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7558A - 오디오 처리장치 및 오디오 재생방법 - Google Patents

오디오 처리장치 및 오디오 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7558A
KR20000047558A KR1019990046831A KR19990046831A KR20000047558A KR 20000047558 A KR20000047558 A KR 20000047558A KR 1019990046831 A KR1019990046831 A KR 1019990046831A KR 19990046831 A KR19990046831 A KR 19990046831A KR 20000047558 A KR20000047558 A KR 20000047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hannel
filter
audio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6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3891B1 (ko
Inventor
야마다유지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00047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7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8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1/00Two-channe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1/00Two-channel systems
    • H04S1/007Two-channel systems in which the audio signals are in digital fo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2Electronic adapt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to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 H04S7/303Tracking of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 H04S7/304For head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적어도 1개의 신호원에서 입력된 n채널(n≥1, 양의 정수)오디오신호를 2채널신호로 변환하는 제 1필터수단과, 제 1필터수단에서의 2채널 출력신호가 입력되고 무상관 전송함수를 갖는 한쌍의 제 2필터수단과, 한쌍의 제 2필터수단으로부터의 한쌍의 출력신호를 헤드폰장치의 좌우라우드스피커부에 공급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오디오처리장치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오디오 처리장치 및 오디오 재생방법{Audio processing apparatus and audio reproducing method}
본 발명은 헤드폰 장치에서 스테레오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기 위해 적합하게 적용되는 오디오 처리장치 및 오디오 처리장치에 적용되는 오디오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영화등의 영상에 따라오는 오디오신호(음성신호)로서 다중채널신호가 자주 사용되고 영상의 양측 및 영상의 센터측에 놓인 라우드스피커 및 청취자의 뒤쪽 또는 청취자의 양측에 놓인 라우드스피커 등에 의해 재생되는 것을 가정하여 기록된다. 결과적으로, 영상의 음원과 실제로 듣는 음상의 위치가 일치하고, 더 자연스러운 퍼짐(spread)을 가지는 음장이 확립된다.
그러나, 종래의 헤드폰 장치를 사용하여 이와 같은 음성을 감상할 때에는 음성입력에 의해 얻어지는 음상은 머리에 정위되고, 영상위치와 음상의 정위위치와 일치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음상은 매우 부자연스럽게 정위된다. 더욱이, 각 채널의 음성신호의 정위위치를 분리독립하여 재생할 수 없다. 사실, 음악 등의 다중채널의 음성만을 감상하는 경우에도 라우드스피커로 재생되지 않고, 음이 머리의 내부에서 들리고, 음상의 정위위치가 분리되지 않고 매우 부자연스러운 음장이 재생된다.
이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헤드폰 장치로 음을 청취할 때, 라우드스피커로 재생하여 얻은 것과 동일한 음장을 얻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즉, 미리 각각의 채널에 배치된 라우드스피커에서 청취자의 양쪽 귀까지의 전송함수를 측정하여 계산하고, 이들 함수를 디지털 필터등과 같은 필터에 의해 오디오신호에 중첩한다. 이후, 음이 헤드폰 장치에 의해 청취된다.
도 11은 이 방법을 적용한 종래의 헤드폰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입력단자(1L 및 1R)에 얻어진 좌우 2채널의 스테레오 오디오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L 및 2R)에 의해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각각 변환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L 및 2R)에서 출력되는 좌우채널 오디오신호는 디지털처리회로(3)에 공급된다. 디지털처리회로(3)는 복수개의 디지털필터(3LL, 3LR, 3RL 및 3RR) 및 2개의 가산기(4L 및 4R)로 구성되고, 라우드스피커장치를 실제로 실내 등에 배치한 경우에 얻어진 재생음장과 동일한 재생음장이 헤드폰장치에 의해 얻어지도록 변환하는 처리(소위 스테레오포닉 음향을 바이노럴(binaural) 음향으로 변환하는 처리)를 행하는 회로이다.
디지털처리회로(3)의 구체적인 구성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이 사용된다. 즉, 좌채널 음성신호는 제 1디지털 필터(3LL)와 제 2디지털 필터(3LR)에 공급하고, 우채널 음성신호는 제 3디지털 필터(3RL)과 제 4디지털 필터(3RR)에 공급한다. 각 디지털 필터는 예를들면 도 12에 나타낸 구성을 갖는다. 도 12에 나타낸 디지털 필터는 FIR형 필터이고, 입력단자(81)에서 얻어지는 신호를 복수단에서 서로 연속적으로 접속되는 지연회로(82a, 82b, ....82m, 및 82n)에 공급한다. 입력단자(81)에서 얻어지는 신호와 지연회로(82a ∼ 82n)에서의 출력신호를 각각 분리계수승산기(83a, 83b,....83n, 및 830)에 공급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설정된 계수치를 승산하여 신호를 승산하고, 그 승산신호를 가산기(84a, 84b, .... 84m, 및 84n)로 서로 순차적으로 가산한다. 모든 계수 승산신호를 가산하여 얻은 출력은 출력단자(85)에서 얻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디지털 필터로 구성되는 제 1디지털 필터(3LL)에서의 출력과 제 3디지털 필터(3RL)에서의 출력은 가산기(4L)에 공급되어 서로 가산되고, 좌채널용의 변환출력이 얻어진다. 제 2지털필터(3LR)에서의 출력과 제 4디지털필터(3RR)에서의 출력은 가산기(4R)에 공급되어 서로 가산되고, 우채널용 변환출력이 얻어진다.
가산기(4L)에서 가산하여 얻은 좌채널 출력을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L)에 공급하여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한다. 그 변환된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는 헤드폰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증폭회로(6L)에 의해 증폭되고 헤드폰장치(7)의 좌우 라우드스피커부(7L)에 공급된다. 또한, 가산기(4R)에서 얻은 우채널출력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R)에 공급되고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된다. 그 변환된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는 헤드폰을 구동하는 증폭회로(6R)에 의해 증폭되고 헤드폰장치(7)의 우귀용 라우드스피커(7R)에 공급된다.
이 경우에, 디지털 처리회로(3)의 처리에서 스테레오포닉용 오디오신호가 바이노럴 재생용 오디오신호로 변환된 원리를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좌채널용 라우드스피커장치(SL)를 청취자 좌측의 앞쪽에 설치하고, 청취자 우측의 앞쪽에 우채널 라우드스피커장치(3R)를 설치함으로써 스테레오포닉 재생용 오디오신호를 각각의 라우드스피커에서 재생시킬 수 있다. 이 때, 청취자의 좌우 귀에 전달하는 음은 좌채널의 스피커장치(SL)에서 좌측 귀에 도달하는 음이 전송함수(HLL)를 가지고, 우채널의 스피커장치(SR)에서 우측 귀에 도달하는 음이 전송함수(HRR)를 가지고, 좌채널 라우드스피커장치(SL)에서 우측 귀에 도달하는 음이 전송함수(HLR)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4개의 전송함수(HLL, HLR, HRL, HRR)를 4개의 디지털 필터(3LL, 3LR, 3RL 및 3RR)에서의 연산처리로 재생되도록 각각의 디지털 필터의 계수승산기의 계수값을 설정함으로써, 스테레오포닉 재생용 2채널 오디오신호는 바이노럴 재생용 2채널 오디오신호로 변환된다. 이 경우, 각 디지털의 계수승산기에 설정되는 계수값은 각 채널의 라우드스피커에서 양쪽 귀까지의 임펄스 응답의 전송계수를 라이브 룸(live room)에서 측정하여 얻은 측정값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상기 기술한 것처럼 제안된 처리장치에 따라서, 음상은 청취자의 머리 외부에 정위된다. 그러나, 정위되는 음상에 충분한 거리감을 주기 위해서 각 채널의 라우드스피커에서 양쪽 귀까지의 전송함수를 측정할 때 전송함수는 긴 반향(reververation)시간을 가지는 데이터터로서 얻어질 필요가 있다. 긴 반향시간을 가지는 데이터를 디지털 필터에 설정하기 위해서, 도 11에 나타낸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디지털 처리회로(3)가 필요로하는 디지털 필터는 상당히 큰 규모의 회로구성을 갖는다. 즉, 디지털필터회로(3)가 필요로 하는 4개의 디지털필터는각각 약 100개 직렬로 접속된 지연회로와 각 지연회로의 출력에 계수값을 승산하는 약 1000개의 계수승산기와 각 계수승산기의 승산출력을 가산하는 약 1000개의 가산기로 구성된다. 디지털필터는 반향시간을 가지는 전송함수를 이용하여 처리되어야 하고, 따라서 디지털필터의 회로규모는 매우 크다. 따라서, 연산처리의 양도 증가한다.
그러나, 청취자를 둘러싼 음장을 재생하는 4채널 오디오신호와 같은 다채널을 가지는 다중채널 오디오신호가 바이노럴 재생용 오디오신호로 변환될 때, 더 많은 필터수가 필요하게 되고, 회로구성은 매우 큰 규모를 갖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관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임펄스 응답의 연산처리의 양을 억제하면서 헤드폰장치의 청취자에 대하여 임의의 위치에서 충분한 거리감을 부여한 음상 정위위치를 실현할 수 있는 오디오 처리장치 및 오디오 재생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제 1신호처리부의 구성(구성 1)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필터의 일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제 1신호처리부의 구성(도 2)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제 2신호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제 2신호처리부에서의 처리예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청취자의 각도변화와 지연시간의 변화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청취자의 각도변화와 레벨변화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전체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오디오처리장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2는 디지털필터의 일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3은 머리 밖의 음상 정위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L. 좌채널오디오신호입력단자 11R. 우채널오디오신호입력단자
13. 제 1신호처리부 14L,14R. 제 2신호처리부
18. 헤드폰장치 21L, 21R. 제 2신호처리부
22. 헤드폰장치 23. 회전각속도센서
24. 회전각연산처리부 31L. 좌프론트채널오디오신호입력단자
31C. 중앙채널오디오신호입력단자 33. 분배처리부
34. 2채널화처리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처리장치는 적어도 1개의 음원에서 입력되는 n채널(n≥1, 양의 정수)의 오디오신호를 2채널의 신호로 변환하는 제 1필터수단과, 상기 제 1의 필터수단으로부터의 한쌍의 출력신호가 입력되고, 전송함수가 무상관성을 가지는 한쌍의 제 2필터수단과, 한쌍의 제 2필터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를 헤드폰의 좌우 라우드스피커부에 공급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이 오디오 처리장치에 따라서, 제 1필터수단에 의해 임펄스응답 연산처리가 실행되고, 그 임펄스 응답연산에 의해 헤드폰의 재생용 오디오신호로 변환된 2채널신호에 대해서 좌우 각각에 무상관인 전송함수를 가지는 반사음 성분을 부가하는 처리가 제 2필터수단에 의해 실행되고, 임의의 위치에서 충분한 거리감을 가진 음상정위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생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음원에서 입력되는 n채널(≥1, 양의 정수)오디오신호를 음원에서 청취자의 좌귀 및 우귀까지의 2계통의 임펄스 응답에 의거해 2채널의 신호로 변환하는 제 1의 변환처리와, 제 1의 변환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한쌍의 신호에 대하여 무상관의 전송함수로 독립적인 반사음 부가처리를 실행하는 제 2변환처리를 실행하고, 제 2변환처리가 행해진 한쌍의 신호를 청치자의 좌귀 및 우귀의 귓전에서 재생된다.
오디오 재생방법에 따라서, 청취자의 좌귀 및 우귀의 귓전에서 재생되는 오디오신호에 의해 형성된 음장으로서 제 1의 변환처리에서 임펄스 응답의 연산에 의거해 임의의 위치에 음상이 정위되는 음장이 얻어질 수 있다. 제 2변환처리에 의해 임의의 위치에 음상의 정위가 충분한 거리감으로 실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단자(llL 및 11R)에서 얻어지는 스테레오포닉 재생용의 오디오신호를 바이노럴 재생용 오디오신호로 변환하고, 이 장치에 접속된 헤드폰 장치에 오디오신호를 공급하여 재생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구성에 있어서, 스테레오포닉 재생용의 2채널오디오신호를 구성하는 좌채널신호와 우채널신호가 각각 좌채널 오디오신호 입력단자(11L) 및 우채널 오디오신호 입력단자(11R)에 공급된다. 단자(11L 및 11R)에서 얻어진 오디오신호는 각각의 채널에 대해서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12L 및 12R)에 의해 디지털오디오신호로 변환된다.
변환된 각 채널의 오디오신호는 제 1신호처리부(13)에 공급된다. 음원에서 청취자의 좌귀 및 우귀까지의 2계통의 임펄스응답에 의거해 헤드폰 재생용의 음장을 형성하는 2채널오디오신호로 변환하는 오디오신호 처리를 형성하는 회로이다.
도 2는 제 1신호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제 1신호처리부(13)의 좌채널신호 입력단자(101L)에서 얻어진 좌채널 오디오신호는 제 1디지털필터(102LL)와 제 2디지털필터(102LR)에 공급되는 반면에, 우채널 신호입력단자(101R)에서 얻어진 우채널 오디오신호는 제 3디지털필터(102RL) 및 제 4디지털필터(102RR)에 공급된다.
각 디지털필터(102LL, 102LR, 102RL 및 102RR)로서, 기본적으로 종래의 기술로서 도 12에 나타낸 FIR형 디지털필터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필터가 사용된다. 각 디지털필터의 계수승산기에서 승산된 충분한 값은 음원에서 청취자의 좌귀 및 우귀까지의 2계통의 임펄스응답의 실제 측정된 값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에, 연산처리 양이 종래의 계수값보다 현저하게 적은 계수값이 사용된다. 예를들면, 다음의 구성을 가지는 디지털필터가 사용된다. 약 250지연회로가 서로 직렬로 접속되고, 약 250개의 지연회로에서의 지연출력이 독립적으로, 계수로 승산되고 그 승산값이 계속해서 부가된다. 연산처리 양이 감소되는 이유는 이후에 설명한다,
제 1디지털필터(102LL)에서의 출력과 제 3디지털필터(102RL)에서의 출력을 1계통의 신호가 되도록 가산기(103L)에 공급한다. 가산기(103L)에서의 부가출력은 제 1신호처리부(13)의 좌채널출력단자(104L)에 공급한다. 제 2디지털필터(102LR)에서의 출력과 제 4디지털필터(102RR)에서의 출력을 1계통의 신호가 되도록 가산기(103R)에 공급한다. 가산기(103R)에서의 부가출력은 제 1신호처리부(13)의 우채널출력단자(104R)에 공급한다.
제 1신호처리부(13)에서의 헤드폰 재생용 음장을 형성하는 2채널 오디오신호로 변환하는 처리는 종래의 기술에서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 원리에 의거한다.
제 1신호처리부(13)에 사용된 디지털필터의 구성으로서, 도 2에 나타낸 4개의 디지털필터를 사용하는 구성 대신에 도 3에 나타낸 2개의 디지털필터를 이용하는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즉, 도 3에 나타낸 디지털필터는 입력단자(91)에서 얻어진 신호를 복수단에서 서로 연속적으로 접속되는 지연회로(92a, 92b,..., 92m, 및 92n)에 공급된다. 입력단자에서 얻어진 신호와 지연회로(92a, 92b,....92m, 92n)에서 얻어진 출력신호는 각각 계수승산기(93a, 93b,...93n 및 930)에 공급되어 분리된다. 그 신호가 각각 독립적으로 설정된 계수값으로 승산되고 그 승산신호는 가산기(94a, 94b,...., 94m 및 94n)에 의해 서로 순차적으로 가산된다. 전체의 계수 승산신호를 가산하여 얻은 출력은 출력단자(95)에서 얻어진다. 입력단자(91)에서 얻은 신호와 지연회로(92a ∼ 92n)에서의 출력신호를 계수승산기(93a ∼930)와 다른 계수승산기(96a, 96b,...., 96n 및 960)에 각각 공급한다. 그 신호는 각각 독립적으로 설정된 계수값으로 승산되고, 승산신호는 순차적으로 가산기(97a, 97b,....97m 및 97n)에 의해 서로 가산된다. 전체 계수 승산신호를 가산하여 얻은 출력은 제 2출력단자에서 얻어진다.
상기 기술된 구성을 가지는 각 디지털필터가 준비된다. 하나의 디지털필터가 도 2에 나타낸 회로의 필터(102LL)와 필터(102LR)로서 사용되고, 다른 디지털필터가 필터(102RL)와 필터(102RR)로서 사용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적어도 디지털필터를 구성하는 지연회로에 관해서, 그 수는 4개의 개별 디지털필터가 사용될 때 사용된 지연회로의 반수로 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제 1신호처리부(13)는 스테레오포닉 재생용 오디오신호로 설정된 좌우의 음원 위치가 좌우 대칭위치일 때 도 4에 나타낸 회로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제 1신호처리부(13)의 좌채널 신호입력단자(201L)에서 얻은 좌채널 오디오신호와 우채널 신호입력단자(201R)에서 얻은 우채널 오디오신호가 가산기(202L)에 공급되어 서로 가산된다. 부가신호는 제 1디지털필터(203L)에 공급된다. 좌채널 신호입력단자(201L)에서 얻은 좌채널 오디오신호와 우채널 신호입력단자(201R)에서 얻은 우채널 오디오신호가 감산기(202R)에 공급되어 우채널신호에서 좌채널신호를 감산하여 얻은 값을 얻는다. 감산신호는 제 2디지털필터(203R)에 공급된다.
각각의 제 1디지털필터(203L)와 제 2디지털필터(203R)로서, 예를들면 도 12에 나타낸 FIR필터가 사용된다. 각 디지털필터의 계수승산기로 승산된 계수값은 음원에서 청취자의 좌귀 및 우귀까지의 2계통 임펄스 응답의 실제 측정값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각 디지털필터회로에서 지연회로, 계수승산기 및 가산기가 사용되는 단수는 도 2에 나타낸 제 1신호처리부(13)에서 사용된 각 디지털필터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 1디지털필터(203L)에서의 출력과 제 2디지털필터(203R)에서의 출력은 감산기(204L)에 공급되고 필터(203L)에서의 출력신호에서 필터(203R)의 출력신호를 감산하여 얻은 값을 산출한다. 감산신호는 좌채널 출력단자(205L)에 공급된다. 제 1디지털필터(203L)에서의 출력과 제 2디지털필터(203R)에서의 출력을 가산기(204R)에 공급하여 양 신호를 가산하고, 그 가산신호를 우채널 출력단자(205R)에 공급한다.
제 1신호처리부(13)가 도 4에 나타낸 구성으로 구성될 때, 제 1신호처리부(13)는 2개의 디지털필터, 2개의 가산기 및 2개의 감산기로 구성된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될 수 있다. 그러나, 도 4에 나타낸 구성은 좌우 음원의 위치가 좌우 대칭일 때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의 설명으로 돌아가서, 제 1신호처리부(13)에 의해 처리된 좌채널 오디오신호는 좌채널용 제 2신호처리부(14L)에 공급되고, 제 1신호처리부(14)에 의해 처리된 우채널 오디오신호는 우채널용 제 2신호처리부(14R)에 공급된다. 제 2신호처리부(14L 및 14R)에 있어서, 좌우에서 서로 상관이 없는 전송함수에 의해 반사음 부가처리가 독립적으로 실행된다.
제 2신호처리부(14L 및 14R)의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예를들면 각 채널의 신호처리부(14L 및 14R)가 독립적인 디지털필터로 구성된다. 이 경우, 각각의 디지털필터로서 도 12에 나타낸 FIR형 디지털필터가 사용된다. 각 채널의 디지털필터에 있어서는 다음의 동작처리가 실행된다. 즉, 각각의 계수승산기의 계수값이 다른 채널의 전송함수와 상관이 없는 전송함수로 설정되고 반사음 성분(소위 반향음 성분)이 좌우에 독립적으로 부가된다. 예를들면, 도 6에서 A로 나타낸 주파수특성은 좌채널신호로 설정되고, 도 6에서 B로 나타낸 주파수특성은 우채널신호로 설정된다. 덧붙여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오디신호가 디지털데이터로서 처리된다. 그러나, 도 6의 특성도에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주파수특성을 아날로그 방식으로 나타낸다.
제 2신호처리부(14L 및 14R)의 구성으로서, 지연량을 가변 설정할 수 있는 디지털필터를 사용하는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제 2신호처리부(14L 및 14R)가 가변지연회로를 구성하는 디지털필터에 의해 구성된 경우를 나타낸다. 입력단자(301L)에서 얻어진 좌채널 신호는 제 1지연회로(302L)에 공급되고, 입력단자(301R)에서 얻어진 우채널 신호는 제 2지연회로(302R)에 공급된다. 각각의 지연회로(302L 및 302R)는 최대로 약 50ms의 신호를 지연할 수 있는 지연회로이고, 그 최대 지연량 내에서 임의의 지연시간을 가지는 복수의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지연회로(302L)는 입력신호(W1)가 임의의 다른 지연시간을 가지는 신호(R1, R2, ..., RN)로서 추출되는 구성을 갖는다. 지연회로(302R)는 입력신호(W1)가 임의의 다른 지연시간을 가지는 신호(R21, R22, ..., R2N)로서 추출되는 구성을 갖는다. 각각의 지연회로(302L 및 302R)에서 추출된 신호의 수는 10개 정도의 비교적 적은 수이고, 그 신호가 추출되는 위치의 설정(즉 신호의 지연량 설정)이 그 때에 각 채널의 신호에 부가된 반사음 성분에 의거해서 좌우에서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실행된다.
좌채널지연회로(302L)에서 추출된 신호(R1, R2, ..., RN)는 각각 다른 계수승산기(311L, 312L,...319L)에서 다른 계수값으로 승산되고, 그 승산신호가 가산기(303L)에 공급되어 서로 가산된다. 가산신호는 좌채널 출력단자(304L)에 공급된다. 우채널지연회로(302R)에서 추출된 신호(R21, R22, ..., R2N)는 각각 다른 계수승산기(311R, 312R,...319R)에서 다른 계수값으로 승산되고, 그 승산신호가 가산기(303R)에 공급되어 서로 가산된다. 가산신호는 우채널 출력단자(304 R)에 공급된다. 각 계수승산기(311L ∼ 319L 및 311R ∼ 319R)에서 승산된 계수값은 미리 설정된 고정값이다. 예를들면, 더 적은 지연량을 가지는 신호레벨은 증가되고 계수값은 지연량을 증가시키는 것에 비례하여 레벨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도록 설정된다. 상기 기술된 고정값 대신에, 계수승산기에서 승산된 계수값은 그 시간의 상태에 따라서 제어될 수 있다.
제 2신호처리부(14L 및 14R)가 도 5에 나타낸 구성으로 구성될 때, 지연량의 설정으로 좌우에서 독립적으로 반사음성분의 설정상태가 가변될 수 있다.
도 1의 구성상태로 되돌아가서, 제 2신호처리부(14L 및 14R)에서 처리된 좌우 오디오신호는 각각의 채널마다 다른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15L 및 15R)에 공급되어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된다. 거기에서 형성된 좌우 2채널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는 헤드폰 구동용의 비교적 적은 증폭요소를 가지는 증폭기(16L 및 16R)로 증폭하고, 그 증폭된 오디오신호를 각각 헤드폰단자(17L 및 17R)에 공급한다. 헤드폰 접속단자(17L 및 17R)에서 얻어진 각 채널의 오디오신호는 각각 헤드폰 접속단자(17L 및 17R)에 접속된 헤드폰장치(18)의 좌우 라우드스피커(18L 및 18R)에 공급되고 그 오디오신호는 헤드폰장치(18)에서 재생된다.
상기 기술된 구성으로, 헤드폰장치(18)에서 재생되고 청취자가 청취하는 음장은 원래 2채널 오디오신호를 실내 등에 배치된 라우드스피커에 의해 재생되도록 형성된 음장과 동일한 바람직한 음장이다. 이 경우에, 본 실시예 따른 제 1신호처리부(13)에서의 처리로서 비교적 적은 연산처리량을 갖는 처리가 사용된다. 이 때문에, 제 1신호처리부(13)에서 처리된 신호만을 헤드폰장치에 공급하는 경우에, 음상이 정위하는 위치는 청취자의 머리에 근접한 위치이다. 그러나, 반사음 성분의 처리가 제 2신호처리부(14L 및 14R)에 의해 실행되기 때문에 음원은 임의의 위치에서 충분한 거리로 정위될 수 있다. 더욱이, 제 2신호처리부(14L 및 14R)에서 좌우채널 사이의 무상관이 확보되기 때문에 음상의 비대칭을 실현할 수 있고 음상의 전방 정위가 개선된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과 같이 도 11에 나타낸 처리장치의 경우로서 1단의 디지털필터에서 충분한 거리감을 갖는 음상을 정위시키도록 변환처리가 실행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회로구성이 현저하게 간단하게 될 수 있고 연산처리의 양이 줄어들 수 있다. 예를들면, 도 11에 나타낸 디지털처리회로(3)를 구성하는 디지털필터는 약 1,000단의 지연처리를 실행해야 한다. 그러나, 본예의 구성에서는 제 1신호처리부(13)를 구성하는 디지털필터는 약 250단의 지연처리를 실행할 수 있고, 종래구성의 1/4인 구성으로도 충분하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서는, 제 2신호처리부(14L 및 14R)가 요구되지만, 제 2신호처리부(14L 및 14R)는 반사음 성분을 부가하는 처리만을 실행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제 2신호처리부(14L 및 14R)로서 제 1신호처리부(13)를 구성하는 디지털필터보다 현저하게 적은 회로규모를 가지는 디지털필터가 충분하다. 도 1에 나타낸 본 실시예의 구성이 사용될 때, 종래의 회로구성보다 현저하게 간단한 회로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까지의 설명에서,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로서 2채널 오디오신호가 사용된다, 그러나, 예를들면 다음의 처리가 실행될 수 있다. 즉, 1채널 오디오신호가 오디오신호 입력단자(11L 및 11R)에 입력되고 그 1채널신호에 의해 정위된 음상의 위치가 임의의 1포인트에 설정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도 7 ∼ 도 9를 참조하여 이후에 설명한다. 상기 기술된 제 1실시예에서 설명한 도 1 ∼ 도 6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도7 ∼ 도 9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처럼 입력단자(11L 및 11R)에서 얻은 스테레오포닉 재생용 오디오신호는 바이노럴 재생용 오디오신호로 변환되고, 그 변환된 오디오신호는 이 장치에 접속된 헤드폰장치에 공급되어 오디오신호를 재생한다. 본 실시예에서, 음장의 위상을 보정하는 헤드트랙킹이라 불리는 처리는 헤드폰장치가 향하는 방향에 의거한다.
이후에 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스테레오포닉 재생용 2채널을 구성하는 좌채널신호 및 우채널신호는 좌채널 오디오신호 입력단자(11L) 및 우채널 오디오신호 입력단자(11R)에 공급한다. 단자(11L 및 11R)에서 얻은 오디오신호들은 각 채널용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12L 및 12R)에 의해 디지털오디오신호로 변환되고, 이후에 디지털오디오신호는 제 1신호처리부(13)에 공급된다. 제 1신호처리부(13)는 음원에서 청취자의 좌귀 및 우귀까지 2계통의 임펄스응답에 의거해 헤드폰 재생용 음장을 형성하는 2채널 오디오신호로 변환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회로이다. 이 회로는 제 1실시예에서 기술된 회로와 전체적으로 동일하다.
제 1신호처리부(13)에 의해 처리된 좌채널오디오신호는 좌채널용 제 2신호처리부(21L)에 공급되고, 제 1신호처리부(13)에 의해 처리된 우채널오디오신호는 우채널용 제 2신호처리부(21R)에 공급된다. 제 2신호처리부(21L 및 21R)에 있어서, 반사음 부가처리는 좌우에서 서로 상관이 없는 전송함수에 의해 독립적으로 실행된다. 제 2신호처리부(21L 및 21R) 각각의 구성은 제 1실시예서 설명한 제 2신호처리부(14L 및 14R)의 구성과 동일하고, 이들 각각은 FIR형 디지털필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 구성에 있어서 신호처리부(21L 및 21R)에서 설정된 지연량은 회전각 연산처리부(24)에서 연산 처리된 회전각에 의거해 가변 설정된다.
신호처리부(21L 및 21R)에서 반사음 부가처리되는 좌우신호는 각각의 채널마다 다른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5L 및 15R)에 각각 공급되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된다. 그 좌우 2채널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는 헤드폰 구동용의 비교적 적음 증폭요소를 가지는 증폭기(16L 및 16R)에 의해 증폭되고, 그 증폭된 오디오신호는 헤드폰 접속단자(17L 및 17R)에 공급된다. 헤드폰 접속단자(17L 및 17R)에서 얻은 각 채널의 오디오신호는 헤드폰 접속단자(17L 및 17R)에 접속된 헤드폰장치(22)의 좌우 라우드스피커장치(22L 및 22R)에 각각 공급되고, 그 오디오신호는 헤드폰장치(22)에서 재생된다.
이 경우에, 본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장치(22)는 회전각속도센서(23)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헤드폰장치를 장착한 정취자 머리에 평행한 회전각속도를 검출한다. 예를들면 회전각속도센서(23)로서는 전압진동자이로(piezoelectric vibration gyro)가 사용된다. 회전각속도센서(23)에서의 검출출력은 처리장치측의 회전각 연산처리부(24)에 공급된다. 회전각 연산처리부(24)는 회전각속도센서(23)에서의 검출출력에 의거해 헤드폰장치(22)의 회전각을 연산 처리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구성된다. 예를들면, 회전각속도센서(23)에서의 출력은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샘플링된 후 적분되고 그 적분결과는 아날로그데이터로 변환된다.
그 얻어진 각데이터에 의거해, 제 2신호처리부(21L 및 21R)에서 실행된 처리에 사용된 지연량과 레벨차을 보정하는 처리가 실행되고 음상이 헤드폰장치(22)를 장착한 청취자 머리 밖의 소정의 방향에 정위되는 처리가 실행된다.
각 신호처리부(21L 및 21R)에서 설정된 지연량과 레벨차를 그 검출된 회전각 에 의거해 처리하는 것으로서, 다음의 처리가 실행된다. 즉, 청취자 머리의 회전각에 의거해 회전각에 따른 전송함수를 실현하도록 회전각 연산처리부(24)의 제어에 의해 실시간으로 갱신된다. 이 처리에 있어서, 청취가 자신의 머리를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고려한다면 왼쪽 귀에 도달하는 음은 오른쪽 귀에 도달하는 음보다 더 빨라지게 된다. 더욱이, 좌귀는 음원에 더 가까워지게 되는 반면에, 우귀는 음원에서 더 멀어지게 된다. 이런 이유때문에, 좌귀에 도달하는 신호의 레벨은 우귀에 도달하는 신호의 레벨보다 더 높게된다. 이 현상을 의사방법(pseudo manner)에서 나타내는 전송함수로 나타내면, 지연시간의 변화는 예를들면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된다. 도 8에 나타낸 특성 A는 각도에 의거해 우채널신호에 부가된 지연시간의 변화를 나타내고, 도 8에 나타낸 특성 B는 각도에 의거해 죄채널신호에 부가된 지연시간의 변화를 나타낸다. 특성 A 및 B는 점선의 변화특성이다. 각도 변화에 의해 얻어진 특성에서는, 예를들면 좌채널신호의 레벨변화는 도 9의 곡선 C로 나타내고 우채널신호의 레벨변화는 도 9의 곡선 D로 나타낸 변화로 주어진다. 신호처리부(21L 및 21R)에 의해 설정된 지연량과 레벨차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각도에 의해 설정되고 청취자 머리의 회전각에 의거한 보정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구성으로,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헤드폰장치에서 재생되고 청취자가 청취한 음장은 원래의 2채널오디오신호가 실내 등에 배치된 라우드스피커에 의해 재생되도록 형성된 음장과 동일한 적의의 음장이다. 제 1신호처리부(13)와 제 2신호처리부(21L 및 21R)에 의해 처리가 실행되기 때문에, 제 1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은 연산처리를 갖는 간단한 회로구성에 의해 장치가 실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음상이 헤드폰장치를 장착한 청취자 머리의 밖의 일정한 방향으로 정위되는 보정처리는 제 2신호처리부(21L 및 21R)에서의 처리와 동시에 실행된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음상의 정위방향을 보정하는 처리를 위해 필요한 회로로서 헤드폰장치에 부착된 각속도센서와 그 각속도센서의 출력으로부터의 각도 데이터를 얻기 위한 연산동작수단만으로 충분하다. 음상의 정위방향을 보정하는 처리는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실행될 수 있다.
그런데, 헤드폰장치(22)가 향하는 방향을 검출하는 수단으로서, 각속도센서가 사용된다. 그러나, 절대적인 방위를 검출하는 지자기센서를 사용하여 그 지자기센서의 출력이 그 방향을 검출하는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후에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기술된 제 1실시예에서 설명한 도 1 ∼ 도 6에서의 동일한 도면부호는 도 10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나타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입력단자(31L, 31R, 31C, 31SL, 31SR 및 31LFE)에서 얻은 다채널 오디오신호는 바이노럴 재생용 2채널 오디오신호로 변환되고, 그 2채널 오디오신호는 그 장치에 접속된 헤드폰장치에 공급되어 2채널 오디오신호를 재생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을 이후에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예의 전체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입력단자에 공급된 다중채널 오디오신호는 6개의 오디오신호로 구성되어 있다. 즉, 좌프런트채널신호가 입력단자(31L)에서 얻어지고, 우프런트채널신호가 입력단자(31R)에서 얻어지고, 중앙채널신호가 입력단자(31C)에서 얻어진다. 좌리어채널신호(left-rear-channel signal)가 입력단자(31SL)에서 얻어지고, 우리어채널신호(right-real-channel signal)가 입력단자(31SR)에서 얻어지며, 저역전용채널신호가 입력단자(31LFE)에서 얻어진다. 이 채널구성에서, 저역전용채널은 0.1채널로서 고려되고, 0.1채널 및 나머지 5개 채널은 어떤 경우에 5.1채널로 불리기도 한다. 저역전용채널은 예를 들어, 120 Hz보다 낮은 대역의 오디오신호만 획득할 수 있는 채널이다.
각 입력단자(31L, 31R, 31C, 31SL, 31SR 및 31LFE)에서 얻어진 오디오신호는 각각 다른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32L, 32R, 32C, 32SL, 32SR 및 32LFE)에 공급되어 각 채널들이 독립적으로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된다. 각 채널의 변환된 오디오신호는 분배처리부(33)에 공급된다. 이 분배처리부(33)에서, 중앙채널신호를 좌우프런트채널신호와 균일하게 혼합하는 처리가 수행되고, 동시에 저역전용채널을 다른 채널신호와 균일하게 혼합하는 처리가 수행되어, 4채널신호, 즉, 좌우프런트오디오신호(SLa, SRa) 및 좌우리어오디오신호(SLb, SRb)가 얻어진다.
4채널오디오신호는 디지털처리부(34)에 공급되어 2채널오디오신호를 청취자 주위의 4개의 다른 위치에 있는 음원을 갖는 좌우 두 채널의 오디오신호(SLc, SRc)로 변환한다. 이 변환처리는 예를 들어, 디지털필터, 가산기 및 감산기를 이용하여 한다.
디지털처리부(34)에 의해 변환된 좌우 2채널오디오신호(SLc, SRc)는 제 1신호처리부(13)에 공급된다. 제 1신호처리부(13)는 오디오신호를 음원에서 청취자의 좌측 및 우측 귀까지 2계통의 임펄스응답에 기초하여 헤드폰 재생용 음장을 형성하는 2채널오디오신호로 변환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회로이다. 이 회로는 전체적으로 제 1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했던 회로와 동일하다.
제 1신호처리부(13)에 의해 처리된 좌채널오디오신호는 좌채널용의 제 2신호처리부(14L)에 공급되고, 제 1신호처리부(13)에 의해 처리된 우채널오디오신호는 우채널용의 제 2신호처리부(14R)에 공급된다. 제 2신호처리부(14L, 14R)에서, 반사음부가처리가 좌우로 서로 상관관계가 없는 전달함수에 의해 독립적으로 수행된다. 제 2신호처리부(14L, 14R)의 회로구성은 제 1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제 2신호처리부(14L, 14R)와 동일하다.
신호처리부(14L, 14R)에 의해 반사음부가처리가 행해진 좌우신호는 각각 다른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5L, 15R)에 공급되어, 각 채널이 아날로그오디오신호로 변환된다. 좌우 2채널아날로그오디오신호는 비교적 작은 증폭율을 갖는 신호구동용 증폭기(16L, 16R)에 의해 증폭되고, 증폭된 오디오신호는 헤드폰 접속단자(17L, 17R)에 공급된다. 헤드폰 접속단자(17L, 17R)에서 얻은 각 채널의 오디오신호는 각 헤드폰 접속단자(17L, 17R)에 연결된 헤드폰장치(18)의 좌우 라우드스피커부(18L, 18R)에 공급되고, 오디오신호는 헤드폰장치(18)에서 재생된다.
상기 설명한 구성으로서, 헤드폰장치(18)를 착용한 청취자 주위에 있는 음원을 갖는 음장이 다중채널오디오신호에 의해 형성되어, 다중채널오디오신호가 바람직하게 재생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 1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제 1신호처리부(13) 및 제 2신호처리부(14L, 14R)가 분리되어 배치되고, 신호를 헤드폰에 의해 재생된 음장의 신호로 변환하는 처리가 간단한 회로구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는 5.1채널오디오신호가 다중채널오디오신호로서 입력될 때 수행되는 처리를 설명한다. 그러나, 물론 이 실시예는 다른 채널구성을 갖는 다중채널오디오신호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다중오디오신호를 재생하는 처리가 수행될 때, 제 2실시예에서 설명한 헤드의 회전각에 따라 보정처리가 수행될 수 있어서, 음상이 정하는 위치가 헤드가 회전해도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각 실시예에서, 공급된 오디오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헤드폰장치가 직접 신호선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그러나. 예컨대, 도 1, 도 7 또는 도 10에서 도시한 장치의 출력단자(17L, 17R)에서 얻은 오디오신호가 무선으로 적외선 등에 의해 송신되는 구성으로서, 무선으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소위 무선헤드폰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 2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각속도데이터가 무선으로 다음 장치에 송신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구항 1에 기재한 오디오처리장치에 의하면, 제 1필터수단에서는 거리감을 고려하지 않고, 음상의 정위위치만을 고려한 연산처리를 실행하면 좋고, 비교적 연산처리량이 적은 필터수단으로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필터수단에서는 전송함수가 무상관 반사음을 부가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만으로 좋고, 간단한 1쌍의 필터수단으로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임펄스응답의 연산처리를 행하는 필터수단으로 음상 정위위치를 설정하는 처리와 그 정위위치의 거리감을 주는 처리의 쌍방의 연산처리를 행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회로구성이나 연산처리량을 상당히 소규모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 2에 기재한 오디오처리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1항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한쌍의 제 2필터수단은 디지털필터로 구성되고 지연시간을 한쌍으로 다르게 하는 것으로 지연시간의 설정처리에서 음상 정위위치의 거리감을 양호하게 설정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오디오처리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한쌍의 제 2필터수단은 디지털필터로 구성되고 승산계수를 한쌍으로 다르게 하는 것으로 승산계수의 정수처리로 음상 정위위치의 거리감을 양호하게 설정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한 오디오처리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한쌍의 제 1필터수단은 전송함수와 상관이 있는 디지털필터로 구성한 것으로 연산처리량이 비교적 적은 간단한 구성의 디지털필터로 제 1필터수단을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한 오디오처리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헤드폰장치를 장착한 청취자 머리의 이동방향을 검지하는 검지수단을 갖추고, 이 검지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한쌍의 제 2필터수단의 전송함수를 가변하는 것으로 음상 정위위치를 헤드폰 장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차례로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6에 기재한 오디오처리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검지수단은 전압진동자이로를 사용한 것으로 전압진동자이로를 사용하여 간단 양호하게 음상 정위위치의 보정을 위한 검출처리가 행해진다.
청구항 7에 기재한 오디오처리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검지수단은 지자기 방위센서를 사용한 것으로 지자기 방위센서를 사용한 절대적인 방위검출수단을 사용하여 정확하게 음상 정위위치의 보상을 위한 검출처리가 행해진다.
청구항 8에 기재한 오디오재생방법에 의하면, 청취자의 좌귀 및 우귀의 귓전에서 재생되는 오디오로 형성되는 음장으로서 제 1변환처리에서 임펄스응답의 연산에 기초하여 임의의 위치에 음상 정위위치를 부여한 음상 정위위치로 할 수 있고, 적은 연산처리량으로 임의의 위치에 분포한 거리감을 유지하는 음상 정위를 부여한 음장으로 할 수 있다.

Claims (8)

  1. 오디오 처리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신호원에서 입력되는 n채널(n≥1, 양의 정수)의 오디오신호를 2채널의 신호로 변환하는 제 1필터수단과,
    상기 제 1의 필터수단으로부터의 2채널 출력신호가 공급되고, 그 공급된 2채널 입력신호에 전송함수에 대해 다른 지연시간을 설정하는 무상관 처리수단을 제공하는 한쌍의 제 2필터수단과,
    한쌍의 제 2필터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를 헤드폰의 좌우 라우드스피커부에 공급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한쌍의 제 2필터수단은 디지털필터로 구성되고, 전송함수에 대해서 지연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한쌍의 무상관 처리수단이 다른 지연시간을 가지는 지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한쌍의 제 2필터수단이 디지털 필터로 구성되고, 전송함수에 대해서 지연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한쌍의 무상관 처리수단은 복수의 지연시간을 출력하는 지연부와, 각각의 지연시간 출력을 임의의 값으로 설정하는 승산기와, 각각의 승산기 출력을 가산하는 가산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한쌍의 제 1필터수단은 전송특성과 동일하거나 동등한 특성을 가지는 디지털 필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헤드폰을 장착한 청취자 머리의 이동방향을 검지하는 검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검지수단에서의 출력에 의거해 한쌍의 제 2필터수단의 전송함수가 가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처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헤드폰을 장착한 청취자 머리의 이동방향를 검지하는 검지수단은 전압진동자이로이고, 이 전압진동자이로부터의 출력에 따라 한쌍의 제 2필터수단의 전송함수가 가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처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헤드폰을 장착한 청취자 머리의 이동방향를 검지하는 검지수단이 지자기 방위센서이고, 상기 지자기 방위센서로 부터의 출력에 의거해 한쌍의 제 2필터수단의 전송함수가 가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처리장치.
  8. 오디오 재생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신호음에서 공급된 n채널(n≥1, 양의 정수) 오디오신호를 음원에서 청취자의 좌우 귀까지의 2계통의 임펄스응답에 의거해 2채널의 신호로 변환하는 제 1변환처리와,
    상기 제 1의 변환처리수단에서 2채널 출력신호에 대해서 전송함수에 지연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한쌍의 무상관처리수단에 대해서 반사음부가처리를 독립적으로 실행하는 제 2변환처리와,
    상기 제 2변환처리가 된 2채널 출력신호를 청취자의 좌우 귀의 귓전에서 재생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방법.
KR1019990046831A 1998-10-30 1999-10-27 오디오 처리장치 및 오디오 재생방법 KR1007038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311308 1998-10-30
JP31130898A JP4499206B2 (ja) 1998-10-30 1998-10-30 オーディオ処理装置及びオーディオ再生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558A true KR20000047558A (ko) 2000-07-25
KR100703891B1 KR100703891B1 (ko) 2007-04-04

Family

ID=18015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6831A KR100703891B1 (ko) 1998-10-30 1999-10-27 오디오 처리장치 및 오디오 재생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970569B1 (ko)
JP (1) JP4499206B2 (ko)
KR (1) KR100703891B1 (ko)
DE (1) DE1995230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328B1 (ko) * 2007-05-04 2010-04-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반사음 재생을 위한 입체 음장 재생 장치 및 그 방법
US8483395B2 (en) 2007-05-04 2013-07-0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ound field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reflections
US11882420B2 (en) 2019-02-26 2024-01-23 Sony Semiconductor Solutions Corporation Audio signal synchronization control device and audio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9206B2 (ja) * 1998-10-30 2010-07-07 ソニー株式会社 オーディオ処理装置及びオーディオ再生方法
JP4240683B2 (ja) * 1999-09-29 2009-03-18 ソニー株式会社 オーディオ処理装置
JP3557177B2 (ja) 2001-02-27 2004-08-25 三洋電機株式会社 ヘッドホン用立体音響装置および音声信号処理プログラム
EP1427104A4 (en) * 2001-09-10 2006-11-29 Yukio Koyanagi SOUND QUALITY ADJUSTMENT DEVICE AND FILTER EQUIPMENT USED THEREFOR, SOUND QUALITY ADJUSTMENT METHOD AND FILTER DESIGN PROCESS
US20080056517A1 (en) * 2002-10-18 2008-03-0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Dynamic binaural sound capture and reproduction in focued or frontal applications
JP4594662B2 (ja) 2004-06-29 2010-12-08 ソニー株式会社 音像定位装置
JP2006101461A (ja) 2004-09-30 2006-04-13 Yamaha Corp 立体音響再生装置
JP4804014B2 (ja) * 2005-02-23 2011-10-2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音声会議装置
RU2419249C2 (ru) * 2005-09-13 2011-05-20 Кониклейке Филипс Электроникс Н.В. Аудиокодирование
EP1989920B1 (en) * 2006-02-21 2010-01-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udio encoding and decoding
JP4916754B2 (ja) * 2006-04-04 2012-04-18 三菱電機株式会社 残響付加装置及び残響付加プログラム
US11217237B2 (en) * 2008-04-14 2022-01-04 Staton Techiya, Llc Method and device for voice operated control
TWI475896B (zh) * 2008-09-25 2015-03-01 Dolby Lab Licensing Corp 單音相容性及揚聲器相容性之立體聲濾波器
US9491560B2 (en) * 2010-07-20 2016-11-08 Analog Devi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headphone spatial impression
WO2014085510A1 (en) 2012-11-30 2014-06-05 D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sonalized audio virtualization
US9794715B2 (en) 2013-03-13 2017-10-17 Dts Llc System and methods for processing stereo audio content
KR102150955B1 (ko) 2013-04-19 2020-09-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채널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WO2014171791A1 (ko) 2013-04-19 2014-10-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채널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US9319819B2 (en) 2013-07-25 2016-04-19 Etri Binaural rende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multi channel audio
CN106982407A (zh) * 2016-05-26 2017-07-25 上海拆名晃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结合骨传导三维音场的虚拟现实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319456T2 (de) * 1992-01-30 1999-03-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challfeldsteuerungssystem
US5572591A (en) * 1993-03-09 1996-11-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ound field controller
US5371799A (en) * 1993-06-01 1994-12-06 Qsound Labs, Inc. Stereo headphone sound source localization system
WO1995013690A1 (fr) * 1993-11-08 1995-05-18 Sony Corporation Detecteur d'angle et appareil de lecture audio utilisant ledit detecteur
EP0666556B1 (en) * 1994-02-04 2005-02-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ound field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US5761295A (en) * 1994-03-31 1998-06-02 Northern Telecom Limited Telephone instrument and method for altering audible characteristics
US5684881A (en) * 1994-05-23 1997-11-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ound field and sound imag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JP3577798B2 (ja) * 1995-08-31 2004-10-13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ホン装置
JPH09322299A (ja) * 1996-05-24 1997-12-12 Victor Co Of Japan Ltd 音像定位制御装置
US6850621B2 (en) * 1996-06-21 2005-02-01 Yamaha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sound reproducing apparatus and a three-dimensional sound reproduction method
JP3976360B2 (ja) * 1996-08-29 2007-09-19 富士通株式会社 立体音響処理装置
US6011851A (en) * 1997-06-23 2000-01-04 Cisco Technology, Inc. Spatial audio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xt switching between telephony applications
JP4499206B2 (ja) * 1998-10-30 2010-07-07 ソニー株式会社 オーディオ処理装置及びオーディオ再生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328B1 (ko) * 2007-05-04 2010-04-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반사음 재생을 위한 입체 음장 재생 장치 및 그 방법
US8483395B2 (en) 2007-05-04 2013-07-0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ound field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reflections
US11882420B2 (en) 2019-02-26 2024-01-23 Sony Semiconductor Solutions Corporation Audio signal synchronization control device and audio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970569B1 (en) 2005-11-29
JP4499206B2 (ja) 2010-07-07
JP2000138998A (ja) 2000-05-16
KR100703891B1 (ko) 2007-04-04
DE19952300A1 (de) 2000-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3891B1 (ko) 오디오 처리장치 및 오디오 재생방법
KR100644617B1 (ko) 7.1 채널 오디오 재생 방법 및 장치
KR100608024B1 (ko) 다중 채널 오디오 입력 신호를 2채널 출력으로 재생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기록된 기록매체
RU2364053C2 (ru) Многоканальный окружающий звук от фронтально установленных громкоговорителей
US8116458B2 (en) Acoustic image localization apparatus, acoustic image localization system, and acoustic image localization method, program and integrated circuit
ES2249823T3 (es) Descodificacion de audio multifuncional.
US20080118078A1 (en) Acoustic system, acoustic apparatus, and optimum sound field generation method
KR20050060789A (ko) 가상 음향 재생 방법 및 그 장치
US6067360A (en) Apparatus for localizing a sound image and a method for localizing the same
WO1999035885A1 (fr) Dispositif de localisation d'images sonores
JP4240683B2 (ja) オーディオ処理装置
KR100956265B1 (ko) 음성재생장치
JP4744695B2 (ja) 仮想音源装置
EP1968348B1 (en) Stereophonic sound output apparatus and early reflection generation method thereof
EP1815716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multi-channel audio input signals to produce at least two channel output signals therefro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containing executable code to perform the method
US8958585B2 (en) Sound image localization apparatus
WO2007035055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production virtual sound of two channels
JP2910891B2 (ja) 音響信号処理装置
JPH11331992A (ja) デジタル処理回路と、これを使用したヘッドホン装置およびスピーカ装置
JP2009105565A (ja) 仮想音像定位処理装置および仮想音像定位処理方法
JP2003111198A (ja) 音声信号処理方法および音声再生システム
JP3925633B2 (ja) 音声再生装置
JPH08182097A (ja) 音像定位装置及びフィルタ設定方法
JPH06233394A (ja) サラウンド信号処理装置
KR19980060755A (ko) 5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2채널로의 변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