기구를 위해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발포체의 다른 용도는 오토바이 운전자를 위한 보호복, 헬멧 및 귀마개와 같은 음향 흡수 품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따라서, 본 발명의 에너지 흡수 발포체, 예를 들면 환자용 의자를 위한 쿠션 및 본 발명의 에너지 흡수 발포체를 표면층으로서 갖는 복합 발포체로 형성된 매트리스를 포함하는 형상화된 제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지금 하기의 실시예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내지 8
하기의 실시예에서,
폴리올 A 는, 4,700 의 분자량, 80% 의 1 차 히드록시 함량 및 36 mg KOH/g 폴리올 의 히드록시 값, 3 의 관능도 및 13 중량% 의 에틸렌 옥시드 함량을 갖는 기 재 폴리올에서, 10 중량% 의 폴리스티렌 고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폴리올이 다;
폴리올 B 는, 폴리올 A 와 동일한 기재 폴리올에서, 17.5 중량% 의 폴리스티렌 고 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폴리올이다;
폴리올 C 는, 675 의 분자량, 250 mg KOH/g 폴리올의 히드록시 값 및 3 의 관능도 를 갖는 경질 폴리올이고, 100% 프로필렌 옥시드를 포함한다;
이소시아네이트 D 는, CARADATE 65, 65/35 중량% 의 2,4- 및 2,6-톨루엔 디이소시 아네이트의 혼합물이다;
이소시아네이트 E 는, CARADATE 80, 80/20 중량% 의 2,4- 및 2,6-톨루엔 디이소시 아네이트의 혼합물이다;
(CARADATE 은 상표명임)
폴리올 A 또는 B 및 폴리올 C 를, 물을 발포제로서 사용하면서, 이소시아네이트 D 또는 E 및 통상의 촉매인 Niax B2 (두가지 3 차 아민의 혼합물) 및 Air Products 제조사 제조의 주석 촉매인 Dabco T9 (옥토산 주석) 및 Thomas Goldschmidt 제조사로부터 구입가능한 통상의 유기실리콘 발포 안정제인 Tegostab B 4900 와의 반응에 의한 통상의 방법에 의해서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Niax, Dabco 및 Tegostab 는 상표명임).
폴리올 비율의 변화, 이소시아네이트 지수, 이소시아네이트 유형 및 물 함량을 조사하였다. 모든 배합물은 양호한 경도 및 이력현상 (hysteresis) 물성을 지닌 저밀도 (50 kg/m3이하) 의 에너지 흡수 발포체를 주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구체적인 것은 하기의 표 1 에 기재되어 있다.
성 분 실시예 번호
1 2 3 4 5 6 7 8
폴리올 A (pbw) 50 70 65 - - - - -
폴리올 B (pbw) - - - 60 50 40 60 60
폴리올 C (pbw) 50 30 35 40 50 60 40 40
이소시아네이트 D(이소시아네이트 지수) 95 105 85 115 75 85 - -
이소시아네이트 E(이소시아네이트 지수) - - - - - - 85 85
물 (pbw) 1.8 1.8 1.8 1.8 1.8 1.8 2.8 3.8
Niax B2 (pbw) 0.25 0.25 0.25 0.25 0.25 0.25 0.20 0.20
Dabco T9 (pbw) 0.16 0.16 0.30 0.06 0.20 0.12 0.08 0.08
Tegostab B4900 (pbw) 0.80 0.80 0.80 0.80 0.80 0.80 0.80 0.80
발포체 물성
밀도*(kg/m3) 47 47 49 47 45 45 35 25
경도**(kPa) 3.6 4.4 2.1 4.7 1.3 1.6 2.6 2.5
이력현상**(%) 47 40 31 54 34 35 57 62
* 는 ASTM 3574-77 에 따라 측정됨
** 는 DIN 53577 에 따라 측정됨
실시예 9 및 10
발포체는, 폴리올 A 또는 폴리올 B 대신에 하기에 기재된 폴리올중 하나와 폴리올 C 와 배합해서 실시예1 내지 8 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폴리올 F 는, 4,700 의 분자량, 80% 의 1 차 히드록시 함량, 36 mg KOH/g 폴리올의 히드록시 값, 3 의 관능도 및 13 중량% 의 에틸렌 옥시드 함량을 갖는 폴리올이다.
폴리올 G 는, 6,200 의 분자량, 82% 의 1 차 히드록시 함량, 27 mg KOH/g 폴리올의 히드록시 값, 3 의 관능도 및 14 중량% 의 에틸렌 옥시드 함량을 갖는 폴리올이다.
구체적인 것은 하기의 표 2 에 기재되어 있다. 양호한 경도 및 이력현상 (hysteresis) 물성을 지닌 저밀도의 발포체가 재차 수득되었다.
성 분 실시예 번호
9 10
폴리올 F (pbw) 50 -
폴리올 G (pbw) - 50
폴리올 C (pbw) 50 50
이소시아네이트 D(이소시아네이트 지수) 95 95
물 (pbw) 1.8 1.8
Niax B2 (pbw) 0.35 0.35
Dabco T9 (pbw) 0.16 0.18
Tegostab B4900 (pbw) 0.80 0.80
발포체 물성
밀도*(kg/m3) 49 48
경도**(kPa) 2.5 3.0
이력현상**(%) 42 53
* 는 ASTM 3574-77 에 따라 측정됨
** 는 DIN 53577 에 따라 측정됨

Claims (9)

  1.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하기 (a) 및 (b) 를 포함하는 에너지 흡수 발포체의 제조를 위한 폴리올 배합물:
    (a) 2,500 내지 6,500 의 분자량, 2.5 내지 6 의 관능도 및 40% 이상의 1 차 히드록시 함량을 갖는 30 내지 70 중량부의 폴리올, 임의적으로 상기의 폴리올내에 안정하게 분산되는 중합체를 가짐; 이와 연결 또는 연합하여
    (b) 300 내지 1,000 의 분자량, 2.5 내지 6 의 관능도 및 200 내지 600 의 히드록시 값을 갖는 70 내지 30 중량부의 경질 폴리올.
  2.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올 (a) 는 4,000 내지 6,500 의 분자량 및 50% 이상의 1 차 히드록시 함량을 갖는 폴리올 배합물.
  3. 제 2 항에 있어서, 1 차 히드록시 함량은 70 내지 95% 인 폴리올 배합물.
  4. 제 1 내지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올 (b) 는 500 내지 700 의 분자량을 갖는 폴리올 배합물.
  5. 제 1 내지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올 (a) 는, 그 안에 안정하게 분산되는 중합체를 가지며, 분산된 중합체는 폴리스티렌,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그래프트 공중합체, 트리에탄올아민 및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축합 생성물 또는 1 차 아민 및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축합 생성물인 폴리올 배합물.
  6. 제 1 항에 따른 폴리올 배합물, 70 내지 120 의 이소시아네이트 지수를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성분, 폴리올 배합물의 100 중량부당 1 내지 4 중량부 양의 물 및 하나 이상의 촉매의 반응 생성물인 에너지 흡수 폴리우레탄 발포체.
  7. 제 6 항에 있어서, 별개의 가교 성분을 이용하지 않는 에너지 흡수 발포체.
  8. (a) 2,500 내지 6,500 의 분자량, 2.5 내지 6 의 관능도 및 40% 이상의 1 차 히드록시 함량을 갖는 30 내지 70 중량부의 폴리올, 임의적으로 상기의 폴리올내에 안정하게 분산되는 중합체를 가짐; (b) 300 내지 1,000 의 분자량, 2.5 내지 6 의 관능도 및 200 내지 600 의 히드록시 값을 가지며 총 100 중량부의 폴리올이 이용되게끔 하는 70 내지 30 중량부의 경질 폴리올, 70 내지 120 의 이소시아네이트 지수를 가지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총 폴리올의 100 중량부당 1 내지 4 중량부 양의 물 및 하나 이상의 촉매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 6 항에 따른 에너지 흡수 발포체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청구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에너지 흡수 발포체.
KR1019990703205A 1996-10-15 1997-10-14 폴리올 배합물 KR200000491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6307495.0 1996-10-15
EP96307495 1996-10-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9121A true KR20000049121A (ko) 2000-07-25

Family

ID=8225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703205A KR20000049121A (ko) 1996-10-15 1997-10-14 폴리올 배합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1) EP0932633B1 (ko)
JP (1) JP2001502010A (ko)
KR (1) KR20000049121A (ko)
CN (1) CN1110510C (ko)
AU (1) AU721118B2 (ko)
DE (1) DE69723993T2 (ko)
DK (1) DK0932633T3 (ko)
ES (1) ES2205194T3 (ko)
PL (1) PL332739A1 (ko)
TW (1) TW514645B (ko)
WO (1) WO1998016567A1 (ko)
ZA (1) ZA9791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5426B2 (ja) * 1998-02-06 2008-07-30 三井化学ポリウレタン株式会社 低反発性ウレタンフォーム
US6127443A (en) * 1998-11-06 2000-10-03 Bayer Antwerp N.V. Energy management polyurethane rigid foams with high recovery
US6258867B1 (en) * 1999-07-23 2001-07-10 Bayer Corporation Method for making semi-rigid energy-absorbing foam with polyurethane fillers
AU7916500A (en) * 1999-10-04 2001-05-10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Polyol combination
US6586487B1 (en) * 2000-07-12 2003-07-01 Bayer Corporation Low-density, water blown polyurethane foams for energy-absorbing applications
DE60230272D1 (de) 2001-04-27 2009-01-22 Huntsman Int Llc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iskoelastischen schaumstoffs
EP1612229A1 (en) * 2004-06-30 2006-01-04 B & T S.p.A. Expanded polyurethane material for preparing mattresses
US7456229B2 (en) 2006-05-31 2008-11-25 Bayer Materialscience Llc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rigid and semi-rigid foams with low amounts of diisocyanate using polymer polyols characterized by high solids and a high hydroxyl number and the resultant foams
CN101772525B (zh) * 2007-08-07 2012-11-07 雅宝公司 适于使用在粘弹性聚氨酯泡沫中的阻燃剂
GB2482176A (en) 2010-07-23 2012-01-25 Christopher Wickham Noakes Production of polyols for use in low ball rebound polyurethane foams
US9204742B2 (en) * 2013-12-31 2015-12-08 Tempur-Pedic Management, Llc Cover assemblies for mattresses
CN104530380A (zh) * 2014-12-28 2015-04-22 甘肃银光聚银化工有限公司 一种慢回弹泡沫
US10858489B2 (en) 2015-03-31 2020-12-08 Dow Global Technologies Llc Semi-flexible foam formulations
WO2018054633A1 (en) 2016-09-23 2018-03-29 Huntsman International Llc Polyurethane foams having sufficient hardness and good flexibility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40329A (en) * 1970-02-24 1973-12-12 Atomic Energy Authority Uk Cushion foams
US3965073A (en) * 1973-06-04 1976-06-22 The Dow Chemical Company Preparation of rapid setting non-elastomeric polyurethane compositions in the presence of ester-modified polyoxyalkylene compounds
US3929709A (en) * 1973-12-07 1975-12-30 Dow Chemical Co Non-elastomeric polyurethane compositions containing cyclic ethers
IT1035789B (it) * 1974-06-21 1979-10-20 Mccord Corp Schiuma uretanica che assorbe energia d urto in particolare per paraurti di autoveicoli
US4866102A (en) * 1987-11-20 1989-09-12 Pray Edward R Moldable energy absorbing rigid polyurethane foams
JPH03199223A (ja) * 1989-12-27 1991-08-30 Achilles Corp クッション材用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US5216041A (en) * 1990-12-27 1993-06-01 Basf Corporation Energy absorbing, water blown, rigid polyurethane foam
GB2292386A (en) * 1994-08-17 1996-02-21 Basf Corp Polyol compositions and rigid polyisocyanate based foams containing 2-chloropr opane and aliphatic hydrocarbon blowing agents
US5415802A (en) * 1994-10-06 1995-05-16 Miles Inc. Water blown, energy absorbing foa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0510C (zh) 2003-06-04
AU4948397A (en) 1998-05-11
DK0932633T3 (da) 2003-11-10
TW514645B (en) 2002-12-21
JP2001502010A (ja) 2001-02-13
EP0932633B1 (en) 2003-08-06
ES2205194T3 (es) 2004-05-01
WO1998016567A1 (en) 1998-04-23
EP0932633A1 (en) 1999-08-04
PL332739A1 (en) 1999-10-11
CN1233261A (zh) 1999-10-27
DE69723993D1 (de) 2003-09-11
AU721118B2 (en) 2000-06-22
ZA979131B (en) 1998-05-11
DE69723993T2 (de) 2004-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9395A (en) Polyol combination
JP2678518B2 (ja) 不活性発泡剤を使用しない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US4980386A (en)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energy-attenuating polyurethanes
US6521674B1 (en) Latex-like flexible polyurethane foam and process for making same
US5312847A (en) Polyurethane foam containing a particulate organic solid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US8362098B2 (en) Process for producing viscoelastic polyurethane foams
EP0778301B1 (en) Polyol formulation for producing latex-like flexible polyurethane foam
AU2014318648B2 (en) PIPA polyol based viscoelastic foams
EP0932633B1 (en) Use of a polyol combination in the preparation of foam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foams using these
JPS62502970A (ja) ポリ(アルキレンカ−ボネ−ト)ポリオ−ルから製造された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ム
MXPA05011148A (es) Espumas blandas y elasticas con bajas densidades aparentes y dureza a la compresion.
WO2001025305A1 (en) Polyol combination
JP2000290344A (ja) エネルギー吸収軟質ポリウレタン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TW512152B (en) Flame-resistant HR cold-cure moulded foam with reduced smoke intensity and toxicity
JP7204650B2 (ja) 粘弾性フォームの製造のために有用なポリオールブレンド
JPH11335478A (ja) 高度にソフト化された高密度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H0381314A (ja) 高弾性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法
JPS63207808A (ja) ポリウレタン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