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7793A - 대역 통과 필터, 안테나 공용기 및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대역 통과 필터, 안테나 공용기 및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7793A
KR20000047793A KR1019990053779A KR19990053779A KR20000047793A KR 20000047793 A KR20000047793 A KR 20000047793A KR 1019990053779 A KR1019990053779 A KR 1019990053779A KR 19990053779 A KR19990053779 A KR 19990053779A KR 20000047793 A KR20000047793 A KR 20000047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nt
resonant line
line
hole
end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3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7120B1 (ko
Inventor
도다준
히로시마모토하루
가토히데유키
Original Assignee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무라타 야스타카
Publication of KR20000047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7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7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71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01P1/2056Comb filters or interdigital filters with metallised resonator holes in a dielectric blo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진 선로용 구멍의 스텝 위치 및 공진기 길이를 일정하게 하고, 또한 개방면에 용량 결합 조정용 전극을 형성하지 않고, 소정의 필터 특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한 대역 통과 필터, 안테나 공용기 및 그들을 이용한 통신 장치를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전체 블록(1)의 내부에, 내면에 공진 선로를 형성한 공진 선로용 구멍(2a, 2b, 2c)을 형성하고, 한 쌍의 대역 통과 필터 부분의 공진 선로용 구멍 중 적어도 하나의 단락단측 또는 개방단측의 내형 사이즈를 다른 공진 선로용 구멍과는 다르게 함과 동시에, 복수의 공진 선로용 구멍의 배열 방향의 중앙을 대칭축으로 하는 대칭 관계에 있는 공진 선로용 구멍에 대해, 단락단측 또는 개방단측의 내형 사이즈를 동일하게 한다.

Description

대역 통과 필터, 안테나 공용기 및 통신 장치{Band-pass filter, antenna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고주파대에서 사용되는 대역 통과 필터, 안테나 공용기 및 이들을 이용한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전체 블록 내에, 각각의 내면에 공진 선로를 형성한 복수의 공진 선로용 구멍을 배열하고, 유전체 블록의 외면에 외부 도체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유전체 필터로서,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① 6-310911호, ② 6-505608호, ③ 7-86807호, ④ 2-92001호 및 ⑤ 5-37203호가 게재되어 있다.
①의 유전체 필터는, 유전체 블록의 서로 대향하는 제 1 단면과 제 2 단면의 사이를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고, 제 1 단면을 제외한 면과 관통 구멍에 도체막을 형성하고, 관통 구멍의 제 1 단면측과 제 2 단면측에서, 그 단면 형상을 다르게 함으로써, 공진 선로의 특성 임피던스를 개방단측과 단락단측으로 다르게 하여 공진기간의 결합을 취하도록 한 것이다.
②의 유전체 필터는, 유전체 블록에 단면 형상이 일정한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한쪽의 개구면을 제외한 외면 및 관통 구멍의 내면에 도체를 형성하고, 유전체 블록의 측면에 입출력용 단자(패드)를 형성한 것이다.
③의 유전체 필터는, 유전체 블록에, 내면에 도체막을 형성한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관통 구멍의 한쪽 단면에서 관통 구멍 내면의 도체막과 유전체 블록 외면의 도체막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다른쪽 단면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그 오목부의 내면에, 관통 구멍 내면의 도체막으로부터 이어지는 도체막을 형성함으로써 공진 선로의 개방단에 부가 용량을 구성한 것이다.
④의 유전체 필터는, ①과 마찬가지로 유전체 블록의 서로 대향하는 제 1 단면과 제 2 단면의 사이를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고, 제 1 단면을 제외한 면과 관통 구멍에 도체막을 형성하고, 관통 구멍의 지름이 큰 부분과 지름이 작은 부분으로 구분하는 단차를 형성함과 함께, 각 공진 선로의 지름이 큰 부분과 지름이 작은 부분의 내부 지름의 비율 혹은 지름이 작은 부분의 축 방향의 길이를, 인접하는 공진 선로에서 다르도록 한 것이다.
⑤의 유전체 필터는, 유전체 블록에 관통 구멍 및, 바닥부가 관통 구멍의 한 단면이 되는 홈을 형성하고, 그 홈을 넓히기 위해 유전체 블록의 일부를 노치하고, 관통 구멍 내면의 도체를 홈의 내측면의 도체에 연속시켜, 외부 도체와의 사이에 정전 용량을 발생시키도록 한 것이다.
①∼③에 개시한 종래의 유전체 필터에서는, 유전체 블록의 개방면에서 단락면으로 관통하는 그 관통 구멍의 구체적인 구조와 그 구조에 따른 효과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④의 유전체 필터에서는, 각 공진 소자의 공진 주파수를 소요 주파수 밸런스가 되도록 조정하기 위해, 각 공진 소자에 있어서의 공진 선로용 구멍의 지름이 큰 부분과 지름이 작은 부분의 내부 지름의 비율 혹은 지름이 작은 부분의 축 방향의 길이를, 인접하는 공진 소자(공진 선로)에 대해 변화시키고, 개방면측 부분과 단락면측 부분의 공진 선로의 특성 임피던스를 상대적으로 변화시키고, 인접하는 공진 선로 사이에서의 결합 계수를 정한다. 또한, ⑤의 유전체 필터에서는, 노치를 형성한 부분이 공진기로서 작용하지 않고, 부가 용량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유전체 필터에서는, 배열된 복수의 공진 선로중 소정의 인접하는 공진 선로간의 결합을, 다른 공진 선로간의 결합과는 독립하여 다르게 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따라서, 소정의 대역 통과 특성 및 감쇠극 주파수를 설계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소정의 필터 특성을 얻기 위해, 공진 선로용 구멍의 배열 피치와 공진 선로용 구멍의 내부 지름이 다른 위치(스텝 위치)를 각각 적절히 설정하는 방법도 채용되고 있는데, 그 결과, 유전체 블록의 외형 사이즈가 커지고, 유전체 필터 전체가 대형화하고 만다. 또한, 각 공진 선로용 구멍의 지름이 큰 부분과 지름이 작은 부분의 각각의 치수 및 스텝 위치가 일정하지 않으면, 제조 효율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 유전체 블록에 3개 이상의 공진 선로용 구멍을 배열하는 경우, 원하는 필터 특성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한 대역 통과 필터, 안테나 공용기 및 그들을 이용한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대역 통과 필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대역 통과 필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고,
도 3은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대역 통과 필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고,
도 4는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대역 통과 필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고,
도 5는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안테나 공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고,
도 6은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전체 블록 2 : 공진 선로용 구멍
3 : 외부 도체 5 : 공진 선로
6 : 단자 전극(Tx단자) 7 : 단자 전극(Rx단자)
8 : 단자 전극(ANT단자) g : 전극 비형성부
본 발명은, 유전체 블록 내에, 각각의 내면에 공진 선로를 형성한 3개 이상의 공진 선로용 구멍을 배열하고, 상기 유전체 블록의 외면에 외부 도체를 형성한 유전체 필터에서, 상기 공진 선로의 한 단을 단락단, 다른 단을 개방단으로 하고, 상기 공진 선로용 구멍의 축 방향의 도중에 그 공진 선로용 구멍의 내형 사이즈에 차이를 가지게 하고, 복수의 공진 선로용 구멍 중 적어도 하나의 공진 선로용 구멍의 단락단측 또는 개방단측의 내형 사이즈를, 다른 공진 선로용 구멍과는 다르게 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공진 선로용 구멍의 배열 방향의 중앙을 대칭축으로 하는 대칭 관계에 있는 공진 선로용 구멍에 대해, 단락단측 또는 개방단측의 내형 사이즈를 동일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전체 블록 내에, 각각의 내면에 공진 선로를 형성한 3개 이상의 공진 선로용 구멍을 배열하고, 상기 유전체 블록의 외면에 외부 도체를 형성한 유전체 필터에 있어서, 상기 공진 선로의 한 단을 단락단, 다른 단을 개방단으로 하고, 상기 공진 선로용 구멍의 축 방향의 도중에 그 공진 선로용 구멍의 내형 사이즈에 차이를 가지게 하고, 인접하는 공진 선로용 구멍의 단락단측 또는 개방단측의 간격을, 상기 복수의 공진 선로용 구멍의 배열 방향의 중앙을 축으로 하여 비대칭 관계로 하고, 인접하는 공진 선로 사이를 결합시킨다.
이들의 구조에 의해, 공진 선로 길이를 일정하게 하고, 아울러 공진 선로용 구멍의 스텝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인접하는 공진 선로간의 소정의 결합을 독립하여 정할 수 있고, 아울러 대역 통과 필터 특성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진 선로용 구멍의 단락단측 또는 개방단측의 내형 사이즈를 모든 공진 선로용 구멍에 대해 동일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진 선로용 구멍의 단락단으로부터 내형 사이즈가 변화하는 위치까지의 길이를 각 공진 선로용 구멍에 대해 일정하게 한다.
이들의 구조에 의해, 유전체 블록의 성형시에 내부 응력의 분포가 균일화되고, 그 뒤틀림이나 변형을 적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유전체 블록 성형용 금형의 구조가 단순해지고, 금형의 제작이 용이해져,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공진 선로용 구멍 한쪽의 공진 선로용 구멍의 개구면을 외부 도체가 없는 개방면으로 하고, 그 개방면을 상기 공진 선로의 개방단으로 한다. 이 구조에 따르면, 유전체 블록의 개방면에 결합용 전극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개방면의 평면 가공만에 의해, 각 공진 선로의 개방단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공진 선로용 구멍 한쪽의 공진 선로용 구멍의 개구면보다 깊숙해진 부분에, 외부 도체로부터 분리되는 전극 비형성부를 형성하고, 그 전극 비형성부를 상기 공진 선로의 개방단으로 한다. 이 구조에 따르면, 공진 선로의 개방단이 공진 선로용 구멍의 내부에 존재하기 때문에, 전자계 리크가 매우 적어지고, 게다가 상기 전극 비형성부를 형성하는 위치 및 크기를 각 공진 선로용 구멍에 대해 동일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가공 조건을 변경할 필요가 없고, 가공 시간의 단축 및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어느 한 구조의 유전체 필터를, 송신 필터와 수신 필터로 하여 단일 유전체 블록으로 구성하고, 송신 필터 첫번째 단의 공진 선로에 결합하는 송신 신호 입력 단자와, 수신 필터 마지막 단의 공진 선로에 결합하는 수신 신호 출력 단자와, 송신 필터 마지막 단의 공진 선로와 수신 필터 첫번째 단의 공진 선로에 각각 결합하는 안테나 단자를 형성하여 안테나 공용기를 구성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대역 통과 필터 또는 안테나 공용기를 고주파 회로부에 형성하여 통신 장치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대역 통과 필터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대역 통과 필터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종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서 1은 직방체 형상의 유전체 블록이고, 이 유전체 블록(1)의 한쪽 단면으로부터 그에 대향하는 다른쪽 단면으로 관통하는 3개의 공진 선로용 구멍(2a, 2b, 2c)을 서로 평행하게 배열하고 있다. 이들 공진 선로용 구멍(2a, 2b, 2c)의 내면에는 공진 선로(5a, 5b, 5c)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또한 유전체 블록(1)의 외면에는, 공진 선로용 구멍(2a, 2b, 2c)의 한쪽 개구면을 제외한 다섯 면에 외부 도체(3)를 형성하고 있다. 유전체 블록(1)의 외부 도체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개방면이 공진 선로(5a, 5b, 5c)의 개방단이 되고, 개방면에 대향하는 단락면이 공진 선로의 단락단이 된다. 또한 유전체 블록(1)의 외면에는, 6, 7로 나타내는 단자 전극을 외부 도체(3)로부터 절연 상태로 형성하고 있다. 이들 단자 전극(6, 7)은 공진 선로(5a, 5c)의 개방단 부근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정전 용량에 의해 결합된다.
공진 선로용 구멍(2a, 2b, 2c)은, 공진 선로(5a, 5b, 5c)의 개방단측 내부 지름이 단락단측의 내부 지름보다 큰 스텝 구조로 하고 있다. 또한 공진 선로용 구멍(2a, 2b, 2c)의 개방단측 내부 지름을 동일 치수로 하고, 단락단측을 다르게 하고 있다. 즉, 1단째와 3단째 공진 선로용 구멍(2a, 2c)의 단락단측 내부 지름을 동일하게 함과 동시에, 이 내부 지름보다 중앙의 공진 선로용 구멍(2b)의 단락단측의 내부 지름을 크게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인접하는 공진 선로 사이를 각각 용량성 결합시킨다.
이상의 구조에 의해, 각 공진 선로용 구멍 부분에서의 유전체 블록(1)의 물리 길이(L), 각 공진 선로용 구멍의 지름이 큰 부분의 내부 지름 및 그 길이가 일정하면서, 1단째, 2단째, 3단째 공진 선로의 공진 주파수를 각각 f1, f2, f3으로 했을 때, 아래와 같은 관계로 할 수 있다.
f1=f3<f2
또한, 1단째·2단째 공진 선로간의 용량성 결합과, 2단째·3단째 공진 선로간의 용량성 결합은 동일하므로, 각각의 결합에 의한 감쇠극 주파수는 일치하고, 통과 대역의 저역측을 가파르게 감쇠시킬 수 있다. 이 감쇠극 주파수는 용량성 결합의 강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단락단측 및 개방단측 공진 선로용 구멍의 내부 지름을 정함으로써, 통과 대역과 감쇠극 주파수를 임의로 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예에서는, 2단째 공진 선로용 구멍의 단락단측 내부 지름을 1·3단째 공진 선로용 구멍의 단락단측 내부 지름보다 크게 하였지만, 반대로 2단째 공진 선로용 구멍의 단락단측 내부 지름을 1·3단째 공진 선로용 구멍의 단락단측 내부 지름보다 작게 함으로써, 1단째와 2단째의 사이, 및 2단째와 3단째 사이의 용량성 결합의 강도를 정해도 된다.
다음으로,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대역 통과 필터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대역 통과 필터와 달리, 공진 선로의 개방단을 공진 선로용 구멍의 내부에 형성하고 있다. 즉 도 2에서 1은 거의 직방체 형상의 유전체 블록이고, 이 유전체 블록(1)의 한쪽 단면으로부터 그에 대향하는 다른쪽 단면으로 관통하는 3개의 공진 선로용 구멍(2a, 2b, 2c)을 서로 평행하게 배열하고 있다. 유전체 블록(1)의 외면 6면에는 외부 도체(3)를 형성하고 있다. 공진 선로용 구멍(2a, 2b, 2c)의 내면에는, 한쪽 개구부 부근의 전극 비형성부(g) 부분에서 개방시킨 공진 선로(5a, 5b, 5c)를 형성하고 있다. 이 개방단측의 면에 대향하는 면(단락면)이 공진 선로의 단락단이 된다. 또한 유전체 블록(1)의 외면에는, 6, 7로 나타내는 단자 전극을 외부 도체(3)로부터 절연 상태로 형성하고 있다. 이들 단자 전극(6, 7)은 공진 선로(5a, 5c)의 개방단 부근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용량에 의해 결합한다.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공진 선로용 구멍(2a, 2b, 2c)은, 공진 선로(5a, 5b, 5c)의 개방단측 내부 지름을 단락단측의 내부 지름보다 큰 스텝 구조로 하고, 공진 선로용 구멍(2a, 2b, 2c)의 개방단측 내부 지름을 동일 치수로 하고, 단락단측을 다르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공진 선로의 개방단을 공진 선로용 구멍의 개구면보다 깊숙해진 부분에 형성함으로써, 전자계 리크를 매우 작게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각 공진 선로의 공진 주파수를 단락단측 공진 선로용 구멍의 내부 지름을 변화시킴으로써 결정하였기 때문에, 전극 비형성부(g)의 위치 및 치수를 각 공진 선로용 구멍에 대해 동일하게 할 수 있고, 그 가공 조건이 공통이 되어, 가공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어, 비용 절감에 연결된다.
다음으로,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대역 통과 필터의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제 2 실시형태에서는, 3단의 공진기로 이루어지는 대역 통과 필터를 예로 하였지만, 이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대역 통과 필터는 4단의 공진기로 구성한다. 즉, 유전체 블록(1)의 한쪽 단면으로부터 그에 대향하는 다른쪽 단면으로 관통하는 4개의 공진 선로용 구멍(2d, 2e, 2f, 2g)을 서로 평행하게 배열하고 있다. 유전체 블록(1)의 외면 한 면을 개방면으로 하고, 남은 다섯 면에 외부 도체(3)를 형성하고 있다. 공진 선로용 구멍(2d, 2e, 2f, 2g)의 내면에는 각각 공진 선로를 형성하고 있다. 이 개방단측 면에 대향하는 면(단락면)이 공진 선로의 단락단이 된다. 또한, 유전체 블록(1)의 외면에는, 6, 7로 나타내는 단자 전극을 외부 도체(3)로부터 절연 상태로 형성하고 있다. 이들 단자 전극(6, 7)은 공진 선로용 구멍(2d, 2g) 내면의 공진 선로의 개방단 부근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에 의해 결합한다.
도 3에서, 복수의 공진 선로용 구멍(2d, 2e, 2f, 2g)의 배열 방향의 중앙을 대칭축으로 하는 대칭 관계에 있는 공진 선로용 구멍, 즉 2e-2f 및 2d-2g의 조합에 대해, 공진 주파수를 동일하게 하기 위해, 공진 선로용 구멍의 단락단측 내부 지름을 일정하게 함과 동시에, 개방단측 공진 선로용 구멍의 내형을 각각의 조합으로 동일하게 하고 있다. 또한 공진 선로 사이를 용량 결합시키고, 아울러 하기 식과 같은 관계가 되도록, 2단째와 3단째 공진 선로용 구멍(2e, 2f)의 개방단측 내부 지름을 작게 하고 있다.
f1=f4<f2=f3
다음으로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대역 통과 필터의 구성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대역 통과 필터의 사시도이다. 이 예에서는, 공진 선로용 구멍(2a, 2b, 2c)의 형상이 다르고, 그 외의 구조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필터와 동일하다.
공진 선로용 구멍(2a, 2b, 2c)은 각각 개방단측의 내부 지름을 단락단측의 내부 지름보다 큰 스텝 구조로 하고 있다. 단, 공진 선로용 구멍 단락단측의 배열 피치(인접하는 공진 선로용 구멍간의 간격)를, 중앙의 공진 선로용 구멍을 중심으로 하는 축에 대해 비대칭으로 하고 있다. 이 구조에 의해, 1단째와 2단째의 공진 선로에 대해서는, 단락단측의 간격을 좁게 하여 유도성 결합시키고, 2단째와 3단째의 공진 선로에 대해서는, 단락단측의 간격을 넓게 하여 용량성 결합시키고 있다.
이 구조에 따라, 상기 용량성 결합에 의해 통과 대역의 저역측에 감쇠극이 발생하고, 상기 유도성 결합에 의해 통과 대역의 고역측에 감쇠극이 발생한다.
또한, 공진 선로용 구멍의 단락단측과 개방단측의 양쪽에 대해, 그 배열 피치를 비대칭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공진 선로용 구멍의 단락단측 내부 지름과 개방단측 내부 지름을 각각 다른 치수로 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안테나 공용기의 구성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서 직방체 형상의 유전체 블록(1)에는, 한쪽 단면으로부터 그에 대향하는 다른쪽 단면에 걸쳐 관통하는 7개의 공진 선로용 구멍(2a∼2g)을 형성하고 있다. 공진 선로용 구멍(2a∼2c) 부분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3단의 공진기로 이루어지는 대역 통과 필터와 거의 동일하고, 2d∼2g로 나타내는 부분은 도 3에 도시한 4단의 공진기로 이루어지는 대역 통과 필터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다. 단, 공진 선로용 구멍(2c)에 대해서는, 그 개방단 부근과 단자 전극(8)의 정합을 적정하게 하기 위해, 공진 선로용 구멍(2a)과는 비대칭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공진 선로용 구멍(2a·2b)간의 용량성 결합과 공진 선로용 구멍(2b·2c)간의 용량성 결합의 강도에 차이가 생기고 있다. 마찬가지로, 공진 선로용 구멍(2d)에 대해서는, 그 개방단 부근과 단자 전극(8)의 정합을 적정하게 하기 위해, 공진 선로용 구멍(2g)과는 비대칭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단자 전극(6)을 Tx단자, 단자 전극(7)을 Rx단자, 단자 전극(8)을 ANT단자로서 이용하고, 공진 선로용 구멍(2a∼2c) 부분의 3단 공진기로 이루어지는 대역 통과 필터를 송신 필터로서 이용하고, 공진 선로용 구멍(2d∼2g) 부분의 4단 공진기로 이루어지는 대역 통과 필터를 수신 필터로서 이용한다. 단, ANT단자(8)는 단순한 전극으로서가 아니라, 선로로서도 이용하고, 이 안테나 단자(8)의 소정 부분으로부터 송신 신호의 출력 및 수신 신호의 입력을 행한다.
또한, 이상에 도시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공진 선로용 구멍의 단면 형상을 원형으로 하였지만, 이를 타원이나 다각형으로 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통신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서 도 6에 도시한다.
도 6에서 ANT는 송수신 안테나, DXP는 안테나 공용기, BPFa, BPFb, BPFc는 각각 대역 통과 필터, AMPa, AMPb는 각각 증폭 회로, MIXa, MIXb는 각각 믹서, OSC는 오실레이터, DIV는 분주기(신시사이저)이다. MIXa는 DIV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 신호를 변조 신호로 변조하고, BPFa는 송신 주파수의 대역만을 통과시키고, AMPa는 이를 전력 증폭하여 DPX를 사이에 두고 ANT로부터 송신한다. BPFb는 DPX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중 수신 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키고, AMPb는 그것을 증폭한다. MIXb는 BPFc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 신호와 수신 신호를 믹싱하여 중간 주파 신호(IF)를 출력한다.
도 6에 도시한 DPX부분은 도 5에 도시한 구조의 안테나 공용기를 이용한다. 또한 대역 통과 필터(BPFa, BPFb, BPFc)는 도 1a∼도 4에 도시한 구조의 대역 통과 필터를 이용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전체적으로 소형인 통신 장치를 구성한다.
제 1 항 및 제 2 항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공진 선로 길이를 일정하게 하고, 아울러 공진 선로용 구멍의 스텝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인접하는 공진 선로간의 소정의 결합을 독립하여 결정할 수 있고, 소정의 필터 특성을 갖는 소형의 대역 통과 필터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제 3 항 및 제 4 항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유전체 블록의 성형시에 내부 응력의 분포가 균일화되고, 그 뒤틀림이나 변형을 적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유전체 블록 성형용 금형의 구조가 단순해지고, 금형의 제작이 용이해져,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제 5 항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유전체 블록의 개방면에 결합용 전극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개방면의 평면 가공만에 의해, 각 공진 선로의 개방단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제 6 항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공진 선로의 개방단이 공진 선로용 구멍의 내부에 존재하기 때문에, 전자계 리크가 매우 적어지고, 게다가 상기 전극 비형성부를 형성하는 위치 및 크기를 각 공진 선로용 구멍에 대해 동일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가공 조건을 변경할 필요가 없고, 가공 시간의 단축 및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제 7 항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소형화된 안테나 공용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8 항에 관한 발명에 따르면, 보다 소형의 통신 장치를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유전체 블록 내에, 각각의 내면에 공진 선로를 형성한 3개 이상의 공진 선로용 구멍을 배열하고, 상기 유전체 블록의 외면에 외부 도체를 형성한 유전체 필터에 있어서,
    상기 공진 선로의 한 단을 단락단, 다른 단을 개방단으로 하고, 상기 공진 선로용 구멍의 축 방향의 도중에 그 공진 선로용 구멍의 내형 사이즈에 차이를 가지게 하고, 복수의 공진 선로용 구멍 중 적어도 하나의 공진 선로용 구멍의 단락단측 또는 개방단측의 내형 사이즈를 다른 공진 선로용 구멍과는 다르게 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공진 선로용 구멍의 배열 방향의 중앙을 대칭축으로 하는 대칭 관계에 있는 공진 선로용 구멍에 대해, 단락단측 또는 개방단측의 내형 사이즈를 동일하게 하여, 인접하는 공진 선로 사이를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 통과 필터.
  2. 유전체 블록 내에, 각각의 내면에 공진 선로를 형성한 3개 이상의 공진 선로용 구멍을 배열하고, 상기 유전체 블록의 외면에 외부 도체를 형성한 유전체 필터에 있어서,
    상기 공진 선로의 한 단을 단락단, 다른 단을 개방단으로 하고, 상기 공진 선로용 구멍의 축 방향의 도중에 그 공진 선로용 구멍의 내형 사이즈에 차이를 가지게 하고, 인접하는 공진 선로용 구멍의 단락단측 또는 개방단측의 간격을, 상기 복수의 공진 선로용 구멍의 배열 방향의 중앙을 축으로 하여 비대칭 관계로 하고, 인접하는 공진 선로 사이를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 통과 필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선로용 구멍의 단락단측 또는 개방단측의 내형 사이즈를 모든 공진 선로용 구멍에 대해 동일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 통과 필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선로용 구멍의 단락단으로부터 내형 사이즈가 변화하는 위치까지의 길이를 각 공진 선로에 대해 일정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 통과 필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 공진 선로용 구멍의 한쪽의 공진 선로용 구멍의 개구면을 외부 도체가 없는 개방면으로 하고, 그 개방면을 상기 공진 선로의 개방단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 통과 필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 공진 선로용 구멍의 한쪽의 공진 선로용 구멍의 개구면보다 깊숙해진 부분에, 외부 도체로부터 분리되는 전극 비형성부를 형성하고, 그 전극 비형성부를 상기 공진 선로의 개방단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 통과 필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대역 통과 필터를 송신 필터와 수신 필터로 하여 단일 유전체 블록에 구성하고,
    송신 필터 첫번째 단의 공진 선로에 결합하는 송신 신호 입력 단자와;
    수신 필터 마지막 단의 공진 선로에 결합하는 수신 신호 출력 단자; 및
    송신 필터 마지막 단의 공진 선로와 수신 필터 첫번째 단의 공진 선로에 각각 결합하는 안테나 단자; 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안테나 공용기.
  8. 제 1 항 내지 제 6 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대역 통과 필터, 또는 제 7 항에 기재된 안테나 공용기를 고주파 회로부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KR10-1999-0053779A 1998-12-03 1999-11-30 대역 통과 필터, 안테나 공용기 및 통신 장치 KR1003671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4398798A JP3395675B2 (ja) 1998-12-03 1998-12-03 帯域通過フィルタ、アンテナ共用器および通信装置
JP10-343987 1998-1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793A true KR20000047793A (ko) 2000-07-25
KR100367120B1 KR100367120B1 (ko) 2003-01-06

Family

ID=18365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3779A KR100367120B1 (ko) 1998-12-03 1999-11-30 대역 통과 필터, 안테나 공용기 및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56169B1 (ko)
EP (1) EP1006603B8 (ko)
JP (1) JP3395675B2 (ko)
KR (1) KR100367120B1 (ko)
CN (1) CN1140008C (ko)
DE (1) DE69942138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8244B2 (ja) * 2000-05-25 2003-12-1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共振器、フィルタ、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JP2002057508A (ja) * 2000-08-10 2002-02-22 Murata Mfg Co Ltd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FI119403B (fi) 2002-04-11 2008-10-31 Remec Oy Radiotaajuussuodattimen resonaattori
US6836258B2 (en) 2002-11-22 2004-12-28 Ems Technologies Canada, Ltd. Complementary dual antenna system
JP4692636B2 (ja) 2007-07-24 2011-06-0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フィルタ
CN104981938A (zh) * 2013-12-31 2015-10-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介质谐振器、介质滤波器及通信设备
CN104241801A (zh) * 2014-09-16 2014-12-24 张家港保税区灿勤科技有限公司 设有逆向阶梯式谐振腔的介质谐振器及其工作方法
CN109390645B (zh) * 2017-08-04 2021-06-25 启碁科技股份有限公司 带通滤波装置、信号传送方法以及室外单元
CN111384493B (zh) * 2018-12-29 2022-02-11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介质滤波器及其调试方法
CN111682291B (zh) * 2020-07-24 2024-03-12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二十六研究所 一种介质滤波器耦合转换结构及通信设备
CN115513627B (zh) * 2022-08-24 2024-02-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分频器及天线阵列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3197A (en) * 1989-06-09 1992-04-07 Lk-Products Oy Ceramic band-pass filter
JP3211547B2 (ja) * 1994-01-25 2001-09-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フィルタ
JP3158963B2 (ja) * 1995-05-31 2001-04-2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共用器
US6087909A (en) * 1996-03-06 2000-07-11 Murata Manufacturing Co., Ltd. Dielectric filter having at least one stepped resonator hole with an elongated cross-section
JPH10308604A (ja) * 1997-03-05 1998-11-17 Murata Mfg Co Ltd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およびそれらの設計方法
JP3175602B2 (ja) * 1996-09-19 2001-06-1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フィルタ、送受共用器およびマルチプレクサ
JPH1098303A (ja) * 1996-09-25 1998-04-14 Murata Mfg Co Ltd 誘電体フィルタ
JPH10145110A (ja) * 1996-11-05 1998-05-29 Murata Mfg Co Ltd 複合誘電体フィルタ
JP3577921B2 (ja) * 1997-01-13 2004-10-2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フィルタ及び誘電体デュプレクサ
JPH10224111A (ja) * 1997-02-10 1998-08-21 Murata Mfg Co Ltd 誘電体フィルタおよびその外部結合q設定方法
JPH11127002A (ja) * 1997-10-23 1999-05-11 Murata Mfg Co Ltd 誘電体フィルタ
JP3399393B2 (ja) * 1998-04-17 2003-04-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及びそれらの実装構造、並びに通信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42138D1 (de) 2010-04-29
EP1006603B1 (en) 2010-03-17
JP2000174502A (ja) 2000-06-23
JP3395675B2 (ja) 2003-04-14
US6356169B1 (en) 2002-03-12
EP1006603B8 (en) 2010-05-19
CN1256523A (zh) 2000-06-14
KR100367120B1 (ko) 2003-01-06
CN1140008C (zh) 2004-02-25
EP1006603A1 (en) 2000-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8590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KR100367120B1 (ko) 대역 통과 필터, 안테나 공용기 및 통신 장치
US6236288B1 (en) Dielectric filter having at least one stepped resonator hole with a recessed or protruding portion, the stepped resonator hole extending from a mounting surface
KR100353593B1 (ko) 유전체 필터,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KR100549694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장치
KR20020020641A (ko) 유전체 공진기,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이들을사용한 통신장치
KR100327536B1 (ko) 유전체 필터, 복합 유전체 필터,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KR100460617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KR100411203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이들을 포함하고 있는통신장치
KR100470313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KR100343320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이를 사용하는 통신 장치
KR100524545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장치
KR20000058013A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장치
KR100456039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KR100519014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KR100338589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US20020130738A1 (en) 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020079568A (ko)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KR20020014759A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