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8803A - 디지털 텔레비젼신호 수신기에서 수신 큐-채널 신호에 응답하는엔.티.에스.씨 동일 채널 간섭 검출기 - Google Patents

디지털 텔레비젼신호 수신기에서 수신 큐-채널 신호에 응답하는엔.티.에스.씨 동일 채널 간섭 검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8803A
KR20000048803A KR1019990702795A KR19997002795A KR20000048803A KR 20000048803 A KR20000048803 A KR 20000048803A KR 1019990702795 A KR1019990702795 A KR 1019990702795A KR 19997002795 A KR19997002795 A KR 19997002795A KR 20000048803 A KR20000048803 A KR 20000048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hannel
ntsc
channel baseband
sig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702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림버그알렌레로이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ublication of KR20000048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880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57Block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4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f one television signal, i.e. both picture and sound, by a single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54Maximum-likelihood or sequential decoding, e.g. Viterbi, Fano, ZJ algorith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71Use of interlea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55Demodulation-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 H04N5/211Ghost signal cancel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는 수신 I-채널 신호내의 간섭성 NTSC신호의 존재를 검출하지 않고 대신 상기 수신 I-채널 신호에 직교하는 수신 Q-채널 신호내의 간섭성 NTSC신호의 존재를 검출한다. 상기 수신 Q-채널 신호에 상당한 양의 NTSC 동일채널간섭이 동반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여, 등화된 수신 I-채널 신호의 트렐리스디코딩시 트렐리스 디코더의 후단에 설치된 리드솔로몬 검출기에 의해 정정하기에는 너무 많은 에러를 발생시키기에 충분한 상당한 양의 NTSC 동일채널간섭이 수신 I-채널에 동반되는지의 여부를 추정한다. VSB AM 디지털 텔레비젼신호의 파일럿 반송파의 직교위상 동기검출시 발생하는 직류 바이어스가 본질적으로 없기 때문에 동일채널 NTSC간섭 레벨에 대한 정확한 결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텔레비젼신호 수신기에서 수신 큐-채널 신호에 응답하는 엔.티.에스.씨 동일채널 간섭 검출기{NTSC CO-CHANNEL INTERFERENCE DETECTORS RESPONSIVE TO RECEIVED Q-CHANNEL SIGNALS IN DIGITAL TV SIGNAL RECEIVERS}
1995년 9월 16일자로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에서 발표한 디지털 텔레비젼 기준에는 일례로 미합중국내의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방식의 아날로그 텔레비젼신호의 무선 방송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6MHz 대역폭의 텔레비젼 채널에서 디지털 텔레비젼(digital television) (DTV)신호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잔류 측파대(VSB)신호들이 명시되어 있다. VSB DTV신호는 그 스펙트럼이 동일 채널 간섭 NTSC 아날로그 TV신호의 스펙트럼과 인터리빙(interleaving)되기 쉽도록 설계되어 있는데, 이러한 설계는 파일럿 반송파 및 DTV신호의 주 진폭변조 측파대 주파수를 NTSC 아날로그 TV신호의 수평 주사선 속도의 1/4의 짝수 배수들간에 각기 존재하는 NTSC 아날로그 TV신호의 수평 주사선 속도의 1/4의 홀수 배수들에 위치시키게 이루어져 있다. 이에 있어, 동일 채널 간섭 NTSC 아날로그 TV신호의 휘도 및 색도 성분들의 에너지 대부분은 상기 짝수 배수들에 존재하게 되어 있다. NTSC 아날로그 TV신호의 비디오 반송파는 텔레비젼 채널의 하한 주파수로부터 1.25MHz 만큼 오프셋되어 있다. 또한, DTV신호의 반송파는 상기한 바와 같은 NTSC 아날로그 TV신호의 비디오 반송파로부터 그 NTSC 아날로그 TV신호의 수평 주사선 속도의 59.75 배만큼 오프셋되어, 텔레비젼 채널의 하한 주파수로부터 약 309,877.6kHz 만큼 떨어져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DTV신호의 반송파는 텔레비젼 채널의 중심 주파수로부터 약 2,690,122.4Hz 만큼 떨어져 위치하게 된다.
디지털 텔레비젼 기준에 따른 정확한 심볼속도(symbol rate)는 NTSC 아날로그 TV신호의 비디오 반송파로부터 4.5MHz 만큼 오프셋된 사운드 반송파(sound carrier)의 684/286 배로 되어 있다. 여기서, "684"는 NTSC 아날로그 TV신호의 수평 주사선 당 심볼들의 갯수를 나타내며, "286"은 NTSC 아날로그 TV신호의 비디오 반송파로부터 4.5MHz 만큼 오프셋된 사운드 반송파를 얻도록 NTSC 아날로그 TV신호의 수평 주사선 속도에 승산되는 인수를 나타낸다. 상기 심볼속도는 초당 10.762238 *106개의 심볼에 해당하는 심볼속도로서, 이 심볼속도는 DTV신호 반송파로부터 5.381119MHz 만큼 연장되는 VSB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즉, VSB신호는 텔레비젼 채널의 하한 주파수로부터 5.690997MHz 만큼 연장하는 대역으로 제한될 수 있다.
미합중국에서의 디지털 HDTV신호 지상 방송을 위한 ATSC규격에 따르면, 16:9 화면비를 갖는 2가지의 고선명 텔레비젼(HDTV) 포맷 중 어느 쪽도 전송 가능하다. 한가지 HDTV 포맷은 2:1 필드 비월주사방식으로서, 주사선 당 1,920 개의 샘플 및 30Hz 프레임 당 1,080개의 유효 수평 주사선을 사용한다. 다른 HDTV 포맷은 순차주사방식으로서, 주사선 당 1,280개의 휘도 샘플 및 60Hz 프레임 당 텔레비젼 영상의 720개 순차 주사선을 사용한다. 또한 ATSC규격에 따르면, NTSC 아날로그 텔레비젼신호와 비교하여 정상 선명도를 갖는 4개의 텔레비젼신호의 병렬 전송과 같은, HDTV 디스플레이 포맷이외의 DTV 디스플레이 포맷의 전송도 가능하다.
미합중국에서의 지상방송을 위한 잔류측파대(VSB) 진폭변조(AM)에 의해 전송되는 DTV신호는 각기 시간 면에서 연속성을 갖는 313개의 데이터 세그먼트들을 포함하여 시간 면에서 연속성을 가지고 있는 일련의 데이터 필드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필드들은 모듈로 2로 번호가 연속적으로 부여된 것일 수 있고, 이에 따라 각 홀수번째 데이터필드와 그에 후속되는 짝수번째 데이터필드는 데이터프레임을 형성하게 된다. 각 데이터 세그먼트는 77.3 마이크로초(ms)의 지속기간을 갖는다. 따라서 심볼속도가 10.76MHz 이면 각 데이터 세그먼트에는 832개의 심볼이 존재한다. 각 데이터 세그먼트는 +S, -S, -S, +S 값들을 연속적으로 갖는 4개의 심볼로 된 라인 동기(line synchronization) 코드그룹으로부터 시작된다. 값 +S는 최대 양(positive) 데이터 회귀점(excursion)보다 한 레벨 낮으며, 값 -S는 최대 음(negative) 데이터 회귀점보다 한 레벨 높다. 각 데이터 필드의 초기 라인은 채널등화 및 다중경로 억제과정에 사용하는 트레이닝(training)신호를 코드화하는 필드 동기 코드그룹을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닝신호는 3개의 63-샘플 PN 시퀀스들이 수반되는 하나의 511-샘플 의사잡음 시퀀스("PN 시퀀스")로 이루어진다. 63-샘플 PN 시퀀스들 중 중간 것들은 그의 각 홀수번째 데이터 필드의 제1라인에서는 제1논리규정에 따라, 그리고 각 짝수번째 데이터 필드의 제1라인에서는 상기 제1논리규정에 대해 1의 보수관계를 갖는 제2논리 규정에 따라 전송된다.
데이터 라인들내의 데이터들은 각기 한 개의 비코드화 비트를 갖는 2/3 속도 트렐리스(trellis) 코드인 12개의 인터리빙된(interleaved) 트렐리스 코드들을 이용하여 트렐리스 코드화된다. 상기 인터리빙된 트렐리스 코드들은 리드-솔로몬 순방향 에러 정정 코딩 방식으로 처리되는데, 이 코딩 방식은 노이즈 면에서 거의 비차단 상태로 되어있는 자동차 점화시스템과 같은 노이즈 원으로부터의 버스트 에러의 정정을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리드-솔로몬 코딩 결과는 무선송신의 경우에는 8-레벨(3비트/심볼) 1차원 구조의 심볼 코드로서 전송되며, 이것은 트렐리스 코딩절차와 별도로 심볼을 사전코딩하는 것 없이 수행된다. 또한, 리드-솔로몬 코딩결과는 유선방송을 위한 16-레벨 (4비트/심볼) 1차원 구조의 심볼 코드로서 전송되며, 이 경우 상기 전송은 사전 코딩 없이 수행된다. VSB 신호는 억제된 변조 백분율에 따라 진폭이 변화하게 될 고유 반송파를 갖는다.
상기 고유 반송파는 소정의 변조 백분율에 대응하는 일정 진폭의 파일럿 반송파로 대체된다. 이 일정 진폭의 파일럿 반송파는 진폭변조 측파대 신호를 발생시키는 평형변조기에 인가되는 변조전압의 직류성분을 시프트(shift), 즉 이동시킴으로써 발생된다. 상기 진폭변조 측파대 신호는 VSB신호를 응답신호로서 공급하는 필터에 제공된다. 4-비트 심볼 코드의 8개의 레벨들이 반송파 변조신호에서 -7,-5,-3,-1,+1,+3,+5, 및 +7의 정규화 값을 갖는다면, 파일럿 반송파는 1.25의 정규화값을 갖는다. 이 경우 +S의 정규화값은 +5이며, -S의 정규화값은 -5이다.
보다 이전에 개발된 DTV 기술에 있어서는 DTV 방송자가 송신기에 심볼 프리코더(precoder)를 사용할지 안 할지의 여부를 결정해야 하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상기 심볼 프리코더는 심볼 발생회로의 후단에 설치되어 심볼 포스트코더(post-coder)로서 심볼 디코더 회로내에서 데이터 슬라이서(data-slicer)의 전단측에서 사용되는 각 DTV신호 수신기내에서 콤 필터(comb filter)와 함께 사용될 시 심볼들의 정합 필터링을 제공하도록 작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결정은 동일 채널 NTSC 방송국으로부터의 간섭이 예상되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데이터 동기 코드군들에 관련하여 그리고 데이터라인들이 데이터필드 동기데이터들을 전송하는 중에는 심볼 프리코딩(precoding)을 사용하지 않았을 수 있다. NTSC 방송국(들)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동일채널간섭은 감소하고, 반면에 소정의 전리층 상태가 이루어질시 발생하기 쉽다. 태양의 활동이 큰 해(year)들 중 여름철에는 동일채널 간섭 가능성이 크다. 물론 동일채널 NTSC 방송국들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상기한 바와 같은 간섭도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방송영역내에서 NTSC간섭 가능성이 존재하였다면 HDTV방송자가 HDTV신호를 NTSC간섭으로부터 보다 쉽게 분리시킬 수 있게 하도록 심볼 프리코더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었을 것이고,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정합 필터링을 위해 DTV신호 수신기내에서 콤 필터를 심볼 포스트코더로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만일 NTSC 간섭의 가능성이 전혀 없거나 그 가능성이 비현실적이었다면 일정한 스펙트럼 노이즈로 인해 트렐리스 디코더에서의 심볼값들에 대한 결정의 에러가 발생되는 경향을 줄일 수 있도록 DTV 방송자는 심볼 프리코더의 사용을 중단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었을 것이고, 따라서 이 경우에는 각 DTV신호수신기내의 심볼 포스트코더가 디스에이블 상태로 될 것이다.
"RECEIVER POST CODER SELECTION CIRCUIT"란 명칭으로 1993년 11월 9일자로 특허 허여된 알. 더블유. 싯타(R. W. Citta)제씨의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 5,260,793 호의 경우에는 디지털 HDTV수신기에 사용되는 복조기의 복소수 출력신호의 실수 또는 동위상 기저대 성분(이하, "I-채널성분"이라 칭함)에 동반되는 NTSC 간섭을 억제시키기 위한 포스트코더 콤 필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NTSC 동일채널간섭을 억제하는 데 사용하는 콤 필터를 자동적으로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상태로 되게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게 상기 복조기의 출력신호 중 상기 I-채널성분내에 NTSC 간섭이 존재하는지의 여부가 검출된다. 상기 HDTV신호 수신기내에 구비된 콤 필터형의 NTSC억제필터에 인가되는 입력신호 및 그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신호 각각은 각 데이터필드 동기 주기 중에 "priori"로서 알려져 있고 상기 HDTV신호 수신기에 내장된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각 신호와 비교된다. 상기 NTSC억제필터의 입력신호와의 비교결과 최소값이 상기 NTSC억제필터의 출력신호와의 비교결과 최소값보다 적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면, 이것은 예상된 수신상태로부터 변화가 발생하게된 주원인이 NTSC동일채널간섭이 아니라 랜덤 노이즈라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특정 디지털 텔레비젼신호 수신기가 관련되는 한 상기 시스템에서는 프리코딩 및 포스트코딩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수신상태가 좋아지게 될 것이고, 따라서 방송자는 프리코딩을 사용하지 않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만일 상기 NTSC억제필터의 입력신호와의 비교결과 최소값이 상기 NTSC억제필터의 출력신호와의 비교결과 최소값보다 큰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면, 이것은 예상된 수신상태로부터 변화가 발생하게된 주원인이 랜덤노이즈가 아니라 NTSC동일채널간섭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특정 디지털 텔레비젼신호 수신기가 관련되는 한 상기 시스템에서는 프리코딩 및 포스트코딩(postcoding)을 사용할 경우 수신상태가 좋아지게 될 것이고, 따라서 방송자는 프리코딩을 사용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NTSC INTERFERENCE DETECTOR"란 명칭으로 1996년 8월 13일자로 특허 허여된 케이. 에스. 김 (K. S. Kim)제씨의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 5,546,132 호에는 I-채널에 대한 NTSC 추출 콤 필터의 응답신호에서 동일채널 NTSC간섭의 존재가 검출될 때 그 동일채널 NTSC간섭을 억제하기 위한 포스트코더 콤 필터링의 사용에 관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 5,546,132 호에서는 디지털 HDTV신호 수신기에 사용되는 복조기로부터 공급되는 복소수 출력신호의 허수 또는 직교위상 기저대 성분(이하 "Q-채널 성분"이라 칭함)에 관해서는 특정하여 설명하고 있지 않다. 잔류측파대 진폭변조신호(이하, "VSB AM신호"라 칭함)들을 기저대로 공히 싱크로다이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디지털 HDTV신호 수신기의 경우는 트렐리스 디코딩(송신기측에서 프리코딩이 사용되는 경우라면 포스크코딩후)을 위해 수신 I-채널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동위상 동기검출기를 포함하고, 또한 수신 Q-채널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직교위상 동기검출기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수신 Q-채널 신호는 싱크로다이닝을 위한 반송파를 공급하는 국부 발진기용의 자동 주파수 및 위상제어 신호(이하, "AFPC신호"라 칭함)를 발생시키도록 저역통과 필터링된다. 본 명세서에는 "DIGITAL VSB DETECTOR WITH BANDPASS PHASE TRACKER, AS FOR INCLUSION IN AN HDTV RECEIVER"란 명칭으로 1995년 12월 26자로 허여되고 삼성전자 주식회사에 양도된 씨.비. 파텔(C.B. Patel)씨와 에이. 엘. 알. 림버그(A. L. R. Limberg)씨의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 5,479,449 호의 명세서 및 도면이 인용되어 있다. 이에 관련하여서는 특히 상기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 5,479,449 호의 도면 도 1내의 소자 (22) 내지 (27)과 그에 관한 첨부 명세서내의 설명을 주목할 수 있다. 상기 소자들은 VSB AM 최종 중간주파수 신호의 복소수 복조를 행하기 위해 상기한 HDTV신호 수신기에 사용된다. 상기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 5,479,449 호에는 디지털체계에서 행하는 VSB AM 최종 중간주파수 신호의 복소수 복조에 관해 기재되어 있다. 다른 디지털 TV 수신기 설계들의 경우에는 VSB AM 최종 중간주파수 신호의 복소수 복조를 아날로그체계에서 행하고 있다.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 5,260,793 호와 제 5,546,132 호의 경우에는 모두 상당한 동일채널 NTSC 간섭이 발생하는 중에는 포스트코딩이 인에이블상태로 되고, 그러한 경우가 아니면 디스에이블상태로 되는데, 인에이블상태로의 이러한 선택적인 절환을 위한 제어신호는 수신 I-채널 신호로부터 발생된다. 동일채널 NTSC 간섭 레벨의 결정은 VSB AM DTV신호의 파일럿 반송파의 동위상 동기 검출에 기인하여 발생하여 동일채널 NTSC 간섭에 동반되는 직류 바이어스때문에 어렵게 된다. 이것은 특히 동위상 동기 검출에 의해 복원되는 수신 I-채널신호의 진폭을 엄밀하게 조절할 수 없는 자동이득제어가 행해지는 DTV신호 수신기들의 경우 문제가 된다.
NTSC신호의 비디오 반송파는 6MHz의 대역폭을 갖는 방송채널의 에지(edge)로부터 1.25MHz만큼 오프셋되어 있고, 반면에 지상 무선방송용의 DTV신호의 반송파는 6MHz의 대역폭을 갖는 방송채널의 에지로부터 310kHz만큼 오프셋되어 있다. 동일 채널 NTSC신호는 디지털 정보를 반송하는 VSB AM신호의 반송파에 관련하여 대칭적인 진폭변조 잔류측파대를 나타내지 않는다. 따라서 940kHz에서 NTSC 비디오 반송파의 아티팩트(artifact)들은 DTV신호의 반송파로부터 제거되지만, 그의 측파대의 아티팩트들은 기저대로 싱크로다이닝되어 있는 DTV신호로부터 잘 제거되지 않게 된다. 물론 NTSC 오디오 반송파 및 그 측파대의 아티팩트들의 경우는 그와 같이 되지 않고 5.44MHz에서 NTSC 오디오 반송파가 DTV신호 반송파로부터 제거되게 된다.
1995년 9월 16일자로 발표된 디지털 텔레비젼 기준에 의하면 NTSC 동일채널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 DTV신호 수신기에서 콤 필터링의 후속 사용에 수반되는 포스트코딩을 보상하도록 DTV 송신기에서 모든 데이터의 프리코딩을 이용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대신, 트렐리스 디코딩시 초기 심볼만이 프리코딩된다. 이러한 과정 자체는 콤 필터링을 이용하는 DTV신호 수신기가 데이터 슬라이스 처리과정을 행하기 전에 NTSC 동일채널 간섭을 제거할 수 있게 하는데 도움을 주지 못한다. 데이터 슬라이스 처리과정을 행하기 전에 NTSC 동일채널 간섭의 아티팩트들을 제거하지 않는 DTV신호 수신기의 경우는 DTV 송신기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거나 매우 가까운 위치에 아날로그 TV 송신기가 있는 DTV 신호 수신기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강한 NTSC 동일채널 간섭상태하에서는 양호한 수신을 이룰 수가 없을 것이다. 기저대로 싱크로다이닝되어 있는 DTV신호에 있어서 동일채널간섭성 NTSC 칼라 TV신호의 비디오 반송파의 아티팩트들은 59.75fH의 주파수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fH는 상기 신호의 수평주사 주파수이다. 칼라 부반송파의 아티팩트는 287.25fH의 주파수를 가지고 있으며, 비변조 NTSC 오디오 반송파의 아티팩트는 345.75fH의 주파수를 가지고 있다. 주파수가 변조된 (이하, "FM"이라 칭함) NTSC 오디오 반송파의 아티팩트들을 억제하는데 있어, 특히 반송파 주파수 편차가 크게 되는 주파수 변조 상태하에서는 콤 필터링 과정이 완전히 만족스러운 것은 아닌데, 그 이유는 본 발명자가 지적한 바와 같이 실질적인 일정한 지연에 의해 분리되는 시점들에서 FM 반송파의 샘플들의 상관성(또는 반(anti) 상관성)이 특히 좋지 않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자는 중간 주파수 증폭의 전 대역폭을 확립하는데 사용되는 필터링이 여하한 동일채널 간섭성 NTSC 아날로그 TV신호의 FM 오디오 반송파를 제거하기에 충분해야 한다고 권고하고 있다. 기저대 DTV신호를 NTSC 비디오 반송파, 낮은 비디오 주파수, 그리고 칼라 반송파에 근접한 색차신호 주파수의 아티팩트들로부터 분리시키는데는 콤 필터링 과정이 보다 만족스럽다. 그 이유는 이러한 아티팩트들이 소정의 특정 지연 주기로 분리되는 샘플들사이에서 양호한 상관성을 나타내는 경향을 가지고 있고, 또한 소정의 다른 특정 지연 주기로 분리되는 샘플들사이에서 양호한 반 상관성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1996년 11월 12일자로 "DTV RECEIVER WITH FILTER IN I-F CIRCUITRY TO SUPPRESS FM SOUND CARRIER OF NTSC CO-CHANNEL INTERFERING SIGNAL"이란 명칭으로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출원번호 제 08/746,520 호에서 본 발명자는 데이터 슬라이스처리과정에 악영향을 미칠 정도로 충분히 큰 NTSC 동일채널 간섭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DTV신호 수신기에서의 데이터 슬라이스 과정을 콤 필터링과정보다 선행시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심볼 코딩이 선택적으로 행해질 시 심볼 디코딩 과정에서 어떻게 상기한 콤 필터링과정의 효과를 보상하는가에 관해 교시하고 있다. 그러면 NTSC 동일채널 간섭이 용인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소정의 값보다 크게될 때를 결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여전히 유용하게 되고, 이러한 결정을 NTSC 동일채널 간섭을 억제하기 위한 콤 필터링의 선택적인 사용을 제어하는데 사용할 수 있게 된다.
NTSC 동일채널 간섭은 DTV신호 수신기에 사용되는 복조기의 복소수 출력신호의 실수 또는 동위상 기저대성분(즉, I-채널 성분)에서 NTSC 동일채널 간섭이 나타날때는 언제나 상기 복소수 출력신호의 허수 또는 직교위상 기저대성분(즉, Q-채널 성분)에서도 NTSC 동일채널 간섭이 나타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수신 I-채널 신호가 아닌 수신 Q-채널 신호에 응답하는 NTSC추출 필터를 구비하는 NTSC 간섭 검출기를 설치할 수 있다. 수신 Q-채널 신호에 상당한 양의 NTSC 동일채널 간섭이 동반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면 등화된 수신 I-채널 신호의 트렐리스 디코딩시 트렐리스 디코더의 후단에 설치된 리드 솔로몬 디코더에 의해 정정하여야할 정도로 많은 에러를 발생시키기에 충분할 정도인 상당한 양의 NTSC 동일채널 간섭이 수신 I-채널 신호에 동반되는지의 여부를 추론할 수 있다. 동일채널 NTSC 간섭 레벨에 대한 정확한 결정은 단순화시킬 수 있는데, 그 이유는 VSB AM DTV신호의 파일럿 반송파의 직교위상 동기 검출로부터 발생되는 직류 바이어스가 전혀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텔레비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NTSC 아날로그 텔레비젼신호들로부터의 동일채널 간섭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디지털 텔레비젼 수신기에 사용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DTV신호용의 복소수 복조기로부터 출력되는 Q-채널 신호에 응답하는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의 응답신호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NTSC 동일채널간섭 억제회로를 갖는 심볼 디코더를 포함하는 디지털 텔레비젼 수신기의 일부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2는 DTV신호용 복소수 복조기로부터 출력되는 Q-채널 신호에 응답하도록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의 블럭도.
도 3은 동일채널 NTSC간섭을 억제하기 위한 콤 필터링을 사용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등화과정이 어떻게 수정되는지를 나타내는 도 1의 디지털 텔레비젼신호 수신기의 일부를 도시하는 동작흐름도.
도 4는 NTSC제거 콤 필터가 12-심볼 지연기를 사용할 경우의 도 1의 디지털 텔레비젼신호 수신기의 일부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12-심볼 지연기를 사용할 경우의 도 2의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6은 NTSC제거 콤 필터가 6-심볼 지연기를 사용할 경우의 도 1의 디지털 텔레비젼신호 수신기의 일부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6-심볼 지연기를 사용할 경우의 도 2의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8은 NTSC제거 콤 필터가 2-비디오라인 지연기를 사용할 경우의 도 1의 디지털 텔레비젼신호 수신기의 일부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9는 2-비디오라인 지연기를 사용할 경우의 도 2의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10은 NTSC제거 콤 필터가 262-비디오라인 지연기를 사용할 경우의 도 1의 디지털 텔레비젼신호 수신기의 일부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11은 262-비디오라인 지연기를 사용할 경우의 도 2의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12는 NTSC제거 콤 필터가 2-비디오 프레임 지연기를 사용할 경우의 도 1의 디지털 텔레비젼신호 수신기의 일부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13은 2-비디오프레임 지연기를 사용할 경우의 도 2의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14 및 도 15 각각은 도 1의 DTV신호 수신기에 사용될 수 있는 각기 다른 형태의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16은 NTSC 동일채널간섭의 아티팩트들에 대한 선택적인 필터링을 위해 다수의 콤 필터들과 관련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들을 사용하여 본 발명을 구현하는 디지털 텔레비젼신호 수신기의 블럭도.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젼신호 수신기에서 잔류측파대 진폭변조 디지털 텔레비젼신호의 처리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즉, 수신 I-채널 기저대신호와 그 수신 I-채널 기저대신호와 직교관계를 갖는 수신 Q-채널 기저대신호를 서로 분리시키도록 동일채널 NTSC 간섭에 민감한 잔류측파대 진폭변조 디지털 텔레비젼신호들을 복소수 변조한다. 그 뒤에 상기 수신 Q-채널 기저대신호에 동반되는 동일채널 NTSC간섭의 아티팩트들이 소정 레벨을 초과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수신 I-채널 기저대신호에 동반되는 동일채널 NTSC간섭의 아티팩트들이 유의 레벨(significant level)에 있는지의 여부를 예측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 디지털 텔레비젼 수신기가 트렐리스 디코딩에 앞서 동일채널 NTSC간섭을 억제하기 위해 콤 필터링을 사용하여야 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즉, 수신 I-채널 기저대신호와 그 수신 I-채널 기저대신호와 직교관계를 갖는 수신 Q-채널 기저대신호를 서로 분리시키도록 디지털 텔레비젼신호들을 복소수 변조한다. 그 뒤에 상기 수신Q-채널 기저대신호에 유의 레벨을 갖는 동일채널 NTSC간섭의 아티팩트들이 동반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수신 Q-채널 기저대신호에 유의 레벨을 갖는 동일채널 NTSC간섭의 아티팩트들이 동반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면, 트렐리스디코딩을 위한 디코딩된 심볼들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수신 I-채널 기저대신호를 콤 필터링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심볼 디코딩시킨다. 상기 수신 Q-채널 기저대신호에 유의 레벨을 갖는 동일채널 NTSC간섭의 아티팩트들이 동반되는 것으로 결정되면 동일채널 NTSC간섭이 억제된 콤 필터링된 I-채널 기저대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수신 I-채널 기저대신호를 콤 필터링시키고, 상기 콤 필터링된 I-채널 기저대신호에 대해 심볼디코딩을 행하고, 트렐리스 디코딩을 위한 디코딩된 심볼들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콤 필터링된 I-채널 기저대신호에 대해 행한 심볼디코딩의 결과를 포스트코딩한다.
다양한 양상으로 본 발명을 구현하는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들은 I-채널에 직교하는 Q-채널내에서의 간섭성 NTSC신호의 존재를 검출한다. 또 다른 양상으로 본 발명을 구현하는 적응형 NTSC 동일채널 간섭 억제회로는 디지털 텔레비젼 수신기에서의 데이터 슬라이스처리에 앞서 I-채널내의 NTSC 동일채널간섭을 억제하도록 콤 필터링이 수행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들을 사용한다.
도면에 도시된 회로들의 여러 부분에는 전자 설계 분야에서 숙련된 자라면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동작 순서에 정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시밍(shimming) 지연소자들을 설치해야만 한다. 그러나, 특정 시밍 지연소자의 필요성에 관련하여 별도의 특정 조건이 요구되지 않는 한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시밍 지연소자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는 디지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DVCR)에 의한 기록용으로 또는 텔레비젼 세트에서의 MPEG-2 디코딩 및 디스플레이용으로 적합한 에러정정된 데이터를 복원하는데 사용하는 디지털 텔레비젼신호 수신기(이하, "DTV신호 수신기"라 칭함)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DTV신호 수신기는 수신 안테나(8)로부터 텔레비젼방송신호들을 수신하는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으나, 케이블망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텔레비젼 방송신호들은 DTV신호 수신기 전단부(10)에 입력신호로서 공급된다. 상기 "전단" 전자장치(10)는 일반적으로 고주파 텔레비젼신호들을 잔류측파대 DTV신호(이하, "VSB DTV신호"라 칭함)용의 중간주파수(IF) 증폭기체인(12)에 입력신호로서 공급되는 중간주파수 텔레비젼신호들로 변환시키기 위한 고주파 증폭기와 제1검출기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DTV신호 수신기는 바람직하게 상기 IF 증폭기체인(12)이 상기 제1검출기에 의해 초단파(이하, "VHF"라 칭함)대역으로 변환된 DTV신호들을 증폭시키기 위한 중간주파수 증폭기(이하, "IF 증폭기"라 칭함)와, 증폭된 상기 DTV신호들을 극초단파(이하, "UHF"라 칭함)대역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2검출기와, 상기 VHF대역으로 변환된 DTV신호들을 증폭시키기 위한 또 다른 IF 증폭기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다중 변환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저대로의 복조가 디지털 체계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IF 증폭기체인(12)은 또한 증폭된 상기 DTV신호들을 기저대에 보다 근접하는 최종 중간주파수 대역으로 변환시키는 제3검출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UHF대역용의 상기 IF 증폭기에는 채널선택 응답을 형성하고 인접채널들을 제거하기 위해 SAW(Surface-Acoustic- Wave)필터가 사용된다. 이 SAW필터는 VSB DTV신호의 억제된 반송파 주파수 및 유사한 주파수를 가지고 있고 진폭이 일정한 파일럿 반송파로부터 5.38MHz를 바로 넘는 성분들을 차단하여 제거시킨다. 따라서 SAW필터는 여하한 동일채널간섭성 아날로그 TV신호의 주파수변조된 사운드 반송파의 많은 부분을 제거시켜준다. IF 증폭기체인(12)에서 여하한 동일채널간섭성 아날로그 TV신호의 FM 사운드반송파가 제거됨에 따라 기저대 심볼들을 복원하기 위해 최종 IF신호가 검출될 시 상기 반송파의 아티팩트들의 발생이 방지되며, 또한 그러한 아티팩트들이 심볼 디코딩 중에 이루어지는 상기 기저대 심볼들의 데이터 슬라이스 처리과정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그러한 아티팩트들이 심볼 디코딩 중에 행해지는 기저대 심볼들의 데이터 슬라이스처리과정을 방해하지 않게 하는 것이 데이터 슬라이스처리과정 전에 콤 필터링을 행하는 것보다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데, 이것은 특히 콤필터의 미분 지연이 수회의 심볼기간보다 클 경우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IF 증폭기체인(12)로부터의 최종 중간주파수 출력신호(이하, "최종 IF 출력신호"라 칭함)는 복소수 복조기(14)(이하, "DTV신호 복소수 복조기(14)"라 칭함)에 공급되고, 상기 DTV신호 복소수 복조기(14)는 실수 기저대신호와 허수 기저대신호를 복원시킬 수 있게 최종 중간주파수대역의 VSB AM DTV신호를 복조시킨다. 이 복조는 일례로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 5,479,449 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 메가사이클 범위에서 최종 중간주파수대역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행한 후 디지털 체계에서 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는 다른 방식으로, 아날로그 체계에서 상기의 복조를 행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후속 처리의 편리를 위해 복조 결과에 대해 항상 아날로그/디지털변환처리를 행하게 된다. 상기 복소수 복조는 바람직하게 동위상(I) 동기복조와 직교위상(Q) 동기복조를 포함한다. 종래 상기한 복조과정들의 디지털 결과들은 8 비트 또는 그 이상의 정확도를 가지고 있고 N 비트의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2N 레벨의 심볼들을 표현한다. 현재 2N은 도 1의 DTV신호 수신기가 안테나(12)를 통해 무선방송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8이고, 도 1의 DTV신호 수신기가 케이블방송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16이다. 본 발명은 지상 무선방송의 수신에 관련되고, 도 1에도 수신된 케이블방송 송출신호에 대한 심볼 디코딩 및 에러정정 디코딩을 제공하는 DTV신호 수신기 부분은 도시하지 않았다.
상기 복소수 복조기(14)로부터 출력되는 동위상(I-채널) 기저대신호 중 최소한 디지털화된 실수샘플들은 심볼동기화 및 등화회로(16)에 인가되는데, 도 1의 DTV신호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회로(16)는 직교위상(Q-채널) 기저대신호의 디지털화된 허수샘플들도 수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회로(16)는 그에 수신된 신호의 고스트(ghost) 및 틸트(tilt)를 보상하는 조정가능한 가중계수들을 가지고 있는 디지털 필터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심볼동기화 및 등화회로(16)는 진폭등화와 고스트 제거는 물론이고 심볼동기 또는 "디로테이션(de-rotation)"을 제공한다. 진폭등화 전에 심볼동기화를 이루게 되어 있는 심볼동기화 및 등화회로는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 5,479,449 호에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복조기(14)는 심볼 동기화 및 등화회로(16)에 실수 및 허수 기저대신호들을 포함하는 오버샘플링된(oversampled) 복조기 출력신호를 공급할 것이다. 심볼 동기화후, 오버샘플링된 데이터는 데이메이션처리되고, 이에 따라 정상적인 심볼속도(symbol rate)로 기저대 I-채널 신호를 추출할 수 있고, 또한 진폭등화 및 고스트제거에 사용된 디지털 필터링동안 샘플속도(sample rate)를 감소시킬 수 있다. 진폭등화가 심볼동기화, 즉, "디로테이션" 또는 "위상 트랙킹(tracking)"에 선행하게 되어 있는 심볼 동기화 및 등화회로는 디지털신호 수신기 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는 공지된 것이다.
상기 회로(16)의 출력신호의 각 샘플은 10 비트 또는 그 이상의 비트로 분해되는데, 실제로 각 샘플은 2N(2N=8)개의 레벨들 중 하나를 나타내는 아날로그 심볼의 디지털 표현이다. 상기 회로(16)의 출력신호는 공지된 여러 방법들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세밀하게 이득제어되고, 따라서 심볼들에 대한 이상적인 단계 레벨들을 알 수 있다. 공지된 이득제어방법들 중 이득제어 응답속도가 유난히 빠르기 때문에 선택되는 한 이득제어방법의 경우에서는 복소수 복조기(14)로부터 공급되는 실수 기저대신호의 직류성분들이 +1.25의 공칭레벨까지 조절된다. 이러한 이득제어방법은 일반적으로는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 5,479,449 호에 기재되어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본 명세서에 인용되고 "AUTOMATIC GAIN CONTROL OF RADIO RECEIVER FOR RECEIVING DIGITAL HIGH-DEFINITION TELEVISION SIGNALS"란 명칭으로 1997년 6월 3일자로 특허 허여된 씨.비. 파텔(C.B. Patel)제씨의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 5,573,454 호에 기재되어 있다.
회로(16)로부터의 출력신호는 데이터동기검출기(18)에 입력신호로서 공급되는데, 상기 데이터동기검출기(18)는 등화된 기저대 I-채널 신호로부터 데이터필드 동기정보(F)와 데이터세그먼트 동기정보(S)를 복원시킨다. 이와는 다른 실시예로서 데이터동기검출기(18)에 대한 입력신호를 등화에 앞서 얻을 수도 있다.
상기 회로(16)로부터의 출력신호로서 정상 심볼속도로 공급되는 등화된 I-채널 신호 샘플들은 NTSC제거 콤 필터(20)에 입력신호로서 인가된다. 상기 콤 필터(20)는 2N-레벨 심볼들의 미분지연된 한쌍의 스트림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1 지연기(201)와, 콤 필터(20)의 응답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미분지연된 심볼 스트림들을 선형 결합시키는 제1선형 결합기(202)를 포함하고 있다.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 5,260,793 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연기(201)는 12개의 2N-레벨 심볼들의 기간과 동일한 지연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제1선형 결합기(202)는 감산기일 수 있다. 콤 필터(20)의 출력신호의 각 샘플은 10 비트 또는 그 이상의 비트로 분해되는데, 실제로 각 샘플은 "4N-1"(4N-1=15)개의 레벨들 중 하나를 나타내는 아날로그 심볼의 디지털 표현이다.
상기 심볼 동기화 및 등화회로(16)는 +1.25의 공칭레벨을 가지고 있고 파일럿 반송파의 검출에 기인하여 복소수 복조기(14)로부터 공급되는 실수 기저대신호에서 나타나는 입력신호(디지털 샘플들로서 표현되는)의 직류 바이어스성분을 억제시킬 수 있게 설계되는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콤 필터(20)의 입력신호로서 인가되는 심볼 동기화 및 등화회로(16)의 출력신호의 각 샘플은 실제로 다음의 공칭레벨들 즉, -7, -5, -3, -1, +1, +3, +5, +7 들 중 하나를 나타내는 아날로그 심볼의 디지털 표현이다. 이러한 심볼레벨들은 "홀수"심볼 레벨들로서 지칭되고 각기 000, 001, 010, 011, 100, 101, 110, 111에 해당하는 중간 심볼 디코딩 결과들을 발생시키도록 홀수레벨 데이터슬라이서(22)에 의해 검출되게 된다.
콤 필터(20)의 출력신호의 각 샘플은 실제로 다음의 공칭레벨들 즉, -14, -12, -10, -8, -6, -4, -2, 0, +2, +4, +6, +8, +10, +12, +14 들 중 하나를 나타내는 아날로그 심볼의 디지털 표현이다. 이러한 심볼레벨들은 "짝수"심볼 레벨들로서 지칭되고 각기 001, 010, 011, 100, 101, 110, 111, 000, 001, 010, 011, 100, 101, 110, 111에 해당하는 중간 심볼 디코딩 결과들을 발생시키도록 짝수레벨 데이터슬라이서(24)에 의해 검출된다.
상기 데이터슬라이서(22),(24)들은 본 명세서에서 지금까지 가정한 바와 같이 소위 "하드(hard) 결정"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비터비(Viterbi) 디코딩법을 실시하는데 사용되는 소위 "소프트(soft) 결정"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회로내에서의 위치를 시프트(shift)시킬 수 있게 그리고 슬라이스 범위를 변화시키기 위한 바이어스를 제공할 수 있게 멀티플렉서 연결구성을 이용하는 단일 데이터 슬라이서로 상기 홀수레벨 데이터슬라이서(22)와 짝수레벨 데이터슬라이서(24)를 대치시키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러한 구성은 동작을 복잡화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는 않다.
지금까지의 설명에서 상기 심볼 동기화 및 등화회로(16)는 +1.25의 공칭레벨을 가지고 있고 파일럿 반송파의 검출에 기인하여 복소수 복조기(14)로부터 공급되는 실수 기저대신호에서 나타나는 입력신호(디지털 샘플들로서 표현되는)의 직류 바이어스성분을 억제시킬 수 있게 설계되는 것으로 예상하였다. 그러나 이와는 다르게 상기 심볼 동기화 및 등화회로(16)는 그의 입력신호의 직류 바이어스 성분을 보존하도록 설계되는데, 이러한 설계에 따르면 심볼 동기화 및 등화회로(16)의 등화필터의 설계를 다소 단순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홀수레벨 데이터슬라이서(22)내의 데이터 슬라이스 레벨들은 그의 입력신호들내에서의 데이터 스텝들에 동반되는 직류바이어스성분을 고려하도록 오프셋되게 된다. 제1선형 결합기(202)가 감산기인 한은 상기 회로(16)가 그의 입력신호의 직류바이어스성분을 억제하도록 설계되어 있는지 아니면 그러한 직류바이어스성분을 보존하도록 설계되어 있는지의 여부는 짝수레벨 데이터슬라이서(24)내의 데이터 슬라이스 레벨들에 관련하여서는 중요치 않다. 그러나 제1선형 결합기(202)가 가산기가 되도록 제1지연기(201)에 의해 제공되는 미분 지연이 선택되는 경우는 짝수레벨 데이터슬라이서(24)내의 데이터 슬라이스 레벨들은 그의 입력신호들내에서의 데이터 스텝들에 동반되는 직류바이어스성분을 고려하도록 오프셋되어야만 한다.
상기 데이터슬라이서(22),(24)들의 후단에는 NTSC제거 콤 필터(20)의 프리코딩 필터 응답신호에 대한 포스트코딩 필터 응답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게 콤 필터(26)가 설치된다. 상기 콤 필터(26)는 3-입력 멀티플렉서(261)와, 제2선형 결합기(262)와, 상기 NTSC제거 콤 필터(20)내의 제1지연기(201)와 동일한 지연을 갖는 제2지연기(263)를 포함한다. 상기 제2선형 결합기(262)는 상기 제1선형 결합기(202)가 감산기인 경우에는 모듈로-8 가산기이고, 상기 제1선형 결합기(202)가 가산기인 경우에는 모듈로-8 감산기이다. 상기 제1선형 결합기(202)와 제2선형 결합기(262)는 관련된 샘플 속도들을 지원할 수 있도록 선형 결합 동작 속도를 충분히 높게 할 수 있도록 각기 롬으로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멀티플렉서(261)로부터의 출력신호는 콤 필터(26)의 응답신호로서 공급되며, 제2지연기(263)에 의해 지연된다. 상기 제2선형 결합기(262)는 짝수레벨 데이터슬라이서(24)의 프리코딩된 심볼 디코딩 결과들을 제2지연기(263)의 출력신호와 결합시킨다.
멀티플렉서(261)의 출력신호는 제어기(28)로부터 멀티플렉서(261)에 공급되는 멀티플렉서 제어신호의 제 1, 제 2, 제3상태들에 대해 응답하여 선택되는, 멀티플렉서(261)에 인가되는 3개의 입력신호들 중 하나를 재생시킨다. 멀티플렉서(261)의 제1입력포트에는 데이터필드 동기정보(F)와 데이터세그먼트 동기정보(S)들이 데이터동기검출회로(18)에 의해 복원되는 기간 중에 제어기(28)내의 메모리로부터 공급되는 이상적인 심볼 디코딩 결과들을 수신한다. 상기 제어기(28)는 상기 기간 중에 멀티플렉서(261)에 제1상태의 멀티플렉서 제어신호를 공급하여 멀티플렉서(261)를 제어기(28)내의 메모리로부터 공급되는 이상적인 심볼 디코딩 결과들을 그의 출력신호인 최종 코딩 결과들로서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홀수 레벨 데이터 슬라이서(22)는 그의 출력신호인 중간 심볼 디코딩 결과들을 멀티플렉서(261)의 제 2 입력포트에 공급한다. 멀티플렉서(261)는 그로부터 공급되는 최종 코딩결과들 중 중간 심볼 디코딩 결과들을 재생하도록 제2상태의 멀티플렉서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제2선형 결합기(262)는 그의 출력신호인 포스트코딩된 심볼 디코딩 결과들을 멀티플렉서(261)의 제3입력포트에 공급한다. 멀티플렉서(261)는 일례로 포스트코딩된 심볼 디코딩 결과들을 재생하도록 제3상태의 멀티플렉서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포스트코딩 콤 필터(26)로부터 출력되는 포스트코딩된 심볼 디코딩 결과들 내의 연속 에러(running error)들은 데이터동기검출기(18)가 데이터필드 동기정보(F)와 데이터세그먼트 동기정보(S)를 복원시키는 기간동안 제어기(28)내의 메모리로부터 공급되는 이상적인 심볼 디코딩 결과들을 궤환시킴으로써 감소하게 된다.
포스트코딩 콤 필터(26)의 멀티플렉서(261) 출력신호는 데이터 인터리버(32)에의 인가를 위해 데이터 어셈블러(30)에 의해 어셈블링되는 3-병렬비트군들의 최종 심볼 디코딩 결과들을 포함한다. 데이터 인터리버(32)는 상기 어셈블된 데이터를 트렐리스 디코더회로(34)에의 인가를 위한 병렬 데이터 스트림들로 커뮤테이션(commutation)시킨다. 통상적으로 트렐리스 디코더회로(34)는 12개의 트렐리스 디코더들을 사용한다. 상기 트렐리스 디코딩 결과들은 디커뮤테이션(de-commutation)을 위해 트렐리스 디코더회로(34)로부터 데이터 디인터리버(36)로 공급된다. 상기 데이터 디인터리버(36)의 출력신호는 바이트 구성회로(38)에 의해 리드솔로몬 검출기회로(40)로의 인가를 위해 리드솔로몬 에러정정 코딩의 바이트들로 변환된다. 상기 리드솔로몬 검출기회로(40)는 데이터 디랜도마이저(42)에 공급되는 에러정정된 바이트 스트림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리드솔로몬 디코딩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디랜도마이저(42)는 수신기의 나머지 후처리 부분(도시 안됨)에 재생된 데이터를 공급한다. 완전한 DTV신호 수신기의 나머지 부분은 패킷 소터, 오디오 디코더, MPEG-2 디코더 등등을 포함할 것이다. 디지털 테이프 레코더/재생기에 사용되는 DTV신호 수신기의 나머지 부분들은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NTSC 동일채널 간섭 검출기(44)에 의해 제어기(28)에는 NTSC 동일채널 간섭이 데이터슬라이서(22)에 의해 수행되는 데이터 슬라이스처리시 정정 불가능한 에러를 발생시키기에 충분한 강도를 갖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가 공급된다. 만일 검출기(44)가 NTSC 동일채널 간섭이 상기한 바와 같은 강도를 갖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 제어기(28)는 데이터동기검출회로(18)에 의해 데이터필드 동기정보(F)와 데이터세그먼트 동기정보(S)들이 복원되는 기간이외의 기간 중에 멀티플렉서(261)에 제2상태의 멀티플렉서 제어신호를 공급할 것이다. 이에 따라, 멀티플렉서(261)는 그의 출력신호로서 홀수 레벨 데이터슬라이서(22)로부터 공급되는 중간 심볼 디코딩 결과들을 재생하게 된다. 만일 검출기(44)가 NTSC 동일채널 간섭이 데이터 슬라이서(22)에 의해 수행되는 데이터 슬라이스 처리시 정정 불가능한 에러를 발생시키기에 충분할 정도의 강도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제어기(28)는 데이터동기검출회로(18)에 의해 데이터필드 동기정보(F)와 데이터세그먼트 동기정보(S)들이 복원되는 기간 이외의 기간 중에 멀티플렉서(261)에 제3상태의 멀티플렉서 제어신호를 공급할 것이다. 이에 따라, 멀티플렉서(261)는 그의 출력신호로서 제2선형 결합기(262)로부터의 제2선형 결합 결과들로서 제공되는 포스트코딩된 심볼 디코딩결과들을 재생하게 된다.
본 명세서 및 첨부도면에 기재되어 있는 본 발명은 복소수 복조기(14)의 Q-채널 출력신호에서 나타나는 NTSC 동일채널 간섭의 아티팩트들에 응답하는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44)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출기(44)는 심볼 동기화 및 등화회로(16)의 전단측에서 추출되는 복소수 복조기(14)로부터의 Q-채널 출력신호내의 NTSC 동일채널 간섭의 아티팩트들을 검출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에는 검출기(44)의 연결이 심볼 동기화 및 등화회로(16)의 출력신호로부터 추출된 Q-채널 출력신호의 아티팩트들을 검출할 수 있게 이루어져 있다.
도 2에는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44)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취할 수 있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심볼 동기화 및 등화회로(16)로부터 추출된 Q-채널 출력신호는 노드(440)에 직접적으로 또는 대역폭선택필터(441)에 의해 필터링된 후 인가되게 된다. 상기 대역폭선택필터(441)는 NTSC 동일채널 간섭 아티팩트들을 포함할 경향이 큰 Q-채널 출력신호 부분들에 대한 응답신호를 노드(440)에 인가한다. 노드(440)에 인가된 신호는 3차 지연이 이루어지게끔 제3지연기(442)에 입력신호로서 인가된다. 노드(440)의 신호는 제3선형 결합기(443)에 의해 NTSC 동일채널 간섭 아티팩트들이 제거된 콤 필터 응답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3지연기(442)에 의해 지연된 상기 신호와 선형 결합된다. 상기 노드(440)의 신호는 또한 제4선형 결합기(444)에 의해 NTSC 동일채널 간섭 아티팩트들이 선택된 콤 필터 응답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3지연기(442)에 의해 지연된 상기 신호와 선형 결합된다. 상기 제 3 및 제4선형 결합기들 중 하나는 디지털 가산기이고 다른 하나는 디지털 감산기인데, 이의 선택은 제3지연기(442)에 의한 지연에 따라 설계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의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제3선형 결합기(443)로부터 출력되는 콤 필터 응답신호의 진폭은 진폭검출기(445)에 의해 검출되고, 제4선형 결합기(444)로부터 출력되는 콤 필터 응답신호의 진폭은 진폭검출기(446)에 의해 검출되며, 상기 진폭검출기(445)와 진폭검출기(446)에 의한 진폭검출결과들은 진폭비교기(447)에 의해 서로 비교된다. 상기 진폭비교기(447)는 진폭검출기(446)의 출력신호가 진폭검출기(445)의 출력신호보다 실질적으로 큰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출력비트를 발생시킨다. 이 출력비트는 멀티플렉서(261)의 제2 및 제3동작상태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일례로 진폭비교기(447)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출력비트는 제어기(28)에 의해 도 1의 포스트코딩 콤 필터(26)내의 멀티플렉서(261)에 공급되는 두 제어비트들 중 하나가 될 수 있고, 이 때 다른 하나의 제어비트는 제어기(28)로부터 공급된 신호가 멀티플렉서(261)의 출력신호에서 재생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게 된다.
상기 진폭검출기(445),(446)들은 일례로 수회의 데이터샘플주기와 동일한 시정수를 갖는 포락선검출기들일 수 있고, 이 경우 그들의 입력신호들의 데이터성분들간의 차이는 랜덤상태로 가정되는 낮은 값으로 평균화되는 경향이 있다. 선형 결합기(443),(444)의 출력신호들에 동반되는 랜덤 노이즈들간의 차이는 0까지로도 평균화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진폭검출기(445),(446)의 진폭검출 응답신호들을 비교하는 진폭비교기(447)가 그 응답신호들이 서로 소정의 값보다 크게 다르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이것은 여하한 동일채널 간섭성 아날로그 텔레비젼신호의 아티팩트들이 Q-채널 기저대신호의 유의 레벨(significant level)보다 높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Q-채널 기저대신호의 유의 레벨은 I-채널 기저대신호의 유의 레벨과 일치한다. 여하한 동일채널 간섭성 아날로그 텔레비젼신호의 아티팩트들이 I-채널 기저대신호의 유의 레벨보다 낮게 유지되는 한은 I-채널 기저대신호를 단순히 데이터 슬라이스처리하여 행해지는 심볼 디코딩시 발생되는 에러들은 트렐리스 코딩 및 리드솔로몬 에러정정 코딩에 의해 정정할 수 있다.
NTSC 동일채널 간섭 아티팩트들이 선택된 제4선형 결합기(444)로부터의 콤 필터 응답신호의 진폭이 NTSC 동일채널 간섭 아티팩트들이 제거된 제3선형 결합기(443)로부터의 콤 필터 응답신호의 진폭보다 실질적으로 큰 경우, 이 차이는 노드(440)의 신호에 NTSC 동일채널 간섭 아티팩트들이 존재함으로 인해 야기된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진폭비교기(447)에 의해 공급되는 출력비트는 멀티플렉서(261)를 그의 제2상태에서 동작할 수 없게 제어하며, 그 결과 홀수레벨 데이터슬라이서(22)로부터 출력되는 중간 심볼디코딩결과들의 선택을 해제시켜 상기 중간 심볼디코딩결과들이 멀티플렉서(261)로부터 최종 심볼디코딩결과들로서 출력되지 않게 한다.
NTSC 동일채널 간섭 아티팩트들이 선택된 제4선형 결합기(444)로부터의 콤 필터 응답신호의 진폭이 NTSC 동일채널 간섭 아티팩트들이 제거된 제3선형 결합기(443)로부터의 콤 필터 응답신호의 진폭보다 실질적으로 크지 않은 경우, 이 차이는 노드(440)의 신호에 NTSC 동일채널 간섭 아티팩트들이 비존재함으로 인해 야기된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진폭비교기(447)에 의해 공급되는 출력비트는 멀티플렉서(261)를 그의 제3상태에서 동작할 수 없게 제어하며, 그 결과 제2선형 결합기(262)로부터 출력되는 포스트코딩된 심볼디코딩결과들의 선택을 해제시켜 상기 중간 심볼디코딩결과들이 멀티플렉서(261)로부터 최종 심볼디코딩결과들로서 출력되지 않게 한다.
대역폭선택필터(441)는 제3지연기(442)의 지연길이에 따라 그리고 진폭검출기(445),(446)의 설계에 따라 사용이 필요치 않을 수도 있고 심지어는 바람직하지 않을 수도 있다. 진폭검출기(445),(446)는 포락선 검출기로서 작용하는 대신에 파일럿 반송파 강도로부터 추측되는 심볼 코드 레벨들로부터 그들의 입력신호들의 퇴거(departure) 에너지를 검출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대역폭선택필터(441)는 사용되지 않을 것이다. 만일 NTSC 사운드 반송파의 아티팩트들의 제거가 잘 이루어지지 않게, 그러나 NTSC 비디오 반송파 및 칼라 부반송파의 아티팩트들의 제거는 잘 이루어지게 제3지연기(442)의 지연길이가 정해진 경우, 그리고 진폭검출기(445),(446)들이 포락선 검출기들인 경우에는 상기 대역폭선택필터(441)는 도 7, 도 9, 도 11, 도 13,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단주파수가 약 5.4MHz보다 크지 않게 되어 있는 유한 임펄스 응답(finite-impulse-response)(FIR)형 디지털 저역통과 필터(4410)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 3은 동일채널 NTSC간섭을 억제하기 위해 콤 필터링이 사용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도 1의 DTV신호 수신기의 등화과정들이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자는 기저대 심볼 코딩시 동일채널 NTSC간섭 아티팩트들이 존재할 경우 등화필터 커널계수(kernel coefficient)들의 계산시 그러한 아티팩트들을 무효화시키기 위한 특수한 조처를 행하지 않고서는 상기 계산에 에러가 발생하게 된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초기단계(S1)에서 도 1의 DTV신호 수신기에 구비된 복소수 복조기(14)에 의해 디지털 텔레비젼 신호들의 복소수 복조를 연속적으로 행하여 수신 I-채널 기저대신호 및 그 수신 I-채널 기저대신호와 직교관계를 갖는 수신 Q-채널 기저대신호를 분리시킨다. 상기 초기단계(S1)와 마찬가지로 도 1의 DTV신호 수신기에 구비된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44)에 의해 연속적으로 행해지는 결정단계(S2)에서는 수신 Q-채널 기저대신호에 상당한 양의 동일채널 NTSC간섭이 동반되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여기서, 수신 Q-채널 기저대신호에 상당한 양의 동일채널 NTSC간섭이란 트렐리스 디코딩에 후속되는 2차원 리드솔로몬 디코딩의 에러정정능력을 상당히 저감시킬 정도로 에러를 트렐리스 디코딩중에 발생시키게 하여 정상적인 노이즈 수신 상태에서 궁극적으로 복원된 데이터내에 상당한 갯수의 비트에러들이 포함되게 하는 레벨을 갖는 동일채널 NTSC간섭을 의미한다. 특정 구성으로 설계된 DTV신호 수신기의 경우 상기와 같은 상당한 양의 동일채널 NTSC간섭은 원형에 대한 실험을 통해 쉽게 결정할 수 있다.
만일 결정단계(S2)에서 수신 Q-채널 기저대신호에 상당한 양의 동일채널 NTSC 간섭이 동반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면 디지털 등화 필터의 응답신호를 상기 I-채널 기저대신호와 등화시키도록 상기 디지털 등화 필터의 커널 가중치를 조정하는 단계(S3)와, 상기 단계(S3)에서 얻어진 등화 필터 응답신호를 심볼 디코딩하는 후속 단계(S4)를 행하여 단계(S5)에서 사용되는 심볼 디코딩 결과를 발생시킨다. 심볼 디코딩 결과에 포함되어 있는 에러를 정정하도록 상기 심볼 디코딩 결과를 트렐리스 디코딩하는 단계(S5)에 후속하여 상기 트렐리스 디코딩 결과에 포함된 에러들을 정정하도록 상기 트렐리스 디코딩 결과를 리드솔로몬 디코딩하는 단계(S6)와, 리드솔로몬 디코딩 결과를 디포맷팅(deformatting)하는 단계(S7)를 행한다.
만일 결정단계(S2)에서 수신 Q-채널 기저대신호에 상당한 양의 동일채널 NTSC 간섭이 동반되는 것으로 결정되면 콤 필터링된 수신 I-채널 기저대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수신 I-채널 기저대신호를 콤 필터링시키는 단계(S8)를 행한다. 단계(S9)에서는 캐스케이드형 디지털 등화 필터 및 콤 필터의 응답신호를 그러한 필터 캐스캐이드를 위한 이상적인 응답신호에 일치시키기 위해 상기 디지털 등화 필터의 커널 가중치들을 조정한다. 그 뒤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필터 캐스캐이드 응답신호를 심볼 디코딩하는 단계(S10)를 행하고, 그에 이어 트렐리스 디코딩 단계(S5)에서 사용할 정정된 심볼 디코딩 결과를 얻도록 상기 심볼 디코딩 응답신호를 포스트 코딩시키는 단계(S11)를 행한다. 이 경우에도 트렐리스 디코딩 단계(S5)에 후속하여 트렐리스 디코딩 결과에 포함된 에러들을 정정하기 위한 리드솔로몬 디코딩 단계(S6)와, 리드솔로몬 디코딩 결과를 디포맷팅시키는 단계(S7)를 당연히 행한다.
디지털 등화 필터 응답신호를 등화시키는 단계(S3)에서 디지털 등화필터의 커널 가중치들을 조정하는데 사용하는 부차적인 방법은 종래기술에서 사용한 디지털 등화필터의 가중치 조정 방법과 유사하다. 상기의 조정은 수신된 데이터 필드 동기 코드 또는 그의 소정 부분의 이산 푸리에 변환(DFT)계수를 계산하고, 그 계산된 DFT계수를 이상적인 데이터필드 동기코드 또는 그의 소정의 부분의 DFT계수로 나눔으로써 DTV 전송채널의 DFT계수를 결정하여 행할 수 있다. 상기 DTV 전송채널의 DFT계수는 상기 채널을 특징화시키도록 최대항(들)에 관련하여 정규화되고, 상기 디지털 등화필터의 커널 가중치들이 상기 채널을 특징화시키는 상기 정규화된 DFT계수를 보완하도록 선택되게 된다. 이러한 조정방법은 일례로 "METHODS FOR OPERATING GHOST-CANCELATION CIRCUITRY FOR TV RECEIVER OR VIDEO RECORDER"란 명칭으로 1994년 7월 19일자로 특허 허여된 씨.비. 파텔(C.B. Patel)제씨의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 5,331,416 호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본 방법은 디지털 등화필터의 커널 가중치들의 초기 조종에 적합한데, 그 이유는 상기의 초기 조정이 적응형 등화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쉽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디지털 등화필터의 커널 가중치들의 초기 조정후에는 적응형 등화방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APID-UPDATE ADAPTIVE CHANNEL-EQUALIZATION FILTERING FOR DIGITAL RADIO RECEIVERS, SUCH AS HDTV RECEIVERS"란 명칭으로 1997년 7월 15일자로 특허 허여된 제이. 양(J. Yang)제씨의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 5,648,987 호에는 적응형 등화를 행하기 위한 블록 LMS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DYNAMICALLY ADAPTIVE EQUALIZER SYSTEM AND METHOD"란 명칭으로 1997년 4월 4일자로 출원된 에이. 엘. 알. 림버그(A. L. R. Limberg)의 미합중국 특허출원번호 제 08/832,674 호에는 적응형 등화를 행하기 위한 연속 블록 LMS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단계(S9)에서는 상기 캐스캐이드형 디지털 등화 필터 및 콤 필터의 응답신호를 그러한 필터 캐스캐이드를 위한 이상적인 응답신호에 일치시키기 위해 상기 디지털 등화필터의 커널 가중치들을 조정하는 상기 부차적인 방법을 특히 적응형 등화로의 절환에 앞서 신속한 초기 등화를 행할 시 DFT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상기의 조정은 NTSC 아티팩트들을 제거하기 위한 콤 필터(20)에 의해 콤 필터링된 상태의 수신된 데이터 필드 동기 코드 또는 그의 소정의 부분의 DFT계수를 계산하고 그 계산된 DFT계수를 콤 필터링된 상태의 이상적인 데이터필드 동기코드 또는 그의 소정 부분의 DFT계수로 나눔으로써 DTV 전송채널의 DFT계수를 결정하여 행할 수 있다. 상기 DTV 전송채널의 DFT계수는 상기 채널을 특징화시키도록 최대항(들)에 관련하여 정규화되고, 상기 디지털 등화 필터의 커널 가중치들이 상기 채널을 특징화시키는 상기 정규화된 DFT계수를 보완하도록 선택되게 된다. 상기 디지털 등화 필터의 커널 가중치들의 초기 조정후에는 바람직하게 적응형 등화방법이 사용된다. 이러한 적응형 등화방법들은 NTSC 동일채널 간섭 아티팩트들이 중요치 않을 경우 사용되는 적응형 등화방법들과 비교할 때 NTSC 아티팩트들을 제거하기 위한 콤 필터(20)를 사용함에 따라 가능한 유효 신호상태들의 수가 하나 적은 2배로 된다는 점에서 다르게 되어 있다.
도 4는 상기 NTSC제거 콤 필터(20)의 일종인 NTSC제거 콤 필터(120)와, 상기 포스트 코딩 콤 필터(26)의 일종인 포스트코딩 콤 필터(126)를 사용하는 도 1의 DTV신호 수신기의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상기 NTSC제거 콤 필터(120)에서는 감산기(1202)가 상기 제1선형 결합기로서 작용하며, 상기 포스트코딩 콤 필터(126)에서는 모듈로-8 가산기(1262)가 상기 제2선형 결합기로서 작용한다. 상기 NTSC제거 콤 필터(120)는 12회의 심볼기간들에 해당하는 지연을 나타내는 제1지연기(1201)를 사용하며, 상기 포스트코딩 콤 필터(126)는 12회의 심볼기간들에 해당하는 지연을 나타내는 제2지연기(1263)라 칭함)를 사용한다. 상기 지연기(1201),(1263)의 각각에 의해 나타나는 12-심볼 지연은 아날로그 TV 수평주사 주파수 fH의 59.75배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갖는 아날로그 TV 비디오 반송파의 아티팩트의 1회의 사이클 지연과 거의 같다. 상기 12-심볼 지연은 fH의 287.25배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갖는 아날로그 TV 색차 부반송파의 아티팩트의 5회의 사이클과 거의 같다. 상기 12-심볼 지연은 fH의 345.75배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갖는 아날로그 TV 사운드 반송파의 아티팩트의 6회의 사이클과 거의 같다. 이것은 상기 오디오 반송파, 상기 비디오 반송파, 그리고 제1지연기(1201)에 의해 미분 지연된 색차 부반송파에 근접하는 주파수에 대한 감산기(1202)의 감산 결합된 응답신호가 감소된 동일채널 간섭을 갖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에지가 수평주사선과 교차하는 비디오 신호 부분들에서는 수평공간방향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거리들에서 상기 아날로그 TV 비디오 신호의 상관정도는 아주 낮다.
멀티플렉서(261)의 일종인 멀티플렉서(1261)는 데이터슬라이서(22)의 출력신호에 정정 불가능한 에러를 존재시키기에 충분치 않은 NTSC 동일채널 간섭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될 때 대부분 제2상태에 있게 되고 데이터슬라이서(22)의 출력신호에 정정 불가능한 에러를 존재시키기에 충분한 NTSC 동일채널 간섭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될 때 대부분 제3상태에 있게 되는 멀티플렉서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멀티플렉서(1261)는 제3상태에 있는 그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지연기(1263)에 의해 12회의 심볼기간들만큼 지연된 상태에 있는 가산기(1262)의 모듈로-8 합 결과를 가산기(1262)에 피가수로서 궤환시킨다. 이것은 단일 에러가 매 12회 심볼기간마다 다시 발생하는 연속에러로서 전파되게 되는 모듈식 누적(modular accumulation)과정이다. 포스트코딩 콤 필터(126)로부터 출력되는 포스트코딩된 심볼 디코딩 결과에 존재하는 연속에러들은 필드동기를 포함하는 각 데이터 세그먼트의 전 기간동안은 물론이고, 각 데이터 세그먼트의 시작 시 4회의 심볼 기간동안 제1상태로 유지되는 멀티플렉서(1261)에 의해 감소하게 된다. 상기 제어신호가 제1상태에 있으면, 멀티플렉서(1261)는 제어기(28)내의 메모리로부터 공급되는 이상적인 심볼디코딩 결과를 출력신호로서 재생시킨다. 멀티플렉서(1261)의 출력신호에 이상적인 심볼디코딩 결과를 도입함으로써 연속에러의 발생이 정지된다. 데이터 세그먼트당 "4 + 69(12)"개의 심볼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이상적인 심볼 디코딩 결과는 각 데이터 세그먼트의 위상을 4회의 심볼기간만큼 슬립백(slip back)시키고, 그 결과 3개의 데이터 세그먼트들을 초과하는 기간동안 연속에러가 지속될 수는 없다.
도 5는 노드(440)에 직접적으로 인가되는 심볼 동기화 및 등화회로(16)로부터의 Q-채널 신호에 대해 12-심볼 지연을 제공하는 제3지연기(1442)가 내장되어 있는, 도 2의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44)의 일종인 NTSC 동일채널 간섭검출기(144)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상기 제3선형결합기는 NTSC 동일채널 간섭 응답 아티팩트들이 제거된 상태에서 진폭 검출기(445)에 공급되는 콤 필터 응답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심볼 동기화 및 등화회로(16)로부터 출력되는 미분지연된 Q-채널 신호를 감산 결합시키는 디지털 감산기(1443)이다. 상기 제4선형결합기는 NTSC 동일채널 간섭 응답 아티팩트들이 선택된 상태에서 진폭 검출기(445)에 공급되는 콤 필터 응답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미분지연된 Q-채널 신호를 가산 결합시키는 디지털 가산기(1444)이다. 이 NTSC 동일채널 간섭검출기(144)는 특히 NTSC제거 콤 필터(20)의 일종인 NTSC제거 콤 필터(120)와 포스트 코딩 콤 필터(26)의 일종인 포스트 코딩 콤 필터(126)를 사용할 경우 도 1의 DTV신호 수신기에 사용하는데 아주 적합하다. 감산기(1443)를 사용한 콤 필터링에 의해 NTSC 오디오 반송파, NTSC 비디오 반송파 및 NTSC 칼라 부반송파로부터 발생되는 아티팩트들이 제거되기 때문에 노드(440)의 전단에 대역폭선택필터(441)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도 6은 상기 NTSC제거 콤 필터(20)의 일종인 NTSC제거 콤 필터(220)와, 상기 포스트코딩 콤 필터(26)의 일종인 포스트 코딩 콤 필터(226)를 사용하는 도 1의 DTV신호 수신기의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상기 NTSC제거 콤 필터(220)는 6회의 심볼기간들에 해당하는 지연을 나타내는 제 1 지연기(2201)를 사용하며, 상기 포스트 코딩 콤 필터(226)는 6회의 심볼기간들에 해당하는 지연을 나타내는 제2지연기(2263)를 사용한다. 상기 지연기(2201),(2263)의 각각에 의해 나타나는 6-심볼 지연은 아날로그 TV 수평주사 주파수 fH의 59.75배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갖는 아날로그 TV 비디오 반송파의 아티팩트의 0.5회의 사이클 지연과 거의 같으며, fH의 287.25배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갖는 아날로그 TV 색차 부반송파의 아티팩트의 2.5회의 사이클과 거의 같으며, fH의 345.75배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갖는 아날로그 TV 사운드 반송파의 아티팩트의 3회의 사이클과 거의 같다. 상기 NTSC제거 콤 필터(220)에서는 가산기(2202)가 상기 제1선형 결합기로서 작용하며, 상기 포스트 코딩 콤 필터(226)에서는 모듈로-8 감산기(2262)가 상기 제2선형 결합기로서 작용한다. 비록 아날로그 TV 반송파 주파수로부터 변환된 0에 가까운 주파수(nulls near frequency)들이 보다 협대역을 갖긴 하지만 지연기(2201),(2263)에 의해 나타나는 지연이 지연기(1201),(1263)에 의해 나타나는 지연보다 짧기 때문에, 감산기(1202)에 의해 감산 결합된 신호들에서 상관성이 좋게 되는 경향보다 가산기(2202)에 의해 가산 결합된 신호들에서 상관성이 좋게 되는 경향이 더욱 크게 된다. 사운드 반송파의 억제는 NTSC제거 콤 필터(120)의 응답신호에서 보다 NTSC제거 콤 필터(220)의 응답신호에서 빈약하게 이루어진다. 그러나, 동일채널 간섭성 아날로그 TV신호의 사운드 반송파가 SAW필터링 또는 IF 증폭기체인(12)의 사운드 트랩에 의해 억제되었다면, 콤 필터(220)의 빈약한 사운드 제거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도 4의 NTSC제거 콤 필터(120)를 사용할 경우보다 도 6의 NTSC제거 콤 필터(220)를 사용할 경우 동기팁들에 대한 응답기간이 감소되고, 따라서 트렐리스 디코딩 및 리드솔로몬 디코딩시 에러 정정을 방해하는 경향이 대체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멀티플렉서(261)의 일종인 멀티플렉서(2261)는 데이터슬라이서(22)의 출력신호에 정정 불가능한 에러를 존재시키기에 충분치 않은 NTSC 동일채널 간섭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될 때 대부분 제2상태에 있게 되고, 데이터슬라이서(22)의 출력신호에 정정 불가능한 에러를 존재시키기에 충분한 NTSC 동일채널 간섭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될 때 대부분 제3상태에 있게 되는 멀티플렉서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멀티플렉서(2261)는 제3상태에 있는 그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지연기(2263)에 의해 6회의 심볼기간들만큼 지연된 상태에 있는 가산기(2262)의 모듈로-8 합 결과를 가산기(2262)에 피가수로서 궤환시킨다. 이것은 단일 에러가 매 6회 심볼기간마다 다시 발생하는 연속에러로서 전파되게 되는 모듈식 누적과정이다. 포스트 코딩 콤 필터(226)로부터 출력되는 포스트 코딩된 심볼 디코딩 결과에 존재하는 연속에러들은 필드동기를 포함하는 각 데이터 세그먼트의 전 기간동안은 물론이고, 각 데이터 세그먼트의 시작시 4회의 심볼 기간동안 제1상태로 유지되는 멀티플렉서(2261)에 의해 감소하게 된다. 상기 제어신호가 제1상태에 있으면, 멀티플렉서(2261)는 제어기(28)내의 메모리로부터 공급되는 이상적인 심볼디코딩 결과를 출력신호로서 재생시킨다. 멀티플렉서(2261)의 출력신호에 이상적인 심볼디코딩 결과를 도입함으로써 연속에러의 발생이 정지된다. 데이터 세그먼트당 "4 + 138(6)"개의 심볼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이상적인 심볼 디코딩 결과는 각 데이터 세그먼트의 위상을 4회의 심볼기간만큼 슬립백(slip back)시키고, 그 결과 3개의 데이터 세그먼트들을 초과하는 기간동안 연속에러가 지속될 수는 없다. 상기 포스트 코딩 콤 필터(226)에서는 포스트 코딩 콤 필터(126)에 비교하여 연속에러의 반복이 잦으며 그 연속에러가 상기 12개의 인터리빙된 트렐리스코드들의 대부분과 같이 두배에 해당하는 영향을 주기는 하지만, 상기 포스트 코딩 콤 필터(226)에서 발생하는 연속에러 기간의 연장경향은 포스트 코딩 콤 필터(126)에서 발생하는 연속에러 기간의 연장경향보다 대체로 작다.
도 7은 노드(440)에 인가되는 Q-채널 신호에 대해 6-심볼 지연을 제공하는 제3지연기(2442)가 내장되어 있는, 도 2의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44)의 일종인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244)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상기 제3선형결합기는 NTSC 동일채널 간섭 응답 아티팩트들이 제거된 상태에서 진폭 검출기(445)에 공급되는 콤 필터 응답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미분지연된 Q-채널 신호를 가산 결합시키는 디지털 가산기(2443)이다. 상기 제4선형결합기는 NTSC 동일채널 간섭 응답 아티팩트들이 선택된 상태에서 진폭 검출기(446)에 공급되는 콤 필터 응답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심볼 동기화 및 등화회로(16)로부터 출력되는 미분지연된 Q-채널 신호를 감산 결합시키는 디지털 감산기(2444)이다. 이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244)는 특히 NTSC제거 콤 필터(20)의 일종인 NTSC제거 콤 필터(220)와 포스트 코딩 콤 필터(26)의 일종인 포스트 코딩 콤 필터(226)를 사용할 경우 도 1의 DTV신호 수신기에 사용하는데 아주 적합하다.
도 8은 상기 NTSC제거 콤 필터(20)의 일종인 NTSC제거 콤 필터(320)와, 상기 포스트 코딩 콤 필터(26)의 일종인 포스트 코딩 콤 필터(326)를 사용하는 도 1의 DTV신호 수신기의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상기 NTSC제거 콤 필터(320)는 1368회의 심볼기간들에 해당하는 지연, 즉 아날로그 TV신호의 2개의 수평주사선들의 기간과 대체로 동일한 지연을 나타내는 제1지연기(3201)를 사용하며, 상기 포스트 코딩 콤 필터(326)는 상기 NTSC제거 콤 필터(320)와 같은 지연을 나타내는 제2지연기(3263)를 사용한다. 상기 NTSC제거 콤 필터(320)의 제1선형결합기는 가산기(3202)이고, 상기 포스트 코딩 콤 필터(326)의 제2선형결합기는 모듈로-8 감산기(3262)이다.
멀티플렉서(261)의 일종인 멀티플렉서(3261)는 데이터슬라이서(22)의 출력신호에 정정 불가능한 에러를 존재시키기에 충분치 않은 NTSC 동일채널 간섭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될 때 대부분 제 2 상태에 있게 되고, 데이터슬라이서(22)의 출력신호에 정정 불가능한 에러를 존재시키기에 충분한 NTSC 동일채널 간섭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될 때 대부분 제 3 상태에 있게 되는 멀티플렉서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DTV신호 수신기는 바람직하게 교번 주사선들사이에서 발생하는 NTSC 동일채널 간섭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하고 있고, 이에 따라 그러한 변화 검출시 제어기(28)는 상기 멀티플렉서(3261)의 제3상태 제어신호의 공급을 보류할 수 있다.
상기 멀티플렉서(3261)는 제3상태에 있는 그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지연기(3263)에 의해 1368회의 심볼기간들만큼 지연된 상태에 있는 가산기(3262)의 모듈로-8 합 결과를 가산기(3262)에 피가수로서 궤환시킨다. 이것은 단일 에러가 매 1368회 심볼기간마다 다시 발생하는 연속에러로서 전파되게 되는 모듈식 누적과정이다. 이 심볼코드 기간은 리드솔로몬 코드의 단일 블록의 기간보다 길고, 따라서 단일 연속에러는 리드솔로몬 디코딩 중에 쉽게 정정된다. 포스트 코딩 콤 필터(326)로부터 출력되는 포스트 코딩된 심볼 디코딩 결과에 존재하는 연속에러들은 필드동기를 포함하는 각 데이터 세그먼트의 시작 시 4회의 심볼 기간동안은 물론이고 각 데이터 세그먼트의 전 기간동안 제1상태로 유지되는 멀티플렉서(3261)에 의해 감소하게 된다. 상기 제어신호가 제1상태에 있으면, 멀티플렉서(3261)는 제어기(28)내의 메모리로부터 공급되는 이상적인 심볼디코딩 결과를 출력신호로서 재생시킨다. 멀티플렉서(3261)의 출력신호에 이상적인 심볼디코딩 결과를 도입함으로써 연속에러의 발생이 정지된다. NTSC 비디오필드의 16.67 밀리초 기간은 DTV 데이터필드의 24.19 밀리초 기간에 대해 위상 슬리패지(phase slippage)를 나타내고, 따라서 필드동기를 포함하는 DTV 데이터 세그먼트들은 궁극적으로 NTSC 프레임 레스터 전체를 주사하게 된다. NTSC 프레임 래스터의 525 라인들 각각은 684회의 심볼기간들을 포함하고 있고, 따라서 NTSC 프레임 래스터에는 총 359,100회의 심볼기간들이 포함된다. 이것은 필드동기를 포함하는 DTV 데이터세그먼트의 832회의 심볼기간들의 432배보다 다소 적기 때문에, 432개의 데이터필드들보다 긴 기간동안의 연속에러들이 필드동기를 포함하는 DTV 데이터세그먼트들의 기간동안 이상적인 심볼디코딩 결과들을 재생하는 멀티플렉서(3261)에 의해 제거되게 될 것이라는 것을 누구나 확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시작코드군들과 관련하여 이상적인 심볼디코딩결과들이 얻어질 수 있는 데이터세그먼트들과 NTSC 비디오 주사선들사이에 위상 슬리패지가 존재한다. 시작코드군에서의 4회의 심볼기간들의 89,775배에 해당하는 359,100회의 심볼기간들이 89,775개의 연속 데이터세그먼트들의 기간중에 주사된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DTV 데이터필드당 313개의 데이터세그먼트가 존재하기 때문에 287개의 데이터필드들보다 긴 기간동안의 연속에러들이 시작코드군들의 기간 중에 이상적인 심볼디코딩결과들을 재생하는 멀티플렉서(3261)에 의해 제거되게 될 것이라는 것을 누구나 확신할 수 있을 것이다. 연속에러들의 두 억제원들은 당연히 서로 독립되어 있고, 따라서 200개 정도의 데이터필드들의 기간보다 긴 기간 동안의 연속에러들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만일 NTSC 동일채널 간섭이 멀티플렉서(3261)를 그의 출력신호로서 데이터슬라이서(22)의 응답신호를 재생시킬 수 있게 제어하도록 연속에러가 반복되는 시점에서 감소한다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조기에 에러정정이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도 8의 NTSC제거 콤 필터(320)는 아날로그 TV 수직동기펄스들과 등화펄스들에 대한 응답신호에서 발생되는 복조 아티팩들의 대부분을 억제하는데는 물론이고 아날로그 TV 수평동기펄스들에 대한 응답신호에서 발생되는 복조 아티팩트들을 억제하는데 아주 적합하다. 이러한 아티팩트들은 가장 큰 에너지를 갖는 동일채널 간섭이다. 상기 NTSC제거 콤 필터(320)는 아날로그 TV 신호의 비디오 부분에 두 주사선 기간에 걸쳐 주사선간 변화가 존재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기 비디오 부분을 그의 칼라에 무관하게 적절히 억제시킨다. 심볼 동기화 및 등화회로(16)에 구비된 트랙킹제거필터에 의해 아날로그 TV신호의 FM 오디오 반송파가 억제되지 않은 경우, 상기 FM 오디오 반송파를 억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NTSC제거 콤 필터(320)의 응답신호에서는 또한 대부분의 아날로그 TV 칼라버스트들의 아티팩트들이 억제된다. 또한 NTSC제거 콤 필터(320)에 의해 제공되는 필터링은 트렐리스 디코딩과정들에 포함되는 NTSC 간섭 제거에 대해 "직교성"을 갖는다.
도 9는 노드(440)에 인가되는 Q-채널 신호에 대해 1368 심볼기간들에 해당하는 2-비디오라인 지연을 제공하는 제3지연기(3442)가 내장되어 있는, 도 2의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44)의 일종인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344)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상기 제3선형결합기는 NTSC 동일채널 간섭 응답 아티팩트들이 제거된 상태에서 진폭 검출기(445)에 공급되는 콤 필터 응답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미분지연된 Q-채널 신호를 가산 결합시키는 디지털 가산기(3443)이다. 상기 제4선형결합기는 NTSC 동일채널 간섭 응답 아티팩트들이 선택된 상태에서 진폭 검출기(446)에 공급되는 콤 필터 응답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심볼 동기화 및 등화회로(16)로부터 출력되는 미분지연된 Q-채널 신호를 감산 결합시키는 디지털 감산기(3444)이다. 이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344)는 특히 NTSC제거 콤 필터(20)의 일종인 NTSC제거 콤 필터(320)와 포스트 코딩 콤 필터(26)의 일종인 포스트 코딩 콤 필터(326)를 사용할 경우 도 1의 DTV신호 수신기에 사용하는데 아주 적합하다.
도 10은 상기 NTSC제거 콤 필터(20)의 일종인 NTSC제거 콤 필터(420)와, 상기 포스트 코딩 콤 필터(26)의 일종인 포스트 코딩 콤 필터(426)를 사용하는 도 1의 DTV신호 수신기의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상기 NTSC제거 콤 필터(420)는 179,208회의 심볼기간들에 해당하는 지연, 즉 아날로그 TV신호의 262개의 수평주사선들의 기간과 대체로 동일한 지연을 나타내는 제1지연기(4201)를 사용하며, 상기 포스트 코딩 콤 필터(426)는 상기 NTSC제거 콤 필터(420)와 같은 지연을 나타내는 제2지연기(4263)를 사용한다. 상기 NTSC제거 콤 필터(420)의 제1선형결합기는 가산기(4202)이고, 상기 포스트 코딩 콤 필터(426)의 제2선형결합기는 모듈로-8 감산기(4262)이다.
멀티플렉서(261)의 일종인 멀티플렉서(4261)는 홀수레벨 데이터슬라이서(22)의 출력신호에 정정 불가능한 에러를 존재시키기에 충분치 않은 NTSC 동일채널 간섭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될 때 대부분 제 2 상태에 있게 되고, 홀수레벨 데이터슬라이서(22)의 출력신호에 정정 불가능한 에러를 존재시키기에 충분한 NTSC 동일채널 간섭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될 때 대부분 제 3 상태에 있게 되는 멀티플렉서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DTV신호 수신기는 바람직하게 NTSC 동일채널 간섭의 필드간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하고 있고, 이에 따라 그러한 변화 검출시 제어기(28)는 상기 멀티플렉서(4261)의 제3상태 제어신호의 공급을 보류할 수 있다.
상기 멀티플렉서(4261)는 제3상태에 있는 그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지연기(4263)에 의해 179,208회의 심볼기간들만큼 지연된 상태에 있는 가산기(4262)의 모듈로-8 합 결과를 가산기(4262)에 피가수로서 궤환시킨다. 이것은 단일 에러가 매 179,208회 심볼기간마다 다시 발생하는 연속에러로서 전파되게 되는 모듈식 누적과정이다. 이 심볼코드 기간은 리드솔로몬 코드의 단일 블록의 기간보다 길고, 따라서 단일 연속에러는 리드솔로몬 디코딩중에 쉽게 정정된다. 포스트 코딩 콤 필터(426)로부터 출력되는 포스트 코딩된 심볼 디코딩 결과에 존재하는 연속에러들은 필드동기를 포함하는 각 데이터 세그먼트의 시작 시 4회의 심볼 기간동안은 물론이고, 각 데이터 세그먼트의 전 기간동안 제1상태로 유지되는 멀티플렉서(4261)에 의해 감소하게 된다. 상기 제어신호가 제1상태에 있으면 멀티플렉서(4261)는 제어기(28)내의 메모리로부터 공급되는 이상적인 심볼디코딩 결과를 출력신호로서 재생시킨다. 멀티플렉서(4261)의 출력신호에 이상적인 심볼디코딩 결과를 도입함으로써 연속에러의 발생이 정지된다. 멀티플렉서(4261)의 출력신호내의 연속에러를 제거하는데 요구되는 최대 데이터필드 수는 멀티플렉서(3261)의 출력신호내의 연속에러를 제거하는데 요구되는 최대 데이터필드 수와 대체로 동일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상기 기간 중에 에러가 반복되는 횟수는 131의 인수만큼 적게 된다.
도 10의 NTSC제거 콤 필터(420)는 아날로그 TV 수평동기펄스들에 대한 응답신호에서 발생되는 모든 복조 아티팩들을 억제하는데는 물론이고 아날로그 TV 수직동기펄스들 및 등화펄스들에 대한 응답신호에서 발생되는 복조 아티팩트들의 대부분을 억제하는데 아주 적합하다. 이러한 아티팩트들은 가장 큰 에너지를 갖는 동일채널 간섭이다. 상기 NTSC제거 콤 필터(420)는 필드간 또는 라인간 변화가 없는 아날로그 TV신호의 비디오 부분에서 발생하는 아티팩트들을 억제하여 그들의 수평공간주파수 또는 칼라에 무관하게 고정패턴들을 제거시킨다. 상기 NTSC제거 콤 필터(420)의 응답신호에서는 또한 대부분의 아날로그 TV 칼라버스트들의 아티팩트들이 억제된다.
도 11은 노드(440)에 인가되는 Q-채널 신호에 대해 179,208회의 심볼기간들에 해당하는 262-비디오라인 지연을 제공하는 제3지연기(4442)가 내장되어 있는, 도 2의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44)의 일종인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444)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상기 제3선형결합기는 NTSC 동일채널 간섭 응답 아티팩트들이 제거된 상태에서 진폭 검출기(445)에 공급되는 콤 필터 응답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미분지연된 Q-채널 신호를 가산 결합시키는 디지털 가산기(4443)이다. 상기 제4선형결합기는 NTSC 동일채널 간섭 응답 아티팩트들이 선택된 상태에서 진폭 검출기(446)에 공급되는 콤 필터 응답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심볼 동기화 및 등화회로(16)로부터 출력되는 미분지연된 Q-채널 신호를 감산 결합시키는 디지털 감산기(4444)이다. 이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444)는 특히 NTSC제거 콤 필터(20)의 일종인 NTSC제거 콤 필터(420)와 포스트 코딩 콤 필터(26)의 일종인 포스트 코딩 콤 필터(426)를 사용할 경우 도 1의 DTV신호 수신기에 사용하는데 아주 적합하다.
도 12는 상기 NTSC제거 콤 필터(20)의 일종인 NTSC제거 콤 필터(520)와, 상기 포스트 코딩 콤 필터(26)의 일종인 포스트 코딩 콤 필터(526)를 사용하는 도 1의 DTV신호 수신기의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상기 NTSC제거 콤 필터(520)는 718,200회의 심볼기간들에 해당하는 지연, 즉 아날로그 TV신호의 2개의 프레임들의 기간과 대체로 동일한 지연을 나타내는 제1지연기(5201)를 사용하며, 상기 포스트 코딩 콤 필터(526)는 상기 NTSC제거 콤 필터(520)와 같은 지연을 나타내는 제2지연기(5261)를 사용한다. 상기 NTSC제거 콤 필터(520)의 제1선형결합기로는 감산기(5202)가 사용되고, 상기 포스트 코딩 콤 필터(526)의 제2선형결합기로는 모듈로-8 가산기(5262)이다.
멀티플렉서(261)의 일종인 멀티플렉서(5261)는 데이터슬라이서(22)의 출력신호에 정정 불가능한 에러를 존재시키기에 충분치 않은 NTSC 동일채널 간섭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될 때 대부분 제2상태에 있게 되고, 데이터슬라이서(22)의 출력신호에 정정 불가능한 에러를 존재시키기에 충분한 NTSC 동일채널 간섭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될 때 대부분 제3상태에 있게 되는 멀티플렉서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DTV신호 수신기는 바람직하게 교번 프레임들사이에서 발생하는 NTSC 동일채널 간섭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하고 있고, 이에 따라 그러한 변화 검출시 제어기(28)는 상기 멀티플렉서(5261)의 제3상태 제어신호의 공급을 보류할 수 있다.
상기 멀티플렉서(5261)는 제3상태에 있는 그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지연기(5263)에 의해 718,200회의 심볼기간들만큼 지연된 상태에 있는 가산기(5262)의 모듈로-8 합 결과를 가산기(5262)에 피가수로서 궤환시킨다. 이것은 단일 에러가 매 718,200회 심볼기간마다 다시 발생하는 연속에러로서 전파되게 되는 모듈식 누적과정이다. 이 심볼코드 기간은 리드솔로몬 코드의 단일 블록의 기간보다 길고, 따라서 단일 연속에러는 리드솔로몬 디코딩 중에 쉽게 정정된다. 포스트 코딩 콤 필터(526)로부터 출력되는 포스트 코딩된 심볼 디코딩 결과에 존재하는 연속에러들은 필드동기를 포함하는 각 데이터 세그먼트의 시작 시 4회의 심볼 기간동안은 물론이고, 각 데이터 세그먼트의 전 기간동안 제1상태로 유지되는 멀티플렉서(5261)에 의해 감소하게 된다. 상기 제어신호가 제1상태에 있으면, 멀티플렉서(5261)는 제어기(28)내의 메모리로부터 공급되는 이상적인 심볼디코딩 결과를 출력신호로서 재생시킨다. 멀티플렉서(5261)의 출력신호에 이상적인 심볼디코딩 결과를 도입함으로써 연속에러의 발생이 정지된다. 멀티플렉서(5261)의 출력신호내의 연속에러를 제거하는데 요구되는 최대 데이터필드 수는 멀티플렉서(3261)의 출력신호내의 연속에러를 제거하는데 요구되는 최대 데이터필드 수와 대체로 동일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상기 기간 중에 에러가 반복되는 횟수는 525의 인수만큼 적게 된다.
도 12의 NTSC제거 콤 필터(520)는 아날로그 TV 수평동기펄스들에 대한 응답신호에서 발생되는 모든 복조 아티팩들을 억제하는데는 물론이고, 아날로그 TV 수직동기펄스들 및 등화펄스들에 대한 응답신호에서 발생되는 복조 아티팩트들의 대부분을 억제하는데 아주 적합하다. 이러한 아티팩트들은 가장 큰 에너지를 갖는 동일채널 간섭이다. 상기 NTSC제거 콤 필터(520)는 두 프레임에 걸쳐 변화가 없는 아날로그 TV신호의 비디오 부분에서 발생하는 아티팩트들을 억제하여 그들의 수평공간주파수 또는 칼라에 무관하게 상기와 같은 매우 고정적인 패턴들을 제거시킨다. 상기 NTSC제거 콤 필터(520)의 응답신호에서는 또한 대부분의 아날로그 TV 칼라버스트들의 아티팩트들이 억제된다.
도 13은 노드(440)에 인가되는 Q-채널 신호에 대해 718,200회의 심볼기간들에 해당하는 2-비디오프레임 지연을 제공하는 제3지연기(5442)가 내장되어 있는, 도 2의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44)의 일종인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544)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상기 제3선형결합기는 NTSC 동일채널 간섭 응답 아티팩트들이 제거된 상태에서 진폭 검출기(445)에 공급되는 콤 필터 응답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미분지연된 Q-채널 신호를 가산 결합시키는 디지털 가산기(5443)이다. 상기 제4선형결합기는 NTSC 동일채널 간섭 응답 아티팩트들이 선택된 상태에서 진폭 검출기(446)에 공급되는 콤 필터 응답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심볼 동기화 및 등화회로(16)로부터 출력되는 미분지연된 Q-채널 신호를 감산 결합시키는 디지털 감산기(5444)이다. 이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544)는 특히 NTSC제거 콤 필터(20)의 일종인 NTSC제거 콤 필터(520)와 포스트 코딩 콤 필터(26)의 일종인 포스트 코딩 콤 필터(526)을 사용할 경우 도 1의 DTV신호 수신기에 사용하는데 아주 적합하다.
텔레비젼 시스템 설계 분야에서 숙련된 자라면 도 4, 도 6, 도 8, 도 10, 도 12에 도시된 바와 다른 형태의 NTSC제거 필터들의 설계 시 이용할 수 있는 아날로그 TV신호들의 기타 상관성 및 반 상관성을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종래 형태들을 갖는 두 NTSC제거 필터들을 캐스캐이드(cascade)시키는 NTSC제거 필터들을 사용하면 기저대신호들의 데이터레벨수가 "2N"개로부터 "8N-1"개로 증가하고, 그 결과 심볼 디코딩 중에 행하는 데이터 슬라이스처리에 어려움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필터들은 심볼디코딩에 대한 랜덤노이즈간섭에 관련된 신호 대 노이즈 비를 감소시키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특히 좋지 않은 동일채널간섭을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요구될 수도 있다. 동일채널간섭 검출기에서의 NTSC제거 및 선택을 개선하기 위해 필터들을 캐스캐이드시키면 그러한 필터 캐스캐이드에 관련하여 단점이 경감된다.
도 14에는 도 13의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544)의 변형 구성으로서 간주될 수 있는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44)의 일종인 동일채널간섭 검출기(644)에서의 NTSC제거 및 선택을 개선하기 위한 필터 캐스캐이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심볼 동기화 및 등화회로(16)로부터 출력되는 등화 Q-채널 신호에 대한 저역통과 FIR필터(4410)의 응답신호는 노드(440)에 인가된다. 최장의 지연을 필요로 하는 콤 필터부가 상기 캐스캐이드 구성의 가장 전단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NTSC제거 콤 필터와 NTSC선택 콤 필터들이 모두 동일한 최장 지연소자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하드웨어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도 13의 동일채널간섭 검출기(544)에서와 같이, 노드(440)의 신호는 도 14의 동일채널간섭 검출기(644)에 구비된 2-비디오프레임 지연기(5442)에 인가되게 되고, 그 결과 미분지연된 신호들이 가산기(5443)에 의해 가산 결합되고 감산기(5444)에 의해 감산 결합된다.
가산기(5443)로부터 출력되는 합 응답신호는 진폭검출기(445)에 공급되는 NTSC제거 콤 필터 응답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게 다시 NTSC제거 필터링 처리된다. 특히 지연기(6441)에 의해 가산기(5443)로부터 출력되는 합 응답신호에 대한 6-심볼 미분지연이 이루어지며, 이와 같이 하여 미분지연된 가산기(5443)의 합 응답신호는 진폭검출기(445)에 공급되는 NTSC제거 콤 필터 응답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게 디지털 가산기(6442)에 의해 가산 결합된다.
감산기(5444)로부터 출력되는 차 응답신호는 진폭검출기(446)에 공급되는 NTSC선택 콤 필터 응답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게 다시 NTSC제거 필터링 처리된다. 특히 지연기(6443)에 의해 감산기(5444)로부터 출력되는 차 응답신호에 대한 6-심볼 미분지연이 이루어지며, 이와 같이 하여 미분지연된 감산기(5444)의 차 응답신호는 진폭검출기(446)에 공급되는 NTSC선택 콤 필터 응답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게 디지털 감산기(6444)에 의해 가산 결합된다. 상기 진폭검출기(445)와 진폭검출기(446)에 의한 진폭검출결과들은 진폭비교기(447)에 의해 서로 비교된다. 상기 진폭비교기(447)는 진폭검출기(446)의 출력신호가 진폭검출기(445)의 출력신호보다 실질적으로 큰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출력비트를 발생시킨다. 이 출력비트는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44)로서 동일채널간섭 검출기(644)를 사용하는 도 1의 DTV신호 수신기에서 멀티플렉서(261)의 제2 및 제3 동작상태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동일채널간섭 검출기(644)에서의 캐스캐이드 필터링은 동기정보와 정적 비디오성분들로부터 발생하는 NTSC 아티팩트들을 억제할 수 있게 교번 NTSC 비디오 프레임들간의 일시적인 콤 필터링을 이용한다. 또한, 상기 동일채널간섭 검출기(644)에서의 캐스캐이드 필터링은 동적 비디오성분들로부터 발생하는 NTSC 아티팩트들을 억제할 수 있게 프레임내(intra-frame) 공간 콤 필터링을 이용한다.
도 15에는 도 13의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544)의 변형 구성으로서 간주될 수 있는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44)의 또 다른 일종인 동일채널간섭 검출기(744)에서의 NTSC제거 및 선택을 개선하기 위한 필터 캐스캐이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심볼 동기화 및 등화회로(16)로부터 출력되는 등화 Q-채널 신호는 노드(440)에 직접적으로 인가되고, 이 경우에는 콤 필터링의 제2단계에서 여하한 동일채널 간섭성 NTSC 아날로그 TV신호의 오디오 반송파의 아티팩트들을 억제시키기 때문에 디지털 저역통과 FIR필터(4410)가 필요치 않다. 도 13의 동일채널간섭 검출기(544)에서와 같이 노드(440)의 신호는 도 15의 동일채널간섭 검출기(644)에 구비된 2-비디오프레임 지연기(5442)에 인가되게 되고, 그 결과 미분지연된 신호들이 가산기(5443)에 의해 가산 결합되고 감산기(5444)에 의해 감산 결합된다.
가산기(5443)로부터 출력되는 합 응답신호는 진폭검출기(445)에 공급되는 NTSC제거 콤 필터 응답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게 다시 NTSC제거 필터링 처리된다. 특히 지연기(7441)에 의해 가산기(5443)로부터 출력되는 합 응답신호에 대한 12-심볼 미분지연이 이루어지며, 이와 같이 하여 미분지연된 가산기(5443)의 합 응답신호는 진폭검출기(445)에 공급되는 NTSC제거 콤 필터 응답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게 디지털 감산기(7442)에 의해 감산 결합된다.
감산기(5444)로부터 출력되는 차 응답신호는 진폭검출기(446)에 공급되는 NTSC선택 콤 필터 응답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게 다시 NTSC제거 필터링 처리된다. 특히 지연기(7443)에 의해 감산기(5444)로부터 출력되는 차 응답신호에 대한 12-심볼 미분지연이 이루어지며, 이와 같이 하여 미분지연된 감산기(5444)의 차 응답신호는 진폭검출기(446)에 공급되는 NTSC선택 콤 필터 응답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게 디지털 가산기(7444)에 의해 가산 결합된다. 상기 진폭검출기(445),(446)에 의한 진폭검출결과들은 진폭비교기(447)에 의해 서로 비교된다. 상기 진폭비교기(447)는 진폭검출기(446)의 출력신호가 진폭검출기(445)의 출력신호보다 실질적으로 큰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출력비트를 발생시킨다. 이 출력비트는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44)로서 동일채널간섭 검출기(744)를 사용하는 도 1의 DTV신호 수신기에서 멀티플렉서(261)의 제2 및 제3 동작상태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동일채널간섭 검출기(744)에서의 캐스캐이드 필터링은 동기정보와 정적 비디오성분들로부터 발생하는 NTSC 아티팩트들을 억제할 수 있게 교번 NTSC 비디오 프레임들간의 일시적인 콤 필터링을 이용한다. 또한, 상기 동일채널간섭 검출기(744)에서의 캐스캐이드 필터링은 오디오성분들과 동적 비디오성분들로부터 발생하는 NTSC 아티팩트들을 억제할 수 있게 프레임내(intra-frame) 공간 콤 필터링을 이용한다.
도 16에는 도 1의 DTV신호 수신기의 변형 구성으로서, 각기 NTSC제거 콤 필터의 후단측에 그리고 포스트 코딩 콤 필터의 전단측에 설치되어 병렬동작하는 짝수레벨 데이터슬라이서(A24),(B24),(C24)들을 이용하도록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DTV신호 수신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짝수레벨 데이터슬라이서(A24)는 제1형 NTSC제거 필터(A20)의 출력신호를 제1형 포스트 코딩 콤 필터(A26)에 인가하기 위한 제 1 프리코딩된 심볼디코딩결과로 변환시킨다. 상기 짝수레벨 데이터슬라이서(B24)는 제 2 형 NTSC제거 콤 필터(B20)의 출력신호를 제 2 형 포스트 코딩 콤 필터(B26)에 인가하기 위한 제 2 프리코딩된 심볼디코딩결과로 변환시킨다. 상기 짝수레벨 데이터슬라이서(C24)는 제 3 형 NTSC제거 콤 필터(C20)의 출력신호를 제 3 형 포스트 코딩 콤 필터(C26)에 인가하기 위한 제 3 프리코딩된 심볼디코딩결과로 변환시킨다. 홀수레벨 데이터 슬라이서(22)는 상기 포스트 코딩 콤 필터(A26),(B26),(C26)에 중간 심볼디코딩 결과를 공급한다. 도 15의 소자들에 첨기된 도면부호 "A", "B", "C"는 도 4, 도 6, 도 8, 도 10, 도 12에 각기 도시된 수신부들을 사용할 경우 정수 1, 2, 3, 4, 5에 각기 대응하는 정수들이 될 것이다.
제 1 형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A44)에 의해 제 1 형 NTSC제거 콤 필터(A20)가 현재의 등화 I-채널 신호내의 아날로그 TV신호로부터 동일채널간섭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가가 Q-채널 신호로부터 결정된다. 또한, 제 2 형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B44)에 의해 제 2 형 NTSC제거 콤 필터(B20)가 현재의 등화 I-채널 신호내의 아날로그 TV신호로부터 동일채널간섭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가가 Q-채널 신호로부터 결정된다. 또한, 제 3 형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C44)에 의해 제 3 형 NTSC제거 콤 필터(C20)가 현재의 등화 I-채널 신호내의 아날로그 TV신호로부터 동일채널간섭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가가 Q-채널 신호로부터 결정된다. Q-채널 신호내의 파일럿반송파를 억제함에 따라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A44),(B44),(C44)들이 NTSC제거 콤 필터(A20),(B20),(C20)들의 상대적인 유효도에 대한 표시신호들을 제공하는 것을 도모할 수 있다.
심볼디코딩 선택회로(90)에 의해 데이터 어셈블러(30)에 인가하기 위한 정확한 심볼 디코딩의 최적 예상치가 발생된다. 이 최적 예상치는 제어기(28)로부터의 이상적인 심볼디코딩결과와, 홀수레벨 데이터슬라이서(22)로부터의 중간 심볼디코딩결과와, 포스트 코딩 콤 필터(A26),(B26),(C26)들로부터의 포스트 코딩된 심볼디코딩결과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발생된다. 상기 심볼디코딩 선택회로(90)는 제어기(28)가 심볼디코딩 선택회로(90)에 후속의 심볼선택정보를 공급하지 않게 되면 상기 최적 예상치를 정식 최적치로 설정하도록 동일채널간섭 검출기(A44),(B44),(C44)로부터의 각 유효도를 나타내는 표시신호에 응답한다. 제어기(28)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후속의 심볼선택정보는 동기코드들이 발생될 때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데, 이 정보에 의해 제어기(28)로부터의 이상적인 심볼디코딩결과를 기초로 하여 만들어진 최적 예상치가 조절된다. 심볼디코딩결과의 최적 예상치는 도 16의 DTV신호 수신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 정합 콤 필터들인 포스트 코딩 콤 필터(A26),(B26),(C26)들의 합산과정을 정정하는데 사용된다.
만일 동일채널간섭 검출기(A44),(B44),(C44)들 모두가 동기코드들이 발생될 때를 제외한 기간에 NTSC 동일채널간섭에 상당한 양의 아티팩트들이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 심볼디코딩 선택회로(90)는 홀수레벨 데이터슬라이서(22)로부터 출력되는 중간 심볼디코딩결과를 정확한 심볼디코딩결과의 최적 예상치로서 선택하도록 응답한다. 이에 따라 심볼디코딩시 죤슨(Johnson) 노이즈의 효과가 최소화된다.
만일 동일채널간섭 검출기(A44),(B44),(C44)들 중 하나 이상이 동기코드들이 발생될 때를 제외한 기간에 NTSC 동일채널간섭에 상당한 양의 아티팩트들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경우, 심볼디코딩 선택회로(90)는 동일채널간섭 검출기(A44),(B44),(C44)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은 NTSC 동일채널간섭으로부터의 아티팩트들을 최적으로 억제하는 NTSC제거 콤 필터(A20),(B20),(C20)들 중 해당 NTSC제거 콤 필터의 후단에 위치한 포스트 코딩 콤 필터(A26),(B26), 또는 (C26)로부터 출력되는 포스트 코딩된 심볼디코딩결과를 선택하도록 응답한다.
아날로그 TV동기펄스, 등화펄스, 그리고 칼라버스트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고 에너지 복조 아티팩트들은 모두 NTSC제거 콤 필터(A20)가 교번 비디오프레임들을 가산 결합할 시 억제되게 된다. 또한, 상기 두 프레임에 걸쳐 변화가 없는 아날로그 TV신호의 비디오 부분에서 발생하는 아티팩트들이 억제되어 그들의 수평공간주파수 또는 칼라에 무관하게 고정패턴들이 제거되게 된다. 도 13의 동일채널간섭 검출기(A44)는 도 12의 심볼디코딩회로와 함께 사용된다.
복조 아티팩트들을 억제하는데 관련하여 남아있는 문제는 아날로그 TV신호 래스터내의 소정의 화소위치들에서 프레임간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복조 아티팩트들을 억제하는 것이다. 이러한 복조 아티팩트들은 프레임내(intra-frame) 필터링기술에 의해 억제시킬 수 있다. 수평방향으로의 상관성에 의존하여 남아있는 복조 아티팩트들을 억제시키기 위해서는 NTSC제거 콤 필터(B20)와 포스트 코딩 콤 필터(B26)의 회로를 선택할 수 있고, 수직방향으로의 상관성에 의존하여 남아있는 복조 아티팩트들을 억제시키기 위해서는 NTSC제거 콤 필터(C20)와 포스트 코딩 콤 필터(C26)의 회로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관련하여 설계를 어떻게 할 것인지는 고려를 하여야 한다.
만일 동일채널 간섭성 아날로그 TV신호의 부반송파가 IF 증폭기체인(12)의 SAW필터링 또는 사운드트랩에 의해 억제되지 않는다면 NTSC제거 콤 필터(B20)와 포스트 코딩 콤 필터(B26)의 회로를 도 4의 NTSC제거 콤 필터(120)와 포스트 코딩 콤 필터(126)의 회로와 유사한 형태로 되게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도 5의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B44)는 도 4의 심볼디코딩회로와 함께 사용된다.
만일 동일채널 간섭성 아날로그 TV신호의 부반송파가 IF 증폭기체인(12)의 SAW필터링 또는 사운드트랩에 의해 억제된다면 NTSC제거 콤 필터(B20)와 포스트 코딩 콤 필터(B26)의 회로를 도 6의 NTSC제거 콤 필터(220)와 포스트 코딩 콤 필터(226)의 회로와 유사한 형태로 되게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 이유는 단지 6 심볼기간만큼만 차이가 있는 비디오성분들간의 반 상관성이 12 심볼기간만큼 차이가 있는 비디오성분들간의 상관성보다 항상 좋기 때문이다. 도 7의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B44)는 도 6의 심볼디코딩회로와 함께 사용된다.
NTSC제거 콤 필터(C20)와 포스트 코딩 콤 필터(C26)의 최적선택은 그리 간단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NTSC제거 콤 필터(C20)내에서 현재의 주사선과 결합되어야 할 주사선으로 동일 필드내의 일시적으로 근접된 주사선을 선택해야 할지 또는 이전 필드에서 공간적으로 근접된 주사선을 선택해야 할지의 여부를 (간섭성 아날로그 TV신호의 필드 인터레이스를 고려하여) 결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는 동일 필드내의 일시적으로 근접된 주사선을 선택하는 것이 좋은데, 그 이유는 필드들간의 점프 컷(jump cut)들이 NTSC제거 콤 필터(C20)에 의한 NTSC제거를 방해하는 경향이 적기 때문이다. 이러한 선택을 한 경우, NTSC제거 콤 필터(C20)와 포스트 코딩 콤 필터(C26)의 회로는 도 8의 NTSC제거 콤 필터(320)와 포스트 코딩 콤 필터(326)의 회로와 유사한 형태를 갖게 된다. 도 9의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C44)는 도 8의 심볼디코딩회로와 함께 사용된다.
본 발명은 NTSC 아날로그 텔레비젼신호들로부터의 동일채널 간섭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디지털 텔레비젼 수신기에 사용된다.

Claims (19)

  1. 디지털 텔레비젼신호의 잔류측파대 진폭변조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 I-채널 기저대신호와 그 수신 I-채널 기저대신호와 직교관계를 갖는 수신 Q-채널 기저대신호를 서로 분리시키도록 동일채널 NTSC 간섭에 민감한 잔류측파대 진폭변조 디지털 텔레비젼신호들에 대한 복소수 변조를 행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Q-채널 기저대신호에 동반되는 동일채널 NTSC간섭의 아티팩트들이 소정의 레벨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수신 I-채널 기저대신호에 동반되는 동일채널 NTSC간섭의 아티팩트들이 유의 레벨에 있는지의 여부를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텔레비젼신호의 잔류측파대 진폭변조신호 처리 방법.
  2. 디지털 텔레비젼 수신기에서 트렐리스 디코딩에 앞서 동일채널 NTSC간섭을 억제하기 위한 콤 필터링을 사용하여야 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 I-채널 기저대신호와 그 수신 I-채널 기저대신호와 직교관계를 갖는 수신 Q-채널 기저대신호를 서로 분리시키도록 디지털 텔레비젼신호들에 대한 복소수 변조를 행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Q-채널 기저대신호에 유의 레벨을 갖는 동일채널 NTSC간섭의 아티팩트들이 동반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Q-채널 기저대신호에 유의 레벨을 갖는 동일채널 NTSC간섭의 아티팩트들이 동반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트렐리스디코딩을 위한 디코딩된 심볼들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수신 I-채널 기저대신호를 콤 필터링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수신 I-채널 기저대신호에 대해 심볼디코딩을 행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Q-채널 기저대신호에 유의 레벨을 갖는 동일채널 NTSC간섭의 아티팩트들이 동반되는 것으로 결정되면 콤 필터링된 I-채널 기저대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수신 I-채널 기저대신호를 콤 필터링시키는 단계와;
    상기 수신 Q-채널 기저대신호에 유의 레벨을 갖는 동일채널 NTSC간섭의 아티팩트들이 동반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콤 필터링된 I-채널 기저대신호에 대해 심볼디코딩을 행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Q-채널 기저대신호에 유의 레벨을 갖는 동일채널 NTSC간섭의 아티팩트들이 동반되는 것으로 결정되면, 트렐리스 디코딩을 위한 디코딩된 심볼들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콤 필터링된 I-채널 기저대신호에 대해 행한 심볼디코딩의 결과를 포스트 코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젼 수신기에서 트렐리스 디코딩에 앞서 동일채널 NTSC간섭을 억제하기 위한 콤 필터링을 사용하여야 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Q-채널 기저대신호에 유의 레벨을 갖는 동일채널 NTSC간섭의 아티팩트들이 동반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콤 필터링된 I-채널 기저대신호에 대한 상기 심볼디코딩에 앞서 상기 I-채널 기저대신호에 대한 콤 필터링 응답신호를 이상적인 콤 필터 응답신호에 일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수신 Q-채널 기저대신호에 유의 레벨을 갖는 동일채널 NTSC간섭의 아티팩트들이 동반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수신 I-채널 기저대신호를 콤 필터링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행해지는 상기 수신 I-채널 기저대신호에 대한 심볼디코딩에 앞서 상기 수신 I-채널 기저대신호를 콤 필터링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등화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젼 수신기에서 트렐리스 디코딩에 앞서 동일채널 NTSC간섭을 억제하기 위한 콤 필터링을 사용하여야 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4. 디지털 텔레비젼신호 수신기에 있어서,
    동일채널간섭성 아날로그 텔레비젼신호에 동반되기 쉬운 증폭된 잔류측파대 진폭변조 디지털 텔레비젼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증폭기회로와;
    상기 증폭된 잔류측파대 진폭변조 디지털 텔레비젼신호에 응답하여 여하한 동일채널간섭성 아날로그 텔레비젼신호의 아티팩트들을 포함하는 I-채널 기저대신와, 여하한 동일채널간섭성 아날로그 텔레비젼신호의 또 다른 아티팩트들을 포함하는 Q-채널 기저대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복소수 변조기와;
    1차 기간동안 상기 I-채널 기저대신호를 심볼디코딩시키고, 여하한 동일채널간섭성 아날로그 텔레비젼신호의 상기 아티팩트들의 레벨이 일반적으로 상기 I-채널 기저대신호에 대한 유의 레벨보다 낮으면 정정불가능한 에러가 존재하지 않는 1차 심볼디코딩 결과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데이터 슬라이서를 포함하는, 상기 I-채널 기저대신호용의 심볼디코딩장치와;
    상기 Q-채널 기저대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I-채널 기저대신호에 대한 상기 유의 레벨과 일치하는 상기 Q-레벨 기저대신호에 대한 유의 레벨보다 높은 여하한 동일채널간섭성 아날로그 텔레비젼신호의 상기 또 다른 아티팩트들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젼신호 수신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Q-채널 기저대신호에 응답하는 상기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는
    상기 Q-채널 기저대신호를 지연시켜 미분지연 Q-채널 기저대신호들을 발생시키는 지연기와;
    상기 미분지연 Q-채널 기저대신호들을 가산 결합시켜 합신호를 발생시키는 가산기와;
    상기 미분지연 Q-채널 기저대신호들을 감산 결합시켜 차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산기와;
    상기 합신호의 진폭을 검출하여 제1진폭검출 응답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진폭검출기와;
    상기 차신호의 진폭을 검출하여 제2진폭검출 응답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진폭검출기와;
    상기 제1 및 제2진폭검출 응답신호들을 서로 비교하여 상기 제1 및 제2진폭검출 응답신호들이 소정의 값보다 크게 차이를 가지면 여하한 동일채널간섭성 아날로그 텔레비젼신호의 상기 또 다른 아티팩트들의 레벨이 상기 Q-채널 기저대신호에 대한 상기 유의 레벨 보다 높다는 것을 나타내는 진폭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젼신호 수신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내의 상기 지연기는 12회의 심볼기간들에 해당하는 미분지연을 갖게 상기 미분지연 Q-채널 기저대신호들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젼신호 수신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내의 상기 지연기는 6회의 심볼기간들에 해당하는 미분지연을 갖게 상기 미분지연 Q-채널 기저대신호들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젼신호 수신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내의 상기 지연기는 1368회의 심볼기간들 또는 2개의 NTSC 비디오 주사선들에 해당하는 미분지연을 갖게 상기 미분지연 Q-채널 기저대신호들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젼신호 수신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내의 상기 지연기는 179,208회의 심볼기간들또는 262개의 NTSC 비디오 주사선들에 해당하는 미분지연을 갖게 상기 미분지연 Q-채널 기저대신호들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젼신호 수신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내의 상기 지연기는 718,200회의 심볼기간들또는 2개의 NTSC 비디오 프레임들에 해당하는 미분지연을 갖게 상기 미분지연 Q-채널 기저대신호들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젼신호 수신기.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Q-채널 기저대신호에 응답하는 상기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는
    상기 Q-채널 기저대신호를 지연시켜 미분지연 Q-채널 기저대신호들을 발생시키는 제1지연기와;
    상기 미분지연 Q-채널 기저대신호들을 가산 결합시켜 제 1 합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가산기와;
    상기 미분지연 Q-채널 기저대신호들을 감산 결합시켜 제 1 차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감산기와;
    상기 제 1 합신호를 지연시켜 미분지연 제 1 합신호들을 발생시키는 제2지연기와;
    상기 제 1 합신호를 지연시키는 상기 제2지연기와 유사하게 상기 제 1 차신호를 지연시켜 미분지연 제 1 차신호들을 발생시키는 제3지연기와;
    상기 미분지연 제 1 합신호들을 가산 결합시켜 제 2 합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가산기와;
    상기 미분지연 제 1 차신호들을 감산 결합시켜 제 2 차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감산기와;
    상기 제 2 합신호의 진폭을 검출하여 제 1 진폭검출 응답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진폭검출기와;
    상기 제 2 차신호의 진폭을 검출하여 제 2 진폭검출 응답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진폭검출기와;
    상기 제 1 및 제 2 진폭검출 응답신호들을 서로 비교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진폭검출 응답신호들이 소정의 값보다 크게 차이를 가지면 여하한 동일채널간섭성 아날로그 텔레비젼신호의 상기 또 다른 아티팩트들의 레벨이 상기 Q-채널 기저대신호에 대한 상기 유의 레벨 보다 높다는 것을 나타내는 진폭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젼신호 수신기.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Q-채널 기저대신호에 응답하는 상기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는
    상기 Q-채널 기저대신호를 지연시켜 미분지연 Q-채널 기저대신호들을 발생시키는 제1지연기와;
    상기 미분지연 Q-채널 기저대신호들을 가산 결합시켜 제 1 합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가산기와;
    상기 미분지연 Q-채널 기저대신호들을 감산 결합시켜 제 1 차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감산기와;
    상기 제 1 합신호를 지연시켜 미분지연 제 1 합신호들을 발생시키는 제2지연기와;
    상기 제 1 합신호를 지연시키는 상기 제2지연기와 유사하게 상기 제 1 차신호를 지연시켜 미분지연 제 1 차신호들을 발생시키는 제3지연기와;
    상기 미분지연 제 1 차신호들을 가산 결합시켜 제 2 합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가산기와;
    상기 미분지연 제 1 합신호들을 감산 결합시켜 제 2 차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감산기와;
    상기 제 2 합신호의 진폭을 검출하여 제 1 진폭검출 응답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진폭검출기와;
    상기 제 2 차신호의 진폭을 검출하여 제 2 진폭검출 응답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진폭검출기와;
    상기 제 1 및 제 2 진폭검출 응답신호들을 서로 비교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진폭검출 응답신호들이 소정의 값보다 크게 차이를 가지면 여하한 동일채널간섭성 아날로그 텔레비젼신호의 상기 또 다른 아티팩트들의 레벨이 상기 Q-채널 기저대신호에 대한 상기 유의 레벨 보다 높다는 것을 나타내는 진폭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젼신호 수신기.
  13. 제4항에 있어서,
    데이터동기를 위해 사용되는 심볼들이 상기 I-채널 기저대신호에서 나타나는 때를 결정하기 위한 데이터 동기회로와;
    데이터동기를 위해 사용되는 심볼들이 상기 I-채널 기저대신호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결정될 때 이상적인 심볼디코딩 결과를 발생시키는 회로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심볼디코딩장치는
    상기 I-채널 기저대신호에 응답하도록 접속이 이루어져 있고, 상기 심볼기간들의 소정의 제 1 갯수만큼 지연을 행하여 미분지연 I-채널 기저대신호들을 발생시키는 제1지연기와;
    상기 미분지연 I-채널 기저대신호들을 선형결합시켜 여하한 동일채널간섭성 아날로그 텔레비젼신호의 상기 아티팩트들이 억압된 제 1 콤 필터 응답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선형결합기와;
    상기 제 1 콤 필터 응답신호를 심볼디코딩시켜 제 1의 프리코딩된 심볼디코딩결과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데이터 슬라이스와;
    수신된 개개의 제 1 및 제 2 입력신호들을 선형결합시켜 개개의 출력신호들을 제 2 콤 필터 응답신호로서 공급하고, 상기 제 1 의 프리코딩된 심볼디코딩결과를 상기 개개의 제 1 입력신호로서 수신할 수 있게 접속이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1선형결합기가 가산기이면 감산기이고, 상기 제1선형결합기가 감산기이면 가산기인 제2선형결합기와;
    상기 소정의 제 1 심볼기간 갯수만큼 지연을 행하여 상기 제2선형결합기의 상기 제 2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지연기와;
    개개의 출력신호를 상기 제2지연기에 그의 상기 제 2 입력신호로서 공급하고, 상기 이상적인 심볼디코딩결과를 자신의 입력신호들 중 제 1 입력신호로서 수신하고, 상기 중간 심볼디코딩결과를 상기 자신의 입력신호들 중 제 2 입력신호로서 수신하고, 상기 제2선형결합기의 상기 출력신호를 상기 자신의 입력신호들 중 제 3 입력신호로서 입력하고, 데이터동기를 위해 사용되는 심볼들이 상기 I-채널 기저대신호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결정될 경우에만 상기 제 1 입력신호를 자신의 출력신호로서 재생하게, 그리고 그와 다르게 상기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가 상기 Q-채널 기저대신호에 대한 상기 유의 레벨보다 높은 레벨의 여하한 동일채널간섭성 아날로그 텔레비젼신호의 상기 또 다른 아티팩트들의 존재를 검출할 경우 상기 제 2 선형결합기의 출력신호를 자신의 출력신호로서 재생하게, 그리고 그와 다르게 상기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가 상기 Q-채널 기저대신호에 대한 상기 유의 레벨보다 높은 레벨의 여하한 동일채널간섭성 아날로그 텔레비젼신호의 상기 또 다른 아티팩트들의 존재를 검출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1 데이터 슬라이서의 출력신호를 자신의 출력신호로서 재생하게 제어되는 다중 입력 제 1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젼신호 수신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Q-채널 기저대신호에 응답하는 상기 NTSC 동일채널간섭 검출기는
    상기 Q-채널 기저대신호를 상기 소정의 제 1 심볼기간갯수만큼 지연시켜 미분지연 Q-채널 기저대신호들을 발생시키는 제 3 지연기와;
    상기 미분지연 Q-채널 기저대신호들을 선형결합시켜 여하한 동일채널간섭성 아날로그 텔레비젼신호의 아티팩트들이 억제되는 경향이 있는 제 3 콤 필터 응답신호를 발생시키는 제3선형결합기와;
    상기 미분지연 Q-채널 기저대신호들을 선형결합시켜 여하한 동일채널간섭성 아날로그 텔레비젼신호의 아티팩트들이 강화되는 경향이 있는 제 4 콤 필터 응답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 3 선형결합기가 가산기이면 감산기이고, 상기 제 3 선형결합기가 감산기이면 가산기인 제4선형결합기와;
    상기 제 3 콤 필터 응답신호의 진폭을 검출하여 제 1 진폭검출 응답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진폭검출기와;
    상기 제 4 콤 필터 응답신호의 진폭을 검출하여 제 4 진폭검출 응답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진폭검출기와;
    상기 제 1 및 제 2 진폭검출 응답신호들을 서로 비교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진폭검출 응답신호들이 소정의 값보다 크게 차이를 가지면 여하한 동일채널간섭성 아날로그 텔레비젼신호의 상기 또 다른 아티팩트들의 레벨이 상기 Q-채널 기저대신호에 대한 상기 유의 레벨보다 높다는 것을 나타내는 진폭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젼신호 수신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제 3 지연기는 12회의 심볼기간들에 해당하는 미분지연을 제공하며, 상기 제 1 및 제 3 선형 결합기들은 감산기이고, 상기 제 2 및 제 4 선형결합기들은 가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젼신호 수신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제 3 지연기는 6회의 심볼기간들에 해당하는 미분지연을 제공하며, 상기 제 1 및 제 3 선형 결합기들은 가산기이고, 상기 제 2 및 제 4 선형결합기들은 감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젼신호 수신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제 3 지연기는 1368회의 심볼기간들 또는 2개의 NTSC 비디오 주사선들에 해당하는 미분지연을 제공하며, 상기 제 1 및 제 3 선형 결합기들은 가산기이고, 상기 제 2 및 제 4 선형결합기들은 감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젼신호 수신기.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제 3 지연기는 179,208회의 심볼기간들 또는 262 NTSC 비디오 주사선들에 해당하는 미분지연을 제공하며, 상기 제 1 및 제 3 선형 결합기들은 가산기이고, 상기 제 2 및 제 4 선형결합기들은 감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젼신호 수신기.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제 3 지연기는 718,200회의 심볼기간들 또는 262개의 NTSC 비디오 주사선들에 해당하는 미분지연을 제공하며, 상기 제 1 및 제 3 선형 결합기들은 가산기이고, 상기 제 2 및 제 4 선형결합기들은 감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젼신호 수신기.
KR1019990702795A 1996-10-02 1997-10-02 디지털 텔레비젼신호 수신기에서 수신 큐-채널 신호에 응답하는엔.티.에스.씨 동일 채널 간섭 검출기 KR200000488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2479996A 1996-10-02 1996-10-02
US8/724,799 1996-10-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8803A true KR20000048803A (ko) 2000-07-25

Family

ID=24911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702795A KR20000048803A (ko) 1996-10-02 1997-10-02 디지털 텔레비젼신호 수신기에서 수신 큐-채널 신호에 응답하는엔.티.에스.씨 동일 채널 간섭 검출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000048803A (ko)
CN (1) CN1115875C (ko)
CA (1) CA2267679C (ko)
WO (1) WO19980151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3676B2 (ja) * 2001-04-16 2009-11-25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復調器
US20090185648A1 (en) * 2008-01-22 2009-07-23 Guo-Hau Gau Methods and devices for processing signals transmitted via communication system
CN112399097B (zh) * 2019-08-13 2024-01-19 深圳Tcl数字技术有限公司 一种信号干扰处理方法、数字电视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9449A (en) * 1994-05-04 1995-1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VSB detector with bandpass phase tracker, as for inclusion in an HDTV receiver.
US5546132A (en) * 1994-12-07 1996-08-13 Goldstar Co., Ltd. NTSC interference det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67679A1 (en) 1998-04-09
CA2267679C (en) 2005-02-08
WO1998015120A1 (en) 1998-04-09
CN1115875C (zh) 2003-07-23
CN1232591A (zh) 1999-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5553B1 (en) Passband equalizers with filter coefficients calculated from modulated carrier signals
US7602444B2 (en)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ion circuit and method of digital television (DTV) receiver
US5748226A (en) Digital television receiver with adaptive filter circuitry for suppressing NTSC co-channel interference
US6057877A (en) NTSC interference detectors using pairs of comb filters with zero-frequency responses, as for DTV receivers
JPH10276375A (ja) レベル数の変化しないntsc除去フィルタの設計方法及びこれを採用した受信機
KR100278854B1 (ko) 엔.티.에스.씨 아티팩트를 추출하기 위해 디.티.브이 파일럿반송파를 억압하는 콤 필터를 이용한 엔.티.에스.씨 간섭 검출기를 구비하는 디지털 텔레비젼 수신기
US5801759A (en) Digital TV receiver circuitry for detecting and suppressing NTSC co-channel interference
US6480233B1 (en) NTSC co-channel interference detectors responsive to received Q-channel signals in digital TV signal receivers
US5835131A (en) Digital television receiver with adaptive filter circuitry for suppressing NTSC co-channel interference
US5995135A (en) Digital television receiver with adaptive filter circuitry for suppressing NTSC Co-channel interference
KR100285432B1 (ko) 개별적인 변환기들에 의해 공급되는 잔류측파대및 직각진폭변조
KR100273763B1 (ko) 상이한 형태의 텔레비젼신호를 수신하는 동일 고스트 제거회로를 사용하는 텔레비젼신호 수신장치
JP3755990B2 (ja) Ntsc同一チャネル干渉を抑制するための適応形フィルタ回路を有するディジタルtv受信機
KR20000048803A (ko) 디지털 텔레비젼신호 수신기에서 수신 큐-채널 신호에 응답하는엔.티.에스.씨 동일 채널 간섭 검출기
KR100260422B1 (ko) 디지털 텔레비젼신호 수신기
JP3330542B2 (ja) ディジタルtv受信機におけるntsc干渉信号検出/遮断装置及び方法
KR100288290B1 (ko) 엔티에스씨동일채널간섭을억제하기위한적응형필터회로를갖는디지털티브이수신기및그의심볼디코딩방법
CA2241067C (en) Digital television receiver with adaptive filter circuitry for suppressing ntsc co-channel interference
AU702137B1 (en) Digital television receiver with adaptive filter circuitry for suppressing NTSC co-channel interference
KR100246916B1 (ko) 엔티에스씨 공동-채널 간섭 신호의 주파수 변조 음성 반송파를 억압하기 위한 중간 주파수 회로에 있어서 필터를 갖는 디지털 텔레비젼 수신기
AU702333B1 (en) Digital TV receiver circuitry for detecting and suppressing NTSC co-channel interference
KR100556400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시스템 및 이 수신 시스템에서의ntsc 신호 제거 방법
MXPA98007649A (en) Interference detectors of the committee of the national television system that uses wave filters suppress the digital television pilot carrier to remove the artifacts from the committee of the television system nacio
KR20020061839A (ko) 디지털 티브이의 ntsc 인접 채널 간섭 제거 장치
MXPA98005803A (en) T.v. digital receiver circuit to detect and delete co interchange interfer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