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7998A - 낚시릴 상에 크랭크핸들을 유지하는데 사용하는 부재의고정용 리테이너부재 - Google Patents

낚시릴 상에 크랭크핸들을 유지하는데 사용하는 부재의고정용 리테이너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7998A
KR20000047998A KR1019990055795A KR19990055795A KR20000047998A KR 20000047998 A KR20000047998 A KR 20000047998A KR 1019990055795 A KR1019990055795 A KR 1019990055795A KR 19990055795 A KR19990055795 A KR 19990055795A KR 20000047998 A KR20000047998 A KR 20000047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k handle
retainer member
crank
nu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5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0978B1 (ko
Inventor
김현규
카펜터로버트레온
Original Assignee
브런즈윅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런즈윅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브런즈윅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00047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7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0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09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06Hand crank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05G1/085Crank han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6Button with fastener
    • Y10T24/367Covers
    • Y10T24/3672Metal or plastic ca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60Biased catch or lat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732Handles
    • Y10T74/20744Hand crank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릴용 크랭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크랭크 어셈블리는 낚시릴을 동작시키도록 회전식으로 구동가능한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크랭크핸들, 상기 크랭크핸들 및 제1 부재에 대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로 원위치가능한 고정부재, 및 눌려 끼워져서 크랭크핸들 및 제1 부재에 대하여 동작위치에 유지될 수 있는 리테이너부재―여기서 리테이너부재는 고정부재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함―를 가진다. 크랭크핸들은 고정부재가 제1 위치인 상태에서 제1 부재에 장착가능하며 제1 부재로부터 분리가능하다.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부재가 제2 위치인 상태에서 제1 부재에 장착된 크랭크핸들을 유지한다.

Description

낚시릴 상에 크랭크핸들을 유지하는데 사용하는 부재의 고정용 리테이너부재 {RETAINER ELEMENT FOR A SECURING ELEMENT USED TO MAINTAIN A CRANK HANDLE ON A FISHING REEL}
본 발명은 크랭크핸들을 통하여 낚시릴을 동작시키는데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회전가능부재, 보다 구체적으로는, 크랭크핸들이 회전가능부재로부터 부주의로 인하여 분리될 수 있으므로 크랭크핸들용 고정부재가 원위치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테이너부재(retainer element)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낚시릴 구조에 있어서, 낚시줄 반송스풀이 낚시릴 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회전가능 샤프트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구동되어 낚시줄이 회수 및/또는 풀려 나간다. 돌출하는 샤프트부는 나사산을 가지며 크랭크핸들의 개구 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너트가 나사산을 가진 샤프트부 상에 끼워져서 크랭크핸들이 샤프트 상에 서로 고정상태로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조여진다. 낚시릴의 동작 도중에, 너트가 느슨해지기 쉬워서 사용자가 너트를 다시 조일 필요가 있거나 또는 너트가 분실되어 크랭크핸들이 릴리스될 위험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기 위하여, 샤프트 자유단부에 끼워져서 그 위에 조여진 너트로 고정, 연결되는 리테이너부재가 창안되었다. 나사를 리테이너부재를 관통시켜 크랭크핸들 내로 향하도록 하여 리테이너부재가 크랭크핸들에 대하여 샤프트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미관상 및 나사헤드가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리테이너부재를 관통하는 보어 내에 일반적으로 절결부를 형성하여 나사헤드가 리테이너부재의 외면과 같은 높이로 되거나 또는 하측에 위치되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낚시릴의 설계자는 제조시간 및 제조원가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조립단계를 최소로 줄이려고 노력하고 있다. 조립라인에서, 나사를 리테이너부재를 관통시켜 크랭크핸들 내에 설치하는 것은 별도의 단계가 필요하다.
낚시릴을 설계하는데는 기능성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지만, 미관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 리테이너부재를 적소에 지지하는 나사헤드가 노출되어 보일 수 있다. 따라서, 헤드가 낚시릴의 나머지 부분의 외관과 색깔 및 스타일 면에서 조화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본 발명의 일양태는 낚시릴용 크랭크 어셈블리이다. 크랭크 어셈블리는 낚시릴을 동작시키도록 회전식으로 구동가능한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크랭크핸들, 상기 크랭크핸들과 제1 부재에 대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로 원위치가능한 고정부재, 및 상기 크랭크핸들 및 제1 부재에 대하여 눌려 끼워져서 동작위치에 유지될 수 있고 상기 고정부재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리테이너부재를 가진다. 크랭크핸들은 상기 고정부재가 제1 위치인 상태에서 상기 제1 부재에 장착되거나 또는 제1 부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부재가 제2 위치인 상태에서 상기 제1 부재에 장착된 상기 크랭크핸들을 유지한다.
일양태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 부재에 나사식으로 연결되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로 제1 부재에 대하여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너트이다.
일양태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제1 축에 대하여 제1 축방향으로 대면하는 제1 쇼울더를 가진다. 상기 리테이너부재는 제1 축방향과 대향하여 대면하는 제2 쇼울더를 가진 제1의 원위치가능한 핑거를 가진다. 상기 원위치가능한 핑거는 상기 리테이너부재가 조립전 위치로부터 동작위치로 제1 축과 대체로 평행으로 이동할 때 상기 고정부재에 접한다. 상기 제1의 원위치가능한 핑거 상의 면 및 고정부재가 협동하여 상기 제1의 원위치가능한 핑거를 제1 축에 대하여 제1 상태로부터 기울어진 상태로 반경방향으로 기울여서 상기 리테이너부재가 조립전 위치로부터 동작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제2 쇼울더가 상기 제1 쇼율더 까지 및 이를 지나 이동할 수 있어서 상기 제1의 원위치가능한 핑거가 상기 제1 및 제2 쇼울더가 서로 대면하고 상호작용하여 상기 리테이너부재가 동작위치로부터 조립전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상태를 향하여 후진 이동한다.
일양태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부재는 상기 제1 축과 대체로 평행으로 연장되어 크랭크핸들 내로 연장되는 제1의 캔틸레버식 포스트를 가져서 상기 리테이너부재가 동작위치인 상태에서 상기 리테이너부재가 제1 축을 중심으로 상기 크랭크핸들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의 캔틸레버식 포스트 및 핑거가 단체(單體)로 함께 형성된다.
일양태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부재는 제1 축과 대체로 평행으로 연장되어 상기 크랭크핸들 내로 연장되는 제2의 캔틸레버식 포스트를 가져서 상기 리테이너부재가 동작위치인 상태에서 상기 리테이너부재가 제1 축을 중심으로 상기 크랭크핸들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일양태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제1 축방향으로 대면하는 제3 쇼울더를 가지고 상기 리테이너부재는 제1 축방향에 대향하여 대면하는 제4 쇼울더를 가진 제2의 원위치가능한 핑거를 가진다. 상기 제2의 원위치가능한 핑거는 상기 리테이너부재가 조립전 위치로부터 동작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제1의 원위치가능한 핑거가 상기 고정부재와 협동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상기 고정부재와 협동함으로써 제3 및 제4 쇼울더가 서로 대면하고 상호작용하여 상기 리테이너부재가 동작위치로부터 조립전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너트는 상기 제1 쇼율더를 형성하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노치를 내부에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3 쇼율더는 상기 제1 축에 대하여 정반대로 대향할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부재는 성형 플라스틱부품일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는 낚시릴 상의 낚시줄 반송스풀에 회전을 제공하도록 회전가능한 길다란 샤프트일 수 있다.
상기 크랭크핸들은 사용자가 상기 크랭크핸들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도록 잡을 수 있는 크랭크 손잡이를 가질 수 있다.
일양태에 있어서, 동작위치 상태인 상기 리테이너부재가 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크랭크핸들 양자 모두에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샤프트를 포함하는 상기 프레임 상의 동작기구, 상기 샤프트에 회전을 제공하는 크랭크핸들, 상기 샤프트에 나사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크랭크핸들 및 샤프트에 대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로 원위치가능한 너트, 및 상기 크랭크핸들 및 샤프트에 대하여 눌려 끼워져서 동작위치에 유지되고 상기 너트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리테이너부재를 가지는 낚시릴에 관한 것이다. 상기 크랭크핸들은 너트가 제1 위치인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에 장착가능하며 상기 샤프트로부터 분리가능하다. 상기 너트는 너트가 제2 위치인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에 장착된 상기 크랭크핸들을 유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낚시릴을 동작시키도록 회전구동가능한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크랭크핸들, 상기 크랭크핸들과 제1 부재에 대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로 원위치가능한 고정부재, 및 별도의 파스너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크랭크핸들 및 제1 부재에 대하여 위치되고 동작위치에 유지될 수 있고 상기 고정부재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리테이너부재를 가지는 낚시릴용 크랭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 크랭크핸들은 상기 고정부재가 제1 위치인 상태에서 상기 제1 부재에 장착되거나 또는 제1 부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부재가 제2 위치인 상태에서 상기 제1 부재에 장착된 상기 크랭크핸들을 유지한다..
도 1은 크랭크핸들에 장착되어 상기 크랭크핸들을 적소에 지지하는 너트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종래의 리테이너부재를 도시하는 낚시릴의 부분사시도.
도 2는 크랭크핸들을 적소에 유지하는 고정부재/너트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본 발명에 따른 리테이너부재가 동작위치 상태인 낚시릴의 부분 개략사시도.
도 3은 도 2의 낚시릴 상의 크랭크 어셈블리의 확대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리테이너부재의 확대사시도.
도 5는 크랭크핸들을 적소에 유지하며 리테이너부재와 스냅핏연결(snap fit connection)하는데 사용하는 고정부재/너트의 확대사시도.
도 6은 리테이너부재가 조립전 위치 상태인 본 발명의 크랭크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7은 리테이너부재를 조립전 위치로부터 동작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의 도 6과 동일한 도면.
도 8은 리테이너부재가 동작위치 상태인 도 6 및 도 7과 동일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크랭크 어셈블리가 결합된 도 2의 낚시릴의 부분확대 개략단면도.
도 1에는 종래기술의 낚시릴(10)을 도시한다. 낚시릴(10)은 동작기구(14)가 장착된 프레임(12)으로 구성된다. 동작기구(14)는 사용자가 크랭크 손잡이(crank knob)(20)를 통하여 축(22)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외부 크랭크핸들(18)을 통하여 회전구동되는 낚시줄 반송스풀(16)을 포함한다. 크랭크핸들(18)은 낚시줄 반송스풀(16)을 구동기어장치(drive gear arrangement)(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구동하는 샤프트(24)에 고정된다. 크랭크핸들(18)은 샤프트(24) 상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샤프트(24)의 자유단부에 나사식으로 부착되는 너트(26)에 의하여 샤프트 상에 유지된다.
리테이너부재(28)는 너트(26)를 수용하며 함께 고정, 연결되는 내부에 형성된 공동(cavity)(30)을 가져서 리테이너부재(28)와 너트(26)가 축(22)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이 제한된다.
리테이너부재(28)는 단차가 있는 보어(34)가 관통하는 반경방향으로 길다란 부분(32)을 가진다. 나사(36)가 보어(34) 및 크랭크핸들(18) 내의 나사산을 가진 보어(도시되지 않음) 내로 향하여 리테이너부재(28)가 축(22)을 중심으로 크랭크핸들(18)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리테이너부재(28)가 너트(26) 및 크랭크핸들(18)에 고정되어, 너트(26)가 부주의로 인하여 느슨해져서 크랭크핸들(18)을 샤프트(24)로부터 느슨하게 하거나 또는 릴리스시킬 수 있으므로 샤프트(24)에 대한 너트(26)의 회전을 제한하거나 또는 회전을 금지한다.
나사(36)의 헤드(38)는 보어(34)에 노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노출되는 헤드(38)는 미관상 낚시릴(10)의 전체적인 외관과 조화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리테이너부재(28)의 조립은 먼저 리테이너부재를 너트(26)와 고정, 연결한 다음 나사(36)를 설치해야 한다. 나사(36) 자체가 느슨해져서 분리될 수 있으므로 리테이너부재(28)가 또한 분리될 수 있고, 이로써 너트(26)를 상측에 가진 샤프트(24)의 단부가 노출된다. 따라서, 너트(26)가 낚시릴(10)이 동작될 때 느슨해지기 쉽게 된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를 도시한다. 도시된 유형의 낚시릴(40)은 본 발명이 결합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상이한 낚시릴 중 예를 들어 나타내는 것이다. 낚시릴(40)은 도 1에 예시된 전술한 바와 같은 낚시릴(10)과 유사하게 기능한다. 낚시릴(40)은 동작기구(44)가 장착되는 프레임(42)으로 구성된다. 동작기구(44)는 크랭크 어셈블리(46)를 포함한다. 크랭크 어셈블리(46)는 사용자가 잡고 조작할 수 있으며 축(50)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오프셋되는 크랭크 손잡이(54)를 그 상측에 가지는 크랭크핸들(52)을 통하여 축(50)을 중심으로 회전구동되는 제1 부재/샤프트(48)를 포함한다. 또한, 크랭크 어셈블리(46)는 샤프트(48)의 자유단부(58)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크랭크핸들(52)을 샤프트(48) 상의 고정위치에 유지시키는 고정부재/너트(56)를 포함한다. 샤프트(48)는 크랭크핸들(52)을 관통하는 상보적 형상의 보어(complementarily-shaped bore)(64) 내에 고정, 연결되어 크랭크핸들(52)과 샤프트(48) 사이에서 축(50)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정반대로 대향하는 평탄부(flat)(60,62)를 가진다.
도 9에 예시된 드래그시스템(66)을 통하여, 샤프트(48)의 회전이 구동기어(68), 및 낚시줄 반송스풀(72)과 회전가능한 피구동기어(70)에 마찰적으로 전달된다. 드래그시스템(66)의 상세 및 샤프트(48)와 낚시줄 반송스풀(72) 간의 전동장치는 동일 출원인의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08/851,119호에 "역전방지 드래그기구(Anti-Reverse Drag Mechanism)"라는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개시 내용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결합시켰다.
본 발명은 드래그가 없거나 또는 도 9에 예시된 것과 상이한 드래그시스템을 사용하는 임의의 유형의 낚시릴에 실질적으로 결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낚시릴 상의 일부 기구를 동작, 이 경우 낚시줄 반송스풀(72)을 회전시키도록 회전구동하는 부재와 결합시키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크랭크 어셈블리(46)의 일부인 리테이너부재(74)는 상기 리테이너부재(74)가 너트(56) 및 크랭크핸들(52)에 고정되어 너트(56)가 리테이너부재(74)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거나 또는 회전이 제한되고, 또한 리테이너부재(74)가 크랭크핸들(52)에 대하여 샤프트축(50)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거나 또는 회전이 제한되도록 크랭크핸들(52)에 부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리테이너부재(74)는 상기 리테이너부재(74)를 크랭크핸들(52) 및 너트(56)의 순방향 및 역방향으로 축방향 라인을 따라 간단하게 전진시킴으로써 도 6에 예시된 조립전 위치로부터 도 8에 예시된 동작위치로 이동가능하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너트(56)는 6개의 평탄한 측면(76, 78, 80, 82, 84, 86)에 의하여 형성되는 종래의 6각형 원주 형상을 가진다. 물론, 본 명세서에 개시된 6각형 구조와 다르게 변형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너트(56)는 종래의 렌치(wrench)에 의하여 특정의 낚시릴 구조에 최적인 소정의 토크까지 조여서 결합될 수 있다. 너트(56)는 크랭크핸들(52)이 샤프트(48)에 장착되고 이 샤프트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도 3에 예시된 제1 위치로부터 너트(56)가 샤프트(48)에 장착된 크랭크핸들(52)을 유지하는 도 6-9에 예시된 제2 위치로 변경가능하다.
리테이너부재는 축(50)을 따라서 바라볼 때 일반적으로 타원형 윤곽으로 된 몸체(90)를 가진다. 몸체(90)는 너트(56) 전체를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공동(92)을 가진다. 공동(92)은 평탄한 측면(76, 78, 80, 82, 84, 86)에 의하여 협동적으로 형성된 너트(56)의 원주면(96)과 고정, 연결되는 면(94)에 의하여 경계를 이룬다.
면(94)은 인접하는 측면(76, 78, 80, 82, 84, 86)의 접합점에 형성된 모서리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원주상으로 이격된 V자형 노치(notch)(102)를 가진 두 개의 고정되고 정반대로 대향하는 면 부분(98, 100)(도 4 참조)에 의하여 형성된다.
공동(92)은 반경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핑거(finger)(108, 110)가 각각 위치되는 정반대로 대향하여 연장되는 보조-공동(sub-cavity)(104, 106)을 가진다. 핑거(108, 110)는 리테이너부재(74)의 몸체(90)로부터 축방향으로 대면하는 베이스 벽(112)에서 캔틸레버식으로 돌출한다. 상기 배열에 있어서, 핑거(108, 110)는 도 4, 및 도 8과 도9에 예시된 제1 상태와 도 7에 예시된 기울어진 상태 사이로 반경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보조-공동(104, 106)은 너트(56)가 공동(92) 내로 완전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핑거를 반경방향으로 충분하게 기울어지게 할 수 있는 크기로 된다. 핑거(108, 110)는 노치(102)에 대응하는 노치(114, 116)를 가져서 원주방향 너트 면(96)의 모서리를 측면(76, 78, 80, 82, 84, 86) 사이의 접합점에 수용한다.
핑거(108) 각각은 축(50)과 직교하지 않고 서로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는 대체로 평탄하며 축방향으로 내측 및 외측으로 대면하는 쇼율더(shoulder)(120, 122)를 가지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118)를 구비한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핑거(110) 각각은 반경방향 내측 및 외측으로 대면하는 쇼울더(126, 128)를 구비한 유사한 돌출부(124)를 가진다.
돌출부(118, 124)를 수용하기 위하여, 너트(56)는 원주면(96)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노치(130)를 가지고, 이 노치(130)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대면하는 대체로 평탄한 쇼울더(132) 및 반경방향 외측으로 대면하는 대체로 평탄한 쇼울더(134)에 의하여 경계를 이룬다. 인접하는 평탄한 측면(76, 78, 80, 82, 84, 86) 사이의 모서리는 너트(56)의 축방향 외측면(138)과 쇼울더(132) 사이에 (136)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평탄하다.
노치(102, 114, 116)의 개수는 너트(56) 상의 인접하는 측면(76, 78, 80, 82, 84, 86) 사이의 모서리가 노치(102, 114, 116) 내에 동시에 고정될 수 있도록 선택되고, 너트(56)와 리테이너부재(74) 사이의 관계에 상관없이 이들 사이가 고정되도록 리테이너부재(74)와 너트(56) 사이에 축(50)을 중심으로 단지 약간만 각도를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도록 개수가 충분하다.
리테이너부재(74)를 동작위치에 배치하기 위하여, 리테이너부재(74)는 몸체(90)의 타원형상의 주축(major axis)(140)(도 2 참조)이 크랭크핸들(52)의 폭을 양분하는 상태로 도 6에 나타낸 조립전 위치에 정렬된다. 너트(56)가 공동(92) 내로 이동할 때, 핑거(108, 110) 상의 쇼울더(120, 126)가 너트(56) 상의 경사진 에지(beveled edge)(142)와 마주쳐서 리테이너부재(74)가 도 8의 동작위치를 향하여 이동할 때 반경방향 외측으로 점진적으로 캠작용한다. 도 7의 기울어진 위치의 돌출부(118, 124)는 모서리를 따라 그 평탄한 부분(136)에 얹힌 다음 돌출부(118, 124)의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너트(56) 내의 노치(130)와 축방향으로 일치된다. 리테이너부재(74)가 도 8의 동작위치인 상태에서, 돌출부(118, 124)는 핑거(108) 상의 쇼울더(1220 및 핑거(110) 상의 쇼울더(128)가 너트(56) 상의 쇼울더(132)에 대면하여 접하는 제1 위치로 튀어 올라 리테이너부재(74)가 도 8의 동작위치로부터 외측으로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노치(130) 및 돌출부(118, 124)는 리테이너부재(74)의 몸체(90) 상의 평탄한 축방향 내측으로 대면하는 면(144)이 돌출부(118, 124)가 노치(130)에 위치되는 것과 동시에 크랭크핸들(52) 상의 평탄한 외측으로 대면하는 면(146)과 접하도록 상대적으로 위치된다.
리테이너부재(74)와 크랭크핸들(52) 사이의 상대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포스트(148, 150)가 리테이너부재(74)의 몸체(90) 상에 형성되어 주축(140)을 따라 정반대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캔틸레버식으로 축방향으로 돌출한다.
종래의 크랭크핸들 구조에서는, 나사산을 가진 보어(152)가 크랭크핸들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나사(36)를 수용한다(도 1 참조). 포스트(148)는 축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나사산을 가진 보어(152) 내에 꼭 맞게 끼워지는 크기이다. 이 배열은 종래의 나사산을 갖지 않은 너트(unnotched nut)(26) 대신에 본 발명의 너트(56)를 간단히 제공함으로써 리테이너부재(74)를 종래의 크랭크핸들에 용이하게 장치한다.
강성(剛性)을 추가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제2 보어(154)를 제공하여 선택적인 포스트(150)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는 몸체(90), 핑거(108, 110), 및 포스트(148, 150)를 포함하는 완전한 리테이너부재(74)를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단체(單體)로 형성할 수 있다.
리테이너부재(74)는 별도의 파스너를 사용하지 않고 동작위치로 간단하게 눌려 끼우거나/스냅핏 될 수 있다. 리테이너부재(74)는 적소에 눌려 끼워져서 너트(56)에 대하여 약간 회전시켜 포스트(148, 150)와 보어(152, 154)가 정렬되도록 조립전 위치에 정렬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대한 전술한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광범위한 개념을 예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리테이너부재는 샤프트 자유단부에 끼워져서 그 위에 조여진 너트로 고정, 연결되어 크랭크핸들이 회전가능부재로부터 부주의로 인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관통하는 보어 내에 절결부를 형성하여 나사헤드를 리테이너부재의 외면과 같은 높이 또는 하측에 위치시켜 미관상 및 나사헤드가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Claims (23)

  1. 낚시릴을 동작시키도록 회전식으로 구동가능한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크랭크핸들,
    상기 크랭크핸들과 제1 부재에 대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로 원위치가능한 고정부재―여기서 크랭크핸들은 상기 고정부재가 제1 위치인 상태에서 상기 제1 부재에 장착되거나 또는 제1 부재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부재가 제2 위치인 상태에서 상기 제1 부재에 장착된 상기 크랭크핸들을 유지함―, 및
    상기 크랭크핸들 및 제1 부재에 대하여 눌려 끼워져서 동작위치에 유지될 수 있는 리테이너부재―여기서 리테이너부재는 상기 고정부재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함―
    를 포함하는 낚시릴용 크랭크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 부재에 나사식으로 연결되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로 제1 부재에 대하여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너트를 포함하는 낚시릴용 크랭크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제1 축에 대하여 제1 축방향으로 대면하는 제1 쇼울더를 가지고 상기 리테이너부재는 제1 축방향과 대향하여 대면하는 제2 쇼울더를 가진 제1의 원위치가능한 핑거를 가지며, 상기 원위치가능한 핑거는 상기 리테이너부재가 조립전 위치로부터 동작위치로 제1 축과 대체로 평행으로 이동할 때 상기 고정부재에 접하며, 상기 제1의 원위치가능한 핑거 상의 면 및 고정부재가 협동하여 상기 제1의 원위치가능한 핑거를 제1 축에 대하여 제1 상태로부터 기울어진 상태로 반경방향으로 기울여서 상기 리테이너부재가 조립전 위치로부터 동작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제2 쇼울더가 상기 제1 쇼율더까지 및 이를 지나 이동할 수 있어서 상기 제1의 원위치가능한 핑거가 상기 제1 및 제2 쇼울더가 서로 대면하고 상호작용하여 상기 리테이너부재가 동작위치로부터 조립전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상태를 향하여 후진 이동하는 낚시릴용 크랭크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 부재에 나사식으로 연결되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로 제1 부재에 대하여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너트를 포함하는 낚시릴용 크랭크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부재는 상기 제1 축과 대체로 평행으로 연장되는 제1의 캔틸레버식 포스트를 가지며, 상기 제1의 캔틸레버식 포스트는 크랭크핸들 내로 연장되어 상기 리테이너부재가 동작위치인 상태에서 상기 리테이너부재가 제1 축을 중심으로 상기 크랭크핸들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낚시릴용 크랭크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핸들은 나사산을 가진 보어를 가지고, 상기 제1의 캔틸레버식 포스트는 상기 리테이너부재를 제1 축과 대체로 평행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나사산을 가진 보어 내로 연장될 수 있는 낚시릴용 크랭크 어셈블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캔틸레버식 포스트 및 핑거가 단체(單體)로 함께 형성되는 낚시릴용 크랭크 어셈블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부재는 제1 축과 대체로 평행으로 연장되며 상기 크랭크핸들 내로 연장되는 제2의 캔틸레버식 포스트를 가져서 상기 리테이너부재가 동작위치인 상태에서 상기 리테이너부재가 제1 축을 중심으로 상기 크랭크핸들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낚시릴용 크랭크 어셈블리.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제1 축방향으로 대면하는 제3 쇼울더를 가지고 상기 리테이너부재는 제1 축방향에 대향하여 대면하는 제4 쇼울더를 가진 제2의 원위치가능한 핑거를 가지며, 상기 리테이너부재가 조립전 위치로부터 동작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제1의 원위치가능한 핑거가 상기 고정부재와 협동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상기 제2의 원위치가능한 핑거가 상기 고정부재와 협동함으로써 제3 및 제4 쇼울더가 서로 대면하고 상호작용하여 상기 리테이너부재가 동작위치로부터 조립전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낚시릴용 크랭크 어셈블리.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가 상기 제1 쇼율더를 형성하는, 내부에 형성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노치를 가진 낚시릴용 크랭크 어셈블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쇼율더가 상기 제1 축에 대하여 정반대로 대향하는 낚시릴용 크랭크 어셈블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부재가 성형 플라스틱부품을 포함하는 낚시릴용 크랭크 어셈블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가 낚시릴 상의 낚시줄 반송스풀에 회전을 제공하도록 회전가능한 길다란 샤프트를 포함하는 낚시릴용 크랭크 어셈블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핸들은 사용자가 상기 크랭크핸들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도록 잡을 수 있는 크랭크 손잡이를 포함하는 낚시릴용 크랭크 어셈블리.
  15. 제1항에 있어서, 동작위치 상태인 상기 리테이너부재가 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크랭크핸들 양자 모두에 고정되는 낚시릴용 크랭크 어셈불리.
  16.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의 동작기구―여기서 동작기구는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샤프트를 포함함―,
    상기 샤프트에 회전을 제공하는 크랭크핸들,
    상기 샤프트에 나사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크랭크핸들 및 샤프트에 대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로 원위치가능한 너트―여기서 상기 크랭크핸들은 너트가 제1 위치인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에 장착가능하며 상기 샤프트로부터 분리가능하고, 상기 너트는 너트가 제2 위치인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에 장착된 상기 크랭크핸들을 유지함―, 및
    상기 크랭크핸들 및 샤프트에 대하여 눌려 끼워져서 동작위치에 유지되는 리테이너부재―여기서 리테이너부재는 상기 너트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함―
    를 포함하는 낚시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는 상기 제1 축에 대하여 제1 축방향으로 대면하는 제1 쇼울더를 가지고 상기 리테이너부재는 제1 축방향과 대향하여 대면하는 제2 쇼울더를 가진 제1의 원위치가능한 핑거를 가지며, 상기 원위치가능한 핑거는 상기 리테이너부재가 조립전 위치로부터 동작위치로 제1 축과 대체로 평행으로 이동할 때 상기 너트에 접하고, 상기 제1의 원위치가능한 핑거 상의 면 및 너트가 협동하여 상기 제1의 원위치가능한 핑거를 제1 축에 대하여 제1 상태로부터 기울어진 상태로 반경방향으로 기울여서 상기 리테이너부재가 조립전 위치로부터 동작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제2 쇼울더가 상기 제1 쇼율더 까지 및 이를 지나 이동할 수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부재가 동작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제1의 원위치가능한 핑거가 상기 제1 및 제2 쇼울더가 서로 대면하고 상호작용하여 상기 리테이너부재가 동작위치로부터 조립전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상태를 향하여 후진 이동하는 낚시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부재는 상기 제1 축과 대체로 평행으로 연장되는 제1의 캔틸레버식 포스트를 가지며, 상기 제1의 캔틸레버식 포스트는 크랭크핸들 내로 연장되어 상기 리테이너부재가 동작위치인 상태에서 상기 리테이너부재가 제1 축을 중심으로 상기 크랭크핸들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낚시릴용 크랭크 어셈블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핸들은 나사산을 가진 보어를 가지고, 상기 제1의 캔틸레버식 포스트는 상기 리테이너부재를 제1 축과 대체로 평행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나사산을 가진 보어 내로 연장될 수 있는 낚시릴용 크랭크 어셈블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캔틸레버식 포스트 및 핑거가 단체(單體)로 함께 형성되는 낚시릴용 크랭크 어셈블리.
  2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는 상기 제1 축방향으로 대면하는 제3 쇼울더를 가지고 상기 리테이너부재는 제1 축방향과 대향하여 대면하는 제4 쇼울더를 가진 제2의 원위치가능한 핑거를 가지며, 상기 제2의 원위치가능한 핑거는 상기 리테이너부재가 조립전 위치로부터 동작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제1의 원위치가능한 핑거가 상기 너트와 협동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상기 너트와 협동함으로써 상기 제3 및 제4 쇼울더가 서로 대면하고 상호작용하여 상기 리테이너부재가 동작위치로부터 조립전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낚시릴용 크랭크 어셈블리.
  22. 제16항에 있어서, 동작위치 상태인 상기 리테이너부재가 상기 너트 및 상기 크랭크핸들 양자 모두에 고정되는 낚시릴용 크랭크 어셈블리.
  23. 낚시릴을 동작시키도록 회전식으로 구동가능한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크랭크핸들,
    상기 크랭크핸들과 제1 부재에 대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로 원위치가능한 고정부재―여기서 크랭크핸들은 상기 고정부재가 제1 위치인 상태에서 상기 제1 부재에 장착되거나 또는 제1 부재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부재가 제2 위치인 상태에서 상기 제1 부재에 장착된 상기 크랭크핸들을 유지함―, 및
    상기 크랭크핸들 및 제1 부재에 대하여 위치되고 동작위치에 유지될 수 있는 리테이너부재―여기서 리테이너부재는 상기 고정부재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함―
    를 포함하는 낚시릴용 크랭크 어셈블리.
KR1019990055795A 1998-12-08 1999-12-08 낚시릴 상에 크랭크핸들을 유지하는데 사용하는 부재의고정용 리테이너부재 KR1003409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207,853 1998-12-08
US09/207,853 US6029922A (en) 1998-12-08 1998-12-08 Retainer element for a securing element used to maintain a crank handle on a fishing re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998A true KR20000047998A (ko) 2000-07-25
KR100340978B1 KR100340978B1 (ko) 2002-06-20

Family

ID=22772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5795A KR100340978B1 (ko) 1998-12-08 1999-12-08 낚시릴 상에 크랭크핸들을 유지하는데 사용하는 부재의고정용 리테이너부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029922A (ko)
JP (1) JP2000166441A (ko)
KR (1) KR1003409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0525A (ko) * 2014-10-30 2016-05-11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외곽 형상을 따라 형성된 살빼기공을 구비한 낚시릴용 핸들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5446A (ja) * 1999-11-19 2001-05-29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ハンドル取付構造
US6305627B1 (en) * 1999-12-08 2001-10-23 Roy E. Stiner Fastener and retainer
US6666396B2 (en) 2001-06-11 2003-12-23 Gator Grip, Inc. Multidirectional rotatable handle
SG117579A1 (en) * 2004-05-20 2005-12-29 Shimano Kk Brake operation structure for fishing reel spool
US7713012B2 (en) * 2007-05-22 2010-05-11 John Coonjohn License plate fastener
JP5479832B2 (ja) * 2009-09-30 2014-04-23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JP5961364B2 (ja) * 2011-11-18 2016-08-0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及び両軸受リール
JP6227891B2 (ja) * 2013-04-30 2017-11-08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
US10082171B2 (en) * 2014-03-27 2018-09-25 Furukawa Electric Co., Ltd. Base member with nut press-fit portion
JP7105613B2 (ja) * 2018-05-22 2022-07-25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リールのハンドルリターン位置調整機構
JP7086827B2 (ja) * 2018-12-14 2022-06-20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用キャップ
KR102235633B1 (ko) * 2019-01-31 2021-04-05 주식회사 바낙스 텐션 조정노브 이탈방지구가 구비된 베이트 캐스트 릴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8744A (en) * 1902-03-05 1903-01-20 Arthur E White Nut lock and guard.
JPS5642518U (ko) * 1979-09-10 1981-04-18
SU937807A1 (ru) * 1980-12-01 1982-06-23 Предприятие П/Я Р-6601 Колпачкова гайка
US4898493A (en) * 1989-03-16 1990-02-06 Karl Blankenburg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parts
US5292087A (en) * 1990-08-07 1994-03-08 Shimano, Inc. Baitcasting reel
JP2572095Y2 (ja) * 1992-01-28 1998-05-2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3043237B2 (ja) * 1993-11-24 2000-05-22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3403559B2 (ja) * 1995-11-29 2003-05-06 矢崎総業株式会社 筒状体の端面へのカバー固定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0525A (ko) * 2014-10-30 2016-05-11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외곽 형상을 따라 형성된 살빼기공을 구비한 낚시릴용 핸들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29922A (en) 2000-02-29
KR100340978B1 (ko) 2002-06-20
JP2000166441A (ja) 2000-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0978B1 (ko) 낚시릴 상에 크랭크핸들을 유지하는데 사용하는 부재의고정용 리테이너부재
US8695681B2 (en) System for operating and positioning a roller shade
US5823700A (en) Drawer front fastener
US20020162229A1 (en) Utility knife
US8308097B2 (en) Click sound generating device for bait reel
US6240810B1 (en) Ratchet screwdriver having a concealable ratchet shifter
US6076433A (en) Ratchet wrench operable in forward, reverse and neutral modes
KR100334622B1 (ko) 낚시용 양 베어링형 릴의 핸들 착탈구조
JP2004003103A (ja) オートバイドライバー用ヘルメットキャップにバイザーを取り付けるための装置
KR102449071B1 (ko) 볼 스크류 드라이버
US11491614B2 (en) Ratchet wrench allowing easy change of rotation direction
JPH09313276A (ja) 抽斗のラッチ装置
JP2549033B2 (ja) パチンコ遊技機
US20020043135A1 (en) Wrench
JPH07185097A (ja) パチンコ機における球受皿の組付構造
JPH0743381Y2 (ja) レバーハンドル装置
JPH11318285A (ja) 魚釣り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着脱機構
US7070305B2 (en) Rotation-controlled lamp for controlling actuation and de-actuation of the lamp
GB2327058A (en) Ratchet wrench
KR200366969Y1 (ko) 각도조절 수단을 갖는 낚시용 조명장치
US11000938B2 (en) Ratchet device
JPH04185704A (ja) ヘルメットのシールド取付構造
JPH11276040A (ja) 魚釣用リール
US20200316757A1 (en) Switchable Ratchet Wrench
KR200143490Y1 (ko) 컴퓨터 확장 모듈 고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